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8085B1 - 건조기용 건조공기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건조기용 건조공기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8085B1
KR100948085B1 KR1020090087283A KR20090087283A KR100948085B1 KR 100948085 B1 KR100948085 B1 KR 100948085B1 KR 1020090087283 A KR1020090087283 A KR 1020090087283A KR 20090087283 A KR20090087283 A KR 20090087283A KR 100948085 B1 KR100948085 B1 KR 1009480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heat exchanger
sensible heat
dry air
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72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정완
Original Assignee
(주) 쁘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쁘레 filed Critical (주) 쁘레
Priority to KR10200900872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808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80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80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6Controlling, e.g. regulating, parameters of gas supp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9/00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e.g. operating alternately or simultaneous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01Drying-air generating units, e.g. movable, independent of drying enclosure
    • F26B21/002Drying-air generating units, e.g. movable, independent of drying enclosure heating the drying air indirectly, i.e. using a heat exchang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6Controlling, e.g. regulating, parameters of gas supply
    • F26B21/08Humidity
    • F26B21/086Humidity by condensing the moisture in the drying medium, which may be recycled, e.g. using a heat pump cy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6Controlling, e.g. regulating, parameters of gas supply
    • F26B21/10Temperature;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3/00Heating arrangements
    • F26B23/001Heating arrangements using waste heat
    • F26B23/002Heating arrangements using waste heat recovered from dryer exhaust gases
    • F26B23/004Heating arrangements using waste heat recovered from dryer exhaust gases by compressing and condensing vapour in exhaust gases, i.e. using an open cycle heat pump syste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3/00Heating arrangements
    • F26B23/001Heating arrangements using waste heat
    • F26B23/002Heating arrangements using waste heat recovered from dryer exhaust gases
    • F26B23/005Heating arrangements using waste heat recovered from dryer exhaust gases using a closed cycle heat pump system ; using a heat pipe syste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3/00Heating arrangements
    • F26B23/10Heating arrangements using tubes or passages containing heated fluids, e.g. acting as radiative elements; Closed-loop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5/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not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5/04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not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evaporation or sublimation of moisture under reduced pressure, e.g. in a vacuum
