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4441B1 - 정화조의 오폐수 이송 장치 - Google Patents

정화조의 오폐수 이송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4441B1
KR100944441B1 KR1020080015223A KR20080015223A KR100944441B1 KR 100944441 B1 KR100944441 B1 KR 100944441B1 KR 1020080015223 A KR1020080015223 A KR 1020080015223A KR 20080015223 A KR20080015223 A KR 20080015223A KR 100944441 B1 KR100944441 B1 KR 1009444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water
waste water
space
pipe
rectif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52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90008A (ko
Inventor
이근혁
Original Assignee
이근혁
(주)서원에스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근혁, (주)서원에스엠 filed Critical 이근혁
Priority to KR10200800152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4441B1/ko
Publication of KR200900900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00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44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44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05Black water originating from toil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42Liquid level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reatment Of Biological Wastes In General (AREA)

Abstract

정화조의 오폐수 이송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정화조의 오폐수 이송 장치는, 오폐수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이 마련된 오폐수 수용본체; 오폐수 수용본체에 마련되며, 오폐수 수용본체로부터 이송된 오폐수가 정류하는 정류공간이 마련된 정류본체; 및 수용공간의 오폐수를 정류공간으로 이송시키고, 정류공간의 오폐수를 오폐수 수용본체의 외부로 이송시키는 오폐수 이송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오폐수, 특히 수위가 낮은 오폐수를 다음의 장소로 종래보다 원활하면서도 신뢰성 있게 이송시킬 수 있어 정화 처리 효율을 종래보다 증대시킬 수 있다.
정화조, 오폐수, 이송. 에어, 정류, 오리피스

Description

정화조의 오폐수 이송 장치{Apparatus for Transferring Waste Water of Water Purifier Tank}
본 발명은, 정화조의 오폐수 이송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오폐수, 특히 수위가 낮은 오폐수를 다음의 장소로 종래보다 원활하면서도 신뢰성 있게 이송시킬 수 있어 정화 처리 효율을 종래보다 증대시킬 수 있는 정화조의 오폐수 이송 장치에 관한 것이다.
산업의 급속한 발달과 인구증가 등으로 인하여 산업폐수 또는 생활하수 등이 급격하게 늘어나면서 수질오염이 매우 심각해지고 있는데, 이러한 수질오염의 주범은 오폐수 내에 함유되어 있는 유기물을 포함하여 질소 및 인과 같은 영양염류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하천이나 호수에 영양염류가 포함된 오폐수의 유입량이 크게 증가되면서 상수원이 오염되고 있는 실정이며, 따라서 오폐수 내에 존재하는 영양염류의 처리기술 개발과 배출규제에 관한 규정이 요구되고 있다.
오폐수 내에 함유되어 있는 유기물과 질소 및 인과 같은 영양염류의 처리 방법으로는 물리적 처리 방법, 화학적 처리 방법 및 생물학적 처리 방법이 있으며, 최근에는 이러한 처리 방법들 중 생물학적 처리 방법을 이용하여 오폐수를 처리하 고 있다.
생물학적 처리 방법이란, 미생물이 존재하는 슬러지(sludge)를 이용하여 오폐수를 처리하는 방법으로서, 통상적으로 유입된 오폐수를 포기조로 이송하여 포기(aeration)시킨 후 침전조로 이송하여 침전시키되, 침전된 슬러지는 다시 포기조로 반송시키고 상등수는 방류하는 방법이다.
도 1은 정화조의 개략적 도면으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의 정화조는, 오폐수가 유입되는 유량 조정조(10)와, 유량 조정조(10)로부터 유입된 오폐수를 포기하면서 슬러지와 접촉시켜 정화 처리하는 포기조(20)와, 포기조(20)에서 처리된 처리수가 유입되어 처리수 내에 함유된 슬러지를 침전시키되 침전된 슬러지는 슬러지 처리조(50)로 보내고 상등수는 방출하는 침전조(40)를 포함한다. 여기서, 슬러지 처리조(50)로 이송된 침전된 슬러지는 다시 포기조(20)로 반송될 수 있다. 또한, 유량 조정조(10)로 오폐수를 유입하기 전 전에 오폐수 내에 함유된 이물질 등을 1차적으로 걸러내기 위한 스크린(미도시)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유입된 오폐수는, 유량 조정조(10), 포기조(20), 침전조(30)를 거치면서 순차적으로 정화 처리되게 된다. 이 때, 정화 처리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포기조(20)는 필요에 따라 복수 개의 단위 포기조(21, 22, 23)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각각의 단위 포기조(21, 22, 23)의 하부에는 외부의 에어공급부(25)와 연결된 산기관(24)이 마련되어 오폐수 내로 에어(air)를 분출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포기조(20)를 통과하는 오폐수가 정화 처리될 수 있다.
