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0664B1 - 저항 용접성 및 반복 열처리성이 우수한 더미용 강판의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저항 용접성 및 반복 열처리성이 우수한 더미용 강판의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0664B1
KR100940664B1 KR1020020073415A KR20020073415A KR100940664B1 KR 100940664 B1 KR100940664 B1 KR 100940664B1 KR 1020020073415 A KR1020020073415 A KR 1020020073415A KR 20020073415 A KR20020073415 A KR 20020073415A KR 100940664 B1 KR100940664 B1 KR 1009406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heat treatment
annealing
less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34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45592A (ko
Inventor
김재익
김영우
김병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200734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0664B1/ko
Publication of KR200400455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55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06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0664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221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characterised by the working steps
    • C21D8/0236Cold rol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tungsten, tantalum, molybdenum, vanadium, or niob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01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0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In, Mg, or other elements not provided for in one single group C22C38/001 - C22C38/60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04Very low carbon steels, i.e. having a carbon content of less than 0,01%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silico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manganese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6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aluminium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Heat Treatment Of Sheet Stee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속소둔 공정에서 소재의 소둔온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소재에 연결되는 더미용 냉연강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중량%로, C: 0.002~0.005%, Mn: 0.1~0.5%, Si: 0.04% 이하, S: 0.015% 이하, Al: 0.03~0.10%, N: 0.003% 이하, Mo: 0.03~0.15%, Nb: 0.04~0.10%, B: 0.0005~0.003%, 나머지 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로 조성되며, (Nb+Mo)/C 원자비: 4.0~5.9 및 B/N 중량비: 0.6~1.1을 만족하는 강을 910~930℃로 마무리 열간압연한 다음 580~680℃에서 권취한 후, 80~90%의 압하율로 냉간압연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저항 용접성 및 반복 열처리성이 우수한 더미용 강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을 그 기술적 요지로 한다.
본 발명은 적절한 성분 및 제조 공정의 제어를 통하여 저항 용접성 및 고온 소둔 특성 등을 개선함과 아울러 연결용 소재로써의 반복적인 소둔 작업성을 확보할 수 있어 안정적인 작업 온도 확보가 가능하므로 제품의 재질 편차 발생을 감소시키고 이를 통하여 재질 편차에 의한 재처리를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조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저항 용접성, 반복 열처리성, 연질 석도원판, 연속소둔, 재결정 온도, 더미(dummy)

Description

저항 용접성 및 반복 열처리성이 우수한 더미용 강판의 제조방법{A method for manufacturing steel sheets for dummy with excellent weldability and repeated heat treatment property}
본 발명은 연속소둔 공정에서 소재의 소둔온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소재에 연결되는 더미용 냉연강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극저탄소 베이스(Base)의 알루미늄-킬드(Al-killed)강에 탄질화물 형성원소인 Mo, Nb, B의 단독 첨가량 및 (Nb+Mo)/C 원자비, B/N 중량비를 적절히 관리함과 아울러 열연조건, 권취온도 및 냉간압하율의 최적화를 통한 저항 용접성 및 반복 작업성이 우수한 더미(dummy)용 강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캔(can)과 같은 용기용 소재로 사용되는 철강 소재인 주석도금 원판(Black plate, BP)은 대부분 소재의 두께가 얇으므로 로크웰(Rockwell) 표면 경도값인 HR30T에 기초한 조질도(Temper grade)에 의해 T1(HR30T 46~52)~T6(HR30T 67~73)의 재질로 구분되고 있다. 주석도금 원판을 이용하여 내용물을 저장하는 캔을 만들기 위해서는 원판의 표면에 주석(Tin, 원소기호 Sn) 등을 도금하여 내식성을 부여하고, 일정한 크기로 절단한 후 원형 또는 각형으로 가공한다. 용기를 가공하는 방법은 크게 용기가 뚜껑과 몸체(Body)의 2부분으로 구성되는 2-피스(Piece) 캔과 같이 용접을 하지 않고 가공하는 방법과 캔의 구성이 몸통, 위 뚜껑(End) 및 아래 뚜껑(Bottom)의 3부분으로 이루어진 3-피스 캔과 같이 용접 또는 접합에 의해 몸통을 체결하는 방법으로 나누어 진다.
