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8151B1 - 고압 가스용 레귤레이터 - Google Patents

고압 가스용 레귤레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8151B1
KR100938151B1 KR1020070111255A KR20070111255A KR100938151B1 KR 100938151 B1 KR100938151 B1 KR 100938151B1 KR 1020070111255 A KR1020070111255 A KR 1020070111255A KR 20070111255 A KR20070111255 A KR 20070111255A KR 100938151 B1 KR100938151 B1 KR 1009381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ston
pressure gas
spring
reducing chamber
pressure reduc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12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45435A (ko
Inventor
이준혁
조충희
임태호
김경남
임재규
Original Assignee
(주)모토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모토닉 filed Critical (주)모토닉
Priority to KR10200701112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8151B1/ko
Publication of KR200900454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54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81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81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7/00Apparatus or systems for feeding liquid fuel from storage containers to carburettors or fuel-injection apparatus; 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7/0011Constructional details; Manufacturing or assembly of elements of fuel systems; Material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1/00Apparatus for supplying engines with non-liquid fuels, e.g. gaseous fuels stored in liquid form
    • F02M21/02Apparatus for supplying engines with non-liquid fuels, e.g. gaseous fuels stored in liquid form for gaseous fuels
    • F02M21/0218Details on the gaseous fuel supply system, e.g. tanks, valves, pipes, pumps, rails, injectors or mixers
    • F02M21/023Valves; Pressure or flow regulators in the fuel supply or return system
    • F02M21/0239Pressure or flow regulator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1/00Apparatus for supplying engines with non-liquid fuels, e.g. gaseous fuels stored in liquid form
    • F02M21/02Apparatus for supplying engines with non-liquid fuels, e.g. gaseous fuels stored in liquid form for gaseous fuels
    • F02M21/0218Details on the gaseous fuel supply system, e.g. tanks, valves, pipes, pumps, rails, injectors or mixers
    • F02M21/023Valves; Pressure or flow regulators in the fuel supply or return system
    • F02M21/0242Shut-off valves; Check valves; Safety valves; Pressure relief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1/00Apparatus for supplying engines with non-liquid fuels, e.g. gaseous fuels stored in liquid form
    • F02M21/02Apparatus for supplying engines with non-liquid fuels, e.g. gaseous fuels stored in liquid form for gaseous fuels
    • F02M21/0218Details on the gaseous fuel supply system, e.g. tanks, valves, pipes, pumps, rails, injectors or mixers
    • F02M21/0245High pressure fuel supply systems; Rails; Pumps; Arrangement of valv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30Use of alternative fuels, e.g. biofu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ontrol Of Fluid Press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압의 가스가 바이패스 통로를 통해 제2감압실로 유입됨을 차단하고자 하는 것으로, 중간연결통로와 바이패스 통로가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 내에 형성된 중간연결통로를 통해 서로 연통되는 제1감압실과 제2감압실, 상기 제1감압실과 제2감압실에 각각 연통되게 형성된 유입구와 유출구, 상기 제1감압실 및 제2감압실에 각각 면하는 제1피스톤 및 제2피스톤, 상기 제1피스톤의 제1감압실 반대쪽에 설치된 제11스프링, 상기 제1피스톤의 제1감압실 쪽에 상기 유입구와 연통되게 형성된 오리피스 사이에 유동 간격을 조절하는 밸브축, 상기 제2피스톤의 제2감압실 반대쪽에 설치된 제21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밸브축, 제1피스톤과 제2피스톤이 상기 본체 내에서 왕복하면서 2단계로 감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유입구에 솔레노이드 밸브가 설치되어 필요에 따라 유입구를 차단시킬 수 있으며, 바이패스 통로를 통해 과도하게 높은 압력의 가스가 통과될 때 바이패스 통로를 체크밸브로 차단시키고, 제1감압실에서 감압된 저압의 가스가 개방된 체크밸브를 통해 이동되어 가스가 흐르는 유로를 크게 확보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레귤레이터, 가스, 본체, 체크밸브, 피스톤, 밸브

Description

고압 가스용 레귤레이터{Regulator for High-pressure Gas}
본 발명은 고압 가스용 레귤레이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고압으로 압축된 수소나 기체 등의 가스를 소정의 압력으로 감압 조정하는 고압 가스용 레귤레이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천연가스 및 기타 가스 자동차 등에는 고압으로 압축된 가스를 시스템이 필요로 하는 압력으로 감압 조정하기 위한 감압용 레귤레이터가 구비되어야 한다.
