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7391B1 - 수로를 갖는 연결파이프로 연결된 수평배열 화분 세트 - Google Patents

수로를 갖는 연결파이프로 연결된 수평배열 화분 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7391B1
KR100937391B1 KR1020090065934A KR20090065934A KR100937391B1 KR 100937391 B1 KR100937391 B1 KR 100937391B1 KR 1020090065934 A KR1020090065934 A KR 1020090065934A KR 20090065934 A KR20090065934 A KR 20090065934A KR 100937391 B1 KR100937391 B1 KR 1009373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pot
connecting pipe
pots
clo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59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태용
Original Assignee
박태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태용 filed Critical 박태용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73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73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5/00Watering gardens, fiel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 A01G25/16Control of water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3Controls for self-acting water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5Reservoirs connected to flower-pots through condui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7Pots connected in horizontal rows

Abstract

본 발명은 수로를 갖는 연결파이프로 연결된 수평배열 화분 세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수의 화분(이하 '화분 세트'라함)이 수평으로 배열되고, 수평 배열된 화분들은 연결파이프로 상호 연결되어 바닥에 안정적으로 놓이는 화분 세트에 관한 것이며, 또한, 연결파이프에는 수로가 형성되어 화분들 간에 서로 물을 주고받음으로써 각 화분들이 적정량의 물을 함유할 수 있도록 한 화분 세트에 관한 것이며, 연결파이프에는 수로를 개폐할 수 있는 개폐수단이 구비되어 물의 공급을 화분들 전체에 대해 또는 개별적으로 관리 가능하고, 어느 한 화분에 연결되어 있는 연결파이프의 모든 수로를 폐쇄하여 해당 화분을 수납통의 용도로 사용할 수도 있는 화분 세트에 관한 것이며, 연결파이프는 화분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하여 화분 세트의 이동이 편리도록 한 수로를 갖는 연결파이프로 연결된 수평배열 화분 세트에 관한 것이다.
Figure R1020090065934
화분, 연결 파이프, 수로, 개폐수단, 탈착수단, 길이조절수단

Description

수로를 갖는 연결파이프로 연결된 수평배열 화분 세트{Set of flowerpots jointed by pipe flowing water}
본 발명은 수로를 갖는 연결파이프로 연결된 수평배열 화분 세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수의 화분(이하 '화분 세트'라함)이 수평으로 배열되고, 수평 배열된 화분들은 연결파이프로 상호 연결되어 바닥에 안정적으로 놓이는 화분 세트에 관한 것이며,
또한, 연결파이프에는 수로가 형성되어 화분들 간에 서로 물을 주고받음으로써 각 화분들이 적정량의 물을 함유할 수 있도록 한 화분 세트에 관한 것이며,
연결파이프에는 수로를 개폐할 수 있는 개폐수단이 구비되어 물의 공급을 화분들 전체에 대해 또는 개별적으로 관리 가능하고, 어느 한 화분에 연결되어 있는 연결파이프의 모든 수로를 폐쇄하여 해당 화분을 수납통의 용도로 사용할 수도 있는 화분 세트에 관한 것이며,
연결파이프는 화분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하여 화분 세트의 이동이 편리도록 한 수로를 갖는 연결파이프로 연결된 수평배열 화분 세트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화분은 꽃이나 관상수 등의 식재되는 용기로서, 많은 가정집이나 식당, 사무실 등에서 실내 조경을 아름답게 하기 위해 많이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화분은 가로 폭 보다는 세로 높이가 길고, 식재된 꽃이나 나무 등의 식물 크기를 고려하면 세로 높이는 보다 높아진다. 즉, 화분의 무게 중심은 위쪽에 위치하고, 식물이 식재된 화분의 무게 중심은 보다 위쪽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우발적인 외력이 가해지면 화분은 넘어지기 쉽고, 화분이 넘어지면 깨지거나 화분에 담겨진 흙이 쏟아지게 된다. 이러한 우발적인 외력에 의해 화분이 넘어질 위험은 손님의 방문이 많은 식당이나 부주의한 어린이가 있는 가정집 등에서 높다.
