KR100948535B1 - 랙피니언 방식의 관상기관 문합장치 - Google Patents

랙피니언 방식의 관상기관 문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8535B1
KR100948535B1 KR1020080033209A KR20080033209A KR100948535B1 KR 100948535 B1 KR100948535 B1 KR 100948535B1 KR 1020080033209 A KR1020080033209 A KR 1020080033209A KR 20080033209 A KR20080033209 A KR 20080033209A KR 100948535 B1 KR100948535 B1 KR 1009485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astomosis
moving
hands
bar
driving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32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07771A (ko
Inventor
한기봉
김철웅
박종웅
손대구
이호상
서영수
신은지
Original Assignee
(주)트리플씨메디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트리플씨메디칼 filed Critical (주)트리플씨메디칼
Priority to KR10200800332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8535B1/ko
Priority to PCT/KR2009/001201 priority patent/WO2009125926A2/ko
Publication of KR200901077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77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85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85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1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performing anastomosis; Buttons for anastom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367Details of actuation of instruments, e.g. relations between pushing buttons, or the like, and activation of the tool, working tip, or the like
    • A61B2017/00407Ratchet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1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performing anastomosis; Buttons for anastomosis
    • A61B2017/1103Approximator

Abstract

본 발명에 의하면, 문합장치는 제1 및 제2 문합링을 각각 고정하는 제1 및 제2 핸드;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핸드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제1 및 제2 핸드 중 다른 하나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병진운동하여 상기 제1 및 제2 문합링을 체결하는 체결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체결유닛은 상기 제1 및 제2 핸드의 운동방향에 대하여 대체로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하는 구동체; 상기 제1 및 제2 핸드에 각각 연결되며, 일측에 제공된 가이드바를 따라 상기 제1 및 제2 핸드와 함께 이동하는 제1 및 제2 수평이동체; 그리고 상기 구동체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체와 함께 이동하며, 상기 제1 및 제2 수평이동체에 각각 형성된 제1 및 제2 미끄럼홀을 따라 각각 미끄럼이동하여 상기 제1 및 제2 수평이동체를 이동시키는 제1 및 제2 구동바를 포함할 수 있다.
핸드, 문합링, 구동체, 이동체

Description

랙피니언 방식의 관상기관 문합장치{ANASTOMOSIS APPARATUS FOR TUBULAR ORGAN USING RACK AND PINION}
본 발명은 관상기관(예를 들어, 혈관과 같은)을 문합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문합링을 이용한 문합장치에 관한 것이다.
운동 부족과 식생활의 서구화 등으로 인하여, 혈관 질환의 발생률은 해마다 늘어나고 있다. 특히, 심장 질환의 대부분은 심장에 영양과 산소를 공급하는 혈관이 막히는 허혈증(ischemia)에 의해 나타나는 심근 경색 및 협심증 등이다. 이러한 폐쇄 혈관 또는 거의 폐쇄된 혈관의 치료 방법으로는 혈관 근육을 팽창시키는 근육 이완제 또는 항칼슘제를 사용하는 약물 요법과 수술에 의한 요법이 사용되고 있다. 약물 요법은 초기 단계의 치료에 유용하지만 이미 상당한 정도로 폐쇄 과정이 진행된 혈관에는 효과가 현저히 떨어지고 근본적인 대책은 아니다. 따라서, 폐쇄 혈관의 직접적인 치료법인 수술 요법이 많이 시행되고 있다.
수술 요법으로는 크게 내과적 방법과 외과적 방법이 있는데, 내과적 방법은 대퇴 정맥과 같은 혈관을 통해 금속망(Stent)을 폐쇄 부위에 삽입하고 그곳에서 금속망을 팽창시켜 폐쇄 부위를 치료하는 방법이다. 이러한 팽창 금속망을 사용하는 방법에 필요한 장치들이 미국특허 제3,416,531호 등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으로 수술한 후 얼마간의 시간이 경과하면, 금속망 사이로 병변조직이 삐져나오고 새로운 육아조직(granular tissue)이 금속망의 안쪽에 자라나게 되어 또다시 폐쇄과정이 진행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보다 근본적인 해결책으로서, 가슴을 절개하여 열고(Open heart surgery) 다른 곳에서 가져온 혈관(주로, 다리 정맥)을 사용하여 막힌 부위를 우회 연결하는 외과적 수술법이 주로 시행되고 있다. 이때, 상기 다리 정맥의 한쪽 단부를 IMA(Internal Mammary Artery: 흉부 및 복부조직과 근육에 혈액을 공급하는 동맥)에 단부 대 단부(End-to-End) 또는 단부 대 측부(End-to-Side)로 연결하고, 다른 쪽 단부를 폐쇄 부위를 넘어선 혈관에 단부 대 측부 또는 측부 대 측부(Side-to-Side)로 연결하는 방법이 사용된다.
