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8409B1 - 철도레일의 텅레일 밀착감지장치 - Google Patents

철도레일의 텅레일 밀착감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8409B1
KR100948409B1 KR1020090064190A KR20090064190A KR100948409B1 KR 100948409 B1 KR100948409 B1 KR 100948409B1 KR 1020090064190 A KR1020090064190 A KR 1020090064190A KR 20090064190 A KR20090064190 A KR 20090064190A KR 100948409 B1 KR100948409 B1 KR 1009484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pair
contact portion
rail
mov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41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명철
고명진
Original Assignee
유경제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경제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경제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641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840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84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84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5/00Local operating mechanisms for points or track-mounted scotch-blocks; Visible or audible signals; Local operating mechanisms for visible or audible signals
    • B61L5/10Locking mechanisms for points; Means for indicating the setting of p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27/00Central railway traffic control systems; Trackside control;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1L27/50Trackside diagnosis or maintenance, e.g. software upgrades
    • B61L27/53Trackside diagnosis or maintenance, e.g. software upgrades for trackside elements or systems, e.g. trackside supervision of trackside control system condi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7/00Switches; Crossings
    • E01B7/20Safety means for switches, e.g. switch point protectors, auxiliary or guiding rail memb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7/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rain Traffic Observation, Control, And Securit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로 전환기의 피스톤 로드에 의해 작동되는 구동축의 구동에 따라 운전 조작실에 선로전환 여부 신호를 발신하는 제1접점부와 제2접점부를 가진 철도레일의 텅레일 밀착감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제2접점부를 한 쌍의 돌출접점을 각각 가진 한 쌍의 고정접점단자와 이 한 쌍의 고정접점단자에 대향설치된 한 쌍의 돌출접점을 각각 가진 한 쌍의 가동접점단자로 구성하고, 상기 가동파이프의 전진 또는 후진에 의해 상기 한 쌍의 가동접점단자를 한 쌍의 고정접점단자에 탈착시켜 접점을 오프 또는 온시키는 가동레버를 상기 가동파이프에 설치하고, 가동파이프, 제1접점부, 및 제2접점부를 포위하여 덮는 투명 보호덮개를 구비하고, 제1접점부와 제2접점부의 돌출접점을 백금, 금, 및 은의 합금 재질로 구성하며, 구동축의 외주면에 크롬도금을 하고, 구동축의 일측과 타측의 외주면에 무급유 드라이 부쉬(DU bush)를 설치하여 제1,2접점부의 접점 온이 확실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선로 전환기, 텅레일, 접점단자, 돌출접점, 크롬도금, 무급유 드라이 부쉬

Description

철도레일의 텅레일 밀착감지장치{Sensor of tongue rail adhering to main rail of railway}
본 발명은 철도선로를 정위상태 또는 반위상태로 전환시 텅레일의 첨단부가 기본레일에 밀착되는 상태를 감지하는 철도레일의 텅레일 밀착감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분기선로에는 한 쌍의 기본레일에 한 쌍의 텅레일이 설치되어 있는데, 한 쌍의 기본레일은 곡선 기본레일과 직선 기본레일로 구성되고, 한 쌍의 텅레일은 직선 텅레일과 곡선 텅레일로 구성되어 곡선 기본레일에 직선 텅레일이 밀착 또는 이탈되고, 직선 기본레일에 곡선 텅레일이 밀착 또는 이탈되어 철도선로를 정위상태(normal state)와 반위상태(reverse state)로 전환한다.
일반적으로 열차의 진로를 변경하기 위한 선로전환시 철도선로의 정위상태란 열차를 직선방향으로 진행시키기 위해 분기선로에서 직선 텅레일의 첨단부를 곡선 기본레일에 밀착시키면 직선 텅레일과 동시작동되는 곡선 텅레일의 첨단부는 직선 기본레일에서 이탈되어 직선선로를 형성하는 상태를 의미하고, 반위상태란 열차를 직선방향에서 곡선방향으로 진행시키기 위해 분기선로에서 곡선 텅레일의 첨단부를 직선 기본레일에 밀착시키면 곡선 텅레일과 동시작동되는 직선 텅레일의 첨단부는 곡선 기본레일에서 이탈되어 곡선선로를 형성하는 상태를 의미한다.
