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4953B1 - 듀얼 밴드 공진기 및 듀얼 밴드 필터 - Google Patents

듀얼 밴드 공진기 및 듀얼 밴드 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4953B1
KR100944953B1 KR1020080043188A KR20080043188A KR100944953B1 KR 100944953 B1 KR100944953 B1 KR 100944953B1 KR 1020080043188 A KR1020080043188 A KR 1020080043188A KR 20080043188 A KR20080043188 A KR 20080043188A KR 100944953 B1 KR100944953 B1 KR 1009449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onator
signal input
line
output line
dual b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31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99811A (ko
Inventor
다이스케 고이즈미
게이 사토
쇼이치 나라하시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도코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도코모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도코모
Publication of KR200800998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98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49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49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7/00Multiple-port networks comprising only passive electrical elements as network components
    • H03H7/01Frequency selective two-port networ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00Auxiliary devices
    • H01P1/20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 H01P1/201Filters for transverse electromagnetic waves
    • H01P1/203Strip line filt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00Auxiliary devices
    • H01P1/20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 H01P1/201Filters for transverse electromagnetic waves
    • H01P1/2013Coplanar line filt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7/00Resonators of the waveguide type
    • H01P7/08Strip line resonato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9/00Networks comprising electromechanical or electro-acoustic devices; Electromechanical resonators
    • H03H9/46Filt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ontrol Of Motors That Do Not Use Commutators (AREA)

Abstract

신호 입출력선(101)은 신호를 입출력한다. 제1 공진부(102)는 일단이 신호 입출력선(101)에 접속되고 타단이 개방단이다. 제2 공진부(103)는 일단이 지도체(105)에 접속되고 타단이 개방단이다. 접속 선로(104)는 신호 입출력선(101)과 제1 공진부(102)와의 접속점과 제2 공진부(103) 상의 소정의 한점과의 사이를 접속하는 미리 정해진 길이의 선로이다.
Figure R1020080043188
주파수, 공진부, 신호 입출력선, 지도체, 공진기. 듀얼 밴드 필터

Description

듀얼 밴드 공진기 및 듀얼 밴드 필터{DUAL BAND RESONATOR AND DUAL BAND FILTER}
본 발명은 주로 마이크로파대·밀리파대의 평면 회로에 사용되는 듀얼 밴드 공진기 및 듀얼 밴드 필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 통과 대역을 2개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밴드 필터에는 크게 나누어 2개의 구성 방법이 존재한다.
하나는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은 외견상 하나의 형상이고 2개의 주파수에서 공진하는 듀얼 밴드 공진기가 사용되고, 그들이 입출력 포트와 결합되어, 또한 몇 개가 연속됨으로써 필터를 구성하는 것이다(예컨대 비 특허 문헌 1 참조). 이 필터에서는 입출력 선로와 결합하는 양단의 듀얼 밴드 공진기는 2개의 대역 각각의 원하는 중심 주파수 및 대역폭을 만족시키도록 결합부의 구조 및 치수를 결정할 필요가 있다.
다른 하나는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임피던스와 선로 길이를 갖는 전송 선로의 단부끼리를 몇 개 접속하여 필터를 구성하는 것이다(예컨대 비 특허 문헌 2 참조). 이 필터에서는 집중 상수 소자를 이용한 등가 회로 이론에 기 초하여 필터를 구성하는 각 전송 선로의 특성 임피던스 및 길이를 결정하여 듀얼 밴드 필터의 특성을 얻고 있다.
[비 특허 문헌 1] S. Sun, L. Zhu, "Novel Design of Microstrip Bandpass Filters with a Controllable Dual-Passband Response: Description and Implimentation," IEICE Trans. Electron, vol. E89-C, no. 2, pp. 197-202, February 2006
[비 특허 문헌 2] X. Guan, Z. Ma, P. Cai, Y. Kobayashi, T. Anada and G. Hagiwara, "Synthesizing Microstrip Dual-Band Bandpass Filters Using Frequency Transformation and Circuit Conversion Tecnique," IEICE Trans Electron, vol. E89-C, no. 4, pp. 495-502, April 2006,
일반적으로 듀얼 밴드 필터는 2개의 통과 대역에 대하여 각각 중심 주파수와 대역폭을 설정하여야 하며, 즉 총 4개의 특성값을 제어하여야 한다. 그러나, 도 14에 도시한 듀얼 밴드 필터는 단일한 부위의 구조 및 치수에 의해서만 4개의 특성값을 제어하여야 한다. 따라서, 4개의 특성값의 설계 자유도를 높게 유지한 채 듀얼 밴드 필터를 설계·구성하기가 어려웠다.
