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5738B1 - 미용가위 - Google Patents

미용가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5738B1
KR100945738B1 KR1020080000589A KR20080000589A KR100945738B1 KR 100945738 B1 KR100945738 B1 KR 100945738B1 KR 1020080000589 A KR1020080000589 A KR 1020080000589A KR 20080000589 A KR20080000589 A KR 20080000589A KR 100945738 B1 KR100945738 B1 KR 1009457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issors
cutting blade
cutting
pair
elastic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05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74893A (ko
Inventor
성관호
Original Assignee
성관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1332149&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945738(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성관호 filed Critical 성관호
Priority to KR10200800005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5738B1/ko
Publication of KR200900748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48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57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57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3/00Hand shears; Scissors
    • B26B13/06Hand shears; Sciss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blades
    • B26B13/08Hand shears; Sciss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blades with cutting edges wavy or toothed in the plane of the bla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3/00Hand shears; Scissors
    • B26B13/22Hand shears; Scissors combined with auxiliary implements, e.g. with cigar cutter, with manicure instrument
    • B26B13/24Hand shears; Scissors combined with auxiliary implements, e.g. with cigar cutter, with manicure instrument to aid hair cutt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cissors And Nipp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용가위에 관한 것으로서, 그 구성은 다중의 절단날을 갖는 미용 가위에 있어서, 하부, 중간, 상부를 구성하는 3쌍의 가위가 서로 이격된 절단 평면을 가지면서 하나의 힌지(50)에 상호 교차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3쌍의 가위 중에서 하부에 위치한 한쌍의 하부가위는, 하부제2가위(2)와, 상기 하부제2가위(2)의 상부에 위치하는 하부제1가위(1)로 구성되고, 중간에 위치한 한쌍의 중간가위는, 중간제2가위(20)와, 상기 중간제2가위(20)의 상부에 위치하는 중간제1가위(10)로 구성되고, 상부에 위치한 한쌍의 상부가위는, 상부제2가위(200)와, 상기 상부제2가위(200)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부제1가위(100)로 구성되며, 위와 같은 구성에 의해서 이미용시 머리카락의 임의의 부분을 사용자가 원하는 스타일로 손쉽게 다듬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미용가위. 다중 절단날. 탄성판.

Description

미용가위{Hair Cutting Scissors}
본 발명은 미용가위에 관한 것으로서, 더 구체적으로는 이미용시 머리카락을 사용자가 원하는 스타일로 손쉽게 다듬을 수 있도록 하는 미용가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미용가위는 일반가위와 동일한 형태이거나, 약간 변형된 형태로 제조되며, 머리카락을 커팅하거나 다듬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으로서, 커팅가위와 틴닝가위로 구분된다. 커팅가위는 머리카락의 커팅전용으로 사용되며, 틴닝가위는 가윗날의 일 측에 틴닝부를 형성하여 일부 모발만 컷팅하는데 사용된다.
그러나, 머리숱이 많거나, 긴 머리일 경우에는 가위를 여러번 사용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어 다중 절단날로 구성된 가위가 효과적이어서 그에 관한 기술이 개발되어 왔다.