따라서 우발적인 외력에 의해 화분이 넘어질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는 수단이 필요하지만, 종래의 화분은 이러한 수단이 구비되어 있지 않다.
그리고 관리자가 화분에 물을 줄 때, 대부분의 관리자는 전문가가 아니므로 어느 화분은 너무 많은 물을 주고, 어느 화분은 너무 적은 물을 주는 등 물 관리가 쉽지 않고, 화분에 일일이 물을 주는 번거로움이 있다. 그래서 화분들을 상하로 배열하여 관리자가 상부에 배치된 화분에 물을 주면 하부에 배치된 화분에 자동으로 물이 공급되는 화분 세트에 관한 것이 여러 특허와 실용신안이 개시된 바 있다.
그러나 화분들이 상하로 배열된 화분 세트는 전술한 바와 같이 우발적인 외력에 의해 넘어지기 쉽고, 물을 주고 난후 시간이 경과할수록 상부에 배치된 화분은 함유한 물(수분)이 부족해지고, 하부에 배치된 화분은 함유한 물이 과해지는 문 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화분들을 수평방향으로 배치하고, 연결파이프를 통해 화분들을 상호 연결함으로써, 우발적인 외력이 웬만한 힘으로 가해지더라도 넘어가지 않도록, 즉 바닥에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한 화분 세트를 제공함으로 목적으로 하고,
연결파이프에는 수로를 형성함으로써, 어느 한 화부에만 물을 주더라도 점차적으로 다른 화분에도 물이 공급될 수 있게 하고, 화분들이 서로 비슷한 밀도의 물을 함유하도록 하여 특정 화분에 물이 부족하거나 과잉 공급되지 않도록 한 화분 세트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하고,
연결파이프에는 수로를 개방 또는 폐쇄하여 물의 흐름을 허용하거나 차단할 수 있는 개폐수단을 구비하여 화분 세트의 화분들을 개별적으로 관리(즉, 물의 공급)하거나 전체적으로 관리할 수 있으며, 특정 화분은 물의 유입을 차단하여 수납통으로 사용할 수도 있는 화분 세트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하고,
연결파이프는 화분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하여 화분세트의 이동시 편리성을 높이고, 연결파이프는 그 길이를 조절가능하도록 하여 화분 세트가 높이 장소에 맞게 화분들을 배치시킬 수 있도록 한 화분세트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수로를 갖는 연결파이프로 연결된 수평배열 화분 세트는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화분;
상기 다수의 화분을 상호 연결하며, 내면에는 수로가 형성되어 있는 연결파이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연결파이프의 수로를 개폐하는 개폐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개폐수단은
승하강하여 상기 수로를 개폐하는 개폐판과,
상기 연결파이프의 상부면에 형성되어 상기 개폐판이 삽입되는 삽입홀과, 상기 연결파이프의 내벽에 형성되어 상기 개폐판의 승하강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홈과,
상기 개폐판의 일면 상하부에 각각 경사져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수로의 폐쇄시에 상기 연결파이프의 상부면 삽입홀과 바닥면 가이드홈에 각각 가압되어 개폐판을 가이드홈을 형성하는 내벽에 밀착시키는 경사부와,
상기 개폐판의 일면 하부에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수포의 개방시 상기 삽입홀 외부에 걸려 자중에 의해 개폐판이 하강하지 않도록 하는 걸림돌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연결파이프가 상기 화분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하는 탈착수단;과
상기 연결파이프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길이조절수단;을 더 포함하되,
상기 탈착수단은
화분에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내측에는 화분의 수용부와 연통되는 연통홀이 형성되어 있고, 외면 또는 내면에는 결합홈이 형성되어 있고, 내면에는 상기 연통홀을 개폐하는 개폐패널이 구비되어 있는 수결합부와,
연결파이프와 일체를 이루어 단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수결합부에 억지끼움식으로 암수결합되고, 내면 또는 외면에는 상기 결합홈과 결합되는 결합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암결합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길이조절수단은