종래의 대표적인 고압 가스용 레귤레이터의 몇 가지 대표적인 예를 개략적으로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미국특허 제6,629,544호(종래기술 1)에는 정상 폐쇄식(normal close type) 레귤레이터가 개시되어 있다.
종래기술 1의 레귤레이터에 따르면, 고압의 입구압이 일반적인 다이아프램과 탄성체(코일 스프링)의 반력에 의해 일정한 압력으로 감압이 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탄성체의 반력은 스프링의 힘을 조정하는 별도의 기구에 의해 조정되게 된다. 이 경우, 요구되는 출구압 보다 높을 경우에는 오리피스부가 폐쇄되고, 낮을 경우에는 개방되어 압력이 보상되는 작용을 나타낸다.
또 미국특허 제5,890,512호(종래기술 2)에도 상기 종래기술 1과 유사한 정상 폐쇄식 레귤레이터가 개시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종래기술 1과 다른 점은 입구측에도 밸브 스템(stem)에 작용하는 스프링(탄성체)이 있고 온수 통로실이 별도로 구비되어 있다는 점이다.
또한 미국특허 제678,712호(종래기술 3)에는 역시 정상 폐쇄식의 레귤레이터가 개시되어 있는데, 여기서는 입구압에 대한 반력으로 작용하는 스프링으로 디스크 스프링이 채택되어 있고 감압부와 스프링실은 다이아프램 대신 축방향 운동이 가능한 미끄럼 부재(sliding part)로 이루어져 있다.
또 미국특허 제6,321,779호(종래기술 4)에는 정상 개방식(normal open type)의 레귤레이터의 구조가 개시되어 있으며, 여기서는 감압된 입구압이 출구측 상단면에 압력으로 작용하여 오리피스 밸브부를 폐쇄시킴으로써 일정압으로 감압하는 원리를 가지고 있다.
여기서, 입구압력이 높거나 낮더라도 이를 보상할 수 있는 탄성체 및 출구압을 일정압으로 유지케 하는 출구압 유지부가 구비되어 있으며 적용되는 탄성체로는 디스크 스프링을 채택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레귤레이터는 다아아프램 등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내구성이 약하고 디스크 스프링이나 미끄럼 부재 등이 채택되는 과정에서 조립구조가 복잡해지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종래에는 2단으로 감압하는 레귤레이터를 구성할 경우 내구성이 더욱 떨어지고 구조가 더욱 복잡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연료 탱크의 출구 쪽에 내장되는 형태로 설치되는 고압 가스용 레귤레이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내구성이 우수하고 구조가 간단하며 2단으로 감압시키는 고압 가스용 레귤레이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고압의 가스가 바이패스 통로를 통해 제2감압실로 유입됨을 차단하는 고압 가스용 레귤레이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고압 가스용 레귤레이터는 중간연결통로와 바이패스 통로가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 내에 형성된 중간연결통로를 통해 서로 연통되는 제1감압실과 제2감압실, 상기 제1감압실과 제2감압실에 각각 연통되게 형성된 유입구와 유출구, 상기 제1감압실 및 제2감압실에 각각 면하는 제1피스톤 및 제2피스톤, 상기 제1피스톤의 제1감압실 반대쪽에 설치된 제11스프링, 상기 제1피스톤의 제1감압실 쪽에 상기 유입구와 연통되게 형성된 오리피스 사이에 유동 간격을 조절하는 밸브축, 상기 제2피스톤의 제2감압실 반대쪽에 설치된 제21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밸브축, 제1피스톤과 제2피스톤이 상기 본체 내에서 왕복하면서 2단계로 감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유입구에 솔레노이드 밸브가 설치되어 필요에 따라 유입구를 차단시킬 수 있으며, 바이패스 통로를 통해 과도하게 높은 압력의 가스가 통과될 때 바이패스 통로를 체크밸브로 차단시키고, 제1감압실에서 감압된 저압의 가스가 개방된 체크밸브를 통해 이동되어 가스가 흐르는 유로를 크게 확보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고압 가스용 레귤레이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2는 본 발명의 고압 가스용 