또한, 침전조(30)에서 정화 처리된 상등수는 별도의 처리시설(40)이나 하천 등으로 방류되고, 침전조(30)의 저면에 침전되는 슬러지는 포기조(20)로 반송되거나 슬러지 처리조(50)로 이송된 후 폐기되거나 재활용될 수 있다.
한편, 어느 하나의 단위 포기조(21, 22, 23)에서 다음의 단위 포기조(21, 22, 23)로 오폐수가 이송될 때나, 침전조(30)에서 상등수가 다음의 처리시설(40)로 배출될 때, 통상적으로 에어 리프트(Air Lift)와 같은 오폐수 이송 장치가 이용된다.
도 2는 종래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오폐수 이송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으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오폐수 이송 장치(1)는, 오폐수를 상방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오폐수 이송관(2)과, 오폐수를 상방으로 끌어올리기 위한 배수펌프(3)를 구비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오폐수 이송 장치(1)에 있어서는, 단위 포기조(21, 22, 23)의 수용공간(21s, 22s, 23s)에서 일정 높이 찬 오폐수는 배수펌프(3)의 끌어올리는 힘에 의해 다음의 장소로 용이하게 이송시킬 수 있지만, 저면에 위치하는 오폐수를 다음의 장소로 이송시키기에는 다소 끌어올리는 힘이 부족하여 오폐수의 이송이 원활하게 진행되지 않으며, 따라서 이러한 오폐수와 같은 유체가 포기조(20)에 장시간 머무르게 되어 포기조의 정화 처리 효율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오폐수 이송 장치(1)는, 단순히 한 장소에서 다음 장소로 오폐수와 같은 유체를 이송시키는 역할만 수행할 뿐, 오폐수 이송 장치(1)를 통과하면서 오폐수가 정화 처리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는 없다.
따라서, 포기조 등에 있는 오폐수와 같은 유체를 다음의 장소로 용이하게 이송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송 시 정화 효과를 구현할 수 있는 오폐수 이송 장치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오폐수, 특히 수위가 낮은 오폐수를 다음의 장소로 종래보다 원활하면서도 신뢰성 있게 이송시킬 수 있어 정화 처리 효율을 종래보다 증대시킬 수 있는 오폐수 이송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오폐수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이 마련된 오폐수 수용본체; 상기 오폐수 수용본체에 마련되며, 상기 오폐수 수용본체로부터 이송된 상기 오폐수가 정류하는 정류공간이 마련된 정류본체; 및 상기 수용공간의 상기 오폐수를 상기 정류공간으로 이송시키고, 상기 정류공간의 상기 오폐수를 상기 오폐수 수용본체의 외부로 이송시키는 오폐수 이송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화조의 오폐수 이송 장치에 의해서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정류본체는 상기 오폐수 수용본체의 바닥과 상기 오폐수 수용본체의 상단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오폐수 수용본체의 일측벽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오폐수 이송 유닛은, 일측은 상기 정류공간에 배치되고 타측은 상기 오폐수 수용본체 외부에 배치되어 상기 정류공간의 상기 오폐수를 상기 외부로 이송 시키는 제1 오폐수 이송부; 및 일측은 상기 오폐수 수용본체 내에 수용된 상기 오폐수에 잠기도록 마련되고 타측은 상기 정류본체 내에 마련되어, 상기 오폐수 수용본체 내에 수용된 상기 오폐수를 상기 정류본체의 상기 정류공간으로 이송시키는 제2 오폐수 이송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오폐수 이송부는, 일측은 상기 정류공간의 상기 오폐수에 잠기고 타측은 상기 오폐수 정화본체의 외부에 위치하여 상기 