혈관은 크게 내층(Intima), 중간층(Media) 및 외층(Adventitia)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두 혈관의 문합시 반드시 내층은 내층끼리 외번시켜서 연결하여야 한다. 상기와 같은 심장 질환의 치료뿐만 아니라 피판이전술에 의한 재건술이나 절단된 혈관의 문합 방법으로는, 미세수술 전문의사가 직접 봉합사를 사용하여 현미경이나 고배율의 확대경으로 확대된 수술시야를 확보하고 수작업에 의해 일일히 봉합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봉합은 고도로 숙련된 전문 의사에 의해서만 시행될 수 있고, 많은 시간과 노력을 필요로 한다. 특히, 심장과 같이 연속적으로 주기적 박동이 행해지는 부위의 혈관을 일일이 봉합하여 문합하는 것은 대단히 어려운 일이다. 따라서, 심장 수술시에는 장시간 동안 인위적으로 심장 마비를 일으켜 심장의 박동을 정지시키는 과정이 필요하다. 따라서, 봉합사를 사용하여 일일이 손으로 혈관을 직접 봉합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다수의 혈관 문합 장치들이 고안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관상기관(예를 들어, 혈관과 같은)을 용이하고 신속하게 문합할 수 있는 푸셔 및 문합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과 첨부한 도면으로부터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문합장치는 제1 및 제2 문합링을 각각 고정하는 제1 및 제2 핸드;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핸드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제1 및 제2 핸드 중 다른 하나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병진운동하여 상기 제1 및 제2 문합링을 체결하는 체결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체결유닛은 상기 제1 및 제2 핸드의 운동방향에 대하여 대체로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하는 구동체; 상기 제1 및 제2 핸드에 각각 연결되며, 일측에 제공된 가이드바를 따라 상기 제1 및 제2 핸드와 함께 이동하는 제1 및 제2 이동체; 그리고 상기 구동체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체와 함께 이동하며, 상기 제1 및 제2 이동체에 각각 형성된 제1 및 제2 미끄럼홀을 따라 각각 미끄럼이동하여 상기 제1 및 제2 이동체를 이동시키는 제1 및 제2 구동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미끄럼홀은 상기 제1 및 제2 이동체의 이동방향 및 상기 구동체의 이동방향과 다른 사선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문합장치는 상기 제1 및 제2 핸드와 상기 체결유닛을 감싸는 케이스를 더 포함하며, 상기 체결유닛은 일단이 상기 케이스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1 및 제2 레버;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레버와 상기 구동체를 각각 연결하며, 상기 제1 및 제2 레버의 회전에 의해 상기 구동체를 이동시키는 연결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문합장치는 상기 제1 및 제2 문합링을 상기 제1 및 제2 핸드로부터 각각 분리하는 분리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분리유닛은 상기 구동체의 이동에 의해 회전하는 전달기어; 상기 전달기어에 맞물리는 복수의 이빨을 가지며, 상기 전달기어의 회전에 의해 이동하는 승강바; 그리고 상기 승강바의 일단에 연결되어 상기 승강바와 함께 이동하며, 상기 제1 및 제2 문합링을 상기 제1 및 제2 핸드로부터 밀어내는 푸쉬바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구동체의 이동방향과 상기 승강바의 이동방향은 반대방향일 수 있다.
