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7827B1 - 물탱크용 소독제 투입장치 - Google Patents
물탱크용 소독제 투입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937827B1 KR100937827B1 KR1020090038703A KR20090038703A KR100937827B1 KR 100937827 B1 KR100937827 B1 KR 100937827B1 KR 1020090038703 A KR1020090038703 A KR 1020090038703A KR 20090038703 A KR20090038703 A KR 20090038703A KR 100937827 B1 KR100937827 B1 KR 10093782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isinfectant
- main body
- container
- water tank
- wat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addition or application of a germicide or by oligodynamic treatment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02F2201/005—Valv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04—Disinfec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탱크용 소독제 투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장시간 사용하여도 막힘없이 셋팅된 일정량의 소독제를 지속적으로 투입할 수 있어 소독효율을 크게 향상시키고, 물탱크에 담수된 물의 수위가 낮아지면 자동으로 소독제의 투입이 중단되어 과다 농도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냄새 등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음과 아울러 유지관리 또한 용이한 물탱크용 소독제 투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본체 내부에서 용해된 소독제를 배출하는 배출밸브가 본체의 상부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막힘없이 지속적으로 소독처리를 할 수 있어 소독효율이 높음과 동시에 물탱크 내부의 수위가 낮아지면 얼마 지나지 않아 자동으로 소독제의 배출이 중단되므로 과다 농도로 인한 문제점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으며, 클로르 칼키가 저장된 약품통 자체를 용기에 직접 결합시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유지관리가 용이한 효과를 나타낸다.
클로르 칼키, 약품통, 용기, 배출밸브, 무게추
Description
본 발명은 물탱크용 소독제 투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장시간 사용하여도 막힘없이 셋팅된 일정량의 소독제를 지속적으로 투입할 수 있어 소독효율을 크게 향상시키고, 물탱크에 담수된 물의 수위가 낮아지면 자동으로 소독제의 투입이 중단되어 과다 농도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냄새 등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음과 아울러 유지관리 또한 용이한 물탱크용 소독제 투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수도나 소규모 급수 시설의 물탱크는 각종 세균들에 노출되어 있으므로 이 세균들을 사멸시키도록 소독처리를 하게 된다. 이러한 소독처리는 염소계열의 염소소제를 사용하게 되는데, 일반 상수도나 소규모 급수시설의 물탱크에 대한 소독처리는 통상 클로르 칼키라는 소독제를 사용하게 된다.
종래에는 상기 클로르 칼키를 이용해 소독처리를 할 때 별다른 기준 없이 관리자가 물탱크 내부에 고상의 클로르 칼키를 수개씩 투입해 소독처리를 하였다. 이러한 소독방법에 의하면 별다른 기준이 없어 과도하게 투입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취수원으로 공급받는 사용자들에게 불쾌감을 안겨주거나 오히려 인체에 해가 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되었다. 뿐만 아니라, 고상의 클로르 칼키가 그대로 투입되면 자체에 함유된 석회 성분은 용해되지 않고 그대로 취수원으로 공급되므로써 건강을 해치는 또 다른 위험요소가 되었다.
그래서, 근래에는 상기한 문제를 극복하여 일정량을 투입하되 석회 성분의 공급을 차단할 수 있도록 고상의 클로르 칼키를 액상으로 용해시켜서 투입할 수 있도록 된 소독제 투입장치가 보급되고 있다. 즉, 대한민국특허등록번호 제10-0624397호가 그 일예이다.
이에 의하면, 고상의 클로르 칼키를 액상으로 용해시킨 뒤 배출밸브를 통해서 일정량의 소독제가 투입될 수 있도록 된 구조이고, 이와 함께 클로르 칼키가 용해될 때 발생되는 석회성분은 부직포를 이용해 걸러주도록 된 구조이다.