가공도가 크게 요구되는 용도에 적용되는 조질도 T3(HR30T 54~60)급 이하의 연질 주석도금 원판은 주로 상소둔법으로 제조되며, 내압특성 등이 요구되는 용도에 사용되는 T4(HR30T 58~64)급 이상의 경질 주석도금 원판은 연속소둔 공정으로 제조하여 왔다. 그러나, 냉연강판에서 목표로 하는 가공성 및 특성을 부여하는 소둔 공정 중 연속소둔 방식은 상소둔법에 비하여 제품 생산비가 낮을 뿐만 아니라 재질 균일성, 평탄도 및 표면 특성이 우수하다는 장점을 가지므로 많은 소재들을 연속소둔 공정에서 생산하기 위한 노력들이 이루어 지고 있다. 저탄소강을 연속소둔 공정을 이용하여 주석 도금 원판을 제조하면 강중에 고용 상태로 존재하는 탄소 및 질소 등에 의해 제관 작업시 각형으로 꺽임이 발생하는 프루팅(Fluting)이나 스트레쳐 스트레인(Stretcher Strain)과 같은 가공 결함을 유발한다. 또한, 강중 고용 원소 및 탄소에 의한 결정립 미세화 효과에 의해 조질도 T2(HR30T 50~56)급 이하의 연질 소재를 제조하기 곤란한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기술로는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7-11333호가 있다. 상기 종래기술은 연질의 주석 도금원판을 연속소둔 방법으로 제조하기 위 하여 극저탄소강에 Ti 또는 Nb 등의 탄질화물 형성 원소를 첨가하거나 탈탄 소둔 등을 통해 강내 고용원소양을 낮춤으로써 시효 및 고용강화 효과를 억제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연질의 주석 도금원판은 중저탄소강을 소재로 한 경질재에 비하여 연속소둔 설비에서의 작업온도가 70~100℃ 정도 높으므로 동일한 연속소둔 설비에서 이들 소재들을 같이 생산하려면 작업 온도를 확보하기 위해 극박의 연결용 코일인 더미(Dummy)재를 투입하고 있다. 상기 극박의 연결용 코일은 열처리로에서의 연속적인 통판을 위하여 앞, 뒤 코일을 저항용접에 의해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 용접성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연결용 코일은 사용 특성상 다양한 온도 영역을 통과할 뿐만 아니라 이들 작업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므로 고온 소둔에 의한 재질 연화가 적을수록 유리하다. 따라서, 연결용 소재의 재결정 온도는 높을수록 바람직하다. 그러나, 중저탄소강 또는 극저탄소강에 Ti를 첨가한 기존의 연결용 코일은 소재의 재결정온도가 낮아 연속소둔 공정에서의 반복 작업성 및 소둔 작업성이 떨어졌을 뿐만 아니라 작업 온도에 따라 제품의 재질이 급격히 변화하여 재질 편차가 유발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극저탄소 알루미늄-킬드강에 탄질화물 형성원소인 Mo, Nb, B의 단독 첨가량 및 (Nb+Mo)/C 원자비, B/N 중량비를 적절히 관리함과 아울러 열연조건, 권취온도 및 냉간압하율의 최적화를 통하여 소재의 저항 용접성을 개선하고 소재의 재결정 거동을 지연시킴으로써 반복 열 처리성을 향상시킨 더미용 강판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중량%로, C: 0.002~0.005%, Mn: 0.1~0.5%, Si: 0.04% 이하, S: 0.015% 이하, Al: 0.03~0.10%, N: 0.003% 이하, Mo: 0.03~0.15%, Nb: 0.04~0.10%, B: 0.0005~0.003%, 나머지 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로 조성되며, (Nb+Mo)/C 원자비: 4.0~5.9 및 B/N 중량비: 0.6~1.1을 만족하는 강을 910~930℃로 마무리 열간압연한 다음 580~680℃에서 권취한 후, 80~90%의 압하율로 냉간압연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연결용 더미 코일로 사용되는 극박의 냉연강판에 관한 것으로, 연결용 더미 코일에 요구되는 저항 용접성 및 반복 열처리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먼저, 본 발명의 성분한정 이유부터 설명한다.
