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4623B1 - Strips for road - Google Patents
Strips for road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944623B1 KR100944623B1 KR1020070117963A KR20070117963A KR100944623B1 KR 100944623 B1 KR100944623 B1 KR 100944623B1 KR 1020070117963 A KR1020070117963 A KR 1020070117963A KR 20070117963 A KR20070117963 A KR 20070117963A KR 100944623 B1 KR100944623 B1 KR 10094462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oad
- auxiliary
- guide rail
- block
- pai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01F15/04—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essentially made of longitudinal beams or rigid strips supported above ground at spaced points
- E01F15/0407—Metal rails
- E01F15/0423—Details of rail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01F15/04—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essentially made of longitudinal beams or rigid strips supported above ground at spaced points
- E01F15/0407—Metal rails
- E01F15/0438—Spacers between rails and posts, e.g. energy-absorb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로 분리대에 관한 것으로서, 도로의 노면에 간격을 두고 기립 설치되는 한 쌍의 메인 포스트와; 상기 한 쌍의 메인 포스트 중 어느 하나의 메인 포스트와 이격하며, 상기 노면에 기립 설치되는 보조 포스트와; 상기 한 쌍의 메인 포스트에 설치되는 속이 빈 통형상의 가이드 블록과; 상호 이격하며 차도를 향하는 면을 따라 배치되는 한 쌍의 가로부재와, 상기 한 쌍의 가로부재를 상호 연결하는 세로부재를 가지며, 일단부가 상기 보조 포스트에 지지되며 타단부가 상기 가이드 블록에 수용되는 가이드 레일과; 상기 가이드 레일의 가로부재에 장착되어, 상기 가이드 레일에 가해지는 충격하중을 완충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차량의 충돌시 충격을 흡수하여 차량 파손 및 인명 피해를 줄일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oad separator, and a pair of main posts standing up at intervals on a road surface of the road; An auxiliary post spaced apart from any one of the main posts of the pair of main posts and standing on the road surface; A hollow cylindrical guide block installed on the pair of main posts; A pair of horizontal member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arranged along a surface facing the roadway, and a vertical member interconnecting the pair of horizontal members, one end of which is supported by the auxiliary post and the other of which is received by the guide block. With guide rails;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elastic member mounted to the horizontal member of the guide rail, cushioning the impact load applied to the guide rail. As a result, shocks may be absorbed when the vehicle collides, thereby reducing vehicle damage and human injury.
Description
본 발명은 도로 분리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충돌시 충격 흡수 기능을 개선한 도로 분리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oad separator, and more particularly, to a road separator that improves the shock absorbing function when a vehicle crashes.
일반적으로 도로는 자동차의 원활한 소통을 위해 차선에 의해 여러 개의 차로로 구획되고, 도로 위를 주행하는 차량은 차선으로 구획된 차로를 따라 질서정연하게 주행함으로써 안전운행을 하게 된다.In general, roads are divided into lanes by lanes for smooth communication of vehicles, and vehicles traveling on the roads drive safely in an orderly manner along lanes partitioned by lanes.
한편, 도로의 중앙분리대, 급커브길이 심한 곳, 산길이나 굴곡이 심한 도로 등에는 차량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방호책으로서 도로 분리대가 설치되고 있다.On the other hand, the road separator is installed as a protective measure to prevent the departure of the vehicle in the center of the road, the place where the sharp curve road is severe, the mountain road or the road is severe.
특히, 고속도로와 같이 차량이 고속으로 주행하는 도로에 설치되는 도로 분리대는 중앙선의 구분을 확실히 함과 동시에, 주행중인 차량이 반대차선으로 넘어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차량과 충돌시 파손을 방지하며 충격을 완화하게 되는 견고성 및 안전성이 요구된다.In particular, road dividers installed on roads where vehicles run at high speeds, such as highways, make sure the centerline is clear, and prevents damage when colliding with the vehicle to prevent the vehicle from traveling in the opposite lane and alleviates shock. Robustness and safety are required.