물론, 이 구조에 의하면 액상의 클로르 칼키를 일정량씩 투입할 수 있으므로 과다 농도를 방지할 수 있어 사용의 편의성이 우수하다. 그러나, 물속에 오랫동안 침지되어 있는 부직포를 장시간 사용하다 보면, 부직포 자체에 형성된 미세공들이 느슨해지는 경우가 발생된다. 그러면, 이 미세공을 통해 석회성분이 배출밸브 쪽으로 이동해 배출밸브를 막음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되었다.
그러면, 석회성분에 의해서 배출밸브가 막히게 되면 더 이상 소독제를 물탱크 내부로 투입하지 않게 되므로 소독 기능을 상실하게 됨은 물론이다. 결국 이는 지속적인 유지관리가 필요하게 되는 단점을 지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장시간 사용하여도 막힘없이 셋팅된 일정량의 소독제를 지속적으로 투입할 수 있어 소독효율을 크게 향상시키고, 물탱크에 담수된 물의 수위가 낮아지면 자동으로 소독제의 투입이 중단되어 과다 농도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냄새 등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음과 아울러 유지관리 또한 용이한 물탱크용 소독제 투입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물탱크용 소독제 투입장치에 있어서, 상측으로 개방된 형상을 가지며, 상부 외주연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출공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개방된 상면을 밀폐하는 것으로 상면에는 물이 유입되는 유입공이 형성된 뚜껑으로 이루어진 케이싱; 상기 본체 내부로 삽입되는 것으로, 고상의 소독제를 직접 투입하거나 소독제가 저장된 약품통 자체를 직접 삽입시킬 수 있도록 상측으로 개방된 공간부가 형성된 용기; 상기 본체 혹은 상기 용기의 하부에 구비되어서 케이싱이 물속에 침지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무게추; 및 상기 본체의 배출공에 결합되어 배출량을 조절하는 배출밸브를 포함하되, 상기 배출밸브가 상기 본체의 상측에 구비됨으로써 고상의 소독제의 용해시 발생되는 석회성분의 침전에 따른 막힘 현상을 방지하여 상시 지속적인 소독처리가 가능하도록 하고, 대용량의 물탱크에 설치될 경우에는 더 많은 소독제를 한 번에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용기를 격판에 의해서 상/하층부로 구획된 복층으로 구성을 하여 각 층에 소독제를 투입할 수 있도록 하되 상기 하층부의 외주연에는 소독제나 소독제가 저장된 약품통을 측면에서 투입할 수 있도록 절개부를 형성하고, 상기 본체는 상기 용기가 삽입될 수 있는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하되 상기 용기의 상/하층부에 각각 저장된 소독제가 용해되어 각각 배출될 수 있도록 용기의 각 층의 상측 부분에 해당 곳에 배출밸브를 각각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본체 내부에서 용해된 소독제를 배출하는 배출밸브가 본체의 상부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막힘없이 지속적으로 소독처리를 할 수 있어 소독효율이 높음과 동시에 물탱크 내부의 수위가 낮아지면 얼마 지나지 않아 자동으로 소독제의 배출이 중단되므로 과다 농도로 인한 문제점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으며, 소독제가 저장된 약품통 자체를 용기에 직접 결합시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유지관리가 용이한 효과를 나타낸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물탱크용 소독제 투입장치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서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 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일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물탱크용 소독제 투입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물탱크용 소독제 투입장치의 분리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도 2의 종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로 하면, 본 발명의 물탱크용 소독제 투입장치는 크게 케이싱(100), 용기(200), 무게추(300) 및 배출밸브(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케이싱(100)은 본체(110)와 상기 본체(110) 상면을 밀폐하도록 나사 결합되는 뚜껑(120)으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본체(110)는 물을 저장할 수 있도록 속이 빈 형상이되 상측 방향으로 개방된 형상을 가지며, 상부 외주연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 전후좌우측에 각각 배출공(112)이 형성된 구성을 가진다. 그리고, 상기 뚜껑(120)은 그 상면에 물을 상기 본체(110) 내부로 유입시킬 수 있도록 유입공(122)이 형성되며, 양 측면에는 상기 케이싱(100)을 설치하기 위한 로프(R)(여기서는 미도시)가 체결되는 체결공(126)이 형성된 지지대(124)가 각각 구비되어 있다.
