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9176B1 - 담뱃불 소화구가 구비된 차량용 재떨이 - Google Patents

담뱃불 소화구가 구비된 차량용 재떨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9176B1
KR100939176B1 KR1020070109387A KR20070109387A KR100939176B1 KR 100939176 B1 KR100939176 B1 KR 100939176B1 KR 1020070109387 A KR1020070109387 A KR 1020070109387A KR 20070109387 A KR20070109387 A KR 20070109387A KR 100939176 B1 KR100939176 B1 KR 1009391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garette
fire extinguisher
ashtray
upper side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93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43695A (ko
Inventor
이광재
Original Assignee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093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9176B1/ko
Publication of KR200900436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36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91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91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8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refuse, e.g. ash-trays
    • B60N3/083Ash-trays
    • B60N3/086Ash-trays with refuse evacuation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12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cigarette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담배 꽁초를 수납하는 공간에서 담뱃불을 쉽게 끌 수 있게 하고 담뱃불이 소화된 담배 꽁초를 용이하게 소거할 수 있게 할 뿐만 아니라 다양한 용도로 이용될 수 있게 하는 담뱃불 소화구가 구비된 차량용 재떨이에 관한 것으로, 상부가 개방되어서 담배 꽁초를 수납하는 수납통; 상부에서 하부까지 연통되어 있으며 상기 수납통의 상부 일측에 장착되는 소화구; 전방 하부에 담배 꽁초를 밀어내는 밀대를 구비하여 상기 수납통의 상부 일측에 힌지가능하게 결합되는 덮개; 및 상기 덮개와 동일하게 수납통의 상부 일측에 힌지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수납통 내부에 구속되어서 상기 소화구의 하부를 개폐하는 받침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재떨이, 담배 꽁초, 담뱃불, 소화, 소거

