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1685B1 - 중계기 관리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 Google Patents

중계기 관리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1685B1
KR100941685B1 KR1020070112072A KR20070112072A KR100941685B1 KR 100941685 B1 KR100941685 B1 KR 100941685B1 KR 1020070112072 A KR1020070112072 A KR 1020070112072A KR 20070112072 A KR20070112072 A KR 20070112072A KR 100941685 B1 KR100941685 B1 KR 1009416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peater
management server
installation
personal informa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20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46115A (ko
Inventor
유성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0701120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1685B1/ko
Publication of KR200900461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61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16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16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8Configuration management of networks or network elements
    • H04L41/0803Configuration setting
    • H04L41/0813Configuration setting characterised by the conditions triggering a change of sett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6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정 또는 건물 내 설치된 중계기의 분실을 방지하는 중계기 관리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으로서, 유선전화 가입자의 유선전화 설치정보를 관리하는 유선사업자 관리서버와 연동하여 중계기를 관리하는 중계기 관리시스템에 있어서, 가정 또는 건물 내에 설치된 상기 중계기의 설치정보를 관리하며, 상기 유선사업자 관리서버로 상기 중계기의 설치정보를 전송하여 상기 중계기의 설치를 요청한 사용자의 유선전화 설치정보가 변경되면 이를 통보 받는 중계기 관리서버를 포함하여, 중계기의 설치를 요청한 사용자의 유선전화 사용자 정보가 변경된 경우 이를 신속하게 파악하여 상기 소형 중계기의 분실 또는 파손을 방지하고 나아가 이동통신 서비스 사업자의 자산 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중계기의 설치를 요청한 사용자의 이사/해지/주소변경 등 상태변경 파악 후 자동으로 그에 따른 중계기의 이설/회수 동작을 이행하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크게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중계기, 분실, 유선사업자, 연동, 관리서버

Description

중계기 관리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Managing System and method for Repeater}
본 발명은 중계기 관리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가정 또는 건물 내 설치되는 소형 중계기를 관리하는 데 있어서, 유선 사업자 서버와 연동하여 상기 소형 중계기 사용자의 상태변경을 즉시 파악함으로써 상기 소형 중계기의 분실을 방지하는 중계기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기지국과 이동통신 단말기간에 시야거리가 차단되는 음영 지역의 경우 주파수 송수신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여 통화가 단절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그러므로 음영지역의 통신 서비스 질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증폭하여 이동통신 단말기로 송출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용 중계기가 운영되고 있다. 최근에는 지하 주차장, 지하 상가, 대형 건물의 내부 등 전파가 제대로 미치지 못하는 곳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이 불편한 것을 제거하기 위해 별도의 무선국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있는 소출력 중계기의 설치가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현재 이동통신 사업자는 사업자 별로 수천에서 수만 대에 이르는 소출력 중계기를 운용하고 있는데, 각 중계기를 유지 또는 관리하지 않고 방치하고 있는 실정 이다.
도 1 은 종래 기술에 따른 중계기 관리시스템의 구성이 간략하게 도시된 도이다.
이동통신 서비스 사용자가 가정 내 또는 건물 내에서 이동통신 서비스를 정상적으로 제공받지 못하는 경우, 사용자는 해당 이동통신 사업자에게 소형 중계기의 설치를 요청할 수 있다. 이동통신 사업자는 요청된 위치에 소형 중계기를 설치하고, 자산관리를 위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된 중계기의 설치 현황 정보를 중계기 관리서버(1)에 등록 및 관리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중계기 관리시스템은 단순히 사용자로부터 전화 등의 직접적인 중계기 설치 요청을 받고 설치를 하며, 중계기 관리서버(1)는 현장에 설치된 각 중계기의 설치 정보만을 저장할 뿐이다.