연결파이프의 중앙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자바라식으로 접혀다 펴져 연결파이프의 길이를 가변시키는 주름부와,
제1막대와, 상기 제1막대 내측에 삽입되어 슬라이드 이동하는 제2막대로 구성되며, 상기 제1막대와 제2막대의 단부는 각각 상기 연결파이프 양단에 고정되어 상기 주름부의 길이 가변에 따라 함께 길이가 가변되는 보강막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위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화분 세트는 화분들은 동일 수평면 상에 배열되고 연결파이프를 통해 서로 연결됨으로써 작은 우발적인 충격에 넘어가지 않고 바닥에 안정적으로 지지되고,
연결파이프에 형성되어 있는 수로를 통해 화분들 간에 물의 이동이 가능하여 초기에 어느 특정 화분에는 물을 과잉 공급하고 어느 특정 화분에는 물을 부족하게 공급하더라도 시간이 흐르면서 모든 화분들이 함유하고 있는 물의 밀도가 서로 비슷해져 물 공급의 부족이나 과잉에 적절한 수준으로 자동으로 조절되고,
연결파이프에 구비되어 있는 개폐수단을 통해 물의 흐름을 차단할 수 있어 특정 화문은 식물을 식재하는 화분이 아닌 다른 용도, 예를 들어 필기구 등이 담기는 수납통으로 사용가능하고,
연결파이프는 화분에 탈부착이 가능하여 화분 세트를 구성하는 화분들을 각각 독립적으로 사용가능하고, 화분 세트의 이동도 편리하고,
연결파이프는 길이조절이 가능하여 화분 세트의 화분들을 공간을 적극 활용하고 실내 인테리어를 아름답게 하도록 배치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수로를 갖는 연결파이프로 연결된 수평배열 화분 세트의 일례에 따른 사시도이고, 도2는 사용상태 일례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분 세트(1)는 다수의 화분(10a,10b,10c)과, 다수의 화분(10a,10b,10c)을 연결하는 연결파이프(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도면에 도시하지 아니하였으나 연결파이프(20)에는 개폐수단과 길이조절수단이 더 구비될 수 있고, 연결파이프(20)와 화분(10a,10b,10c)을 탈착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탈착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분(10a,10b,10c)은 다양한 형상과 크기를 가질 수 있고, 그 재질 또한 합성서지, 도자기, 금속 등 다양한 것이 사용될 수 있다.
도면에는 화분(10a,10b,10c)의 일례로 항아리 형상을 하고 있으며 크기가 서로 다른 것을 도시하였으며, 가장자리 화분(10a,10b,10c)에는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손잡이(11)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화분 세트(1)는 운반 및 보관 등이 편리하도록 가벼운 합성수지재질로 이루어지고,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 블로우(blow) 방식으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블로우 방식으로 제조시에는 연결파이프(20)가 각 화분(10a,10b,10c)에 일체로 연결되어 함께 제조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리고 각 화분(10a,10b,10c)에는 배수구를 통해 배출되는 물이 주의로 흐르지 않도록 하는 받침판(30)이 구비된다. 상기 받침판(30)은 도면과 같이 각 화분(10a,10b,10c)에 독립적으로 구비될 수 있고, 받침판이 서로 연결된 상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
상기 연결파이프(20)는 수평상태로 배열된 화분(10a,10b,10c)들을 상호 연결하여 화분 세트(1)의 안정성을 높인다. 즉, 어느 한 화분(10a,10b,10c)을 넘어뜨릴 수 있는 외부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다른 화분(10a,10b,10c)들이 가해지는 외부충격을 일정부분 담당하여 웬만한 외부 충격에 의해 화분 세트(1)가 넘어가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연결파이프(20) 내측에는 수로(21)가 형성되어 화분(10a,10b,10c)들 간에 물이 흐를 수 있도록 한다. 즉, 물의 함유 밀도가 높은 화분(10a,10b,10c)의 물이 물의 함유 밀도가 적은 화분(10a,10b,10c)으로 자연스럽게 흐르도록 하여 화분(10a,10b,10c)들 내의 토양이 갖는 물의 밀도가 비슷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개폐수단(40)은 상기 연결파이프(20)에 구비되어 수로(21)를 개방 또는 폐쇄한다.