이렇게 분기선로에 설치되어 주행하는 열차가 정위상태 또는 반위상태 중 어느 한쪽의 철로로 진입하여 주행할 수 있도록 상기 텅레일(tongue rail)을 이동시키는 기기를 선로 전환기라 한다.
이러한 선로 전환기의 피스톤 로드에 의해 직선 텅레일이 곡선 기본레일에서 밀착되거나 곡선 텅레일이 직선 기본레일에서 밀착되는지를 밀착감지장치가 감지하여 밀착상태의 신호를 운전 조작실에 송신하게 된다.
상기한 밀착감지장치는 도 1의 평면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측단에 선로 전환기의 피스톤 로드(11)가 설치되고, 타측단에 회전레버(12)가 설치되며 코일스프링(13)이 외주연(外周緣)에 설치된 구동축(10)과 상기 코일스프링의 외주연에 설치되어 코일스프링의 압축에 의해 전진되고, 원상복귀에 의해 후진되는 가동파이프(20)로 구성된 구동부와; 상기 가동파이프를 덮고 있는 회전개폐식 보호덮개(30); 및 상기 가동파이프의 일측에 설치되며, 고정접점단자(41)와 이 고정접점단자에 각각 대향설치된 한 쌍의 돌출접점(421)을 가진 가동접점단자(42)로 구성된 한 조(組)의 제1접점부(40)와 가동파이프의 타측에 설치되며, 가동파이프의 타측에 일체로 설치된 가동 도전판(51)과 이 가동 도전판에 각각 대향설치된 각각 하나의 돌출접점(521)(531)을 가진 한 쌍의 고정접점단자(52)(53)로 구성된 한 조(組)의 제2접점부(50)로 이루어진 선로전환신호 발신부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밀착감지장치에 의해 선로를 정위상태 또는 반위상태로 전 환시, 상기 피스톤 로드(11)가 구동축(10)을 직선 왕복이동시킴에 따라 코일스프링(13)이 압축되거나 또는 원상복귀되면서 상기 가동파이프가 전진되거나 또는 후진됨과 아울러 동시에 회전레버(12)가 일측 회전되거나 또는 타측 회전되는데, 상기 회전레버의 일측 회전에 의해 가동접점단자(42)가 고정접점단자(41)에 붙어서 제1접점부(40)가 온(ON)되고, 상기 가동파이프의 전진에 의해 가동 도전판(51)이 한 쌍의 고정접점단자(52)(53)에서 떨어져서 제2접점부(50)가 오프(OFF)되거나, 또는 상기 회전레버의 타측 회전에 의해 가동접점단자(42)가 고정접점단자(41)에 떨어져서 제1접점부(40)가 오프(OFF)되고, 상기 가동파이프의 후진에 의해 가동 도전판(51)이 한 쌍의 고정접점단자(52)(53)에 붙어서 이 한 쌍의 고정접점단자(52)(53)가 가동 도전판(51)을 통해 통전되어 제2접점부(50)는 온(ON)된다.
이와 같이 정위상태 또는 반위상태로 선로전환시 텅레일이 기본레일에 밀착 되면서 밀착감지장치의 제1접점부 또는 제2접점부가 온(ON) 또는 오프(OFF)되는데, 이처럼 접점 온(ON)에 의해 정위 계전기 또는 반위 계전기가 온(ON)됨에 따른 전기신호가 운전 조작실에 송신되어 이 온(ON) 전기신호에 의해 정위상태 또는 반위상태로 선로전환이 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제1,2접점부의 돌출접점(421)(521)(531)은 은(Ag) 재질로 되어 있고, 구동축의 원활한 움직임을 위하여 구동축의 일측과 타측의 외주연에는 부싱(60)이 설치되어 있고, 이 부싱에 윤활유를 정기적으로 주입하기 위한 오일주입구(70)가 구동축의 일측과 타측에 설치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구성을 가진 밀착감지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가 지고 있다.