레귤레이터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3은 도1의 A-A선 단면도이고, 도4는 본 발명의 레귤레이터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5는 도4의 B-B선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고압 가스용 레귤레이터는 본체, 상기 본체 내에 형성된 중간연결통로를 통해 서로 연통되는 제1감압실과 제2감압실, 상기 제1감압실과 제2감압실에 각각 연통되게 형성된 유입구와 유출구, 상기 제1감압실 및 제2감압실에 각각 면하는 제1피스톤 및 제2피스톤, 상기 제1피스톤의 제1감압실 반대쪽에 설치된 제11스프링, 상기 제1피스톤의 제1감압실 쪽에 상기 유입구와 연통되게 형성된 오리피스 사이에 유동 간격을 조절하는 밸브축, 상기 제2피스톤의 제2감압실 반대쪽에 설치된 제21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밸브축, 제1피스톤과 제2피스톤이 상기 본체 내에서 왕복하면서 연료가 2단계로 감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압 가스용 레귤레이터는 본체(100), 상기 본체(100) 내에 형성된 중간연결통로(110)를 통해 연결되는 제1감압실(120) 및 제2감압실(130), 상기 제1감압실(120) 및 제2감압실(130)에 각각 연통되게 형성된 유입구(140) 및 유출구(150), 상기 제1감압실(120)과 제2감압실(130)에 각각 설치되는 제1피스톤(210) 및 제2피스톤(220), 상기 제1피스톤(210)에 설치되는 제11스프링(310), 상기 제1피스톤(210)의 제1감압실(120) 쪽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유입구(140)와 연통되게 형성된 오리피스(160) 사이에 유동간격(170)을 형성하는 밸브축(400), 상기 제2감압실(130)의 제2피스톤(220) 반대쪽에 설치되는 제21스프링(320)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상기 밸브축(400)과 제1피스톤(210) 및 제2피스톤(220)은 상기 본체(100) 내에서 왕복하면서 감압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피스톤(210)의 이동방향과 제2피스톤(220)의 이동방향은 수직·수평으로 되어 있어 레귤레이터의 전체적인 부피가 줄어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피스톤(210)의 제1감압실(120) 쪽에는 밸브축(400)이 설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서 상기 유입구(140) 및 밸브축(400)과 오리피스(160) 사이의 유동간격(170)을 통해 고압의 가스가 통과할 때 그 가압력에 의해 제1피스톤(210)이 밀리면서 제1감압실(120)에서는 그에 상당하는 만큼 압력이 강하한다.
다음 순간에는 상기 밸브축(400)이 원위치로 하강하므로 상기 밸브축(400)은 오리피스(160) 내에서 왕복운동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오리피스(160)의 하단에 접촉하는 밸브축(400) 부분에는 테이퍼가 형성되어 있고, 본체(100)와 밸브축(400)의 테이퍼부 사이에는 밸브시트(410)가 배치되어 있어 밸브축(400)의 미끄럼 왕복운동으로 인한 소음(가청 노이즈)이 최소화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밸브축(400)의 제1감압실(120) 반대쪽과 본체(100) 사이에는 제12스프링(330)이 설치되어 있어, 밸브축(400)이 왕복운동할 때 완충작용을 수행한다. 이 경우 도면에서는 상기 제11스프링(310)은 코일 스프링이 사용된다.
아울러 상기 본체(100) 내부에는 상기 제12스프링(330)과 밸브축(400)의 일부를 수용하며, 유입구(140)와 연통되는 임시저장공간(180)이 형성되고,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구(140)에는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 구(140)로부터 유입되는 고압의 가스가 과도한 압력으로 유입될 때 가스를 차단시키는 솔레노이드 밸브(500)가 설치된다.
또한 본체(100) 저면에는 제1본체캡(810)과 함께 솔레노이드 밸브(500)가 정상적으로 작동되지 않을 때 수동 조작에 의해 유입구(140) 통로를 차단시키는 수동밸브(510)가 설치되며, 제2감압실(130) 하면에는 제2감압실(130)의 압력을 감지하는 저압센서(520)가 설치된다.