상기 제1 핸드는 상기 제1 문합링을 홀딩하는 제1 홀더; 그리고 상기 제1 홀더에 연결되며, 일측에 제공된 제1 랙기어와 맞물려 상기 제1 홀더와 함께 회전하는 제1 피니언기어를 구비하는 제1 로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2 핸드는 상기 제2 문합링을 홀딩하는 제2 홀더; 그리고 상기 제2 홀더에 연결되며, 일측에 제공된 제2 랙기어와 맞물려 회전하는 제2 피니언 기어를 구비하는 제2 로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랙기어는 상기 제1 피니언기어에 기설정된 회전각을 제공하는 길이를 가지며, 상기 제2 랙기어는 상기 제2 피니언기어에 기설정된 회전각을 제공하는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핸드는 제1 로드; 상기 제1 로드의 전단에 위치하며, 상기 제1 문합링을 홀딩하는 제1 홀더; 그리고 상기 제1 홀더에 연결되며, 상기 제1 로드의 전단에 형성된 제1 삽입구에 삽입되는 제1 지지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지지바는 외주면으로부터 함몰된 제1 정지홈을 가지며, 상기 제1 로드는 상기 제1 정지홈에 삽입되어 상기 제1 지지바가 상기 제1 삽입구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제1 스토퍼 및 상기 제1 스토퍼를 상기 제1 정지홈으로부터 이탈시키는 제1 분리버튼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관상기관(예를 들어, 혈관과 같은)을 용이하고 신속하게 문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 1 내지 도 11을 참고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들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 나타난 각 요소의 형상은 보다 분명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하여 과장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는 혈관을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혈관 이외의 인체의 다른 관상기관에 응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상기관은 난관, 담관, 장, 이하선관, 요도 및 요관, 정삭, 췌장관, 총간관, 담도관, 나팔관, 림프관 등과 같이 관 구조(tubular structure)를 가진 기관들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간, 신장, 췌장, 심장이식 등 혈관과 같은 관상기관의 문합을 필요로 하는 다양한 종류의 수술에 응용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문합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a 및 도 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술하는 문합장치는 대체로 좌우대칭이므로, 중심을 기준으로 일측에 위치하는 구성에 대한 설명은 타측에 위치하는 구성에 대한 설명과 대체로 동일하다. 또한, 이하에서 어두에 '제1'이 붙는 구성요소는 좌측에 위치하고, 어두에 '제2'가 붙는 구성요소는 우측에 위치한다.
도 1a 및 도 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문합장치는 하부케이스(10)(도시하지 않았으나, 하부케이스(10)에 대응되는 상부케이스가 있음), 레버(20), 체결유닛(30), 그리고 핸드(40)를 포함한다. 하부케이스(10)는 레버(20) 및 체결유닛(30)을 포함하는 내부 구성요소가 설치되는 공간을 제공하며, 이들을 외부로부터 보호한다. 레버(20)는 힌지(22)에 의해 회전가능하도록 하부케이스(10)에 연결되며, 후술하는 제1 및 제2 로드(44)의 회전 및 이동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한다. 도 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하부케이스(10)의 양측에 제공된 제1 및 제2 레버(20)를 손으로 움켜쥐면, 제1 및 제2 레버(20)는 제1 및 제2 힌지(22)를 중심으로 회전하며, 이로 인해 구동력이 발생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레버(20)를 통해 구동력이 발생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구동모터 및 구동실린더를 포함한 다양한 구동장치를 통해 구동력을 제공 할 수 있다.
한편, 하부케이스(10)의 하부에는 고정체(12)가 설치되며, 레버(20)의 하단에 연결된 탄성부재(20a)는 고정체(12)에 고정설치된다. 탄성부재(20a)는 압축스프링(compression spring)이다. 따라서, 사용자가 움켜쥔 손을 놓으면, 탄성부재(20a)는 레버(20)를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킨다. 이때, 레버(20)의 하단에는 하부케이스(10)의 턱(10a)에 걸리는 돌기(21)가 제공되며, 이를 통해 레버(20)의 이동을 제한한다.
