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8240B1 - 에프알피로 구성된 여과 집진기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에프알피로 구성된 여과 집진기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8240B1
KR100948240B1 KR1020090103329A KR20090103329A KR100948240B1 KR 100948240 B1 KR100948240 B1 KR 100948240B1 KR 1020090103329 A KR1020090103329 A KR 1020090103329A KR 20090103329 A KR20090103329 A KR 20090103329A KR 100948240 B1 KR100948240 B1 KR 1009482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mold
case
alp
dust coll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33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수원
Original Assignee
황수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수원 filed Critical 황수원
Priority to KR10200901033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824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82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82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0/00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C70/04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comprising reinforcements only, e.g. self-reinforcing plastics
    • B29C70/28Shaping operations therefor
    • B29C70/30Shaping by lay-up, i.e. applying fibres, tape or broadsheet on a mould, former or core; Shaping by spray-up, i.e. spraying of fibres on a mould, former or co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0/00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C70/04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comprising reinforcements only, e.g. self-reinforcing plastics
    • B29C70/06Fibrous reinforcements on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0/00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C70/04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comprising reinforcements only, e.g. self-reinforcing plastics
    • B29C70/28Shaping operations therefor
    • B29C70/54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e.g. feeding or storage of prepregs or SMC after impregnation or during age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 Y02A50/2351Atmospheric particulate matter [PM], e.g. carbon smoke microparticles, smog, aerosol particles, dust

Abstract

본 발명은 에프알피로 구성된 여과 집진기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몰드 준비 공정(S1); 이형제 도포 공정(S2); 상기 각 몰드 전면 및 내부로 일정 두께의 에프알피를 형성하는 에프알피 형성 공정(S3); 탈형 및 정리 공정(S4); 홀 형성 공정(S5); 케이스 이음공정(S6); 앵글 이음 공정(S7); 조립 공정(S8)의 각 공정을 순차로 거치면서 에프알피로 구성된 몰드를 구성하고, 이 몰드를 통해 에프알피로 측면판, 내부판, 상부판, 상부커버, 가스유입관, 가스유출관, 탈진관을 각각 에프알피로 성형·구성하며, 이들 각 판을 에프알피로 이음한 본체케이스 및 상부케이스를 형성해, 그 양단에플랜지를 일체로 형성하고, 각 플랜지를 맞대어 볼트·너트로 고정한 일정크기의 여과 집진시설을 제조함으로써, 에프알피로 구성되어 내부식성과 내열성이 탁월하고 장기간 사용 가능하여 우수한 내구성 및 높은 운전효율을 가지는 여과 집진기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여과 집진기, 스테인리스스틸, 에프알피, 가스, 부식

Description

에프알피로 구성된 여과 집진기의 제조 방법 { the manufacturing method of dust collector using FRP }