상기 본체(100) 상면에는 제1감압실(120)의 압력을 감지하는 고압센서(530)가 설치되고, 고압센서(530) 일측에는 바이패스 통로(541)를 차단시키는 체크밸브(540)가 설치된다.
또 바이패스 통로(541)는 도4 및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감압실(120)에서 감압된 가스가 제2감압실(130)로 이동되도록 본체(100)에 형성되며, 상기 바이패스 통로(541) 소정 위치에는 체크밸브(540)가 설치된다.
이러한 체크밸브(540)는 제1감압실(120)에서 감압된 가스가 중간연결통로(110)를 통해 이동됨과 함께 바이패스 통로(541)를 통해 제2감압실(130)로 이동되게 형성되며, 바이패스 통로(541)는 과도한 고압의 가스가 제2감압실(130)로 이동됨을 차단시키는 체크밸브(540)가 설치된다.
상기 체크밸브(540)는 제1감압실(120)의 출구 쪽에 설치되며, 체크밸브(540) 일측에는 체크밸브(540)가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탄성체(542)가 설치된다.
아울러 본체(100)에는 탱크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570)가 설치되고, 연료 탱크에 연료를 충전할 때 연료가 역류되지 않도록 솔레노이드 밸브(500) 일측에 체크밸브(도면상 미도시됨)가 결합되는 인렛구멍(575)이 형성된다.
또 도1 및 도2에서와 같이, 상기 임시저장공간(180) 하부에는 밀봉용 제1본체캡(810)이 결합되고, 제1본체캡(810) 일측에는 감압밸브인 PRV밸브(Pressure Relief Valve, 543) 및 안전밸브인 PRD밸브(Pressure Relief Device, 544)가 설치된다.
이러한 PRV밸브(543)는 감압된 연료가 적정 압력 보다 높은 압력으로 흐르게 되면 연료를 외부로 배출시켜 연료 압력을 감압시키고, PRD밸브(544)는 화재 발생 시 차량이 보호되도록 연료를 배출시키게 된다.
또한 실링용 제2본체캡(820)에는 제2플러그(821)와 함께 탱크 내의 잔류 연료를 제거하는 블리드 밸브(560)가 설치되며, 상기 PRV밸브(543)와 PRD밸브(544)와 연결되는 PRV/PRD 벤트 포트(Vent Port, 561)가 설치되어 상기 PRV밸브(543)와 PRD밸브(544)로부터 연료가 PRV/PRD 벤트 포트(561)를 통해 배출된다.
이에 따라 유입구(140)를 통해 유입된 고압의 가스는 상기 임시저장공간(180)에 일시 저장된 후 오리피스(160)와 밸브축(400)의 외면 사이에 형성된 유동간격(170)을 통해 제1감압실(120)로 들어간다.
더욱이 상기 임시저장공간(180)과 유입구(140) 사이에는 필터(600)가 배치되어 수소 및 기체 등의 가스를 정화하는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오리피스 및 미세한 구멍의 막힘을 사전에 방지하는 것이 좋다.
또한 도면에서 제12스프링(330)은 상기 제1본체캡(810)과 밸브축(400)의 단부 사이에 설치된다. 그러나, 밸브축(400)의 단부와 본체(100)에 직접 연결될 수도 있다.
아울러 상기 제1피스톤(210)에는 제1감압실(120)의 바닥을 향해 연장되는 스토퍼(190)가 형성되어 있어 오리피스(160)의 하단 개구가 지나치게 개방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좋다.
한편 상기 제2피스톤(220)의 제21스프링(320) 반대쪽에는 본체(100)와의 사이에 제22스프링(340)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22스프링(340)은 제2피스톤(220)을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도면에서 상기 제22스프링(340)은 디스크 스프링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코일 스프링이 사용되어도 무방하다.
여기서 상기 제2피스톤(220) 내부에는 상기 제2감압실(120) 및 유출구(150)와 연통되는 내부유동통로(221)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2차 감압된 가스가 상기 내부유동통로(221)를 통해서 유출구(150)로 배출된다.
