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0977B1 - 전화 시스템, 전화 시스템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전화 시스템, 전화 시스템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0977B1
KR100940977B1 KR1020067003703A KR20067003703A KR100940977B1 KR 100940977 B1 KR100940977 B1 KR 100940977B1 KR 1020067003703 A KR1020067003703 A KR 1020067003703A KR 20067003703 A KR20067003703 A KR 20067003703A KR 100940977 B1 KR100940977 B1 KR 1009409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lete delete
telephone
base station
telephone system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037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26905A (ko
Inventor
제프리 구스니츠
제임스 슬리와
Original Assignee
인터내셔널 비지네스 머신즈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US10/669,578 external-priority patent/US7710946B2/en
Priority claimed from US10/669,314 external-priority patent/US7492758B2/en
Application filed by 인터내셔널 비지네스 머신즈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인터내셔널 비지네스 머신즈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601269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69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09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09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2Inter-network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6Communication-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transfer or call-ho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53Telephone sets using digital voice transmission
    • H04M1/2535Telephone sets using digital voice transmission adapted for voice communication over an Internet Protocol [IP]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2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 H04M1/274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 H04M1/2745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using static electronic memories, e.g. chip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5Cordless tele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5Cordless telephones
    • H04M1/72502Cordless telephones with one base station connected to a single li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18Processing of user or subscriber data, e.g. subscribed services, user preferences or user profiles; Transfer of user or subscriber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6WPBX [Wireless Private Branch Exchan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2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 H04M1/271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controlled by voice recogn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2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 H04M1/274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 H04M1/2745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using static electronic memories, e.g. chips
    • H04M1/27453Directories allowing storage of additional subscriber data, e.g. meta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2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 H04M1/274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 H04M1/2745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using static electronic memories, e.g. chips
    • H04M1/27485Appending a prefix to or inserting a pause into a dialling seque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 H04M1/7243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for text messaging, e.g. short messaging services [SMS] or e-m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1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schedules, e.g. using calenda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4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different network devices
    • H04W92/14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different network devices between access point controllers and backbone network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Sub-Exchange Stations And Push- Button Telepho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PSTN 또는 패킷 네트워크를 통해 호를 위치시키거나 수신할 수 있는 전화기에 관한 것이다. 이 전화기는 임의의 주어진 인출 호를 서비스하기 위해 전화 번호를 선택하는 순서를 제어하는 우선 순위와 함께 각 잠재적 호출되는 파티에 대해 복수의 전화 번호를 저장할 수 있다. 전화 번호의 일부 또는 전부는 참가 서비스와 관련될 수 있다. 전화기에 저장되는 참가 표시자는 패킷 네트워크 접속을 통해 동적으로 갱신되며 전화 번호 선택 알고리즘의 일부로서 사용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는 기지국 및 원격 장치를 갖는 무선 시스템이다.

Description

전화 시스템, 전화 시스템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WIRELESS TELEPHONE SYSTEM INCLUDING VOICE OVER IP AND POTS}
본 발명은 무선 전화 핸드셋과, 호당 선택 알고리즘(a per call selection algorithm)에 기초해서 VoIP(Voice over IP)를 이용하여 호를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또는 패킷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지능 기지국(an intelligent base station)에 관한 것이다.
현시점에서, 표준 공중 전화 교환망을 대신해서 패킷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스피치를 통해 통신하는 이용자가 많아지고 있다. 전형적으로 IP(Internet Protocol)을 이용하여 이 기능이 제공된다. 이용자는 유선 VoIP 데스크 세트와, 무선 LAN 802.11 프로토콜뿐만 아니라 핸드셋과 기지국간의 독점적 프로토콜 모두를 이용하는 무선 시스템을 포함하는 다양한 제품으로부터 선택할 수 있다. 물론, 이용자는 PSTN에 접속하는 임의의 수의 무선 전화로부터 선택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용자가 두 종류 모두의 네트워크에 액세스할 수 있게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VoIP 게이트웨이 다이얼링과 전형적 무선 PSTN 다이얼링용으로 각각 개별 시스템을 구비해야 하며, 임의의 주어진 전화 호에 대해 어느 시스템을 이용할지를 수동적으로 선택해야 한다.