본 발명은 에프알피로 구성된 여과 집진기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에프알피로 구성된 몰드를 구성하고, 이 몰드를 통해 에프알피로 측면판, 내부판, 상부판, 상부커버, 가스유입관, 가스유출관, 탈진관을 각각 에프알피로 성형·구성하며, 이들 각 판을 에프알피로 이음한 본체케이스 및 상부케이스를 형성해, 그 양단에플랜지를 일체로 형성하고, 각 플랜지를 맞대어 볼트·너트로 고정한 일정크기의 여과 집진시설을 제조함으로써, 에프알피로 구성되어 내부식성과 내열성이 탁월하고 장기간 사용 가능하여 우수한 내구성 및 높은 운전효율을 가지는 여과 집진기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여과 집진기는 먼지 같은 입자가 포함된 기체를 각종 여과재를 통과시키면서 입자를 분리하는 장치로서, 대기오염의 원인이 되는 대기 중의 각종 입자상물질이나 공장 등에서 배출되는 배출가스에 포함된 유해입자를 걸러내거나 배출을 방지하여 대기오염을 방지하는 장치이며, 이는 보통 부직포나 유리섬유·면섬유와 같은 두꺼운 층의 여과재를 자루 모양이나 평판형으로 만든 여과포(濾過布), 즉 백필터(bag filter)의 섬유층 속에 먼지를 모으는 내부 여과방식이 공장 등과 같이 대량의 배출가스를 배출하는 장소에 적합하게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여과 집진기는 통상 스테인리스스틸의 케이스 내로 백필터를 구비한 형태를 가져, 유입관을 통해 이 스테인리스스틸 케이스 내로 유입되는 가스가 백필터를 통과하면서 여과되고, 분진이 여과되어 정화된 공기는 유출관을 통해 배출되도록 하는데, 보통 공장 등에서 발생하는 가스 및 이 가스에 포함된 분진에는 다량의 탄소성분과 아황산가스가 포함되고, 최대 유입온도가 180℃ ∼ 190℃에 다다르기 때문에, 이 분진을 포함한 가스가 스테인리스스틸 케이스 내에 지속적으로 유입되면서 스테인리스스틸 케이스에 부식현상이 발생하고, 스테인리스스틸의 틈으로 외부의 찬 공기가 미세하게 유입되어 온도 차에 의한 결로수 및 아황산과 산소의 결합에 의한 황산화물이 발생해 부식현상을 더욱 가속화시킴으로써, 스테인리스스틸 재질의 케이스는 약 1년에서 3년 사이의 짧은 수명을 가질 수밖에 없으며, 이로 인해 부식으로 인한 고가의 여과 집진기를 일정기간마다 교체해야하는 문제점과, 스테인리스스틸 케이스 부식에 의한 외부 공기 유입으로 여과 집진기의 전체 운전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케이스와 가스유입관 및 가스유출관을 에프알피(FRP: Fiber Glass Reinfored Plastics)로 각각 개별로 제조하여 이들을 조립한 여과 집진기를 제조함으로써, 내부식성과 내열성이 탁월하고 강한 내구성을 가져, 높은 운전효율을 유지하면서 장기간 지속적으로 운용 가능하며, 제작을 용이하게 하는 에프알피로 구성된 여과 집진기의 제조 방법을 구성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본체케이스와 상부케이스로 구성되는 여과 집진기의 각 측면 크기에 따른 평판 형태의 에프알피로 형성판 판몰드 및 가스유입관과 가스유출관과 탈진관 형태의 관몰드를 구비하는 몰드 준비 공정(S1); 각 몰드 내부로 이형제를 도포하는 이형제 도포 공정(S2); 상기 각 몰드 전면 및 내부로 일정 두께의 에프알피를 형성하는 에프알피 형성 공정(S3); 이를 탈형하여 측면판, 내부판, 상부판, 상부커버, 가스유입관, 가스유출관 및 탈진관을 각각 구성하는 탈형 및 정리 공정(S4); 측면판 및 상부판에 홀을 형성하는 홀 형성 공정(S5); 각 측면판과 내부판을 잇는 동시에 홀에 가스유입관 및 가스유출관을 이어 본체케이스로 구성하고, 상부판을 잇는 동시에 홀에 탈진관을 잇는 상부케이스를 구성하는 케이스 이음공정(S6); 본체케이스와 상부케이스의 상·하단 및 상부커 버 외주면을 따라 앵글을 구비하여 그 사이를 에프알피의 형성을 통해 일체로 형성하는 앵글 이음 공정(S7); 본체케이스와 상부케이스를 이으며 상부커버를 덮되, 각 맞댄 앵글을 볼트·너트의 결합으로 고정하여 조립하여 여과 집진기를 형성하는 조립 공정(S8)의 각 공정을 순차로 거치면서 여과 집진기를 제조한다.
이를 통해, 에프알피로 구성된 여과 집진기는 내부식성, 내열성이 탁월하고 높은 내구성을 가져, 내부로 유입되는 가스의 탄소성분과 아황산가스 및 고열에도 충분히 견뎌 장시간 지속적으로 사용하면서 높은 운전효율을 가지고, 틈새가 발생하지 않아 외부공기의 유입이 없으며, 각각의 판을 별도로 제작해 볼트·너트 결합방법으로 조립하는 높은 조립성 및 시공성을 가져 제작을 용이하게 하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에프알피로 구성된 여과 집진기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에프알피로 구성된 몰드를 구성하고, 이 몰드를 통해 에프알피로 측면판, 내부판, 상부판, 상부커버, 가스유입관, 가스유출관, 탈진관을 각각 에프알피로 성형·구성하며, 이들 각 판을 에프알피로 이음한 본체케이스 및 상부케이스를 형성해, 그 양단에플랜지를 일체로 형성하고, 각 플랜지를 맞대어 볼트·너트로 고정한 일정크기의 여과 집진시설을 제조함으로써, 에프알피로 구성되어 내부식 성과 내열성이 탁월하고 장기간 사용 가능하여 우수한 내구성 및 높은 운전효율을 가지는 여과 집진기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대해 대략 설명하면, 본체케이스와 상부케이스로 구성되는 여과 집진기의 각 측면 크기에 따른 평판 형태의 에프알피로 형성판 판몰드 및 가스유입관과 가스유출관과 탈진관 형태의 관몰드를 구비하는 몰드 준비 공정(S1); 각 몰드 내부로 이형제를 도포하는 이형제 도포 공정(S2); 상기 각 몰드 전면 및 내부로 일정 두께의 에프알피를 형성하는 에프알피 형성 공정(S3); 이를 탈형하여 측면판, 내부판, 상부판, 상부커버, 가스유입관, 가스유출관 및 탈진관을 각각 구성하는 탈형 및 정리 공정(S4); 측면판 및 상부판에 홀을 형성하는 홀 형성 공정(S5); 각 측면판과 내부판을 잇는 동시에 홀에 가스유입관 및 가스유출관을 이어 본체케이스로 구성하고, 상부판을 잇는 동시에 홀에 탈진관을 이어 상부케이스를 구성하는 케이스 이음공정(S6); 본체케이스와 상부케이스의 상·하단 및 상부커버 외주면을 따라 앵글을 구비하여 그 사이를 에프알피의 형성을 통해 일체로 형성하는 앵글 이음 공정(S7); 본체케이스와 상부케이스를 이으며 상부커버를 덮되, 각 맞댄 앵글을 볼트·너트의 결합으로 고정하여 조립하여 여과 집진기를 형성하는 조립 공정(S8)의 각 공정을 순차로 거치면서 여과 집진기를 제조함으로써, 이 여과 집진기는 내부식성, 내열성이 탁월하고 높은 내구성을 가져, 내부로 유입되는 가스의 탄소성분과 아황산가스 및 고열에도 충분히 견뎌 장시간 지속적으로 사용하면서 높은 운전효율을 가지고, 틈새가 발생하지 않아 외부공기의 유입이 없으며, 각각의 판을 별도로 제 작해 볼트·너트 결합방법으로 조립하는 높은 조립성 및 시공성을 가져 제작을 용이하게 한다.