예를 들면, 국내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40224호에는 한쌍의 절단날을 갖 는 절단가위부와 이격된 절단평면을 가지고 상호교차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한쌍의 틴닝날을 갖는 틴닝 가위부(20)와 한쌍의 손잡이(30)고리와 상시 절단날 및 틴닝날과 손잡이 고리를 연결시키는 연결부 (50)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용 가위가 공지된 바 있었으며,
동 공보 등록번호 제245699호에는 다수의 절단날을 갖는 머리손질용 가위(1)에 있어서 각각의 핸들에 U자형 연결블록(2)을 수용하는 관통공(12)를 가지고 U자형 연결블록은 슬롯(21)및 개구를 가지며 돌출된 바 (23)가 상기 U자형 연결 블록상에 배치되고 상기 돌출된 바가 불록단부(24)및 U자형 연결블록 사이에 형성되는 노치를 가지며 상기 슬롯(21)및 돌출된 바(23)를 통하여 서로 체결되고 각각의 상기 슬롯(21)은 각각의 돌출된 바(23)를 수용하는 머리손질용 가위가 공개되어 있고,
동 공보 등록번호 제20-305233호에는 제1가위날과 제2가위날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2가위날에 다수의 빗살과 모발수용홈으로 구성된 틴닝부가 형성됨에 있어서, 상기 틴닝부는 제2가위날의 선단에서 후방측 소정길이의 제한 범위를 형성하고 틴닝부의 후방측 제2가위날에는 연이어 컷팅날이 잔여 길이 범위로 형성된 미용가위가 공개되어 있으며,
동 공보 등록번호 제20-0344669호에는 하나의 피봇(104)에 의하여 결합된 한쌍이상의 절단날(101)과 각각의 절단날과 일체를 이루는 손잡이부(102)와 손가락 고리부(103)를 갖는 이미용 가위에 있어서, 손가락 고리부 외측에는 각각의 손가락 고리부(103)를 연결하는 연결부(106)와 스크류(107) 및 손가락 지지돌기(105)로 결합되고 연결부는 일정범위 내에서 유동 가능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의 절단날을 갖는 이미용 가위가 기술되어 있고,
국내특허출원번호 제10-2004-0025545호에는 회동핀과 상호교차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하나의 (1)직선절단날과 (2)직선절단가위부를 갖는 (8)후론트가위와 (2-A)직선절단가위부와 (7)리어가위굴곡부와 (6)리어가위손잡이와(4)후론트가위손잡이가(5)손잡이연결고리등으로 연결되어서 (8)후론트가위와(7)리어가위가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필요에 따라 엄지와 검지, 중지, 약지를 바꾸면서 동시에 쥐어 사용하는 크로스컷트 이·미용가위가 기재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술들은 커팅가위와 틴닝가위를 구비하거나, 커팅의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빗살모양의 가윗날을 사용하는 것에 특징이 있으나, 다수개가 한 쌍으로 구성된 가위인 경우 사용자가 장시간 사용시 손가락, 손목에 피로를 가중하는 피로감과, 다중의 절단날 끝단부가 일체화되지 않아 머리카락이 잘라지는 경우보다 씹히는 경우가 발생하여 이미용하는자가 고통을 호소하는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이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인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다중의 절단날을 갖는 미용 가위에 있어서, 하부, 중간, 상부를 구성하는 3쌍의 가위가 서로 이격된 절단 평면을 가지면서 하나의 힌지(50)에 상호 교차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3쌍의 가위 중에서 하부에 위치한 한쌍의 하부가위는, 하부제2가위(2)와, 상기 하부제2가위(2)의 상부에 위치하는 하부제1가위(1)로 구성되고, 중간에 위치한 한쌍의 중간가위는, 중간제2가위(20)와, 상기 중간제2가위(20)의 상부에 위치하는 중간제1가위(10)로 구성되고, 상부에 위치한 한쌍의 상부가위는, 상부제2가위(200)와, 상기 상부제2가위(200)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부제1가위(10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3쌍의 가위를 하나의 파지부에 두 개의 가윗날을 연결하여 무게를 절감하였고, 힌지 또는 피봇 부분에 베어링을 내장하고, 가위 일 측에 탄성판을 설치하여, 3쌍의 가위 끝단부가 견고히 일치하도록 하였으며, 상부 2쌍의 틴닝가위의 톱날이 지그재그가 되도록 위치시켜 손가락, 손목의 피로감을 경감시킴과 동시에 , 3쌍의 가위는 하부로부터 상부로 길이를 달리하여 사용자가 머리카락의 상태를 인지하면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톱니형상의 절단날을 갖는 틴닝가위로 구성된 제1가위와, 평평한 절단날부를 가지는 통상의 제2가위가 한 쌍으로 여섯 개의 가위 즉, 하부, 중간, 상부를 구성하는 3쌍이 결합된 다중의 절단날을 가지며, 하부, 중간, 상부를 구성하는 3쌍의 가위는 서로 이격된 절단 평면을 가지면서 하나의 힌지(50)에 상호 교차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삭제
본 발명은 3쌍의 가위 중에서 하부에 위치하는 한쌍의 가위는 손가락이 끼워지는 파지부를 구비하고 있고, 중간, 상부에 위치한 2쌍의 가위는, 손잡이 부분 즉, 파지부가 없이 후술하는 중간, 상부제1,제2가위연결고무(10-10, 20-10, 100-10, 200-10)가 가위연결고리(9)에 차례로 삽입되어 연결시킴으로, 무게를 경감시켜, 손가락, 손목의 피로감을 경감시킬 수 있다.