각 화분(10a,10b,10c)에 식재되어 있는 식물들이 요구하는 물의 양이 비슷할 때에는 개폐수단을 통해 모든 연결파이프(20)를 개방시켜 사용하고, 화분(10a,10b,10c)에 식재되어 있는 식물들이 요구하는 물의 양의 차가 클 때는 개폐수단을 통해 연결파이프(20)를 폐쇄하여 각 화분(10a,10b,10c)별로 주는 물의 양을 따로 관리하면 된다. 예를 들어 선인장과 국화는 요구하는 물의 양이 현격히 다르므로 선인장이 식재된 화분(10a,10b,10c)에는 물을 적게 주고 개폐수단을 통해 연 결파이프(20)의 수로(21)를 폐쇄하여 국화가 식재된 화분(10a,10b,10c)에서 물이 공급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도면과 같이 화분(10c)을 식물을 식재하는 용기로 사용하지 아니하고 필기구나 기타 물품이 수납되는 수납용기로 사용할 수도 있다. 이때에는 수납용기로 사용하는 화분(10c)에 연결된 모든 연결파이프(20)의 수로(21)를 개폐수단을 통해 폐쇄하여 다른 화분(10a,10b)에서 물이 유입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탈착수단(50)은 상기 연결파이프(20)가 상기 화분(10a,10b,10c)에 탈부착이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수단으로서, 화분(10a,10b,10c)과 연결파이프(20)는 암수결합 할 것이고, 이 암수결합은 나사산을 이용한 스크류 결합방식이나, 직경차를 이용한 억지끼움 방식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탈착수단을 통해 화분(10a,10b,10c)과 연결파이프(20)가 탈부착이 가능하므로, 화분 세트(1)를 구성하는 화분(10a,10b,10c)과 연결파이프(20)의 보관, 운반 등이 간편하고, 식물이 식재된 화분 세트(1)의 배치장소를 이동할 때도 이들을 분리하여 이동하면 되므로 편리할 수 있다.
상기 길이조절수단(60)은 상기 연결파이프(2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수단이다. 길이조절수단을 통해 화분(10a,10b,10c)들 간의 이격거리를 일정범위에서 조절할 수 있으므로 관리자는 자신의 기호에 맞게 화분(10a,10b,10c)들을 배치할 수 있고, 배치 장소의 공간을 적극 활용할 수 있다.
길이조절수단으로는 연결수단의 일정 부위에 접히고 펼쳐지는 주름부를 형성한 것이 일례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주름부를 형성할 때는 연결파이프(20)가 화분(10a,10b,10c)들을 서로 연결하여 지지하는 지지력이 약해질 수 있으므로 주름부의 길이조절에 따라 함께 길이가 가변되는 지지막대를 주름부 외연에 구비시킬 수도 있다.
도3의 a,b,c는 상기 개폐수단(40), 길이조절수(60)단, 탈착수단(50)의 일례를 도시한 것으로서,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이들의 구성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상기 개폐수단(40)은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승하강하여 상기 수로(21)를 개폐하는 개폐판(41)과,
상기 연결파이프의 상부면에 형성되어 상기 개폐판이 삽입되는 삽입홀(42)과, 상기 연결파이프의 내벽에 형성되어 상기 개폐판의 승하강을 가이드하는 가이드(43)홈과,
상기 개폐판의 일면 상하부에 각각 경사져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수로의 폐쇄시에 상기 연결파이프의 상부면 삽입홀과 바닥면 가이드홈에 각각 가압되어 개폐판을 가이드홈을 형성하는 내벽에 밀착시키는 경사부(44,45)와,
상기 개폐판의 일면 하부에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수포의 개방시 상기 삽입홀 외부에 걸려 자중에 의해 개폐판이 하강하지 않도록 하는 걸림돌기(46)를 포함 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개폐판(41)의 상단은 연결파이프 상부로 노출되어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개폐판을 들어올리거나 눌러 수로를 개폐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경사부(44,45)는 개폐판을 일측으로 밀어 개폐판이 가이드홈과 삽입홀의 일측에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개폐판과 가이드홈의 틈새를 줄여 물의 흐름을 보다 면밀하게 차단한다.
