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1620B1 - 케이블 연결 소자 및 이에 있어서 케이블 연결 방법 - Google Patents

케이블 연결 소자 및 이에 있어서 케이블 연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1620B1
KR100941620B1 KR1020080038426A KR20080038426A KR100941620B1 KR 100941620 B1 KR100941620 B1 KR 100941620B1 KR 1020080038426 A KR1020080038426 A KR 1020080038426A KR 20080038426 A KR20080038426 A KR 20080038426A KR 100941620 B1 KR100941620 B1 KR 1009416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conductor
specific space
conductor member
bas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84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12499A (ko
Inventor
김지훈
노형준
Original Assignee
(주)에이스안테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이스안테나 filed Critical (주)에이스안테나
Priority to KR10200800384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1620B1/ko
Publication of KR200901124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24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16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16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02Soldered or welded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5/00Three po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58Contacts spaced along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반사 손실 특성, 정재파비 특성, 전송 손실 특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그의 측면들에 도전체 부재가 형성된 케이블 연결 소자가 개시된다. 상기 케이블 연결 소자는 케이블이 삽입되도록 그의 종단에 특정 공간이 형성된 기본 부재, 및 상기 특정 공간에 대응하는 상기 기본 부재의 측면들 중 적어도 일부에 형성된 제 1 도전체 부재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기본 부재의 측면들은 상기 특정 공간에 대응하는 제 1 측면 및 제 2 측면을 포함하며, 케이블 연결시 상기 케이블의 외부 도체가 상기 제 1 도전체 부재에 연결되고, 상기 제 1 측면은 상기 케이블을 통하여 진행하는 신호의 방향과 동일한 방향에 위치되며, 상기 제 1 도전체 부재는 상기 제 1 측면 위에 형성된다.
안테나, 케이블, 정재파비, 도전체

Description

케이블 연결 소자 및 이에 있어서 케이블 연결 방법{CABLE CONNECTION DEVICE AND METHOD OF CONNECTING CABLES}
본 발명은 안테나에 사용되는 케이블 연결 소자 및 이에 있어서 케이블 연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신호의 특성 향상을 위하여 그의 측면들에 도전체 부재가 형성된 케이블 연결 소자 및 이에 있어서 케이블 연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안테나에는 복수의 케이블들이 존재하며, 이러한 케이블들은 동일한 특성을 가질 수도 있지만 다른 특성을 가질 수도 있다. 따라서, 서로 다른 특성을 가지는 케이블들을 연결하기 위하여 케이블 연결 소자가 사용된다.
이하, 종래의 케이블 연결 소자에 대하여 상술하겠다.
도 1은 종래의 케이블 연결 소자의 전면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케이블 연결 소자의 후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종래의 케이블을 연결시키는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케이블 연결 소자는 기본 부재(100), 연결 부재들(106 및 108) 및 제 1 도전체 부재(110)를 포함한다.
기본 부재(100)는 소정 유전율을 가지는 유전체 물질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기본 부재(100)의 종단들에는 케이블(102)이 삽입될 수 있는 공간(104)이 형성된다.
연결 부재(106 또는 108)는 도체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간(104) 상에서 기본 부재(100)에 연결된다. 이하, 연결 부재들(106 및 108)에 대한 설명은 연결 부재(106)를 예로 하겠다. 상세하게는, 연결 부재(106)의 수용부(106A)로부터 연장된 제 1 연결부(106B)가 기본 부재(100)와 결합된다.
이 경우, 케이블(102)은 도 1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하여 수용부(106A)로 삽입된다. 결과적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102)의 외부 도체(102A)가 수용부(106A)와 연결되고, 케이블(102)의 내부 도체(102B)가 제 1 도전체 부재(110)에 연결된다. 물론, 다른 케이블이 연결 부재(108)를 통하여 도체인 제 1 도전체 부재(110)에 연결되므로, 연결 부재(106)를 통하여 제 1 도전체 부재(110)에 연결된 케이블(102)이 연결 부재(108)를 통하여 제 1 도전체 부재(110)에 연결된 케이블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다음으로, 상기 케이블 연결 소자의 후면을 살펴보겠다.