정류공간의 상기 오폐수를 상기 외부로 이송시키는 제1 오폐수 이송관; 및 상기 제1 오폐수 이송관에 연통되도록 상기 제1 오폐수 이송관에 결합되어 상기 제1 오폐수 이송관을 따라 이송되는 상기 오폐수에 에어(air)를 공급하는 제1 에어 공급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오폐수 이송관과 연통되는 상기 제1 에어 공급관의 일단부에는 상기 제1 오폐수 이송관을 따라 이송되는 상기 오폐수에 상기 에어를 분산 공급하기 위한 산기관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산기관과 인접한 상기 제1 오폐수 이송관에는, 상기 오폐수의 이송 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오리피스(orifice)관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오폐수 이송관에는 상기 제1 오폐수 이송관을 따라 상방으로 이송되는 상기 오폐수를 상기 외부로 펌핑(pumping)하기 위한 제1 배수펌프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정류공간의 상기 오폐수에 잠기는 상기 제1 오폐수 이송관의 상기 일측은 상기 제2 오폐수 이송부의 상기 타측보다 낮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 오폐수 이송부는, 일측은 상기 수용공간의 상기 오폐수에 잠기고, 타측은 상기 정류공간 내에 위치하여 상기 수용공간의 상기 오폐수를 상기 정류공간으로 이송시키는 제2 오폐수 이송관; 및 상기 제2 오폐수 이송관에 연통되도록 상기 제2 오폐수 이송관에 결합되어 상기 제2 오폐수 이송관을 따라 이송되는 상기 오폐수에 에어(air)를 공급하는 제2 에어 공급관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오폐수 이송관과 결합되는 상기 제2 에어 공급관의 일단부에는 상기 제2 오폐수 이송관을 따라 이송되는 상기 오폐수에 상기 에어를 분산 공급하기 위한 산기관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산기관과 인접한 상기 제2 오폐수 이송관에는, 상기 오폐수의 이송 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오리피스관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오폐수 이송관과 상기 정류본체의 연결 부분은 상기 정류공간에 정류하는 상기 오폐수가 방출되는 것을 저지하기 위해 실링부재로 방수 처리될 수 있다.
상기 제2 오폐수 이송관에는 상기 제2 오폐수 이송관을 따라 상방으로 이송되는 상기 오폐수를 상기 정류공간으로 펌핑(pumping)하기 위한 제2 배수펌프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정류공간의 상부 영역에는 상기 제2 오폐수 이송관의 상기 타측보다 높게 관통 형성되어 상기 오폐수가 상기 제2 오폐수 이송관으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류 방지홀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오폐수, 특히 수위가 낮은 오폐수를 다음의 장소로 종래보다 원활하면서도 신뢰성 있게 이송시킬 수 있어 정화 처리 효율을 종래보다 증대시킬 수 있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화조의 오폐수 이송 장치의 개략적인 도면이고, 도 4는 도 3의 A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며, 도 5는 도 3의 B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화조의 오폐수 이송 장치(101)는, 오폐수를 수용하는 수용공간(121s, 122s)이 마련된 오폐수 수용본체(121, 122)와, 오폐수 수용본체(121) 내에 설치되며 오폐수 수용본체(121)에 수용된 오폐수가 이송되어 정류되는 정류공간(130s)이 마련된 정류본체(130)와, 오폐수 수용본체(121)의 오폐수를 정류본체(130)로 이송시키고 정류본체(130)의 오폐수를 다음의 처리조, 즉 다음의 수용공간(122s)으로 이송시키는 오폐수 이송 유 닛(150)을 포함한다.