이때, 상기 지지대(124)는 로프(R)를 체결하기 위한 체결공(126)을 가지고 있어 상기 케이싱(100)의 설치시 유리한 장점도 있지만 뚜껑(120)을 상기 본체(110)로부터 분리하거나 결합되는 등의 동작시에도 이를 파지한 후 돌리게 되면 더 용이할 것이므로 다용도로 사용된다. 그러나, 로프(R)를 본체(110)에 직접 묶어서도 케이싱(100)을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이 지지대(124)와 체결공(126)의 구성이 반드시 필요한 구성은 아님을 인지하여야 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110)는 염소 등의 소독제에 의한 부식을 방지할 수 있도록 아크릴 재질 등의 합성수지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용기(200)는 상기 본체(110) 내부로 삽입되는 것으로, 고상의 클로르 칼키를 직접 투입하거나 클로르 칼키가 저장된 약품통(600)(여기서는 미도시) 자체를 직접 삽입시킬 수 있도록 상측으로 개방된 공간부(210)가 형성된다.
상기 클로르 칼키는 소독제의 일예에 지나지 않으며, 클로르 칼키 외에도 물탱크용으로 사용되는 소독제는 무엇이든 상관없다.
이때, 상기 용기(200)의 높이는 낮은 것 보다 높은 것이 유리하나 상기 용기(200)를 본체(110) 내부에 삽입시켰을 때 그 상면이 상기 본체(110)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배출공(112)을 막음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무게추(300)는 상기 본체(110) 혹은 상기 용기(200)의 하부에 구비되어서 케이싱(100)이 물속에 침지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으로, 바람 직하게 상기 용기(200)의 하면에 구비되어서 본체(110)로부터 분리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것이 장치의 이동이나 유지관리에 있어 본체(110) 자체의 무게를 줄일 수 있으므로 유리할 것이고, 금속성분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지막으로, 상기 배출밸브(400)는 상기 본체(110)의 배출공(112)에 결합되어 배출량을 조절하는 것으로, 이의 구성은 하기에서 살펴보기로 한다.
한편, 상기 배출밸브(400)는 상기 본체(110)의 배출공(112) 이외에도 미도시 하였으나 상기 뚜껑(120)에 형성된 유입공(122)에도 설치되어서 유입되는 물의 양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현할 수 있음을 인지하여야 된다.
도 4의 "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배출밸브의 사시도이고, "나"는 배출밸브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로 하면, 본 발명의 배출밸브(400)는 속이 비어 있되 상측으로 개방되고, 그 좌측에는 본체(110)의 배출공(112)에 결합되는 유입부(412)가 형성되고, 그 우측에는 상기 유입부(412)로 유입된 액체를 외부로 방출하는 배출부(414)가 형성된 몸체(410) 및 상기 몸체(410)의 상측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되 좌우측으로 관통된 관통공(422)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상면에는 손잡이부(424)가 형성되어 있는 회전체(4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렇게 구성된 배출밸브(400)는 상기 회전체(420)를 회전시켜서 회전체(420)에 형성되어 있는 관통공(422)과 몸체(410)에 형성되어 있는 유입부(412) 및 배출 부(414)가 서로 연통되게끔 하면 액체가 유입부(412)로부터 관통공(422)을 통해 배출부(414)로 이송 배출되는 것이고, 관통공(422)이 유입부(412) 및 배출부(414)와 어긋나면 액체의 이송을 차단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관통공(422)이 유입부(412)와 배출부(414)를 연통시키는 정도 즉, 개방시키는 정도에 따라 이송량을 조절할 수 있으며, 이 배출밸브(400)는 여러 산업분야에서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으므로 더욱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배출밸브(400)의 구성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이미 공지되어 있는 배출밸브라면 어떤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이제, 하기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물탱크용 소독제 투입장치의 사용 상태 및 작동관계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도 5의 "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물탱크용 소독제 투입장치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개략적 종단면도이고, "나"는 물탱크용 소독제의 작동 관계를 나타낸 "가"의 A부분 확대도이다.