또한 도 15에 도시한 듀얼 밴드 필터는 입출력의 전송 선로끼리가 직접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원하는 통과 대역 이외의 불필요한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충분히 완전히 필터링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어, 그들의 불필요한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모두 차단하려면 또 하나의 별도의 대역 통과 필터를 사용할 필요가 있었다. 더욱이, 모두가 어떤 길이의 전송 선로의 단부끼리를 접속한 구조이기 때문에, 필터의 소형화라는 관점에서도 불리하였다.
본 발명의 과제는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의 해소, 즉 2개의 통과 대역 각각의 중심 주파수와 대역폭의 총 4개의 특성값의 설계 자유도가 높고, 원하는 통과 대역 이외의 불필요한 신호를 대략 차단하는 특성을 가지며, 더욱이 소형화가 가능한 듀얼 밴드 필터를 실현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공진기는 신호 입출력선, 제1 공진부, 제2 공진부 및 접속 선로로 구성된다.
신호 입출력선은 신호를 입출력한다. 제1 공진부는 일단이 상기 신호 입출력선에 접속되고 타단이 개방단이다. 제2 공진부는 일단이 지도체에 접속되고 타단이 개방단이다. 접속 선로는 상기 신호 입출력선과 상기 제1 공진부와의 접속점과 상기 제2 공진부 상의 소정의 한점과의 사이를 접속하는 미리 정해진 길이의 선로이다.
2개의 통과 대역 각각의 중심 주파수와 신호 입출력선과 공진기와의 사이의 외부 결합량으로부터 결정되는 대역폭에 대하여 상호의 값의 설정 자유도를 내리지 않고 임의의 중심 주파수 및 대역폭으로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며, 또한 원하는 통과 대역 이외의 불필요한 신호를 효과적으로 차단하는 것이 가능하며, 더욱이 소형화가 가능한 듀얼 밴드 필터를 실현할 수 있다.
〔제1 실시 형태〕
도 1은 제1 실시 형태의 공진기의 구성예이다. 또한, 도면의 색이 칠해진 부분에 도체가 존재하고, 색이 칠해진 부분에 에워싸인 색이 없는 부분이 도체 하면의 유전체 기판이 노출된 부분을 나타내고 있다. 이후, 이 설명은 모든 도면에 적용된다.
공진기(100)는 신호 입출력선(101), 제1 공진부(102), 제2 공진부(103) 및 제1 접속 선로(104)를 구비하며, 양측에 지도체(105)를 배치한 코플래너 평면 회로 내에 구성된다.
신호 입출력선(101)은 이로부터 신호의 입출력을 행한다. 제1 공진부(102)는 일단이 신호 입출력선(101)에 접속되고 타단이 개방되어 있다. 제2 공진부(103)는 일단이 접속점(C)에 있어서 지도체(105)에 접속되고 타단이 개방되어 있다. 또한, 제1 공진부(102) 및 제2 공진부(103)는 각각 서로 다른 공진 주파수를 갖는다. 제1 접속 선로(104)는 일단이 신호 입출력선(101)과 제1 공진부(102)와의 접속점(A)에 접속되고, 타단이 제2 공진부(103) 상의 소정의 접속점(B)에 접속되는 선로이다.
도 1의 구성에서는 상측의 제2 공진부(103)는 절곡되어 배치됨으로써 하측의 제1 공진부(102)와 비교하여 길게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제2 공진부(103)는 제1 공진부(102)와 비교하여 낮은 주파수에서 공진하고, 제1 공진부(102)는 높은 주파수에서 공진한다.