먼저, 오폐수 수용본체(121, 122)에 대해서 설명하면, 오폐수 수용본체(121, 122)는, 이전의 처리조로부터 이송된 오폐수를 수용하는 수용공간(121s, 122s)이 마련된 본체를 가리킨다. 여기서 오폐수 수용본체(121, 122)는, 포기조(120)를 이루는 복수의 단위 포기조(121, 122) 또는 침전조(미도시) 등이 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액체 비료 등을 저장하는 액비 저장조(미도시)의 본체가 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단위 포기조(121, 122)를 오폐수 수용본체(121, 122)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이러한 오폐수 수용본체(121, 122), 즉 본 실시 예의 단위 포기조(121, 122)의 저면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공간(121s, 122s)에 수용된 오폐수를 정화시키기 위한 산기관(124)이 마련된다. 산기관(124)은 에어공급부(미도시)와 연결되어 에어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에어(air)를 수용공간(121s, 122s)의 오폐수에 공급한다. 이로 인해, 이러한 산기관(124)이 마련된 다수의 단위 포기조(121, 122)를 통과하는 오폐수의 정화 처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포기조(120)로부터 다음의 침전조로 거의 정화 처리된 오폐수를 이송시킬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의 오폐수 이송 장치는, 어느 하나의 단위 포기조(121)로부터 다음의 단위 포기조(122)로 오폐수를 이송시키는 역할을 담당한다.
그런데, 전술한 바와 같이, 하나의 단위 포기조(21, 도 2 참조)로부터 다음의 단위 포기조(22)로 오폐수를 이송시키는 데 있어서, 수용공간(21s)에 상대적으로 상부 부분에 위치하는 오폐수는 종래의 오폐수 이송 장치(1)에 의해서 다음의 단위 포기조(22)의 수용공간(22s)으로 용이하게 이송시킬 수 있지만, 상대적으로 수용공간(21s)의 저면에 위치하는 오폐수는 종래의 오폐수 이송 장치(1)가 효율적으로 끌어올리지 못해 해당 단위 포기조(21)에 장시간 머무르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실시 예의 오폐수 이송 장치(101)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정류본체(130)와, 오폐수 이송 유닛(150)을 구비하는데, 이러한 구성에 의해 어느 단위 포기조(121)로부터 다음의 단위 포기조(122)로 상대적으로 저면에 위치한 오폐수까지 효율적이면서도 신뢰성 있게 이송시킬 수 있다.
정류본체(13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폐수가 일시적으로 정류하는 정류공간(130s)이 마련되어 있다. 즉, 수용공간(121s)에 수용되어 있는 오폐수를 바로 다음의 단위 포기조(122)로 이송시키는 것이 아니라 일차적으로 정류본체(130)의 정류공간(130s)에 이송시킨다. 이러한 정류본체(130)는 오폐수 수용본체(121), 즉 단위 포기조(121)의 바닥과 상단 사이에 배치되되 단위 포기조(121)의 바닥으로부터 이격되어 단위 포기조(121)의 일측벽에 지지 결합된다. 이러한 구조는, 후술할 오폐수 이송 유닛(150) 중 수용공간(12s)의 오폐수를 정류공간(130s)으로 이송시키는 제2 오폐수 이송부(160)의 길이를 종래보다 짧게 구현할 수 있어 수용공간(121s)의 하부에 위치한 오폐수까지 효율적으로 정류공간(130s)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한다.
오폐수 이송 유닛(150)은, 도 3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정류공간(130s)의 오폐수를 다음의 단위 포기조(122)의 수용공간(122s)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제1 오폐수 이송부(160)와, 수용공간(121s)의 오폐수를 정류공간(130s)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제2 오폐수 이송부(170)를 구비한다.
제1 오폐수 이송부(160)는, 오폐수를 이송시키는 이동 통로로서 파이프(pipe) 형상으로 마련되는 제1 오폐수 이송관(161)과, 제1 오폐수 이송관(161)과 연통되도록 결합되어 제1 오폐수 이송관(161) 내부로 에어를 공급하는 제1 에어 공급관(165)을 구비한다.
제1 오폐수 이송관(161)은, 일측은 정류공간(130s)에 배치되고 타측은 다음의 단위 포기조(122)의 수용공간(122s)으로 오폐수가 낙하할 수 있도록 다음의 단위 포기조(122)의 상부 영역에 배치된다. 따라서, 정류공간(130s)에 정류하는 오폐수를 다음의 단위 포기조(122)의 수용공간(122s)으로 이송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제1 오폐수 이송관(161)을 통해 오폐수가 상방으로 이송할 수 있도록, 제1 오폐수 이송관(161)의 상부 영역에는 오폐수를 상방으로 끌어올리기 위한 제1 배수펌프(163)가 마련되어 있다.
