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6984B1 - 차량의 연료 주입 장치용 필러넥 - Google Patents

차량의 연료 주입 장치용 필러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6984B1
KR100936984B1 KR1020080047253A KR20080047253A KR100936984B1 KR 100936984 B1 KR100936984 B1 KR 100936984B1 KR 1020080047253 A KR1020080047253 A KR 1020080047253A KR 20080047253 A KR20080047253 A KR 20080047253A KR 100936984 B1 KR100936984 B1 KR 1009369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leveling
filler
fuel injection
leveling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72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21121A (ko
Inventor
강수구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472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6984B1/ko
Publication of KR200901211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11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69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69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4Tank in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4Tank inlets
    • B60K2015/0458Details of the tank inlet
    • B60K2015/0477Details of the filler neck tank si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연료 주입 장치용 필러넥은, ⅰ)연료 탱크의 내부로 연결되게 설치되며, 연료 주유건이 삽입되는 연료 주입구를 상단부에 형성하고 있는 필러 파이프와, ⅱ)상기 필러 파이프의 내부에 장착되어 연료의 주입량을 제어하기 위한 레벨링 튜브와, ⅲ)상기 연료 주유건이 끼워지는 리테이너홀, 및 상기 레벨링 튜브의 상단과 연결되는 연결부를 지니며 상기 연료 주입구의 내부에 장착되는 브라켓유닛과, ⅳ)상기 필러 파이프를 통한 연료의 역류를 저지하기 위한 셧-오프 밸브를 가지면서 상기 필러 파이프의 하단부에 장착되어 상기 레벨링 튜브의 하단부를 지지하는 지지 홀더를 포함한다.
연료, 주입, 필러넥, 필러 파이프, 레벨링 튜브, 내장

Description

차량의 연료 주입 장치용 필러넥 {FILLER NECK}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차량의 연료 주입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필러 파이프에 레벨링 튜브가 내장된 차량의 연료 주입 장치용 필러넥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승용 차량에는 연료 주유구를 통해 연료를 연료 탱크로 주입하기 위한 연료 주입장치가 구비되는데, 이러한 연료 주입장치에는 도 7에서와 같이 연료 탱크(1)의 일측으로 연료의 주입 통로를 형성하는 필러 파이프(2)와, 필러 파이프(2)와 일체로 연결되면서 그 필러 파이프(2)와 나란하게 연료 탱크(1)의 내부로 연결되는 레벨링 파이프(4)로서 이루어지는 필러넥(9)을 구비하고 있다.
이 경우, 상기 필러 파이프(2)와 레벨링 파이프(4)는 스틸 소재로서 이루어지며, 그 레벨링 파이프(4)가 필러 파이프(2)에 용접식으로 연결된 구조를 지닌다.
여기서, 상기 레벨링 파이프(4)는 필러 파이프(2)를 통해 연료 탱크(1)의 내부로 연료가 주입되는 과정에서, 연료 탱크(1) 내부의 공기를 필러 파이프(2)를 통해 배출시켜 연료의 주입을 원활하게 한다.
또한, 상기 레벨링 파이프(4)는 연료가 연료 탱크(1) 내부의 풀 레벨(full level, 당 업계에서는 통상적으로 "공칭 용량" 이라고도 한다)까지 주입되는 경우, 그 공칭 용량의 유면에 의해 관로가 막히게 되면서 필러 파이프(2)를 통한 연료의 주유를 차단하는 기능도 하게 된다.
즉, 레벨링 파이프(4)가 공칭 용량의 유면에 의해 막히게 되면, 연료 탱크(1) 내부의 압력 상승에 의해서 필러 파이프(2)를 통해 주입되는 연료가 역류하여 주유건(미도시)에 이르게 되고, 결국 주유건에 마련된 센서(미도시)에 필러 파이프(2)로 상승된 연료가 닿게 되어 주유건의 작동을 정지시키게 된다.