또한 상기 제11스프링(310)에는 제1조정나사(812)가 연결되어 있어 제2감압실(130)에서 원하는 압력으로 조절하게 되어 있고, 제21스프링(320)에도 제2조정나사(822)가 연결되어 있어 1차 감압된 압력을 원하는 압력으로 조절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면에서 상기 제1조정나사(812)는 상부에 배치된 제3본체캡(830)에 설치되어 있으나, 본체(100)에 직접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제2조정나사(822)는 실링용 제2본체캡(820)에 설치되어 있으나, 본체(100)에 직접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2본체캡(820)에는 제2조정나사(822)의 후단에 제2플러그(821)가 설치되어 있어 실링 역할을 수행한다.
아울러 상기 제21스프링(320)과 제2조정나사(822) 사이에는 조정판(823)이 설치되어 있어 제2조정나사(822)에 의한 압력조절을 원활하게 한다.
기술되지 않은 구성부호 900은 실링용 오링이다. 특히 상기 제1피스톤(210)의 둘레에는 2중으로 오링(900)(900)이 설치되어 있어 한층 확실한 슬라이딩 및 기밀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고압 가스용 레귤레이터의 작용을 설명한다.
압축된 수소나 기체 등 고압의 가스가 유입구(140)로부터 유입되면 필터(600)를 통해 일단 정화가 이루어진다.
다음, 정화된 가스는 임시저장공간(180)과 유입구(140)를 통해 유입된다. 이에 따라 고압의 가스는 상기 임시저장공간(180)에서 일시 머무르고 곧이어 오리피스(160)를 통해 제1감압실(120)로 유입된다.
이때 오리피스(160)를 통해 유입되는 가스의 압력에 의해 제11스프링(310)의 탄성력을 이기고 제1피스톤(210)과 밸브축(400)을 밀어올림으로써 1차 감압이 이루어진다. 이렇게 감압된 가스는 본체(100) 내부에 형성된 중간연결통로(110) 및 바이패스 통로(541)를 통해 제2감압실(130)로 향한다.
한편 제1피스톤(210)은 제11스프링(310)의 탄성력에 의해 다시 원위치로 하강하게 된다. 이 순간 상기 밸브축(400) 하단에 설치된 제12스프링(330)에 의해 완충되면서 소음이 감소된다. 여기서 상기 제11스프링(310)이 수용되는 스프링실은 대기압이 작용하도록 연결구멍(미도시)이 연결되어 있어 스프링실에서는 자체 스프 링력에 의한 반발력만이 작용하게 된다.
즉, 오리피스(160)를 통해 밸브축(400)이 미끄럼 왕복운동을 하면서 가스의 1차 감압이 이루어진다.
여기서 1차 감압의 조정은 제11스프링(310)의 일단부에 설치된 제1조정나사(812)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1차 감압된 가스는 중간연결통로(110) 및 바이패스 통로(541)를 통해 제2피스톤(220)에 압력을 가한다. 이에 따라 1차 감압된 가스 압력이 제21스프링(320)의 탄성력을 이기고 제2피스톤(220)을 밀어붙임에 따라 가스의 2차 감압이 이루어진다.
2차 감압된 가스는 제2피스톤(220)과 본체(100) 사이에 형성된 틈을 지나 상기 제2피스톤(220)의 내부에 형성된 내부유동통로(221)를 통해 유출구(150)를 통해 시스템에 사용 가능한 소정의 압력으로 감압되어 유출된다.
이때 2차 감압된 가스의 일부는 유출되지 않고 제21스프링(320)이 수용된 공간으로 이동한다.
가스가 유출되면 다시 제21스프링(320)의 탄성력에 의해 제2피스톤(220)이 원위치로 이동하여 제2피스톤(220)의 단부가 상기 내부유동통로(221)를 폐쇄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제22스프링(340)으로 인한 제2피스톤(220)의 지지 및 완충작용이 이루어진다. 상기 제22스프링(340)이 수용되는 스프링실은 대기압이 작용하도록 연결구멍(미도시)이 연결되어 있어 스프링실에서는 자체 스프링력에 의한 반발력만이 작용하게 된다.
여기서, 2차 감압의 조정은 제21스프링(320)의 일단부에 설치된 제2조정나사(822)에 의해 이루어진다.