제1 에어 공급관(165)은, 외부의 에어공급부(미도시)와 연결되어 에어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에어를 제1 오폐수 이송관(161)을 따라 상방으로 이송하는 오폐수에 공급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에는, 오폐수 이송 장치(1, 도 2 참조)의 오폐수 이송관(2)이 단지 오폐수를 다음의 장소로 이송시키기 위한 역할을 담당하였으나, 본 실시 예의 오폐수 이송 유닛(150)은 오폐수에 에어를 공급함으로써 이송 중에 정화 처리를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 때, 제1 에어 공급관(165)의 단부에는 다수의 홀(hole)이 관통 형성된 산 기관(166)이 마련되어 제1 오폐수 이송관(161)의 내부로 에어의 공급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으며, 따라서 오폐수의 정화 처리 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제1 오폐수 이송관(161)에는, 오폐수의 이송 효율을 향상시키는 오리피스(orifice)관(162)이 마련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에어가 공급되는 제1 에어 공급관(165)과 인접한 제1 오폐수 이송관(161)에는 오리피스관(162)이 마련되어 상방으로 이송되는 오폐수의 이송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는, 오리피스관(162)의 내경이 제1 오폐수 이송관(161)의 내경보다 작기 때문에 이 부분에서 압력이 감소되고 따라서 속도가 빨라지는 베르누이 원리를 이용한 것이다. 다만, 오리피스관(162)이 형성된 제1 오폐수 이송관(161)의 외경이 제1 오폐수 이송관의 다른 부분의 외경보다 작기 때문에 강도가 저하될 우려가 있으므로 오리피스관(162)이 형성된 제1 오폐수 이송관(161)에는 강도 향상을 위한 강도벽(164)이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오폐수 이송부(160)가 정류본체(130)의 오폐수를 다음의 단위 포기조(122)의 수용공간(122s)으로 이송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송 시 어느 정도의 정화 처리를 할 수 있어 오폐수의 정화 처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제2 오폐수 이송부(170)는, 수용공간(121s)의 오폐수를 정류본체(130)의 정류공간(130s)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부분으로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공간(121s)의 오폐수를 정류공간(130s)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이동 통로로서 파이프(pipe) 형상으로 마련되되 일측은 수용공간(121s)에 배치되고 타측은 정류공간(130s)에 배치되는 제2 오폐수 이송관(171)과, 제2 오폐수 이송관(171)과 연통되도록 결합되어 제2 오폐수 이송관(171) 내부로 에어를 공급하는 제2 에어 공급관(175)을 구비한다. 다만, 제1 오폐수 이송부(160)와 제2 오폐수 이송부(170)는 실질적으로 유사하므로 이하에서는 다른 부분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제2 오폐수 이송관(171)에는, 전술한 제1 오폐수 이송관(161)에 마련된 오리피스관(162)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오리피스관(172)이 배치되어 제2 오폐수 이송관(171)을 따라 상방으로 이송되는 오폐수의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또한 제2 배수펌프(173)가 설치되어 오폐수가 정류공간(130s)으로 원활히 이송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제2 에어 공급관(175) 역시 전술한 제1 에어 공급관(165)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다시 말해, 제2 오폐수 이송관(171)과 연통되는 제2 에어 공급관(175)의 단부에는 산기관(176)이 마련되어 제2 오폐수 이송관(171)을 따라 이송되는 오폐수에 에어를 공급할 수 있으며, 따라서 오폐수의 정화 처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정류공간(130s)에 배치되는 제2 오폐수 이송관(171)의 단부의 위치는 정류공간(130s)에 배치되는 제1 오폐수 이송관(161)의 단부의 위치보다 높게 마련된다. 