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9745B1 - 동물용 변기 모래 및 이것을 이용한 동물용 변기 - Google Patents

동물용 변기 모래 및 이것을 이용한 동물용 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9745B1
KR100939745B1 KR1020040045309A KR20040045309A KR100939745B1 KR 100939745 B1 KR100939745 B1 KR 100939745B1 KR 1020040045309 A KR1020040045309 A KR 1020040045309A KR 20040045309 A KR20040045309 A KR 20040045309A KR 100939745 B1 KR100939745 B1 KR 1009397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ilet
liquid
sand
delete delete
toilet s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53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111129A (ko
Inventor
마츠오다카유키
이케가미다케시
Original Assignee
유니참 팻케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참 팻케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유니참 팻케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1111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111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97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97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3/00Manure or urine pouch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1Removal of dung or urine, e.g. from stables
    • A01K1/0107Cat trays; Dog urinals; Toilets for pe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1Removal of dung or urine, e.g. from stables
    • A01K1/0107Cat trays; Dog urinals; Toilets for pets
    • A01K1/0114Litter boxes with screens for separating excrement from litte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Zoology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물용 변기에 이용되는 변기 모래에 관한 것으로서, 변기 모래중에 잔존하는 배설물에 의한 냄새의 발생을 억제하는 변기 모래 및 이것을 이용한 변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은 동물의 변기에 사용되는 동물용 변기 모래로서, 액체를 흡수하는 액 통과성의 복수개의 입상물로 구성되고, 이들 입상물의 사이의 틈으로부터 액체를 통과시키는 액 통과성을 지니며, 상기 입상물의 최대 액 흡수량은 상기 입상물 중량의 3 내지 4.0배이고, 3초당 액 흡수량은 상기 최대 액 흡수량의 20 내지 70%이며, 액 통과율은 7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용 변기 모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동물용 변기 모래 및 이것을 이용한 동물용 변기{ANIMAL LITTER AND ANIMAL LITTER BOX US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의 변기의 하나의 실시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하는 변기의 일부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변기 모래 수납 용기
11: 흡액 시트 수납 용기
12: 측면 커버
13: 변기 모래
14: 흡액 시트
15: 액체
102: 저면부
104: 빈 구멍
본 발명은 고양이나 개 등의 동물의 변기용 부재로서 사용되는 동물용 변기 모래에 관한 것이다.
실내에서 길러지고 있는 고양이나 개 등의 동물용 변기로서는, 플라스틱제의 용기에 소위 「고양이 모래」라고 불리는 입상물로 이루어지는 변기 모래가 들어있는 것이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동물이 배설한 뇨 등의 배설물은 이러한 변기 모래에 의해서 흡수된다. 기르는 주인은 이 뇨나 변으로 더러워진 변기 모래를 변 등과 함께 용기로부터 제거하고, 제거한 부분에 상당하는 변기 모래를 새로 보충한다.
그러나, 고양이 등은 배설후에 변기 모래를 발로 뒤섞는 습성이 있어, 다수의 변기 모래에서 뇨나 변 등이 발에 부착되는 경우가 있다. 더구나, 더러워진 변기 모래가 분산되기 때문에 더러워진 부분만을 완전히 제거하는 것은 곤란하다.
이러한 변기에 사용되는 변기 모래로서는 광물계의 제올라이트나 강의 모래, 또는 액체를 흡수하면 굳어지는 벤토나이트, 분쇄 펄프 등을 굳혀 입상으로 성형한 셀룰로오스 등이 있다.
그러나, 제올라이트나 강의 모래 등은 뇨를 흡수하는 것이 아니고, 또한 벤토나이트나 펄프 등은 흡수력이 떨어질뿐만 아니라 탈취력도 없다. 더구나, 동물, 특히 고양이의 배설물은 악취가 심하여, 변기를 설치해 두는 방 전체에 냄새가 나게 되고, 그 결과 불쾌감을 일으킨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것으로서 다공질의 내수 실리카겔로 구성되고, 탈취력 및 흡수력을 강화시킨 변기 모래가 있다(예컨대, 특허 문헌 1 참조). 또한, 변기 모래에 발수성을 갖는 소재를 사용하여, 뇨 등의 수분을 흡수하는 흡액 시트와 병용함으로써 냄새의 발생을 억제한 것이 있다(예컨대, 특허 문헌 2 참조).