Description

담뱃불 소화구가 구비된 차량용 재떨이{Car-ashtray having cigarette fire extinguisher}
본 발명은 담뱃불 소화구가 구비된 차량용 재떨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담배 꽁초들의 수납 공간 내에서 담뱃불을 쉽게 끌 수 있게 하고 꽁초를 용이하게 소거할 수 있게 하며 다양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게 하는 담뱃불 소화구가 구비된 차량용 재떨이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서, 자동차 문화가 일상화되면서 자동차의 실내에는 각종 편의 시설이 추가 설치되는 추세에 있으며, 장거리 운행시나 점차 심각해지는 교통 체증 등으로 인하여 승객이 자동차 실내에서 장시간 머물러야 하는 경우가 많아지면서 이에 대비한 승객 편의와 쾌적한 승차감을 위한 시설에 대한 수요가 늘어가고 있는 추세에 있다.
엔진룸과 자동차 실내를 분리하는 자동차의 운전석과 조수석 전면부의 인스트루먼트 패널에는 통상 미터류, 오디오 시스템, 공조 시스템, 글로브 박스와 각종 스위치 등과 같은 편의 시설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구비된 편의 시설중에는 재떨이도 포함되 는데, 이는 통상 상부가 개방된 대략 정육면체의 용기로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중앙부를 이루는 센터 패널의 중앙 하부에 여닫이식으로 개폐되는 구조로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재떨이를 사용함에 있어 운전자나 탑승자는 흡연 후, 담뱃불을 끄기 위해서는 재떨이의 측면이나 바닥에 담배를 비벼꺼야 하는데 이러한 행위는 운행을 하고 있는 운전자의 운전 부주의를 유도하여 교통사고를 초래할 염려가 발생되었다.
또한, 담뱃불이 완전히 소화되지 않는 경우가 많아서 꺼지지 않은 담배에서 발생되는 연기가 재떨이 외부로 빠져 나와 자동차의 실내공기를 지속적으로 오염시키므로 쾌적한 차량환경의 저해 요인으로 작용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재떨이가 담배를 피우는 흡연자에게만이 유용하므로 차량의 비흡연 운전자에게는 무용지물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 운행에 주위를 빼앗기지 않도록 담배 꽁초의 불씨를 신속하게 소화시킬 수 있게 하고 소화된 담배 꽁초를 용이하게 소거할 수 있게 하는 담뱃불 소화구가 구비된 차량용 재떨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재떨이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사용자의도에 따라 동전 보관함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 가능하도록 담뱃불 소화구를 분리가능하도록 구성, 운전자에게 다양한 편의장치를 제공 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담뱃불을 쉽게 끌 수 있게 하고 담배 꽁초를 용이하게 소거할 수 있게 하는 담뱃불 소화구가 구비된 차량용 재떨이는, 상부가 개방되어서 담배 꽁초를 수납하는 수납통; 상부에서 하부까지 연통되어 있으며 상기 수납통의 상부 일측에 장착되는 소화구; 전방 하부에 담배 꽁초를 밀어내는 밀대를 구비하여 상기 수납통의 상부 일측에 힌지가능하게 결합되는 덮개; 및 상기 덮개와 동일하게 수납통의 상부 일측에 힌지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수납통 내부에 구속되어서 상기 소화구의 하부를 개폐하는 받침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소화구 및 밀대는 동일한 갯수로 다수개 구비되게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덮개 및 받침대는 서로 연동되어 작동하게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소화구는 상부가 하부보다 더 큰 반경으로 이루어지게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담뱃불을 쉽게 끌 수 있게 하고 담배 꽁초를 용이하게 소거할 수 있게 하는 담뱃불 소화구가 구비된 차량용 재떨이에 있어서, 상부가 개방되어서 담배 꽁초를 수납하는 수납통; 상부에서 하부까지 연통되어 있으며 상기 수납통의 상부 일측에 장착되는 소화구; 상기 수납통의 상부 일측에 힌지가능하게 결합되는 덮개; 전방 하부에 담배 꽁초를 밀어내는 밀대와 상기 소화구의 하부를 개폐하는 받침대가 일체로 형성되게 하여서 상기 덮개 하부에 탈부착가능하게 설치되는 소화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담뱃불 소화구가 구비된 차량용 재떨이를 이용하게 되면, 신속하게 담배 꽁초의 불씨를 소화시킬 수 있으므로 자동차의 화재 위험성을 제거할 뿐만 아니라 소화 유무에 주위를 기울이지 않게 되어 자동차의 안전 운행을 도모할 수 있게 하며, 담뱃불이 소화된 담배 꽁초를 용이하게 소거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재떨이로 사용하지 않을 경우, 덮개에 설치된 밀대 및 받침대를 제거하여 운전자 의도에 따라 동전보관함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가능 하도록 하여 보다 많은 편의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담뱃불 소화구가 구비된 차량용 재떨이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담뱃불 소화구가 구비된 차량용 재떨이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담뱃불 소화구가 구비된 차량용 재떨이의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담뱃불 소화구가 구비된 차량용 재떨이의 측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담뱃불 소화구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부분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담뱃불을 쉽게 끌 수 있게 하고 담배 꽁초를 용이하게 소거할 수 있게 하는 담뱃불 소화구가 구비된 차량용 재떨이는, 수납통(10), 소화구(20), 덮개(30) 및 받침대(40)로 구성된다.
상기 수납통(10)은 상부가 개방되게 하여서 담배 꽁초를 수납시키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수납통(10)은 담배 꽁초를 수납하여 버릴 수 있는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여 차량의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바닥면이 평평한 상부 개방형 원통형으로 이루어지게 하며, 또한 어느 일측부가 평평하게 형성되게 하여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쉽게 걸어서 설치될 수 있게 하거나 쉽게 탈거시킬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납통(10)의 상부 일측에는 담배를 피우지 않아 꽁초를 버리는 상황이 발생하지 않을 때와 같은 평상 시에 덮개(30)에 의해 상부가 덮히는 상태가 되도록 덮개(30)와 체결될 수 있게 하는 훅크(미도시)가 구비된다.