그런데, 종래의 중앙에 설치되는 도로 분리대는 도로의 중앙부에 장방형의 콘크리트블록을 도로방향을 따라 일렬로 길게 배치된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By the way, the conventional road separator is installed in the form of a rectangular concrete block in the center of the road is arranged in a long line along the road direction.
이러한 도로 분리대는 주행 중이던 자동차가 돌발적인 상황발생이나, 교통사 고 등에 의해 방향을 잃고 반대차선 쪽으로 향하더라도 중앙분리대가 대향방향으로 주행하는 자동차와 충돌하는 최악의 상황을 방지하여야 한다.Such a road divider should prevent the worst situation in which the central divider collides with the car driving in the opposite direction even if the driving vehicle loses its direction due to an accident or a traffic accident and faces the opposite lane.
그러나, 종래의 도로 분리대는 기준치 이상의 하중을 갖는 크기의 철근 콘크리트 블록 등을 노면에 고정시킨 것으로, 차량의 충돌시 충격흡수 기능이 떨어져 그 충격으로 인해 차량 및 도로 분리대의 손상을 초래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차량이 반대 차선으로 튕겨 나가는 등 대형참사를 가중시키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conventional road separator is to fix the reinforced concrete block of the size having a load of more than the reference value on the road surface, the impact absorbing function is reduced when the collision of the vehicle causes the damage to the vehicle and the road separator due to the impact,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that aggravate a catastrophe such as the vehicle bounces in the opposite lane.
상기 배경기술의 문제점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본 발명에 따라, 차량의 충돌시 충격을 흡수하여 차량 파손 및 인명 피해를 줄일 수 있는 도로 분리대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oblem to be solved in the problem of the background a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oad separator that can absorb the impact during the collision of the vehicle to reduce vehicle damage and casualty damage.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은, 본 발명에 따라, 도로의 노면에 간격을 두고 기립 설치되는 한 쌍의 메인 포스트와; 상기 한 쌍의 메인 포스트 중 어느 하나의 메인 포스트와 이격하며, 상기 노면에 기립 설치되는 보조 포스트와; 상기 한 쌍의 메인 포스트에 설치되는 속이 빈 통형상의 가이드 블록과; 상호 이격하며 차도를 향하는 면을 따라 배치되는 한 쌍의 가로부재와, 상기 한 쌍의 가로부재를 상호 연결하는 세로부재를 가지며, 일단부가 상기 보조 포스트에 지지되며 타단부가 상기 가이드 블록에 수용되는 가이드 레일과; 상기 가이드 레일의 가로부재에 장착되어, 상기 가이드 레일에 가해지는 충격하중을 완충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분리대를 제공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ans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and a pair of main posts standing up at intervals on the road surface; An auxiliary post spaced apart from any one of the main posts of the pair of main posts and standing on the road surface; A hollow cylindrical guide block installed on the pair of main posts; A pair of horizontal member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arranged along a surface facing the roadway, and a vertical member interconnecting the pair of horizontal members, one end of which is supported by the auxiliary post and the other of which is received by the guide block. With guide rails; Is provided on the horizontal member of the guide rail, provides a road separato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elastic member for cushioning the impact load applied to the guide rail.
여기서, 상기 가이드 레일의 각 가로부재를 둘러싸며, 상호 상대적으로 접근 및 이격하는 한 쌍의 보조 레일과; 상기 가이드 레일과 상기 보조 레일을 체결하는 체결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a pair of auxiliary rails surrounding each of the horizontal members of the guide rail, and relatively close to each other and spaced;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 fastening means for fastening the guide rail and the auxiliary rail.