한편 밸브축(400)에 설치된 오링(900)은 장기간 사용됨에 따라 오링(900)이 마모되고, 이에 따라 밸브축(400) 승강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경우 제1감압실(120)에서 높은 압력의 가스가 제2감압실(130)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높은 압력의 가스가 바이패스 통로(541)로 이동되면 바이패스 통로(541)에 설치된 체크밸브(540)는 바이패스 통로(541)를 차단하게 된다. 이러한 체크밸브(540) 작동은 일측에 설치된 탄성체(542)의 탄성력 보다 강한 가스 압력에 의하여 탄성체(542) 쪽으로 이동되어 바이패스 통로(541)를 차단하게 된다.
본 발명의 레귤레이터는 과도한 압력의 가스를 감압시켜 적정 압력의 가스가 공급되게 하며, 바이패스 통로를 통해 높은 압력의 가스를 차단시키는 데에도 사용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고압 가스용 레귤레이터를 도시한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고압 가스용 레귤레이터를 도시한 사시도.
도3은 도1의 A-A선 단면도.
도4는 본 발명의 레귤레이터를 도시한 사시도.
도5는 도4의 B-B선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본체 110: 중간연결통로
120: 제1감압실 130: 제2감압실
140: 유입구 150: 유출구
160: 오리피스 170: 유동간격
180: 임시저장공간 190: 스토퍼
210: 제1피스톤 220: 제2피스톤
221: 내부유동통로 310: 제11스프링
320: 제21스프링 330: 제12스프링
340: 제22스프링 400: 밸브축
410: 밸브시트 500: 솔레노이드밸브
510: 수동밸브 520: 저압센서
530: 고압센서 540: 체크밸브
541: 바이패스 통로 542: 탄성체
543: PRV밸브 544: PRD밸브
560: 블리드밸브 561: PRV/PRD 벤트 포트
600: 필터 810: 밀봉용 제1본체캡
812: 제1조정나사 820: 실링용 제2본체캡
821: 제2플러그 822: 제2조정나사
823: 조정판 830: 제1본체캡
900: 실링용 오링

Claims (22)

  1. 중간연결통로(110)와 바이패스 통로(541)가 형성된 본체(100),
    상기 본체(100) 내에 형성된 중간연결통로(110) 및 바이패스 통로(541)를 통해 서로 연통되는 제1감압실(120)과 제2감압실(130),
    상기 제1감압실(120)과 상기 제2감압실(130)에 각각 연통되게 형성된 유입구(140)와 유출구(150),
    상기 제1감압실(120) 및 상기 제2감압실(130)에 각각 면하는 제1피스톤(210) 및 제2피스톤(220),
    상기 제1피스톤(210)의 상기 제1감압실(120) 반대쪽에 설치된 제11스프링(310),
    상기 제1피스톤(210)의 상기 제1감압실(120) 쪽에 상기 유입구(140)와 연통되게 형성된 오리피스(160) 사이의 유동 간격(170)을 조절하는 밸브축(400),
    상기 제2피스톤(220)의 상기 제2감압실(130) 반대쪽에 설치된 제21스프링(32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밸브축(400), 상기 제1피스톤(210)과 상기 제2피스톤(220)이 상기 본체(100) 내에서 왕복하면서 2단계로 감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 가스용 레귤레이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 통로(541)에는 상기 바이패스 통로(541)를 차단시키는 체크밸브(54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 가스용 레귤레이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체크밸브(540)는 그 일측에 탄성체(542)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 가스용 레귤레이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140)에는 상기 유입구(140)를 차단하는 솔레노이드 밸브(50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 가스용 레귤레이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140)에는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500)를 수동으로 조작하는 수동밸브(510)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 가스용 레귤레이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0)에는 탱크 내의 잔류 연료를 제거하는 블리드 밸브(56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 가스용 레귤레이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0)에는 PRV밸브(543), PRD밸브(544)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 가스용 레귤레이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감압실(120)에는 고압의 가스 압력을 감지하는 고압센서(530)가 구비되고, 상기 제2감압실(130)에는 저압의 가스 압력을 감지하는 저압센서(52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 가스용 레귤레이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축(400)의 상기 제1감압실(120) 반대쪽과 상기 본체(100) 사이에는 제12스프링(330)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 가스용 레귤레이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피스톤(220)의 상기 제21스프링(320) 반대쪽에는 상기 본체(100)와의 사이에 제22스프링(340)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 가스용 레귤레이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축(400)의 상기 제1감압실(120) 반대쪽과 상기 본체 사이에는 제12스프링(330)이 설치되고, 상기 제2피스톤(220)의 상기 제21스프링(320) 반대쪽에는 상기 본체(100)와의 사이에 제22스프링(340)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 가스용 레귤레이터.