[특허 문헌 1]
특허 제2766632호
[특허 문헌 2]
특허 공개 평10-229768호 공보
그러나, 특허 문헌 1에 기재한 변기 모래는 입자 지름을 2 mm 내지 6 mm로 작게하여 모래의 표면적과 공극을 줄임으로써 효율적으로 뇨를 흡수하하도록 하였다. 또한, 함수율을 낮게 설정하여 흡수 속도와 최대 흡수량을 증가시키도록 90℃ 내지 120℃에서 건조시킨 후의 함수율은 3 중량% 이하로 조정하였다. 이와 같이, 상기 변기 모래는 흡수 속도가 빨라서, 배설된 뇨 등을 빠르게 흡수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러나, 대량으로 뇨를 흡수한 실리카겔이 변기용기내에 남게 되기 때문에 비위생적이며, 악취가 발생하는 원인이 된다.
또한, 특허 문헌 2에 기재한 변기 모래를 구성하는 입상물은 흡수성을 갖지 않기 때문에 뇨 등이 입상물을 통과하지 않고 입상물 표면에 잔존할 경우에는 이 잔존하는 뇨가 부패되어, 악취가 발생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뿐만 아니라, 흐를 정도로 대량이 아닌 변의 수분 등은 변기 모래를 통과할 수 없기 때문에 변의 악취가 남을 우려도 있다. 이로 인하여, 변기 모래의 더러워진 부분을 애완동물이 배설할 때마다 버리거나, 1, 2주간에 한번의 비율로 변기 모래를 전부 바꿀 필요가 있으며, 또한 모래뿐만 아니라 흡액 시트도 새로운 것으로 교환해야 하기 때문에 대량의 쓰레기가 발생된다고 하는 문제도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변기 모래와 흡액 시트를 모두 이용하는 이중 구조의 변기에 있어서, 액체 배설물의 대부분을 빠르게 흡액 시트로 이동시키기 위한 액 통과성을 지니고, 또한 통과할 수 없는 수분에 관해서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서 변기 모래중에 흡수되는 흡수성을 갖는, 장기간 사용 가능한 동물용 변기 모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종래의 변기 모래보다도 그 입자 지름이 클 뿐만 아니라, 액 흡수 속도가 느린 입상물을 변기 모래로서 이용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구체적으로는, 수분 함유량을 높게 설정하고, 구형으로 성형한 입상물을 사용함으로써 변기 모래상의 잔존 배설물의 수분을 빠르게 통과시켜 변기 모래의 아래에 배치된 흡액 시트로 이행시키도록 하였다. 이에 따라 변기 모래의 표면에 액체가 잔류하는 것을 방지하여, 냄새의 발생을 억제하는 동시에, 변기 모래 자체의 사용 수명을 길게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였다.
본 발명은 보다 구체적으로는 이하와 같은 것을 제공한다.
(1) 동물의 변기에 사용되는 복수개의 입상물로 구성되는 동물용 변기 모래로서, 상기 입상물은 각각 낱개마다의 3초당 액 흡수량이 최대 액 흡수량의 20% 내지 70%일 뿐만 아니라, 상기 최대 액 흡수량이 상기 입상물 중량의 0.3배 내지 4.0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용 변기 모래:
본 발명에 의하면 변기 모래를 구성하는 개개의 입상물은 그 흡수 속도가 억 제되었다. 이것에 의해서 액체는 우선, 입상물끼리의 사이에 있는 간극을 뚫고 빠르게 통과해 나간다. 그리고, 상기 입상물 표면에 남은 액체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서 입상물중에 흡수되어 간다. 이 때문에, 입상물의 표면에 수분이 잔류하지 않고, 보송보송한 상태를 유지하기 쉽게 되어 있다. 그에 비하여, 전술한 특허 문헌 1에 기재한 변기 모래는 변기 모래가 외부로부터 들어온 액체 전부를 흡수해야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입상물의 초기 함수율을 낮게 억제함으로써 액체의 흡수 속도를 빠르게 하였다. 따라서, 흡수 속도에 있어서 본 발명과는 크게 다르다. 또한, 특허 문헌 2에 기재한 변기 모래는 입상물이 발수성이어서, 입상물상에 남은 액체를 흡수할 수 없기 때문에 본 발명과는 분명히 다르다.