삭제
삭제
3개의 틴닝가위인 하부제1가위(1), 중간제1가위(10), 상부제1가위(100)의 절단날부는 톱날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톱날의 형태 또는 톱날의 간격은 동일하게 할 수도 있고, 다르게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하부제1가위(1)는 톱날의 간격을 좁게 하였고, 중간제1가위(10)의 톱날과 상부제1가위(100)의 톱날의 간격은 하부제1가위(1)보다 넓게 하되, 중간제1가위(10)의 톱날과 상부제1가위(100)의 톱날의 위치가 지그재그가 되도록 설치하였다.
3쌍의 가위는 각 쌍의 가위의 길이를 상부로 갈수록 짧게 하여 사용자가 머리카락의 상태를 인지하면서 편리하게 사용하도록 하였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삭제
본 발명의 미용가위는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3쌍의 가위 중에서 하부에 위치한 한쌍의 하부가위는, 하부제2가위(2)와, 상기 하부제2가위(2)의 상부에 위치하는 하부제1가위(1)로 구성되고, 중간에 위치한 한쌍의 중간가위는, 중간제2가위(20)와, 상기 중간제2가위(20)의 상부에 위치하는 중간제1가위(10)로 구성되고, 상부에 위치한 한쌍의 상부가위는, 상부제2가위(200)와, 상기 상부제2가위(200)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부제1가위(100)로 구성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 하부제1가위(1)는, 도 3-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측 끝단에 손가락지지대(1-2)가 구비된 파지부(1-1)와, 톱니 형상의 날부를 구비한 하부제1가위절단날부(1-5)와, 상기 파지부(1-1)와 상기 하부제1가위절단날부(1-5) 사이에 형성되는 하부제1가위연결부(1-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하부제1가위연결부(1-3)에는, 상기 중간제1가위(10)와 상부제1가위(100)를 연결시키기 위한 가위연결고리(9)가 구비되며, 상기 가위연결고리(9)와 인접하여 상기 하부제1가위연결부(1-3)에는 인접하는 가위들을 힌지(50)에 의해서 서로 결합시키기 위한 하부제1가위통공부(1-4)가 구성된다.
삭제
삭제
상기 하부제2가위(2)는, 도 4-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측 끝단에 구비된 파지부(2-1)와, 평평한 절단날부를 가지는 하부제2가위절단날부(2-5)와, 상기 파지부(2-1)와 상기 하부제2가위절단날부(2-5) 사이에 형성되는 하부제2가위연결부(2-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하부제2가위연결부(2-3)에는, 상기 중간제2가위(20)와 상부제2가위(200)를 연결시키기 위한 가위연결고리(9)가 구비되며, 상기 가위연결고리(9)와 인접하여 상기 하부제2가위연결부(2-3)에는 인접하는 가위들을 힌지(50)에 의해서 서로 결합시키기 위한 하부제2가위통공부(2-4)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하부제2가위(2)는, 도 5-a에서 보는 바와 같이 탄성판(8)이 더 구비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상기 탄성판(8)은 상기 하부제2가위연결부(2-3)의 중앙부에 사각형태의 홈으로 형성된 하부제2가위탄성판안치부(2-60)에 안치시키게 되며, 상기 하부제2가위탄성판안치부(2-60)의 양측면에는 두 개의 하부제2가위탄성판고정홈(2-50)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하부제2가위탄성판고정홈(2-50)에 상기 탄성판(8)을 끼우게 되면 상기 탄성판(8)이 안정되게 고정되게 된다.