  12. 제9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피스톤(220) 내부는 상기 제2감압실(120) 및 상기 유출구(150)와 연통되는 내부유동통로(221)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 가스용 레귤레이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1스프링(310)과 상기 제21스프링(320)은 제1,2조정나사(812,822)에 의해 초기 반력이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 가스용 레귤레이터.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0) 내부에는 제12스프링(330)과 상기 밸브축(400)의 일부를 수용하며, 상기 유입구(140)와 연통되는 임시저장공간(18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 가스용 레귤레이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임시저장공간(180)과 상기 유입구(140) 사이에는 필터(600)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 가스용 레귤레이터.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피스톤(210)에는 상기 제1감압실(120)의 바닥을 향해 연장되는 스토퍼(19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 가스용 레귤레이터.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1스프링(310)은 코일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 가스용 레귤레이터.
  18.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2스프링(340)은 디스크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 가스용 레귤레이터.
  19.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피스톤(210)의 이동 방향과 상기 제2피스톤(220)의 이동 방향은 수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 가스용 레귤레이터.
  20.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임시저장공간(180)은 상기 본체(100)에 설치된 제1본체캡(810)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12스프링(330)은 상기 제1본체캡(810)과 상기 밸브축(400)의 단부 사이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 가스용 레귤레이터.
  21.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2조정나사(812,822)는 제3,제2본체캡(830,820)의 내부에 개재되어 상기 본체(100)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 가스용 레귤레이터.
  22. 제9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피스톤(210) 둘레에는 2중으로 오링(900)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 가스용 레귤레이터.
KR1020070111255A 2007-11-02 2007-11-02 고압 가스용 레귤레이터 KR1009381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1255A KR100938151B1 (ko) 2007-11-02 2007-11-02 고압 가스용 레귤레이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1255A KR100938151B1 (ko) 2007-11-02 2007-11-02 고압 가스용 레귤레이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5435A KR20090045435A (ko) 2009-05-08
KR100938151B1 true KR100938151B1 (ko) 2010-01-22

Family

ID=408555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1255A KR100938151B1 (ko) 2007-11-02 2007-11-02 고압 가스용 레귤레이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8151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654128A1 (en) 2018-11-15 2020-05-20 Motonic Corporation Pressure control method for high-pressure regulator to prevent internal leak, and high-pressure shut-off valve
KR20200056866A (ko) 2018-11-15 2020-05-25 (주)모토닉 고압 레귤레이터용 탑 피드 방식이 적용되는 고압 차단밸브
KR102229525B1 (ko) * 2019-10-11 2021-03-19 영도산업 주식회사 감압 기능을 구비한 유체 제어용 밸브
KR102388553B1 (ko) * 2021-11-02 2022-04-21 주식회사 케이디펜스 압력 레귤레이터
KR102388554B1 (ko) * 2021-11-02 2022-04-22 주식회사 케이디펜스 압력 레귤레이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8906B1 (ko) * 2009-01-28 2011-01-17 (주)모토닉 내장형 레귤레이터
KR101147940B1 (ko) * 2009-07-30 2012-05-24 주식회사 엑시언 고압가스용 솔레노이드 밸브