상기 메인 포스트는, 상기 가이드 블록이 관통하는 블록 관통공과, 상기 블록 관통공에 인접하게 마련되어, 상기 한 쌍의 메인 포스트 사이에서 왕복이동하는 상기 가이드 블록과 구름 접촉하는 롤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main post preferably includes a block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guide block penetrates, and a roller provided adjacent to the block through hole and in rolling contact with the guide block reciprocating between the pair of main posts.
상기 가이드 레일의 세로부재는 관통공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보조 레일에는 상기 관통공에 대응하여 상기 가이드 레일의 길이방향에 대해 가로로 장공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관통공과 장공에 관통 결합되는 체결볼트와, 상기 체결볼트가 상기 관통공과 장공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너트를 포함한다.The vertical member of the guide rail has a through hole formed therein, and the auxiliary rail has a long hole formed transversely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uide rail corresponding to the through hole; The fastening means includes a fastening bolt through which the through hole and the long hole is coupled, and a nut for preventing the fastening bolt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through hole and the long hole.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가이드 레일의 가로부재 판면을 따라 배치되는 탄성판 본체와; 상기 탄성판 본체의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절곡 형성되어, 상기 가로부재의 양측 가장자리에 각각 장착되는 한 쌍의 장착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elastic member may include an elastic plate body disposed along a horizontal member plate surface of the guide rail;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pair of mounting portions that are bent along both edges of the elastic plate body, and are mounted on both side edges of the horizontal member.
또한, 상기 탄성판 본체의 차도를 향하는 판면에 요홈을 형성함으로써, 차량의 충돌시 탄성판 본체의 요홈에 의해 가이드 레일과 보조 레일 사이에 공기층이 형성되어, 가이드 레일과 보조 레일 사이의 쿠션감이 증대하게 되어, 가이드 레일로 전달되는 충격하중을 완충시킴과 동시에 분산시킬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by forming a groove in the plate surface facing the roadway of the elastic plate main body, an air layer is formed between the guide rail and the auxiliary rail by the groove of the elastic plate main body during the collision of the vehicle, so that the feeling of cushioning between the guide rail and the auxiliary rail As a result, the shock load transmitted to the guide rail can be buffered and distributed at the same time.
상기 탄성부재는 탄성변형이 가능한 고무, 합성수지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The elastic member is preferably made of any one of rubber, synthetic resin capable of elastic deformation.
따라서,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에 따르면, 차량의 충돌시 충격 흡수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차량 파손 및 인명 피해를 줄일 수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solution of the above problem, by improving the shock absorbing structure during the collision of the vehicl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vehicle damage and human injury.