특히, 중계기 설치를 요청하고, 요청에 따라 설치된 중계기를 사용하던 사용자가 해당 이동통신 서비스를 해지하거나 이사를 가면 상기 설치된 중계기는 이동통신 서비스 사업자에게 회수되거나 사용자 요청에 따라 원하는 장소에 이설되어야 한다. 그러나, 중계기 관리서버(1)는 상술한 바와 같이 단순히 설치 현황만을 저장할 뿐 상기 각 중계기와 직/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지 않으므로 상기 각 중계기의 상태 변동여부를 파악할 수 없다. 따라서, 이와 같은 경우에도 사용자가 전화 등을 통해 이동통신 서비스 사업자에게 알리는 경우에만 설치된 중계기의 이설 또는 회수 동작이 진행되었으며, 사용자가 연락을 하지 않고 임의로 버리거나 방치하여 설치되었던 중계기가 파손 또는 분실되더라도 상기 중계기를 자산으로서 보유하고 있 는 이동통신 서비스 사업자는 이를 거의 파악할 수 없으며 이에 따라 자산이 손실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유선사업자 관리서버와 연동하여, 가정 또는 건물 내 소형 중계기의 설치를 요청한 사용자의 유선전화 사용자 정보가 변경된 경우 이를 신속하게 파악하여 상기 중계기의 분실을 방지하는 중계기 관리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유선사업자 관리서버 및 이동통신 고객관리 서버와 연동하여, 상기 중계기의 설치를 요청한 사용자의 유무선통신 서비스 해지/주소변경 등 상기 중계기 운용에 영향을 주는 사용자 정보의 변동을 신속하게 파악하고 그에 따른 중계기의 이설/회수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는 중계기 관리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특징에 따른 중계기 관리시스템은 유선전화 가입자의 유선전화 설치정보를 관리하는 유선사업자 관리서버와 연동하여 중계기를 관리하는 중계기 관리시스템에 있어서, 가정 또는 건물 내에 설치된 상기 중계기의 설치정보를 관리하며, 상기 유선사업자 관리서버로 상기 설치정보를 전송하여 상기 중계기의 설치를 요청한 사용자의 유선전화 설치정보가 변경되면 이를 통보 받는 중계기 관리서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특징에 따른 중계기 관리시스템은 유선전화 설치정보를 관리하는 유선사업자 관리서버, 및 이동통신 서비스 가입자 정보를 관리하는 이동 통신 고객관리서버와 연동하여 중계기를 관리하는 중계기 관리시스템에 있어서, 가정 또는 건물 내에 설치된 상기 중계기의 설치정보를 관리하며, 상기 유선사업자 관리서버 또는 이동통신 고객관리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각 서버에 저장된 상기 중계기 설치 요청자의 개인 정보를 검색하고 변동 여부를 감지하는 중계기 관리서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 3특징에 따른 중계기 관리시스템의 동작방법은 이동통신 고객관리서버 또는 유선사업자 관리서버와 연동하여 가정 또는 건물 내에 설치되는 중계기를 관리하는 중계기 관리시스템의 동작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중계기에 대하여, 상기 중계기의 설치를 요청한 자의 개인정보가 변경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판단결과 변경된 경우, 변동 알림 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중계기 관리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은 관리시스템은 유선사업자 관리서버와 연동하여 가정 또는 건물 내 설치된 중계기의 설치를 요청한 사용자의 유선전화 사용자 정보가 변경된 경우 이를 신속하게 파악하여 상기 소형 중계기의 분실 또는 파손을 방지하고 나아가 이동통신 서비스 사업자의 자산 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중계기의 설치를 요청한 사용자의 이사/해지/주소변경 등 상태변경 파악 후 자동으로 그에 따른 중계기의 이설/회수 동작을 이행하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크게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
도 2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중계기 관리시스템의 구성이 간략하게 도시된 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중계기 관리시스템은 가정 내 또는 건물 내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중계기의 설치 현황을 관리하는 중계기 관리서버(100) 및 시내 또는 시외전화 사업자의 사용자 관리서버인 유선사업자 관리서버(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이동통신 서비스를 사용하는 가입자 관리서버인 이동통신 고객관리서버(20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중계기 관리서버(100), 유선사업자 관리서버(300) 및 이동통신 고객관리서버(200) 내에 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공유하여 중계기 관리서버(100)에 저장되어 있는 중계기 설치 요청자의 사용자 정보가 다른 서버(200, 300)에 저장된 상기 요청자의 사용자 정보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상기 중계기의 분실을 방지한다.