(1) 첫째, 가동파이프의 상부에만 비와 먼지를 차단하는 보호덮개(30)가 설치되어 있는데, 이 보호덮개가 제1접점부(40)의 가동접점단자만을 덮고 고정접점단자는 노출되어 있어 제1접점부의 접점부위(고정접점단자와 가동접점단자 사이)는 어느 정도 보호하고 있지만 제2접점부(50)는 보호덮개에 의해 보호되지 않고 노출되어 있어 제2접점부(50)의 가동 도전판(51)과 한 쌍의 고정접점단자(52)(53) 사이에 기름이나 먼지 등의 이물질이 투입되어 돌출접점부 표면에 부착되어서 제2접점부의 접점 온(ON)시 이물질로 인해 발생되는 스파크로 생기는 탄소피막이 절연체로 작용하여 커지는 접점저항에 의해 고정접점단자(52)(53)가 서로 붙더라도 고정접점단자(52)(53) 간(間)에 통전불능이 발생하게 되는데, 정위상태에서 반위상태로 또는 반위상태에서 정위상태로 선로전환시 텅레일이 기본레일에 밀착되면서 운전 조작실에 온(ON) 신호가 송신되어야 하지만 이물질에 의한 통전불능에 의해 오프(OFF) 신호가 송신됨에 따라 운전 조작실에서는 선로전환이 이루어지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여 열차의 진입을 지연시켜 결국 열차의 진로변경을 신속히 할 수 없게 된다. 또한, 구동부만을 덮고 있는 보호덮개는 불투명하기 때문에 유지보수 점검을 위해 회전개폐식으로 열어서 구동부의 구동상태를 볼 수 있도록 구성됨에 따라 유지보수시 먼지 등의 이물질이 유입될 수 있다.
(2) 둘째, 선로 전환기의 피스톤 로드에 의해 이동되는 구동축이 원활하게 이동하여 접점단자의 접점 온(ON)이 잘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구동축의 일측과 타측의 외주연에 설치된 부싱에 오일주입구(70)를 통해 윤활유를 정기적으로 주입 하여 유지보수를 하고 있기 때문에 유지보수의 불편함과 어려움이 있다.
(3) 세째, 상술한 바의 밀착감지장치의 제2접점부의 한 쌍의 고정접점단자(52)(53)는 가동 도전판(51)을 통해 간접적으로 서로 붙어 접점이 온되는 간접통전 방식이므로 한 쌍의 고정접점단자의 접점 중 어느 하나의 접점이라도 제대로 가동 도전판에 접촉되지 못하면 간접통전이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한 쌍의 고정접점단자의 접점은 온되지 못하게 되고, 또한 상기 (2)번의 문제점처럼 유지보수의 불편함과 어려움으로 인해 부싱에 윤활유 주입을 제때에 하지 못하거나 오일이 부족한 경우 마찰저항으로 인해 구동축이 원활하게 이동되지 못하여 가동파이프의 가동 도전판이 제대로 전진하지 못하면 한 쌍의 고정접점단자의 접점은 온되지 못하게 된다.
(4) 넷째, 상기 제1,2접점부의 돌출접점이 터널 등 습한 환경에 부적합한 은(Ag) 재질로 되어 있기 때문에 기름이나 먼지로 인해 커진 접점저항으로 접촉불량이 발생하여 이로 인한 전류감소로 정위 계전기 또는 반위 계전기를 온(ON)시키지 못해 운전 조작실에서 기본레일에 텅레일의 밀착을 인지하지 못하게 된다.