삭제
삭제
상기 중간제1가위(10)는, 도 3-b에서 보는 바와 같이 톱니 형상의 날부를 구비한 중간제1가위절단날부(10-5)와, 상기 중간제1가위절단날부(10-5)와 인접하여 형성되는 중간제1가위연결부(10-3)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중간제1가위연결부(10-3)의 일 지점에는 인접하는 가위들을 힌지(50)에 의해서 서로 결합시키기 위한 중간제1가위통공부(10-4)가 형성되고, 또 상기 중간제1가위연결부(10-3)의 일측 단부에는 중간제1가위연결고무(10-10)가 씌워질 수도 있다.
상기 중간제1가위연결고무(10-10)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제1가위(1)의 가위연결고리(9)에 끼워지게 되면, 상기 파지부(1-1)를 작동시킬 때, 상기 파지부(1-1)의 작동과 함께 상기 중간제1가위(10)도 함께 작동되게 된다.
삭제
상기 중간제2가위(20)는, 도 4-b에서 보는 바와 같이 평평한 절단날부를 가지는 중간제2가위절단날부(20-5)와, 상기 중간제2가위절단날부(20-5)와 인접하여 형성되는 중간제2가위연결부(20-3)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중간제2가위연결부(20-3)의 일 지점에는 인접하는 가위들을 힌지(50)에 의해서 서로 결합시키기 위한 중간제2가위통공부(20-4)가 형성되고, 또 상기 중간제2가위연결부(20-3)의 일측 단부에는 중간제2가위연결고무(20-10)가 씌워질 수도 있다.
상기 중간제2가위연결고무(20-10)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제2가위(2)의 가위연결고리(9)에 끼워지게 되면, 상기 파지부(2-1)를 작동시킬 때, 상기 파지부(2-1)의 작동과 함께 상기 중간2가위(20)도 함께 작동되게 된다.
삭제
또한, 상기 중간제2가위(20)는, 탄성판(8)이 더 구비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상기 탄성판(8)은 상기 중간제2가위연결부(20-3)의 중앙부에 사각형태의 홈으로 형성된 중간제2가위탄성판안치부(20-60)에 안치시키게 되며, 상기 중간제2가위탄성판안치부(20-60)의 양측면에는 두 개의 중간제2가위탄성판고정홈(20-50)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중간제2가위탄성판고정홈(20-50)에 상기 탄성판(8)을 끼우게 되면 상기 탄성판(8)이 안정되게 고정되게 된다.
삭제
상기 상부제1가위(100)는, 톱니 형상의 날부를 구비한 상부제1가위절단날부(100-5)와, 상기 상부제1가위절단날부(100-5)와 인접하여 형성되는 상부제1가위연결부(100-3)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상부제1가위연결부(100-3)의 일 지점에는 상부제1가위통공부(100-4)이 형성되고, 또 상기 상부제1가위연결부(100-3)의 일측 단부에는 상부제1가위연결고무(100-10)가 씌워질 수도 있다.
상기 상부제1가위연결고무(100-10)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제1가위(1)의 가위연결고리(9)에 끼워지게 되면, 상기 파지부(1-1)를 작동시킬 때, 상기 파지부(1-1)의 작동과 함께 상기 상부제1가위(100)도 함께 작동되게 된다.