본 발명은 첫 번째 양태에서 PSTN 또는 패킷 네트워크를 통해 호를 위치시키고 수신할 수 있는 전화 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문제점들을 해결한다. 패킷 통신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는 TCP/IP 프로토콜을 통한다. 본 발명의 두 번째 양태에서는, 전화 시스템은 임의의 주어진 인출 호를 서비스하기 위해 전화 번호를 선택하는 순서를 제어하는 우선 순위(preferences)와 함께 각 잠재적 호출되는 파티(potential called party)에 대해 복수의 전화 번호를 저장할 수 있는 기능을 갖는다. 전화 번호의 일부 또는 모두는 참가 서비스(presence service)와 관련될 수 있다. 셀룰러 전화 오퍼레이터는 이미 참가 표시자를 수집하고 분배하는 기능을 갖는다. 컴퓨터와 관련되는 다른 전화기는 현시점에서 참가 서비스와 관련될 수 있다. 미래 어느 시점에는 모든 전화기가 이 기능을 가질 것이라는 데에 의심의 여지가 없다. 참가 서비스와 관련되는 전화 번호에 있어서, 전화 시스템에 저장되는 참가 표시자는 패킷 네트워크 접속을 통해 동적으로 갱신되며 전화 번호 선택 알고리즘의 일부로서 사용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전화 시스템은 기지국과, 무선 전화 핸드셋 또는 마이크로 폰 및 스피커를 구비한 PDA(Personal Data Assistant)와 같은 이동 장치를 포함하는 무선 시스템이다. 전화 시스템의 이용자는 워크스테이션의 브라우저를 이용하여 LAN(Local Area Network)를 통해 시스템을 구성한다. 이동 장치 또는 기지국은 키패드 또는 음성 인식 기술을 이용하는 구성을 수행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다른 것들 중에서 구성은 이름 및 전화 번호를 전화 시스템의 데이터베이스에 추가하는 기능을 포함한다. 또한 이 구성은 우선 순위 알고리즘의 선택을 포함하여 호출되는 파티와의 접속하기 위해 다이얼링되는 전화 번호의 순서와, 임의의 주어진 호가 우선 패킷 네트워크를 통할지 PSTN을 통할지를 제어한다. PSTN 또는 VoIP의 선택은 많은 알고리즘에 기초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이용자는 시각(time of day) 또는 지역 코드에 의해 라우팅 선택을 구성할 수 있다. 분명히, 이들 우선 순위 알고리즘은 예시적인 것이지 한정적인 것이 아니다. 물론, 동적으로 조절되는 참가 표시자는 전화 번호 선택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도 1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해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핸드셋 또는 소형 장치와 지능 기지국을 포함하는 무선 시스템의 블록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2는 지능 기지국의 예시적 블록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3은 무선 시스템의 핸드셋 또는 소형 장치의 예시적 블록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4는 이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네트워킹된 컴퓨터 또는 핸드셋 또는 소형 장치의 디스플레이상에 보조적으로 디스플레이되는 구성 메뉴의 화면 이미지를 도시하고 있다.
도 5는 기지국에 저장되는 호출된 파티 이름 리스트의 컴퓨터 디스플레이를 도시하고 있다.
도 6은 기지국에 저장되며 잠재적 호출된 파티와 관련되는 참가 테이블의 컴퓨터 디스플레이 이미지를 도시하고 있다.
도 7은 가지국에 저장되며 VoIP 또는 POTS 전화선을 통한 호의 라우팅을 선택하는 데 이용되는 시각 라우팅 우선 순위 테이블의 컴퓨터 디스플레이 이미지를 도시하고 있다.
도 8은 시각 대신 지역 코드에 기초하는 다른 라우팅 우선 순위 테이블을 도시하고 있다.
도 9는 이동 핸드셋 또는 소형 장치로부터 전화 호를 위치시키는 과정에서 수행되는 단계의 기능 흐름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1은 주지의 무선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기지국(102)과 통신하는 무선 이동 전화 핸드셋(100)을 도시하고 있다. 기지국은 호출된 파티와 통신하는 2개의 포트를 갖는다. 제 1 포트(104)는 POTS(Plain Old Telephone Service) 전화 서비스용 공중 전화 교환망(PSTN)으로 통신하는 표준 전화 접속부이다. 제 2 포트(106)는 VoIP(Voice over IP)을 이용하는 전화 통신을 위한 인터넷과 같은 데이터 네트워크로 통신하는 표준 데이터 접속부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기지국으로부터의 패킷 네트워크 접속부(106)가 LAN(108)에 부착되는 라우터(112)를 이용하여 인터넷 에 접속된다. LAN(108)은 컴퓨터(110)와 기지국(102)에도 접속한다. 기지국은 Microsoft Internet Explorer와 같은 브라우저를 이용하여 LAN(108)을 통해 구성되는데, 이는 LAN(108)을 통해 기지국(102)에 부착되는 컴퓨터(110)에서 실행된다. 네트워크 장치를 구성하는 이 기술은 잘 알려져 있으며 전형적으로 라우터, 브릿지 등을 구성하는 데 이용된다. 패킷 접속부(106)는 지정된 전화 번호의 잠재적 호출된 파티와 관련되는 참가 표시를 수신하는 데에도 이용되는데, 이는 후술할 것이다. 이들 참가 표시는 인터넷(114)으로부터 도달하며 LAN(108)을 통해 기지국(102)으로 송신된다.
