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2848B1 - 텐션 풀리장치 - Google Patents

텐션 풀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2848B1
KR100942848B1 KR1020080041395A KR20080041395A KR100942848B1 KR 100942848 B1 KR100942848 B1 KR 100942848B1 KR 1020080041395 A KR1020080041395 A KR 1020080041395A KR 20080041395 A KR20080041395 A KR 20080041395A KR 100942848 B1 KR100942848 B1 KR 1009428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nular member
rotating part
leaf spring
coupled
be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13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15506A (ko
Inventor
송민중
Original Assignee
지엠대우오토앤테크놀로지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엠대우오토앤테크놀로지주식회사 filed Critical 지엠대우오토앤테크놀로지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413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2848B1/ko
Publication of KR200901155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55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28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28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5/00Elements with teeth or friction surfaces for conveying motion; Worms, pulleys or sheaves for gearing mechanisms
    • F16H55/32Friction members
    • F16H55/52Pulleys or friction discs of adjustable constru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16H2007/0802Actuators for final output members
    • F16H2007/0804Leaf sp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16H2007/0863Finally actuated members, e.g.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16H2007/0865Pulle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5/00Elements with teeth or friction surfaces for conveying motion; Worms, pulleys or sheaves for gearing mechanisms
    • F16H55/32Friction members
    • F16H55/36Pulleys
    • F16H2055/366Pulleys with means providing resilience or vibration damp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Conveying Motion By Means Of Endless Flexible Members (AREA)

Abstract

개시된 텐션 풀리장치는 회전부, 회전부에 고정되어 회전되는 다수개의 판스프링 및 판스프링의 외측부에 결합되고, 벨트가 감기는 환형부재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개시된 본 발명은 오토 텐셔너(AUTO TENTIONER)를 사용하지 않는 락 센터 타입(LOCK CENTER TYPE)의 텐셔너를 사용할 때 발생하는 디케이(DECAY)를 줄일 수 있다.
회전부, 회전축, 판스프링, 사각판, 지지판