도 2를 참조하면, 기본 부재(100)의 제 1 면과 반대되는 제 2 면(이하, "후면"이라 함)에는 도체인 제 2 도전체 부재(200)가 형성된다. 이러한 제 2 도전체 부재(200)는 접지 역할을 수행한다.
연결 부재(106)는 수용부(106A)로 길이 연장되어 제 2 도전체 부재(200)와 결합되는 제 2 연결부(106C)를 더 포함한다. 즉, 연결 부재(106) 중 제 1 연결 부(106B)는 수용부(106A)로부터 길이 연장되어 기본 부재(100)의 전면에 결합되고 제 2 연결부(106C)는 수용부(106A)로부터 길이 연장되어 기본 부재(100)의 후면에 결합된다. 결과적으로, 케이블(102)의 외부 도체(102A)가 기본 부재(100)의 후면에 형성된 제 2 도전체(2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요컨대, 종래의 케이블 연결 소자에서는, 케이블(102)의 외부 도체(102A)가 연결 부재(106)를 통하여 접지인 제 2 도전체 부재(200)로 연결된다. 여기서, 외부 도체(102A)의 외주면이 연결 부재(106)와 접촉하므로, 즉 외부 도체(102A)가 측면에 형성된 연결 부재(106)를 통하여 제 2 도전체 부재(200)와 연결되므로, 케이블(102)을 통하여 제 1 도전체 부재(110) 방향으로 전송되는 신호의 방향과 달랐다.
이러한 방향의 차이는 상기 케이블 연결 소자에서의 반사 손실 특성, 정재파비 특성 및 전송 손실 특성을 떨어뜨리는 문제점을 일으켰다. 또한, 상기 케이블 연결 소자를 통하여 진행하는 신호에 리플이 심하게 발생될 수 있었다.
본 발명의 제 1 목적은 기본 부재의 측면에 도전체 부재를 형성하여 반사 손실 특성, 정재파비 특성, 전송 손실 특성 및 리플 특성을 개선하는 케이블 연결 소자 및 이에 있어서 케이블 연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2 목적은 한번의 납땜 공정으로 케이블들을 안정적으로 연결시키는 케이블 연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연결 소자는 케이블이 삽입되도록 그의 종단에 특정 공간이 형성된 기본 부재; 및 상기 특정 공간에 대응하는 상기 기본 부재의 측면들 중 적어도 일부에 형성된 제 1 도전체 부재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기본 부재의 측면들은 상기 특정 공간에 대응하는 제 1 측면 및 제 2 측면을 포함하며, 케이블 연결시 상기 케이블의 외부 도체가 상기 제 1 도전체 부재에 연결되고, 상기 제 1 측면은 상기 케이블을 통하여 진행하는 신호의 방향과 동일한 방향에 위치되며, 상기 제 1 도전체 부재는 상기 제 1 측면 위에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의 종단에 특정 공간이 형성된 기본 부재, 상기 특정 공간에 대응하는 상기 기본 부재의 측면들 중 적어도 일부에 형성된 제 1 도전체 부재, 상기 특정 공간과 인접한 영역에서 상기 기본 부재의 제 1 면 위에 형성된 제 2 도전체 부재, 상기 특정 공간과 인접한 영역에서 상기 기본 부재의 제 1 면과 반대되는 제 2 면 위에 형성된 제 3 도전체 부재 및 상기 특정 공간 상에서 상기 기본 부재의 제 1 면과 제 2 면에 연결되는 연결 부재를 가지는 케이블 연결 소자를 통하여 케이블을 연결하는 방법은 상기 케이블의 내부 도체가 상기 제 2 도전체 부재에 연결되도록 상기 케이블을 상기 연결 부재에 삽입시키는 단계; 상기 케이블의 내부 도체가 상기 제 2 도전체 부재에 연결되도록 솔더링하는 단계; 및 상기 케이블의 외부 도체가 상기 제 1 도전체 부재에 연결되도록 솔더링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기본 부재의 측면들은 상기 특정 공간에 대응하는 제 1 측면 및 제 2 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측면은 상기 케이블을 통하여 진행하는 신호의 방향과 동일한 방향에 위치되며, 상기 제 1 도전체 부재는 상기 제 1 측면 위에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연결 