먼저, "가"를 참조로 하면, 물탱크(500)의 내부에는 물이 담수되어 있으며, 그 물 속에는 본 발명의 물탱크용 소독제 투입장치가 침지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즉, 뚜껑(120)의 측면에 구비된 지지대(124)에 형성된 체결공(126)에 체결된 로프(R)를 매개로 물탱크(500)의 덮개(510) 하면에 고정 설치되어 있다.
이렇게 설치되어 있는 물탱크용 소독제 투입장치를 살펴보면, 뚜껑(120)이 결합되어 있는 본체(110) 내부에는 하면에 무게추(300)가 구비된 용기(200)가 삽입되어 있고, 그 용기(200) 내부에 형성된 공간부(210)에는 내부에 소독제인 클로르 칼키(610)가 저장된 약품통(600) 자체가 끼움되어 있다. 물론, 상기 약품통(600)의 상면은 뚜껑이 분리돼 개방된 상태이다. 그리고, 상기 본체(110)의 상부 외주연에 구비된 배출밸브(400)는 개방되어 있는 상태로 셋팅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용기(200) 내부에는 약품통(600) 자체를 삽입시켜 놓았지만 약품통(600)에서 클로르 칼키(610)를 분리해 상기 용기(200)의 공간부(210)에 직접 투입시켜서 저장할 수 있다. 그러나, 클로르 칼키(610)의 교체시 이를 직접 만지지 않기 위해서는 약품통(600) 자체를 용기(200)에 직접 결합하는 방식을 선택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본체(110)는 무게추(300)에 의해서 물속에 안정적인 침지 상태를 장시간 유지하게 될 것은 너무나 당연하다.
계속해서, "나"를 참조로 하면, 상기와 같이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본체(110)는 물속에 침지되어 있으므로 뚜껑(120)의 상면에 형성된 유입공(122)으로 물이 유입되면서 순식간에 본체(110) 내부와 약품통(600) 내부에 물이 가득 차게 될 것이다. 물론, 본체(110)의 상부 외주연에 구비된 배출밸브(400)로도 일부 물이 유입될 것이나 이 배출밸브(400)보다는 유입공(122)으로 더 많은 물이 본체(110) 내부로 유입될 것이다. 그러면, 이 물로 인해 고상의 클로르 칼키(610)는 액상으로 용해될 것이고, 용해된 액상의 소독제는 배출밸브(400)를 통해 외부로 자 연스럽게 배출되어 확산되면서 물탱크(500) 내부에 담수된 물 전체를 소독처리하게 될 것이다.
이때, 상기 물탱크(500) 내부에 담수된 물은 완전 정지된 상태가 아니라 물탱크(500) 자체가 가지는 배출구(530) 쪽으로 물이 배출 작용되므로 유입구(520) 쪽에서 배출구(530) 쪽으로 이동되는 흐름을 가진다. 이 물의 흐름에 의해 배출밸브(400)를 통해 배출되는 소독제는 자연스럽게 확산되면서 소독처리를 수행하게 된다.
장시간 사용하다 보면, 고상의 클로르 칼키(610)는 모두 액상으로 용해되어 사라지게 되며, 곧 관리자는 소독제를 교체해야 될 것이다. 그러면, 관리자는 상기 케이싱(100)을 물탱크(500) 외부로 꺼낸 뒤 본체(110)에서 뚜껑(120)을 분리하여 용기(200) 내부에 끼움 결합되어 있는 약품통(600) 만을 외부로 분리하고, 새로운 약품통을 다시 끼움한 뒤 뚜껑(120)을 본체(110)에 재결합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설치 사용하면 된다.