도 2는 기지국(102)의 예시적 블록도를 도시하고 있다. 이는 안테나(200)를 구비하여 소형 장치(100)와 무선 통신한다. 안테나(200)는 송신기/수신기(202)에 접속되며, 이를 통해 무선 전화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소형 장치(100)와 기지국(102)간에 디지털 데이터가 전송된다. 기지국은 CPU(중앙 처리부, 202)에 의해 제어된다. CPU(204)는 펌웨어 프로그램과 펌웨어 메모리(206)에 내장되는 운영 시스템에 의해 제어된다. 또한, CPU(204)는 데이터 버스(222)를 통해 기지국의 다른 부분과도 통신한다. 기지국은 키패드(208), 마이크로폰 및 스피커(도시 생략)를 구비하여 편의성과 기능성을 높일 수 있다.
스위치(210)는 기지국이 PSTN으로 통신할지 데이터 네트워크로 통신할지를 제어한다. VoIP 상태에서는, 스위치(210)는 송신기/수신기(202)를 패킷 인터페이스(212)에 접속시킨다. 패킷 인터페이스(212)는 소형 장치(100)로부터의 데이터를 패킷화하고 이를 TCP/IP 스택(214)으로 송신하는 데 필요한 기능을 수행하며, 커넥 터(216)를 통한 패킷 네트워크로부터의 인입 데이터에 대해서는, 데이터를 패킷화 해제하고 이를 송신기/수신기(202)로 송신한다.
스위치(210)가 POTS 상태인 경우에는, 스위치는 송신기/수신기(202)를 POTS 인터페이스(218)에 접속시키는데, 이는 POTS 커넥터(202)를 통한 PSTN 통신용으로 오늘날 잘 알려진 상업용 장치이다.
무선 시스템은 아날로그 시스템일 수도 있고 디지털 시스템일 수도 있다. 송신기/수신기(202) 및 POTS 및 패킷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어느 종류의 시스템에 대해서도 기본 기술은 칩 세트에서 상업적으로 이용 가능하다. 예를 들어, Conexant, Inc.는 무선 전화 디지털 및 아날로그 칩과 VoIP 기술의 선두 제조사이다.
이름 리스트(224)는 기지국의 RAM에서 관리되는데, 이는 그 호를 완료하는 데 필요한 정보와 함께 이 리스트를 이용하여 호출될 수 있는 사람들의 이름을 포함한다. 또한, RAM에는 이름 리스트(224)의 사람의 지정된 전화 또는 장치의 당시 참가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참가 테이블(226)이 존재한다. 이름 리스트 및 참가 테이블은 보다 상세히 후술할 것이다. 하나 이상의 인스턴트 메시지(IM) 클라이언트(228)도 기지국의 메모리에 존재하여 참가 테이블의 동적 상태를 관리한다. IM 클라이언트는 네트워크 커넥터(216)를 통해 인터넷으로부터 참가 정보를 수신한다. IM 클라이언트는 컴퓨터 및 기지국으로의 LAN(108) 접속부를 이용하여 기지국으로 로딩된다.
도 3은 소형 장치(100)의 블록도를 포함한다. 안테나(300)는 기지국(102)과 통신하고 소형 장치(302)의 송신기/수신기(302)에 접속한다. 기지국과 유사하게, 소형 장치(100)도 펌웨어 프로그램과 운영 시스템(306)에 의해 제어되는 CPU(304)를 포함한다. CPU(304)는 데이터 버스(322)를 통해 소형 장치의 기타 소자와 통신한다. 발신자가 원하는 경우에는 키패드(308)로 전화 번호를 기입하는 동작 모드가 가능하다. 소형 장치도 자신의 RAM에 이름 리스트(324)를 포함하지만, 기지국의 이름 리스트(224)와는 달리, 이름 리스트(324)는 기지국 이름 리스트에 저장되는 것과 동일한 포맷의 이름만을 포함한다. 기지국 이름 리스트(224)가 편집될 때마다, 이용자가 완료하고 테이블을 저장하면, 테이블의 오직 일부의 이름만이 소형 장치로 전송되어 그 이름 리스트에 저장된다. 발신자가 소형 장치 이름 리스트(324)를 활성화시키면, 그 콘텐츠가 디스플레이(326)상에 디스플레이된다. 발신자는 키패드상의 버튼을 이용하여 리스트를 탐색하거나, 오늘날의 기술을 이용하면 음성 인식 칩을 이용하여 발신자가 구두로 이름 리스트를 쉽게 탐색할 수 있다. 소형 장치는 310으로 도시된 무선 이동 유닛의 표준인 기타 소자를 포함하는데, 이는 마이크로폰(312) 및 스피커(314)에 접속한다.