소자에서, 케이블을 통하여 전송되는 신호의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케이블의 외부 도체와 기본 부재의 측면에 형성된 도전체 부재가 연결되므로, 반사 손실 특성, 정재파비 특성, 전송 손실 특성 등이 개선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 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연결 소자의 전면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케이블 연결 소자의 후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의 케이블 연결 소자에서 Ⅰ-Ⅰ' 라인을 따라 절취한 기본 부재를 도시한 사시도 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케이블 연결 소자는 기본 부재(400), 연결 부재들(406 및 408), 제 1 도전체 부재(410) 및 제 2 도전체 부재(412)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케이블 연결 소자는 적어도 하나의 복사 소자 및 페이즈 쉬프터(Phase Shifter)를 이용하여 소정 방사 패턴을 출력하는 배열 안테나에서 사용될 수 있으나, 이로써 제한되지는 않는다.
일반적으로, 케이블들, 예를 들어 동축 케이블들은 모두 동일한 전기적 특성을 가지지는 않으므로, 상기 케이블들 중 일부는 다른 케이블과 다른 전기적 특성, 예를 들어 저항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케이블들을 통하여 전송되는 신호들의 특징이 다를 수 있으며, 따라서 이러한 다른 특성을 가지는 신호들을 사용 목적에 적합하도록 보상하기 위하여 상기 케이블들을 상기 케이블 연결 소자를 이용하여 전기적으로 연결시킨다.
이하, 상기 케이블 연결 소자에 연결되는 케이블(402)이 외부 도체(402A), 내부 도체(402B) 및 외부 도체(402A)를 피복층(402C), 예를 들어 할로겐 프리 재킷(Halogen Free Jacket, HFJ)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가정하고, 상기 케이블 연결 소자의 구성 요소들에 대하여 상술하겠다.
우선, 상기 케이블 연결 소자의 전면 구성 요소들에 대하여 상술하겠다.
도 4를 다시 참조하면, 기본 부재(400)는 소정 유전율을 가지는 유전체 물질로 이루어지며, 전도성이 없다.
이러한 기본 부재(400)의 종단들에는 케이블(402)이 삽입될 수 있는 공 간(404)이 형성된다.
연결 부재(406 또는 408)는 도체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간(404) 상에서 기본 부재(400)에 연결된다. 이하, 연결 부재들(406 및 408)에 대한 설명은 연결 부재(406)를 예로 하겠다.
연결 부재(406)는 케이블(402)을 수용할 수 있도록 곡면 형상을 가지고 형성된 수용부(406A) 및 수용부(406A)로부터 길이 연장되어 기본 부재(400)의 전면과 연결되는 제 1 연결부(406B)로 이루어진다.
즉, 케이블(402)은 도 4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하여 공간(404) 상에 형성된 수용부(406A)로 삽입되며, 그 결과 후술하는 바와 같이 케이블(402)의 외부 도체(402A)가 수용부(406A)에 연결되고, 케이블(402)의 내부 도체(402B)가 제 1 도전체 부재(410)에 연결된다.
물론, 다른 케이블이 연결 부재(408)를 통하여 제 1 도전체 부재(410)에 연결된다. 여기서, 제 1 도전체 부재(410)가 도체이므로, 연결 부재(406)를 통하여 제 1 도전체 부재(410)에 연결된 케이블(402)이 연결 부재(408)를 통하여 제 1 도전체 부재(410)에 연결된 케이블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케이블 연결 방법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후술하겠다.