제1 공진부(102)와 제2 공진부(103)를 근접하여 배치함과 아울러, 제1 접속 선로(104)에 의해 서로 접속함으로써 2개의 공진기는 유도적으로 여진된다. 이러한 구성을 취함으로써 제1 접속 선로(104)와 제2 공진부(103)와의 접속점(B)의 위치를 변경하여 경로 길이 BC(접속점(B)부터 접속점(C)까지의 거리)를 변화시킴으로써 제2 공진부에 해당하는 통과 대역의 대역폭을 결정하는 외부 결합량을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제1 접속 선로(104)의 길이 AB(접속점(A)부터 접속점(B)까지의 거리)를 변경하여 경로 길이 ABC(접속점(A)부터 접속점(B)을 거쳐 접속점(C)에 이르기까지의 거리)를 변화시킴으로써 제1 공진부에 해당하는 통과 대역의 대역폭을 결정하는 외부 결합량을 조정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경로 길이 BC 및 경로 길이 ABC를 적당히 변경함으로써 2개의 통과 대역의 대역폭을 각각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2개의 통과 대역의 중심 주파수에 대해서도 제1, 제2 공진부 자체의 형상을 변경함으로써 각각 조정이 가능하다.
〔변형예〕
도 2는 제1 실시 형태의 공진기의 변형예이다.
도 1의 구성에서는, 제2 공진부(103)는 절곡되어 배치됨으로써 직선 형상의 제1 공진부(102)와 비교하여 길게 되어 있는데, 도 2에서는 반대로 제1 공진부(102)가 절곡되어 배치됨으로써 직선 형상의 제2 공진부(103)와 비교하여 길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1 공진부와 제2 공진부의 장단을 반대로 하여도 어느 공진부가 높은(또는 낮은) 주파수에서 공진하는지가 반대가 될 뿐, 그 이외의 작용 효과에 대해서는 동일하다. 따라서, 실장시의 사정에 따라 어느 구성을 취하여도 무방하다.
〔제2 실시 형태〕
도 3은 제2 실시 형태의 공진기의 구성예이다.
공진기(200)는 신호 입출력선(101), 제1 공진부(202), 제2 공진부(203) 및 제1 접속 선로(104)로 구성된다. 신호 입출력선(101), 제1 접속 선로(104)는 앞에서 설명한 제1 실시 형태에서 적용되는 것과 동일하다. 따라서, 도 3에서 도 1과 동일한 명칭·기능을 갖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참조 번호를 붙이고 설명은 생략한다. 그 밖의 도면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한다.
제1 공진부(202) 및 제2 공진부(203)에 대해서도 제1 공진부(202)의 일단이 신호 입출력선(101)에 접속되고 타단이 개방되어 있으며, 제2 공진부(203)의 일단이 접속점(C)에 있어서 지도체(105)에 접속되고 타단이 개방되어 있다는 점에서, 또한 제1 공진부(202) 및 제2 공진부(203)가 각각 서로 다른 공진 주파수를 갖는다는 점에서 제1 실시 형태의 제1 공진부(102) 및 제2 공진부(103)와 동일하다.
다만, 제2 실시 형태는 제1 공진부(202)와 제2 공진부(203)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개방단의 선로폭이 타단의 선로폭에 비하여 넓은 스텝 임피던스 구조로 하는 것이다.
스텝 임피던스 구조로 함으로써 2개의 통과 대역의 중심 주파수를 변화시키고자 하는 경우에, 공진기의 물리적 길이를 연장하지 않고 공진기의 전기적 길이를 연장할 수 있기 때문에 공진기의 소형화가 가능해진다. 또한 스텝 임피던스 구조 부분의 길이와 폭과의 조합을 변화시킴으로써 유연하게 중심 주파수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도 제1 실시 형태의 변형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공진부와 제2 공진부의 길이는 어느 것이 길어도 무방하다.
〔제3 실시 형태〕
도 4는 제3 실시 형태의 공진기의 구성예이다.
공진기(300)는 신호 입출력선(101), 제1 공진부(302), 제2 공진부(303) 및 제1 접속 선로(104)로 구성된다. 신호 입출력선(101), 제1 접속 선로(104)는 앞에서 설명한 제1 실시 형태에서 적용되는 것과 동일하다.