    • F26B5/06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not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evaporation or sublimation of moisture under reduced pressure, e.g. in a vacuum the process involving freez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목재, 의류, 수산물, 농산물 등을 건조시키는 건조기에, 고온의 건조공기를 생성하여 투입하는 건조기용 건조공기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대기로부터 외기(外氣)를 흡입한 후, 흡기덕트, 현열교환기 및 건조공기 투입 덕트를 통과시키면서 가열하여 건조기에 투입하고, 건조기에서 토출된 배기(排氣)를 건조공기 토출 덕트, 현열교환기 및 배기덕트를 통과시키면서 냉각 및 제습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비순환식 건조기용 건조공기 공급 장치에 있어서, 상기 건조공기 투입 덕트, 흡기 덕트 및 배기 덕트에 서로 독립적으로 운용되는 제1냉동사이클 및 제2냉동사이클의 2원 냉동사이클을 설치하여, 계절 및 대기 상태에 따라 선택적으로 또는 동시에 운용하되, 상기 제1냉동사이클은 기체 냉매를 고온 고압으로 압축하는 제1압축기와, 건조공기 투입 덕트에 마련되어 상기 제1압축기에서 압축된 기체 냉매를 응축시키면서 응축잠열의 방출에 의하여 상기 현열교환기를 통과한 외기를 가열하는 제1응축기와, 상기 제1응축기에서 응축된 액 냉매를 기화되기 쉬운 압력으로 팽창시키는 제1팽창변과, 상기 현열교환기의 배기 덕트에 마련되어 냉매를 증발시키면서 증발잠열의 흡수에 의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건조 처리 후 공기를 냉각 및 제습하는 제1증발기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상기 제2냉동사이클은 기체 냉매를 고온 고압으로 압축하는 제2압축기와, 건조공기 투입 덕트의 상기 제1응축기 후방에 마련되어 상기 제2압축기에서 압축된 기체 냉매를 응축시키면서 응축잠열의 방출에 의하여 상기 현열교환기를 통과한 외기를 가열하는 제2응축기와, 상기 제2응축기에서 응축된 액 냉매를 기화되기 쉬운 압력으로 팽창시키는 제2팽창변과, 상기 현열교환기의 흡기 덕트에 마련되어 냉매를 증발시키면서 증발잠열의 흡수에 의하여 대기로부터 흡입되는 외기를 냉각 및 제습하는 제2증발기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igure R1020090087283
건조기, 건조공기

Description

건조기용 건조공기 공급장치{SUPPLIER OF DRIED AIR FOR DRIER}
본 발명은 건조기용 건조공기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목재, 의류, 수산물, 농산물 등을 건조시키는 건조기에, 고온의 건조공기를 생성하여 투입하는 건조기용 건조공기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7-7155호 공보에는 방열기로 가열된 온풍을 건조기에 공급하여 피건조물을 건조시키고, 건조 처리 후 건조기에서 배출된 다습 공기를 냉각기로 냉각시켜 수분을 제거하고, 이 수분이 제거된 공기를 다시 방열기로 가열한 후에 건조기에 투입하는 공기 순환식 건조공기 공급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건조공기 공급장치는 건조기와 건조공기 공급장치 사이에서 일정량의 공기를 계속 순환시키는 방법을 사용함으로 인해서 피건조물에서 발생하는 냄새가 건조기 내부 및 순환 덕트 내에 체류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피건조물이 오염되기 쉬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근래에는 외기를 가열하여 건조기에 투입하고, 건조 처리를 마친 배출 공기를 냉각시켜 외부에 버리는 건조공기 공급장치가 개시되고 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8-0082496호에는 열교환기(폐열회수기)와 냉동사이클을 이용하여 외부 공기를 흡입하고 가열하여 건조기에 투입하고, 건조기 퇴출 공기로부터는 열을 회수한 후 냉각하여 외부에 배출하는 건조공기 공급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위 한국 공개특허공보 10-2008-0082496호 발명은 주위 공기를 건조시켜 건조기에 공급하는 건조 공기 공급 풍로와, 공급된 건조 공기로 건조 처리한 후의 다습 공기를 주위로 배기하는 배기 풍로를 구비하고, 상기 건조 공기 공급 풍로는 주위 공기를 빨아들여 열교환기(폐열회수기)에서 상기 배기 풍로의 공기와 열교환하고, 이 열교환한 공기를 냉동사이클의 방열기로 가열하여 건조 공기로 만든 후 공급하며, 상기 배기 풍로는 건조 처리 후의 다습 공기를 상기 열 교환기에서 상기 건조 공기 공급 풍로의 공기와 열 교환하고 이 열 교환된 공기를 냉각기로 냉각 및 제습하여 외부에 배기한다.
위 한국 공개특허공보 10-2008-0082496호 발명은 열교환기(폐열회수기)와 냉동사이클을 이용하여, 외부로부터 흡입한 공기를 가열한 후 건조기 내에 투입하고, 건조기 퇴출 공기로부터 열을 회수한 후 냉각하여 배출하여, 피건조물에서 발생한 냄새를 모두 외부로 배출한다. 그리고,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로 부터 열을 회수하여 에너지 낭비를 최소화한다.