제 2 도전체 부재(412)는 도체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본 부재(400)의 측면들 중 공간(404)에 대응하는 측면들 위에 형성되며, 즉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본 부재(400) 위에 형성된다.
상세하게는, 공간(404)에 대응하는 기본 부재(400)의 측면들로는 제 1 도전 체 부재(410)와 마주보는 제 1 측면(400A)과 제 1 연결부(406B)에 대응하는 제 2 측면(400B) 및 제 3 측면(400C)이 존재한다. 이 경우, 제 2 도전체 부재(412)는 측면들(400A 내지 400C) 중 적어도 하나의 측면 위에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측면들(400A 내지 400C) 전부 위에 형성된다. 다만, 제 2 도전체 부재(412)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반사 손실 특성, 전송 손실 특성 등을 고려하여 제 1 측면(400A) 위에 항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도전체 부재(410)는 도체로서 케이블(402)과 다른 케이블을 연결시키기 위해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본 부재(400) 위에 형성된다. 다만, 제 1 도전체 부재(410)는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측면(400A)으로부터 TL 길이만큼 이격되어 있다. 이것은 제 2 도전체 부재(412)에 연결되는 케이블(402)의 외부 도체(402A)와 제 1 도전체 부재(410)에 연결되는 케이블(402)의 내부 도체(402B)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다음으로, 상기 케이블 연결 소자의 후면에 대하여 살펴보겠다.
도 5를 참조하면, 기본 부재(400)의 제 1 면과 반대되는 제 2 면(이하, "후면"이라 함)에는 도체인 제 3 도전체 부재(500)가 형성된다. 이러한 제 3 도전체 부재(500)는 예를 들어 접지 역할을 수행한다.
연결 부재(406)는 수용부(406A)로부터 연장되어 제 3 도전체 부재(500)와 결합되는 제 2 연결부(406C)를 더 포함한다. 즉, 연결 부재(406) 중 제 1 연결부(406B)는 수용부(406A)로부터 길이 연장되어 기본 부재(400)의 전면에 결합되고 제 2 연결부(406C)는 수용부(406A)로부터 길이 연장되어 기본 부재(400)의 후면에 결합된다. 결과적으로, 연결 부재(406)가 기본 부재(400)에 안정적으로 결합될 뿐만 아니라, 케이블(402)의 외부 도체(402A)를 기본 부재(400)의 후면에 형성된 제 3 도전체(500)에 전기적으로 연결시킨다.
요컨대, 본 발명의 케이블 연결 소자에서, 기본 부재(400)의 측면들 중 공간(404)에 대응하는 측면들(400A, 400B 및 400C)에는 제 2 도전체 부재(412)가 형성된다. 이러한 제 2 도전체 부재(412)로 인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이 반사 손실 특성, 정재파비 특성 및 전송 손실 특성 등이 향상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전체 부재들(410, 412 및 500) 중 적어도 하나는 주석으로 이루어진다.
이하, 상기 케이블 연결 소자와 케이블을 연결시키는 방법을 상술하겠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을 연결시키는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402)은 연결 부재(406)로 삽입되며, 결과적으로 케이블(402)의 외부 도체(402A)는 연결 부재(406) 및 제 2 도전체 부재(412)를 통하여 접지인 제 3 도전체 부재(500)로 연결된다.
또한, 케이블(402)의 내부 도체(402B)는 제 1 도전체 부재(410)에 연결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솔더링 공정(soldering process)이 수행된다. 상세하게는, 내부 도체(402B)가 배열된 제 1 도전체 부재(410) 위에 납땜 용액이 투여되며, 결과적으로 내부 도체(402B)가 제 1 도전체 부재(410) 위에 고정된다. 따라서, 내부 도체(402B)가 제 1 도전체 부재(4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납땜 용액이 외부 도체(402A)와 제 2 도전체 부재(412) 사이 및 연결 부재(406)의 수용부(406A)의 상단부에 형성된 홀을 통하여 투여되며, 결과적으로 외부 도체(402A)가 연결 부재(406)에 의해 고정된다.