이하에서는 일 실시예로서, 도로의 중앙에 마련되는 도로 분리대에 대해 첨 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s an embodiment, the road separator provided in the center of the road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내지 도 7에는 본 발명에 따른 도로 분리대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도로 분리대(10)는 도로의 노면(3)에 간격을 두고 기립 설치되는 한 쌍의 메인 포스트(11,11')와, 일측 메인 포스트(11')와 이격하며 노면(3)에 기립 설치되는 보조 포스트(21)를 가진다. 본 실시예에서의 도로 분리대(10)는 한 쌍의 메인 포스트(11,11') 및 보조 포스트(21)가 상반되는 순서로 번갈아가며 도로의 노면(3)을 따라 기립 설치되어 있다. 즉, 한 쌍의 메인 포스트(11,11'), 보조 포스트(21), 새로운 보조 포스트(21), 새로운 한 쌍의 메인 포스트(11,11')의 순서로 도로의 노면(3)을 따라 기립 설치되어 있다.1 to 7 show a road sepa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hese figures, the
각 메인 포스트(11,11') 및 보조 포스트(21)는 복수의 앵커볼트(12)에 의해 노면(3)에 고정 설치된다. 여기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메인 포스트(11,11') 및 보조 포스트(21)의 하부에 앵커로드(12')를 마련하고, 노면(3)에 천공된 앵커로드 수용홈(5)에 각 메인 포스트(11,11') 및 보조 포스트(21)의 앵커로드(12')를 수용시킴으로써, 각 메인 포스트(11,11') 및 보조 포스트(21)를 노면(3)에 고정 설치할 수도 있다.Each of the
메인 포스트(11,11')와 보조 포스트(21)는 각각, 상호 이격하는 한 쌍의 가로부재(13,23)와, 한 쌍의 가로부재(13,23)를 상호 연결하는 세로부재(15,25)를 갖는 H빔형상을 가진다. 메인 포스트(11,11')와 보조 포스트(21)는 일정 길이를 가지며, 각 가로부재(13,23)가 차도를 향하도록 노면(3)에 기립 설치되어 있다.The
각 메인 포스트(11,11')의 세로부재(15)의 판면에는 후술할 가이드 블록(31) 이 관통하는 한 쌍의 블록 관통공(17)이 세로부재(15)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 형성되어 있다. 각 블록 관통공(17)은 후술할 가이드 블록(31)과 동일한 단면형상을 가지며, 본 실시예에서는 사각단면형상을 가진다.On the plate surface of the
또한, 각 메인 포스트(11,11')에는 블록 관통공(17)과 인접한 위치에 롤러(19)가 배치되어 있다. 롤러(19)는 세로부재(15)의 길이방향에 대해 가로로 배치되며, 메인 포스트(11,11')의 한 쌍의 가로부재(13)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이에, 롤러(19)는 블록 관통공(17)을 관통하는 가이드 블록(31)의 저부면과 구름 접촉하여 가이드 블록(31)의 이동을 용이하게 한다.Moreover, the
가이드 블록(31)은 노면(3)에 대해 수평을 이루며 한 쌍의 메인 포스트(11,11') 사이에 왕복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가이드 블록(31)은 속이 빈 통형상을 가지며, 메인 포스트(11,11')의 블록 관통공(17)의 단면형상에 대응하여 사각단면형상을 가진다. 각 메인 포스트(11,11')의 블록 관통공(17)을 관통한 가이드 블록(31)은 롤러(19)에 구름 접촉하며 각 메인 포스트(11,11')를 왕복이동가능하게 되고, 가이드 블록(31)의 내측에는 가이드 레일(41)의 일단부가 부분 수용된다.The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레일(41)은 상호 이격하는 한 쌍의 가로부재(43)와, 한 쌍의 가로부재(43)를 상호 연결하는 세로부재(45)를 갖는 H빔형상을 가진다.As shown in FIGS. 4 to 7, the
가이드 레일(41)의 세로부재(45)의 양단부에는 후술할 체결수단으로서 체결볼트(61)가 관통 결합되는 한 쌍의 관통공(45a)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각 관통공(45a)은 가이드 레일(41)의 세로부재(45)의 중심선상에 형성된다.On both ends of the
가이드 레일(41)은 각 가로부재(43)가 차도를 향하도록 일측 메인 포스트(11')와 보조 포스트(21) 사이에 배치된다. 가이드 레일(41)의 일단부는 볼트(미도시)와 너트(미도시)에 의해 보조 포스트(21)에 체결되고, 가이드 레일(41)의 타단부는 일측 메인 포스트(11')의 블록 관통공(17)에 왕복이동가능하게 결합된 가이드 블록(31)에 수용된다. 즉, 가이드 레일(41)은 보조 포스트(21)에 편지지되고, 가이드 레일(41)의 자유단부는 가이드 블록(31)에 수용된다.The
가이드 레일(41)의 차도를 향하는 면, 즉 가이드 레일(41)의 각 가로부재(43)에는 각 가로부재(43)를 둘러싸며 상호 상대적으로 접근 및 이격하는 한 쌍의 보조 레일(51a,51b)이 마련되어 있다.A pair of
보조 레일(51a,51b)은, 가이드 레일(41)의 가로부재(43)와 평행을 이루는 판상의 본체(53)와, 본체(53)의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본체(53)에 대해 수직하게 절곡되어 가이드 레일(41)의 세로부재(45)와 평행을 이루는 한 쌍의 절곡부(55)를 가진다. 이에, 보조 레일(51a,51b)은 대략 "ㄷ"자 단면형상을 가지고, 보조 레일(51a,51b)은 가이드 레일(41)의 가로부재(43)를 둘러싼다. 가이드 레일(41)의 양측에 배치된 각 보조 레일(51a,51b)의 절곡부(55)는 가이드 레일(41)의 세로부재(45)에 교호적으로 적층된다. 여기서, 각 보조 레일(51a,51b)은 호환성을 갖도록 동일한 형상과 크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보조 레일(51a,51b)의 각 절곡부(55)의 양단부에는 가이드 레일(41)의 관통공(45a)에 대응하여 가이드 레일(41)의 길이방향에 대해 가로로, 각각 동일 단면형상을 갖는 장공(55a)들이 형성되어 있다. 보조 레일(51a,51b)의 장공(55a)들은 가 이드 레일(41)의 관통공(45a)에 대응하며 보조 레일(51a,51b)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보조 레일(51a,51b)의 각 장공(55a)에는 가이드 레일(41)과 보조 레일(51a,51b)을 체결하는 체결수단으로서, 체결볼트(61)가 관통 결합된다.Both ends of the
