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6737B1 - 여과집진장치 - Google Patents

여과집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6737B1
KR100936737B1 KR1020090051008A KR20090051008A KR100936737B1 KR 100936737 B1 KR100936737 B1 KR 100936737B1 KR 1020090051008 A KR1020090051008 A KR 1020090051008A KR 20090051008 A KR20090051008 A KR 20090051008A KR 100936737 B1 KR100936737 B1 KR 1009367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ct
inlet
dust collector
dust collecting
du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10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봉술
이승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레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레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레코
Priority to KR10200900510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67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67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67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2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having hollow filters made of flexible material
    • B01D46/023Pockets filters, i.e. multiple bag filters mounted on a common fr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여과집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인입구(11a,12a)와 토출구(11b,12b)가 마련된 복수의 집진실(11,12)을 갖는 1차집진기(10)와, 인입구(21a,22a)와 토출구(21b,22b)가 마련된 복수의 집진실(21,22)을 갖는 2차집진기(20)로 이루어지고, 이 제1, 2차집진기(10,20)가 단일 유로를 갖는 덕트 구조에 의해 일체형으로 구성되며, 이 덕트 구조는, 상기 1차집진기(10)의 각 인입구(11a,12a)와 연통되고 가스가 유입되는 메인유입구(31)가 마련된 제1인입덕트(30); 상기 1차집진기(10)의 각 토출구(11b,12b)와 연통되는 제1토출덕트(40); 상기 2차집진기(20)의 각 인입구(21a,22a)와 연통되는 제2인입덕트(50); 상기 제2인입덕트(50)와 연통된 2차집진기(20)의 각 토출구(21b,22b)와 연통되고 가스를 배출시키는 메인배출구(61)가 마련된 제2토출덕트(60); 및 상기 제1토출덕트(40)와 제2인입덕트(50)를 연통시키는 연통로(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집진기 설치를 위한 공간이 대폭 축소되어 공간 활용이 용이하게 되는 동시에 그 설치비도 대폭 감축시킬 수 있음은 물론 단일 유로를 통한 가스 여과작업이 신속하게 이루어져 결과적으로 작업능률이 대폭 향상될 수 있도록 하는 등의 효과를 얻는다.
여과집진장치, 제1인입덕트, 제1토출덕트, 연통로, 이중댐퍼