상세하게는, 외부 도체(402A)의 외주변은 연결 부재(406)의 수용부(406A)에 연결되고, 외부 도체(402A)의 종단부 단면 부분, 즉 종단면이 제 2 도전체 부재(412)에 연결된다. 즉, 외부 도체(402A)는 연결 부재(406)를 통하여 제 3 도전체 부재(500)에 연결될 뿐만 아니라 제 2 도전체 부재(412)를 통하여서도 제 3 도전체 부재(500)에 연결된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외부 도체(402A)의 종단면이 기본 부재(400)의 제 1 측면(400A)에서 제 2 도전체 부재(412)와 연결되며, 즉, 전송 신호의 진행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외부 도체(402A)와 제 2 도전체 부재(412)가 연결된다. 이 경우, 후술하는 실험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반사 손실 특성, 정재파비 특성, 전송 손실 특성 및 리플 특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솔더링 공정은 상기 케이블 연결 소자의 전면에서만 수행되어도 케이블(402)을 상기 케이블 연결 소자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키면서 도전체 부재들(410, 412 및 500)에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이하, 이러한 구조를 가지는 케이블 연결 소자를 사용했을 때의 특성을 이하의 실험 결과를 통하여 상술하겠다.
도 8은 반사 손실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9는 TL의 길이 변화에 따른 전송 손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공간 폭의 변화에 따른 전송 손실을 도시한 도면 이다. 여기서, 도 6에 도시된 TL의 길이를 0.5㎜, 1.0㎜로 설정하고, 제 1 도전체 부재(410)의 길이는 93.7㎜로 설정하였으며, 제 1 도전체 부재(410)의 폭(W)은 3.7㎜, 3.8㎜, 3.9㎜ 및 4.0㎜로 설정하였다.
우선, 반사 손실을 살펴보겠다.
도 8(A)는 종래의 케이블 연결 소자에서의 반사 손실을 도시하였고, 도 8(B)는 본 발명의 케이블 연결 소자에서 TL이 0.5㎜일 때의 반사 손실을 도시하였으며, 도 8(C)는 본 발명의 케이블 소자에서 TL이 1.0㎜일 때의 반사 손실을 도시하였다.
도 8(A)와 도 8(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케이블 연결 소자의 반사 손실은 대다수가 -25㏈ 이하에 존재하는 반면에, 종래의 케이블 연결 소자의 반사 손실은 대다수가 -25㏈ 이상에 존재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케이블 연결 소자의 반사 손실이 종래의 케이블 연결 소자의 반사 손실보다 작음을 확인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케이블 연결 소자에서의 정재파비(VSWR)가 종래의 케이블 연결 소자에서의 정재파비보다 개선되었다.
도 8(B)와 도 8(C)를 참조하면, TL의 길이가 0.5㎜일 때가 1.0㎜일 때보다 반사 손실이 적음이 확인된다. 즉, TL의 길이가 작을수록 정재파비 특성이 향상되고 리플(ripple)이 감소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케이블 연결 소자에서는 TL의 길이를 작게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전송 손실을 살펴보겠다.
도 9(A)는 종래의 케이블 연결 소자에서의 전송 손실을 도시하였고, 도 9(B)는 본 발명의 케이블 연결 소자에서 TL이 0.5㎜일 때의 전송 손실을 도시하였으며, 도 9(C)는 본 발명의 케이블 소자에서 TL이 1.0㎜일 때의 전송 손실을 도시하였다.