이는, 제1 오폐수 이송관(161)의 단부가 제2 오폐수 이송관(171)의 단부보다 높게 마련되는 경우, 제2 오폐수 이송관(171)을 통해 정류공간(130s)으로 이송된 오폐수가 다시 제2 오폐수 이송관(171)으로 역류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정류공간(130s)에 수용되는 오폐수의 수면이 정류공간(130s)에 배치되 는 제2 오폐수 이송관(171)의 단부보다 낮게 위치하도록, 정류본체(130)에는 오폐수를 외부, 즉 수용공간(121s)으로 방출하는 역류 방지홀(133)이 형성되어 있으며, 따라서 정류공간(130s)에 정류하는 오폐수가 제2 오폐수 이송관(171)으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오폐수 이송관(171)과 정류본체(130)의 연결 부분에는 실링부재(134)가 도포되어 정류공간(130s)의 오폐수가 수용공간(121s)으로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제2 오폐수 이송부(170)는, 수용공간(121s)에 수용된 오폐수, 특히 오폐수 수용본체(121)의 저면에 위치하는 오폐수를 정류공간(130s)으로 이송시킴으로써 종래보다 수용공간(121s)에 수용된 오폐수의 이송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송 중에 오폐수에 에어를 공급하여 정화 처리를 함으로써 정화 처리 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오폐수 이송 장치(101)를 구비하는 정화조의 개략적인 작동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단, 정화조의 구성은 종래와 본 발명이 실질적으로 유사하므로, 유량 조정조, 침전조 및 슬러지 처리조는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가정, 공장 등에서 방출되는 오폐수 등의 유체가 유량 조정조(10, 도 1 참조)로 유입된다. 유량 조정조(10)는 일정한 양의 오폐수가 포기조(120, 도 3 참조)로 이송될 수 있도록 오폐수의 양을 조절하여 일정량의 오폐수를 다음의 포기조(120)로 이송시킨다.
포기조(120)는, 유량 조정조(10)로부터 이송된 오폐수를 포기 작업에 의해 정화 처리한다. 이 때, 포기 작업의 효율, 즉 정화 처리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포기조(120)는 복수의 단위 포기조(121, 122)로 이루어지며, 각각의 단위 포기조(121, 122)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산기관(124)이 마련되어 오폐수 내에 에어(air)를 공급함으로써 오폐수에 대한 포기 작업을 수행한다.
여기서, 하나의 단위 포기조(121)로부터 다음의 단위 포기조(122)로 오폐수를 이송시키기 위해, 오폐수 이송 장치(101)가 사용된다. 본 실시 예의 오폐수 이송 장치(101)는, 먼저, 오폐수 수용본체(121)의 오폐수를 오폐수 수용본체 내에 설치된 정류본체(130)로 이송시키고, 이어서 정류본체(130)의 오폐수를 다음의 단위 포기조(122)의 수용공간(122s)으로 이송시킨다.
이어서, 포기조(120)로부터 침전조(30, 도 1 참조)로 정화 처리된 오폐수가 이송된다. 침전조(30)에서는, 정화 처리 효율을 보다 향상시키기 위해 정화 처리 작업을 수행하며, 정화 처리된 상등수를 다음의 처리조(40)로 방류하거나, 또는 슬러지가 함유된 유체를 슬러지 처리조(50)로 이송시킨다. 슬러지 처리조(50)는 포기조(120, 도 3 참조)와 연결되어 슬러지 처리조(50)에 수용된 유체는 다시 포기조(120)로 이송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포기조(120)에서 다시 정화 처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한 장소에서 다음의 장소로, 즉 하나의 단위 포기조(121)에서 다음의 단위 포기조(122)로 오폐수를 효율적이면서도 신뢰성 있게 이송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송 시 정화 처리 작업을 수행함으로써 정화 처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전술한 실시 예에서는, 제1 오폐수 이송관 및 제2 오폐수 이송관에 각각 제1 에어 공급관 및 제2 에어 공급관이 연결되어 오폐수를 이송시키면서 정화 처리 작업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고 상술하였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제1 오폐수 이송관 및 제2 오폐수 이송관 중 어느 하나에만 에어 공급관을 연통되게 결합하여 하나의 이송부에서만 정화 처리 작업이 실행될 수 있도록 하여도 무방하다 할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는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도 1은 정화조의 개략적 도면이다.