Description

여과집진장치{Dust collecting apparatus using filter bags with single gas passing duct}
본 발명은 여과집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1, 2차집진기를 일체형 구조가 되도록 서로 밀착 결합시키는 동시에 가스가 흐르는 덕트 역시 단일 유로로 구성함으로써, 집진기 설치를 위한 공간이 대폭 축소되어 공간 활용이 용이하게 되는 동시에 그 설치비도 대폭 감축시킬 수 있음은 물론 단일 유로를 통한 가스 여과작업이 신속하게 이루어져 결과적으로 작업능률이 대폭 향상될 수 있도록 하는 여과집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여과집진장치는 대기오염 방지시설 중 하나로서, 외부의 함진가스를 본체 내부로 유입하여 필터백을 거치는 동안 분진이 여과되도록 하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여과집진장치 중 대기오염 방지시설의 소각시설에 설치되는 여과집진장치로서 1, 2차여과집진기를 사용하여 오염가스를 여과시키도록 하는 장치가 있다.
일례로 이러한 종래 기술의 여과집진장치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살 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에서 나타내듯이, 종래 기술의 여과집진장치는 상부가 관체 구조로 되고 그 하부가 원추형 구조로 된 본체(2a)와, 이 본체(2a)의 하단부 일측에 함진가스가 유입되는 유입구(2b)가 마련되고, 이 유입구(2b)의 상방인 본체(2a) 내부에 복수의 필터백(2c)이 설치되며, 이 필터백(2c)을 거친 여과가스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본체(2)의 상단부에 배출구(2d)가 형성되는 단위 집진실 한 쌍이 서로 연결된 1차집진기(2)가 마련되고, 이 1차집진기(2)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 2차집진기(4)가 더 마련되며 이들 1, 2차집진기(2,4)가 별도의 연결덕트(6)에 의해 연결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의 여과집진장치는 1, 2차집진기가 서로 분리된 상태로 연결되는 구성이기 때문에, 그만큼 설치 공간이 많이 필요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또한, 1, 2차집진기를 연통시키기 위해 별도의 연결덕트를 마련해야 했기 때문에, 이 연결덕트의 추가에 따른 비용 부담은 물론 가스 여과 경로도 이 연결덕트를 경유하여야 하기 때문에, 여과 작업시간이 길어지게 되는 등 전반적으로 비용이 상승하게 됨은 물론 작업능률이 하락하게 되는 등의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1, 2차집진기를 일체형 구조가 되도록 서로 밀착 결합시키는 동시에 가스가 흐르는 덕트 역시 단일 유로로 구성함으로써, 집진기 설치를 위한 공간이 대폭 축소되어 공간 활용이 용이하게 되는 동시에 그 설치비도 대폭 감축시킬 수 있음은 물론 단일 유로를 통한 가스 여과작업이 신속하게 이루어져 결과적으로 작업능률이 대폭 향상될 수 있도록 하는 여과집진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여과집진장치는 인입구와 토출구가 마련된 복수의 집진실을 갖는 1차집진기와, 인입구와 토출구가 마련된 복수의 집진실을 갖는 2차집진기로 이루어지는 여과집진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2차집진기가 단일 유로를 갖는 덕트 구조에 의해 일체형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여과집진장치에 있어서, 상기 덕트 구조는, 상기 1차집진기의 각 인입구와 연통되고 외부로부터 가스가 유입되는 메인유입구가 마련된 제1인입덕트; 상기 제1인입덕트와 연통된 1차집진기의 각 토출구와 연통되는 제1토출덕트; 상기 2차집진기의 각 인입구와 연통되는 제2인입덕트; 상기 제2인입덕트와 연통된 2차집진기의 각 토출구와 연통되고 외부로 가스를 배출시키는 메인배출구가 마련된 제2토출덕트; 및 상기 제1토출덕트와 제2인입덕트를 연통시키는 연통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여과집진장치에 있어서, 상기 각 집진실의 인입구와 토출구에는 이들의 개폐를 단속하기 위한 개폐단속수단이 더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여과집진장치에 있어서, 상기 개폐단속수단은 상기 인입구와 토출구를 동시에 개폐시키도록 하는 이중댐퍼 구조로 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여과집진장치는 1, 2차집진기를 일체형 구조가 되도록 서로 밀착 결합시키는 동시에 가스가 흐르는 덕트 역시 단일 유로로 구성함으로써, 집진기 설치를 위한 공간이 대폭 축소되어 공간 활용이 용이하게 되는 동시에 그 설치비도 대폭 감축시킬 수 있음은 물론 단일 유로를 통한 가스 여과작업이 신속하게 이루어져 결과적으로 작업능률이 대폭 향상될 수 있도록 하는 등의 효과를 얻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및 도 3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과집진장치는 인입구(11a,12a)와 토출구(11b,12b)가 마련된 복수의 집진실(11,12)을 갖는 1차집진기(10)와, 인입구(21a,22a)와 토출구(21b,22b)가 마련된 복수의 집진실(21,22)을 갖는 2차집진기(20)로 이루어지고, 이 제1, 2차집진기(10,20)가 단일 유로를 갖는 덕트 구조에 의해 일체형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덕트 구조는 1차집진기(10)의 각 인입구(11a,12a)와 연통되고 외부로부터 가스가 유입되는 메인유입구(31)가 마련된 제1인입덕트(30)와, 이 제1인입덕트(30)와 연통된 1차집진기(10)의 각 토출구(11b,12b)와 연통되는 제1토출덕트(40)와, 상기 2차집진기(20)의 각 인입구(21a,22a)와 연통되는 제2인입덕트(50)와, 이 제2인입덕트(50)와 연통된 2차집진기(20)의 각 토출구(21b,22b)와 연통되고 외부로 가스를 배출시키는 메인배출구(61)가 마련된 제2토출덕트(60) 및 상기 제1토출덕트(40)와 제2인입덕트(50)를 연통시키는 연통로(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각 집진실(11,12,21,22)의 인입구(11a,12a,21a,22a)와 토출구(11b,12b,21b,22b)에는 이들의 개폐를 단속하기 위한 개폐단속수단이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개폐단속수단은 상기 인입구(11a,12a,21a,22a)와 토출구(11b,12b,21b,22b)를 동시에 개폐시키도록 하는 이중댐퍼(80) 구조로 되어 있다.
한편, 상기 개폐단속수단은 집진실 내의 필터백이 모래(분진) 등에 의해 손상되거나 망가진 경우 유지 보수를 의해 해당 집진실 가동시키지 않고 밀폐시킬 때 사용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여과집진장치는 제1인입덕트(30)의 메인유입구(31)를 통해 외부로부터의 가스가 유입되면 1차집진기(10)의 각 인입구(11a,12a)로 인입되어 해당 집진실(11,12)의 필터백을 거친 후 여과가 이루어지면 각 토출구(11b,12b)로 토출되어 제1토출덕트(40)로 흐른다.
그리고, 상기 제1토출덕트(40)를 따라 흐르다가 연통로(70)를 거쳐 2차집진기(20)의 제2인입덕트(50)로 안내되어 각 집진실(21,22)의 인입구(21a,22a)로 인입된다.
그런 다음, 해당 집진실(21,22)의 필터백을 거치면서 여과가 이루어지고 난 후 각 토출구(21b,22b)로 토출되어 제2토출덕트(60)를 따라 최종적으로 메인배출구(61)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면서 가스의 여과 처리가 완료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이중 집진기를 거치는 동안 배출되는 가스의 배출 농도를 법적 농도에 맞출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4는 제1집진실(11) 내의 필터백이 모래(분진) 등에 의해 손상되거나 망가졌을 경우를 가정하여 유지 보수를 위해 상기 이중댐퍼(80)를 작동시켜 제1집진실 가동시키지 않고 밀폐시킨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여과집진장치를 나타낸 개략 측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과집진장치를 나타낸 개략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과집진장치의 덕트 유로를 나타낸 개략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과집진장치의 덕트 유로 중 이중댐퍼에 의해 제1집진실이 밀폐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1차집진기 2a : 본체
2b : 유입구 2c : 필터백
2d : 배출구 4 : 2차집진기
6 : 연결덕트 10 : 1차집진기
11 : 제1집진실 11a : 인입구
12b : 토출구 12 : 제2집진실
12a : 인입구 12b : 토출구
20 : 2차집진기 21 : 제3집진실
21a : 인입구 21b : 토출구
22 : 제4집진실 22a : 인입구
22b : 토출구 30 : 제1인입덕트
31 : 메인유입구 40 : 제1토출덕트
50 : 제2인입덕트 60 : 제2토출덕트
61 : 메인배출구 70 : 연통로
80 : 이중댐퍼