Description

텐션 풀리장치{Tention Pulley Device}
본 발명은 텐션 풀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벨트에 의해 동력을 전달하는 텐션 풀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엔진에는 연소실의 동력을 각 기능 부품에 전달하거나 각각의 부품의 유기적인 회전운동을 하게 하기 위하여 축 끝에 원형으로 형성된 다수개의 풀리가 설치되며, 풀리와 풀리는 벨트에 의해 연결된다.
여기서, 종래의 풀리는 벨트에 의해 연결되어 다른 풀리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다른 풀리로 전달하거나, 회전하면서 축을 회전시킴으로써 동력을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종래의 풀리는 벨트의 가이드 역할을 수행하게 구성되어 있는데, 중앙부에 고정축이 배치된 락 센터 타입(LOCK CENTER TYPE)의 텐셔너에 풀리를 사용하는 경우 텐션 디케이(DECAY) 현상으로 인해 벨트의 장력 저하가 이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오토 텐셔너(AUTO TENTIONER)를 사용하지 않는 락 센터 타입(LOCK CENTER TYPE)의 텐셔너를 사용할 때 발생하는 디케이(DECAY)를 줄임으로써 벨트의 장력을 일정범위에서 유질할 수 있는 텐션 풀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텐션 풀리장치의 구성은 회전부와, 상기 회전부에 고정되어 회전되는 다수개의 판스프링 및 상기 판스프링의 외측부에 결합되고, 벨트가 감기는 환형부재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회전부는 중앙부에 배치된 고정축과, 상기 고정축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베어링 및 상기 고정축의 중앙부를 관통하여 상기 고정축을 고정시키는 볼트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판스프링은 상기 회전부의 외주부에 내측면이 결합된 사각판; 및 상기 사각판의 꼭지부에 중앙부가 결합되고, 상기 환형부재의 양측 내면 측으로 양측부가 절곡되어 상기 환형부재의 양측 내면에 대응하게 결합되는 지지판을 포함하다.
또한, 상기 판스프링의 사각판은 상기 회전부 측으로 변부가 오목하게 형성되고, 꼭지부는 볼록하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판의 양측부는 내측을 향해 서로 대면하고,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텐션 풀리장치는 판스프링에 의해 벨트가 감기는 환형부재의 회전반경이 조절됨으로써 락 센터 타입(LOCK CENTER TYPE)의 텐셔너를 사용할 때 발생하는 디케이(DECAY)를 줄여 벨트의 장력을 일정한 범위에서 유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텐션 풀리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사항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사상에 포함되고 청구범위의 구성요소에서 균등물로서 치환 가능한 구 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텐션 풀리장치의 정면도이며, 도 2는 도 1의 작동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회전될 수 있게 구성된 회전부(100)에 고정되어 회전되는 다수개의 판스프링(120) 및 판스프링(120)의 외측부에 결합되고 벨트가 감기며 판스프링(120)에 의해 탄력적으로 지지됨으로써 벨트의 가압력에 따라 회전반경이 조절되는 다수개의 환형부재(132)를 포함한다.
여기서, 각각의 환형부재(132)는 판스프링(120)에 의해 지지되어 회전부(100)에 지지되며, 회전부(100)의 외주부에 일정각도 간격으로 배치되는데, 도 1에는 실제적으로 90도 간격에 가깝게 배치된 네 개의 환형부재(132)가 도시되어 있다.
이때, 네 개의 환형부재(132)의 외면부는 서로 유격되어 있으나 벨트가 감길 수 있는 환형을 제공하게 되며, 벨트의 장력에 따라 환형부재(132)의 외면부에는 회전부(100) 측으로 가압력이 작용하게 되므로 회전부(100)에서 회전부(100)재의 회전반경은 판스프링(120)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즉, 벨트의 장력이 증가하면 판스프링(120)에 의한 환형부재(132)의 회전반경이 줄어들어 벨트에 작용하는 장력이 감소하며, 벨트의 장력이 감소하면 판스링에 의한 환형부재(132)의 회전반경이 증 가하여 벨트의 장력은 다시 증가한다.
따라서, 환형부재(132)의 회전반경이 판스프링(120)에 의해 조절됨으로써 벨트의 장력은 일정한 범위에서 유지될 수 있으며, 환형부재(132)에 가해지는 가압력 또한 허용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일정범위에서 유지될 수 있으며, 벨트의 무리한 반복적인 장력에 의한 환형부재(132)의 파단이나 충격에 의한 파손이 방지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회전부(100)는 중앙부에 배치된 고정축(112)과, 고정축(112)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베어링(110) 및 고정축(112)의 중앙부를 관통하여 고정축(112)을 고정시키는 볼트(115)를 포함하는 중앙부 고정타입(CENTER LOCK TYPE)이다. 이때, 베어링(110)은 고정축(112)에 대해 볼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고속회전에서도 마찰이 적은 볼 베어링(110)이고, 베어링(110)의 외면부에 판스프링(120)이 지지된다.
그리고, 상기 판스프링(120)은 회전부(100)의 외주부에 내측면이 결합된 사각판(122) 및 사각판(122)의 꼭지부(125)에 중앙부가 결합되고, 환형부재(132)의 양측 내면 측으로 양측부가 절곡되어 환형부재(132)의 양측 내면에 대응하게 결합되는 지지판(130)을 포함하다.
환형부재(132)의 양측부는 지지판(130)의 양측에 의해 지지되고, 지지판(130)의 중앙부는 양측에서 사각판(122)의 꼭지부(125) 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데, 지지판(130)의 중앙부는 회전부(100)에서 반경반향으로 유격된 꼭지부(125)에 의해 지지되므로, 탄력적인 재질로 형성되는 판스프링(120)은 환형부재(132)를 회전부(100)의 외측에서 탄력적으로 지지하게 되며, 환형부재(132)는 판스프링(120)을 구성하는 지지판(130)과 사각판(122)에 의해 회전부(100) 측에 대한 반경거리가 조절될 수 있다.
여기서, 판스프링(120)의 사각판(122)은 회전부(100) 측으로 변부(126)가 오목하게 형성되고, 꼭지부(125)는 볼록하게 형성됨으로써 꼭지부(125)가 회전부(100)에 대해 압축될 때 변부(126)는 회전부(100)의 외주면에 탄력적으로 지지될 수 있으며, 꼭지부(125)의 탄력적인 변위조절이 용이하다.
그리고, 지지판(130)은 양측부가 내측을 향해 서로 대면하고 오목하게 형성됨으로써 환형부재(132)에서 가해지는 가압력을 양측부에서 용이하게 수용하고, 사각판(122)의 꼭지부(125) 측과 연계된 환형부재(132)로 전달된 가압력에 따라 회전부(100)에서 반경이 용이하게 조절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텐션 풀리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작동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00: 회전부 110: 베어링
112: 고정축 120: 판스프링
122: 사각판 125: 꼭지부
126: 변부 130: 지지판
132: 환형부재