우선,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중계기는 가정 내 또는 건물 내에 설치되는 소출력 중계기로서, 전계 강도가 부족하거나 또는 비슷한 전계 강도를 갖는 여러 개의 기지국 신호가 혼재되어 정상적인 통화가 불가능한 음영지역에서 정상적으로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이다. 이러한 중계기는 크게 RF부, 전원부, 및 제어부로 구성될 수 있으며, RF부는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는 전송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RF증폭회로, 상기 RF증폭회로에서 출력되는 RF신호를 안테나와 주파수 변환기 로 나누는 방향성 결합기, 상기 방향성 결합기에서 출력되는 RF주파수를 IF주파수로 다운시키는 주파수 변환기 및 송신신호와 수신신호를 분리하는 듀플렉서(duplexer)를 포함한다.
RF증폭회로를 통과한 증폭된 RF신호는 방향성 결합기를 통해 안테나 및 주파수 변환기로 분리하여 전달된다. 방향성 결합기에서 전달된 신호는 주파수 변환기에서 RF주파수보다 낮은 수백MHz 대역의 IF주파수로 다운되며 듀플렉서를 거쳐 재 송출된다. 이때 주파수 변환기는 IF주파수를 맞추는 오실레이터, 오실레이터에서 출력된 신호와 방향성 결합기에서 출력된 RF신호를 혼합하는 믹서, 믹서에서 혼합된 신호를 필터링하는 필터, 및 필터링된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원부는 소형 중계기의 동작전원을 공급하며, 제어부는 상기 소형 중계기의 전반적인 동작상태를 제어한다.
이러한 상기 중계기는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가정 또는 건물 등 현장에 설치될 수 있으며, 설치가 되면 상기 중계기 관리서버에서 설치를 요청한 사용자의 개인정보 및 실제 현장에 설치된 중계기의 고유번호(또는 관리번호)를 데이터베이스화 하여 저장 및 관리한다.
유선사업자 관리서버(300)는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공중 전화 교환망)을 통해 일반전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자로, 가입자 선을 통해 전화국의 교환기와 연결되어 입력된 다이얼에 해당하는 가입자 선과 연결되도록 하여 상호간 호(call)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러한 유선사업자는 일반전화를 신청 한 사용자의 댁 내 또는 사무실 등에 전화선을 배설하고 유선 전화번호를 할당하는데, 과금 관리 등을 위해 각 유선 전화번호를 할당 받은 사용자의 이름, 주민등록번호, 주소 등의 사용자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 하여 유선사업자 관리서버에 저장하고 실시간으로 이용시간을 산출하여 과금을 관리한다.
각 가정이나 건물 내에는 적어도 한 대 이상의 일반전화가 설치되어 있는데, 일반적으로 사용자들은 상대방과의 통화를 위해 무선통화보다는 유선통화를 더 선호하며, 전화번호 유지 비용에 더하여 사용량에 따른 요금이 더해져 과금이 이루어지므로 사용하던 유선전화를 해지하는 경우에는 대부분의 사용자가 유선전화 사업자에게 해지 요청을 하고 있으며, 요청에 따라 유선사업자 관리서버(300)는 해당 유선전화번호의 설치정보를 변경하게 된다. 이는 사용자가 이사를 하는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는데, 이사를 하더라도 동일한 유선전화번호를 계속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반드시 유선전화 사업자에게 알려야 한다. 그리고, 유선사업자 관리서버(300)는 유선전화 사용자의 개인정보, 특히 주소에 변동이 있으면 이를 신속하게 반영하여 데이터를 갱신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중계기를 설치한 설치 요청자의 가정 또는 사무실 내에는 적어도 한 대 이상의 유선전화가 연결되어 있으며 유선사업자 관리서버에서 보다 정확한 사용자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는 사실에 착안하여, 상기 유선사업자 관리서버(300)와 중계기 관리서버(100)를 서로 연동하여 각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동일 사용자의 개인정보에 변동이 있는 경우 이를 중계기 관리서버(100)에서 통보 받거나 자동 감지하도록 한다.