그리고 상기 길이조절수단(60)은
연결파이프의 중앙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자바라식으로 접혀다 펴져 연결파이프의 길이를 가변시키는 주름부(61)와,
제1막대(64)와, 상기 제1막대 내측에 삽입되어 슬라이드 이동하는 제2막대(65)로 구성되며, 상기 제1막대와 제2막대의 단부는 각각 상기 연결파이프 양단에 고정되어 상기 주름부의 길이 가변에 따라 함께 길이가 가변되는 보강막대(6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보강막대(63)는 주름부로 인해 연결파이프가 화분들을 서로 연결지지하는 힘이 약해지는 것을 보강하여, 화분 세트의 안정성을 높인다.
그리고 상기 탈착수단(50)은
화분에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내측에는 화분의 수용부(13)와 연통되는 연통홀(52)이 형성되어 있고, 외면 또는 내면에는 결합홈(53)이 형성되어 있고, 내면에 는 상기 연통홀을 개폐하는 개폐패널(54)이 구비되어 있는 수결합부(51)와,
연결파이프와 일체를 이루어 단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수결합부에 억지끼움식으로 암수결합되고, 내면 또는 외면에는 상기 결합홈과 결합되는 결합돌기(57)가 형성되어 있는 암결합부(5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개폐패널은 연결파이프를 제거한 후에 화분을 독립적으로 사용하거나, 이동시에 연통홀을 폐쇄하여 화분 내의 흙이나 물이 흘러 나오는 것을 방지하는데 사용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수로를 갖는 연결파이프로 연결된 수평배열 화분 세트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화분 세트의 일례에 따른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화분 세트의 일례에 따른 사용 상태도.
도 3a,b,c 는 본 발명에 따른 길이조절수단, 개폐수단, 탈착수단을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a,b,c : 화분 20 : 연결파이프
21 : 수로 30 : 받침판
40 : 개폐수단 50 : 탈착수단
60 : 길이조절수단

Claims (4)

  1. 삭제
  2. 삭제
  3.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화분;
    상기 다수의 화분을 상호 연결하며, 내면에는 수로가 형성되어 있는 연결파이프;
    상기 연결파이프의 수로를 개폐하는 개폐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개폐수단은
    승하강하여 상기 수로를 개폐하는 개폐판과,
    상기 연결파이프의 상부면에 형성되어 상기 개폐판이 삽입되는 삽입홀과, 상기 연결파이프의 내벽에 형성되어 상기 개폐판의 승하강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홈과,
    상기 개폐판의 일면 상하부에 각각 경사져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수로의 폐쇄시에 상기 연결파이프의 상부면 삽입홀과 바닥면 가이드홈에 각각 가압되어 개폐판을 가이드홈을 형성하는 내벽에 밀착시키는 경사부와,
    상기 개폐판의 일면 하부에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수로의 개방시 상기 삽입홀 외부에 걸려 자중에 의해 개폐판이 하강하지 않도록 하는 걸림돌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로를 갖는 연결파이프로 연결된 수평배열 화분 세트.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파이프가 상기 화분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하는 탈착수단;과
    상기 연결파이프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길이조절수단;을 더 포함하되,
    상기 탈착수단은
    화분에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내측에는 화분의 수용부와 연통되는 연통홀이 형성되어 있고, 외면 또는 내면에는 결합홈이 형성되어 있고, 내면에는 상기 연통홀을 개폐하는 개폐패널이 구비되어 있는 수결합부와,
    연결파이프와 일체를 이루어 단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수결합부에 억지끼움식으로 암수결합되고, 내면 또는 외면에는 상기 결합홈과 결합되는 결합돌기이 형성되어 있는 암결합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길이조절수단은
    연결파이프의 중앙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자바라식으로 접혀다 펴져 연결파이프의 길이를 가변시키는 주름부와,
    제1막대와, 상기 제1막대 내측에 삽입되어 슬라이드 이동하는 제2막대로 구성되며, 상기 제1막대와 제2막대의 단부는 각각 상기 연결파이프 양단에 고정되어 상기 주름부의 길이 가변에 따라 함께 길이가 가변되는 보강막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로를 갖는 연결파이프로 연결된 수평배열 화분 세트.