그런데, 종래 기술에서는 필러 파이프(2)에 별도 라인의 레벨링 파이프(4)가 구성되므로, 레벨링 파이프(4)로 인해 필러넥(9) 설계시 주변부(타이어, 차체, 휠가드 등)와의 간극 확보가 어려워 펠러넥 레이아웃의 설정이 불리하다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또한, 종래 기술에서는 필러 파이프(2)와 레벨링 파이프(4)의 용접 구조로 인해 차량의 충돌시, 필러 파이프(2)와 레벨링 파이프(4)의 용접 부위가 파손되거나 그 용접 부위에 틈새가 발생하는 바, 결과적으로는 연료의 누유 발생으로 인해 차량의 충돌 및 방청 성능의 확보가 어렵다는 문제점도 내포하고 있다.
그리고, 종래 기술에서는 레벨링 파이프(4)가 스틸 소재로서 이루어지므로, 표면 처리 및 브라켓의 설치에 따른 원가의 상승을 야기시킨다는 문제점도 내포하고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상기에서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레이아웃 설정에 유리하고, 차량의 충돌 및 방청 성능의 개선으로 누유 발생을 막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원가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의 연료 주입 장치용 필러넥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연료 주입 장치용 필러넥은, ⅰ)연료 탱크의 내부로 연결되게 설치되며, 연료 주유건이 삽입되는 연료 주입구를 상단부에 형성하고 있는 필러 파이프와, ⅱ)상기 필러 파이프의 내부에 장착되어 연료의 주입량을 제어하기 위한 레벨링 튜브와, ⅲ)상기 연료 주유건이 끼워지는 리테이너홀, 및 상기 레벨링 튜브의 상단과 연결되는 연결부를 지니며 상기 연료 주입구의 내부에 장착되는 브라켓유닛과, ⅳ)상기 필러 파이프를 통한 연료의 역류를 저지하기 위한 셧-오프 밸브를 가지면서 상기 필러 파이프의 하단부에 장착되어 상기 레벨링 튜브의 하단부를 지지하는 지지 홀더를 포함한다.
상기 차량의 연료 주입 장치용 필러넥에 있어서, 상기 지지 홀더에는 상기 레벨링 튜브를 지지하는 지지홈이 형성되며, 상기 레벨링 튜브를 상기 지지홈으로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 클립이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차량의 연료 주입 장치용 필러넥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유닛의 연결부 는 상기 레벨링 튜브를 통해 상기 연료 주입구로 배출되는 연료를 저지하기 위한 격벽이 형성되고, 상기 격벽을 사이에 두고 이의 양측으로 적어도 하나의 벤트홀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차량의 연료 주입 장치용 필러넥은, ⅴ)상기 레벨링 튜브의 하단에 장착되어 상기 연료의 주입 차단 레벨을 조절하기 위한 레벨링 조절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량의 연료 주입 장치용 필러넥에 있어서, 상기 레벨링 튜브는 나일론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차량의 연료 주입 장치용 필러넥에 있어서, 상기 레벨링 조절부재는 일측 단부가 상기 레벨링 튜브의 하단에 연결되고 다른 일측 단부에 사선형의 단면을 지닌 플라스틱 소재의 파이프 형태로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연료 주입 장치용 필러넥에 의하면, 필러 파이프의 내부에 레벨링 튜브가 장착되는 구조로서 이루어지므로, 종래 기술과 달리 필러 파이프 하나 만으로 레이 아웃을 설정할 수 있으므로 주변부와의 간극 확보에 유리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종래 기술과 같은 레벨링 파이프를 삭제함에 따라 필러 파이프에 용접 부위가 없어지게 되므로, 이를 통한 충돌 및 방청 성능의 개선으로 연료의 누유 발생을 막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레벨링 파이프가 스틸로서 이루어지는 종래 기술과 달리, 레벨링 튜브가 나일론 소재로서 이루어지므로, 표면처리 및 브라켓 축소에 따른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레벨링 조절부재의 교체를 통해 연료의 주입 차단 레벨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연료 