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가지는 본 발명인 에프알피로 구성된 여과 집진기의 제조 방법을 각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인 에프알피로 구성된 여과 집진기(1)는 도3 내지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크게, 하부로 가스를 유입하는 가스유입관(40)이 연결되고 상부로 가스를 배출하는 가스배출관(50)이 연결되는 내부가 다수 칸으로 구획된 육면체 형태의 본체케이스(10)와, 상기 본체케이스(10) 상부로 연결되면서 내부로 탈진관(60)이 구비되는 상부케이스(20) 및 상부케이스(20) 상면을 덮어 마감하는 상부커버(30)로 구성되어, 가스유입관(40)을 통해 본체케이스(10) 내로 유입된 가스가 본체케이스(10) 내의 백필터(미도시)를 통과하면서 분진을 제거해 정화되면 가스유출관(5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고, 탈진관(60)에서 본체케이스(10) 내부로 고압으로 공급되는 공기가 백필터 표면에 부착된 분진을 털어 제거하는 통상의 기능을 가지며, 이러한 여과 집진기(1)에 있어서, 본 발명인 에프알피로 구성된 여과 집진기의 제조 방법은 본체케이스(10)와 상부케이스(20)와 상부커버(30)와 가스유입관(40)과 가스유출관(50) 및 탈진관(60)을 모두 에프알피로 제조하는 것을 핵심내용으로 한다.
이러한 에프알피로 구성된 여과 집진기의 제조 방법은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몰드 준비 공정(S1); 이형제 도포 공정(S2); 에프알피 형성 공정(S3); 탈형 및 정리 공정(S5); 홀 형성 공정(S5); 케이스 이음 공정(S6); 앵글 이음 공정(S7); 조립 공정(S8)의 각 공정을 순차로 거치면서 제조되는데, 이들 각 공정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우선, 몰드 준비 공정(S1)은, 에프알피를 형성하기 위한 몰드를 준비하는 공정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여과 집진기(1)의 본체케이스(10)와 상부케이스(20)와 상부커버(30)와 가스유입관(40)과 가스유출관(50) 및 탈진관(60)을 제조하기 위한 몰드는 본체케이스(10)와 상부케이스(20)와 상부커버(30)의 각 측면을 판 형태로 각각 제조하는 판몰드(100)와, 가스유입관(40)과 가스유출관(50) 및 탈진관(60)을 관 형태로 각각 제조하는 관몰드(200)로 구성된다.
첫 번째, 판몰드(100)는,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에프알피로 형성한 사각 판 형태의 몰드로서, 본체케이스(10)와 상부케이스(20)는 전체적으로 사각 판이 연결된 육면체 형태로 구성되고, 상부커버(30)는 상부케이스(20) 상면을 덮는 판 형태로 구성되기 때문에, 이들 각 구성요소의 크기에 맞은 사각 판을 에프알피 몰드로 형성하여, 이러한 사각 판 형태의 판몰드(100) 전면으로 유리섬유에 열경화 수지를 함침하면서 경화시켜 판몰드(110)와 동일한 크기와 형태의 에프알피로 구성된 사각판을 형성함으로써, 크기에 따라 본체케이스(10) 외측면을 구성하는 측면판(11)과 내부를 구획하는 내부판(14), 상부케이스(20)의 외측면을 구성하는 상부판(21), 본체케이스(10)의 구획된 부분을 각각 덮는 판 형태의 상부커버(30)를 각각 제조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경우에 따라 판몰드(100)의 전면으로는 일정깊이로 홈이 파인 보강살홈(110)을 일정간격으로 형성할 수도 있는데, 이를 통해, 판몰드(100) 전면에서 에프알피로 형성되는 측면판(11)과 상부판(21)의 외측면으로 보강살(12)(22)이 일체로 돌출되도록 형성할 수 있어, 외측으로 구성되는 측면판(11)과 상부판(21)의 내구성 및 강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두 번째, 관몰드(200)는 도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에프알피를 사각판으로 형성한 평판(210)과 이 평판(210)의 길이를 원주(원둘레)로 가지는 링(220)이 구비되어, 상기 평판(210)을 둥글게 말고, 그 양단을 상기 링(220)을 끼워 고정한 상태를 구성하여 원형 파이프 형태의 관몰드(200)를 구성하는데, 이 관몰드(200)의 둘레(내경 또는 외경)에 따라 다수개소에 링(220)을 끼워 고정하며, 다양한 관경 및 길이로 형성해, 각 관몰드(200)와 동일한 크기와 형태의 가스유입관(40)과 가스유출관(50) 및 탈진관(60)을 제조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판몰드(100)와 관몰드(200)의 평판(210)은 에프알피로 구성하는 것으로, 이는 적어도 2㎜ 내지 5㎜의 두께로 구성하여, 탄성적인 구부러짐이 가능하되, 구부려져도 부러지지 않는 최소한의 강도를 가지도록 한다
이렇게 몰드 준비 공정(S1)에서 다수개의 규격에 맞는 판몰드(100)와 관몰드(200)를 각각 형성하면, 다음의 이형제 도포 공정(S2)이 이어지는데, 이는 상기 각 몰드의 내부를 깨끗하게 정리하고 그 내부에 왁스와 같은 에프알피용 이형제를 도포하는 공정으로서, 자세하게는 몰드 준비 공정(S1)에서 준비한 각 판몰드(100)의 전면 및 관몰드(200)의 내부를 각각 깨끗하게 정리한 뒤, 이에 이형제를 도포하고, 일정 시간 후에 닦아내는 공정이며, 다음으로, 에프알피 형성 공정(S3)은, 상기 이형제가 도포된 각 판몰드(100)와 관몰드(200)의 전면 및 내부로 유리섬유에 열경화 수지를 함침하면서 약 10㎜ 내지 20㎜의 일정한 두께로 형성하고, 이들을 경화시켜 각 몰드 형태를 가지는 일정한 두께의 에프알피를 형성하며, 이러한 에프알피의 형성은 뒤에 더욱 상세하게 설명되어 있다.
