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2306B1 - 에어펌프 - Google Patents

에어펌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32306B1
KR100632306B1 KR20050004105A KR20050004105A KR100632306B1 KR 100632306 B1 KR100632306 B1 KR 100632306B1 KR 20050004105 A KR20050004105 A KR 20050004105A KR 20050004105 A KR20050004105 A KR 20050004105A KR 100632306 B1 KR100632306 B1 KR 1006323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air pump
outer tube
inner tube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500041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84099A (ko
Inventor
김재진
박분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환경닥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환경닥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환경닥터
Priority to KR200500041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32306B1/ko
Publication of KR200600840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40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23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23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20Activated sludge processes using diffus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Jet Pumps And Other Pumps (AREA)
  • Aeration Devices For Treatment Of Activated Polluted Slud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폐수 처리에 필요한 에어펌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내부관과 외부관의 하부를 결합하고 에어유입구에 에어노즐을 연결함으로서 에어의 주입에 따라 산소가 공급되어 폭기됨으로서 처리조 내의 부패를 방지하고 원수의 이송 및 슬러지와 부유물질을 제거가능한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또한 상기 에어펌프의 내부관과 외부관의 상단부를 상협하광의 경사진 오리피스 형상으로 구성하여 상기 오.폐수를 주입시 일정한 수압조절이 용이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오.폐수의 이송거리를 연장가능하고 상향식 에어펌프의 설치구조에 의하여 처리시설에서 배출되는 침전물을 수면위로 배출가능한 구조로서 상기 처리시설이 지하에 설치가능하여 부지공급의 효율성이 제공된다.
에어펌프, 내부관, 외부관, 유입구, 배출구, 에어유입구, 에어노즐