탱크의 가변적인 공칭 유량 유면에 적극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반드시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연료 주입 장치용 필러넥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단면 구성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의한 차량의 연료 주입 장치용 필러넥(100)은 연료 탱크(1)의 내부로 연료를 주입하며, 그 연료 탱크(1)에 대한 연료의 주입량을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 의한 상기 필러넥(100)은 주변부, 예컨대 타이어, 차체, 휠가드 등과의 간극 확보에 유리한 레이 아웃의 설정이 가능하고, 충돌 성능 및 방청 성능의 개선으로 연료의 누유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로서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 의한 상기 필러넥(100)은 기본적으로, 필러 파이프(10)와, 레벨링 튜브(30)와, 브라켓유닛(50)과, 지지 홀더(70)와, 레벨링 조절부 재(9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바, 구체적으로는 필러 파이프(10) 내에 레벨링 튜브(30)가 내장되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필러 파이프(10)는 금속 소재의 관로 형태로서 이루어지며, 연료 탱크(1)의 내부로 연결되게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필러 파이프(10)의 상단부에는 연료 주유건(G)이 삽입되는 연료 주입구(11)를 형성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레벨링 튜브(30)는 언급한 바 있듯이 필러 파이프(10)의 내부에 장착되는 바, 연료 탱크(1)에 대한 연료의 주입량을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즉, 상기 레벨링 튜브(30)는 필러 파이프(10)를 통해 연료 탱크(1)의 내부로 연료가 주입되는 과정에서, 연료 탱크(1) 내부의 공기를 필러 파이프(10)의 연료 주입구(11)를 통해 배출시켜 연료의 주입을 원활하게 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 레벨링 튜브(30)는 연료가 연료 탱크(1) 내부의 풀 레벨(full level, 당 업계에서는 통상적으로 "공칭 용량" 이라고도 한다)까지 주입되는 경우, 그 공칭 용량의 유면에 의해 관로가 막히게 되면서 필러 파이프(10)를 통한 연료의 주유를 차단하는 기능도 하게 된다.
이러한 레벨링 튜브(30)는 뒤에서 더욱 자세하게 설명하는 브라켓유닛(50) 및 지지 홀더(70)를 통하여 필러 파이프(10)의 내부에 장착되며, 바람직하게는 나일론 튜브로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브라켓유닛(50)은 레벨링 튜브(30)의 상단부 및 연료 주유건(G)을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즉, 상기 브라켓유닛(50)은 필러 파이프(10)의 연료 주입구(11)에 대한 연료 주유건(G)의 삽입시 그 연료 주유건(G)의 위치를 고정시킴과 동시에 연료 주유건(G)과 레벨링 튜브(30)의 간섭을 방지하며, 필러 파이프(10)를 통한 연료의 주입시 연료 탱크(1) 내부의 공기를 레벨링 튜브(30)를 통해 원활하게 배출시키는 기능을 하게 된다.
상기 브라켓유닛(50)은 필러 파이프(10)에 있어 연료 주입구(11)의 내부에 장착된다.
이러한 브라켓유닛(50)은 기본적으로, 도 3 및 도 4에서와 같이 필러 파이프(10)의 연료 주입구(11) 내부에 끼워지는 몸체(51)와, 그 몸체(51)에 형성되는 리테이너홀(52) 및 연결부(5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리테이너홀(52)은 연료 주유건(G)이 삽입되는 부분으로 필러 파이프(10)와 상호 연결된다.
즉, 상기 리테이너홀(52)은 언급한 바와 같이 연료 주유건(G)의 위치를 고정시키고, 연료 주유건(G)과 레벨링 튜브(30)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연결부(53)는 몸체(51)와 일체로서 형성되는 것으로, 레벨링 튜브(30)의 상단과 연결되는 파이프 형태의 컨넥터(54)가 구비된다.