다음으로, 탈형 및 정리 공정(S4)은, 상기 형성된 에프알피를 각 몰드에서 제거하고, 각 가장자리 부분에 튀어나오거나 지저분한 것을 샌드 페이퍼나 그라인더로 제거하여 깔끔하게 정리(트리밍, trimming)하는 것으로, 판몰드(100)에서 본체케이스(10)의 외측면 형태의 측면판(11)과 그 내부를 구획하는 내부판(14) 및 상부케이스(20)의 외측면 형태의 상부판(21)과 그 상부를 덮는 상부커버(30)를 형성하고, 각 관몰드(200)에서 파이프형태의 가스유입관(40)과 가스유출관(50)과 탈진관(60)을 구성하는데, 상기 각 몰드에서의 탈형은 이형제의 도포로 용이하게 일어나지만, 판몰드(100) 또는 링(220)을 제거한 관몰드(200)의 평판(210)을 약간씩 비틀면서 몰드를 제거하면 그 탈형이 더욱 용이하다.
이어지는, 홀 형성 공정(S5)은 상기 측면판(11)의 상부와 하부 일측 및 상부판(21) 일측을 뚫거나 제거하는 공정으로서, 측면판(11)의 하부로 가스유입관(40)을 삽입·연결하고 상부로 가스유출관(50)을 삽입·연결하며, 상부판(21)을 관통하는 탈진관(60)을 삽입·연결할 수 있도록 천공하여, 연결된 가스유입관(40)을 통해 가스가 측면판(210)으로 구성되는 본체케이스(10) 내부로 유입되어 통과해 가스유출관(50)으로 배출되며, 상부케이스(20)의 탈진관(60)에서 본체케이스(10) 측으로 고압의 공기를 불어넣을 수 있도록 구성하기 위한 공정이다.
다음으로, 케이스 이음 공정(S6)은, 각 측면판(11)과 내부판(14)을 잇는 동시에 홀에 가스유입관(40) 및 가스유출관(50)을 이어 본체케이스(10)로 구성하고, 상부판(21)을 잇는 동시에 홀에 탈진관(60)을 이어 상부케이스(20)를 구성하는 공정으로서, 먼저, 본체케이스(10)를 구성하기 위해서는 도9 내지 도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측면을 구성하는 측면판(11)을 사각형태로 구비한 상태에서, 서로 이웃하여 접하는 면을 따라서는 오버랩하여 일체로 연결하는데, 상기 에프알피로 형성된 측면판(11)을 오버랩하는 공정은 상기 에프알피 형성 공정(S3)과 같이 유리섬유에 열경화성 수지를 함침하면서 적층, 경화하는 것이며, 이러한 오버랩 방법은 뒤에 더욱 상술되어 있다.
그리고 이렇게 본체케이스(10)의 외측면을 구성한 다음에는 그 내부로 내부 판(14)을 밀착·삽입하여 내부공간을 다수칸으로 구획하고, 이 내부판(14) 역시 측면판(11) 내면의 서로 접하는 면을 오버랩하여 일체로 연결해 내부가 다수 칸으로 구획된 본체케이스(10)를 구성한다.
이러한 본체케이스(10)의 상부 및 하부의 관통된 홀로는 가스유입관(40)과 가스유출관(50)을 연결하는데, 이 역시, 본체케이스(10)의 상부 및 하부에 구획된 칸마다 형성된 홀의 일치 선상으로 가스유입관(40) 및 가스유출관(50)을 구비한 다음, 각 홀에 대응하도록 관통된 가스유입관(40)과 가스유출관(50)의 측면을 오버랩하여 일체로 연결한다.
또한, 상부케이스(20)를 구성하기 위해서는 도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본체케이스(10)의 제조방법과 동일하게, 외측면을 구성하는 상부판(21)을 사각형태로 구비한 상태에서 서로 이웃하여 접하는 면을 따라 오버랩하여 일체로 연결하면서, 내부를 관통하는 홀 내부로 탈진관(60)을 관통시켜 오버랩하여 일체로 연결함으로써, 본체케이스(10) 상부에 연속하여 연결되는 형태의 상부케이스(20)를 구성한다.
