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5371B1 - 프로토콜 확장을 이용한 이동 단말의 이동성 지원 방법 - Google Patents

프로토콜 확장을 이용한 이동 단말의 이동성 지원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5371B1
KR100935371B1 KR1020070133229A KR20070133229A KR100935371B1 KR 100935371 B1 KR100935371 B1 KR 100935371B1 KR 1020070133229 A KR1020070133229 A KR 1020070133229A KR 20070133229 A KR20070133229 A KR 20070133229A KR 100935371 B1 KR100935371 B1 KR 1009353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twork
protocol
mobile terminal
l3shim
n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32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65755A (ko
Inventor
유태완
인민교
이승윤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701332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5371B1/ko
Publication of KR200900657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57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53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53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2Processing of mobility data, e.g. registration information at HLR [Home Location Register] or 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Transfer of mobility data, e.g. between HLR, VLR or external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8Selecting a network or a communication ser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0Wireless network protocols or protocol adaptations to wireless operation
    • H04W80/04Network layer protocols, e.g. mobile IP [Internet Protocol]
    • H04W80/045Network layer protocols, e.g. mobile IP [Internet Protocol] involving different protocol versions, e.g. MIPv4 and MIPv6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로토콜 확장을 이용한 이동 단말의 이동성 지원 방법에 관한 것으로, L3SHIM 프로토콜을 확장하여 이동 단말에 적용시킴으로써 멀티호밍뿐만 아니라 이동성을 지원할 수 있고, 로케이션 관리 부분을 제외한 핸드오버 부분과 데이터 전송을 써드 파티(third party)의 에이젼트가 필요하지 않으며, 직접 데이터 헤더를 추가하여 전송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업데이트 메시지에서 새로운 주소의 추가(ADD) 및 삭제(DELETE)를 위한 새로운 옵션을 추가함에 따라 자주 발생하는 업데이트 메시지를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다.
이동 단말, 고정 단말, 프로토콜, 네트워크