또한, 가정 또는 건물 내 설치되는 중계기는 이동통신 서비스 사업자에서 제공하는 것으로, 해당 이동통신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지 않은 자는 중계기 설치를 요청할 수 없다.
따라서, 중계기 설치 요청 자에 대한 개인정보는 중계기 관리서버(100)뿐만 아니라 해당 이동통신 서비스를 사용하기 위해 가입한 다수 가입자들의 가입자 정보가 저장되는 이동통신 고객관리서버(200)에도 저장되어 있다.
이동통신 고객관리서버(200)는 이동통신 서비스를 사용하는 다수 사용자의 이름, 이동통신 번호, 주소 등을 데이터베이스화하여 관리하는 서버로서, 가입된 각 사용자의 이동통신 서비스 이용 상황과 그에 따른 과금 처리를 관리한다. 따라서 이동통신 서비스 사용자는 일반적으로 자신의 개인정보가 변경되면 전화, 인터넷 또는 직접 방문 등을 통해 개인정보가 변경되었음을 통보하게 된다. 통보된 변경사항은 즉시 이동통신 고객관리서버(200)에 저장되어 해당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갱신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점에 착안하여 중계기 관리서버(100) 및 이동통신 고객관리서버(200)가 서로 연동하여 각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동일 사용자의 개인정보에 변동이 있는 경우 이를 중계기 관리서버(100)에서 통보 받거나 자동 감지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고시원이나 원룸에서 생활하는 사용자의 경우 유선전화를 설치하지 않고 소지한 이동통신 단말을 사용하는 경우가 대다수이므로 이동통신 사업자 관리서버와 연동함으로써 보다 정확하게 중계기의 상태변경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에 따른 중계기 관리시스템은 상술한 바와 같이 유선사업자 관리서버(300) 및 이동통신 고객관리서버(200)가 중계기 관리서버(100)와 연결되어 중계기 관리서버(100)에 저장되어 있는 각 중계기 설치 요청자의 개인정보를 공유하고, 상기 요청자의 개인정보가 변동되면 이를 즉시 중계기 관리서버(100)에 통보하여 상기 중계기 관리서버(100)에서 이에 따른 중계기 이설 또는 회수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중계기 관리서버(100)는 이를 위해 중계기 설치 요청자의 이름, 주소 등 개인정보를 유선사업자 관리서버(300) 및 이동통신 고객관리서버(200)에 전송한다. 유선사업자 관리서버 및 이동통신 고객관리서버에 포함된 각 제어모듈은 수신된 개인정보 데이터를 판독하여 자체 저장된 사용자 DB에 해당 개인정보가 저장되어 있는지 검색한다. 또한, 검색된 사용자 데이터가 중계기 설치 요청 자에 대한 데이터임을 소정의 메시지 또는 기호로서 기록한다.
상기 유선사업자 관리서버 및 이동통신 고객관리서버의 각 제어모듈은 자체 저장된 사용자 DB에서 중계기 설치 요청 자로서 기록된 사용자 정보에 대해 개인정보가 변경되는지 여부를 실시간 감시하고, 새로운 입력에 의해 해당 사용자 정보가 변경되면 변경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생성하여 중계기 관리서버(100)에 전송한다.
이때, 상기 메시지는 변경된 정보, 예를 들어 주소, 해지여부 등을 함께 포함하여 전송될 수 있다.