Description

에어펌프{AIR PUMP}
도 1은 본 발명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정단면도
도 3은 발명의 에어펌프가 연결된 상태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분리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이 직렬상태로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오.폐수처리 장치도
도 6은 본 발명이 병렬상태로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오.폐수처리 장치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상세한 설명>
A-에어펌프 B-내부관
C-외부관 10-유입구
11-배출구 20-에어유입구
21-토출구 22-토출관
30-에어노즐
본 발명은 오.폐수 처리에 필요한 에어펌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내부관과 외부관으로 형성된 에어펌프를 오.폐수 처리조에 설치하되 상기 에어펌프의 외부관 일측에 에어유입구을 형성하여 상기 에어유입구에 에어를 공급시 폭기조의 역할을 제공함으로서 보다 효율적인 미생물 분해활동을 통하여 슬러지와 부유물질이 효율적으로 분리 및 제거 가능한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주지되는 바와 같이 오.폐수를 처리함에 있어서 기존에 사용되어지고 있는 일반 펌프나 에어리프트는 초기 작동시 침전물의 역류현상이 빈번하게 발생하며 각각의 에어펌프를 동시에 여러개를 설치 및 수용할 수 있는 즉 직렬 내지 병렬구조가 부적절하여 연결사용이 여렵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토출구로부터 발생하는 수압이 현저히 저하되어 토출구측의 부유물과 오염물질등의 이송거리가 짧아지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며 또한 상기 에어펌프가 설치되어지는 오.폐수 처리시설의 설치장소가 상기 처리시설에서 발생하는 침전물에 의하여 항시 지상에 설치되어야 하는 구조적의 문제점등으로 인하여 설치장소에 따른 문제점등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내부관과 외부관의 하부를 결합하고 에어유입구에 에어노즐을 연결함으로서 에어의 주입에 따라 산소가 공급되어 폭기됨으로서 처리조 내의 부패를 방지하고 원수의 이송 및 슬러지와 부유물질을 제거가능한 것을 본 발명의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내부관과 외부관의 상단부를 상협하광의 경사진 오리피스 형상으로 구성하여 상기 오.폐수를 주입시 일정한 수압조절이 용이하도록 구성된 것을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요소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오,폐수를 정화하는 상부가 상협하광이고 하부가 상광하협의 오리피스 형상인 에어펌프에 있어서,
상기 에어펌프(A)는 하측으로 오,폐수가 유입되는 유입구(10)가 형성되고 상측으로 상기 오,폐수가 배출되는 배출구(11)가 형성된 내부관(B)과 상기 내부관(B)의 외측으로 외부관(C)이 형성되어지되, 상기 외부관(C)의 하부 직경은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외부관(C)의 하단부가 상기 내부관(B)의 하부에 결합되어지고 상기 외부관(C)의 상부로 토출구(21)가 형성되어 상기 토출구(21)에 토출관(22)이 끼워지며 상기 외부관(C)의 일측에 에어유입구(20)가 형성되어 상기 에어유입구(20)에 에어노즐(30)이 끼워져 상기 내부관(B)과 상기 외부관(C) 사이의 공간부에 에어가 유입되도록 구성된 것이며 상기와 같이 구성된 에어펌프(A) 하측의 오,폐수 유입구(10)에 또 다른 에어펌프(A')의 토출구(21')가 연결되어지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외부관(C)의 내측으로 내부관(B)이 연결되어지되 상기 외부관(C)의 하단부가 내측으로 경사지게 밴딩되어 상기 외부관(C)의 하단부가 내부관(B)의 외주연 하부에 결합되어진 것이며 상기 외부관(C)의 일측에는 에어가 유입되는 에어유입구(20)이 형성되어 에어노즐(30)이 결합되어진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정단면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외부관(C)과 내부관(B)의 상측에 위치한 상부직경을 상광하협의 오리피스 형상으로 구성함으로서 오.폐수의 수압을 조절하여 주는 것이며 상기 외부관(C) 일측의 에어유입구(20)과 연결된 에어노즐(30)은 상향식으로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에어노즐(30)에 에어를 주입시 에어유입구(20)을 통하여 주입된 에어가 상기 내부관(B)와 상기 외부관(C) 사이의 공간부에 주입되어 폭기역할을 제공함으로서 물속에 산소가 공급되어 오.폐수를 정화하게 되는 것이다.
도 3은 발명의 에어펌프(A)에 또 다른 에어펌프(A')가 연결된 상태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도 3의 분리 사시도를 각각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에어펌프(A)의 상측 내지 하측으로 또 다른 에어펌프(A')를 설치하되 상기 에어펌프(A) 역시 외부관(C)의 내측으로 내부관(B)이 결합되어지는 것이며 상기 내부관(B)의 하측에는 유입구(10')가 형성되어지고 상측에는 배출구(11')가 형성된 구조이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외부관(C)의 일측에는 에어유입구(20')이 형성되어진 동일한 형상을 갖는 에어펌프(A')가 설치된 것으로서 상기와 같은 또 다른 에어펌프(A')가 다수개 설치되어진 상태에서 상측에 설치된 에어펌프(A)의 토출구(21)에는 토출관(22)이 결합되어지는 것이며 상기 토출관(22)의 단부에는 통상의 배수벨브가 형성되어 에어와 물이 토출가능한 것이다.
또한 에어펌프(A)의 일측에 형성된 에어유입구(20)의 일측으로 연결캡(33)이 결합되어지되 상기 연결캡(33)과 에어노즐(30)이 결합되기 위하여 상기 에어노즐(30)의 하측에는 에어주입구(32)가 수평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연결캡(33)과 긴밀하게 연결되어지는 것이며 상기 에어펌프(A)가 본 발명과 같이 수직으로 배열된 경우에는 에어주입구(32)가 에어노즐(30)의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이며 필요에 따라 상기 에어펌프(A)를 수평으로 배열시는 에어노즐(30)을 수평방향으로 밴딩형성한 후 상기 에어노즐(30)의 일측으로 에어주입구(32)를 다수개 형성함으로서 상기 에어주입구(32)가 에어펌프(A)의 연결캡(33)과 연결설치 가능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이 직렬상태로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오.폐수처리 장치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이 병렬상태로 설치된 상태를 각각 도시한 오.폐수처리 장치도로서 상기 침전조의 슬러지층으로부터 오.폐수가 유입되어 에어펌프(A)로 이송되는 과정에서 상기 오.폐수의 이송을 상향으로 안내하고 부유물 즉 스컴을 일측으로 안내하기 위하여 일측에는 체크벨브가 형성되어 상기 체크벨브를 통하여 스컴은 일측으로 안내되는 것이며 상기 에어펌프(A)로 안내되는 오.폐수는 에어노즐(30)로부터 에어가 공급시 물과 산소가 접촉되는 산화작용에 의하여 미생물로 하여금 물을 정화하게 되는 것이며 상기와 같이 정화되는 것을 에어펌프(A)의 상측에 연결된 토출관(22)로 통하여 외부로 토출되어지는 것이며 상기 토출관(22)의 단부에는 배수벨브가 형성되어 에어와 물을 원할하게 토출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에어펌프는 이송관으로부터 서로 다른 에어펌프 하측의 유입구와 연결하는 직렬 및 병렬구조로 설치가 가능한 것으로서 도시된 도면은 동일한 저수조에 설치한 것이 아니고 서로 다른 저수조에 각각의 에어펌프가 설치되어 진 것을 육안상 식별하기 용이하도록 동일한 저수조 도면에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에어펌프의 내측으로 산소가 지속적으로 공급되어 오.폐수와 산소가 접촉되는 산화작용과 소화작용이 발생하게 되며 미생물이 활동함과 동시에 오.폐수를 정화하게 되는 매우 유용한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내부관과 외부관의 상측을 오리피스 형상으로 구성함으로서 원할한 수압이 발생하여 이송거리가 연장되고 신속한 정화가 가능하며 특히 상기 에어펌프를 상향식으로 구성함으로서 지하에 매립이 가능하여 부지공간의 효율성에 따른 시설관리와 비용절감등의 효과가 제공된다.
한편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예를 참조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이 가능한 것은 자명한 사실인 것이라 할 수 있다.