도 2는 종래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오폐수 이송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화조의 오폐수 이송 장치의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A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3의 B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 오폐수 이송 장치 120 : 포기조
121, 122 : 단위 포기조(오폐수 수용본체)
121s, 122s: 수용공간
130 : 정류본체 130s: 정류공간
133 : 역류 방지홀 150 : 오폐수 이송 유닛
160 : 제1 오폐수 이송부 161 : 제1 오폐수 이송관
162 : 오리피스관 165 : 제1 에어 공급관
170 : 제2 오폐수 이송부

Claims (14)

  1. 오폐수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이 마련된 오폐수 수용본체;
    상기 오폐수 수용본체에 마련되며, 상기 오폐수 수용본체로부터 이송된 상기 오폐수가 정류하는 정류공간이 마련된 정류본체; 및
    상기 수용공간의 상기 오폐수를 상기 정류공간으로 이송시키고, 상기 정류공간의 상기 오폐수를 상기 오폐수 수용본체의 외부로 이송시키는 오폐수 이송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화조의 오폐수 이송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류본체는 상기 오폐수 수용본체의 바닥과 상기 오폐수 수용본체의 상단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오폐수 수용본체의 일측벽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화조의 오폐수 이송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폐수 이송 유닛은,
    일측은 상기 정류공간에 배치되고 타측은 상기 오폐수 수용본체 외부에 배치되어 상기 정류공간의 상기 오폐수를 상기 외부로 이송시키는 제1 오폐수 이송부; 및
    일측은 상기 오폐수 수용본체 내에 수용된 상기 오폐수에 잠기도록 마련되고 타측은 상기 정류본체 내에 마련되어, 상기 오폐수 수용본체 내에 수용된 상기 오폐수를 상기 정류본체의 상기 정류공간으로 이송시키는 제2 오폐수 이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화조의 오폐수 이송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오폐수 이송부는,
    일측은 상기 정류공간의 상기 오폐수에 잠기고 타측은 상기 오폐수 정화본체의 외부에 위치하여 상기 정류공간의 상기 오폐수를 상기 외부로 이송시키는 제1 오폐수 이송관; 및
    상기 제1 오폐수 이송관에 연통되도록 상기 제1 오폐수 이송관에 결합되어 상기 제1 오폐수 이송관을 따라 이송되는 상기 오폐수에 에어(air)를 공급하는 제1 에어 공급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화조의 오폐수 이송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오폐수 이송관과 연통되는 상기 제1 에어 공급관의 일단부에는 상기 제1 오폐수 이송관을 따라 이송되는 상기 오폐수에 상기 에어를 분산 공급하기 위한 산기관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화조의 오폐수 이송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산기관과 인접한 상기 제1 오폐수 이송관에는, 상기 오폐수의 이송 속 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오리피스(orifice)관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화조의 오폐수 이송 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오폐수 이송관에는 상기 제1 오폐수 이송관을 따라 상방으로 이송되는 상기 오폐수를 상기 외부로 펌핑(pumping)하기 위한 제1 배수펌프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화조의 오폐수 이송 장치.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정류공간의 상기 오폐수에 잠기는 상기 제1 오폐수 이송관의 상기 일측은 상기 제2 오폐수 이송부의 상기 타측보다 낮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화조의 오폐수 이송 장치.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오폐수 이송부는,
    일측은 상기 수용공간의 상기 오폐수에 잠기고, 타측은 상기 정류공간 내에 위치하여 상기 수용공간의 상기 오폐수를 상기 정류공간으로 이송시키는 제2 오폐수 이송관; 및
    상기 제2 오폐수 이송관에 연통되도록 상기 제2 오폐수 이송관에 결합되어 상기 제2 오폐수 이송관을 따라 이송되는 상기 오폐수에 에어(air)를 공급하는 제2 에어 공급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화조의 오폐수 이송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오폐수 이송관과 결합되는 상기 제2 에어 공급관의 일단부에는 상기 제2 오폐수 이송관을 따라 이송되는 상기 오폐수에 상기 에어를 분산 공급하기 위한 산기관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화조의 오폐수 이송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산기관과 인접한 상기 제2 오폐수 이송관에는, 상기 오폐수의 이송 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오리피스관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화조의 오폐수 이송 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오폐수 이송관과 상기 정류본체의 연결 부분은 상기 정류공간에 정류하는 상기 오폐수가 방출되는 것을 저지하기 위해 실링부재로 방수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화조의 오폐수 이송 장치.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오폐수 이송관에는 상기 제2 오폐수 이송관을 따라 상방으로 이송되는 상기 오폐수를 상기 정류공간으로 펌핑(pumping)하기 위한 제2 배수펌프가 마 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화조의 오폐수 이송 장치.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정류공간의 상부 영역에는 상기 제2 오폐수 이송관의 상기 타측보다 높게 관통 형성되어 상기 오폐수가 상기 제2 오폐수 이송관으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류 방지홀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화조의 오폐수 이송 장치.