이제 이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4는 도 1의 컴퓨터의 이용자에게 디스플레이되는 구성 서비스의 샘플 메뉴를 도시하고 있다. 이 샘플 메뉴는, 이름 리스트를 편집하고 시각(time-of-day) 또는 지역 코드 우선 순위(are code preference)를 구성하며 시스템이 응답하지 않는 번호를 포기하는 경우 전화 벨 횟수를 결정하기 위한 링크를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기지국을 구성하는 바람직한 방식은 Microsoft Internet Explorer와 같은 브라우저를 이용하는 것이지만, 많은 다른 모드가 가능하며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속하는 것으로 고려된다. Microsoft 및 Internet Explorer는 미국, 기타 국가 또는 양자 모두에서 Microsoft Corporation의 상표이다. 기지국의 펌웨어(206)에 포함되는 운영 시스템은 컴퓨터(110)에서 브라우저 소프트웨어로 통신하기 위해 서버를 포함한다. 기지국의 이름 리스트(224)는 그 콘텐츠를 브라우저에 디스플레이함으로써 편집된다.
도 5는 이름 기입, 디스플레이 및 편집을 위해 컴퓨터(110)에 디스플레이되는 예시적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 이름 리스트의 각 기입 사항은 이름 영역(500), 번호 영역(502), 우선 순위 영역(504), 셀 영역(506), 인스턴트 메시지(IM) 영역(508) 및 인스턴트 메시지 ID 영역(510)을 포함한다. 각 기입 사항에서, 이름 영역(500)은 이용자가 어떤 사람을 구분하기 원하는 임의의 방식으로 그 사람의 이름을 포함한다. 번호 영역(502)은 그 사람과 관련되는 전화 번호를 포함한다. 도 5의 이름 리스트의 처음 4개의 기입 사항에 도시된 바와 같이, John Doe는 그가 연락 받을 수 있는 적어도 4개의 전화 번호를 갖는다. 5번째 기입 사항의 "JD"가 동일한 John Doe를 가리키면, 그는 이 리스트에 기입되는 5개의 번호를 갖는다. 우선 순위 영역(504)은 특정 번호에 대한 우선 순위를 표시하는 플래그(a flag)를 갖는다. 셀룰러 영역(506)은 셀 전화에 속하는 번호를 식별하는 플래그를 포함한다. IM 영역(508)은 특정 번호와 관련되는 클라이언트가 존재하면 인스턴트 메시지 클라이언트의 표시를 포함한다. 이러한 클라이언트는 도 2의 IM 클라이언트의 인스턴스에 해당한다. LotusTM SametimeTM, ICQTM, YahooTM, AOLTM 및 Microsoft's MSMTM등 에 의해 제공되는 다수의 가능한 IM 서비스가 현재 존재한다. (Lotus 및 Sametime은 미국, 기타 국가 또는 양자 모두에 IBM Corporation의 상표로 등록되어 있다. 이들 서비스 중 일부는 무료이며 World-Wide-Web을 통한 등록만을 요구한다. 도 5에서, John Doe는 3개의 서비스, AOLTM Instant Messaging(AIM), YahooTM 및 SametimeTM를 등록하였다.