한편, 상기 소독처리 과정에서, 클로르 칼키(610)의 용해과정에서 발생되는 석회성분은 용해되지 않으므로 약품통(600) 하면으로 침전될 것이다. 그러므로 석회성분의 침전물(620)이 본체(110) 상부에 구비되어 있는 배출밸브(400)를 막음하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을 것이다. 따라서, 고상의 클로르 칼키(610)가 전부 액상으로 용해되어 외부로 배출될 때까지는 막힘없이 지속적인 소독처리가 가능한 장점 을 지니게 된다.
계속해서, 다시 "가"를 참조로 하면, 물탱크(500) 내부에 담수된 물의 수위가 실선부분에서 하측 파선 부분으로 낮아지게 되면 본체(110) 내부에 저장된 물의 수위 또한 같이 낮아지게 될 것이다. 즉, 물탱크(500)의 수위가 낮아짐에 따라 뚜껑(120)의 유입공(122)으로 새롭게 유입되는 물이 없어지게 되므로 본체(110) 내부의 수위는 배출밸브(400)가 구비된 부분 이하로 낮아지게 될 것이고, 곧 배출밸브(400)로부터 용해된 소독제가 배출되지 않아 더 이상 소독처리를 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물탱크(500)의 수위가 낮아지면 얼마 지나지 않아 자동으로 소독제의 투입이 중단되므로 과다농도를 방지할 수 있어 냄새 등의 문제 발생을 차단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만약, 상기 배출밸브(400)가 본체(110) 상부에 위치하지 않고 최하단부에 위치하게 되면 물탱크(500)의 수위가 낮아져도 그 본체(110) 내부에 저장된 물이 완전히 배출될 때 까지는 지속적으로 소독처리가 이루어지게 되므로 과다농도로 인한 문제가 발생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작동관계를 살펴보았는데, 하기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를 살펴보기로 하겠다. 즉, 대용량의 물탱크에 사용될 경우에는 보다 많은 양의 소독제가 필요로 하게 될 것이고, 보다 많은 양을 투입시켜야 될 것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더 많은 소독제를 투입할 수 있도록 복층 구조로 구현될 수 있는데, 이를 살펴보면 하기와 같다.
즉,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본체 및 용기의 결합 종단면도이고, 도 7의 "가"와 "나"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용기의 사시도 및 종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로 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대용량의 물탱크에 사용될 경우에는 많은 양의 소독제를 투입할 수 있도록 용기(200')와 본체(110')의 구성을 달리 하였다. 이 용기(200')와 본체(110')의 구성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은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생략하였다.
즉, 상기 용기(200')를 격판(240)에 의해서 상/하층부(220,230)로 구획된 복층으로 구성을 하여 각 층에 소독제를 투입할 수 있도록 하되 상기 하층부(230)의 외주연에는 클로르 칼키나 클로르 칼키가 저장된 약품통(600)을 측면에서 투입할 수 있도록 절개부(232)가 형성되고, 상층부(220)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용기(200)와 동일한 형상 즉, 상측으로 개방된 형상을 가진다.
그리고, 상기 본체(110')는 상기 용기(200')가 삽입될 수 있는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하되 상기 용기(200')의 상/하층부(220,230)에 각각 저장된 클로르 칼키가 용해되어 각각 배출될 수 있도록 용기(200')의 각 층 상측 부분에 해당 곳에 배출밸브(400)가 각각 형성된다. 즉, 상기 배출밸브(400)는 용기(200')의 각 층에서 소독제가 배출될 수 있도록 복층으로 구성되되 용기(200')의 각 층 상측 부분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본체(110')의 상부와 가운데 부분에 구비되는 것 이다.