Description

프로토콜 확장을 이용한 이동 단말의 이동성 지원 방법{MOVE CRAVING METHOD OF MOBILE TERMINAL BY USING PROTOCOL INCREASE}
본 발명은 고정 단말에서 사이트 멀티호밍 환경을 지원하기 위한 L3SHIM(L3 Site Multihoming by IPv6 Intermediation, 이하, L3SHIM이라 함) 프로토콜을 확장하여 이동 단말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한 프로토콜 확장을 이용한 이동 단말의 이동성 지원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정보통신부 및 정보통신연구진흥원의 정보통신표준개발지원 사업의 일환으로 수행한 연구로부터 도출된 것이다[과제관리번호: 2007-P10-027, 과제명 IPv6 이동성 자원 차세대 네트워크 표준개발].
주지된 바와 같이, 현재 이동성을 지원하는 프로토콜은 모바일(Mobile) IPv4 and IPv6이 존재하며, 새로운 에이젼트(agent)(Home agent 또는 Foreign agent)를 통하여 로케이션(location) 관리뿐만 아니라, 터널링을 통한 전송에까지 관여하고 있다.
이에 따라, 모든 데이터와 제어 메시지가 새로운 에이젼트로 몰리는 상황이 발생하게 되고, 심리스 핸드오버(seamless handover) 등을 지원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새로운 프로토콜들이 필요한 상황이다.
특히, IPv4에서의 멀티호밍(Multihoming)은 네트워크의 연결성을 위하여 여분의 경로(예를 들어, 백업 경로)를 준비시켜 주 경로에 문제가 발생하였을 경우, 백업 경로를 이용하여 네트워크의 연결성을 지원하는 것으로, 현재 대부분의 사이트에서는 멀티호밍 환경을 지원하고 있으며, BGP 라우팅 프로토콜을 통해 지원되고 있다.
하지만, IPv6에서의 멀티호밍은 종래 IPv4의 멀티호밍 방법으로는 지원할 수 없음에 따라 IETF는 SHIM6(Site Multihoming by IPv6 Intermediation) 워킹그룹에서 L3SHIM (Layer three shim) 프로토콜 표준을 제정하였다.
상기 L3SHIM 프로토콜은 고정 단말에 새로운 스택을 설치하여 고정 단말의 사이트 멀티호밍을 지원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 기술에서와 같이, SHIM6 워킹그룹에서 제정된 L3SHIM 프로토콜은 고정 단말의 사이트 멀티호밍만을 지원하는 제한적인 상황이 되었으며, 이동성 또한 지원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고정 단말의 사이트 멀티호밍을 지원하기 위해 제정된 L3SHIM 프로토콜을 확장하여 이동 단말에 적용시킴으로써 멀티호밍뿐만 아니라 이동성을 지원할 수 있도록 한 프로토콜 확장을 이용한 이동 단말의 이동성 지원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토콜 확장을 이용한 이동 단말의 이동성 지원방법은, L3SHIM 프로토콜이 탑재된 이동 단말이 멀티홈드 네트워크(Multihomed Network)에서 새로운 다른 네트워크(Moved Network)로 이동하면서 두 네트워크에 교차되는 경우, 이동 단말의 이동성 지원 방법으로서, 다른 네트워크에서 획득한 로케이터들을 L3SHIM 프로토콜의 업데이트 요청 메시지에 추가(ADD)시키는 단계와, 추가된 상태에서, 프리포런스(preference)를 통해 주가 되는 로케이터를 설정하는 단계와, 새로운 다른 네트워크로 이동하게 되면, 이전 네트워크로부터 생성된 로케이터들을 삭제하는 단계와, 이전 네트워크로부터 생성된 로케이터들이 삭제된 상태에서, 새로운 다른 네트워크의 로케이터 세트들을 획득하는 단계와, 획득된 로케이터 세트 들을 세션의 다중 인터넷 프로토콜(IP) 주소 및 관련 정보(context information)에 업데이트 시키기 위해 업데이트 요청 메시지(UPDATE request message)를 상대 고정 단말에 전송하여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L3SHIM 프로토콜을 확장하여 이동 단말에 적용시킴으로써 멀티호밍뿐만 아니라 이동성을 지원할 수 있고, 로케이션 관리 부분을 제외한 핸드오버 부분과 데이터 전송을 써드 파티(third party)의 에이젼트가 필요하지 않으며, 직접 데이터 헤더를 추가하여 전송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업데이트 메시지에서 새로운 주소의 추가(ADD) 및 삭제(DELETE)를 위한 새로운 옵션을 추가함에 따라 자주 발생하는 업데이트 메시지를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프로토콜 확장을 이용한 이동 단말의 이동성 지원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 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L3SHIM 프로토콜을 탑재한 이동 단말과 고정 단말과의 통신 상태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사이트 멀티호밍 환경 하에 있는 L3SHIM 프로토콜이 탑재된 이동 단말(10)과 고정 단말(12)은 각자의 멀티홈드 네트워크(Multihomed Network) 내에서 일반적인 통신 세션을 맺는 과정을 통해 세션을 맺은 다음에, 컨텍스트 익스체인지(Context exchange) 과정을 통해 다중 IP 주소 및 관련 정보(context information)들을 인터넷(Internet)(S1)을 통해 서로 교환한다.
이후, 4-웨이 핸드쉐이크(4-way handshake) 과정을 통해 통신 중인 두 단말(10, 12)이 가지는 다중 인터넷 프로토콜(Internet Protocol, 이하, IP라 함) 주소와 함께 관련 정보를 얻은 상태가 된다.
도 2는 L3SHIM 프로토콜이 탑재된 이동 단말이 새로운 네트워크로 이동한 경우의 통신 상태를 보인 도면으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L3SHIM 프로토콜이 탑재된 이동 단말(20)이 멀티홈드 네트워크(S2)에서 다른 새롭게 이동된 네트워크(Moved Network)로 이동하게 되면, 이동된 새롭게 이동된 네트워크 내에 위치한 이동 단말(20)은 다중 IP 주소 및 관련 정보(context information)를 교환하여 양쪽에서 검증된 멀티홈드 네트워크(S2)내의 로케이터 셋트(locator set)(P1,P2)들이 아닌 새롭게 이동된 네트워크내의 로케이터 세트(P3,P4)들을 획득하게 된다.
이때, 새롭게 이동된 네트워크내의 로케이터 세트(P3,P4)들은 검증되지 않았 기 때문에 상대 고정 단말(22) 역시 이 새롭게 이동된 네트워크내의 로케이터 세트(P3,P4)를 인식하지 못하게 되고, 더 이상 맺어진 세션에서는 사용될 수 없게 된다. 여기서, 상대 고정 단말(22)의 네트워크는 로케이터 세트(P5,P6)이다.
이에 따라, 새롭게 이동된 네트워크내의 로케이터 세트(P3,P4)들을 현재 맺어져 있는 세션의 다중 IP 주소 및 관련 정보(context information)에 업데이트 시키기 위해 업데이트 요청 메시지(UPDATE request message)를 인터넷(S1)을 통해 상대 고정 단말(22)에 전송하여 업데이트 한다. 여기서, 업데이트 요청 메시지는 L3SHIM 프로토콜에 정의된 메시지의 옵션(OPTION) 필드를 확장하여 동작시키게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L3SHIM 프로토콜이 탑재된 이동 단말이 이동하는 과정에서 두 네트워크에 교차되는 경우의 통신 상태를 보인 도면으로서, 이러한 경우에는 두 네트워크(S2,S3)를 통해 받은 로케이터들(P1,P2,P3,P4)이 존재한다.
이에 따라, 새롭게 획득한 로케이터들을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옵션 필드의 내용과 같이 추가(ADD)시키면서, 프리포런스(preference)를 통해 주가 되는 로케이터를 설정한다. 즉, 추가(ADD) 기능을 이용하여 새롭게 획득한 로케이터들만 업데이트 시키면, 경계 지역의 이동 단말(30)이 위치할 때에도 상대 고정 단말(22)에 주기적인 업데이트 요청 메시지를 보낼 필요가 없게 된다.
이후, 완전히 새로운 네트워크로 이동하게 되면, 상술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루어지며, 이동 단말(30)은 이전에 네트워크로부터 생성된 로케이터들(P1,P2)을 삭제(delete)하게 되어 더 이상 유효하지 않게 된다.
여기서,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기존 L3SHIM 프로토콜의 업데이트 요청 메시지에서 새롭게 제안된 옵션 필드의 내용을 도시한 도면이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도 1은 L3SHIM 프로토콜을 탑재한 이동 단말과 고정 단말과의 통신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L3SHIM 프로토콜이 탑재된 이동 단말이 새로운 네트워크로 이동한 경우의 통신 상태를 보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L3SHIM 프로토콜이 탑재된 이동 단말이 이동하는 과정에서 두 네트워크에 교차되는 경우의 통신 상태를 보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기존 L3SHIM 프로토콜의 업데이트 요청 메시지에서 새롭게 제안된 옵션 필드의 내용을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20,30 : 이동 단말 12, 22, 32 : 고정 단말
S1 : 인터넷
S2 : 멀티홈드 네트워크
S3 : 이동된 네트워크