그리고 도14 내지 도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스유입관(40)이나 가스유출관(50) 또는 탈진관(60)의 경우는 그 일단으로 외부의 관과 연결되는 플랜지(41)(51)(61)를 형성하는데, 이 역시 각 관(40)(50)(60)의 일단으로 플랜지(41)(51)(61)를 끼움해 서로 이웃하여 접하는 면을 따라서는 오버랩하여 일체로 연결해 외부의 연속하는 관과 플랜지 연결방식으로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하고, 도6 또는 도7 또는 도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케이스(20)의 일측으로는 돌출되는 탈진관(60)을 묶음하여 보호하는 관연결부(24)를 오버랩하여 더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게다가, 가스유입관(40)이나 가스유출관(50)은 일반적인 원형 파이프형태로 형성할뿐만 아니라, 여과 집진기(1)의 형태에 따라 도14 내지 도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일측이 개방된 형태로도 형성 가능한데, 이는 반원형태로 홈이 파인 반관몰드(200′)를 이용해 길이방향으로 잘린 반원관 형태의 에프알피를 형성하고, 그 상부 일측은 막아 플랜지(41)(51)를 이은 가스유입관(40) 또는 가스유출관(50)을 형성해 연결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앵글 이음 공정(S7)은, 상부커버(30)와 상기 케이스 이음 공정(S6)을 통해 제조된 본체케이스(10)와 상부케이스(20)의 양단으로 앵글(13)(23)(31)을 이어 서로 조립 가능하도록 하는 공정으로서, 도9 내지 도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케이스(10)와 상부케이스(20)의 상·하단부 및 상부커버(30)의 외주면을 따라 서로 겹쳐 조립하는 플랜지 역할을 하는 앵글(13)(23)(31)을 일체로 연결하는데, 본체케이스(10)와 상부케이스(20)의 상·하단부 및 상부커버(30)의 외주면을 따라서는 외측으로 돌출되는 일정너비의 앵글(13)(23)(31)을 접해 그 연결된 틈을 따라 오버랩으로 에프알피를 형성하여 이음한다.
이때, 도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케이스(20)의 상단부로 연결되는 앵글(23)은 본체케이스(10) 내부의 구획된 칸에 대응하여 격자형태로 형성함으로써, 각 구획된 칸마다 상부커버(30)를 얹어 마감할 수 있도록 한다.
마지막으로 조립 공정(S8)은, 상기 준비된 본체케이스(10)와 상부케이스(20) 및 상부커버(30)를 서로 조립하는 공정으로서,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상의 공정을 통해 형성된 본체케이스(10)의 상부로 상부케이스(20)를 얹어 본체케이스(10) 상단과 상부케이스(20) 하단의 서로 접하는 앵글(13)(23)을 볼트와 너트의 결합으로 연결·조립하고, 상부케이스(20) 상단의 구획된 앵글(23) 상부로 상부커버(30)를 얹어 역시 상부케이스(20) 상단과 상부커버(30)의 서로 접하는 앵글(23)(31)을 볼트와 너트의 결합으로 연결·조립함으로써, 본 발명인 여과 집진기(1)를 완성하게 된다.
이렇게 완성된 여과 집진기(1)는 도3 내지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케이스(10) 하단으로 형성된 앵글(13)에 의해 분진 집진부(2) 등에 용이하게 조립된 상태에서 철제 골조로 골조부(3)에 의해 지지되어 강풍 등과 같은 외부 환경에 쓰러지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수리나 외관 정비가 가능하도록 하며, 각 상부커버(30)의 상부면으로는 손잡이(32)를 연결해 취급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 바 람직하다.
상기 본 발명인 에프알피로 구성된 여과 집진기(1)의 제조 방법에 사용되는 핵심기술인 에프알피(FRP: Fiber Glass Reinfored Plastics)는, 보강재인 유리섬유에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또는 페놀 수지 등과 같은 열경화성 수지를 함침하면서 적층·경화한 복합재질을 말하는 것으로, 작업성이 좋고, 가볍고 질기며, 내식성이 우수한 특징이 있으며, 각 재료에 대한 상세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유리섬유는, 인장강도, 비인장강도가 대단히 크고, 탄성률과 충격에너지 흡수량이 크며, 내열성이 우수하고, 불연성이며, 화학적 내구성이 우수하고, 비흡수성이 특징이 있으며, 이 종류로는, 촙드 스트랜드 매트(chopped Straand Mat), 로빙 크로스(Rovin Cloth), 얀 크로스(Yarn Colth), 서페이스 매트 (Surface Mat)가 있는데 이들 중에 적정한 것으로 선택하여 사용하거나, 다른 종류의 것을 복합하여 사용하기도 한다.
또한,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Unsaturaed polyester resin, UPR)는, 불용불융의 열경화성 플라스틱으로, 이는 가격에 비해 요구 물성이 탁월하고, 가벼움에도 불구하고, 기계적 물성(강도), 전기절연성, 내식(내약품성), 내열, 내산, 내수성이 우수하며, 보강재의 응용이 다양한 특징이 있다.