삭제
상기 상부제2가위(200)는, 평평한 절단날부를 가지는 상부제2가위절단날부(200-5)와, 상기 상부제2가위절단날부(200-5)와 인접하여 형성되는 상부제2가위연결부(200-3)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상부제2가위연결부(200-3)의 일 지점에는 인접하는 가위들을 힌지(50)에 의해서 서로 결합시키기 위한 상부제2가위통공부(200-4)이 형성되고, 또 상기 상부제2가위연결부(200-3)의 일측 단부에는 상부제2가위연결고무(200-10)가 씌워질 수도 있다.
상기 상부제2가위연결고무(200-10)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제2가위(2)의 가위연결고리(9)에 끼워지게 되면, 상기 파지부(2-1)를 작동시킬 때, 상기 파지부(2-1)의 작동과 함께 상기 상부제2가위(200)도 함께 작동되게 된다.
또한, 상기 상부제2가위(200)는, 도 5-c에서 보는 바와 같이 탄성판(8)이 더 구비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상기 탄성판(8)은 상기 상부제2가위연결부(200-3)의 중앙부에 사각형태의 홈으로 형성된 상부제2가위탄성판안치부(200-60)에 안치시키게 되며, 상기 상부제2가위탄성판안치부(200-60)의 양측면에는 두 개의 상부제2가위탄성판고정홈(200-50)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상부제2가위탄성판고정홈(200-50)에 상기 탄성판(8)을 끼우게 되면 상기 탄성판(8)이 안정되게 고정되게 된다.
삭제
조립 및 사용방법은
하부제2가위(2)의 하부제2가위연결부(2-3)의 중앙 일측에 설치된 사각형태의 홈 형상의 하부제2가위탄성판안치부(2-60)의 양측면에 설치된 하부제2가위탄성판고정홈(2-50)에 탄성판(8)을 삽입시켜 고정시켜 준비한 다음,
중간제2가위(20)의 중간제2가위연결부(20-3)의 중앙 일측에 설치된 사각형태의 홈 형상의 중간제2가위탄성판안치부(20-60)의 양측면에 설치된 중간제2가위탄성판고정홈(20-50)에 탄성판(8)을 삽입시켜 고정시켜 준비하고,
상부제2가위(200)의 상부제2가위연결부(200-3)의 중앙 일측에 설치된 사각형태의 홈 형상의 중간제2가위탄성판안치부(200-60)의 양측면에 설치된 중간제2가위탄성판고정홈(200-50)에 탄성판(8)을 삽입시켜 고정시켜 준비한 후에,
상기와 같이 준비된 하부제2가위(2)의 상부에 하부제1가위(1)를 위치시키되,
하부제2가위연결부(2-3)의 하부제2가위통공부(2-4)의 상부에 중앙에 통공부가 형성된 연결부(70)를 위치시키고, 상기 연결부(70)의 통공에 하부제1가위연결부(1-3)의 하부제1가위통공부(1-4)를 일치시켜 준비한 다음,
상기 하부제1가위연결부(1-3)의 하부제1가위통공부(1-4)의 상부에 다른 연결부(70)를 위치시킨 다음,
상기 다른 연결부(70)의 상부에 상기와 같이 준비된 중간가위(20)의 중간제2가 위통공부(20-4)를 위치시킴과 동시에,
상기 중간제2가위(10)의 중간제2가위연결부(20-3)의 끝단부에 설치된 중간제2가위연결고무(20-10)를 하부제2가위(2)의 가위연결고리(9)에 삽입시켜 연결한 후에,
중간제2가위(20)의 상부에 중간제1가위(10)를 위치시키되,
중간제2가위연결부(20-3)의 중간제2가위통공부(20-4)의 상부에 중앙에 통공부가 형성된 연결부(70)를 위치시키고, 상기 연결부(70)의 통공에 중간제1가위연결부(10-3)의 중간제1가위통공부(10-4)를 일치시켜 준비한 다음,
상기 중간제1가위연결부(10-3)의 중간제1가위통공부(10-4)의 상부에 다른 연결부(70)를 위치시킨 다음,
상기 다른 연결부(70)의 상부에 상기와 같이 준비된 상부가위(200)의 상부제2가위통공부(200-4)를 위치시킴과 동시에,
상기 상부제2가위(200)의 중간제2가위연결부(20-3)의 끝단부에 설치된 상부제2가위연결고무(200-10)를 하부제2가위(2)의 가위연결고리(9)에 삽입시켜 연결한 다음,
상부제2가위(200)의 상부에 상부제1가위(100)를 위치시키되,
상부제2가위연결부(200-3)의 상부제2가위통공부(200-4)를 일치시킨 후에 상기 베어링이 내장된 힌지(50)를 관통시켜, 상기 3쌍의 가위의 회전운동을 자유롭도록 고정하여 조립하였다.