중계기 관리서버(100)는 수신된 메시지를 판독하여 소정 사용자에 대한 개인정보가 변경되었음을 인식하고 이를 중계기 관리자에게 알리기 위한 변경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여 화면 상에 출력한다.
상기 변경 알림 메시지는 소정의 텍스트, 이미지, 음원 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다양한 형식으로 출력될 수 있으며, 중계기의 보수를 관리하는 서비스센터 등과 연결되어 전달될 수 있다.
도 3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중계기 관리시스템의 동작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우선, 단계 S10에서, 유선사업자 관리서버 및/또는 이동통신 고객관리 서버는 중계기 관리서버로부터 중계기 설치 요청자의 개인정보를 포함한 중계기 설치 정보를 수신한다.
단계 S20에서, 유선사업자 관리서버 및/또는 이동통신 고객관리서버는 수신된 설치정보를 판독하여 자체에 저장된 사용자DB에 상기 설치 요청자의 개인정보가 존재하는 지 검색한다. 검색결과 존재하는 경우 해당 개인정보 데이터 상에 중계기 설치 요청자의 개인정보임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기록한다.
다음, 단계 S30에서, 중계기 설치 요청자의 개인정보로서 등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개인정보 데이터가 외부 입력에 의해 변경되어 새로운 정보가 갱신되면 이를 감지하여 단계 S40에서 갱신된 정보를 추출한다.
단계 S50에서, 개인정보가 변경되었음을 알리는 변경통보 데이터를 생성하고 단계 S40에서 추출된 갱신된 정보를 포함하여 중계기 관리서버에 전송한다. 변경통 보 데이터를 수신한 중계기 관리서버는 수신된 데이터 내에 포함된 사용자와 변경된 정보를 포함하여 중계기 설치 요청자의 개인정보가 변경되었음을 관리자에게 알리기 위한 변경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여 외부에 출력한다.
한편, 본 발명의 제 2실시 예에 따른 중계기 관리시스템은 유선사업자 관리서버 및 이동통신 고객관리서버와 연결된 중계기 관리서버에서 직접 개인정보 변경을 감지하여 이에 따른 중계기 이설 또는 회수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4 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중계기 관리시스템에 있어서, 중계기 관리서버의 내부 구성이 도시된 블록도 이다.
본 발명의 제 2실시 예에 따른 중계기 관리시스템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모듈(120), 변동감지 모듈(140) 및 메모리(160)를 포함하며, 외부로부터의 입출력을 제어하는 UI(180), 그리고 상기 유선사업자 관리서버(300) 및 이동통신 고객관리서버(2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통신모듈(190)을 포함한다.
메모리(160)는 제어모듈(120) 및 변동감지 모듈(14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프로그램을 저장하며, 현장에 설치되어 있는 각 중계기의 설치 정보를 저장하는 중계기 설치DB(17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중계기 설치 DB(170)는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가정 또는 건물 내 설치되는 소형 중계기의 설치정보도 함께 포함하는데, 상기 소형 중계기 설치정보에는 설치 요청자의 개인정보, 설치일자, 현재 운용상 태, 설치된 중계기의 고유번호 등이 포함된다. 또한, 상기 중계기 DB(170)에 저장되는 소형 중계기 설치 정보는 건물 내 설치되는 소형 중계기의 경우 한 건물이라도 다수의 중계기가 설치되어 있을 수 있으므로 데이터 관리의 편의성을 위해 소형/초소형 중계기 중 가정 내에 설치되는 중계기 설치 정보와 건물 내에 설치되는 중계기 설치 정보가 구분하여 저장될 수 있다.