도 9(A)와 도 9(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케이블 연결 소자의 전송 손실이 종래의 케이블 연결 소자의 전송 손실보다 작다. 즉, 전송 손실이 개선됨이 확인된다.
또한, 본 발명의 케이블 연결 소자에서의 전송 신호의 리플이 종래의 케이블 연결 소자에서의 전송 신호의 리플보다 감소함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1.9㎓와 2.17㎓ 사이에서의 리플이 많이 개선되었다.
도 9(B)와 도 9(C)를 참조하면, TL의 길이가 0.5㎜일 때가 1.0㎜일 때보다 전송 손실이 적음이 확인된다. 즉, TL의 길이가 작을수록 전송 손실 특성이 안정적이며, 따라서 본 발명의 케이블 연결 소자에서는 TL의 길이를 작게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 1 도전체 부재(410)의 폭(W)이 변화됨에 따라 전송 손실이 다름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원하는 목적에 따라 적절한 폭을 설정하여 상기 케이블 연결 소자를 구현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케이블 연결 소자의 전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케이블 연결 소자의 후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종래의 케이블을 연결시키는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연결 소자의 전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케이블 연결 소자의 후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의 케이블 연결 소자에서 Ⅰ-Ⅰ' 라인을 따라 절취한 기본 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을 연결시키는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반사 손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TL의 길이 변화에 따른 전송 손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공간 폭의 변화에 따른 전송 손실을 도시한 도면이다.

Claims (12)

  1. 케이블이 삽입되도록 그의 종단에 특정 공간이 형성된 기본 부재; 및
    상기 특정 공간에 대응하는 상기 기본 부재의 측면들 중 적어도 일부 위에 형성된 제 1 도전체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기본 부재의 측면들은 상기 특정 공간에 대응하는 제 1 측면 및 제 2 측면을 포함하되,
    케이블 연결시 상기 케이블의 외부 도체가 상기 제 1 도전체 부재에 연결되고, 상기 제 1 측면은 상기 케이블을 통하여 진행하는 신호의 방향과 동일한 방향에 위치되며, 상기 제 1 도전체 부재는 상기 제 1 측면 위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연결 소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연결 소자는,
    상기 특정 공간과 인접한 영역에서 상기 기본 부재의 제 1 면 위에 형성된 제 2 도전체 부재;
    상기 특정 공간과 인접한 영역에서 상기 기본 부재의 제 1 면과 반대되는 제 2 면 위에 형성된 제 3 도전체 부재; 및
    상기 특정 공간 상에서 상기 케이블을 수용하는 도체인 연결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연결 소자.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케이블을 수용하는 수용부;
    상기 수용부로부터 길이 연장되며, 상기 기본 부재의 제 1 면과 연결되는 제 1 연결부; 및
    상기 수용부로부터 길이 연장되며, 상기 기본 부재의 제 2 면에 연결되는 제 2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연결 소자.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도전체 부재는 상기 기본 부재 중 상기 특정 공간에 대응하는 종단점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연결 소자.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케이블의 외부 도체와 연결되며, 상기 제 2 도전체 부재는 상기 케이블의 내부 도체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연결 소자.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내지 제 3 도전체 부재들 중 적어도 2개는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연결 소자.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도전체 부재는 접지로서 기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연결 소자.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도전체 부재는 주석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연결 소자.