체결볼트(61)는 너트(63)와 함께 가이드 레일(41)과 보조 레일(51a,51b)의 한 쌍의 절곡부(55)를 동시에 체결하여, 체결볼트(61)가 관통공(45a)과 장공(55a)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보조 레일(51a,51b)에 형성된 장공(55a)에 의해 체결볼트(61)의 체결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너트(63)는 둥근머리형 너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가이드 레일(41)의 차도를 향하는 면, 즉 가이드 레일(41)의 양측 가로부재(43)에는 탄성부재(65)가 장착되어 있다. 탄성부재(65)는 가이드 레일(41)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하며 보조 레일(51a,51b)이 가이드 레일(41)로부터 이격하도록 보조 레일(51a,51b)에 탄성력을 제공한다.An
탄성부재(65)는, 가이드 레일(41)의 가로부재(43) 판면을 따라 배치되는 탄성판 본체(67)와, 가이드 레일(41)의 가로부재(43)의 양측 가장자리에 각각 장착되는 한 쌍의 장착부(69)를 가진다.As long as the
탄성판 본체(67)는 가이드 레일(41)의 가로부재(43)에 대응하는 길이를 가지며, 가이드 레일(41)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한다. 차도를 향하는 탄성판 본체(67)의 판면에는 요홈(67a)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에 차량의 충돌시 충돌하는 보조 레일(51a,51b)의 내측면과 탄성판 본체(67)의 요홈(67a)에 공기층이 형성되어, 충돌 시 가이드 레일(41)과 보조 레일(51a,51b) 사이의 쿠션감이 증대하게 되어, 가이드 레일(41)로 전달되는 충격하중을 완충시킴과 동시에 분산시킨다.The elastic plate
장착부(69)는 가이드 레일(41)의 각 가로부재(43)의 양측 가장자리에 끼움결합되도록 탄성판 본체(67)의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내향 절곡 형성되어 있다.The mounting
여기서, 탄성부재(65)는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하중에 대해 탄성변형이 가능한 고무, 합성수지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가이드 레일(41)에 탄성부재(65)의 고정방법으로 끼움결합을 개시하였으나, 이에 국한하지 않고 탄성부재(65)는 리벳이음, 볼트와 너트의 체결 등을 택일하거나 적절히 혼용하여 가이드 레일(41)에 체결할 수 있다.Here, the
한편, 가이드 레일(41), 보조 레일(51a,51b), 탄성부재(65) 및 체결볼트(61)가 조립된 조립체는 가이드 블록(31)의 내측에 용이하게 수용되도록 가이드 블록(31)의 내측 단면적 보다 작은 사이즈의 단면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assembly of the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도로 분리대(10)의 시공과정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By such a configuration, a brief description of the construction process of the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메인 포스트(11,11'), 보조 포스트(21), 보조 포스트(21), 한 쌍의 메인 포스트(11,11')의 순서로 도로의 노면(3)을 따라 기립 설치한다.First, as shown in FIG. 1, a pair of
다음, 가이드 레일(41)의 각 가로부재(43)에 탄성부재(65)를 끼움결합하고 체결볼트(61)와 너트(63)를 이용하여 한 쌍의 보조 레일(51a,51b)을 가이드 레 일(41)에 결합한다.Next, the
이어서, 보조 레일(51a,51b)과 탄성부재(65)가 장착된 가이드 레일(41)의 일단부를 보조 포스트(21)의 일측에 지지시킴과 동시에, 가이드 레일(41)의 자유단부를 보조 포스트(21)와 인접하는 메인 포스트(11')의 블록 관통공(17)에 관통시킨다.Subsequently, one end of the
그리고, 한 쌍의 메인 포스트(11,11')의 블록 관통공(17)에 가이드 블록(31)을 관통 결합함과 동시에, 보조 포스트(21)에 편지지된 가이드 레일(41)의 자유단부를 가이드 블록(31)의 내측에 수용시켜, 본 발명에 따른 도로 분리대(10)를 시공한다.The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도로 분리대(10)의 일측 보조 레일(51a)에 차량이 충돌하면, 보조 레일(51a)은 차량이 충돌함에 따라 보조 레일(51a)의 길이방향으로 벤딩이 일어나면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레일(41)을 향해 접근하고, 일측 보조 레일(51a)이 가이드 레일(41)에 접근함에 따라 가이드 레일(41)과 보조 레일(51a) 사이에 마련된 탄성부재(65)는 압축되면서 일측 보조 레일(51a)로부터 발생한 충격하중을 1차 완충하며 흡수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vehicle collides with the
이 때, 탄성부재(65)에 형성된 요홈(67a)에 의해 가이드 레일(41)과 일측 보조 레일(51a) 사이에 공기층이 형성되어, 가이드 레일(41)과 일측 보조 레일(51a) 사이의 쿠션감이 증대하게 되어, 가이드 레일(41)로 전달되는 충격하중을 완충시킴과 동시에 분산시킬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an air layer is formed between the