그러나, 위 한국 공개특허공보 10-2008-0082496호 발명에 의하면, 외부 공기가 건조한 겨울철에는 건조 공기를 고온으로 가열하여 건조기에 투입하므로, 피건조물의 건조에 문제가 없으나, 외부 공기가 습한 여름철에는 습한 외부 공기를 고온으로 가열하여 건조기에 투입하게 되므로, 피건조물의 건조가 잘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건조기용 건조공기 공급장치가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제1과제는, 대기로부터 외기(外氣)를 흡입한 후, 흡기덕트, 현열교환기 및 건조공기 투입 덕트를 통과시키면서 가열하여 건조기에 투입하고, 건조기에서 토출된 배기(排氣)를 건조공기 토출 덕트, 현열교환기 및 배기덕트를 통과시키면서 냉각 및 제습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비순환식 건조기용 건조공기 공급 장치에 있어서, 여름철과 같이 외부 공기의 습도가 매우 높은 경우에도 고온의 건조 공기를 용이하게 생성할 수 있는 건조기용 건조공기 공급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제2과제는 계절이나, 대기 상태에 따라 냉동사이클의 운용을 달리하여 에너지를 절약하면서도 최적의 건조 공기를 생성할 수 있는 건조 기용 건조공기 공급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상기 건조공기 투입 덕트, 흡기 덕트 및 배기 덕트에 독립적으로 운용되는 제1냉동사이클 및 제2냉동사이클의 2원 냉동사이클을 설치하여, 상기 건조공기 투입 덕트, 흡기 덕트 및 배기 덕트에 서로 독립적으로 운용되는 제1냉동사이클 및 제2냉동사이클의 2원 냉동사이클을 설치하여, 계절 및 대기 상태에 따라 선택적으로 또는 동시에 운용하되, 상기 제1냉동사이클은 기체 냉매를 고온 고압으로 압축하는 제1압축기와, 건조공기 투입 덕트에 마련되어 상기 제1압축기에서 압축된 기체 냉매를 응축시키면서 응축잠열의 방출에 의하여 상기 현열교환기를 통과한 외기를 가열하는 제1응축기와, 상기 제1응축기에서 응축된 액 냉매를 기화되기 쉬운 압력으로 팽창시키는 제1팽창변과, 상기 현열교환기의 배기 덕트에 마련되어 냉매를 증발시키면서 증발잠열의 흡수에 의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건조 처리 후 공기를 냉각 및 제습하는 제1증발기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상기 제2냉동사이클은 기체 냉매를 고온 고압으로 압축하는 제2압축기와, 건조공기 투입 덕트의 상기 제1응축기 후방에 마련되어 상기 제2압축기에서 압축된 기체 냉매를 응축시키면서 응축잠열의 방출에 의하여 상기 현열교환기를 통과한 외기를 가열하는 제2응축기와, 상기 제2응축기에서 응축된 액 냉매를 기화되기 쉬운 압력으로 팽창시키는 제2팽창변과, 상기 현열교환기의 흡기 덕트에 마련되어 냉매를 증발시키면서 증발잠열의 흡수에 의하여 대기로부터 흡입되는 외기를 냉각 및 제습하는 제2증발기를 포함 하여 구성함으로써 해결한다.
상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의하면, 겨울철에는 건조가 용이하므로, 제1냉동사이클만 운용하여 건조 공기를 생성하고, 여름철에는 건조가 어려우므로, 제1냉동사이클 및 제2냉동사이클을 동시에 운용하여 건조 공기를 생성하고, 여름철 고온의 공기가 필요 없는 경우에는 제2냉동사이클만을 운용하여 건조 공기를 생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제1냉동사이클은 현열교환기를 통과하면서, 건조기에서 토출된 배기와 현열교환하여 1차 가열된 외기를 2차가열함과 아울러, 배기 덕트에서 외부로 배출되는 배기의 온도를 낮추고 습기를 제거하고, 제2냉동사이클은 대기로부터 흡입하는 외기 중에 혼합된 습기를 제거하여 현열교환기에 투입하고 현열교환기 및 제1냉동사이클에 의하여 가열된 외기를 재차 가열하여 고온의 상태로 만들어 주므로, 습도가 높은 여름철에도 매우 건조한 고온의 공기를 용이하게 생성하여 건조기에 투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용 건조공기 공급장치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조공기 공급장치의 구성도를 건조기와 함께 도시한 것이 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대기로부터 외기(外氣)를 흡입한 후 흡기 덕트(9)에 투입하는 흡기용 송풍기(7)와, 상기 흡기 덕트(9)로부터 유입된 외기를 건조기로 부터 토출되는 배기와 섞이지 않게 통과시키면서 외기와 배기간에 열전달에 의한 현열 교환이 이루어지게 하는 현열교환기(15)와, 상기 현열교환기(15)에 열교환되어 1차 가열된 외기를 2개의 응축기(19, 27)에 의하여 순차가열한 후 상기 건조기(1)까지 유도하는 건조공기 투입 덕트(3)와, 상기 건조기(1)에서 건조 처리한 후 토출되는 배기를 상기 현열교환기(15)까지 유도하는 건조공기 토출 덕트(5)와, 상기 현열교환기(15)에서 외기에 열을 전달한 후 배출되는 배기를 압축기 하우징(33)까지 유도하는 배기 덕트(11)를 구비한다. 상기 현열교환기(15)에서는 외기와 배기가 서로 섞이지 않으면서 통과하고, 그 과정에서 현열 이동에 의하여 배기의 열이 외기에 전달된다. 상기 현열교환기(15)로는 업계에서 판매되는 있는 다양한 재질 및 구조의 현열교환기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현열교환기(15) 일 예는 한국 공개 특허 제10-2009-70410호 등에 의하여 공지되어 있다.