상기 UI(180)는 중계기 관리서버(100)의 관리자가 제어명령을 입력하고 입력된 명령에 따라 중계기 관리 화면이 디스플레이 패널 상에 출력되도록 한다. 이때 패널 상에 출력되는 중계기 관리 화면의 구성은 관리자의 설정 또는 제어 프로그램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내부 네트워크로 중계기 관리서버(100)와 연결된 관리단말이 중계기 관리서버(100)와 접속하여 중계기 관리화면의 조회를 요청하는 경우 관리단말로 상기 중계기 관리화면을 구현하기 위한 데이터를 전송하여 관리단말의 디스플레이 패널 상에 상기 화면이 나타나도록 할 수 있다.
변동감지 모듈(140)은 유선사업자 관리서버(300) 및 이동통신 고객관리서버(200)에 접속하여 가정 또는 건물 내에 소형 중계기 설치를 요청하여 사용하는 사용자의 개인정보 또는 해지 등의 상태정보를 검색한다. 또한, 검색된 정보와 중계기 DB(170)에 저장된 개인정보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개인정보가 변경된 것으로 판단하여 이를 제어모듈(120)에 전달한다. 이때, 각 정보의 데이터 갱신 일자를 비교하여 중계기 DB(170)에 저장된 개인정보의 갱신 일자가 최신의 일자인 경우에는 개인정보가 변경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변동감지 모듈(140)은 주기적으로 상기 유선사업자 관리서버(300)에 접 속하여 중계기 설치 요청자의 개인정보 또는 유선전화 상태정보를 검색하고 변동사항이 있는지 확인할 수 있으며, 실시간으로 접속하여 변경되는지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이는 이동통신 고객관리서버(200)와의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동작하여, 주기적으로 상기 이동통신 고객관리서버(200)에 접속하여 해당 개인정보의 변동 유무를 확인하거나 실시간으로 접속하여 파악할 수 있다.
제어모듈(120)은 메모리(160)에 저장된 제어 프로그램에 따라 중계기 관리서버(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변동감지 모듈(140)로부터 해당 설치 요청자의 개인정보 변동을 수신하여 이를 외부에 통보한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예로, UI(180)상에 사용자의 상태정보가 변경되었다는 취지의 텍스트 또는 이미지 형태의 메시지를 출력하거나 메시지 출력과 함께 경고음을 출력하여 중계기 관리서버(100)의 관리자가 보다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중계기 관리서버(100)가 A/S를 담당하는 부서와 연결 가능한 경우 이를 상기 해당 부서에 바로 전달하거나 해당 중계기의 관리자에게 문자 메시지를 전송하여 즉각적인 처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태정보가 변경된 사용자에게 이동통신 사업자 관리서버(200) 또는 유선사업자 관리서버(300)에 저장된(또는 변경된) 전화번호로 자동으로 전화를 걸어 현장에 설치된 해당 중계기의 이설 또는 회수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제 2실시 예에 따른 중계기 관리시스템은 상술한 바와 같이 주기적 또는 실시간으로 변동여부를 감시할 수 있으며, 관리자의 변동여부 확인 명령에 따라 수동적으로 동작할 수도 있다. 도 5는 이에 대한 본 발명의 제 2실시 예에 따른 중계기 관리시스템의 동작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단계 S100에서, 중계기 관리서버는 화면 상에 다수의 중계기 목록을 출력한다.
단계 S110에서, 관리자의 입력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중계기가 선택되면 선택된 각 중계기에 대한 상세정보가 출력된다. 상기 상세정보에는 중계기의 고유 모델, 중계기의 현재 운용상태, 중계기의 관리 담당자, 설치된 장소, 설치 요청자의 개인정보, 보수 이력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단계 S120에서, 선택된 각 중계기의 전부 또는 일부에 대해 유선사업자 관리서버 및 이동통신 고객관리서버와의 연동명령을 입력하면, 단계 S130에서, 상기 유선사업자 관리서버 및 이동통신 고객관리서버에 접속하여 선택된 해당 중계기 설치 요청자의 개인정보를 검색하고, 검색된 개인정보 데이터를 수신한다.