이렇게 용기(200')가 복층으로 구성되면 각 층에 클로르 칼키나 클로르 칼키가 저장된 약품통(600)을 각각 저장할 수 있게 되고, 본체(110')에 복층으로 구비된 배출밸브(400)를 통해 보다 많은 양의 소독제를 배출하여 소독처리를 할 수 있는 것이다.
전술한 내용은 후술할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보다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특징과 기술적 장점을 다소 폭넓게 개설하였다.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구성하는 부가적인 특징과 장점들이 이하에서 상술될 것이다. 개시된 본 발명의 개념과 특정 실시예는 본 발명과 유사 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다른 구조의 설계나 수정의 기본으로서 즉시 사용될 수 있음이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인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개시된 발명의 개념과 실시예가 본 발명의 동일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다른 구조로 수정하거나 설계하기 위한 기초로서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된 사람들에 의한 그와 같은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 구조는 특허청구범위에서 기술한 발명의 사상이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화, 치환 및 변경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물탱크용 소독제 투입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물탱크용 소독제 투입장치의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도 2의 종단면도.
도 4의 "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배출밸브의 사시도이고, "나"는 배출밸브의 분리 사시도.
도 5의 "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물탱크용 소독제 투입장치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개략적 종단면도이고, "나"는 물탱크용 소독제의 작동 관계를 나타낸 "가"의 A부분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본체 및 용기의 결합 종단면도.
도 7의 "가"와 "나"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용기의 사시도 및 종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케이싱 110,110' : 본체
112 : 배출공 120 : 뚜껑
122 : 유입공 124 : 지지대
126 : 체결공 200,200' : 용기
210 : 공간부 220 : 상층부
230 : 하층부 232 : 절개부
240 : 격판 300 : 무게추
400 : 배출밸브 410 : 몸체
412 : 유입부 414 : 배출부
420 : 회전체 422 : 관통공
424 : 손잡이부 500 : 물탱크
510 : 덮개 520 : 유입구
530 : 배출구 600 : 약품통
610 : 소독제 620 : 침전물
R : 로프
Claims (2)
- 삭제
- 물탱크용 소독제 투입장치에 있어서,상측으로 개방된 형상을 가지며, 상부 외주연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출공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개방된 상면을 밀폐하는 것으로 상면에는 물이 유입되는 유입공이 형성된 뚜껑으로 이루어진 케이싱;상기 본체 내부로 삽입되는 것으로, 고상의 소독제를 직접 투입하거나 소독제가 저장된 약품통 자체를 직접 삽입시킬 수 있도록 상측으로 개방된 공간부가 형성된 용기;상기 본체 혹은 상기 용기의 하부에 구비되어서 케이싱이 물속에 침지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무게추; 및상기 본체의 배출공에 결합되어 배출량을 조절하는 배출밸브를 포함하되,상기 배출밸브가 상기 본체의 상측에 구비됨으로써 고상의 소독제의 용해시 발생되는 석회성분의 침전에 따른 막힘 현상을 방지하여 상시 지속적인 소독처리가 가능하도록 하고, 대용량의 물탱크에 설치될 경우에는 더 많은 소독제를 한 번에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용기를 격판에 의해서 상/하층부로 구획된 복층으로 구성을 하여 각 층에 소독제를 투입할 수 있도록 하되 상기 하층부의 외주연에는 소독제나 소독제가 저장된 약품통을 측면에서 투입할 수 있도록 절개부를 형성하고,상기 본체는 상기 용기가 삽입될 수 있는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하되 상기 용기의 상/하층부에 각각 저장된 소독제가 용해되어 각각 배출될 수 있도록 용기의 각 층의 상측 부분에 해당 곳에 배출밸브를 각각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탱크용 소독제 투입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38703A KR100937827B1 (ko) | 2009-05-01 | 2009-05-01 | 물탱크용 소독제 투입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38703A KR100937827B1 (ko) | 2009-05-01 | 2009-05-01 | 물탱크용 소독제 투입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937827B1 true KR100937827B1 (ko) | 2010-01-20 |