본 발명은 건조기에서 사용된 고온 건조 공기를 재 사용하지 않고 외부로 배출하므로, 비순환식이라고 할 수 있다. 비순환식 건조공기 공급장치는 계속적으로 대기를 흡입하므로, 계절이나 대기 상태에 의하여 영향을 받는다. 본 발명은 비순환식 건조공기 공급장치의 계절에 따른 영향 또는 대기 상태에 따른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서로 독립적으로 운영되는 제1냉동사 이클 및 제2냉동사이클의 2원 냉동사이클을 이용한다. 본 발명은 상기 건조공기 투입 덕트(3), 흡기 덕트(9) 및 배기 덕트(11)에 서로 독립적으로 운용되는 제1냉동사이클 및 제2냉동사이클의 2원 냉동사이클을 설치하여, 계절 및 대기 상태에 따라 선택적으로 또는 동시에 운용한다.
상기 제1냉동사이클은 기체 냉매를 고온 고압으로 압축하는 제1압축기(17)와, 건조공기 투입 덕트에 마련되어 상기 제1압축기(17)에서 압축된 기체 냉매를 응축시키면서 응축잠열의 방출에 의하여 상기 현열교환기(15)를 통과한 외기를 가열하는 제1응축기(19)와, 상기 제1응축기(19)에서 응축된 액 냉매를 기화되기 쉬운 압력으로 팽창시키는 제1팽창변(21)과, 상기 현열교환기(15)의 배기 덕트(11)에 마련되어 냉매를 증발시키면서 증발잠열의 흡수에 의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건조 처리 후 공기를 냉각 및 제습하는 제1증발기(2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2냉동사이클은 기체 냉매를 고온 고압으로 압축하는 제2압축기(25)와, 건조공기 투입 덕트의 상기 제1응축기(19) 후방에 마련되어 상기 제2압축기(25)에서 압축된 기체 냉매를 응축시키면서 응축잠열의 방출에 의하여 상기 현열교환기(15)를 통과한 외기를 가열하는 제2응축기(27)와, 상기 제2응축기(27)에서 응축된 액 냉매를 기화되기 쉬운 압력으로 팽창시키는 제2팽창변(29)과, 상기 현열교환기(15)의 흡기 덕트(9)에 마련되어 냉매를 증발시키면서 증발잠열의 흡수에 의하여 대기로부터 흡입되는 외기를 냉각 및 제습하는 제2증발기(31)를 포함하여 구 성된다.
이와 같은 독립적인 2개의 냉동사이클에 의하여, 본 발명은 겨울철에는 건조가 용이하므로, 제1냉동사이클만 운용하여 건조 공기를 생성하고, 여름철에는 건조가 어려우므로, 제1냉동사이클 및 제2냉동사이클을 동시에 운용하여 건조 공기를 생성하고, 여름철 고온의 공기가 필요 없는 경우에는 제2냉동사이클만을 운용하여 건조 공기를 생성한다.
특히,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 사이클을 동시에 운용할 경우, 상기 건조공기 투입 덕트(3)에 2대의 응축기(19, 27)가 마련되고, 이 곳에서 응축 잠열에 의하여 현열교환기(15)를 통과한 외기를 2중으로 가열하게 되므로, 외기를 매우 고온으로 매우 건조하게 가열할 수 있다. 이 때, 대기에 포함된 습기는 흡기 덕트(9)에 설치된 제2증발기(31)에 의하여 모두 제거 된다.