C: 0.002~0.005중량%
상기 C는 시효 열화 및 결정립 미세화에 의해 재질 경화를 초래하는 원소로, 상기 C의 함량이 0.002중량% 미만이면 열간압연 단계에서 결정립 이상성장이 발생하여 냉간 압연시 두께 편차에 의한 재질 편차를 유발할 뿐만 아니라 미세 탄화물계 석출물의 석출이 억제되어 고온 소둔 작업성 확보가 어렵고, 0.005중량%를 초과하면 시효 열화 및 결정립 미세화에 의해 재질 경화를 초래할 뿐만 아니라 제강공정시 탈탄에 의한 추가적인 제조 원가 상승을 초래하므로, 그 함량을 0.002~0.005중량%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Mn: 0.1~0.5중량%
상기 Mn은 황에 의한 적열 취성을 억제하는데 유효한 성분으로, 상기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0.1중량% 이상 첨가하여야 한다. 그러나, 상기 Mn 첨가량이 0.5중량%를 초과하면 소입성을 증가시켜 베이나이트와 같은 경한 2상 조직을 형성하여 재질 편차를 유발할 뿐만 아니라 미소 편석(micro-segregation)을 발생시켜 냉간 압연성 및 성형성을 열화시키므로, 그 함량을 0.1~0.5중량%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Si: 0.04중량% 이하
상기 Si는 산소와 결합하여 강판 표면에 산화층을 형성하므로써 착색 불량 등의 결함을 유발하여 도금 작업성을 열화시킬 뿐만 아니라 0.04중량%를 초과하여 첨가되면 소재가 취화되어 냉간압연시 파단을 유발시켜 압연성을 열화시키므로, 그 함량을 0.04중량% 이하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S: 0.015중량% 이하
상기 S는 강중 Mn과 결합하여 망간-설파이드계 석출물을 형성하는 원소로, S의 함량이 0.015중량%를 초과하면 이들 석출물의 크기가 조대화되어 재질이 급격히 연화 되고 재결정온도를 낮추는 것으로 고온 소둔 작업성을 확보하기 어려워지므로, 그 함량을 0.015중량% 이하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l: 0.03~0.10중량
상기 Al은 알루미늄-킬드강에서 탈산제 및 시효에 의한 재질 열화를 방지할 목적으로 첨가되는 원소로서, 상기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0.03중량% 이상 첨가하여야 하나, 0.10중량%를 초과하여 첨가되면 탈산효과가 포화될 뿐만 아니라 알루미늄-옥사이드(Al2O3)와 같은 표면 개재물이 급증하여 연주 및 열연재의 표면특성을 열화시키므로, 그 함량을 0.03~0.10중량%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N: 0.003중량% 이하
상기 N은 강내에 침입하여 강화 특성을 나타내는 대표적인 침입형 원소로, 0.003중량%를 초과하여 첨가되면 연질의 소재를 제조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변형시효를 일으켜 가공결함의 요인으로 작용하므로, 그 함량을 0.003중량% 이하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Mo: 0.03~0.15중량%
상기 Mo는 탄소 등과 반응하여 석출되는 석출물의 크기를 작게 하여 강의 재결정을 지연시키는 효과를 나타내는 핵심적인 원소로, 본 발명에서 목표로 하는 재결정 거 동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0.03중량% 이상 첨가되어야 하나, 0.15중량%를 초과하여 첨가되면 재결정 온도 상승효과는 포화되고 고가인 Mo이 과다 첨가에 의한 제조 원가 상승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소입성이 증가하여 마르텐사이트(Martensite)상과 같은 경질상의 형성을 촉진하여 냉간 압연성을 악화시키므로, 그 함량을 0.03~0.15중량%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Nb: 0.04~0.10중량%
상기 Nb는 강내 고용 원소인 탄소와 결합하여 니오븀 카바이드(Nb carbide)와 같은 석출물을 형성하여 연결용 강판의 고온소둔 특성을 개선할 목적으로 첨가되는 핵심적인 원소로, 상기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0.04중량% 이상 첨가되어야 하나, 0.10중량%를 초과하여 첨가되면 고온소둔 특성의 개선은 크지 않으면서 열연판 재질의 강도가 급격히 상승하여 높은 냉간압하율이 필요한 극박 연결용 강판의 냉간 압연성의 확보가 어려우므로, 그 함량을 0.04~0.10중량%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B: 0.0005~0.003중량%