각 서비스는 여러 전화 번호와 관련되며, 각각 IM 클라이언트(228)의 인스턴스로서 로딩되는 여러 IM 클라이언트를 요구한다. 각 서비스는 이용자 신원 확인을 위한 여러 포맷을 가지며 이용자 신원 확인은 도 5의 ID 영역(510)에 배치된다. 예를 들어, AIM에 대한 John Doe의 ID는 "JOHNDOE"이다. 한편, SametimeTM은 이용자 ID로서 이메일 주소를 이용한다. John Doe의 이메일 주소는 jd@us.ibm.com이다. 화면 하부의 행(512)의 원하는 영역에 커서를 위치시키고 그 영역의 콘텐츠를 타이핑함으로써 새로운 기입 사항이 생성된다. 이는 예를 들어 Microsoft Access와 같은 많은 데이터베이스 프로그램에 의해 사용되는 데이터 기입 기술이다. 도 6,7 및 8에 도시된 테이블에서도 동일한 기입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이름 리스트의 각 기입 사항에 있어서(도 5),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참가 테이블의 대응 기입 사항이 존재한다. 이름이 도 6에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주로 명확성을 위한 것이며,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번호 영역만이 실제로 요구된다. P(참가) 영역(604)은 IM 서비스와 관련되는 사람이 서비스로 로그인하거나 로그 오프함에 따라 동적으로 셋 또는 리셋되는 플래그를 포함한다. "Y"는 어떤 사람이 IM 서비스와 관련되는 번호로 로그인한다는 것을 표시한다. "N"은 그 사람이 로그인하지 않는다는 것을 표시하며, 빈 영역은 IM 서비스와 관련되는 전화 번호가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각 참가 서비스는 그 등록된 번호가 서비스에 로그인 및 로그 오프함에 따라 전화 번호와 함께 참가 또는 불참 메시지를 발생시키는데, 이들 메시지는 실시간으로 연관되는 사람에게 전송된다. 이러한 메시지는 IM 클라이언트(228)에 의해 인터넷을 통해 수신되며 수신된 번호에 의해 식별되는 참가 테이블의 적합한 기입 사항으로 송신된다. 이는 이 시점에서 상이한 서비스와 다소 동작이 상이한 종래 서비스이지만, 동작 표준을 수립하기 위해 RFC 2778 및 2779가 Internet Engineering Task Force에 의해 제안된다.
이용자는 호 라우팅에 대한 우선 순위를 수립할 수 있다. 명백하게, 이용자 우선 순위를 정의하는 많은 다른 방식이 존재한다. 예시를 위해 2개의 다른 우선 순위, 시각(time-of-day) 우선 순위 및 지역 코드(AC) 우선 순위를 설명한다. 이용자는 도 4의 브라우저 메뉴에 의해 어느 서비스를 이용할지를 선택한다. 이용자가 TOD 우선 순위를 선택하면, 도 7의 TOD 우선 순위 테이블이 브라우저에 의해 디스플레이된다. 예시를 위해, 이 테이블의 각 기입 사항은 시작 시각 영역(700), 종료 시각 영역(702), 주요 영역(704) 및 보조 영역(706)을 포함한다. 기입 사항의 시작 및 종료 영역은 우선 순위하는 호 라우팅이 주요 영역(704)에 의해 지정되는 시간 간격을 정의한다. 우선 순위하는 라우트(VoIP 또는 POTS)를 통한 호가 성공적이지 못하고 보조 기입 사항이 존재하면, 이 호는 보조 라우트를 통해 재시도된다. 보조 영역에 기입 사항이 없으면, 이는 이용자가 정의된 시간 간격으로 그 라우팅을 사용하기를 결코 원치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라우팅 영역이 "DC"(상관 없음) 기재 사항을 포함하는 경우, 호는 관련 시간 간격으로 기지국에 의해 주요 및 보조 라우팅에 대한 임의의 선택을 구성하며 위치된다.
이용자가 지역 코드에 따른 라우팅을 우선 순위하는 경우, 이 이용자는 도 4의 메뉴를 이용하여 도 8에 도시된 테이블을 구성한다. AC 테이블의 각 기입 사항은 원하는 지역 코드를 포함하는 AC 영역(800)을 갖는다. 주요 필드(804) 및 보조 필드(806)는 TOD 우선 순위에 대해 전술한 바와 동일한 방식으로 이용된다.