도 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체결유닛(30)은 구동체(32), 구동바(34), 그리고 이동체(36)를 포함한다. 구동체(32)는 상부구동체(32a) 및 하부구동체(32b)를 구비한다. 레버(20)는 연결바(24)를 통해 하부구동체(32b)에 연결되며, 연결바(24)는 힌지(26)에 의해 회전가능하도록 하부구동체(32b)에 연결된다. 도 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레버(20)가 회전하면, 연결바(24)는 힌지(24)를 중심으로 회전하며, 하부구동체(32b)는 상승한다. 반대로, 레버(20)가 복귀하면, 연결바(24)는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며, 하부구동체(32b)는 하강한다. 상부구동체(32a)는 하부구동체(32b)와 함께 승강한다.
구동바(34)는 상부구동체(32a)의 상부에 연결되어 상부구동체(32a)와 함께 승강한다. 또한, 구동바(34)는 제1 및 제2 이동체(36)에 형성된 미끄럼홀(362)을 통해 미끄럼이동하며, 이로 인해 제1 및 제2 이동체(36)는 구동바(34)의 승강방향과 대체로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한다. 제1 및 제2 이동체(36)의 이동원리에 대해서 는 후술하기로 한다.
핸드(40)는 홀더(42) 및 로드(44)를 포함한다. 문합링(50)은 홀더(42)에 고정되며, 홀더(42)는 로드(44)와 연결된다. 로드(44)는 이동체(36)에 연결되어 이동체(36)와 함께 이동한다. 로드(44)는 피니언기어(46)를 구비하며, 피니언기어(46)는 하부케이스(10)에 제공된 랙기어(14)와 맞물려 회전한다. 즉, 로드(44)는 이동체(36)의 이동에 이동하며, 이와 함께 피니언기어(46)의 회전에 의해 회전한다.
도 1a 및 도 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레버(20)의 작동에 의해 구동체(32)는 상승하고, 이로 인해 이동체(36) 및 로드(44)는 이동하며, 도 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문합링(50)은 회전 및 이동하여 문합링(50)은 상호 체결된다. 이하에서는 각각의 구성요소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 2a 및 도 2b는 도 1a의 핸드(40)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홀더(42)는 고정구(422) 및 지지바(424)를 구비한다. 고정구(422)는 내측면에 형성되어 문합링(50)이 삽입되는 미끄럼홈(422a)을 가지며, 하부면에 형성된 관통홀(422b)을 가진다. 지지바(424)는 로드(44)의 전단에 형성된 삽입구(442)에 삽입되며, 이로 인해 홀더(42)는 로드(44)의 전단에 제공된다.
한편,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바(424)는 정지홈(424a)을 가진다. 로드(44)에 설치된 이탈버튼(444)은 회전가능한 회전바(446)에 연결되며, 회전 바(446)의 끝단에는 스토퍼가 제공된다. 스토퍼는 정지홈(424a)에 삽입되어 지지바(424)가 삽입구(442)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며, 사용자가 이탈버튼(444)을 눌렀을 때, 정지홈(424a)으로부터 이탈하여 지지바(424)가 삽입구(442)로부터 이탈할 수 있도록 한다. 이탈버튼(444)은 회전바(446)에 연결된 탄성체(448)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복귀한다.
도 3은 도 2a의 홀더(42) 및 문합링(50)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문합링(50)은 혈관과 대응되는 링(52) 형상이며, 복수의 고정핀들(54) 및 복수의 체결홀들(56)을 가진다. 고정핀들 및 체결홀들(54,56)은 문합링(50)의 중심을 기준으로 등각을 이루도록(도시하지 않았으나 약 60°를 이루도록) 각각 배치되며, 교대로 배치된다. 혈관은 문합링(50)의 중앙 개구에 삽입된 후 뒤집어진 상태에서 고정핀(54)에 고정되며, 고정핀(54)은 혈관을 관통하여 혈관이 문합링(50)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고정핀(54)의 상단에는 관통한 혈관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앵커가 제공된다. 또한, 문합링(50)은 미끄럼홈(422a)을 따라 미끄럼이동하여 문합링(50)을 홀더(42) 상에 고정시키는 가이드(58)를 더 구비한다. 가이드(58)는 링(52)의 양측에 제공된다.
