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7571B1 - 다공성 물품에 함침액을 고르게 함침시키는 장치 - Google Patents

다공성 물품에 함침액을 고르게 함침시키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7571B1
KR100937571B1 KR1020090051243A KR20090051243A KR100937571B1 KR 100937571 B1 KR100937571 B1 KR 100937571B1 KR 1020090051243 A KR1020090051243 A KR 1020090051243A KR 20090051243 A KR20090051243 A KR 20090051243A KR 100937571 B1 KR100937571 B1 KR 1009375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ous article
impregnating
close contact
suction
impregnation liq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12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방상인
Original Assignee
방상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방상인 filed Critical 방상인
Priority to KR10200900512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75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75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75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1/00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1/02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performed by spray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5/00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not covered by groups B29B7/00 - B29B13/00
    • B29B15/08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not covered by groups B29B7/00 - B29B13/00 of reinforcements or fillers
    • B29B15/10Coating or impregnating independently of the moulding or shaping ste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공성 물품에 함침액을 고르게 함침시키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장치는, 상부에서 하부로 향하는 공기이동로가 형성되어 있는 흡입몸체와; 설정된 위치에 놓인 다공성 물품의 상부면에 함침액을 위치시키는 함침액분사수단과; 흡입몸체의 하부에 위치되어 있으며, 흡입몸체의 공기이동로나 그 상부에 다공성 물품이 위치된 상태에서 흡입력을 발생시켜 다공성 물품의 상부면에 위치된 함침액이 다공성 물품의 공극에 함침되도록 하는 흡입력발생수단과; 흡입몸체의 공기이동로나 그 상부에 다공성 물품이 위치된 상태에서 다공성 물품의 측면과 공기이동로 사이에 틈새가 발생되지 않도록 다공성 물품의 측면에 밀착되는 밀착몸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장치는, 흡입몸체에 형성된 공기이동로나 그 상부에 다공성 물품이 위치된 상태에서 흡입력이 발생되어 다공성 물품의 상부에 위치된 함침액이 하부로 향하면서 공극에 채워지도록 되어 있는데 밀착몸체가 다공성물품의 측면과 공기이동로 사이에 밀착되어 틈새가 발생되지 않으므로 다공성 물품에 함침액이 고르게 함침된다.
다공, 다공성물품, 폴리스티렌, 함침액, 함침

Description

다공성 물품에 함침액을 고르게 함침시키는 장치{the apparatus to make the well-percolated porous panel}
본 발명은 폴리스틸렌폼 패널과 같이 다수 개의 공극을 갖는 다공성 물품의 공극에 난연제 등의 함침액을 함침시키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폴리스틸렌폼 패널 등과 같이 다수 개의 공극을 갖는 물품을 다공성 물품이라고 한다.
이러한 다공성 물품은 건축자재 등 각종 산업분야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데 그 성능을 개선하기 위해 다공성 물품의 공극에 각종 함침액을 함침시켜 사용하고 있다.
폴리스티렌폼 패널의 예로 설명하면, 폴리스티렌폼 패널에 난연성을 부여하기 위해 난연제를 폴리스틸렌폼 패널의 공극에 채워서 경화시켜 사용하고 있다.
즉, 상기와 같은 경우 함침액은 난연제가 되는 것이다.
다공성물품에 함침액을 함침시키는 방법은 크게 2가지로 분류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공성 물품을 함침액에 오랫동안 담가두어 공극에 함침액이 채어지도록 한 후 다공성 물품을 회전시켜 적정량의 함침액이 공극에 고르게 채워지도록 하는 방식이 있다.
또 다른 방식으로서, 한국 특허등록 제10-0699350호와 같이 다공성 물품의 상부에 함침액을 분사하여 다공성 물품의 상부에 함침액을 위치시킨 후 다공성 물품의 하부에서 흡입력을 발생시켜 다공성 물품의 상부에 위치된 함침액이 하부로 향하면서 공극에 채워지도록 하는 방식이 있다.
흡입력을 발생시켜 함침시키는 방식이 연속작업이 가능한 등의 이유로 생산성이 우수하여 더 선호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런데 흡입력을 사용한 방식은 다공성 물품의 가장자리 부근에서 함침액의 함침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고, 불량률이 높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려는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흡입력을 발생시켜 다공성 물품에 함침액을 함침시키면서도 함침액이 다공성 물품에 고르게 함침되도록 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려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흡입몸체에 형성된 공기이동로나 그 상부에 다공성 물품이 위치된 상태에서 흡입력이 발생되어 다공성 물품의 상부에 위치된 함침액이 하부로 향하면서 공극에 채워지도록 하되 밀착몸체가 다공성물품의 측면과 공기이동로 사이에 밀착되어 틈새가 발생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다공성 물품에 함침액이 고르게 함침되도록 한다.