도 9는 전화 호를 위치시키도록 수행되는 동작의 예시적 기능 흐름도를 포함한다. 단계(900)에서, 이용자는 소형 장치(100)에 저장된 이름 리스트(324)를 활성화시키고 통화하기 원하는 사람의 이름을 탐색한다. 그 후 이용자는 CALL 키 등을 누름으로써 호를 개시한다. 그 결과, 단계(902)에서 선택된 이름이 기지국으로 전송된다. 단계(904)에서 선택된 이름은 기지국에 수신되어 기지국의 이름 리스트(224)의 기입 사항을 검색하는 데 이용된다. 예를 들어, 선택된 이름이 "John Doe"이면, 우선 순위 필드(504)에서 Y로 표시된 바와 같이, 우선 순위되는 이름 기입 사항이 전화 번호 919-530-4354의 두 번째 John Doe 기입 사항에서 발견된다. 이 특정 번호는 셀룰러 전화와는 관련되지 않는데, 이는 셀룰러 영역(506)에서 N으로 표시된다. 그러나, 영역(508)은 이 전화가 AOL IM 서비스와 관련된다는 것을 표시한다. 그러므로, 기지국은 도 6의 참가 테이블의 두 번째 기입 사항에 질의하여 John Doe가 이 전화 위치에 존재하는지를 판단한다. 참가 테이블의 영역(604)은 John Doe가 번호 919-530-4354에 존재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기지국 은 John Doe에 대한 우선 순위되는 번호 919-539-4354로 호를 위치시킨다. 참가 테이블이 우선 순위 번호에 John Doe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영역 604에서 N)을 표시하는 경우에는, 기지국은 참가 표시자(604)가 설정되는 참가 테이블의 John Doe에 대한 기입 사항을 검색할 것이다. 발견하지 못하면, 기지국은 최종적으로 비어 있는(Y도 아니고 N도 아닌) 참가 기입 사항을 검색할 것이다. 이러한 빈 상태는 대응 전화 번호와 관련되는 참가 서비스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기지국은 이 번호를 마지막으로 다이얼링할 것이며, 물론 John Doe의 위치가 파악되거나 가능한 번호 리스트를 모두 이용할 때까지 차례로 다이얼링될 복수의 이러한 번호가 존재할 수 있다. 참가 영역(604)의 John Doe에 대한 Y 기입 사항이 실제로 N으로 가정되면, 기지국(102)은 첫 번째 기입 사상으로부터 919-260-1231을 선택할 것인데, 왜냐면 그것이 John Doe가 있을 수 있는 유일한 번호이기 때문이다.
단계(904)에서 번호가 선택된 후, 단계(906)는 우선 순위 테이블에 질의하여 호의 라우팅(VoID 또는 POTS)을 결정한다. 이용자가 시각(TOD) 라우팅을 선택하였으면, 도 7의 TOD 테이블에 질의한다. 예를 들어 오전 10 AM에는, TOD 테이블은 VoIP가 주요 라우팅 선택임을 표시한다. 단계(910)에서 기지국은 스위치(210)를 제어하여 TCP/IP 커넥터(216)로의 VoIP 경로를 선택하고 종래 VoIP 방식으로 호를 위치시킨다. 어떠한 이유로 호가 실패하거나, 지정된 전화 밸 횟수 후에 응답하지 않거나(도 4 및 도 9의 912 참조), 발신자가 키패드(208)로부터 접속 해제를 개시하면, 기지국은 단계(914)로 이어져서 보조 라우팅(이 예에서는 POTS)를 위해 도 7 의 보조 라우팅 영역(706)을 조사한다. 보조 라우팅이 지정되면, 단계(914)에서 기지국은 보조 우선 순위를 이용하여 호를 재시도한다. 이용자가 보조 라우팅 우선 순위를 지정하지 않은 경우에는, 보조 TOD 기입 사항(5 PM 내지 11PM)의 영역(706)에서, 기지국은 이 특정 번호로의 호를 재시도하지 않을 것이다. 단계(916)에서, 기지국은 단계(904)로 복쉬하여 시도할 다른 전화 번호를 검색한다. 결국, 호를 성공하거나(도 9에서는 도시 생략) 모든 가능한 번호를 사용할 것이다. 후자의 경우에 도 9의 9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가 최종적으로 실패하면 바람직한 실시예는 디스플레이(326)상에 적절한 무응답 메시지를 표시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많은 변형이 존재한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발명가는 관련 기술과 법의 상황에 따라 가능한 범위까지 이들 변형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한다.

Claims (43)

  1. 전화 시스템으로서,
    회선 교환 전화 네트워크로의 제 1 접속부 및 패킷 교환 네트워크로의 제 2 접속부를 갖는 기지국과,
    무선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상기 기지국과 스피치를 통신하는 이동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기지국은,
    상기 이동 장치의 이용자에 의해 선택 가능한 하나 이상의 개체의 신원(identification)을 저장하는 장치와,
    각 개체와 관련되는 하나 이상의 전화 번호를 저장하는 장치와,
    상기 패킷 교환 네트워크를 통해 각각 저장된 전화 번호와 관련되는 하나 이상의 참가 표시자(presence indicator)를 수신하는 장치와,
    상기 수신된 참가 표시자를 저장하는 메모리와,
    상기 이동 장치의 이용자가 개체를 선택하면 상기 선택된 개체와 관련되는 상기 참가 표시자의 상태에 기초하여 다이얼링할 전화 번호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번호를 다이얼링하는 장치와,
    상기 선택된 번호와 관련되는 이용자의 우선 순위에 따라 상기 회선 교환 네트워크 또는 상기 패킷 교환 네트워크로 호(call)를 라우팅하는 장치를 포함하는
    전화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회선 교환 전화 네트워크를 통해 호를 위치시키는 장치 및 상기 패킷 교환 네트워크를 통해 호를 위치시키는 장치를 포함하는
    전화 시스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은 사전 정의되는 선택 알고리즘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 장치로부터의 호를 라우팅하기 위해 상기 제 1 접속부 또는 상기 제 2 접속부를 선택하는 장치를 더 포함하는
    전화 시스템.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은 시각(time-of-day)에 기초하는 이용자 라우팅 우선 순위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는
    전화 시스템.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은 상기 선택된 번호의 지역 코드에 기초하는 이용자 라우팅 우선 순위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는
    전화 시스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장치는 a)상기 개체의 이름을 저장하는 메모리와, b)이용자가 다이얼링할 개체를 선택할 수 있게 하는 수단과, c)선택된 개체의 이름을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전화 시스템.