이와 함께, 상기 에프알피 형성 공정(S3)의 에프알피 형성 과정과 케이스 이음공정(S6) 및 앵글 이음 공정(S7)에서 각 판을 연결하거나 앵글을 연결하는 과정에서의 오버랩을 통한 에프알피 형성 과정을 도2의 공정도를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이는 상기 에프알피를 형성할 곳에, 먼저 상기 열경화성 수지를 도포하는 열경화성 수지 도포 공정(G1); 상기 열경화성 수지를 도포한 곳에 유리섬유를 붙이는 유리섬유 부착 공정(G2); 상기 부착된 유리섬유에 상기 열경화성 수지를 다시 도포하는 열경화성 수지 도포 공정(G3); 롤러를 밀어서 상기 열경화성 수지에 포함된 기포를 제거하는 탈포 공정(G4)의 공정을 거쳐 일정 두께를 형성하고, 이에 각 열경화성 수지를 굳히는 경화 공정(G5)을 거치면 에프알피를 형성한다.
특히, 상기 경화 공정(G5)에서는, 상기 열경화성 수지의 특성상 열에 의해 경화되는 특성을 지니는데,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경우, 사용하는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양의 1% 내지 2%의 경화제를 혼합하여 사용함으로써, 자체 발열로 경화하되, 이의 경화 시, 온도 25℃ 내외, 습도 60% 내외의 깨끗한 곳에서 적정시간을 거쳐 경화하도록 하고, 페놀 수지의 경화 시에는, 경화 온도(대략 60℃)로 적정 시간의 열을 가하여 경화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에프알피 형성 공정(S3)의 에프알피 형성 과정과 케이스 이음공정(S6) 및 앵글 이음 공정(S7)에서 각 판을 연결하거나 앵글을 연결하는 과정에서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페놀 수지를 사용하는데 있어서, 각각의 열경화 수지 만을 사용하여 에프알피를 형성하거나, 하나의 열경화 수지로 유리섬유를 함침하여 한 층, 또는 일정 두께를 형성하고, 이를 경화한 뒤 다른 종류의 열경화 수지로 유리섬유를 함침하여 한 층, 또는 일정 두께를 형성함을 반복하여 형성함에 따라,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와 페놀 수지의 각각 특성을 모두 가지는 에프알피를 얻을 수 있다.
더욱이, 상기 페놀 수지는 240℃ 내지 765℃의 높은 내열 온도와, 0.2( ㎉/m·h·℃) 의 낮은 열전도율을 가지므로, 상기 여과 집진기(1) 각 구성요소의 내부식성과 내열성을 가짐에 비해,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가 120 내지 150℃의 높은 내열 온도와 0.8 내지 0.9( ㎉/m·h·℃) 의 낮은 열전도율을 볼 때, 고온에 쓰이는 여과 집진기(1)일 경우, 상기 에프알피를 형성 공정(S3)에서, 처음 10㎜의 두께로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와 유리섬유의 적층으로 에프알피를 형성하고, 이 상부에 약 3㎜의 두께로는 페놀 수지와 유리섬유의 순차적인 적층으로 에프알피를 형성하여, 측면판(11)과 내부판(14)과 상부판(21)과 상부커버(30)와 가스유입관(40)과 가스유출관(50)과 탈진관(60)의 내부 쪽이 페놀 수지로 형성하도록 구성하여, 페놀수지를 통해 높은 내열성을 가지면서도, 이 페놀수지의 낮은 열전도율로 후의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로의 열 영향은 최소화하면서,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통한 보강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와 같이 에프알피로 형성되어 조립된 여과 집진기(1)는, 그 제조가 에프알 피로 형성되어 그 제조와 조립이 용이하고, 그 보수가 용이하며, 에프알피의 높은 내부식성으로 그 내부로 유입되는 가스의 탄소성분과 아황산가스 및 고열에도 충분히 견뎌 장시간 지속적으로 사용하면서 높은 운전효율을 가지고, 틈새가 발생하지 않아 외부공기의 유입이 없으며, 지속적인 본래의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를 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더욱이, 상기 여과 집진기(1)의 구조에서, 각 측면판(11)과 내부판(14)과 상부판(21)과 상부커버(30)와 가스유입관(40)과 가스유출관(50)과 탈진관(60)의 에프알피 구성을, 그 내부 구조(내부층)를 형성하는 열경화성 수지는 높은 내열성과 낮은 열전도율을 갖는 페놀 수지를 사용한 에프알피를 3㎜ 정도로 형성하고, 외부 구조(외부층)를 형성하는 열경화성 수지는 강도가 좋은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사용한 에프알피를 10㎜ 정도로 형성함에 따라, 내부 구조에 의해 가스의 고열에도 견디면서 외부 구조로 열을 전달하지 않으면서, 외부 구조의 높은 강도로 지속적인 사용 가능하도록 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여과 집진기의 제조 공정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에프알피 형성의 공정도.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여과 집진기의 측면도.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여과 집진기의 정면도.
도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여과 집진기의 전면 사시도.
도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여과 집진기의 후면 사시도.
도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본체케이스와 상부케이스의 조립 사시도.
도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판몰드를 이용한 에프알피 형성 사시도.
도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본체케이스의 이음 사시도.