즉, 다공성 물품의 가장자리 부분에서도 함침액의 함침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장치는, 상부에서 하부로 향하는 공기이동로가 형성되어 있는 흡입몸체를 갖는다.
또, 설정된 위치에 놓인 다공성 물품의 상부면에 함침액을 위치시키는 함침액분사수단을 갖는다.
또, 흡입몸체의 하부에 위치되어 있으며, 흡입몸체의 공기이동로나 그 상부에 다공성 물품이 위치된 상태에서 흡입력을 발생시켜 다공성 물품의 상부면에 위 치된 함침액이 다공성 물품의 공극에 함침되도록 하는 흡입력발생수단을 갖는다.
또, 흡입몸체의 공기이동로나 그 상부에 다공성 물품이 위치된 상태에서 다공성 물품의 측면과 공기이동로 사이에 틈새가 발생되지 않도록 다공성 물품의 측면에 밀착되는 밀착몸체를 갖는다.
본 발명의 장치는, 흡입몸체에 형성된 공기이동로나 그 상부에 다공성 물품이 위치된 상태에서 흡입력이 발생되어 다공성 물품의 상부에 위치된 함침액이 하부로 향하면서 공극에 채워지도록 되어 있는데 밀착몸체가 다공성물품의 측면과 공기이동로 사이에 밀착되어 틈새가 발생되지 않으므로 다공성 물품에 함침액이 고르게 함침된다.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일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첨부된 도면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다공성 물품의 공극에 함침액을 함침시킴에 있어 다공성 물품의 하부에서 다공성 물품을 향해 흡입력을 발생시켜 함침시키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와 같이 설정된 위치에 놓인 다공성 물품(1)의 상부면에 함침액을 위치시키는 함침액분사수단(10)을 갖는다.
또, 흡입력을 발생시켜 다공성 물품(1)의 상부면에 위치된 함침액이 다공성 물품(1)의 공극에 함침되도록 하는 흡입력발생수단(20)을 갖는다.
또, 흡입력발생수단(20)에 의해 발생되는 흡입력이 다공성 물품(1)에 전달되도록 하는 수단을 갖는다.
상기와 같은 함침액분사수단(10)이나 흡입력발생수단(20) 등은 종래기술에도 적용되고 있고, 다양한 산업분야에 사용되는 방식을 적용할 수 있는 것이므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그런데 본 발명은 함침액이 다공성 물품에 고르게 함침되도록 하려는 목적을 갖는다.
흡입력을 이용하여 다공성 물품에 함침액을 합침시키는 방식의 가장 큰 문제점은 함침액이 고르게 함침되지 못한다는 것이었다.
즉, 다공성 물품의 가장자리 부근에서는 함침액의 함침이 원활하지 못하였던 것이다.
본 출원의 발명자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오랜 연구와 노력 끝에 흡입력이 설정된 경로를 따라 다공성 물품에 전달되도록 하고, 다공성 물품(1)과 공기 이동로 사이에 틈새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기술을 안출하였다.
즉, 흡입력이 넓게 퍼지지 못하고 집중되도록 하고, 다공성 물품에 전달될 때 비교적 고르게 전달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장치는, 상부에서 하부로 향하는 공기이동로(31)가 형성되어 있는 흡입몸체(30)를 갖는다.
또, 흡입몸체(30)의 공기이동로(31)나 그 상부에 다공성 물품(1)이 위치된 상태에서 다공성 물품(1)의 측면과 공기이동로(31) 사이에 틈새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다공성 물품(1)의 측면에 밀착되는 밀착몸체(40)을 갖는다.
또, 흡입력발생수단(20)은 흡입몸체(30)의 하부에 위치되며, 흡입몸체(30)의 공기이동로(31)나 그 상부에 다공성 물품(1)이 위치된 상태에서 흡입력을 발생시켜 다공성 물품(1)의 상부면에 위치된 함침액이 다공성 물품(1)의 공극에 함침되도록 한다.