  1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전화 호가 응답하지 않으면 상기 전화 호의 수신 개체에 대해 추가 번호가 저장되어 있는지와 그러한 추가 전화 번호에 호를 재시도할지를 판단하는 장치를 더 포함하는
    전화 시스템.
  1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토콜 스택은 TCP/IP 스택인
    전화 시스템.
  15. 전화 시스템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전화 시스템은 회선 교환 전화 네트워크로의 제 1 접속부 및 패킷 교환 네트워크로의 제 2 접속부를 갖는 기지국과, 무선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상기 기지국과 스피치를 통신하는 이동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방법은 상기 기지국이,
    상기 이동 장치의 이용자에 의해 선택 가능한 하나 이상의 개체의 신원을 저장하는 단계와,
    각 개체와 관련되는 하나 이상의 전화 번호를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패킷 교환 네트워크를 통해, 각각 저장된 전화 번호와 관련되는 하나 이상의 참가 표시자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참가 표시자를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 장치의 이용자가 개체를 선택하면 상기 선택된 개체와 관련되는 상기 참가 표시자의 상태에 기초하여 다이얼링할 전화 번호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번호를 다이얼링하는 단계와,
    상기 선택된 번호와 관련되는 이용자의 우선 순위에 따라 호를 라우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화 시스템 제어 방법.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컴퓨터 제어 전화 시스템으로 로딩되어 실행되면, 상기 전화 시스템이 제 15 항에 기재된 방법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컴퓨터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32. 삭제
  33. 삭제
  34. 삭제
  35. 삭제
  36. 삭제
  37. 삭제
  38. 삭제
  39. 삭제
  40. 삭제
  41. 삭제
  42. 삭제
  43. 삭제
KR1020067003703A 2003-09-23 2004-09-14 전화 시스템, 전화 시스템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094097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0/669,578 2003-09-23
US10/669,314 2003-09-23
US10/669,578 US7710946B2 (en) 2003-09-23 2003-09-23 Wireless telephone system including voice over IP and POTS
US10/669,314 US7492758B2 (en) 2003-09-23 2003-09-23 Wireless telephone system including voice over IP and POT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6905A KR20060126905A (ko) 2006-12-11
KR100940977B1 true KR100940977B1 (ko) 2010-02-05

Family

ID=343814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3703A KR100940977B1 (ko) 2003-09-23 2004-09-14 전화 시스템, 전화 시스템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EP (1) EP1668936B9 (ko)
JP (1) JP4608493B2 (ko)
KR (1) KR100940977B1 (ko)
AT (1) ATE377916T1 (ko)
BR (1) BRPI0414703A (ko)
CA (2) CA2693755C (ko)
DE (1) DE602004009948T2 (ko)
IL (1) IL174501A (ko)
MX (1) MXPA06001945A (ko)
WO (1) WO200502988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95068B2 (en) * 2005-07-26 2008-07-01 Nortel Networks Limited Calling non-PSTN numbers via a mobile terminal
GB2464860B (en) * 2005-08-01 2010-08-18 Ubiquisys Ltd Self-configuring cellular basestation
DE202005021930U1 (de) 2005-08-01 2011-08-08 Corning Cable Systems Llc Faseroptische Auskoppelkabel und vorverbundene Baugruppen mit Toning-Teilen
EP2070302A2 (fr) * 2006-09-12 2009-06-17 France Telecom Automatisation de la configuration d'un terminal de telecommunication
CN101518036B (zh) 2006-09-27 2013-05-22 日本电气株式会社 通信设备和通信方法
FR2911034B1 (fr) * 2006-12-31 2009-08-21 Radiotelephone Sfr Systeme et procede de gestion de joignabilite via au moins un reseau de communication
FR2911033B1 (fr) * 2006-12-31 2009-08-14 Radiotelephone Sfr Systeme et procede de gestion de joignabilite via au moins un reseau de communication
FR2911032B1 (fr) * 2006-12-31 2009-05-22 Radiotelephone Sfr Systeme et procede de gestion de joignabilite via ou moins un reseau de communication
US8774386B2 (en) 2007-03-01 2014-07-08 Mitel Networks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call initiation using availability information
WO2009016342A1 (en) * 2007-08-01 2009-02-05 British Telecommunications Public Limited Company Communications terminal intended for use with voip sevices
EP2023684A1 (en) * 2007-08-01 2009-02-11 British Telecommunications Public Limited Company Communications terminal intended for use with VoIP services.