한편, 좌측에 위치하는 제1 홀더(42)에 고정된 문합링(50)과 우측에 위치하는 제2 홀더(42)에 고정된 문합링(50)은 서로 다른 위치에 고정핀(54) 및 체결홀(56)을 각각 가지고 있다. 즉, 두 개의 문합링(50)은 고정핀(54)이 체결홀(56)에 삽입됨으로써 상호 체결되므로, 두 개의 문합링(50)은 고정핀(54) 위치에 체결 홀(56)이 위치하고 있어야 하며, 동일한 위치에 고정핀(54)이 위치하거나 체결홀(56)이 위치할 경우 문합링(50)은 상호 체결될 수 없다.
도 4는 도 1a의 구동체(32) 및 이동체(36)의 동작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바(34) 및 미끄럼홀(362)은 상부구동체(32a)의 이동방향과 기설정된 각도(θ)를 이룬다. 따라서, 상부구동체(32a)의 상승에 의해 구동바(34)가 상승하면, 구동바(34)가 미끄럼홀(362)을 따라 미끄럼이동하면서 이동체(36)는 이동하며, 이로 인해 두 이동체(36)는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로 가까워진다. 반대로, 상부구동체(32a)의 하강에 의해 구동바(34)가 하강하면, 구동바(34)가 미끄럼홀(362)을 따라 미끄럼이동하면서 이동체(36)는 이동하며, 이로 인해 두 이동체(36)는 서로 멀어진다. 이때, 이동체(36)의 이동거리는 상부구동체(32a)의 상승거리에 탄젠트값(tanθ)을 곱한 것과 대체로 일치하며, 탄젠트값(tanθ)을 이용하여 이동체(36)의 이동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는 도 1a의 이동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6a 내지 도 6c는 도 1a의 핸드와 피니언기어가 연동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체(36)는 이동홈(364)을 가지며, 이동체(36)는 이동홈(364)에 삽입된 가이드바(16)를 따라 이동한다. 즉, 이동체(36)는 가이드바(16)에 나란한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으며, 가이드바(16)에 대체로 수직한 방향의 이동은 가이드바(16)에 의해 제한된다. 이동체(36)가 이동함에 따라, 이동체(36)에 연결된 로 드(44)도 함께 이동한다.
이때, 로드(44)에 제공된 피니언기어(46)는 하부케이스(10)에 고정설치된 랙기어(142)에 맞물리며, 로드(44)의 이동시 피니언기어(46)는 랙기어(142)에 맞물려 회전한다. 따라서, 로드(44)는 피니언기어(46)에 의해 회전한다. 이때, 랙기어(142)의 길이는 피니언기어(46)의 기설정된 회전변위에 따라 결정된다. 즉, 랙기어(142)와 맞물려 회전하는 피니언기어(46)는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랙기어(142)로부터 이탈하면 더 이상 회전하지 않으며, 로드(44)도 마찬가지로 더 이상 회전하지 않는다. 로드(44)는 단지 이동체(36)와 함께 이동한다. 따라서, 피니언기어(46)의 회전변위가 클 때 랙기어(142)의 길이는 길며, 피니언기어(46)의 회전변위가 작을 때 랙기어(142)의 길이가 짧다.
피니언기어(46) 및 로드(44)의 회전변위는 홀더(42)에 고정된 문합링(50)의 회전변위와 관계한다. 도 6a 내지 도 6c를 참고하여 문합링(50)의 회전변위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문합링(50)이 대체로 수평하게 배치되도록 홀더(42)가 배치된 상태에서 문합링(50)이 홀더(42)에 삽입고정되며, 문합링(50)은 대체로 수평하게 배치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최초 문합링(50)이 수평하게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사용자에 따라 최초 문합링(50)이 배치되는 각도는 다를 수 있다. 이때, 피니언기어(46)는 랙기어(142)와 맞물린 상태를 유지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동체(36)의 이동에 의해 로드(44) 및 피니언기 어(46)는 이동하며,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로 인해 랙기어(142)와 맞물린 피니언기어(46)는 회전한다. 제1 및 제2 피니언기어(46)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므로,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한다. 문합링(50)도 피니언기어(46)와 함께 회전한다.