도면은 다공성 물품(1)이 흡입몸체(30)의 공기이동로(31)에 위치된 형태가 아니라 공기이동로(31)의 상부에 위치된 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밀착력을 고려할 때 상기와 같은 밀착몸체(40)는 탄성을 갖는 고무 등으로 구현하는 것이 좋다.
밀착몸체(40)가 다공성 물품(1)에 밀착됨에 있어서는 다공성 물품(1)이 변형될 정도로 강하게 밀착되는 것이 아니라 공기이동로(31)와의 사이에 틈새가 발생되지 않을 정도로만 밀착되는 것이 좋다.
너무 강하게 밀착되면 다공성 물품(1)의 가장자리 부근에서 공극의 크기가 좁아졌다가 밀착력이 제거되었을 때 공극이 다시 커지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기 때문이다.
밀착몸체(40)가 다공성 물품(1)의 측면에 밀착되어야 하는 이유는 밀착몸 체(40)가 흡입력 전달에 방해가 되지 않아야 하기 때문이다.
즉, 밀착몸체(40)가 다공성 물품(1)의 상부나 하부에 밀착되면 밀착몸체(40)에 밀착된 부분은 흡입력의 영향을 받지 못하거나 상대적으로 약하게 받기 때문에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어려운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구성을 통해 함침액을 함침시킴에 있어 종래기술보다 균일한 함침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러나 전술한 구성만으로는 다공성 물품에 함침액을 고르게 함침시키는데 한계가 있다..
함침액을 보다 고르게 함침시키기 위해 밀착몸체(40)의 하부 공간은 밀착몸체(40)를 향해 폭이 점차 좁아진 도 2와 같은 형상을 이루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형상이 계속 유지되지는 않더라도 함침이 이루어지는 순간에는 도 2와 같은 형상이 되도록 하는 것이다.
즉, 흡입력이 작용되어 다공성 물품(1)의 상부에 위치된 함침액이 다공성 물품의 공극에 함침될 때 밀착몸체(40)의 하부 공간은 밀착몸체(40)를 향해 폭이 점차 좁아진 형상을 이루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도 3과 같이 다공성 물품(1)의 측면 중 하부가 공기이동로(31)와 연결되도록 밀착몸체(40)가 다공성 물품(1)의 측면 하부에는 밀착되지 않도록 하면 함침액이 보다 고르게 함침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것은 다공성 물품(1)의 측면 하부가 밀착몸체(40)에 밀착되지 않기 때문에 이 부분에 흡입력이 작용되므로 다공성 물품(1)의 가장자리 상부에 위치된 함침액이 하부로 이동될 때 다공성 물품(1)의 하부 가장자리 방향으로 함침액이 이동되는 도 3과 같은 현상이 발생되기 때문이다.
물론 더욱 바람직한 것은, 밀착몸체(40)가 다공성 물품의 측면 상부와 하부에는 밀착되지 않음으로써 다공성 물품의 측면 중 하부가 공기이동로(31)와 연결되고, 측면 중 상부는 노출되는 것이다.(도 4 참조)
이러한 구성에서는 다공성 물품(1)의 측면 상부 중 밀착몸체(40)에 밀착되지 않고 노출된 지점에 함침액을 위치시키는 것이 중요하다.(도 4의 B참조)
이를 위해 전술한 함침액분사수단(10)이 다공성물품의 측면 상부 중 밀착몸체(40)에 밀착되지 않고 노출된 지점에도 함침액을 위치시키도록 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에 있어서 흡입력발생수단(20)에 의해 발생되는 흡입력이 다공성 물품에 전달됨에 있어 고른 강도로 전달되도록 하면 보다 균일한 함침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흡입력이 다공성 물품(1)에 전달됨에 있어 흡입력의 강도가 다르면 함침액의 불균일한 함침 상태가 발생되므로 균일한 강도의 흡입력이 전달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도 5와 같이 흡입력발생수단(20)은 공기를 흡입하는 다수 개의 노즐(21)을 갖도록 하고, 다수 개의 노즐(21)은 흡입몸체(30)의 공기이동로(31) 내에 고르게 분포되어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복수 개의 지점에서 흡입력이 발생되는 것이므로 흡입력이 다공성 물품에 전달됨에 있어 부분적 편차없이 비교적 고른 강도로 전달된다.