여름철에는 냉동사이클의 압축기가 과열되기 쉽다. 따라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압축기(17) 및 제2압축기(25)는 동일한 압축기 하우징(33) 내에 장치하고, 상기 배기 덕트(11)를 통과하는 냉각 및 제습된 공기가 상기 압축기 하우징(33)에 투입되게 하여 하절기에 압축기가 과열되는 것을 예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배기 덕트(11)의 말단에는 에어 필터(13)를 구비하여, 건조기에서 발생한 분진이나 냄새를 포집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조공기 공급장치의 구성도를 건조기와 함께 도시한 것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건조기 3 : 건조공기 투입 덕트
5 : 건조공기 토출 덕트 7 : 흡기용 송풍기
9 : 흡기 덕트 11 : 배기 덕트
13 : 필터 15 : 현열교환기
17 : 제1압축기 19 : 제1응축기
21 : 제1팽창변 23 : 제1증발기
25 : 제2압축기 27 : 제2응축기
29 : 제2팽창변 31 : 제2증발기
33 : 압축기 하우징 35 : 배기용 송풍기

Claims (2)

  1. 대기로부터 흡기용 송풍기(7)에 의하여 외기(外氣)를 흡입한 후, 흡기용 송풍기(7)에 순차 연결된 흡기덕트(9)-> 공지의 현열교환기(15)의 외기투입구(In1)->상기 현열교환기(15)의 외기배출구(Out1)->건조공기 투입 덕트(3)->건조기(1)->건조공기 토출 덕트(5)->상기 현열교환기(15)의 건조공기투입구(In2)->상기 현열교환기(15)의 건조공기배출구(Out2)->배기 덕트(11)를 통과시키면서, 상기 공지의 현열교환기(15)에서, 흡기용 송풍기에서 흡입한 외기와, 건조기에서 토출된 건조공기가, 서로 분리된 유로를 따라 섞이지 않고 통과하면서 외기와 건조공기간에 현열 이동이 이루어지는 비순환식 건조기용 건조공기 공급 장치에 있어서,
    상기 건조공기 투입 덕트(3), 흡기 덕트(9) 및 배기 덕트(11)에 서로 독립적으로 운용되는 제1냉동사이클 및 제2냉동사이클의 2원 냉동사이클을 설치하여, 계절 및 대기 상태에 따라 선택적으로 또는 동시에 운용하여, 건조기에서 토출되는 건조공기를 냉각 및 제습하되,
    상기 제1냉동사이클은 기체 냉매를 고온 고압으로 압축하는 제1압축기(17)와, 건조공기 투입 덕트(3)에 마련되어 상기 제1압축기(17)에서 압축된 기체 냉매를 응축시키면서 응축잠열의 방출에 의하여 상기 현열교환기(15)를 통과한 외기를 가열하는 제1응축기(19)와, 상기 제1응축기(19)에서 응축된 액 냉매를 기화되기 쉬운 압력으로 팽창시키는 제1팽창변(21)과, 상기 현열교환기(15)의 배기 덕트(11)에 마련되어 냉매를 증발시키면서 증발잠열의 흡수에 의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건조 처리 후 공기를 냉각 및 제습하는 제1증발기(23)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상기 제2냉동사이클은 기체 냉매를 고온 고압으로 압축하는 제2압축기(25)와, 건조공기 투입 덕트(3)의 상기 제1응축기(19) 후방에 마련되어 상기 제2압축기(25)에서 압축된 기체 냉매를 응축시키면서 응축잠열의 방출에 의하여 상기 현열교환기(15)를 통과한 외기를 가열하는 제2응축기(27)와, 상기 제2응축기(27)에서 응축된 액 냉매를 기화되기 쉬운 압력으로 팽창시키는 제2팽창변(29)과, 상기 현열교환기(15)의 흡기 덕트(9)에 마련되어 냉매를 증발시키면서 증발잠열의 흡수에 의하여 대기로부터 흡입되는 외기를 냉각 및 제습하는 제2증발기(31)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용 건조공기 공급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압축기(17) 및 제2압축기(25)는 동일한 압축기 하우징(33) 내에 장치하고, 상기 배기 덕트(11)를 통과하는 냉각 및 제습된 공기가 상기 압축기 하우징(33)에 투입되게 하여 하절기에 압축기가 과열되는 것을 예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용 건조공기 공급장치.