상기 B는 강내 질소와 결합하여 석출물을 형성함으로써 강의 재결정을 지연시키는데 유효한 핵심적인 원소로 재질 연화에도 효과적이다. 상기 B의 함량이 0.0005중량% 미만이면 고용 상태로 존재하는 B은 저항 용접공정에서 결정립계(grain boundary)를 강화시켜 용접 열영향부의 결정립 성장을 억제하여 코일 연결 부위에서의 판 파단을 억제하는 효과를 얻을 수 없으며, 0.003%를 초과하여 첨가되면 강 의 재결정 지연 효과가 포화되어 고온 작업성 개선 효과가 포화될 뿐만 아니라 제품의 가공성을 현저히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그 함량을 0.0005~0.003중량%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B의 함량을 0.001~0.002중량%로 관리하면 결정립계 강화에 따른 강의 재결정 지연 효과를 보다 향상시키므로,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조성 이외에 나머지는 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로 조성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강 내에 존재하는 탄소, 질소와 같은 고용 원소를 효과적으로 제어하여 저항 용접성 및 소둔 공정에서의 고온 작업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이들 원소들과 화합물을 형성하는 원소들과의 관계를 고려하여 첨가비를 관리하는 것도 필요하다.
(Nb+Mo)/C 원자비: 4.0~5.9
Nb, Mo와 C의 경우, 목표 특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원소별 첨가 양을 만족함과 아울러 탄화물을 형성하는 원소들인 Nb와 Mo에 대한 C의 원자비, 즉 (Nb+Mo) /C를 관리함으로써 재결정 거동 억제에 유리한 탄화물계 석출물의 석출을 촉진시킬 수 있다. 상기 (Nb+Mo)/C 원자비가 4.0 미만이면 강중 고용 탄소들이 충분히 탄화물 형태로 석출되지 않아 시효에 의한 재질 열화를 유발하는 요인이 된다. 또한, 미세 석출물의 형성이 촉진되지 않아 재결정 지연 효과가 감소하여 연속소둔 공정 에서의 고온 작업성 확보가 곤란하다. 반면에 (Nb+Mo)/C 원자비가 5.9를 초과하면 미세 석출물에 의한 강의 재결정 지연 효과는 포화되고 과잉의 첨가 원소들이 석출물의 조대화를 촉진시켜 고온 반복 작업성 확보 측면에 좋지 못한 결과를 초래한다. 또한, 고가의 Nb 및 Mo 첨가량이 증가함에 의해 제조 원가를 상승시키며, 열연 재질이 경화되어 냉간압연성을 열화시킨다. 따라서, 상기 (Nb+Mo)/C 원자비는 4.0~5.9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B/N 중량비: 0.6~1.1
한편, 질화물계 석출물을 형성하는 B와 N의 관계에서는 B에 대한 N의 중량비를 관리함으로써 고온 작업성 및 저항 용접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B/N 중량비가 0.6 미만이면 열연 단계에서 강중 모든 B가 N과 결합하여 저항 용접 공정시 용접 열영향부의 결정립 이상 성장을 억제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재결정 지연 효과도 크지 않아 연결용 소재로 사용하기에는 부적합하다. 반면에 B/N 중량비가 1.1을 초과하면 질화물의 크기가 성장하여 재결정 지연 효과가 감소하여 고온 반복 작업성을 열화시킨다. 따라서, 상기 B/N 중량비는 0.6~1.1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조성되는 강을 오스테나이트 단상역에서 균질화 처리한 후, 910~930℃에서 마무리 열간압연한다. 상기 균질화 처리(슬라브 재가열)는 통상적으로 초기의 오스테나이트 조직이 조대화될 수 있는 오스테나이트 단상역에서 행한다. 또한, 상기 마무리 열간압연 온도가 910℃ 미만이면 열간 압연 중에 압연 온도가 페라이트 영역으로 낮아져 조대한 결정립과 미세한 결정립이 공존하는 혼립이 발생하여 재질 편차를 유발할 뿐만 아니라 냉간 압연성을 나쁘게 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930℃를 초과하면 석출물 크기가 조대화되어 재질이 연화되고 재결정 지연 효과가 감소하여 소둔 공정에서의 고온 작업성 확보에 문제점이 있으므로, 상기 마무리 열간압연 온도는 910~930℃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마무리 열간압연 후, 580~680℃에서 권취한다. 