이후,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랙기어(142)가 끝나는 지점에서 피니언기어(46)는 랙기어(142)로부터 이탈하며, 피니언기어(46)는 더 이상 회전하지 않는다. 한편, 피니언기어(46)의 회전변위는 문합링(50)의 회전변위에 의해 결정되며, 두 문합링(50)을 체결하기 위해서는 문합링(50)의 고정핀(54) 및 체결홀(56)과 상대 문합링(50)의 체결홀(56) 및 고정핀(54)이 서로 마주보도록 문합링(50)이 배치되어야 한다. 즉, 문합링(50)은 회전 후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어야 하며, 문합링(50)의 회전변위는 문합링(50)의 최초 배치(문합링(40)을 홀더(32)에 설치하거나 문합링(40)에 혈관을 고정시키는 위치)와 회전 후 배치(문합링(40)을 체결하기 위한 위치)의 차이에 의해 결정된다. 문합링(50)의 회전변위에 따라 피니언기어(46)의 회전변위가 결정되며, 이에 따라 랙기어(142)의 길이가 결정된다.
이후, 도 6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니언기어(46)는 더 이상 회전하지 않으며, 이동체(36)와 함께 단순이동한다. 마찬가지로, 문합링(50)도 더 이상 회전하지 않으며, 단순이동에 의해 체결된다.
도 7 및 도 8은 분리유닛(60)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9a 및 도 9b는 도 7의 푸쉬바(66)를 이용하여 문합링(50)을 분리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분리유닛(60)은 전달기어(62), 승강바(64), 그리고 푸쉬바(66)를 구비한다. 전달기어(62)는 하부케이스(10)에 고정된 고정체(16)에 고정되어 회전하며, 상부구동체(32a)의 후면에 제공된 구동기어(322)에 맞물린다. 따라서, 상부구동체(32a)의 승강에 의해 회전한다. 승강바(64)는 전달기어(62)에 맞물리는 복수의 이빨들(64a)을 구비하며, 전달기어(62)의 회전에 의해 승강바(64)는 승강한다. 푸쉬바(66)는 승강바(64)의 상단에 연결되며, 승강바(64)와 함께 승강한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구동체(32a)가 하강하면 전달기어(62)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며, 이로 인해 승강바(64)는 상승한다. 반대로, 상부구동체(32a)가 상승하면 전달기어(62)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며, 이로 인해 승강바(64)는 하강한다.
도 9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푸쉬바(66)는 로드(44) 사이에 배치되며, 푸쉬바(66)의 상단에는 핀(68)이 제공된다. 핀(68)은 고정구(422)에 형성된 관통홀(422b)을 통해 승강하며, 홀더(42)에 고정된 문합핀(50)을 밀어 문합핀(50)을 홀더(42)로부터 분리한다. 즉, 핀(68)의 일부는 좌측에 위치하는 제1 홀더(42)의 관통홀(422b)을 통해 상승하고, 핀(68)의 다른 일부는 우측에 위치하는 제2 홀더(42)의 관통홀(422b)을 통해 상승하며(다시 말해, 핀(68)은 제1 및 제2 홀더(42)의 관통홀들(422b)에 의해 형성된 개구를 통해 상승한다), 이로 인해 하나의 핀(68)으로 두 개의 문합링(50)을 분리시킬 수 있다.