KR1020090087283A 2009-09-16 2009-09-16 건조기용 건조공기 공급장치 KR1009480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7283A KR100948085B1 (ko) 2009-09-16 2009-09-16 건조기용 건조공기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7283A KR100948085B1 (ko) 2009-09-16 2009-09-16 건조기용 건조공기 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48085B1 true KR100948085B1 (ko) 2010-04-01

Family

ID=422194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7283A KR100948085B1 (ko) 2009-09-16 2009-09-16 건조기용 건조공기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808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0331B1 (ko) 2015-02-04 2017-07-21 오제욱 제습 건조기
CN107151906A (zh) * 2016-03-04 2017-09-12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余热回收干衣机
CN113758226A (zh) * 2021-09-13 2021-12-07 南昌航空大学 一种烘干机尾气余热回收装置及烘干机和余热回收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57377A (ja) 2001-03-02 2002-09-11 Ebara Corp 乾燥貯蔵装置及び貯蔵物の乾燥方法
KR100369541B1 (ko) 2000-09-22 2003-01-30 박철현 냉동장치를 이용한 수분함유 쓰레기 건조장치
JP2008029654A (ja) 2006-07-31 2008-02-14 Sharp Corp 洗濯乾燥機
KR20080082496A (ko) * 2007-03-07 2008-09-11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건조 공기 공급 장치 및 건조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9541B1 (ko) 2000-09-22 2003-01-30 박철현 냉동장치를 이용한 수분함유 쓰레기 건조장치
JP2002257377A (ja) 2001-03-02 2002-09-11 Ebara Corp 乾燥貯蔵装置及び貯蔵物の乾燥方法
JP2008029654A (ja) 2006-07-31 2008-02-14 Sharp Corp 洗濯乾燥機
KR20080082496A (ko) * 2007-03-07 2008-09-11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건조 공기 공급 장치 및 건조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0331B1 (ko) 2015-02-04 2017-07-21 오제욱 제습 건조기
CN107151906A (zh) * 2016-03-04 2017-09-12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余热回收干衣机
CN113758226A (zh) * 2021-09-13 2021-12-07 南昌航空大学 一种烘干机尾气余热回收装置及烘干机和余热回收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76242B2 (en) Clothes treating apparatus with a heat pump cycle
US9834882B2 (en) Device and method for heat pump based clothes dryer
EP1664647B1 (en) Heat pump type drying apparatus drying apparatus and drying method
JP5049495B2 (ja) 木材の人工乾燥方法及びシステム
US20140109428A1 (en) Dryer
JP5560501B2 (ja) ハイブリッド乾燥システム及びハイブリッド乾燥システムの制御方法
AU2013245520A1 (en) Heat pump type laundry machine
US10689791B2 (en) High efficiency vented dryer having a heat pump system
ATE488634T1 (de) Kondensationstrockner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kondensationstrockners
CN107477909A (zh) 一种热泵溶液除湿型织物烘干机
WO2010044392A1 (ja) 塗装設備
KR100948085B1 (ko) 건조기용 건조공기 공급장치
CN111174539A (zh) 一种烟草干燥热风循环系统
JP2007303756A (ja) 乾燥方法及び乾燥システム
KR200429029Y1 (ko) 스팀 빨래 건조기
CN104329930A (zh) 一种热泵烘干除湿机
WO2016019681A1 (zh) 一种全新风印刷烘干机
CN110173967A (zh) 含水煤炭产品的干化系统及含水煤炭产品的干化方法
KR101311632B1 (ko) 히트펌프와 냉각수단을 이용한 일체형 건조 시스템 및 그 건조 시스템을 이용한 건조방법
JP2010046297A (ja) 洗濯乾燥機及び乾燥機
JP5617602B2 (ja) 除湿加温装置および同装置を備えた衣類乾燥機
TWM617023U (zh) 循環空氣分段除濕的污泥乾燥機
TWI756135B (zh) 循環空氣分段除濕的污泥乾燥機
JP4054724B2 (ja) 乾燥機用空気の安定的供給方法及びその装置
CN201162141Y (zh) 衣物干燥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