상기 열연 권취공정은 AlN 석출 및 재질 연화와 밀접한 관계를 가지는 단계이다. 상기 권취 온도가 580℃ 미만이면 알루미늄계 질화물의 석출이 억제되어 재결정 억제에 큰 효과를 발휘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열연판 폭 방향으로의 재질 편차가 크게 발생하여 냉간 압연성을 열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680℃를 초과하면 열연 결정립 및 석출물의 크기가 커져 재결정 온도가 낮아져 소둔 공정에서의 반복 열처리 작업성에 문제가 있으므로, 상기 권취온도는 580~680℃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권취 후, 압하율 80~90%로 냉간압연한다. 상기 냉간 압하율은 열연 작업성 및 강의 재결정 거동과 밀접한 관계를 갖는 인자이다. 냉간 압하율이 낮아짐에 따라 재결정 현상의 구동력으로 작용하는 변형에너지가 감소하여 재결정을 지연시키는 효과를 나타내지만, 두께가 얇은 소재를 연결하기 위한 목적으로 생산되는 소재의 열간압연판 두께가 얇아져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얇은 두께의 열연판을 얻기 위해서는 온도 저하(Drop) 현상이 심하게 발생하여 권취 형상 제어가 곤란하고 열 연공정의 부하를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냉각 패턴을 변화시켜 재질 편차를 증가시키므로 냉간압연성도 저하된다. 반면에 냉간 압하율이 높아지면 소재에 축적된 변형에너지가 증가하여 재결정을 촉진하므로 열처리시 고온 반복 작업성을 확보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상기 냉간 압하율이 80% 미만이면 극박의 열연재를 생산하여야 하며, 이 경우 열연공정에 부하를 줄 뿐만 아니라 냉간압연성도 나쁘게 하고, 90%를 초과하면 재결정온도가 낮아져 고온에서의 반복 작업성을 나쁘게 하므로, 상기 냉간 압하율은 80~90%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냉간 압하율을 84~86%로 관리하면 열연 작업성 및 재결정 거동 관리에 보다 효과적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하기 표 1과 같이 조성된 강을 연속 주조한 슬라브를 오스테나이트 단상역에서 재가열하여, 하기 표 2와 같은 조건으로 마무리 열간압연하였다. 이후, 초당 20℃의 냉각속도로 권취단계까지 냉각하였다. 하기 표 2에 나타낸 권취온도로 권취한 후, 하기 표 2의 압하율로 냉간압연하였다. 발명강과 비교강을 이용하여 하기 표 2의 조건에 따라 제조한 발명재 및 비교재의 저항 용접성, 재결정 온도, 냉간 압연성, 고온 열처리성 및 소둔반복 작업성을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구분 강종 화학성분(중량%)
C Mn Si S Al N Nb Mo B (Nb+Mo)/C 원자비 B/N 중량비
발명강 1 0.0027 0.35 0.010 0.008 0.054 0.0025 0.043 0.044 0.0016 4.099 0.640
2 0.0035 0.39 0.011 0.010 0.039 0.0024 0.052 0.069 0.0019 4.388 0.792
3 0.0036 0.31 0.012 0.011 0.041 0.0027 0.064 0.091 0.0024 5.462 0.889
비교강 1 0.0067 0.57 0.014 0.013 0.047 0.0054 0.027 - 0.0005 0.521 0.093
2 0.0410 0.31 0.011 0.009 0.045 0.0046 - 0.055 0.0014 0.168 0.304
3 0.0035 0.94 0.610 0.010 0.106 0.0031 0.045 0.059 0.0024 3.772 0.774
4 0.0025 0.28 0.010 0.009 0.033 0.0028 0.037 0.241 - 13.981 0
Figure 112002038844609-pat00001

상기 표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성분 범위를 만족하는 강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제조조건으로 제조한 발명재(1~4)의 경우, 저항 용접성, 재결정 온 도, 냉간 압연성, 고온 열처리성 및 연속소둔 공정에서의 소둔반복 작업성 등이 모두 우수함을 알 수 있다.