상술한 밀차감지장치의 모든 문제점은 접점단자의 접점 온(ON)을 불확실하게 하는 요소들에 대한 것이다.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정위상태 또는 반위상태로의 선로전환 여부를 정확하게 운전 조작실에서 인지하도록 제1,2접점부의 접점 온이 확실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한 철도레일의 텅레일 밀착감지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일측단에 선로 전환기의 피스톤 로드가 설치되고, 타측단에 회전레버가 설치되며, 코일스프링이 외주연에 설치된 구동축과; 상기 코일스프링의 외주연(外周緣)에 설치되어 코일스프링의 압축에 의해 전진되고, 원상복귀에 의해 후진되는 가동파이프; 및 상기 가동파이프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어 선로전환시 상기 피스톤 로드가 구동축을 직선 왕복이동시킴에 따라, 코일스프링이 압축되거나 또는 원상복귀되면서 동시에 일측 회전되거나 또는 타측 회전되는 상기 회전레버에 의해 온되거나 또는 오프되는 돌출접점을 가진 제1접점부와 코일스프링이 압축되거나 또는 원상복귀되면서 상기 가동파이프가 전진되거나 또는 후진되어 오프되거나 또는 온되는 제2접점부로 이루어진 선로전환신호 발신부를 포함하는 철도레일의 텅레일 밀착감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2접점부를 한 쌍의 돌출접점을 각각 가진 한 쌍의 고정접점단자와 이 한 쌍의 고정접점단자에 대향설치된 한 쌍의 돌출접점을 각각 가진 한 쌍의 가동접점단자로 구성하고, 상기 가동파이프의 전진 또는 후진에 의해 상기 한 쌍의 가동접점단자를 한 쌍의 고정접점단자에 탈착시켜 접점을 오프 또는 온시키는 가동레버를 상기 가동파이프에 설치하고, 상기 구동축의 외주면에 크롬도금을 하고, 구동축의 일측과 타측의 외주면에 무급유 드라이 부쉬(DU bush)를 설치하고, 상기 가동파이프, 제1접점부, 및 제2접점부를 포위하여 덮으며, 상부 표면에 복수의 전기케이블 안착홈을 설치한 투명 보호덮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레일의 텅레일 밀착감지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한 본 발명의 철도레일의 텅레일 밀착감지장치는 제1접점부와 제2접점부의 돌출접점을 백금, 금, 및 은의 합금 재질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접점부를 종래와 같은 간접통전 방식이 아닌 고정접점단자와 가동접점단자의 직접통전 방식으로 구성하는 한편, 고정접점단자와 가동접점단자의 돌출접점을 전류저항이 적고 터널 등 습한 환경에 강한 백금, 금, 및 은의 합금 재질로 구성하여 접점단자의 통전을 원활하게 하고, 투명 보호덮개를 가동파이프, 제1접점부, 및 제2접점부를 포위하여 씌워 고정접점단자와 가동접점단자 사이에 외부의 이물질이 끼지않게 하고, 구동축에 크롬도금을 하고 이 구동축의 일측과 타측의 외주면에 무급유 드라이 부쉬(DU bush)를 설치하여 불편하게 윤활유를 구동축에 주입하지 않아도 구동축이 원활하게 직선 왕복이동을 하게 함으로써 선로전환에 따른 제1,2접점부의 접점 온(ON) 신호에 의해 선로전환 여부를 신속히 인지할 수 있어 열차의 진입이 신속히 이루어져 열차의 지연으로 인한 승객의 불편을 최소화 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기술구성과 작용효과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기술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밀착감지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밀착감지장치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밀착감지장치의 구동부 평단면도이다.
이하 서술하는 텅레일 밀착감지장치중에서 본 발명이 청구하는 특징적인 구성요소를 제외한 구성요소는 종래와 동일기능을 가지고 있으므로 종래와 동일부호를 사용하여 표기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텅레일 밀착감지장치는 운전 조작실에서 선로전환신호가 선로 전환기에 입력되어 선로 전환기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부와, 이 구동부의 구동에 의해 기본레일에 텅레일이 밀착되어 선로전환이 이루어지면 운전 조작실에 선로전환신호를 발신하는 선로전환신호 발신부로 구성된다.
상기 구동부는 선로 전환기의 피스톤 로드(11)에 일측단이 설치되고, 타측단에는 회전레버(12)가 설치되며, 외주연(外周緣)에는 코일스프링(13)이 설치되는 구동축(10)과, 상기 코일스프링의 외주연에 설치되어 코일스프링의 압축에 의해 전진되고, 원상복귀에 의해 후진되는 가동파이프(2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선로전환신호 발신부는 가동파이프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어 선로전환시 피스톤 로드가 구동축을 직선 왕복이동시킴에 따라 온 또는 오프되는 제1,2접점부로 구성된다.