KR1020090065934A 2009-07-13 2009-07-20 수로를 갖는 연결파이프로 연결된 수평배열 화분 세트 KR1009373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063676 2009-07-13
KR1020090063676 2009-07-1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37391B1 true KR100937391B1 (ko) 2010-01-18

Family

ID=418099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5934A KR100937391B1 (ko) 2009-07-13 2009-07-20 수로를 갖는 연결파이프로 연결된 수평배열 화분 세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739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8399Y1 (ko) * 1992-05-08 1994-12-19 김갑수 조립식 화분진열대
KR20030021657A (ko) * 2001-09-07 2003-03-15 구선경 양액 재배용 재배용기
KR20040106867A (ko) * 2003-06-12 2004-12-18 신현성 조립식 실내화단
KR20080083280A (ko) * 2005-11-30 2008-09-17 산토리 가부시키가이샤 식물 재배 유닛 및 식물 재배 용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8399Y1 (ko) * 1992-05-08 1994-12-19 김갑수 조립식 화분진열대
KR20030021657A (ko) * 2001-09-07 2003-03-15 구선경 양액 재배용 재배용기
KR20040106867A (ko) * 2003-06-12 2004-12-18 신현성 조립식 실내화단
KR20080083280A (ko) * 2005-11-30 2008-09-17 산토리 가부시키가이샤 식물 재배 유닛 및 식물 재배 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30614B2 (en) Stackable container
US20080313960A1 (en) Mobile planter
KR200477950Y1 (ko) 수직 정원 화분 장치
KR200477376Y1 (ko) 무동력 자동 관수 화분
KR102175972B1 (ko) 자동급수가 가능한 걸이식 화분
KR101774647B1 (ko) 화분용 급수통
KR100792582B1 (ko) 지주체 결합용 자동 물공급 가능한 화분
KR100653314B1 (ko) 화분
KR100937391B1 (ko) 수로를 갖는 연결파이프로 연결된 수평배열 화분 세트
KR101099542B1 (ko) 수직 적층에 적합한 화분의 급수 구조
KR101502280B1 (ko) 자동 급수 제어 기능을 갖춘 화분
US20170127626A1 (en) Automatic timed-release water-supplying flowerpot
KR20110009107U (ko) 외통에 물받이대가 구비된 화분
KR200465181Y1 (ko) 화분 겸용 테이블
KR101280123B1 (ko) 식물재배기 겸용 화분 받침대
KR101248497B1 (ko) 수경재배시스템
KR102072294B1 (ko) 확장형 화분
DK2529616T3 (en) Flowerpot Interior
KR101260158B1 (ko) 화분 받침대
KR101099546B1 (ko) 이중 식재 공간을 가진 조경용 화분
KR200481744Y1 (ko) 착탈식 화분
CN215122381U (zh) 一种可收折的花盆
KR102538925B1 (ko) 저면급수 화분
KR102303717B1 (ko) 화분용 자동 급수장치
WO2010110756A2 (en) A modular receptacle for plant and a handling device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