또한, 냉간압하율이 84%인 발명재(3)의 경우, 냉간압하율이 88%인 발명재(4)에 비하여 재결정 온도가 높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다.
반면에 본 발명의 성분 범위를 벗어나거나 제조조건으로 제조하지 않은 비교재(1~10)는 본 발명에서 목표로 하였던 특성을 만족하지 못하거나 반복 열처리시 판 파단과 같은 문제를 일으켜 극박재 연결용 강판으로 적용하기 곤란하였다.
C, Mo, Nb 등의 조성 및 (Nb+Mo)/C 원자비, B/N 중량비가 본 발명의 성분 범위를 만족하는 강을 이용하여 권취온도를 450℃로 본 발명의 범위 보다 낮게 한 비교재(1)의 경우, 석출물의 분포 및 크기가 재결정 억제에 효과적이지 못함에 따라 고온 소둔 작업성 확보가 어려웠으며 또한 열연판 폭 방향의 재질 편차가 심하게 발생하여 냉간압연성이 극히 나빠지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권취온도가 760℃로 높은 비교재(2)의 경우에는 냉간압연성 등은 양호하였지만 석출물 조대화에 의해 재결정 온도가 750℃ 이하로 낮아져 연속 소둔공정에서의 고온 소둔 작업성을 확보할 수 없었다.
또한, 냉간압하율이 75%로 낮은 비교재(3)의 경우에는 열연재의 두께가 너무 얇아짐에 따라 열연판 권취 형상이 나빠져 작업성이 현저히 떨어졌으며, 냉간 압연성을 확보하는 것이 곤란하였다.
한편, 냉간압하율이 95%로 높은 비교재(4)의 경우에는 냉간압연에 의한 변형에너지가 높아져 재결정을 촉진함으로써 재결정이 750℃ 이하의 온도에서 완료되어 소둔 반복 작업성 등을 확보하는 것이 곤란하였다.
한편, 본 발명강의 화학 조성에 비하여 C, Mn, N의 함량이 많고 Mo, Nb 및 B의 함량이 적으며 (Nb+Mo)/C 원자비 및 B/N의 중량비가 본 발명의 범위를 만족하지 못하는 비교강1을 이용하여 본 발명법의 권취 및 냉연조건 제조 범위를 벗어나게 제조한 비교재(5) 및 제조 범위를 만족하는 비교재(6)은 미세 석출물의 석출이 조장되지 못함에 따라 강의 재결정은 750℃ 이하에서 완료되어 고온 열처리성 및 소둔 반복 작업성을 확보할 수 없어 목표로 하는 극박재 연결용 소재로써의 적합한 특성을 얻을 수 없었을 뿐만 아니라 용접 특성도 확보할 수 없었다.
또한, C, N 및 Nb의 첨가량이 발명법의 성분 범위를 벗어나고 (Nb+Mo)/C원자비가 본 발명의 범위보다 낮은 비교강2를 이용하여 권취온도를 570℃로 낮게 한 비교재(7)은 저항 용접성의 확보는 가능하였지만, 시효 현상이 발생하여 소재의 재질 편차를 일으키는 요인으로 작용하였을 뿐만 아니라 재결정도 비교적 낮은 온도 영역인 700℃ 이하에서 완료되어 반복 열처리를 실시하는 경우 재질이 급격히 연화되어 고온 소둔 특성성이 요구되는 연결용 소재로 적용하기는 곤란하였다.