사용방법은 본 발명에 따른 미용가위를 머릿결에 대해서 직각이 되도록 즉, 지면과 수평(horizontal)이 되도록 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머릿결이 그대로 잘라지는 것이 아니라 가위의 접촉부위에 따라 머리카락이 서로 어긋나게 단차를 주면서 절단되도록 하여 전체적으로 잘라진 머릿결의 형상이 보다 부드러운 느낌을 주면서 머리카락의 숱이 일정 부분 정돈되도록 함으로써 머릿결이 단순히 절단되는 종래의 경우에 비해서 한층 절단된 부분의 머리 스타일을 사용자가 원하는 모습으로 다듬도록 할 수가 있고, 또 한 무더기의 머리카락을 한손으로 들어 올리듯이 잡고, 이러한 상태에서 미용가위를 머리카락의 중간 부위에 넣은 다음에 본 발명에 따른 미용가위를 머릿결에 대해서 거의 평행 즉, 지면에 대해서 수직(vertical)이 되도록 위치시킨 상태에서 미용가위를 작동시키게 되면, 미용가위가 접촉되는 부분의 머리카락이 조금씩 잘라져 나오면서 전체적으로 머리카락의 숱이 원하는 만큼씩 제거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미용 가위는 머리카락에 대해서 직각이 되도록 유지한 상태에서 또는 머리카락과 평행이 되도록 한 상태에서 미용사가 원하는 상태로 사용할 수가 있고, 또 머리카락의 손질을 원하는 임의의 부분에 대해서 사용자가 원하는 스타일로 머리카락을 손질할 수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미용가위에 대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미용가위에 대한 평면도와 배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미용가위의 톱날 형상을 가지는 제1가위의 분해 상세도
도 4는 본 발명의 미용가위의 평평한 절단날부를 가지는 제2가위의 분해 상세도
도 5는 본 발명의 미용가위에 대헤서 탄성판을 끼운 세부 상세도
도 6은 본 발명의 미용가위의 측면도
삭제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하부제1가위(1), 파지부(1-1,2-1), 손가락지지대(1-2), 하부제1가위연결부(1-3), 하부제1가위통공부(1-4), 하부제1가위절단날부(1-5),
하부제2가위(2), 하부제2가위연결부(2-3), 하부제2가위통공부(2-4), 하부제2가위절단날부(2-5), 하부제2가위탄성판고정홈(2-50), 하부제2가위탄성판안치부(2-60), 탄성판(8), 가위연결고리(9),
중간제1가위(10), 중간제1가위연결부(10-3), 중간제1가위통공부(10-4), 중간제1가위절단날부(10-5), 중간제1가위연결고무(10-10),
중간제2가위(20), 중간제2가위연결부(20-3), 중간제2가위통공부(20-4), 중간제2가위절단날부(20-5), 중간제2가위연결고무(20-10), 중간제2가위탄성판고정홈(20-50), 중간제2가위탄성판안치부(20-60),
힌지(50), 연결부(70), 상부제1가위(100), 상부제1가위연결부(100-3), 상부제1가위통공부(100-4), 상부제1가위절단날부(100-5), 상부제1가위연결고무(100-10),
삭제
상부제2가위(200), 상부제2가위연결부(200-3), 상부제2가위통공부(200-4), 상부제2가위절단날부(200-5), 상부제2가위연결고무(200-10), 상부제2가위탄성판고정홈(200-50), 상부제2가위탄성판안치부(200-60),

Claims (9)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다중의 절단날을 갖는 미용 가위에 있어서,