상기 제1접점부(200)는 선로전환시 피스톤 로드(11)가 구동축(10)을 직선 왕 복이동시킴에 따라 코일스프링(13)이 압축되거나 또는 원상복귀되면서 동시에 일측 회전되거나 또는 타측 회전되는 회전레버(12)에 의해 온되거나 또는 오프되는 돌출접점을 가진 고정접점단자(210)와 가동접점단자(220)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제2접점부(100)는 선로전환시 피스톤 로드가 구동축을 직선 왕복이동시킴에 따라 코일스프링이 압축되거나 또는 원상복귀되면서 상기 가동파이프가 전진되거나 또는 후진되어 오프되거나 또는 온되는 돌출접점을 가진 고정접점단자(110)와 가동접점단자(120)를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구성에 있어서, 본 발명은 제2접점부(100)를 종래와 달리 한 쌍의 돌출접점(111)을 각각 가진 한 쌍의 고정접점단자(110)와 이 한 쌍의 고정접점단자에 대향설치된 한 쌍의 돌출접점(121)을 각각 가진 한 쌍의 가동접점단자(120)로 구성하고, 상기 가동파이프의 전진 또는 후진에 의해 상기 한 쌍의 가동접점단자(120)를 한 쌍의 고정접점단자(110)에 탈착시켜 접점을 오프 또는 온시키는 가동레버(300)를 상기 가동파이프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종래의 간접통전 방식과는 달리 직접통전 방식이면서 고정접점단자와 가동접점단자에 돌출접점을 한쌍으로 구성함으로써 결국은 한 쌍의 고정접점단자와 가동접점단자는 각각 접점 스위치를 4개씩 구비하고 있는 꼴이 되어 직선 왕복이동하는 구동축의 작동이 원활하지 못하더라도 4개의 접점 스위치중에서 어느 하나의 접점 스위치만 온(ON)되면 통전되므로 접점단자의 통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한편, 고정접점단자(110)는 상술한 바처럼 한 쌍의 돌출접점(111)을 가지는데, 고정접점단자(110)가 반으로 절개되어 절개선(112)에 의해 나뉘어진 각각의 절 개부에 돌출접점을 각각 1개씩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구성하면 가동레버(300)에 의해 전진가동되는 가동접점단자(120)의 돌출접점(121)이 고정접점단자(110)의 돌출접점(111)에 접촉할때 구동축의 직선 왕복이동 작동이 원활하지 못하여 가동파이프의 가동레버가 편심이동함으로써 가동접점단자(120)가 편심이동하더라도 고정접점단자의 절개부 각각이 가동접점단자에 별도로 대응이 가능하여 통전불능이 발생되지 않게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투명 보호덮개(400)를 가동파이프(20), 제1접점부(200), 및 제2접점부(100)를 포위하여 덮어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투명 보호덮개의 상부 표면에에는 복수의 전기케이블 안착홈(410)을 설치한다. 이에 따라 제1접점부와 제2접점부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제1접점부와 제2접점부의 고정접점단자와 가동접점단자 사이에 외부의 이물질이 끼지않게 됨으로써 접점단자의 통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보호덮개가 투명하여 내부의 구성부품이 잘 보이기 때문에 구동부의 유지보수시 구동상태를 명확히 볼 수 있어 보호덮개를 종래처럼 회전 개폐식으로 열고 닫게 구성할 필요가 없어 구성부품의 이물질로부터의 보호가 확실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은 제1접점부(200)의 돌출접점(221)과 제2접점부(100)의 돌출접점(111)(121)을 백금, 금, 및 은의 합금 재질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접점단자를 온시키는 돌출접점을 터널 등 습한 환경에 강하며 전류저항이 적은 백금, 금, 및 은의 합금 재질로 구성함으로써 접점단자의 통전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은 구동축의 외주면에 크롬도금을 하고, 구동축의 일측과 타측의 외주면에 무급유 드라이 부쉬(DU bush)(500)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종래 오일주입구를 통해 부싱에 유지보수를 위해 불편하게 주기적으로 윤활유를 구동축에 주입하지 않아도 구동축이 원활하게 직선 왕복이동을 하게 됨으로써 구동축의 기구적인 작동문제로 인한 접점단자의 통전불능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한 본 발명의 밀착감지장치는 도 3에 도시한 바처럼 선로를 정위상태 또는 반위상태로 전환시, 피스톤 로드(11)가 구동축(10)을 직선 왕복이동시킴에 따라 코일스프링(13)이 압축되거나 또는 원상복귀되면서 가동파이프(20)가 전진되거나 또는 후진됨과 아울러 동시에 회전레버(12)가 일측 회전되거나 또는 타측 회전되는데, 상기 회전레버(12)의 일측 회전에 의해 제1접점부(200)의 가동접점단자(220)가 고정접점단자(210)에 붙어서 제1접점부(200)가 온(ON)되고, 상기 가동파이프(20)의 전진에 의해 가동레버(300)가 가동접점단자(120)가 고정접점단자(110) 에서 떨어져서 제2접점부(100)가 오프(OFF)되고, 상기 회전레버(12)의 타측 회전에 의해 제1접점부(200)의 가동접점단자(220)가 고정접점단자(210)에 떨어져서 제1접점부(200)가 오프(OFF)되고, 상기 가동파이프(20)의 후진에 의해 가동레버(300)가 가동접점단자(120)를 전진시키면 가동접점단자(120)가 고정접점단자(110)에 붙어서 제2접점부(100)가 오프(OFF)된다.