또한, Mn, Si, Al, N의 첨가량이 발명강의 조성에 비하여 높은 비교강3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제조 범위로 제조한 비교재(8)은 재결정 특성 등은 확보할 수 있었지만, Si, Mn 등에 의해 소재의 편석이 심하게 발생하고 스케일 등의 결함이 발생하여 냉간압연성을 크게 저하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그리고, 고온 열처리시 Si 등의 표면 농화가 발생하여 소둔 작업성을 현저히 떨어뜨리는 문제점도 발생하였다.
또한, 다른 성분들은 본 발명의 성분 범위를 만족하지만 Mo, B의 첨가량 및 (Nb+Mo)/C원자비와 B/N의 중량비가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는 비교강4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제조 범위로 제조한 비교재(9~10)은 저항 용접시 용접 열영향부의 조직이 현저히 조대화되어 용접부 판 파단의 요인으로 작용하여 저항 용접성이 크게 떨어졌다. 그리고, 열연시 판 두께의 헌팅(Hunting, 폭방향 두께편차)이 발생하여 냉간압연 특성을 확보할 수 없었으며, 고가의 Mo이 과다 첨가됨에 따라 제조 원가가 상승되는 문제점도 발생하였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적절한 성분 및 제조 공정의 제어를 통하여 저항 용접성 및 고온 소둔 특성 등을 개선함과 아울러 연결용 소재로써의 반복적인 소둔 작업성을 확보할 수 있어 안정적인 작업 온도 확보가 가능하므로 제품의 재질 편차 발생을 감소시키고 이를 통하여 재질 편차에 의한 재처리를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조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중량%로, C: 0.002~0.005%, Mn: 0.1~0.5%, Si: 0.04% 이하, S: 0.015% 이하, Al: 0.03~0.10%, N: 0.003% 이하, Mo: 0.03~0.15%, Nb: 0.04~0.10%, B: 0.0005~0.003%, 나머지 Fe 및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로 조성되며, (Nb+Mo)/C 원자비: 4.0~5.9 및 B/N 중량비: 0.6~1.1을 만족하는 강을 910~930℃로 마무리 열간압연한 다음 580~680℃에서 권취한 후, 80~90%의 압하율로 냉간압연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저항 용접성 및 반복 열처리성이 우수한 더미용 강판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의 함량이 0.001~0.002중량%임을 특징으로 하는 저항 용접성 및 반복 열처리성이 우수한 더미용 강판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간압연에서 압하율이 84~86%임을 특징으로 하는 저항 용접성 및 반복 열처리성이 우수한 더미용 강판의 제조방법.
KR1020020073415A 2002-11-25 2002-11-25 저항 용접성 및 반복 열처리성이 우수한 더미용 강판의제조방법 KR1009406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3415A KR100940664B1 (ko) 2002-11-25 2002-11-25 저항 용접성 및 반복 열처리성이 우수한 더미용 강판의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3415A KR100940664B1 (ko) 2002-11-25 2002-11-25 저항 용접성 및 반복 열처리성이 우수한 더미용 강판의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5592A KR20040045592A (ko) 2004-06-02
KR100940664B1 true KR100940664B1 (ko) 2010-02-05

Family

ID=373413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3415A KR100940664B1 (ko) 2002-11-25 2002-11-25 저항 용접성 및 반복 열처리성이 우수한 더미용 강판의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066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6172B1 (ko) * 2009-12-04 2013-07-15 주식회사 포스코 가공성 및 내열성이 우수한 고강도의 가공용 고내열 냉연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101308717B1 (ko) * 2009-12-04 2013-09-13 주식회사 포스코 가공성, 내열성 및 내변색성이 우수한 가공용 고내열 냉연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101308718B1 (ko) * 2009-12-04 2013-09-13 주식회사 포스코 가공성 및 내열성이 우수한 고강도의 가공용 고내열 냉연강판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00924A (en) * 1979-01-25 1980-08-01 Nippon Steel Corp Production of high toughness bainite high tension steel plate having excellent weldability