  9. 삭제
  10. 그의 종단에 특정 공간이 형성된 기본 부재, 상기 특정 공간에 대응하는 상기 기본 부재의 측면들 중 적어도 일부에 형성된 제 1 도전체 부재, 상기 특정 공간과 인접한 영역에서 상기 기본 부재의 제 1 면 위에 형성된 제 2 도전체 부재, 상기 특정 공간과 인접한 영역에서 상기 기본 부재의 제 1 면과 반대되는 제 2 면 위에 형성된 제 3 도전체 부재 및 상기 특정 공간 상에서 상기 기본 부재의 제 1 면과 제 2 면에 연결되는 연결 부재를 가지는 케이블 연결 소자를 통하여 케이블을 연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의 내부 도체가 상기 제 2 도전체 부재에 연결되도록 상기 케이블을 상기 연결 부재에 삽입시키는 단계;
    상기 케이블의 내부 도체가 상기 제 2 도전체 부재에 연결되도록 솔더링하는 단계; 및
    상기 케이블의 외부 도체가 상기 제 1 도전체 부재에 연결되도록 솔더링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기본 부재의 측면들은 상기 특정 공간에 대응하는 제 1 측면 및 제 2 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측면은 상기 케이블을 통하여 진행하는 신호의 방향과 동일한 방향에 위치되며, 상기 제 1 도전체 부재는 상기 제 1 측면 위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연결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도전체 부재 내지 상기 제 3 도전체 부재 중 적어도 하나는 주석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연결 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도전체 부재는 상기 기본 부재 중 상기 특정 공간에 대응하는 종단점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연결 방법.
KR1020080038426A 2008-04-24 2008-04-24 케이블 연결 소자 및 이에 있어서 케이블 연결 방법 KR1009416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8426A KR100941620B1 (ko) 2008-04-24 2008-04-24 케이블 연결 소자 및 이에 있어서 케이블 연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8426A KR100941620B1 (ko) 2008-04-24 2008-04-24 케이블 연결 소자 및 이에 있어서 케이블 연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2499A KR20090112499A (ko) 2009-10-28
KR100941620B1 true KR100941620B1 (ko) 2010-02-11

Family

ID=415536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8426A KR100941620B1 (ko) 2008-04-24 2008-04-24 케이블 연결 소자 및 이에 있어서 케이블 연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162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1599B1 (ko) * 2005-11-17 2007-06-22 (주)에이스안테나 상호 변조 왜곡 억압을 위한 케이블 고정접속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1599B1 (ko) * 2005-11-17 2007-06-22 (주)에이스안테나 상호 변조 왜곡 억압을 위한 케이블 고정접속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2499A (ko) 2009-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69770B1 (en) Ground sleeve having improved impedance control and high frequency performance
JP6435402B2 (ja) 螺旋状に巻回した遮蔽テープを含む通信ケーブル
US9466925B2 (en) Paddle card assembly for high speed applications
JP4691738B2 (ja) シールド機能を有するコネクタ装置
US20160172794A1 (en) Communications connector system
KR102008727B1 (ko) 커넥터
US7507127B2 (en) Cable attachment, cable assembly including the same, and connector including the assembly
US20140206230A1 (en) Paddle Card Assembly For High Speed Applications
US10084271B2 (en) Plug connector assembly having improved arrangement structure between outer case and printed circuit board
JPH0837351A (ja) フレキシブル回路板ハーネス装置及びそれに使用されるフレキシブル回路板
US10063018B2 (en) Plug connector assembly having a space-saving metal shell
US20190260165A1 (en) Cable termination for connectors
US7402073B2 (en) Cable connector and method of connecting a cable with a cable connector
US7382214B2 (en) Printed board
JP2007502514A (ja) フラットケーブルプラグコネクタ装置
KR20070051362A (ko) 적어도 하나의 개구를 갖는 리드를 포함하는 커넥터 및커넥터 조립체
US8313342B2 (en) Structure of electromagnetic wave resistant connector for flexible circuit cable
KR100941620B1 (ko) 케이블 연결 소자 및 이에 있어서 케이블 연결 방법
US6843660B2 (en) Cable systems and related methods
JP4818151B2 (ja) 外導体端子及びシールドコネクタ
US20120040546A1 (en) Very High Frequency Electrical Connector
JP6551067B2 (ja) アンテナ装置
JP6601666B2 (ja) アンテナ装置
JP6946157B2 (ja) 同軸ケーブル用圧着端子
JP2007104156A (ja) 変換器およびそれを備えたアンテナ素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8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