탄성부재(65)에 의해 1차적으로 완충되어 가이드 레일(41)로 전달되는 일부 충격하중은 가이드 레일(41)을 외팔보와 같이 벤딩하며 가이드 블록(31)에 전달된다.Some impact loads primarily buffered by the
이 때, 사각단면형상을 갖는 가이드 블록(31)은 가이드 레일(41)의 변형에 대응하여 한 쌍의 메인 포스트(11,11') 사이를 부분적으로 이동하며, 충격하중이 작용한 일측 보조 레일(51a)은 가이드 레일(41)에 접근하도록 장공(55a)을 따라 이동하는 중 체결볼트(61)에 의해 그 이동이 제한되어, 가이드 레일(41)의 자유단부에서 발생하는 벤딩을 저지하며, 이에 메인 포스트(11,11')로 전달되는 충격하중을 줄일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the
한편, 일측 보조 레일(51a)에 가해진 충격하중이 제거되면, 일측 보조 레일(51a)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부재(65)의 탄성력에 의해 가이드 레일(41)로부터 이격하며 원래의 상태로 복귀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impact load applied to one side of the
이로써, 본 발명에 따른 도로 분리대(10)는 차량의 충돌시, 충격을 흡수하여 차량 파손 및 인명 피해를 줄일 수 있게 된다.As a result, the
한편, 도 9 및 도 10에는 가이드 블록과 가이드 레일의 조립상태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레일(41)에 한 쌍의 보조 레일(51a,51b)을 장착하지 않고, 가이드 레일(41)에 탄성부재(65)만을 장착하여, 탄성부재(65)가 장착된 가이드 레일(41)의 일단부를 보조 포스트(21)에 지지함과 동시에 타단부를 가이드 블록(31)에 수용하여, 가이드 블록(31)과 가이드 레일(41)을 조립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Figure 9 and Figure 10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assembled state of the guide block and the guide rail. As shown in these figures, instead of mounting the pair of
따라서, 차량이 도로 분리대에 충돌하면, 탄성부재(65)가 압축되면서 충격하중을 1차 완충하며 흡수하고, 탄성부재(65)에 의해 1차적으로 완충되어 가이드 레일(41)로 전달되는 일부 충격하중은 가이드 레일(41)을 외팔보와 같이 벤딩하며 가이드 블록(31)에 전달하게 되고, 이에 차량의 파손 및 인명 피해를 줄일 수 있게 된다.Therefore, when the vehicle collides with the road separator, the
한편,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한 쌍의 보조 레일이 가이드 레일의 양측에 장착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지만, 보조 레일은 가이드 레일의 일측에만 장착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above embodiment, it is described that a pair of auxiliary rails are mounted on both sides of the guide rail, the auxiliary rail may be mounted only on one side of the guide rail.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가이드 블록이 사각형 단면형상을 갖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지만, 가이드 블록은 사각형 단면형상 이외에 다각형 및 원형 단면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In addition, although the above-mentioned embodiment demonstrates that the guide block has a rectangular cross-sectional shape, the guide block may have a polygonal and circular cross-sectional shape in addition to the rectangular cross-sectional shape.
그리고,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가이드 레일과 보조 포스트의 체결방법으로 볼트와 너트에 의한 체결을 개시하였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리벳이음, 용접이음 등을 택일하거나 적절히 혼용하여 체결할 수 있다.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fastening by the bolt and the nut is started by the fastening method of the guide rail and the auxiliary post. However, the fastening method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fastened by using a rivet joint, a weld joint, or the like.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도로 분리대로서 도로의 중앙분리대에 대해 설명하고 있지만, 본 발명에 따른 사상은 급커브길이 심한 곳, 산길이나 굴곡이 심한 도로 등에 차량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방호책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In addition,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center separator of the road is described as the road separator, but the ide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pplied to a protective measure for preventing the departure of the vehicle, such as a sharp curve road, a mountain road or a severe curved road. Of course.