Family
ID=418100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38703A KR100937827B1 (ko) | 2009-05-01 | 2009-05-01 | 물탱크용 소독제 투입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937827B1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5058639A (ja) * | 2003-08-20 | 2005-03-10 | Sind:Kk | 循環式風呂および循環式風呂に用いるヘアーキャッチャー |
KR100578857B1 (ko) | 2005-11-16 | 2006-05-18 | 유림기업주식회사 | 급수 시설 내 염소투입장치 |
KR200417476Y1 (ko) | 2006-01-09 | 2006-06-01 | 모우삼 | 계곡수용 약품투입기 부구 |
KR100624397B1 (ko) | 2006-06-13 | 2006-09-15 | 장인봉 | 상수도 및 수조의 침지형 염소소독제 투입장치 |
-
2009
- 2009-05-01 KR KR1020090038703A patent/KR100937827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5058639A (ja) * | 2003-08-20 | 2005-03-10 | Sind:Kk | 循環式風呂および循環式風呂に用いるヘアーキャッチャー |
KR100578857B1 (ko) | 2005-11-16 | 2006-05-18 | 유림기업주식회사 | 급수 시설 내 염소투입장치 |
KR200417476Y1 (ko) | 2006-01-09 | 2006-06-01 | 모우삼 | 계곡수용 약품투입기 부구 |
KR100624397B1 (ko) | 2006-06-13 | 2006-09-15 | 장인봉 | 상수도 및 수조의 침지형 염소소독제 투입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251656A (en) | Multiple chemical feeder for swimming pools | |
KR960704808A (ko) | 물병의 물 소독 시스템(bottle water disinfection system) | |
AU747828B2 (en) | Automatic dry granular chemical dispenser | |
AU2009305150B2 (en) | Automatic dry granular chemical dispenser, for example for the chlorination of water in a swimming pool | |
KR100937827B1 (ko) | 물탱크용 소독제 투입장치 | |
KR100624397B1 (ko) | 상수도 및 수조의 침지형 염소소독제 투입장치 | |
KR101049378B1 (ko) | 해수 수족관용 스키머 | |
WO2021166628A1 (ja) | 薬剤溶解装置、水処理システム及び固形薬剤カートリッジ | |
KR101232223B1 (ko) | 정수기 | |
CN207100130U (zh) | 一种大耳羊养殖用自动饮水器 | |
KR101966304B1 (ko) | 수질관리가 특별한 수영장 | |
JP2001288783A (ja) | 洗浄タンク | |
JP3256693B2 (ja) | 高濃度食塩水の生成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次亜塩素酸含有の除菌水製造装置 | |
JP3830450B2 (ja) | 給水連動型薬注装置 | |
KR20090006677U (ko) | 수조의 침지형 염소소독제 투입장치 | |
KR20120118257A (ko) | 개량된 밸브구조를 갖는 살균 소독액 분사장치 | |
KR20110005443A (ko) | 상수도 및 수조의 염소소독제 투입장치 | |
JP2009172584A (ja) | 薬剤溶解器および薬液供給装置 | |
KR100578857B1 (ko) | 급수 시설 내 염소투입장치 | |
KR200326488Y1 (ko) | 와류 및 난류를 이용하는 무동력 차아염소산칼슘 용해장치 | |
KR200424481Y1 (ko) | 원통형소독일체물탱크 | |
KR200469095Y1 (ko) | 급수시설용 잠수식 염소투입장치 | |
KR100995132B1 (ko) | 펌프를 이용한 유체순환시스템의 약품투입장치 | |
KR101184053B1 (ko) | 소독약 탈착이 용이한 세면수 재활용 양변기용 세면대 구조 | |
KR101136424B1 (ko) | 소독약품 자동투입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AMND | Amendment | ||
J201 |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 ||
B701 | Decision to gran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