(2) 흡액 시트와 병용하여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에 기재한 동물용 변기 모래:
본 발명에 의하면 변기 모래와 흡액 시트를 병용하여 이용하는 것을 상정하고 있다. 이 흡액 시트는 본 발명에 따른 변기 모래를 통과한 액체를 흡수하기 위한 것으로, 변기 저면부에 깔린다. 이러한 변기 모래와 흡액 시트를 병용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변기는 변기 모래를 담고있는 변기 모래 수납부와 흡액 시트를 깔기 위한 흡액 시트 수납부의 이중 구조로 이루어진 것으로, 상기 변기 모래 수납부의 저면부에 복수개의 빈 구멍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변기에 본 발명에 따른 변기 모래를 사용함으로써 배설물의 액체를 빠르게 흡액 시트에 흡수시켜 냄새의 발생을 억제함과 동시에, 변기 모래의 보송보송한 상태를 유지하기 쉽게 할 수 있다.
(3) 상기 복수개의 입상물 전체의 액 통과율이 7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 또는 (2)에 기재한 동물용 변기 모래:
본 발명의 변기 모래는 입상물의 액 통과율이 70% 이상이다. 이 때문에, 변기 모래를 배설물의 수분이 통과하기 쉽고, 흡액 시트와 병용하여 이용하는 경우에 특히 유효하다. 또한, 종래의 변기 모래의 액 통과율은 (a) 굳어지는 타입의 종이모래(펄프와 고흡수성 수지와 전분으로 이루어짐)의 경우는 27%, (b) 굳어지지 않는 타입(펄프와 탄산칼슘으로 이루어짐)의 경우는 50%, (c) 초기 함수율 5%, 입자 지름 3 mm 내지 3.5 mm인 내수 실리카겔의 경우는 7%이기 때문에, 액체를 빠르게 통과시키는 것이 곤란했다. 특히, (c)에 있어서는 입자 지름이 작기 때문에 변기 모래로서의 공극율이 낮아, 액체를 빠르게 통과시키기 어려웠다. 이것에 대하여, 본 발명은 액체를 빠르게 통과시킨다는 점에서 분명히 다르다. 또한, 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변기 모래의 액 통과율은 80% 이상이다.
(4) 25℃ 및 습도 50% 분위기하에서 24시간 방치한 후의 상기 입상물의 함수율이 4 중량% 내지 15 중량%이며, 상기 입상물의 직경이 4 mm 내지 10 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 또는 (3)에 기재한 동물용 변기 모래: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입상물의 초기 함수율을 4 중량% 내지 15 중량%, 바람직하게는 5 중량% 내지 10 중량%로 유지시킴으로써 입상물이 배설물의 수분을 빠르게 통과시키는 동시에, 입상물상에 남아있는 수분을 흡수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이로 인하여, 상기 입상물 표면을 보송보송한 상태로 유지시키기 쉬우며, 장기간 반복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입상물의 크기를 종래의 것보다도 크게 설정하여 입상물끼리의 간극을 증가시켜 변기 모래의 공극율을 전체적으로 높였다. 이에 따라, 액체가 변기 모래를 보다 용이하게 통과하도록 하였다. 뿐만 아니라, 입상물의 크기를 종래의 것보다도 조금 크게 설정함으로써 변기 모래의 비산을 방지하는 효과도 있다. 입상물의 직경은 4 mm 내지 10 mm인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5 mm 내지 8 mm이다.
(5) 상기 입상물이 탈취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한 동물용 변기 모래.
본 발명에 의하면 입상물에 탈취능이 구비되어 있다. 이 때문에, 변기 모래를 장기간 사용한 경우라도 냄새가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6) 상기 입상물이 실리카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기재한 동물용 변기 모래.