도 10은 도 1의 문합링이 혈관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1은 도 1의 문합링을 이용한 문합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문합링은 열려있는 혈관의 끝단에 설치되며, 고정핀은 혈관이 문합링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두 개의 혈관에 각각의 문합링(50,50')을 설치하고 문합링을 체결함으로써 혈관은 문합된다.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이와 다른 형태의 실시예들도 가능하다. 그러므로, 이하에 기재된 청구항들의 기술적 사상과 범위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문합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a 및 도 2b는 도 1a의 핸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a의 홀더 및 문합링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a의 이동체 및 구동체의 동작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a 및 도 5b는 도 1a의 이동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a 내지 도 6c는 도 1a의 핸드와 피니언기어가 연동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은 분리유닛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a 및 도 9b는 도 7의 푸쉬바를 이용하여 문합링을 분리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1의 문합링이 혈관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도 1의 문합링을 이용한 문합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하부케이스 12 : 지지체
14 : 랙기어 20 : 레버
24 : 연결바 26 : 힌지
30 : 체결유닛 32 : 구동체
34 : 구동바 36 : 이동체
40 : 핸드 42 : 홀더
44 : 로드 46 : 피니언기어
50 : 문합링

Claims (9)

  1. 제1 및 제2 문합링을 각각 고정하는 제1 및 제2 핸드; 및
    상기 제1 및 제2 핸드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제1 및 제2 핸드 중 다른 하나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병진운동하여 상기 제1 및 제2 문합링을 체결하는 체결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체결유닛은,
    상기 제1 및 제2 핸드의 운동방향에 대하여 대체로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하는 구동체;
    상기 제1 및 제2 핸드에 각각 연결되며, 일측에 제공된 가이드바를 따라 상기 제1 및 제2 핸드와 함께 이동하는 제1 및 제2 이동체; 및
    상기 구동체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체와 함께 이동하며, 상기 제1 및 제2 이동체에 각각 형성된 제1 및 제2 미끄럼홀을 따라 각각 미끄럼이동하여 상기 제1 및 제2 이동체를 이동시키는 제1 및 제2 구동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미끄럼홀은 상기 제1 및 제2 이동체의 이동방향 및 상기 구동체의 이동방향과 다른 사선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합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문합장치는 상기 제1 및 제2 핸드와 상기 체결유닛을 감싸는 케이스를 더 포함하며,
    상기 체결유닛은,
    일단이 상기 케이스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1 및 제2 레버; 및
    상기 제1 및 제2 레버와 상기 구동체를 각각 연결하며, 상기 제1 및 제2 레버의 회전에 의해 상기 구동체를 이동시키는 연결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합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문합장치는 상기 제1 및 제2 문합링을 상기 제1 및 제2 핸드로부터 각각 분리하는 분리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분리유닛은,
    상기 구동체의 이동에 의해 회전하는 전달기어;
    상기 전달기어에 맞물리는 복수의 이빨을 가지며, 상기 전달기어의 회전에 의해 이동하는 승강바; 및
    상기 승강바의 일단에 연결되어 상기 승강바와 함께 이동하며, 상기 제1 및 제2 문합링을 상기 제1 및 제2 핸드로부터 밀어내는 푸쉬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합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체의 이동방향과 상기 승강바의 이동방향은 반대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합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핸드는,
    상기 제1 문합링을 홀딩하는 제1 홀더; 및
    상기 제1 홀더에 연결되며, 일측에 제공된 제1 랙기어와 맞물려 상기 제1 홀더와 함께 회전하는 제1 피니언기어를 구비하는 제1 로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2 핸드는,
    상기 제2 문합링을 홀딩하는 제2 홀더; 및
    상기 제2 홀더에 연결되며, 일측에 제공된 제2 랙기어와 맞물려 회전하는 제2 피니언 기어를 구비하는 제2 로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합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랙기어는 상기 제1 피니언기어에 기설정된 회전각을 제공하는 길이를 가지며,
    상기 제2 랙기어는 상기 제2 피니언기어에 기설정된 회전각을 제공하는 길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합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핸드는,
    제1 로드;
    상기 제1 로드의 전단에 위치하며, 상기 제1 문합링을 홀딩하는 제1 홀더; 및
    상기 제1 홀더에 연결되며, 상기 제1 로드의 전단에 형성된 제1 삽입구에 삽입되는 제1 지지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합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바는 외주면으로부터 함몰된 제1 정지홈을 가지며,
    상기 제1 로드는 상기 제1 정지홈에 삽입되어 상기 제1 지지바가 상기 제1 삽입구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제1 스토퍼 및 상기 제1 스토퍼를 상기 제1 정지홈으로부터 이탈시키는 제1 분리버튼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합장치.