다음, 단계 S140에서, 수신된 개인정보 데이터와 자체 저장된 해당 요청자의 개인정보를 비교하여 일치하는 지 여부를 판단하고,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단계 S150에서, 해당 개인정보가 변경된 것으로 판단하여 변동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고 이를 화면 상에 출력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중계기 관리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을 예시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중계기 사용자의 유선전화 관리정보가 변경되는 경우 이를 신속하게 감지하여 통보함으로써 소형 중계기의 파손 또는 분실을 방지할 수 있는 본 발명의 기술사상은 특허 청구범위의 범위 이내에서 당 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응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중계기 관리시스템의 구성이 간략하게 도시된 도,
도 2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중계기 관리시스템의 구성이 간략하게 도시된 도,
도 3 은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에 따른 중계기 관리시스템의 동작방법이 도시된 순서도,
도 4 는 본 발명의 제 2실시 예에 따른 중계기 관리시스템에 있어서, 중계기 관리서버의 내부 구성이 도시된 블록도,
도 5 는 본 발명의 제 2실시 예에 따른 중계기 관리시스템의 동작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중계기 관리서버 200: 이동통신 고객관리서버
300: 유선사업자 관리서버 120: 제어모듈
140: 변동감지모듈 170: 중계기 설치DB

Claims (12)

  1. 유선전화 가입자의 유선전화 설치정보를 관리하는 유선사업자 관리서버와 연동하여 중계기를 관리하는 중계기 관리시스템에 있어서,
    가정 또는 건물 내에 설치된 중계기의 설치정보를 관리하는 중계기 관리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중계기 관리서버는, 상기 유선사업자 관리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중계기의 설치 요청자의 개인 정보를 검색하고, 검색된 개인 정보와 상기 중계기의 설치 정보에 포함된 설치 요청자의 개인 정보가 일치하는지 판단하는 변동 감지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기 관리시스템.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변동 감지모듈은 개인정보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변동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여 출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기 관리시스템.
  4. 이동통신 서비스 가입자의 정보를 관리하는 이동통신 고객관리서버와 연동하여 중계기를 관리하는 중계기 관리시스템에 있어서,
    가정 또는 건물 내에 설치된 중계기의 설치정보를 관리하는 중계기 관리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중계기 관리서버는, 상기 이동통신 고객관리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중계기의 설치 요청자의 개인 정보를 검색하고, 검색된 개인 정보와 상기 중계기의 설치 정보에 포함된 설치 요청자의 개인 정보가 일치하는지 판단하는 변동 감지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기 관리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기 관리서버는 상기 중계기의 설치정보를 저장하는 중계기 설치 DB;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기 관리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변동 감지모듈은 개인정보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변동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여 출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기 관리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변동 알림 메시지는 변동 알림 정보와 함께 경고음을 출력하기 위한 소정의 음원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기 관리시스템.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변동 알림 메시지는 문자 메시지의 형태로 상기 중계기의 관리자에게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기 관리시스템.
  9. 이동통신 고객관리서버 또는 유선사업자 관리서버와 연동하여 가정 또는 건물 내에 설치되는 중계기를 관리하는 중계기 관리시스템의 동작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고객관리서버 또는 유선사업자 관리서버에 접속하여 중계기의 설치 요청자의 개인 정보를 검색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의 상기 중계기에 대하여, 상기 중계기 설치 요청자의 개인 정보가 변경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판단결과 개인 정보가 변경된 경우, 변동 알림 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기 관리시스템의 동작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중계기 중 어느 하나의 중계기가 선택되는 단계
    선택된 중계기에 대해 연동명령이 입력되면 해당 중계기 설치 요청자의 개인 정보가 변경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기 관리시스템의 동작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변경여부 판단단계는 상기 이동통신 고객관리서버 또는 유선사업자 관리서버로부터 상기 중계기 설치 요청자의 개인 정보를 검색하여 수신하는 단계; 및
    수신된 개인정보 및 상기 중계기의 설치정보에 포함된 설치 요청자의 개인정보를 비교하여 일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기 관리시스템의 동작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변경여부 판단단계는 일정 주기에 따라 반복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기 관리시스템의 동작방법.