상기한 컨넥터(54)에 있어, 이의 일측 단부에는 레벨링 튜브(30)의 상단 부분이 연결되며, 다른 일측 단부는 몸체(51)에 구멍(55)으로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컨넥터(54)에는 레벨링 튜브(30)를 통해 필러 파이프(10)의 연 료 주입구(11)로 배출되는 연료를 저지하기 위한 격벽(56)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컨넥터(54)에는 레벨링 튜브(30)를 통한 공기의 유동을 원활하게 유도하기 위해 격벽(56)을 사이에 두고 이의 양측으로 복수의 벤트홀들(57)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 홀더(70)는 필러 파이프(10)를 통한 연료의 역류를 저지하면서 레벨링 튜브(30)의 하단부를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지지 홀더(70)는 도 5 및 도 6에서와 같이, 연료의 역류를 저지하기 위한 셧-오프 밸브(71)를 가지면서 레벨링 튜브(30)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홈(72)을 형성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셧-오프 밸브(71)는 당 업계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공지 기술의 셧-오프 밸브로서 이루어지므로, 본 명세서에서 그 구체적인 구성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 지지 홀더(70)에는 레벨링 튜브(30)를 지지홈(72)으로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 클립(73)이 장착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레벨링 조절부재(90)는 연료의 주입시 레벨링 튜브(30)를 통한 연료의 주입 차단 레벨을 조절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레벨링 조절부재(90)는 레벨링 튜브(30)의 하단에 장착되는 바, 일측 단부가 레벨링 튜브(30)의 하단으로 교체 가능하게 끼워지고, 다른 일측 단부에 사선형의 단면(91)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레벨링 조절부재(90)는 플라스틱 소재로 이루어지며, 일정 길 이를 지닌 파이프 형태를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연료 주입 장치용 필러넥(100)에 의하면, 브라켓유닛(50)의 리테이너홀(52)에 연료 주유건(G)이 끼워진 상태로 필러 파이프(10)를 통하여 연료 탱크(1)의 내부로 연료가 주입되는 과정에서, 연료 탱크(1) 내부의 공기가 레벨링 튜브(30)로 유동하여 필러 파이프(10)의 연료 주입구(11)를 통해 배출됨으로 연료의 주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이 과정에서, 연료 탱크(1) 내부의 공기는 레벨링 튜브(30)를 통해 브라켓유닛(50)의 연결부(53)로 유동되고, 그 연결부(53)에서 컨넥터(54)의 벤트홀(57)을 통하여 필러 파이프(10)의 연료 주입구(11)로 배출된다.
한편, 연료가 연료 탱크(1) 내부의 풀 레벨까지 주입되는 경우, 공칭 유량의 유면에 의해 레벨링 튜브(30)가 막히는 경우, 지지 홀더(70)의 셧-오프 밸브(71)의 작동으로서 연료의 주입이 차단된다.
이 과정에서, 연료 탱크(1) 내부의 공칭 유량 유면에 닿게 되는 레벨링 조절부재(90)의 단부에 사선형의 단면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그 공칭 유량의 유면에 대해 동일한 높이를 유지하게 되므로 주유시마다 동일한 공칭 용량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즉, 이 경우는 레벨링 조절부재(90)의 사선형 단면이 연료 탱크(1)의 공칭 유량 면과 일치하기 때문에, 필러 파이프(10)를 통한 연료의 주입 속도 변화에 관계 없이 항상 일정한 공칭 유량 유면에서 레벨링 튜브(30)를 통한 연료 탱크(1) 내부의 공기 배출이 멈추어 주입 연료의 컷이 이루어지게 된다.