도10은 도9의 A부분 확대 단면도.
도11은 도9의 B부분 확대 단면도.
도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부케이스의 이음 사시도.
도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부커버의 하부 사시도.
도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스유입관의 사시도.
도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스유입관의 형성 사시도.
도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탈진관의 사시도.
도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탈진관의 형성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여과 집진기 10: 본체케이스 11: 측면판
12,22: 보강살 14: 내부판 20: 상부케이스
21: 상부판 30: 상부커버 13,23,31: 앵글
32: 손잡이 40: 가스유입관 50: 가스유출관
60: 탈진관 100: 판몰드 110: 보강살홈
200: 관몰드 210: 평판 220: 링

Claims (9)

  1. 사각 판 형태의 판몰드(100)와, 평판(210)을 둥글게 말아서 링(220)으로 고정한 관몰드(200)를 규격에 맞도록 각각 형성하는 몰드 준비 공정(S1);
    상기 각 판몰드(100)의 전면과 관몰드(200) 내면에 이형제를 바르는 이형제 도포 공정(S2);
    상기 각 판몰드(100) 전면과 관몰드(200) 내부로, 유리섬유에 열경화성 수지를 함침하면서 적층·경화로 에프알피를 형성하는 에프알피 형성 공정(S3);
    상기 판몰드(100)에서 측면판(11)과 내부판(14)과 상부판(21)과 상부커버(30)를 탈형하고, 관몰드(200)에서 가스유입관(40)과 가스유출관(50)과 탈진관(60)을 탈형하여, 각 가장자리를 깨끗이 정리하는 탈형 및 정리 공정(S4);
    외측면을 형성한 측면판(11) 내부를 내부판(14)으로 구획하고 이에 가스유입관(40) 및 가스유출관(50)을 연결하여, 이들을 이음한 본체케이스(10)를 구성하며, 상부판(21)으로 외측면을 형성하고 탈진관(60)을 관통·연결하여 이들을 이음한 상부케이스(20)를 구성하는 케이스 이음 공정(S6);
    본체케이스(10)와 상부케이스(20)의 상·하단부 및 상부커버(30)의 외주면을 따라 앵글(13)(23)(31)을 이음하여 일체로 연결하는 앵글 이음 공정(S7);
    상기 본체케이스(10)의 상부로 상부케이스(20)를 얹고, 상부케이스(20) 상단으로 상부커버(30)를 얹어 서로 접하는 앵글(13)(23)(31)을 볼트와 너트의 결합으로 연결·조립하는 조립 공정(S8)을 순차로 거쳐 여과 집진기(1)를 제조함으로써,
    내부식성과 내열성이 높고, 제작이 용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프알피로 구성된 여과 집진기의 제조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탈형 및 정리 공정(S4) 다음으로는,
    상기 측면판(11)의 상부와 하부 일측 및 상부판(21) 일측을 뚫어
    가스유입관(40)과 가스유출관(50) 및 탈진관(60)을 연결하기 위해 내부의 구획된 칸마다 홀을 형성하는 홀 형성 공정(S5)을 더 추가하고;
    이어지는 케이스 이음 공정(S6)에서 측면판(11) 하부 홀에 가스유입관(40)을 이음하고, 측면판(11) 상부 홀에 가스유출관(50)을 이음하며, 상부판(21)을 관통하여 탈진관(60)을 이음함으로써,
    각 관의 연결을 정확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프알피로 구성된 여과 집진기의 제조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이음 공정(S6)은,
    본체케이스(10)의 측면판(11)과 그 내부의 내부판(14) 및 홀에 연결되는 가스유입관(40) 및 가스유출관(50)과, 상부케이스(20)의 상부판(21)과 홀에 연결되는 탈진관(60)의 이음에 있어서, 서로 접하는 면을 따라 유리섬유에 열경화성 수지를 함침하면서 적층·경화를 통한 에프알피의 형성으로 이음으로써,
    본체케이스(10)와 상부케이스(20)의 이음을 정확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프알피로 구성된 여과 집진기의 제조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앵글 이음 공정(S7)은,
    본체케이스(10)와 상부케이스(20)의 상·하단부 및 상부커버(30)의 외주면을 따라 접하는 앵글(13)(23)(31)의 틈새를 유리섬유에 열경화성 수지를 함침하면서 적층·경화를 통한 에프알피의 형성으로 이음하여 일체로 연결함으로써,
    앵글(13)(23)(31)의 이음을 정확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프알피로 구성된 여과 집진기의 제조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몰드 준비 공정(S1)에 이용되는 판몰드(100)와 관몰드(200)의 평판(210)은, 두께 2 내지 5㎜의 에프알피로 형성된 것으로 구성하고;
    이어지는 이형제 도포 공정(S2)에서는 에프알피용 이형제를 도포하고 일정시간 후에 닦아냄으로써,
    각 판몰드(100)와 관몰드(200)에 형성된 에프알피의 탈형을 더욱 용이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프알피로 구성된 여과 집진기의 제조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몰드 준비 공정(S1)은,
    판몰드(100)의 전면으로 홈이 파인 보강살홈(110)을 형성함으로써,
    측면판(11)과 상부판(21)의 외측면으로 보강살(12)(22)이 일체로 돌출되도록 형성할 수 있어, 내구성 및 강도를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프알피로 구성된 여과 집진기의 제조 방법.