제1 공진부(302) 및 제2 공진부(303)에 대해서도 제1 공진부(302)의 일단이 신호 입출력선(101)에 접속되고 타단이 개방되어 있으며, 제2 공진부(303)의 일단이 접속점(C)에 있어서 지도체(105)에 접속되고 타단이 개방되어 있다는 점에서, 또한 제1 공진부(302) 및 제2 공진부(303)가 각각 서로 다른 공진 주파수를 갖는다는 점에서 제1 실시 형태의 제1 공진부(102) 및 제2 공진부(103)와 동일하다.
다만, 제3 실시 형태는 제1 공진부(302)와 제2 공진부(303)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형상을 여러번 접은 미앤더(meander) 구조로 하는 것이다. 도 4는 제2 공진부(303)만을 미앤더 구조로 한 예이다.
공진부를 미앤더 구조로 함으로써 어느 외형 치수에 있어서 보다 긴 공진기를 수용할 수 있기 때문에 공진기의 소형화가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도 제1 실시 형태의 변형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공진부와 제2 공진부의 길이는 어느 것이 길어도 무방하다.
〔제4 실시 형태〕
도 5는 제4 실시 형태의 공진기의 구성예이다.
공진기(400)는 신호 입출력선(101), 제1 공진부(402), 제2 공진부(403) 및 제1 접속 선로(104)로 구성된다. 신호 입출력선(101), 제1 접속 선로(104)는 앞에서 설명한 제1 실시 형태에서 적용되는 것과 동일하다.
제1 공진부(402) 및 제2 공진부(403)에 대해서도 제1 공진부(402)의 일단이 신호 입출력선(101)에 접속되고 타단이 개방되어 있으며, 제2 공진부(403)의 일단이 접속점(C)에 있어서 지도체(105)에 접속되고 타단이 개방되어 있다는 점에서, 또한 제1 공진부(402) 및 제2 공진부(403)가 각각 서로 다른 공진 주파수를 갖는다는 점에서 제1 실시 형태의 제1 공진부(102) 및 제2 공진부(103)와 동일하다.
다만, 제4 실시 형태는 제1 공진부(402)와 제2 공진부(403)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형상을 접힌 스파이럴형 구조로 하는 것이다. 도 5는 제2 공진부(403)만을 접힌 스파이럴 구조로 한 예이다.
공진부를 뒤집어 접힌 스파이럴 구조로 함으로써 제3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어느 외형 치수에 있어서 보다 긴 공진기를 수용할 수 있기 때문에 공진기의 소형화가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도 제1 실시 형태의 변형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공진부와 제2 공진부의 길이는 어느 것이 길어도 무방하다.
〔제5 실시 형태〕
도 6은 제5 실시 형태의 공진기의 구성예이다.
공진기(500)는 신호 입출력선(101), 제1 공진부(102), 제2 공진부(103), 제1 접속 선로(104), 제3 공진부(501) 및 제2 접속 선로(502)로 구성된다. 신호 입출력선(101), 제1 공진부(102), 제2 공진부(103) 및 제1 접속 선로(104)는 앞에서 설명한 제1 실시 형태에서 적용되는 것과 동일하다. 또한, 제1 공진부의 형상은 신호 입출력선의 길이 방향의 중심축을 대칭축으로 하여 대칭인 형상이면, 도 6과 같은 직사각형일 수도, 스텝 임피던스 구조 등의 기타 형상일 수도 있으며, 또한 제2 공진부의 형상에는 제1∼ 제4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어느 형상을 적용하여도 좋다.
제3 공진부(501)는 일단이 접속점(C')에 있어서 지도체(105)에 접속되고, 타 단이 개방되어 있다. 제2 접속 선로(502)는 일단이 신호 입출력선(101)과 제1 공진부(102)와의 접속점(A)에 접속되고, 타단이 제3 공진부(501) 상의 소정의 접속점(B')에 접속되는 선로이다.
또한 제3 공진부(501)와 제2 접속 선로(502)는 신호 입출력선(101)의 길이 방향의 중심축을 대칭축으로 하여 각각 제2 공진부(103)와 제1 접속 선로(104)에 대하여 대칭인 위치·형상으로 배치된다. 대칭 배치된 제2 공진부(103)와 제3 공진부(501)는 동일한 주파수에서 일체로 공진하며, 제1 공진부와 제2, 제3 공진부에서 2개의 통과 대역을 갖는 공진기로서 동작한다.