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It is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such modifications or variations will have to be belong to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 분리대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정단면도,1 is a front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road sepa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도 2는 도 1의 요부 사시도,2 is a perspective view of main parts of FIG. 1;
도 3은 도 2의 측단면도,3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FIG.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 레일과 보조 레일의 조립상태를 도시한 요부 사시도,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main parts of an assembled state of a guide rail and an auxiliary rai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도 4의 분해 사시도,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4;
도 6 및 도 7은 보조 레일의 작동과정을 도시한 도 4의 종단면도,6 and 7 are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Figure 4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auxiliary rail,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로 분리대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정단면도,8 is a front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road separa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도 9는 가이드 블록과 가이드 레일의 조립상태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요부 측단면도,9 is a side sectional view of a main portion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assembled state of the guide block and the guide rail;
도 10은 도 9의 가이드 레일의 분해사시도이다.1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guide rail of FIG. 9.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0 : 도로 분리대 11,11' : 메인 포스트10:
17 : 블록 관통공 19 : 롤러17: block through hole 19: roller
21 : 보조 포스트 31 : 가이드 블록21: Auxiliary Post 31: Guide Block
41 : 가이드 레일 43 : 가로부재41: guide rail 43: horizontal member
45 : 세로부재 45a : 관통공45:
51 : 보조 레일 55a : 장공51:
61 : 체결볼트 63 : 너트61: fastening bolt 63: nut
65 : 탄성부재 67 : 탄성판 본체65: elastic member 67: elastic plate body
67a : 요홈 69 : 장착부67a: groove 69: mounting portion
Claims (7)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117963A KR100944623B1 (en) | 2007-11-19 | 2007-11-19 | Strips for road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117963A KR100944623B1 (en) | 2007-11-19 | 2007-11-19 | Strips for road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51525A KR20090051525A (en) | 2009-05-22 |
KR100944623B1 true KR100944623B1 (en) | 2010-03-03 |
Family
ID=408595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117963A KR100944623B1 (en) | 2007-11-19 | 2007-11-19 | Strips for road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944623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76170B1 (en) | 2013-11-06 | 2014-03-19 | 김옥희 | Crash cushion apparatus for vehicle blocking safety facilities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96465Y1 (en) | 2000-03-29 | 2000-09-15 | 이영달 | Apparatus for collision relaxation of vehicles |