    하부, 중간, 상부를 구성하는 3쌍의 가위가 서로 이격된 절단 평면을 가지면서 하나의 힌지(50)에 상호 교차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3쌍의 가위 중에서 하부에 위치한 한쌍의 하부가위는, 하부제2가위(2)와, 상기 하부제2가위(2)의 상부에 위치하는 하부제1가위(1)로 구성되고,
    상기 하부제2가위(2)는,
    일측 끝단에 구비된 파지부(2-1);
    평평한 절단날부를 가지는 하부제2가위절단날부(2-5); 및
    상기 파지부(2-1)와 상기 하부제2가위절단날부(2-5) 사이에 형성되는 하부제2가위연결부(2-3);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하부제1가위(1)는,
    일측 끝단에 구비된 파지부(1-1);
    톱니 형상의 날부를 구비한 하부제1가위절단날부(1-5); 및
    상기 파지부(1-1)와 상기 하부제1가위절단날부(1-5) 사이에 형성되는 하부제1가위연결부(1-3);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3쌍의 가위 중에서 중간에 위치한 한쌍의 중간가위는, 중간제2가위(20)와, 상기 중간제2가위(20)의 상부에 위치하는 중간제1가위(10)로 구성되고,
    상기 중간제2가위(20)는, 평평한 절단날부를 가지는 중간제2가위절단날부(20-5)와, 상기 중간제2가위절단날부(20-5)와 인접하여 형성되는 중간제2가위연결부(20-3)로 구성되고,
    상기 중간제1가위(10)는, 톱니 형상의 날부를 구비한 중간제1가위절단날부(10-5)와, 상기 중간제1가위절단날부(10-5)와 인접하여 형성되는 중간제1가위연결부(10-3)로 구성되고,
    상기 3쌍의 가위 중에서 상부에 위치한 한쌍의 상부가위는, 상부제2가위(200)와, 상기 상부제2가위(200)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부제1가위(100)로 구성되며,
    상기 상부제2가위(200)는, 평평한 절단날부를 가지는 상부제2가위절단날부(200-5)와, 상기 상부제2가위절단날부(200-5)와 인접하여 형성되는 상부제2가위연결부(200-3)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제1가위(100)는, 톱니 형상의 날부를 구비한 상부제1가위절단날부(100-5)와, 상기 상부제1가위절단날부(100-5)와 인접하여 형성되는 상부제1가위연결부(100-3)로 구성되고,
    상기 파지부(1-1)를 작동시킬 때는, 상기 파지부(1-1)의 작동과 함께 중간제1가위(10)와 상부제1가위(100)도 함께 연동해서 작동되고,
    상기 파지부(2-1)를 작동시킬 때는, 상기 파지부(2-1)의 작동과 함께 중간제2가위(20)와 상부제2가위(200)도 함께 연동해서 작동되고,
    상기 하부제1가위연결부(1-3)의 일지점에는, 상기 중간제1가위연결부(10-3)와 상부제1가위연결부(100-3)의 일측단이 끼워지도록 하기 위한 가위연결고리(9)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부제2가위연결부(2-3)에는, 상기 중간제2가위연결부(20-3)와 상부제2가위연결부(200-3)가 끼워지도록 하기 위한 가위연결고리(9)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3쌍의 가위중 각 쌍의 가위의 길이는 하부, 중간, 상부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짧게 형성된 구조를 이루며,
    상기 중간제1가위절단날부(10-5)와 상부제1가위절단날부(100-5)의 톱날의 위치는 지그재그가 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가위.