이 구성에서는, 회로가 대칭축에 대하여 선대칭 구조를 이루고 있으므로, 전자계 시뮬레이션을 행할 때의 계산량·계산 시간의 저감이 가능해지고, 또한 불필요한 비대칭의 공진 모드를 억제하여 원하는 통과 대역 이외의 불필요한 신호를 대략 차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7에 도시한 구조에 의해, 경로 길이 BC 및 경로 길이 ABC를 변화시킨 경우의 외부 결합량의 시뮬레이션을 행한 결과를 도 8에 나타내었다.
도 7에 도시한 구조는 제1 공진부의 개방단을 스텝 임피던스 구조로 하고, 제2, 제3 공진부의 개방단을 스텝 임피던스 구조로 함과 아울러 중간부를 스파이럴 구조로 한 것이다. 경로 길이 BC는 L0의 길이를 조정함으로써 변화될 수 있으며, 경로 길이 ABC는 W0의 길이를 더 조정함으로써 변화될 수 있다.
시뮬레이션에 있어서는, (1)L0을 0으로 고정하고 W0을 0.8∼3.84까지 변화시킨 경우, (2)L0을 2.24로 고정하고 W0을 0.8∼3.84까지 변화시킨 경우, (3)W0을 0.8로 고정하고 L0을 0∼224까지 변화시킨 경우, (4)W0을 3.84로 고정하고 L0을 0∼2.24까지 변화시킨 경우의 4가지에 대하여 제1 공진부의 통과 대역의 외부 결합량(Qea), 제2 공진부의 통과 대역의 외부 결합량(Qeb)이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확인하였다. 또한, 계산은 유전체 기판의 비유전률을 9.68, 유전체 기판 두께를 0.5mm, 기판 상부 공간의 높이 40mm, 기판 하부 공간의 높이를 35mm로 하여 행하였다.
도 8에 도시한 시뮬레이션 결과로부터, 4개의 선으로 둘러싸인 내측의 범위의 외부 결합량(Qea, Qeb)의 조합이면, L0을 0∼2.24, W0을 0.8∼3.84 중에서 적당히 선택함으로써 임의로 조정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L0, W0을 변화시킴으로써 외부 결합량(Qea, Qeb)을 모두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외부 결합량(Qea, Qeb)이 클수록 통과 대역은 좁아지고, 작을수록 통과 대역은 넓어진다.
이 시뮬레이션에서는 파라미터를 L0, W0의 길이로서 정의하였으나, 경로 길이 BC 또는 경로 길이 ABC를 변경시킬 수 있는 정의의 방법이면, 파라미터는 어떻게 정의하여도 무방하다.
〔제6 실시 형태〕
도 9는 제6 실시 형태의 공진기의 구성예이다.
공진기(600)는 신호 입출력선(101), 제1 공진부(102), 제2 공진부(103), 제1 접속 선로(104) 및 비어 홀(601)을 구비하며, 비어 홀(601) 이외에는 앞에서 설명한 제1 실시 형태에서 적용되는 것과 동일하다.
비어 홀(601)은 기판 표면에 형성되는 제2 공진부(103)와 기판 이면에 형성되는 지도체(602)와의 전기적 도통을 확보하기 위하여 기판에 형성되는 관통구멍이다.
제1 실시 형태의 공진기(100)는 양측에 지도체(105)를 배치한 코플래너 평면 회로로서 구성되는 데 반해, 제6 실시 형태의 공진기(600)는 기판 표면(도 9A)에 회로를 형성하고, 기판 이면(도 9B)에 지도체(602)를 형성한 마이크로스트립 구조에 의해 구성된다.
마이크로스트립 구조에서는 비어 홀을 형성할 필요가 있으며, 또한 기판 양면에 도체를 실시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한쪽 면만으로 충분한 코플래너 구조보다 비용면에서 다소 불리한 점이 있다. 그러나, 지도체가 모두 기판 이면에 존재하기 때문에 원래의 회로의 특성에 그다지 영향을 주지 않고 추가적인 기능을 부가하기 위한 선로를 공진기의 옆에 용이하게 추가할 수 있는 점에 있어서 코플래너 구조보다 뛰어나다.