물론, 흡입력이 더욱 고른 분포를 보이도록 하기 위해서, 다수 개의 노즐이 배치됨에 있어 도 6과 같이 다공성 물품의 가장자리 부분에 대응되어 위치된 노즐이 그 안쪽에 위치된 노즐보다 상대적으로 조밀하게 위치되도록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밀착몸체(40)가 회전되어 다공성 물품(1)에 밀착되도록 할 수도 있고, 밀착되지 않도록 할 수도 있는 도 7과 같은 형태로 구현하면 작업속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즉, 다공성 물품(1)을 컨벤이어 등을 통해 연속적으로 공급하면서도 함침액을 함침시키려는 순간에 밀착몸체(40)가 다공성 물품(1)에 밀착되고 함침고정이 이루어지며, 함침공정이 완료되면 밀착몸체(40)가 다공성 물품에 밀착되는 힘은 제거되고 다공성 물품은 컨베이어를 따라 다른 공정으로 이송되도록 하는 것이다.
도 7에서는 좌, 우에 위치된 밀착몸체(40)만을 도시하였으나 도 7에서와 같이 회전되는 밀착몸체(40)를 전, 후, 좌, 우에 위치시키면 다공성 물품의 4면이 밀착몸체(40)에 밀착되어 다공성 물품은 흡입력을 고르게 받게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함침액이 함침된 다공성 물품에 함침액의 경화를 촉진시키는 경화제를 분사하는 경화제분사수단을 더 구비할 수 있다.(도시하지 않음)
즉, 함침액이 빠르게 경화되어 다공성 물품과 일체화되도록 하는 것이다.
구체적인 예로 설명하면, 함침액이 이산화규소를 포함하는 난연제라고 할때 이산화탄소 및 알코올을 분사하는 경화제분사수단을 더 구비할 수 있는 것이다.
용기에 담긴 경화제를 분사하는 수단 등은 널리 공지된 것이므로 구체적인 구조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함침액이 함침된 다공성 물품을 강제적으로 빠르게 건조시키는 건조장치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공성 물품에 함침액을 고르게 함침시키는 장치의 개략도
도 2는 밀착몸체의 하부 공간이 점차 좁아진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3은 밀착몸체가 다공성 물품의 측면 하부에는 밀착되지 않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4는 밀착몸체가 다공성 물품의 측면 상부와 하부에는 밀착되지 않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A : 함침액이 위치되지 않은 상태
B : 함침액이 위치되고 흡입력이 작용되는 상태
도 5는 노즐이 구비된 흡입력발생수단을 갖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흡입력발생수단의 노즐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7은 다공성 물품에 밀착되도록 회전되거나 밀착되지 않도록 회전되는 밀착몸체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다공성 물품 10. 함침액분사수단
20. 흡입력발생수단 21. 노즐
30. 흡입몸체 31. 공기이동로
40. 밀착몸체

Claims (9)

  1. 다공성 물품의 공극에 액체를 함침시키는 장치에 있어서,
    상부에서 하부로 향하는 공기이동로가 형성되어 있는 흡입몸체;
    설정된 위치에 놓인 다공성 물품의 상부면에 함침액을 위치시키는 함침액분사수단;
    상기 흡입몸체의 하부에 위치되어 있으며, 흡입몸체의 공기이동로나 그 상부에 다공성 물품이 위치된 상태에서 흡입력을 발생시켜 다공성 물품의 상부면에 위치된 함침액이 다공성 물품의 공극에 함침되도록 하는 흡입력발생수단;
    상기 흡입몸체의 공기이동로나 그 상부에 다공성 물품이 위치된 상태에서 다공성 물품의 측면과 공기이동로 사이에 틈새가 발생되지 않도록 다공성 물품의 측면에 밀착하되, 다공성 물품의 측면 중 하부가 공기이동로와 연결되도록 다공성 물품의 측면 하부에는 밀착되지 않는 밀착몸체;를 포함하여 구성된, 다공성 물품에 함침액을 고르게 함침시키는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흡입력이 작용되어 다공성물품의 상부에 위치된 함침액이 다공성 물품의 공극에 함침될 때 밀착몸체의 하부 공간은 밀착몸체를 향해 폭이 점차 좁아진 형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성 물품에 함침액을 고르게 함침시키는 장치.