KR200375070Y1 (en) | 2004-11-05 | 2005-02-11 | 주식회사 누리플랜 | Parapet including a buffer means |
KR200415446Y1 (en) | 2006-02-14 | 2006-05-03 | (주) 경화엔지니어링 | Opening and closing structure for median strip guide rail in road |
KR200420451Y1 (en) | 2006-04-17 | 2006-07-04 | 김재수 | Guide rail for road have door |
-
2007
- 2007-11-19 KR KR1020070117963A patent/KR100944623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96465Y1 (en) | 2000-03-29 | 2000-09-15 | 이영달 | Apparatus for collision relaxation of vehicles |
KR200375070Y1 (en) | 2004-11-05 | 2005-02-11 | 주식회사 누리플랜 | Parapet including a buffer means |
KR200415446Y1 (en) | 2006-02-14 | 2006-05-03 | (주) 경화엔지니어링 | Opening and closing structure for median strip guide rail in road |
KR200420451Y1 (en) | 2006-04-17 | 2006-07-04 | 김재수 | Guide rail for road have door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76170B1 (en) | 2013-11-06 | 2014-03-19 | 김옥희 | Crash cushion apparatus for vehicle blocking safety facilitie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51525A (en) | 2009-05-2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A2833154A1 (en) | Safety crash barrier | |
CN113123274B (en) | Highway crash barrier | |
KR20170085800A (en) | apparatus for absorbing car crash impact | |
CN212175612U (en) | Two-way buffer anti-collision guardrail for roadway | |
KR100944623B1 (en) | Strips for road | |
EP2924168A1 (en) | Guardrail for vehicle | |
KR100900792B1 (en) | Impact barrier for road | |
CN218116257U (en) | Guide guardrail and device | |
KR102592572B1 (en) | Guard rail | |
KR102270229B1 (en) | Guardrail post reinforcement | |
CN215518549U (en) | Anti-collision air bag device for highway guardrail | |
KR101351197B1 (en) | Shock-absorbing Apparatus for Guard Rail | |
KR101235823B1 (en) | Safety fence for vehicle with impact absorption function | |
CN114837114A (en) | Safety anti-collision device on highway bridge | |
KR200422841Y1 (en) | Joining braket for absorbing crash energy | |
KR100676457B1 (en) | Guard rail with Crossed Double Impact Absorbing Plate | |
KR200271977Y1 (en) | Guardrail structure equipment of structure elasticity high | |
CN113356112A (en) | Anti-collision air bag device for highway guardrail | |
KR100717609B1 (en) | Guardrail | |
CN218116256U (en) | A supporting component and guardrail for guardrail | |
CN216551708U (en) | Anti-collision guardrail at opening | |
KR100587652B1 (en) | Sectional road median strip with means for absorbing the noise and impact | |
RU2158799C1 (en) | Barrier fence | |
CN212896066U (en) | Anti-collision buffer device | |
KR200387087Y1 (en) | Impact suction apparatus using guide rail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219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217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122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405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217 Year of fee payment: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205 Year of fee payment: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318 Year of fee payment: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115 Year of fee payment: 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