또한, 제2∼제5 실시 형태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마이크로스트립 구조에 의해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7 실시 형태〕
제1∼제6 실시 형태 중 어느 하나 또는 그들을 조합한 구조를 갖는 공진기를 양단에 배치하여 다단화함으로써 듀얼 밴드 필터를 구성할 수 있다.
도 10은 제1 공진부에 제3 실시 형태의 미앤더 구조, 제2 공진부에 제4 실시 형태의 스파이럴 구조를 적용하고, 또한 각각의 개방단에 제2 실시 형태의 스텝 임 피던스 구조를 적용한 공진기를 양단에 갖는 4단 듀얼 밴드 필터의 구성예이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필터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도 11은 도 6에 도시한 제5 실시 형태의 구조에 제2 실시 형태의 스텝 임피던스 구조를 조합한 공진기를 양단에 갖는 4단 듀얼 밴드 필터의 구성예이다. 회로 패턴 전체가 횡방향의 축에 대하여 선대칭 구조를 이루고 있으므로 전자계 시뮬레이션을 행할 때의 계산량·계산 시간을 저감할 수 있고, 또한 불필요한 비대칭의 공진 모드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공진기에 스텝 임피던스 구조, 미앤더 구조를 적용함으로써 필터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도 12에 도시한 구조에 의해 필터의 전기 특성의 시뮬레이션을 행한 결과를 도 13에 도시하였다. 도 12는 제1 공진부의 개방단을 스텝 임피던스 구조로 하고 제2, 제3 공진부의 개방단을 스텝 임피던스 구조로 함과 아울러 중간부를 스파이럴 구조로 한 공진기를 2개 대향시킨 2단 듀얼 밴드 필터이다.
도 13은 1GHz∼5GHz까지의 입력 신호에 대한 도 12의 구조의 필터의 반사 특성(S11: 가는선) 및 통과 특성(S21: 굵은선)의 시뮬레이션 결과이다. 이 결과로부터, 양 외측에 배치된 제2 공진부, 제3 공진부가 일체로 만든 통과 대역이 2.1GHz 부근에 형성되고, 중앙의 대칭축 상에 배치된 제1 공진부가 만든 통과 대역이 3.7GHz 부근에 형성되며, 또한 원하는 통과 대역 이외의 불필요한 신호를 대략 차단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산업상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은 주로 마이크로파대·밀리파대의 평면 회로를 듀얼 밴드 대응의 회로로서 구성하는 경우의 구성 요소로서 유용하다.
도 1은 제1 실시 형태의 공진기의 구성예의 평면도.
도 2는 제1 실시 형태의 변형예의 평면도.
도 3은 제2 실시 형태의 공진기의 구성예의 평면도.
도 4는 제3 실시 형태의 공진기의 구성예의 평면도.
도 5는 제4 실시 형태의 공진기의 구성예의 평면도.
도 6은 제5 실시 형태의 공진기의 구성예의 평면도.
도 7은 제5 실시 형태의 특성 시뮬레이션에 이용한 구성의 평면도.
도 8은 제5 실시 형태의 특성 시뮬레이션 결과를 보인 도면.
도 9A는 제6 실시 형태의 공진기의 구성예의 표면도.
도 9B는 제6 실시 형태의 공진기의 구성예의 이면도.
도 10은 제7 실시 형태의 듀얼 밴드 필터의 구성예의 평면도.
도 11은 제7 실시 형태의 다른 듀얼 밴드 필터의 구성예의 평면도.
도 12는 제7 실시 형태의 특성 시뮬레이션에 이용한 구성의 평면도.
도 13은 제7 실시 형태의 특성 시뮬레이션 결과를 보인 도면.
도 14는 종래의 듀얼 밴드 필터의 구성예의 평면도.
도 15는 종래의 다른 듀얼 밴드 필터의 구성예의 평면도.