JPH04131357A (ja) * 1990-09-21 1992-05-06 Nippon Steel Corp 焼付硬化性に優れた非時効性の深絞り用薄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930004492A (ko) * 1991-08-19 1993-03-22 도사키 시노부 표면처리성이 우수한 디프 드로잉용 고장력강판 및 그 제조방법
JPH108142A (ja) * 1996-06-26 1998-01-13 Kawasaki Steel Corp 加工性が良好でかつ肌荒れのない製缶用鋼板の製造方 法
JP2002155317A (ja) * 2000-11-16 2002-05-31 Kawasaki Steel Corp 深絞り性および耐2次加工脆性に優れた高強度溶融亜鉛めっき鋼板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00924A (en) * 1979-01-25 1980-08-01 Nippon Steel Corp Production of high toughness bainite high tension steel plate having excellent weldability
JPH04131357A (ja) * 1990-09-21 1992-05-06 Nippon Steel Corp 焼付硬化性に優れた非時効性の深絞り用薄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930004492A (ko) * 1991-08-19 1993-03-22 도사키 시노부 표면처리성이 우수한 디프 드로잉용 고장력강판 및 그 제조방법
JPH108142A (ja) * 1996-06-26 1998-01-13 Kawasaki Steel Corp 加工性が良好でかつ肌荒れのない製缶用鋼板の製造方 法
JP2002155317A (ja) * 2000-11-16 2002-05-31 Kawasaki Steel Corp 深絞り性および耐2次加工脆性に優れた高強度溶融亜鉛めっき鋼板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5592A (ko) 2004-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75307A (ko) 고상 접합성이 우수한 초고강도 열연강판 및 그 제조 방법
JP5764498B2 (ja) 深絞り性に優れ高降伏比を有する高強度冷延鋼板、これを用いた溶融亜鉛メッキ鋼板、合金化溶融亜鉛メッキ鋼板及びこれらの製造方法
KR100940664B1 (ko) 저항 용접성 및 반복 열처리성이 우수한 더미용 강판의제조방법
KR101786258B1 (ko) 용접 열영향부 인성이 우수한 고강도 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101786262B1 (ko) 강도 및 dwtt 저온인성이 우수한 후물 열연강판 및 그 제조방법
JPH055887B2 (ko)
KR100900649B1 (ko) 더미용 냉연강판의 제조방법
KR101262382B1 (ko) 면내이방성이 우수한 냉연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100340504B1 (ko) 가공성이우수한주석도금원판의제조방법
KR100711474B1 (ko) 소부경화성이 우수한 열연강판의 제조방법
JPS60149719A (ja) 熱延高張力鋼板の製造法
KR20090068906A (ko) 주석 도금 원판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0349155B1 (ko) 시효특성 및 가공성이 우수한 표면처리 도금원판의 제조방법
KR100946132B1 (ko) 주석도금 원판의 제조방법
KR100910467B1 (ko) 가공성이 우수한 2차 압연 강판 제조 방법
KR101344556B1 (ko) 고강도 후물 강재 및 그 제조 방법
KR100530057B1 (ko) 가공성 및 내2차가공취성이 우수한 고강도 냉연강판의제조방법
KR20110125860A (ko) 가공성 및 내2차가공취성이 우수한 고강도 박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100554760B1 (ko) 용접성과 도장특성이 우수한 고가공성 고강도 냉연강판 및그 제조방법
KR100765116B1 (ko) 가공성이 우수한 고강도 석도원판 및 그 제조방법
KR100584741B1 (ko) 주석도금원판과 그 제조방법
KR100544737B1 (ko) 성형성이 우수한 연질 표면처리원판과 그 제조 방법
KR101889174B1 (ko) 저온역 버링성이 우수한 고항복비형 고강도강 및 그 제조방법
KR100825559B1 (ko) 성형성이 우수한 주석도금 원판의 제조 방법
KR100584755B1 (ko) 소부경화성을 갖는 프레스성형성이 우수한고강도냉연강판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5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