  3. 삭제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다공성 물품의 측면 중 하부가 공기이동로와 연결되고, 측면 중 상부는 노출되도록 밀착몸체가 다공성 물품의 측면 상부와 하부에는 밀착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성 물품에 함침액을 고르게 함침시키는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함침액분사수단은 다공성물품의 측면 상부 중 밀착몸체에 밀착되지 않고 노출된 지점에도 함침액을 위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성 물품에 함침액을 고르게 함침시키는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력발생수단은 흡입몸체의 공기이동로 내에 고르게 분포되어 공기를 흡입하는 다수 개의 노즐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성 물품에 함침액을 고르게 함침시키는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 개의 노즐이 배치됨에 있어 다공성 물품의 가장자리 부분에 대응되어 위치된 노즐이 그 안쪽에 위치된 노즐보다 상대적으로 조밀하게 위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성 물품에 함침액을 고르게 함침시키는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함침액이 함침된 다공성 물품에 함침액의 경화를 촉진시키는 경화제를 분사하는 경화제분사수단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성 물품에 함침액을 고르게 함침시키는 장치.
  9.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몸체는 회전 가능하도록 되어 있되 다공성 물품에 밀착되도록 회전될 수도 있고, 밀착되지 않도록 회전될 수도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성 물 품에 함침액을 고르게 함침시키는 장치.
KR1020090051243A 2009-06-10 2009-06-10 다공성 물품에 함침액을 고르게 함침시키는 장치 KR1009375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1243A KR100937571B1 (ko) 2009-06-10 2009-06-10 다공성 물품에 함침액을 고르게 함침시키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1243A KR100937571B1 (ko) 2009-06-10 2009-06-10 다공성 물품에 함침액을 고르게 함침시키는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37571B1 true KR100937571B1 (ko) 2010-01-19

Family

ID=418099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1243A KR100937571B1 (ko) 2009-06-10 2009-06-10 다공성 물품에 함침액을 고르게 함침시키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757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3251B1 (ko) 2012-12-10 2014-07-29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와류를 이용한 다공체의 함침방법 및 함침장치
CN113751272A (zh) * 2021-08-31 2021-12-07 江苏富勤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网孔板自动涂抹加工装置及其涂抹工艺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97508A (ja) * 1989-09-11 1991-04-23 Fuji Electric Co Ltd 多孔質板の液体含浸装置
KR100699350B1 (ko) * 2006-11-29 2007-03-26 (주)지원아이피에스 다공성 물품을 위한 코팅제 균일 함침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97508A (ja) * 1989-09-11 1991-04-23 Fuji Electric Co Ltd 多孔質板の液体含浸装置
KR100699350B1 (ko) * 2006-11-29 2007-03-26 (주)지원아이피에스 다공성 물품을 위한 코팅제 균일 함침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3251B1 (ko) 2012-12-10 2014-07-29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와류를 이용한 다공체의 함침방법 및 함침장치
CN113751272A (zh) * 2021-08-31 2021-12-07 江苏富勤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网孔板自动涂抹加工装置及其涂抹工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348989A (en) Process for manufacturing impregnated cellular materials
US7901740B2 (en) Methods to produce stretchable products
KR100937571B1 (ko) 다공성 물품에 함침액을 고르게 함침시키는 장치
TW200733460A (en) Method for preparing functional film
JP2013141609A5 (ko)
TW200610582A (en) Inkjet spray method and display device manufacturing method
KR20120024782A (ko) 도포장치, 도포구, 도포방법 및 막 형성액
KR101399594B1 (ko) 투습방수 코팅방법 및 코팅장치
CN105855092A (zh) 一种齿轮齿条喷漆处理装置
WO2008009911A3 (en) Coating process and coated product
KR20140140550A (ko) 2개 이상의 성분으로 이루어진 반응성 혼합물을 기질에 적용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20160067742A1 (en) Proceeding for Impregnation of Sheets of Stones and a Device to Accomplish told Proceeding
JPH10323809A (ja) 耐水用中密度繊維板の製造方法
JP6122670B2 (ja) エレクトロスプレー装置およびエレクトロスプレー方法
KR100671057B1 (ko) 난연제가 함유된 샌드위치패널용 충전재 제조방법
CN209032153U (zh) 一种无纺除尘清洁布及其专用复合装置
JP3182815U (ja) 塗布ノズル洗浄装置
CN110420801A (zh) 一种注胶喷淋方法及装置
CN104389133B (zh) 一种经纱泡沫润湿与泡沫上浆的集成装置
CN205316796U (zh) 一种复合毛毡
JP2014237085A (ja) 塗布装置
KR102292367B1 (ko) 기판 코팅 장치
GB201120697D0 (en) Process for preparing a medical dressing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same
JP2019018139A (ja) 洗浄装置
CN107303548B (zh) 衍生化仪器和衍生化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