CN101355475B (zh) * 2008-09-11 2011-10-12 上海市计算技术研究所 一种组网设备以及由该组网设备组建的无线网络系统
EP2814228A1 (en) * 2013-06-13 2014-12-17 BlackBerry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selecting an outbound-call modality
WO2019024251A1 (en) * 2017-08-01 2019-02-07 Wivo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INTERFACING A MOBILE DEVICE WITH THE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05135B1 (en) * 1997-03-06 2001-03-20 Lucent Technologies Inc Access platform for internet-based telephony
US6295457B1 (en) * 1997-06-27 2001-09-25 Lucent Technologies Inc. Integrated cellular telephone basestation with Internet gateway
US6351464B1 (en) * 1999-09-20 2002-02-26 Mci Worldcom, Inc. Virtual second line hybrid network communication system
US20020075306A1 (en) * 2000-12-18 2002-06-20 Christopher Thompson Method and system for initiating communications with dispersed team members from within a virtual team environment using personal identifier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05135B1 (en) * 1997-03-06 2001-03-20 Lucent Technologies Inc Access platform for internet-based telephony
US6295457B1 (en) * 1997-06-27 2001-09-25 Lucent Technologies Inc. Integrated cellular telephone basestation with Internet gateway
US6351464B1 (en) * 1999-09-20 2002-02-26 Mci Worldcom, Inc. Virtual second line hybrid network communication system
US20020075306A1 (en) * 2000-12-18 2002-06-20 Christopher Thompson Method and system for initiating communications with dispersed team members from within a virtual team environment using personal identifie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608493B2 (ja) 2011-01-12
JP2007534206A (ja) 2007-11-22
CA2535300C (en) 2011-08-09
BRPI0414703A (pt) 2006-11-14
DE602004009948D1 (de) 2007-12-20
ATE377916T1 (de) 2007-11-15
WO2005029889A1 (en) 2005-03-31
CA2535300A1 (en) 2005-03-31
CA2693755C (en) 2014-05-20
DE602004009948T2 (de) 2008-09-04
KR20060126905A (ko) 2006-12-11
EP1668936B9 (en) 2008-03-26
IL174501A (en) 2010-12-30
MXPA06001945A (es) 2006-05-17
EP1668936B1 (en) 2007-11-07
CA2693755A1 (en) 2005-03-31
IL174501A0 (en) 2006-08-01
EP1668936A1 (en) 2006-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90106B2 (en) Wireless telephone system including voice over IP and POTS
US5590178A (en) Electronic mail system linked with telephone
US8971508B2 (en) Universal point of contact identifier system and method
KR100720617B1 (ko) Ip 전화 장치
EP1906636A1 (en) Telephone and telephone control method
US7092498B2 (en) Universal point of contact identifier system calling device and method
KR100940977B1 (ko) 전화 시스템, 전화 시스템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EP1348294A1 (en) Presence and session handling information
EP1687999B1 (en) Methods, networks ,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selectively routing communications based on routing rules
US20030061622A1 (en) Multi-media communication management system with automated paging
US7710946B2 (en) Wireless telephone system including voice over IP and POTS
WO2004110045A1 (ja) メール送信機能を有する電話機
KR100986532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멀티유저 서비스 방법
US7729340B2 (en) IP telephone apparatus
US20070116229A1 (en) Method for forwarding a call to a call number that is assigned to the originally dialed number by means of a directory system
JP2000287236A (ja) ボタン電話装置の着信応答方式
KR20030082722A (ko) 전용 단말기에서 통합 메시지 서비스를 수행하는 방법 및장치
KR20040107107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 등록 및 메시지 전송 방법
KR20040046289A (ko) 단문 서비스가 가능한 회선 교환 장치 및 그 방법
JP2003188974A (ja) データ通信システムとそれに使用する携帯電話機
JPH05268347A (ja) 電話・ファクシミリ装置の発信接続方式
JPH04371049A (ja) 電話機
KR20010028349A (ko) 부가 전화번호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3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