KR1020070112072A 2007-11-05 2007-11-05 중계기 관리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KR1009416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2072A KR100941685B1 (ko) 2007-11-05 2007-11-05 중계기 관리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2072A KR100941685B1 (ko) 2007-11-05 2007-11-05 중계기 관리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6115A KR20090046115A (ko) 2009-05-11
KR100941685B1 true KR100941685B1 (ko) 2010-02-12

Family

ID=408560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2072A KR100941685B1 (ko) 2007-11-05 2007-11-05 중계기 관리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168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8826B1 (ko) * 2015-03-09 2016-06-09 (주)네트 무선측위기술을 이용한 선박 내 소병기 및 포탄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67292A (ko) * 2003-01-22 2004-07-30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 통신망의 중계기 관리 시스템
KR100645601B1 (ko) 2005-08-30 2006-11-14 주식회사 텔리안 와이어리스 로컬 루프 단말기의 이동 사용 방지 장치 및방법
KR20060132134A (ko) * 2005-06-17 2006-12-21 (주)팜미디어 이동 통신망 통화품질 측정을 위한 건물 주소지 와기지국간의 매칭 방법
KR100695101B1 (ko) * 2006-01-06 2007-03-14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중계기 감시 대상 관리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67292A (ko) * 2003-01-22 2004-07-30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 통신망의 중계기 관리 시스템
KR20060132134A (ko) * 2005-06-17 2006-12-21 (주)팜미디어 이동 통신망 통화품질 측정을 위한 건물 주소지 와기지국간의 매칭 방법
KR100645601B1 (ko) 2005-08-30 2006-11-14 주식회사 텔리안 와이어리스 로컬 루프 단말기의 이동 사용 방지 장치 및방법
KR100695101B1 (ko) * 2006-01-06 2007-03-14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중계기 감시 대상 관리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6115A (ko) 2009-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35950B2 (en) Terminal setting change notification
US978819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ng profile of terminal in mobile network
US813512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restriction on call connections
US7548537B2 (en) 911 location updating for an enterprise using VOIP telephones
CN101202686B (zh) 确定具有隐藏标识符的无线网络的标识符
US7899470B2 (en) Transmitting an assignment through wireless transmission
WO2005121981A1 (ja) 情報端末、設定情報配信サーバ、権利情報配信サーバ、ネットワーク接続設定プログラムおよび方法
EP2180756A1 (e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pper node device, base station device, mobile station device, and base station status control method
US8655329B2 (en) Downloadable profiles for mobile terminals
JP2008092474A (ja) 通信端末装置、サーバ及び無線通信システム
US20130208712A1 (en) Disaster prevention system based o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and method for the same
CN104618873A (zh) 接入点信息分享方法和装置
US1097761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tilizing callee information and location before call establishment
JP2003264494A (ja) 電波状況作成方法
CN102625230A (zh) 一种楼宇系统通信方法、装置及系统
KR100941685B1 (ko) 중계기 관리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JP2005303669A (ja) 無線lanシステム、送信電力制御方法、位置管理方法および送信電力制御プログラム
CN101222336A (zh) 向安全系统的键盘上传近实时消息的方法和系统
JP2018174407A (ja) 通信制御装置、通信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10137068A (ko) 와이파이 단말을 이용한 위치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N101753590A (zh) 一种用于远程管理应用的装置和方法
KR100534564B1 (ko) 단말기를 이용한 무선망 품질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17169058A (ja) 位置情報伝達機能を有する電話装置および情報端末
KR20070037161A (ko) 실시간 단말 위치정보의 플로팅 시스템 및 방법
JP5473091B1 (ja) 無線通信設備設置支援システム、無線通信設備設置支援管理サーバー、無線通信設備設置支援用端末装置、無線通信設備設置支援方法及び無線通信設備設置支援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