Claims (10)

  1. 서로 다른 주파수에서 공진하는 2개의 공진부를 갖는 공진기로서,
    신호를 입출력하는 신호 입출력선과,
    일단이 상기 신호 입출력선에 접속되고, 타단이 개방되어 있는 제1 공진부와,
    일단이 지도체에 접속되고, 타단이 개방되어 있는 제2 공진부와,
    상기 신호 입출력선과 상기 제1 공진부와의 접속점(A)과 상기 제2 공진부의 소정의 한점(B)과의 사이를 접속하는 미리 정해진 길이의 제1 접속 선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진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공진부 또는 상기 제2 공진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개방단의 선로폭이 타단의 선로폭에 비하여 넓게 되어 있는 스텝 임피던스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진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공진부 또는 상기 제2 공진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미앤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진기.
  4. 제 1 항 또는 제 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공진부 또는 상기 제2 공진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스파이럴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진기.
  5. 제 1 항 또는 제 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입출력선의 길이 방향의 중심축을 대칭축으로 하여,
    상기 대칭축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2 공진부와 대칭인 위치·형상으로 배치된 제3 공진부와,
    상기 대칭축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접속 선로와 대칭인 위치·형상으로 배치된 제2 접속 선로를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진기.
  6. 제 1 항 또는 제 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공진부와 상기 제2 공진부가 동시에 유도적으로 여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진기.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공진부와 상기 제2 공진부와 상기 제3 공진부가 동시에 유도적으로 여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진기.
  8. 제 1 항 또는 제 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양측에 지도체를 배치한 코플래너 평면 회로 내에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진기.
  9. 제 1 항 또는 제 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지도체를 기판의 이면에 배치한 마이크로스트립 구조에 의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진기.
  10. 제 1 항 또는 제 2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공진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밴드 필터.
KR1020080043188A 2007-05-10 2008-05-09 듀얼 밴드 공진기 및 듀얼 밴드 필터 KR10094495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00125721 2007-05-10
JP2007125721A JP4758942B2 (ja) 2007-05-10 2007-05-10 デュアルバンド共振器およびデュアルバンドフィル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9811A KR20080099811A (ko) 2008-11-13
KR100944953B1 true KR100944953B1 (ko) 2010-03-02

Family

ID=394932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3188A KR100944953B1 (ko) 2007-05-10 2008-05-09 듀얼 밴드 공진기 및 듀얼 밴드 필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710222B2 (ko)
EP (1) EP1990863B1 (ko)
JP (1) JP4758942B2 (ko)
KR (1) KR100944953B1 (ko)
CN (1) CN101304108B (ko)
DE (1) DE602008000100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60498B2 (ja) * 2008-02-22 2012-10-31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デュアルバンド帯域通過型共振器およびデュアルバンド帯域通過型フィルタ
CN101944645A (zh) * 2010-08-19 2011-01-12 华东交通大学 一种基于dgw结构的微带s波段带通滤波器
CN102522615B (zh) * 2011-12-01 2014-11-12 华南理工大学 小型化的低通带可调的双通带带通滤波器
KR101258034B1 (ko) * 2011-12-20 2013-04-24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계단형 임피던스 공진기를 이용한 마이크로스트립 이중대역 대역통과 필터
US9331391B2 (en) * 2012-02-14 2016-05-03 Htc Corporation Mobile device
US9331379B2 (en) * 2012-02-14 2016-05-03 Htc Corporation Mobile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20130249764A1 (en) * 2012-03-23 2013-09-26 Her Majesty The Queen In Right Of Canada, As Represented By The Minister Of Industry Compact planar inverted f-antenna for multiband communication