상기 소화구(20)는 담배 꽁초 형태로 이루어지되 하부가 막히거나 개방될 수 있는 소정의 공간으로 형성되게 한다. 따라서, 상기 소화구(20)의 하부가 막혀있을 때에는 사용자가 담배를 피운 후 꽁초를 그 내부 공간에 넣어놔도 수납통(10)의 공간으로 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시간이 흘러감에 따라 담뱃불이 자연적으로 소화될 수 있게 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소화구(2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서 하부까지 연통되게 하여 구비되나 받침대(40)에 의해서 하부가 막히거나 개방될 수 있도록 하여 수납통(10)의 상부 일측에 장착된다.
즉, 사용자가 소화구(20)를 통해서 다 피우고 난 담배의 불을 소화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받침대(40)를 소화구(20)의 아래 바닥부에 있게 하여 하부를 막을 수 있고, 담뱃불이 다 소화된 다음에는 소화구(20)로부터 담배 꽁초가 용이하게 빠져나갈 수 있는 개방되는 구조도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소화구(20)는 그의 내부로 흡연자가 피우고 있던 담배 꽁초를 용이하게 삽입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부가 하부보다 더 큰 반경으로 이루어지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소화구(20)는 수납통(10)의 내부 상부에 다수개로 설치되게 함으로써 운전사뿐만 아니라 조수석 등의 탑승객이 동시에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 가능하다.
상기 덮개(30)는 수납통(10)의 상부 일측에 힌지가능하게 결합되어서 덮어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담배를 피우지 않아 꽁초를 버리는 상황이 발생하지 않을 때와 같은 평상 시에는 수납통(10)을 덮는 상태가 되도록 수납통(10)과 훅크(미도시)와 같은 체결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덮개(30)는 수납통(10)과 훅크의 체결장치로부터 풀렸을 때 자연스럽게 일측이 상향 이동되어 개방될 수 있도록 탄성스프링(미도시)으로 체결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담배를 피운 후 덮개(30)와 수납통(10)의 체결장치를 풀면 덮개(30)가 자동적으로 열려 소화구(20)에 담배 꽁초를 삽입시킬 수 있게 한다.
상기 덮개(30)의 하단부에는 소화구(20)와 일치되게 장착되어 있는 밀대(35)가 구비된다.
상기 밀대(35)는 덮개(30)가 덮히거나 소화구(20)로부터 담배 꽁초를 제거하기 위해서 소화구(20) 내부로 밀어넣을 때 내부에 있는 꽁초를 수납통(10)의 하부로 이동되게 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상기 소화구(20)에 들어 있는 담배 꽁초는 밀대(35)에 의해 용이하게 제거되어 수납통(10)에 수납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덮개(30)는 받침대(40)와 서로 연동하여 작동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받침대(40)는 덮개(30)와 동일하게 탄성스프링을 통해서 수납통(10)의 상부 일측에 힌지가능하게 결합되되 수납통(10) 내부에 구속되어서 소화구(20)의 하부를 개폐하는 역할을 한다.
즉, 담배 꽁초를 소화구(20)를 통해서 수납통(10)으로 버리기 위해서 덮개(30)를 개방시키게 되면 받침대(40)는 상향 이동하여 소화구(20)의 하부와 밀착되게 결합하여 담배 꽁초가 소화구(20) 내부에 머물면서 담뱃불이 소화될 수 있게 한다.
반대로, 상기 소화구(20) 내부에 있는 담배 꽁초를 수납통(10)으로 버리기 위해서 덮개(30)를 덮고 밀대(35)를 밀어넣으면 받침대(40)는 하향 이동하여 소화구(20)의 하부가 개방되게 한다.
한편, 상기 덮개(30) 하부에 별도로 소화대(50)를 탈부착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여기서는, 전방 하부에 담배 꽁초를 밀어내는 밀대(35)와 상기 소화구(20)의 하부를 개폐하는 받침대(40)가 일체로 형성되게 하여 결합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는, 운전자가 비흡연자일 경우 담배 재떨이가 아닌 다양한 용도의 편의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덮개(30) 일측면에 형성된 밀대(35)와 받침대(40)를 일체로 형성 결합시키는 소화대(50)를 구성하고 이를 결합, 분리가능 하도록 다양한 결합수단에 의해 고정가능 하도록 하였다.
즉,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소화대(50)는 재떨이 덮개(30) 일측면에 운전자의 의도에 따라 분리, 가능하도록 고정홀(52)이 형성되며, 이를 통상의 고정나사(54)로 고정된다.
그러나, 상기 고정나사(54)에 의해 덮개(30)에 고정되는 소화대(50)는 다양한 고정수단에 의해 결합(미도시)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담뱃불 소화구가 구비된 차량용 재떨이의 작동 상태를 간략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차량의 내부에서 담배를 다 피운 운전자나 탑승자가 담뱃불이 꺼지지 않은 채로 담배 꽁초를 버리기 위해서 훅크의 체결장치를 해제시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화살표 방향으로 덮개(30)를 수납통(10)으로부터 열려지게 한 다음, 담배 꽁초를 소화구(20) 내부로 밀어 넣는다.
이때는, 상기 받침대(40)가 소화구(20)의 하부를 막고 있는 상태가 된다.
담배 꽁초를 소화구(20) 내부로 밀어 넣어서 담뱃불이 꺼지게 되면, 덮개(30)를 닫아서 밀대(35)가 소화구(20)에 들어있는 담배 꽁초를 수납통(10)의 하부로 떨어지게 하면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된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담뱃불 소화구가 구비된 차량용 재떨이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담뱃불 소화구가 구비된 차량용 재떨이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담뱃불 소화구가 구비된 차량용 재떨이의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담뱃불 소화구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부분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략한 설명*
10: 수납통 20: 소화구
30: 덮개 35: 밀대
40: 받침대 50: 소화대
52: 고정홀 54: 고정나사