부연 설명하면, 예를 들어 레벨링 조절부재(90)의 단면이 비사선형인 경우, 공칭 유량 유면이 그 비사선형 단면적의 1/2~3/4 높이 부분에 도달했을 때, 연료 탱크(1) 내부의 공기 배출이 멈추어 연료 컷이 이루어지는 바, 주입 연료의 주입 속도에 따라 그 주입 속도가 빠를 경우에는 낮은 높이에서 주입 연료의 컷이 이루어지고, 주입 연료의 주입 속도가 느릴 경우에는 높은 높이에서 주입 연료의 컷이 나타나기 때문에, 주입 연료의 주입 속도 변화에 따라 항상 동일한 공칭 용량을 확보할 수 없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공칭 유량의 유면에 닿게 되는 레벨링 조절부재(90)의 단부에 그 공칭 유량의 유면과 일치하는 사선형의 단면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주입 연료의 주입 속도에 관계 없이 항상 일정한 공칭 유량 유면에서 레벨링 튜브(30)를 통한 연료 탱크(1) 내부의 공기 배출이 멈추어 주입 연료의 컷이 이루어지므로, 주유시 마다 동일한 공칭 용량을 확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과정에서 연료 탱크(1) 내부의 연료가 레벨링 튜브(30)를 통해 역류하는 경우, 상기한 컨넥터(54)의 격벽(56)에 의해 저지되어 연료가 필러 파이프(10)의 연료 주입구(11)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이른바 스핏 백(spit back)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본 실시예에서는 필러 파이프(10)의 내부에 레벨링 튜브(30)가 장착되는 구조로서 이루어지므로, 필러 파이프와 레벨링 파이프 두 개로서 레이 아웃을 설정하는 종래 기술과 달리, 필러 파이프(10) 하나 만으로 레이 아웃을 설정할 수 있으므로 주변부와의 간극 확보에 유리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종래 기술과 같은 레벨링 파이프를 삭제함에 따라 필러 파이프(10)에 용접 부위가 없어지게 되므로, 이를 통한 충돌 및 방청 성능의 개선으로 연료의 누유 발생을 막을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레벨링 파이프가 스틸로서 이루어지는 종래 기술과 달리, 레벨링 튜브(30)가 나일론 소재로서 이루어지므로, 표면처리 및 브라켓 축소에 따른 원가를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레벨링 조절부재(90)의 교체를 통해 연료의 주입 차단 레벨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연료 탱크(1)의 가변적인 공칭 유량 유면에 적극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이 도면들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설명하는데 참조하기 위함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한 도면에 한정해서 해석하여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연료 주입 장치용 필러넥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단면 구성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연료 주입 장치용 필러넥에 적용되는 브라켓유닛 부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연료 주입 장치용 필러넥에 적용되는 지지 홀더 부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의 연료 주입 장치용 필러넥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Claims (5)

  1. 연료 탱크의 내부로 연결되게 설치되며, 연료 주유건이 삽입되는 연료 주입구를 상단부에 형성하고 있는 필러 파이프;
    상기 필러 파이프의 내부에 장착되어 연료의 주입량을 제어하기 위한 레벨링 튜브;
    상기 연료 주유건이 끼워지는 리테이너홀, 및 상기 레벨링 튜브의 상단과 연결되는 연결부를 지니며 상기 연료 주입구의 내부에 장착되는 브라켓유닛; 및
    상기 필러 파이프를 통한 연료의 역류를 저지하기 위한 셧-오프 밸브를 가지면서 상기 필러 파이프의 하단부에 장착되어 상기 레벨링 튜브의 하단부를 지지하는 지지 홀더
    를 포함하는 차량의 연료 주입 장치용 필러넥.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홀더에는 상기 레벨링 튜브를 지지하는 지지홈이 형성되며, 상기 레벨링 튜브를 상기 지지홈으로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 클립이 장착되는 차량의 연료 주입 장치용 필러넥.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유닛의 연결부는,
    상기 레벨링 튜브를 통해 상기 연료 주입구로 배출되는 연료를 저지하기 위한 격벽이 형성되고, 상기 격벽을 사이에 두고 이의 양측으로 적어도 하나의 벤트홀이 각각 형성되는 차량의 연료 주입 장치용 필러넥.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벨링 튜브의 하단에 장착되어 상기 연료의 주입 차단 레벨을 조절하기 위한 레벨링 조절부재를 더욱 포함하는 차량의 연료 주입 장치용 필러넥.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벨링 튜브가 나일론 소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레벨링 조절부재는 일측 단부가 상기 레벨링 튜브의 하단에 연결되고 다른 일측 단부에 사선형의 단면을 지닌 플라스틱 소재의 파이프 형태로서 이루어지는 차량의 연료 주입 장치용 필러넥.