본 발명에 의하면 입상물에 실리카겔을 이용하고 있다. 실리카겔은 다공성으로서 흡수력 및 흡착력이 높기 때문에 수분과 냄새의 원인을 막을 수 있다. 이 때문에, 잔류하는 액체 배설물을 흡수하고 탈취시킬 수 있으며, 변기 모래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7) 동물이 출입하기 위한 개구와, 변기 모래가 부설되어 있는 액 통과성의 저면부를 구비한 변기 모래 수납 용기, 그리고 상기 입상물 수납 용기의 상기 저면부의 아래쪽에 위치하며 흡액 시트가 배치되어 있는 흡액 시트 수납 용기로 이루어지는 동물용 변기에 있어서, 상기 변기 모래는 상기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기재한 동물용 변기 모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용 변기.
본 발명에 의한 동물용 변기는 변기 모래를 수납하는 수납 용기 및 흡액 시트를 깔아놓는 수납 용기의 이중 구조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변기 모래상에 배설된 배설물로부터 그것에 함유되어 있는 액체를 빠르게 흡액 시트로 이행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변기 모래 수납 용기의 상기 저면부를 흡액 시트 수납 용기내의 흡액 시트와 이격시킴으로써, 흡액 시트로 이행한 액체가 변기 모래로 되돌아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8) 동물의 변기에 사용하는 동물용 변기 모래로서, 복수개의 입상물로 구성되고, 상기 입상물 전체의 액 통과성을 조정함으로써 상기 변기 모래가 사용되는 변기의 변기로서의 쾌적성을 조정하는 방법: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입상물의 초기 함수율을 조정함으로써 변기 모래의 액 통과성을 조정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입상물의 초기 함수율을 작게 함으로써 변기 모래에 있어서의 액흡수성을 높일 수 있다. 한편, 입상물의 함수율을 높게 함으로써 입상물 자체가 액체를 빠르게 흡수하는 것을 억제하여, 이것에 의해 배설물의 수분이 빠르게 변기 모래를 통과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변기 모래를 구성하는 개개의 입상물의 초기 함수율을 조정함으로써 수분의 통과율을 변경하여, 변기 모래 전체의 보송보송한 감촉을 조정할 수 있으므로, 이 변기 모래를 이용하는 변기의 쾌적성을 조정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동물」이란, 개, 고양이, 토끼, 햄스터 등의 소위 애완 동물 이외에도, 호랑이, 사자 등의 새끼 등도 포함된다. 또한 「변기 모래」란, 구, 회전타원체, 다면체로 이루어진 입상물의 집합체를 의미하고, 실리카겔을 주원료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액체」란, 동물로부터 배설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변기 모래를 통과할 수 있는 모든 수분을 포함한다. 또한 「액 통과」란, 액체가 변기 모래가 있는 지점을 통과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입상물의 주위를 거쳐가는 액이 많을수록 액 통과성이 좋은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의 변기 모래에 실리카겔을 이용한 경우에는 이하와 같은 방법에 다라서 구형으로 조립, 건조할 수 있다. 실리카겔의 구체적인 제조 방법은 이하와 같다. 우선, 원료 실리카겔 분말을 분쇄기에서 균일한 분말로 만든다. 다음에, 실리카(SiO2)의 원액을 주성분으로 하여, 물과 다른 재료를 배합하여 점착재를 합성한다. 계속해서, 분말 실리카겔을 성구기(成球機)에 넣어, 점착재와 혼합하여 직경 4∼10 mm의 크기로 둥글게 만든다. 마지막으로, 이 실리카겔의 구를 100∼140℃의 건조기에 넣어, 초기 함수율이 4∼15 중량%가 되도록 건조시킨다. 또한, 실리카겔의 함수량은 주식회사 케츠토 과학 연구소사 제조, 적외선 수분률계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점착재의 다른 재료에는 폴리비닐알콜(PVA)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PVA를 이용함으로써 건조 효율을 향상할 수 있기 때문이다.