  7.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에프알피를 형성 공정(S3)에서 이용되는 열경화성 수지로는,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사용하되, 이의 경화를 위해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양의 1% 내지 2%의 경화제를 혼합하여 사용함으로써,
    자체 발열로 경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프알피로 구성된 여과 집진기의 제조 방법.
  8.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에프알피를 형성 공정(S3)에서 이용되는 열경화성 수지로는,
    페놀 수지를 사용하되, 이의 경화를 위해 페놀 수지의 경화 온도로 열을 가해 에프알피를 형성함으로써,
    에프알피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프알피로 구성된 여과 집진기의 제조 방법.
  9.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에프알피를 형성 공정(S3)에서 이용되는 열경화성 수지로는,
    우선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사용하여 일정두께의 에프알피를 형성하고, 그 상부로 페놀 수지를 사용하여 일정 두께의 에프알피를 형성하여, 내부 쪽이 페놀 수지로 형성하도록 구성하되;
    상기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이의 경화를 위해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양의 1% 내지 2%의 경화제가 혼합되어 쓰이고, 페놀 수지는, 이의 경화를 위해 페놀 수지의 경화 온도로 열을 가해 에프알피를 형성함으로써,
    내부층으로 내열성을 높이고, 외부층으로 강도를 높임을 특징으로 하는 에프알피로 구성된 여과 집진기의 제조 방법.
KR1020090103329A 2009-10-29 2009-10-29 에프알피로 구성된 여과 집진기의 제조 방법 KR1009482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3329A KR100948240B1 (ko) 2009-10-29 2009-10-29 에프알피로 구성된 여과 집진기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3329A KR100948240B1 (ko) 2009-10-29 2009-10-29 에프알피로 구성된 여과 집진기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48240B1 true KR100948240B1 (ko) 2010-03-18

Family

ID=421834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3329A KR100948240B1 (ko) 2009-10-29 2009-10-29 에프알피로 구성된 여과 집진기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824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9231B1 (ko) * 2021-07-13 2022-02-28 구성용 에어공급관의 교체가 용이한 백필터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20457A (en) 1978-01-16 1980-09-02 Fredriksen Knud V Cleaning apparatus for hose filters
KR100310016B1 (ko) * 1999-04-28 2001-11-14 양동보 섬유보강 에폭시 수지 판넬의 제조방법
KR100638547B1 (ko) * 2006-04-06 2006-10-27 황수원 에프알피로 구성된 굴뚝의 제조 방법
KR100649947B1 (ko) * 2005-06-07 2006-11-27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중앙집중식 다용도 집진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20457A (en) 1978-01-16 1980-09-02 Fredriksen Knud V Cleaning apparatus for hose filters
KR100310016B1 (ko) * 1999-04-28 2001-11-14 양동보 섬유보강 에폭시 수지 판넬의 제조방법
KR100649947B1 (ko) * 2005-06-07 2006-11-27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중앙집중식 다용도 집진 시스템
KR100638547B1 (ko) * 2006-04-06 2006-10-27 황수원 에프알피로 구성된 굴뚝의 제조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9231B1 (ko) * 2021-07-13 2022-02-28 구성용 에어공급관의 교체가 용이한 백필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15984B2 (ja) シャシーフレーム
JP5319997B2 (ja) プレフォーム縫合による複合装甲積層体の製造方法およびシステム
KR100948240B1 (ko) 에프알피로 구성된 여과 집진기의 제조 방법
CN104401011A (zh) 夹芯结构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KR102562562B1 (ko) 재사용 가능한 공기 필터 시스템 및 방법
CN113525431A (zh) 一种抗弯曲碳纤维梁及其制造方法
KR100638547B1 (ko) 에프알피로 구성된 굴뚝의 제조 방법
CA2938645C (en) Composite material structure
US10987612B2 (en) Airborne molecular contamination filter cartridge system with combustible filter cartridge and reusable frame
KR100948241B1 (ko) 에프알피로 구성된 세정탑의 제조 방법 및 에프알피로 제조된 세정탑
US20190022589A1 (en) Central tube component of filter elemen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N209099510U (zh) 一种大型污水池的复合材料拱形罩
WO2014111162A1 (en) Housing for a pleated filt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JP3774555B2 (ja) 排煙ダクト及びその製造方法
CN208870714U (zh) 一种内燃机用空气滤清器干净管
JP4024654B2 (ja) 濾過体用センターチューブの射出成形用金型及び濾過体用センターチューブの製造方法
CN219327583U (zh) 耐高温的农用机械空气过滤器的结构及发动机进气系统
CN202400173U (zh) 一种组合式半挂车车体
KR20160119544A (ko) 에프알피 관의 제조 방법 및 그 에프알피 관을 이용한 관 시공 방법
JPS6138024B2 (ko)
CN2269954Y (zh) 一种具有金属丝、筋网格内增强的硬塑钢复合材料
CN201096473Y (zh) 方形组合式模压玻璃钢冷却塔壳体
CN209193581U (zh) 一种污水处理罩壳装置
CN209399556U (zh) 空气过滤器
CN110075628B (zh) 布袋式除尘器壳体的制作办法及布袋式除尘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