KR1020080033209A 2008-04-10 2008-04-10 랙피니언 방식의 관상기관 문합장치 KR1009485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3209A KR100948535B1 (ko) 2008-04-10 2008-04-10 랙피니언 방식의 관상기관 문합장치
PCT/KR2009/001201 WO2009125926A2 (ko) 2008-04-10 2009-03-11 랙피니언 방식의 관상기관 문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3209A KR100948535B1 (ko) 2008-04-10 2008-04-10 랙피니언 방식의 관상기관 문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7771A KR20090107771A (ko) 2009-10-14
KR100948535B1 true KR100948535B1 (ko) 2010-03-18

Family

ID=411623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3209A KR100948535B1 (ko) 2008-04-10 2008-04-10 랙피니언 방식의 관상기관 문합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948535B1 (ko)
WO (1) WO2009125926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6220B1 (ko) * 2010-03-31 2012-03-22 (주)트리플씨메디칼 아이소모픽 문합링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4471B1 (ko) * 2009-08-25 2012-02-15 (주)트리플씨메디칼 왕복식 자동봉합장치
KR101151770B1 (ko) * 2010-01-04 2012-05-31 (주)트리플씨메디칼 이탈방지 문합링 및 문합기구, 그리고 문합방법
US20150088172A1 (en) * 2012-01-30 2015-03-26 Kurume University Vascular anastomosis device and vascular anastomosis method
CN117481727B (zh) * 2023-12-29 2024-04-02 泓欣科创生物科技(北京)有限公司 血管吻合组件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17090A (en) 1982-06-24 1990-04-17 Unilink, Inc. Method for performing an anastomosis
US20060253140A1 (en) 2005-05-05 2006-11-09 Ethicon Endo-Surgery, Inc Anastomotic ring applier with double motion actuation
US20070239180A1 (en) 2006-04-06 2007-10-11 Synovis Life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ssembly for anastomosi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17090A (en) 1982-06-24 1990-04-17 Unilink, Inc. Method for performing an anastomosis
US20060253140A1 (en) 2005-05-05 2006-11-09 Ethicon Endo-Surgery, Inc Anastomotic ring applier with double motion actuation
US20070239180A1 (en) 2006-04-06 2007-10-11 Synovis Life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ssembly for anastomosi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6220B1 (ko) * 2010-03-31 2012-03-22 (주)트리플씨메디칼 아이소모픽 문합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9125926A3 (ko) 2009-12-30
KR20090107771A (ko) 2009-10-14
WO2009125926A2 (ko) 2009-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71289A (en) Surgical device for suturing tissue
Damiano Jr et al. Initial United States clinical trial of robotically assisted endoscopic coronary artery bypass grafting
KR100948535B1 (ko) 랙피니언 방식의 관상기관 문합장치
KR20020091522A (ko) 문합 장치
US6083234A (en) Anastomosis instrument and method
Tacchino et al. Single-incision laparoscopic gastric bypass for morbid obesity
EP0990420B1 (en) Anastomosis instrument
Navarro et al. Pitfalls for laparoscopic pancreaticoduodenectomy: need for a stepwise approach
Byun et al. Linear-shaped gastroduodenostomy (LSGD): safe and feasible technique of intracorporeal Billroth I anastomosis
KR101011445B1 (ko) 기계식 관상기관 문합장치
KR20090107376A (ko) 문합링 및 문합링의 설치방법
Arezzo et al. Endoscopic closure of gastric access in perspective NOTES: an update on techniques and technologies
KR101069603B1 (ko) 단-측 관상기관 문합기
KR20020094075A (ko) 혈관 문합 장치
KR20090107373A (ko) 푸셔 및 이를 이용한 관상기관의 문합방법
Motomiya et al. Reliable free flaps using the microscopic parachute end-to-side technique in severe extremity injuries
WO2014200224A1 (ko) 관상기관의 문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관상기관의 문합 방법
Schaff et al. An experimental model of saphenous vein-to-coronary artery anastomosis with the St. Jude Medical stainless steel connector
KR101480227B1 (ko) 관상기관의 문합 시술용 기구
Bisson et al. External carotid artery to middle cerebral artery bypass with the saphenous vein graft
KR101342622B1 (ko) 정-역 나사산을 이용한 단-측 관상기관 문합장치
KR101274169B1 (ko) 분기식 드라이브바를 구비하는 단-측 관상기관 문합장치
Ruano-Campos et al. SADIS: Technical Details
Wang et al. Venous anastomosis using a non‐penetrating vascular closure system in orthotopic liver transplantation
WO2022204160A1 (en) Laparoscopic anastomosis devices and methods of use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