이와 같이 정위상태 또는 반위상태로 선로전환시 텅레일이 기본레일에 밀착 되면서 밀착감지장치의 제1접점부 또는 제2접점부의 접점이 온(ON) 또는 오프(OFF) 되는데, 본 발명은 제1접점부와 특히 제2접점부의 접점이 확실하게 붙어 온(ON)되도록 하는 확실한 통전 기술구성을 채택하여 종래의 통전불능에 의한 선로전환 여부의 불확실한 인지의 문제점을 해결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밀착감지장치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밀착감지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밀착감지장치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밀착감지장치의 구동부 평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제2접점부 110 : 고정접점단자
111 : 돌출접점 112 : 절개선
120 : 가동접점단자 121 : 돌출접점
200 : 제1접점부 210 : 고정접점단자
220 : 가동접점단자 221 : 돌출접점
300 : 가동레버 400 : 투명 보호덮개
500 : 무급유 드라이 부쉬(DU bush)

Claims (2)

  1. 일측단에 선로 전환기의 피스톤 로드가 설치되고, 타측단에 회전레버가 설치되며, 코일스프링이 외주연(外周緣)에 설치된 구동축과; 상기 코일스프링의 외주연에 설치되어 코일스프링의 압축에 의해 전진되고, 원상복귀에 의해 후진되는 가동파이프; 및 상기 가동파이프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어 선로전환시 상기 피스톤 로드가 구동축을 직선 왕복이동시킴에 따라, 코일스프링이 압축되거나 또는 원상복귀되면서 동시에 일측 회전되거나 또는 타측 회전되는 상기 회전레버에 의해 온되거나 또는 오프되는 돌출접점을 가진 제1접점부와 코일스프링이 압축되거나 또는 원상복귀되면서 상기 가동파이프가 전진되거나 또는 후진되어 오프되거나 또는 온되는 제2접점부로 이루어진 선로전환신호 발신부를 포함하는 철도레일의 텅레일 밀착감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2접점부를 한 쌍의 돌출접점을 각각 가진 한 쌍의 고정접점단자와 이 한 쌍의 고정접점단자에 대향설치된 한 쌍의 돌출접점을 각각 가진 한 쌍의 가동접점단자로 구성하고, 상기 가동파이프의 전진 또는 후진에 의해 상기 한 쌍의 가동접점단자를 한 쌍의 고정접점단자에 탈착시켜 접점을 오프 또는 온시키는 가동레버를 상기 가동파이프에 설치하고, 상기 구동축의 외주면에 크롬도금을 하고, 구동축의 일측과 타측의 외주면에 무급유 드라이 부쉬(DU bush)를 설치하고, 상기 가동파이프, 제1접점부, 및 제2접점부를 포위하여 덮으며 상부 표면에 복수의 전기케이블 안착홈을 설치한 투명 보호덮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레일의 텅 레일 밀착감지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접점부와 제2접점부의 돌출접점을 백금, 금, 및 은의 합금 재질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레일의 텅레일 밀착감지장치.