KR1020080015223A 2008-02-20 2008-02-20 정화조의 오폐수 이송 장치 KR1009444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5223A KR100944441B1 (ko) 2008-02-20 2008-02-20 정화조의 오폐수 이송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5223A KR100944441B1 (ko) 2008-02-20 2008-02-20 정화조의 오폐수 이송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0008A KR20090090008A (ko) 2009-08-25
KR100944441B1 true KR100944441B1 (ko) 2010-02-25

Family

ID=412079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5223A KR100944441B1 (ko) 2008-02-20 2008-02-20 정화조의 오폐수 이송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444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9391A (ja) * 1992-07-24 1994-02-15 Besuto Kogyo Kk 汚水の処理方法
JPH1157765A (ja) 1997-08-25 1999-03-02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浄化槽
KR200352785Y1 (ko) 2004-03-20 2004-06-22 삼양정수공업 주식회사 고효율 순간 혼화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9391A (ja) * 1992-07-24 1994-02-15 Besuto Kogyo Kk 汚水の処理方法
JPH1157765A (ja) 1997-08-25 1999-03-02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浄化槽
KR200352785Y1 (ko) 2004-03-20 2004-06-22 삼양정수공업 주식회사 고효율 순간 혼화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0008A (ko) 2009-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02748B2 (ja) 水処理装置
KR101579310B1 (ko) 외부 침지식 분리막 시스템
KR20160106088A (ko) 물 또는 폐수 처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541070B1 (ko) 고도처리장치
FI57578B (fi) Anlaeggning foer biologisk rening av avfallsvatten
KR101346604B1 (ko) 무동력 역세 기능을 갖는 생물막 수처리 장치
KR100944441B1 (ko) 정화조의 오폐수 이송 장치
SE1951184A1 (en) Waste water treatment system
KR100710501B1 (ko) 유량 조절장치
KR20110001685A (ko) 외부 침지식 분리막 시스템
KR101577063B1 (ko) 폭기/침전 일체형 반응조를 구비한 하폐수 처리장치
US7121532B2 (en) Aeration system for liquid
KR101928327B1 (ko) 양방향성 교반형 순환기를 활용한 연속회분식 활성슬러지공법의 하폐수 고도처리장치 및 그 방법
KR20170138622A (ko) 생물학적 질소 제거 및 응집제 주입과 침전된 슬러지의 반송으로 화학적 인이 제거기술의 frp 오폐수처리장치
CN201473408U (zh) 垃圾渗透液处理系统设备
KR101622299B1 (ko) 균등 이송을 위한 오·폐수 이송장치
KR200400681Y1 (ko) 유량 조절장치
KR20010074161A (ko) 오수처리장치의 처리수 배출장치
KR102614473B1 (ko) Mbr이 구비된 혼합형 하수처리 시스템
KR100632306B1 (ko) 에어펌프
KR200324955Y1 (ko) 지하 공동구가 없는 하수처리장
KR101503887B1 (ko) 막분리조를 이용한 에너지 절감형 하폐수 고도처리 시스템
CN115779505B (zh) 污水处理系统及处理方法
KR100511762B1 (ko) 순환식 하수처리장치 및 이를 통한 하수처리 방법
KR100279943B1 (ko) 오폐수 정화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6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