Claims (4)

  1. 인입구(11a,12a)와 토출구(11b,12b)가 마련된 복수의 집진실(11,12)을 갖는 1차집진기(10)와, 인입구(21a,22a)와 토출구(21b,22b)가 마련된 복수의 집진실(21,22)을 갖는 2차집진기(20)로 이루어지는 여과집진장치이고,
    상기 제1, 2차집진기(10,20)가 단일 유로를 갖는 덕트 구조에 의해 일체형으로 구성되되,
    상기 덕트 구조는,
    상기 1차집진기(10)의 각 인입구(11a,12a)와 연통되고 외부로부터 가스가 유입되는 메인유입구(31)가 마련된 제1인입덕트(30);
    상기 제1인입덕트(30)와 연통된 1차집진기(10)의 각 토출구(11b,12b)와 연통되는 제1토출덕트(40);
    상기 2차집진기(20)의 각 인입구(21a,22a)와 연통되는 제2인입덕트(50);
    상기 제2인입덕트(50)와 연통된 2차집진기(20)의 각 토출구(21b,22b)와 연통되고 외부로 가스를 배출시키는 메인배출구(61)가 마련된 제2토출덕트(60); 및
    상기 제1토출덕트(40)와 제2인입덕트(50)를 연통시키는 연통로(70);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각 집진실(11,12,21,22)의 인입구(11a,12a,21a,22a)와 토출구(11b,12b,21b,22b)에는 이들의 개폐를 단속하기 위한 개폐단속수단이 더 구비되며,
    상기 개폐단속수단은 상기 인입구(11a,12a,21a,22a)와 토출구(11b,12b,21b,22b)를 동시에 개폐시키도록 하는 이중댐퍼(80) 구조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집진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090051008A 2009-06-09 2009-06-09 여과집진장치 KR1009367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1008A KR100936737B1 (ko) 2009-06-09 2009-06-09 여과집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1008A KR100936737B1 (ko) 2009-06-09 2009-06-09 여과집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36737B1 true KR100936737B1 (ko) 2010-01-14

Family

ID=418097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1008A KR100936737B1 (ko) 2009-06-09 2009-06-09 여과집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673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9666B1 (ko) * 2006-10-26 2007-10-23 지이큐솔루션 주식회사 이중여과구조를 갖춘 일체형 여과식 집진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9666B1 (ko) * 2006-10-26 2007-10-23 지이큐솔루션 주식회사 이중여과구조를 갖춘 일체형 여과식 집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057137A (en) Gas filter construction
CN104707383B (zh) 水过滤器及其工作方法
CN102961932B (zh) 一种分隔式滤芯装置
CN202962169U (zh) 一种分隔式滤芯装置
CN201381873Y (zh) 负压除渣过滤放水器及抽采装置
KR100936737B1 (ko) 여과집진장치
CN105422222A (zh) 一种双腔式汽车尾气处理装置的控制系统
CN111167205A (zh) 一种快速过滤排渣装置
CN104406283B (zh) 一种立方形高效送风口
CN105920933B (zh) 高效节能环保除尘装置
CN206184134U (zh) 袋式除尘器
CN214120819U (zh) 一种用于烧结炉的尾气焦油冷凝器
KR20090078997A (ko) 세라믹 필터를 이용한 에어펄스 타입 집진기
CN102557030B (zh) 碳化硅冶炼炉尾气收集系统
CN109999569B (zh) 一种用于高温含尘废气的除尘装置及其使用方法
EA035409B1 (ru) Горизонтальный фильтр-пресс, фильтрующая система, способ работы горизонтального фильтр-пресса и машиночитаемый носитель информации, содержащий компьютерный программный продукт
CN205404220U (zh) 一种智能大气采样器
CN204756878U (zh) 一种高效节能汽水分离器
CN204247070U (zh) 一种真空热解炉清洗装置及其烟水分离器
CN103357232A (zh) 一种具备完全离线功能的电袋复合除尘器
CN219997037U (zh) 一种排气单元
CN216062615U (zh) 一种小型通风除烟尘装置
CN214345059U (zh) 锅炉废气处理装置
CN103111147A (zh) 一种双过滤气体除尘器
CN104941378B (zh) 污染气体过滤消音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