  6. 삭제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중간제1가위연결부(10-3)와 상부제1가위연결부(100-3)가 상기 가위연결고리(9)에 끼워지는 부분에는 각각 중간제1가위연결고무(10-10)와 상부제1가위연결고무(100-10)가 씌워지고,
    상기 중간제2가위연결부(20-3)와 상부제2가위연결부(200-3)가 상기 가위연결고리(9)에 끼워지는 부분에는 각각 중간제2가위연결고무(20-10)와 상부제2가위연결고무(200-10)가 씌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가위.
  8. 삭제
  9. 삭제
KR1020080000589A 2008-01-03 2008-01-03 미용가위 KR1009457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0589A KR100945738B1 (ko) 2008-01-03 2008-01-03 미용가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0589A KR100945738B1 (ko) 2008-01-03 2008-01-03 미용가위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8156A Division KR100929864B1 (ko) 2009-08-24 2009-08-24 미용가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4893A KR20090074893A (ko) 2009-07-08
KR100945738B1 true KR100945738B1 (ko) 2010-03-05

Family

ID=413321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0589A KR100945738B1 (ko) 2008-01-03 2008-01-03 미용가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573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9760A (ko) * 1997-01-28 1998-10-26 히라카와하찌로오 이용가위
KR200240224Y1 (ko) * 2001-04-30 2001-10-12 김민수 이미용 가위
KR200284239Y1 (ko) * 2002-03-08 2002-08-10 김형복 이·미용 가위
KR100730312B1 (ko) * 2006-06-01 2007-06-19 전동호 가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9760A (ko) * 1997-01-28 1998-10-26 히라카와하찌로오 이용가위
KR200240224Y1 (ko) * 2001-04-30 2001-10-12 김민수 이미용 가위
KR200284239Y1 (ko) * 2002-03-08 2002-08-10 김형복 이·미용 가위
KR100730312B1 (ko) * 2006-06-01 2007-06-19 전동호 가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4893A (ko) 2009-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270155B1 (en) A manual safety straight razor having double-sided blades
US10005192B2 (en) Electric hair clipper
JP3581847B2 (ja) 整髪用鋏組合せ構造
JP3581845B2 (ja) 整髪用鋏組合せ構造
CA2917945C (en) Electric hair clipper
US7565746B2 (en) Hairdressing scissors
KR100945738B1 (ko) 미용가위
KR100582029B1 (ko) 미용가위
JP2003169975A (ja) 重ねて組合せ可能な整髪用鋏の構造
KR100929864B1 (ko) 미용가위
JP3398353B2 (ja) 散髪用鋏
US6247234B1 (en) Razor and blade
KR200348034Y1 (ko) 집게 본체 양측 가위식 손톱깍기
TWI276521B (en) A stackable barber scissors
US20220369786A1 (en) Hair cutting device
US20060272160A1 (en) Hairdressing scissors and connecting member thereof
JPH0510783Y2 (ko)
US20070044318A1 (en) Hairdressing scissors
TWI276519B (en) A stackable barber scissors
KR200344669Y1 (ko) 다중의 절단날을 갖는 이미용 가위
EP1892065B1 (en) Hairdressing scissors with connecting device
KR20100010776U (ko) 이발용 가위
JP3029505U (ja) 櫛刈り器
KR100819966B1 (ko) 미용가위
JP3060770U (ja) 重畳可能な理髪用はさ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5

Year of fee payment: 7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8

Year of fee payment: 9

J501 Disposition of invalidation of trial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7100003687;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171124

Effective date: 2018052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2

Year of fee payment: 10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8200005440;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80703

Effective date: 201904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