KR1020080047253A 2008-05-21 2008-05-21 차량의 연료 주입 장치용 필러넥 KR1009369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7253A KR100936984B1 (ko) 2008-05-21 2008-05-21 차량의 연료 주입 장치용 필러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7253A KR100936984B1 (ko) 2008-05-21 2008-05-21 차량의 연료 주입 장치용 필러넥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1121A KR20090121121A (ko) 2009-11-25
KR100936984B1 true KR100936984B1 (ko) 2010-01-15

Family

ID=416042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7253A KR100936984B1 (ko) 2008-05-21 2008-05-21 차량의 연료 주입 장치용 필러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698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9036A (ko) 2015-09-04 2017-03-15 코리아에프티 주식회사 필러넥 조립체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50376A (ko) 2015-06-22 2016-12-30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연료주입용 필러넥 장치
KR102394772B1 (ko) 2016-05-09 2022-05-0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주유중 오버플로우 방지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9517A (ko) * 1997-07-10 1999-02-05 박병재 자동차용 연료 탱크의 벤트 밸브
KR20020051035A (ko) * 2000-12-22 2002-06-28 이계안 연료주입시의 조기 공급중단방지장치
KR20020054371A (ko) * 2000-12-28 2002-07-08 이계안 연료 주입성 개선 및 연료증발가스 저감을 위한연료탱크의 레벨링 파이프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9517A (ko) * 1997-07-10 1999-02-05 박병재 자동차용 연료 탱크의 벤트 밸브
KR20020051035A (ko) * 2000-12-22 2002-06-28 이계안 연료주입시의 조기 공급중단방지장치
KR20020054371A (ko) * 2000-12-28 2002-07-08 이계안 연료 주입성 개선 및 연료증발가스 저감을 위한연료탱크의 레벨링 파이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9036A (ko) 2015-09-04 2017-03-15 코리아에프티 주식회사 필러넥 조립체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1121A (ko) 2009-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62218B2 (ja) 自動車用のブレーキ液タンク
KR100936984B1 (ko) 차량의 연료 주입 장치용 필러넥
JPWO2010053045A1 (ja) 燃料タンク
JP2002029272A (ja) 燃料送給ユニット
US20140196808A1 (en) Supply system for a liquid
US10895228B2 (en) Fuel ejector assembly for a vehicle
JP2016534286A (ja) ユニバーサル遮断弁
EP1312788B1 (en) Pulsation damping device in fuel pump module
JP5920240B2 (ja) 燃料電池用配管、燃料ガスの排出方法および接続管
US6367520B1 (en) Fuel filler inlet for motor vehicles
KR101737624B1 (ko) 필러넥 조립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00005415A (ko) 자동차용 연료탱크의 오버 플로우 방지장치
JP6020065B2 (ja) 燃料タンク
KR200417811Y1 (ko) 차량용 연료공급 장치
KR102212321B1 (ko) 엘피아이 시스템용 맥동완화장치
KR100716316B1 (ko) 자동차의 연료라인 소음저감용 댐퍼
MXPA02004638A (es) Aparato de suministro de combustible para motor.
JP2007120417A (ja) 燃料供給システムの配管振動抑制装置
US20170260942A1 (en) Fuel return device
GB2344086A (en) Fuel tank assembly
KR20240070805A (ko) 차량의 연료펌프 모듈
KR20130059983A (ko) 자동차용 연료탱크의 역류방지구조
EP1739302A1 (en) Jet pump assembly for a fuel delivery system or fuel delivery system
JP5485682B2 (ja) 液体還元剤増設タンクの大気開放構造
KR20170126154A (ko) 연료주유중 오버플로우 방지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8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