KR101045094B1 (ko) * 2009-09-01 2011-06-29 주식회사 엑시언 고압기체용 2단 감압 조정장치
KR101407015B1 (ko) * 2012-06-04 2014-06-12 영도산업 주식회사 유체 제어용 밸브 어셈블리
KR101315724B1 (ko) * 2012-10-16 2013-10-08 대원강업주식회사 에어스프링의 잔존압 제어용 레귤레이터
KR102141895B1 (ko) * 2017-12-19 2020-08-07 (주)모토닉 수소용 2단감압 전자식 레귤레이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80131A (ja) * 1994-03-31 1995-10-27 Daido Kikai Seisakusho:Kk 電磁比例圧力制御弁
JPH11327655A (ja) 1998-05-08 1999-11-26 Yutaka:Kk 二段減圧式圧力調整器
KR20060127482A (ko) * 2005-06-07 2006-12-13 (주)모토닉 2단계 가스 감압용 레귤레이터
KR100792541B1 (ko) 2006-12-13 2008-01-09 (주)모토닉 고압 가스용 레귤레이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80131A (ja) * 1994-03-31 1995-10-27 Daido Kikai Seisakusho:Kk 電磁比例圧力制御弁
JPH11327655A (ja) 1998-05-08 1999-11-26 Yutaka:Kk 二段減圧式圧力調整器
KR20060127482A (ko) * 2005-06-07 2006-12-13 (주)모토닉 2단계 가스 감압용 레귤레이터
KR100792541B1 (ko) 2006-12-13 2008-01-09 (주)모토닉 고압 가스용 레귤레이터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654128A1 (en) 2018-11-15 2020-05-20 Motonic Corporation Pressure control method for high-pressure regulator to prevent internal leak, and high-pressure shut-off valve
KR20200056866A (ko) 2018-11-15 2020-05-25 (주)모토닉 고압 레귤레이터용 탑 피드 방식이 적용되는 고압 차단밸브
US10962994B2 (en) 2018-11-15 2021-03-30 Motonic Corporation Pressure control method for high-pressure regulator to prevent internal leak, and high-pressure shut-off valve
KR102229525B1 (ko) * 2019-10-11 2021-03-19 영도산업 주식회사 감압 기능을 구비한 유체 제어용 밸브
WO2021071173A1 (ko) * 2019-10-11 2021-04-15 영도산업 주식회사 감압 기능을 구비한 유체 제어용 밸브
KR102388553B1 (ko) * 2021-11-02 2022-04-21 주식회사 케이디펜스 압력 레귤레이터
KR102388554B1 (ko) * 2021-11-02 2022-04-22 주식회사 케이디펜스 압력 레귤레이터
WO2023080438A1 (ko) * 2021-11-02 2023-05-11 주식회사 케이디펜스 압력 레귤레이터
WO2023080437A1 (ko) * 2021-11-02 2023-05-11 주식회사 케이디펜스 압력 레귤레이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5435A (ko) 2009-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8151B1 (ko) 고압 가스용 레귤레이터
KR101679898B1 (ko) 평형 밸브 카트리지
KR100792541B1 (ko) 고압 가스용 레귤레이터
AU2012259426B2 (en) Back pressure regulating valve with valve cartridge
JP2004502229A (ja) ガス流調整システム
KR20110088560A (ko) 압력 평형 방식으로 배열된 폐쇄 요소를 나타내는 카트리지 밸브 인서트를 구비한 유압 밸브 조립체
EP3362718B1 (en) Control member for a fluid control device
US6167908B1 (en) Valve assembly for an apparatus under pressure
KR20090128597A (ko) 레귤레이터
AU2014291641B2 (en) Encapsulated valve with lever action
JP4575141B2 (ja) 高圧ガス用減圧弁
US9128492B2 (en) Regulators having an isolated loading chamber and blowout prevention apparatus
US8336575B2 (en) Fluid pressure control device
US11106227B2 (en) Pressure reducing valve with an integral venturi
EP2708970B1 (en) Pressure regulator
WO2017194429A1 (en) Compressed gas regulator with integrated pressure relief valve
KR101235812B1 (ko) 고압기체용 감압 조정장치
KR102165550B1 (ko) 고압 레귤레이터의 감압 샤프트 기구
KR101008906B1 (ko) 내장형 레귤레이터
JP3561198B2 (ja) 圧力調整器
KR20100035781A (ko) 블리드 실이 설치된 감압밸브
KR20220144846A (ko) 출구 과압 안전 기능을 구비한 압력 조절기
JP4216788B2 (ja) 過充填防止装置
SU347492A1 (ru) РЕГУЛЯТОР ДАВЛЕНИЯ1 :- -- v^U.-UiJHAfl &#39; • Т&#39;Т л i vTyr •I ;--, I -ii i i;j- j i.,.4!irj iCI БИБЛИОТЕКА
KR860001379Y1 (ko) 파일럿 작동 릴리프 밸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4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