Claims (5)

  1. 회전부;
    상기 회전부에 고정되어 회전되는 다수개의 판스프링; 및
    상기 판스프링의 외측부에 결합되고, 벨트가 감기는 환형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판스프링은 상기 회전부의 외주부에 내측면이 결합된 사각판; 및
    상기 사각판의 꼭지부에 중앙부가 결합되고, 상기 환형부재의 양측 내면 측으로 양측부가 절곡되어 상기 환형부재의 양측 내면에 대응하게 결합되는 지지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션 풀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는 중앙부에 배치된 고정축;
    상기 고정축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베어링; 및
    상기 고정축의 중앙부를 관통하여 상기 고정축을 고정시키는 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션 풀리장치.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판스프링의 사각판은 상기 회전부 측으로 변부가 오목하게 형성되고, 꼭지부는 볼록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션 풀리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의 양측부는 내측을 향해 서로 대면하고, 오목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션 풀리장치.
KR1020080041395A 2008-05-02 2008-05-02 텐션 풀리장치 KR1009428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1395A KR100942848B1 (ko) 2008-05-02 2008-05-02 텐션 풀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1395A KR100942848B1 (ko) 2008-05-02 2008-05-02 텐션 풀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5506A KR20090115506A (ko) 2009-11-05
KR100942848B1 true KR100942848B1 (ko) 2010-02-17

Family

ID=415566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1395A KR100942848B1 (ko) 2008-05-02 2008-05-02 텐션 풀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284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42548B2 (en) 2004-07-26 2007-07-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Tape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00141U (ja) 1982-12-24 1984-07-06 日野自動車株式会社 自動車機関の補機駆動用ベルト調車
JPS6267357A (ja) 1985-09-17 1987-03-27 Nippon Seiko Kk 無端駆動ベルト用中間プ−リ
JPS63254267A (ja) * 1987-04-13 1988-10-20 Kayseven Co Ltd プ−リ
JPS63254266A (ja) 1987-04-13 1988-10-20 Kayseven Co Ltd プ−リ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00141U (ja) 1982-12-24 1984-07-06 日野自動車株式会社 自動車機関の補機駆動用ベルト調車
JPS6267357A (ja) 1985-09-17 1987-03-27 Nippon Seiko Kk 無端駆動ベルト用中間プ−リ
JPS63254267A (ja) * 1987-04-13 1988-10-20 Kayseven Co Ltd プ−リ
JPS63254266A (ja) 1987-04-13 1988-10-20 Kayseven Co Ltd プ−リ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42548B2 (en) 2004-07-26 2007-07-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Tape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5506A (ko) 2009-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76788B2 (ja) ロータリーテンショナ
KR101601385B1 (ko) 방사상 마찰 비대칭 감쇠를 위한 확장 스프링을 구비하는 텐셔너
US6932731B2 (en) Tensioner
US7803078B2 (en) Tensioner
GB2157391A (en) Belt tensioner
KR20030005035A (ko) 견인 수단용 인장 장치, 특히 벨트 인장 장치
CN109154332B (zh) 隔离解耦器
US9212731B2 (en) Tensioner with multiple nested torsion springs
JP2008298290A (ja) 巻成された線ばねをドライブプーリ内に備えたねじり振動ダンパ又はデカップラ
CN111356863A (zh) 旋转张紧器
KR101610110B1 (ko) 차량용 알터네이터 댐퍼 풀리
KR100942848B1 (ko) 텐션 풀리장치
JP2004522919A (ja) インナレース・アイドラプーリ・テンショナ
EP3084264B1 (en) A belt tensioner for a belt drive
CN109690134B (zh) V形张紧器及环形传动装置
JP2008019959A (ja) スプリングクラッチ
JP2005330991A (ja) 圧縮機の動力伝達装置
KR20220007721A (ko) 디커플러
WO2018009347A1 (en) Tensioner
JP2016053401A (ja) 摩擦式オートテンショナ
JP2016138577A (ja) オートテンショナ
EP3262319B1 (en) Tensioner comprising an improved damping device
JP2004132390A (ja) オートテンショナ
EP1948964B1 (en) Belt tensioner for an accessory drive
JP5869840B2 (ja) オートテンショ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4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