US9698461B2 (en) * 2013-04-18 2017-07-04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Resonant coupler
JP2015076661A (ja) 2013-10-07 2015-04-20 日本電気株式会社 同軸配線装置及び送受信一体型分波器
TWI568070B (zh) * 2015-05-15 2017-01-21 國立清華大學 微型帶通濾波器
KR20170004235A (ko) * 2015-07-01 2017-01-11 주식회사 이너트론 멀티 채널 멀티플렉서
JP6723076B2 (ja) * 2016-05-31 2020-07-15 キヤノン株式会社 フィルタ
JP7394584B2 (ja) * 2019-10-29 2023-12-08 三菱電機株式会社 振幅イコライザ
KR102180144B1 (ko) 2020-01-08 2020-11-17 유현교 공조기의 양압에 대응하는 커버 프레임
CN112768854B (zh) * 2020-12-29 2021-10-29 西安空间无线电技术研究所 基于阶梯阻抗谐振器的高选择性差分双通带微带滤波器
CN112865716B (zh) * 2020-12-31 2023-03-28 四川天巡半导体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基于多阶梯枝节匹配网络的宽频高效率功率器件
CN114639930B (zh) * 2022-02-25 2023-05-30 中国电子科技集团公司第十研究所 一种高通带隔离的双通带滤波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691443A1 (en) 2005-02-09 2006-08-16 NTT DoCoMo INC. Coupling structure, resonator excitation structure and filter for coplanar-waveguide circuit
EP1760823A1 (en) 2005-09-06 2007-03-07 NTT DoCoMo INC. Coplanar resonator and filter us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27401A (ja) * 1982-01-22 1983-07-29 Nec Corp 帯域通過フイルタ
US6147571A (en) * 1996-07-31 2000-11-14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Dual-band multilayer bandpass filter
JP2005117433A (ja) * 2003-10-08 2005-04-28 Eudyna Devices Inc フィルタ
JP2005223392A (ja) * 2004-02-03 2005-08-18 Ntt Docomo Inc 結合線路およびフィルタ
US7102470B2 (en) * 2004-11-02 2006-09-05 Integrated System Solution Corp. Dual-band bandpass filter with stepped-impedance resonators
JP5060498B2 (ja) * 2008-02-22 2012-10-31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デュアルバンド帯域通過型共振器およびデュアルバンド帯域通過型フィルタ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691443A1 (en) 2005-02-09 2006-08-16 NTT DoCoMo INC. Coupling structure, resonator excitation structure and filter for coplanar-waveguide circuit
EP1760823A1 (en) 2005-09-06 2007-03-07 NTT DoCoMo INC. Coplanar resonator and filter u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758942B2 (ja) 2011-08-31
JP2008283452A (ja) 2008-11-20
EP1990863A1 (en) 2008-11-12
CN101304108A (zh) 2008-11-12
US20080278265A1 (en) 2008-11-13
DE602008000100D1 (de) 2009-10-01
CN101304108B (zh) 2012-07-04
US7710222B2 (en) 2010-05-04
EP1990863B1 (en) 2009-08-19
KR20080099811A (ko) 2008-1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4953B1 (ko) 듀얼 밴드 공진기 및 듀얼 밴드 필터
CN110574223A (zh) 滤波器
JP4634912B2 (ja) 可変共振器
JP5039162B2 (ja) 回路素子、可変共振器、可変フィルタ
KR100970418B1 (ko) 듀얼밴드 대역통과형 공진기 및 듀얼밴드 대역통과형 필터
JP2007134781A5 (ko)
JPH10145110A (ja) 複合誘電体フィルタ
JPH09139612A (ja) デュアルモードフィルタ
US8847706B2 (en) Multiband resonator and multiband-pass filter
EP1976052A1 (en) Coplanar waveguide resonator and coplanar waveguide filter using the same
JP5278335B2 (ja) ストリップラインフィルタ
KR101756265B1 (ko) 메타물질을 이용한 복수개의 srr 구조를 갖는 다중 대역 통과 여파기
JP6112675B2 (ja) 伝送線路共振器並びに伝送線路共振器を用いた帯域通過フィルタ、分波器、合成器、帯域阻止フィルタ、高域通過フィルタ、バランス型帯域通過フィルタ及び低域通過フィルタ
JP5094524B2 (ja) 高周波結合線路および高周波フィルタ
JP6913505B2 (ja) デュアルバンド共振器、及び、それを用いたデュアルバンド帯域通過フィルタ
JP4230467B2 (ja) コプレーナライン型の共振器を用いた高周波フィルタ
WO2014161567A1 (en) A waveguide e-plane filter structure
JP4894782B2 (ja) ストリップラインフィルタ
JP3767825B1 (ja) 誘電体装置
JP2007166270A (ja) 短絡手段、および短絡手段を備える先端短絡スタブ、共振器並びに高周波フィルタ
KR19990030747A (ko) 마이크로 스트립 대역 통과 필터
JP2010098406A (ja) ストリップラインフィル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