KR1020090064190A 2009-07-14 2009-07-14 철도레일의 텅레일 밀착감지장치 KR1009484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4190A KR100948409B1 (ko) 2009-07-14 2009-07-14 철도레일의 텅레일 밀착감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4190A KR100948409B1 (ko) 2009-07-14 2009-07-14 철도레일의 텅레일 밀착감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48409B1 true KR100948409B1 (ko) 2010-03-19

Family

ID=421835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4190A KR100948409B1 (ko) 2009-07-14 2009-07-14 철도레일의 텅레일 밀착감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840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7301B1 (ko) * 2010-09-06 2011-01-13 (주)이시스이엔지 선로전환장치용 턴버클
KR101852777B1 (ko) 2017-09-28 2018-04-27 주식회사 세화 선로전환기용 밀착검지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34974A (ja) 1982-08-19 1984-02-25 財団法人 鉄道総合技術研究所 転てつ器回路制御器
JPH08268281A (ja) * 1995-03-30 1996-10-15 Railway Technical Res Inst 複数の転てつ機の転換制御方法とその装置
JPH09142303A (ja) * 1995-11-21 1997-06-03 Kyosan Electric Mfg Co Ltd 転てつ機のトルク測定装置
KR20090019341A (ko) * 2007-08-20 2009-02-25 주식회사 삼삼 텅레일 접촉식 밀착 검지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34974A (ja) 1982-08-19 1984-02-25 財団法人 鉄道総合技術研究所 転てつ器回路制御器
JPH08268281A (ja) * 1995-03-30 1996-10-15 Railway Technical Res Inst 複数の転てつ機の転換制御方法とその装置
JPH09142303A (ja) * 1995-11-21 1997-06-03 Kyosan Electric Mfg Co Ltd 転てつ機のトルク測定装置
KR20090019341A (ko) * 2007-08-20 2009-02-25 주식회사 삼삼 텅레일 접촉식 밀착 검지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7301B1 (ko) * 2010-09-06 2011-01-13 (주)이시스이엔지 선로전환장치용 턴버클
KR101852777B1 (ko) 2017-09-28 2018-04-27 주식회사 세화 선로전환기용 밀착검지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430977B (zh) 滑动触点开关
KR100948409B1 (ko) 철도레일의 텅레일 밀착감지장치
ATE400776T1 (de) Bedienvorrichtung für ein elektrogerät
JP2006528117A (ja) ロープブレーキ
ES2180182T3 (es) Embrague.
CN110192260B (zh) 真空开关装置及其异常监视方法
RU2406634C2 (ru) Система для несмазываемого стрелочного узла
CN106169401B (zh) 一种新型小型断路器电动操作机构
JP4591871B2 (ja) 高圧開閉器
CN111452833A (zh) 一种道岔密贴检查杆装置及道岔密贴检查器
RU121216U1 (ru) Электропривод стрелочный типа сп на базе бесконтактного автопереключателя
PT1190428E (pt) Mecanismo de operacao para um dispositivo de refechamento automatico com um seccionador em serie
RU164932U1 (ru) Электропривод стрелочный на базе сп-10 для метрополитена
EP3380386B1 (en) Point machine and electrical switch with snap-action and method of operating said point machine
CN212289868U (zh) 一种道岔密贴检查杆装置及道岔密贴检查器
CN210981293U (zh) 一种用于监测真空断路器的监测装置和真空断路器
KR100933517B1 (ko) 선로전환기의 접촉식 검지기
CN202384267U (zh) 可动触头系统和电气开关设备
JP6111759B2 (ja) 交流電気鉄道の中セクション電源切替システム
US1224365A (en) Combined support and circuit-breaker for conductors.
RU2459302C1 (ru) Выключатель
RU55717U1 (ru) Трансмиттер кодовый
RU72912U1 (ru) Групповой переключатель
GB190913142A (en) Improvements relating to Electric Rheostats, Motor-starters and the like.
DE50001651D1 (de) Einrichtung zur feststellung der verriegelungslage oder der verschiebeendlage eines zylinderkolbenaggregates eines weichenantrieb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6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