Claims (3)

  1. 오,폐수를 정화하는 상부가 상협하광이고 하부가 상광하협의 오리피스 형상인 에어펌프에 있어서,
    상기 에어펌프(A)는 하측으로 오,폐수가 유입되는 유입구(10)가 형성되고 상측으로 상기 오,폐수가 배출되는 배출구(11)가 형성된 내부관(B)과 상기 내부관(B)의 외측으로 외부관(C)이 형성되어지되, 상기 외부관(C)의 하부 직경은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외부관(C)의 하단부가 상기 내부관(B)의 하부에 결합되어지고 상기 외부관(C)의 상부로 토출구(21)가 형성되어 상기 토출구(21)에 토출관(22)이 끼워지며 상기 외부관(C)의 일측에 에어유입구(20)가 형성되어 상기 에어유입구(20)에 에어노즐(30)이 끼워져 상기 내부관(B)과 상기 외부관(C) 사이의 공간부에 에어가 유입되도록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펌프.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펌프(A) 하측의 오,폐수 유입구(10)에 또 다른 에어펌프(A')의 토출구(21')가 연결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펌프.
KR20050004105A 2005-01-17 2005-01-17 에어펌프 KR1006323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50004105A KR100632306B1 (ko) 2005-01-17 2005-01-17 에어펌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50004105A KR100632306B1 (ko) 2005-01-17 2005-01-17 에어펌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4099A KR20060084099A (ko) 2006-07-24
KR100632306B1 true KR100632306B1 (ko) 2006-10-12

Family

ID=371742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50004105A KR100632306B1 (ko) 2005-01-17 2005-01-17 에어펌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3230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6925B1 (ko) * 2010-10-14 2011-01-10 (주)대한중전기 펌프의 슬러지 제거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2019960031476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4099A (ko) 2006-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18426A (en) Retrievable jet mixing systems
CZ402092A3 (en) Water treatment process
CN104710078A (zh) 地埋式一体化生活污水处理装置及方法
KR101541070B1 (ko) 고도처리장치
KR101129407B1 (ko) 비점오염원 정화 및 여과장치
KR100632306B1 (ko) 에어펌프
JP3263267B2 (ja) 浄化槽
CN205347151U (zh) 一种一体化污水处理回用装置
CN212387932U (zh) 生活污水处理一体化装置
JP4819841B2 (ja) 膜分離装置
CN201722260U (zh) 生态一体化好氧-潜流型湿地组合污水处理系统
CN106430582A (zh) 斜板式膜‑生物一体化废水处理装置及其处理方法
KR200353645Y1 (ko) 오수처리용 제트폭기장치
CN214528604U (zh) 地埋式一体化污水处理设备
KR200324955Y1 (ko) 지하 공동구가 없는 하수처리장
CN214218302U (zh) 一种卧式脱氮生物滤池
SK6337Y1 (sk) Domestic waste water treatment plant
CN208362131U (zh) 导向环绕式深度微滤多层污水处理装置
CN218794102U (zh) 管廊设备间配套滤池配水装置
CN102267784B (zh) 用于城市污水处理的一体化处理装置
CN107399819A (zh) 一种节能一体化膜生物处理装置及方法
CN206494772U (zh) 一种畜禽养殖废水集成式好氧处理装置
SU1673534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очистки оборотной воды рыбоводных бассейнов
CN107352589B (zh) 化工生产反应混合物除污净化箱
CN106630403A (zh) 新型地埋式污水处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630

Year of fee payment: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