Claims (5)

  1. 담뱃불을 쉽게 끌 수 있게 하고 담배 꽁초를 용이하게 소거할 수 있게 하는 담뱃불 소화구가 구비된 차량용 재떨이에 있어서,
    상부가 개방되어서 담배 꽁초를 수납하는 수납통(10);
    상부에서 하부까지 연통되어 있으며 상기 수납통(10)의 상부 일측에 장착되는 소화구(20);
    전방 하부에 담배 꽁초를 밀어내는 밀대(35)를 구비하며, 상기 수납통(10)의 상부 일측에 힌지가능하게 결합되는 덮개(30); 및
    상기 덮개(30)와 동일하게 수납통(10)의 상부 일측에 힌지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수납통(10) 내부에 구속되어서 상기 소화구(20)의 하부를 개폐하는 받침대(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담뱃불 소화구가 구비된 차량용 재떨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화구(20) 및 밀대(35)는 동일한 갯수로 다수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담뱃불 소화구가 구비된 차량용 재떨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30) 및 받침대(40)는 서로 연동되어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담뱃불 소화구가 구비된 차량용 재떨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화구(20)는 상부가 하부보다 더 큰 반경으로 이루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담뱃불 소화구가 구비된 차량용 재떨이.
  5. 담뱃불을 쉽게 끌 수 있게 하고 담배 꽁초를 용이하게 소거할 수 있게 하는 담뱃불 소화구가 구비된 차량용 재떨이에 있어서,
    상부가 개방되어서 담배 꽁초를 수납하는 수납통(10);
    상부에서 하부까지 연통되어 있으며 상기 수납통(10)의 상부 일측에 장착되는 소화구(20);
    상기 수납통(10)의 상부 일측에 힌지가능하게 결합되는 덮개(30);
    전방 하부에 담배 꽁초를 밀어내는 밀대(35)와 상기 소화구(20)의 하부를 개폐하는 받침대(40)가 일체로 형성되게 하여서 상기 덮개(30) 하부에 탈부착가능하게 설치되는 소화대(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담뱃불 소화구가 구비된 차량용 재떨이.
KR1020070109387A 2007-10-30 2007-10-30 담뱃불 소화구가 구비된 차량용 재떨이 KR1009391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9387A KR100939176B1 (ko) 2007-10-30 2007-10-30 담뱃불 소화구가 구비된 차량용 재떨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9387A KR100939176B1 (ko) 2007-10-30 2007-10-30 담뱃불 소화구가 구비된 차량용 재떨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3695A KR20090043695A (ko) 2009-05-07
KR100939176B1 true KR100939176B1 (ko) 2010-01-28

Family

ID=408543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9387A KR100939176B1 (ko) 2007-10-30 2007-10-30 담뱃불 소화구가 구비된 차량용 재떨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917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5803U (ko) * 1996-12-13 1998-09-15 김영귀 자동차용 재떨이
JP2002034546A (ja) * 2000-07-26 2002-02-05 Gifu Service Kk 消火手段を備えた灰皿
JP2004017786A (ja) * 2002-06-14 2004-01-22 Car Mate Mfg Co Ltd タバコの火消し機能付灰皿
KR100791275B1 (ko) 2007-02-07 2008-01-04 최재한 소화 기능을 구비한 재떨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5803U (ko) * 1996-12-13 1998-09-15 김영귀 자동차용 재떨이
JP2002034546A (ja) * 2000-07-26 2002-02-05 Gifu Service Kk 消火手段を備えた灰皿
JP2004017786A (ja) * 2002-06-14 2004-01-22 Car Mate Mfg Co Ltd タバコの火消し機能付灰皿
KR100791275B1 (ko) 2007-02-07 2008-01-04 최재한 소화 기능을 구비한 재떨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3695A (ko) 2009-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43204A (en) Vehicle mounted arrangement for receiving smoking residues or the like
US20100051040A1 (en) Odor reducing ashtray
KR100939176B1 (ko) 담뱃불 소화구가 구비된 차량용 재떨이
US4473084A (en) Ashtray snuffer
US7380553B2 (en) Receptacle for extinguishing and storing cigarette butts
JP2008005767A (ja) 喫煙具
JP2019188832A (ja) 喫煙車両
KR200194160Y1 (ko) 자동 소화장치가 구비된 자동차용 재떨이
KR100189558B1 (ko) 자동차의 다용도 에쉬 트레이
US3406813A (en) Ash trays
KR100633133B1 (ko) 차량용 재떨이의 커버
JPS6118711Y2 (ko)
US3500835A (en) Automotive ash tray and snuffer
KR200397754Y1 (ko) 차량용 재떨이
JP3011476U (ja) 車両用灰皿
JP2020080734A (ja) 灰皿
KR100583498B1 (ko) 자동차용 애쉬트레이
KR200323534Y1 (ko) 분리형 차량용 애쉬트레이
JPS6138474Y2 (ko)
KR100323096B1 (ko) 자동차용 재떨이
KR20030085927A (ko) 개량형 담뱃재 트레이
JP2005212769A (ja) 自動車用灰皿
KR970000748Y1 (ko) 담배함과 재털이가 구비된 휴대체
KR200179760Y1 (ko) 재떨이를 구비한 자동차용 후사경
JPH01190527A (ja) 車両用換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