실리카겔의 액흡수성은 초기 함수율에 의존한다. 상기 실리카겔의 초기 함수율은 4∼15 중량%, 바람직하게는 5∼10 중량%이다. 초기 함수율이 4 중량%보다 낮으면 흡수 속도가 빨라져 액 통과성이 저하되기 때문이다. 또한, 실리카겔의 입자 지름은 4∼10 mm이며, 바람직하게는 5∼9 mm, 더욱 바람직하게는 6∼8 mm이다. 입자 지름이 4 mm 이하이면 입상물 사이의 공극이 작아지고, 변기 모래 수용 용기의 저면부의 개구 면적이 작아진다. 그리고 개구 면적이 작아지면 배설물이 흡액 시트에 도달하는 시간이 길어져 결과적으로 액투과율이 저하되어, 변기 모래를 보송보송한 상태로 만드는 것이 곤란해진다. 한편, 입자 지름이 10 mm 이상이면 동물, 특히 고양이가 싫어하여 배설하지 않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인 변기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2는 변기 모래(13) 및 흡액 시트(14)를 수납한 도 1에 도시한 변기의 일부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동물용 변기는 도 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의 입상물로 이루어지는 변기 모래를 담고있는 상자형의 변기 모래 수납 용기(10)와, 상기 수납용기(10)의 아래쪽에 위치하여 출납 가능하게 내장된 흡액 시트를 수납하는 흡액 시트 수납 용기(11), 그리고 상기 변기 모래 수납 용기(10)의 상부에 측면을 덮도록 설치된 측면 커버(12)를 주요소로 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변기 모래 수납 용기(10)의 저면부(102)는 복수개의 빈 구멍(104)을 갖고 있다. 이 빈 구멍(104)은 다면체 또는 원형인 것이 바람직하며, 변기 모래(13)가 누락되지 않는 크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변기 모래 수납 용기(10)의 저면부(102)의 상면에는 변기 모래(13)를 소정량 깔아 층형으로 부설한다. 또한, 흡액 시트 수납 용기(11)내에 흡액 시트(14)를 부설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변기 모래(13) 및 흡액 시트(14)를 수납한 변기의 단면을 도시하는 것이다. 동물이 배설했을 때에는 액체(15)는 우선, 변기 모래(13)의 사이를 지나 변기 모래 수납 용기(10)의 저면부(102)에 설치되어 있는 빈 구멍(104)을 통과하여, 흡액 시트 수납 용기(11)에 깔려 있는 흡액 시트(14)에 흡수된다. 그리고, 상기 변기 모래(13)중에 남아있는 액체(15)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서 상기 변기 모래(13)중에 흡수되어 간다.
다음에, 본 발명에 따른 변기 모래의 액흡수성, 흡수 속도 및 액 통과성에 관해서 설명한다. 이하에 나타내는 것은 이들을 측정한 것이다.
[측정예 1]
초기 함수율이 상이한 실리카겔(입자 지름 6∼8 mm) 100 g을 각각이 중합되지 않는 사이즈의 메쉬 형상의 용기에 넣어, 생리 식염수에 5분간 침수시켰다. 용기를 끌어 올려 여분의 수분을 충분히 없앤 후, 입상물의 중량을 측정했다. 그 결과, 입상물의 최대 액 흡수량은 자체 중량의 0.3 내지 4.0배였다.
[측정예 2]
측정예 1과 같이 실리카겔을 메쉬 형상의 용기에 넣어, 생리식염수에 3초간 침수시켰다. 용기를 끌어 올려 여분의 수분을 충분히 없앤 후, 입상물의 중량을 측정했다. 그 결과, 입상물의 3초당 액 흡수량은 자체 중량의 0.1 내지 1.5배, 최대 흡수량의 20 내지 70%였다.
[측정예 3]
폭 20 cm, 깊이 20 cm, 높이 5 cm의 용기로서, 그 하부를 개구율 40%로 설정 한(두께 5 mm, 개구부는 3 ×5 mm) 용기를 이용했다. 입자 지름이 5∼8 mm, 초기 함수율 5 중량%인 실리카겔을 25 mm의 두께로 깔아서 채웠다. 여기에 무게 20 ㎖의 생리 식염수를 뷰렛으로 5초간 적하하여, 흡액 시트가 흡수한 액량을 측정하였다. 이것을 5회 반복하여, 평균의 액량을 액 통과율로 하였다. 그 결과, 액 통과율은 86%였다.
이상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동물 변기에 사용되는 동물용 변기 모래에 의하면, 액 통과성이 높고, 잔존 액체도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흡수될 수 있다. 이 때문에 변기 모래를 사용시의 상태로 유지시키기 쉽고, 배설물의 악취가 발생하는 것도 방지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본 발명의 동물용 변기 모래는 장기간 반복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폐기량이 적고, 청소의 수고가 적으며, 또한 경제적이다.

Claims (20)

  1. 동물의 변기에 사용되는 실리카 겔을 포함하는 복수개의 입상물로 구성되는 동물용 변기 모래로서,
    상기 입상물은 각각 낱개의 3초당 액 흡수량이 최대 액 흡수량의 20% 내지 70%이며, 상기 최대 액 흡수량이 상기 입상물의 중량의 0.3배 내지 4.0배이며, 상기 복수개의 입상물 전체의 액 통과율은 70%이상이고,
    25℃ 및 습도 50%의 분위기하에서 24시간 방치한 후의 함수율이 4 중량% 내지 15 중량%이며, 상기 입상물의 직경은 4 mm 내지 10 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용 변기 모래.
  2. 제1항에 있어서, 흡액시트와 병용하여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용 변기 모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상물은 탈취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용 변기 모래.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KR1020040045309A 2003-06-20 2004-06-18 동물용 변기 모래 및 이것을 이용한 동물용 변기 KR1009397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177390A JP3676787B2 (ja) 2003-06-20 2003-06-20 動物用トイレ砂及びこれを用いた動物用トイレ
JPJP-P-2003-00177390 2003-06-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11129A KR20040111129A (ko) 2004-12-31
KR100939745B1 true KR100939745B1 (ko) 2010-02-04

Family

ID=334110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5309A KR100939745B1 (ko) 2003-06-20 2004-06-18 동물용 변기 모래 및 이것을 이용한 동물용 변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050000462A1 (ko)
EP (1) EP1488690B1 (ko)
JP (1) JP3676787B2 (ko)
KR (1) KR100939745B1 (ko)
CN (1) CN100486425C (ko)
AU (1) AU2004202681B2 (ko)
ES (1) ES2405328T3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01604A1 (ko) * 2016-11-30 2018-06-07 장보민 반려동물의 변기
KR20200009180A (ko) 2018-07-18 2020-01-30 임재화 반려동물 화장실용 모래형 탈취제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49372A (ja) * 2004-11-04 2006-06-15 Kurosaki Hakudo Kogyo Kk 簡易トイレ具
JP2008141956A (ja) * 2005-03-23 2008-06-26 Shintouhoku Kagaku Kogyo Kk 愛玩動物用排泄物処理材セット
JP4447517B2 (ja) 2005-06-27 2010-04-07 ユニ・チャームペットケア株式会社 ペット用トイレ
JP4476973B2 (ja) * 2006-07-10 2010-06-09 ユニ・チャームペットケア株式会社 愛玩動物の排尿用床材
JP5183166B2 (ja) * 2007-11-22 2013-04-17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動物用トイレ砂
JP5080606B2 (ja) * 2010-03-30 2012-11-21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動物用排泄物処理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979313B1 (ko) * 2010-06-23 2019-05-16 카니치 아다치 괴상처리제
CA2731737A1 (en) 2011-02-14 2012-08-14 Patrick Beaudoin Animal litter
JP5943564B2 (ja) 2011-07-13 2016-07-05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動物用便器
JP6008622B2 (ja) * 2012-07-06 2016-10-19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ペット用吸収性シート
JP6008623B2 (ja) * 2012-07-06 2016-10-19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ペット用吸収性シート
ITPD20130313A1 (it) 2013-11-19 2015-05-20 Marcello Carluccio Cassetta super igienica ed ecologica per gatti, cani ed altri animali da compagnia
CN104396762A (zh) * 2014-12-01 2015-03-11 芜湖悠派卫生用品有限公司 一种微生物包膜猫砂及其制备方法
CN104396770B (zh) * 2014-12-04 2016-08-10 芜湖悠派卫生用品有限公司 一种添加硅胶的混合高品质猫砂及其制备方法
WO2016178059A1 (en) 2015-05-06 2016-11-10 Marcello Carluccio Litter box for pets
CN108471730A (zh) * 2015-12-18 2018-08-31 夏普株式会社 体重测量装置以及动物用厕所
WO2017150086A1 (ja) * 2016-02-29 2017-09-08 シャープ株式会社 動物用トイレ
JP2019115272A (ja) * 2017-12-26 2019-07-18 シャープ株式会社 動物用トイレ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29768A (ja) * 1997-02-18 1998-09-02 Uni Charm Corp ペット用トイレ
US20040085704A1 (en) * 2000-12-06 2004-05-06 Armand Castillejo Integrated circuit with reduced substrate coupling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08597A (en) * 1974-07-08 1975-09-30 Chester E Taylor Self straining animal litter box
US4085704A (en) * 1976-11-30 1978-04-25 Rush-Hampton Industries Animal litter
US4308825A (en) * 1980-09-04 1982-01-05 Stepanian Josephine W Pet waste odor removing device
US5184574A (en) * 1990-12-20 1993-02-09 Kirk Robert C Cat litter box
US5353743A (en) * 1991-11-18 1994-10-11 Walton Robert W Urine collection device for pet animals
JP2766632B2 (ja) * 1996-04-01 1998-06-18 ジョンソントレーディング株式会社 小動物用トイレ砂
IL118829A (en) * 1996-07-10 2001-08-08 Pets N People Ltd Litter apparatus
US6109212A (en) * 1997-10-02 2000-08-29 Schacherbauer; Josephine Adjustable cat litter box accessory
US5970915A (en) * 1999-01-08 1999-10-26 Harvest Ventures, Inc. Method of preparing a litter box for small domestic felines
EP1125494B8 (en) * 2000-01-14 2005-12-14 Kao Corporation Absorbent mat for excreta treatment
JP3824887B2 (ja) * 2000-06-28 2006-09-20 和子 山本 ペット用トイレ
US6543385B2 (en) * 2000-12-07 2003-04-08 Nestec, Ltd. Animal litter composition containing silica gel and methods therefor
DE50105077D1 (de) * 2001-12-15 2005-02-17 Arno Knof Consulting Gmbh Katzenstreu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29768A (ja) * 1997-02-18 1998-09-02 Uni Charm Corp ペット用トイレ
US20040085704A1 (en) * 2000-12-06 2004-05-06 Armand Castillejo Integrated circuit with reduced substrate coupling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01604A1 (ko) * 2016-11-30 2018-06-07 장보민 반려동물의 변기
KR20200009180A (ko) 2018-07-18 2020-01-30 임재화 반려동물 화장실용 모래형 탈취제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488690A3 (en) 2007-10-24
KR20040111129A (ko) 2004-12-31
JP2004290172A (ja) 2004-10-21
JP3676787B2 (ja) 2005-07-27
EP1488690A2 (en) 2004-12-22
AU2004202681B2 (en) 2010-07-01
ES2405328T3 (es) 2013-05-30
EP1488690B1 (en) 2013-03-27
CN1589613A (zh) 2005-03-09
CN100486425C (zh) 2009-05-13
US20050000462A1 (en) 2005-01-06
AU2004202681A1 (en) 2005-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9745B1 (ko) 동물용 변기 모래 및 이것을 이용한 동물용 변기
KR101228659B1 (ko) 동물용 화장실 모래
KR101228810B1 (ko) 동물용 화장실 모래
CA2950065C (en) Excreta treatment material comprising a functional chemical agent that is displaced upward upon application of vibration to the material
CA2080420A1 (en) Hydrating cat litter and litter additive
WO2013179843A1 (ja) 動物用トイレ砂
CN1736178B (zh) 动物用卫生砂
JP4521233B2 (ja) 動物用トイレ砂
JPH09308403A (ja) 猫のトイレ砂及び小動物ペット類の敷き材
JP3683267B1 (ja) 動物用トイレ砂及びこれを用いた動物用トイレ
JP4343822B2 (ja) 動物用トイレ砂及びこれを用いた動物用トイレ
JP2007174943A (ja) ペット用トイレ
JPH0499424A (ja) 飼育動物用の吸尿粒子
JPH11113435A (ja) 小動物の排泄物吸収剤及びその製法
JP3129962U (ja) ペット尿吸収処理材。
JP3236889U (ja) 愛玩動物の排せつ物処理砂
WO2023085163A1 (ja) システムトイレ用トイレ砂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1169678A (ja) 排泄処理用材
JP2023037053A (ja) 排泄物処理材及びその製造方法
AU2012204086B2 (en) Floor material for pet animal urin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7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