Claims (4)

  1. 삭제
  2. L3SHIM(L3 Site Multihoming by IPv6 Intermediation, 이하, L3SHIM이라 함) 프로토콜이 탑재된 이동 단말이 멀티홈드 네트워크(Multihomed Network)에서 새로운 다른 네트워크(Moved Network)로 이동하면서 두 네트워크에 교차되는 경우, 이동 단말의 이동성 지원 방법으로서,
    상기 새로운 다른 네트워크에서 획득한 로케이터들을 L3SHIM 프로토콜의 업데이트 요청 메시지에 추가(ADD)시키는 단계와,
    상기 추가된 상태에서, 프리포런스(preference)를 통해 주가 되는 로케이터를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새로운 다른 네트워크로 이동하게 되면, 이전 네트워크로부터 생성된 로케이터들을 삭제하는 단계와,
    상기 이전 네트워크로부터 생성된 로케이터들이 삭제된 상태에서, 상기 새로운 다른 네트워크의 로케이터 세트들을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획득된 로케이터 세트들을 세션의 다중 인터넷 프로토콜(IP) 주소 및 관련 정보(context information)에 업데이트 시키기 위해 업데이트 요청 메시지(UPDATE request message)를 상대 고정 단말에 전송하여 업데이트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프로토콜 확장을 이용한 이동 단말의 이동성 지원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업데이트 요청 메시지는, 상기 L3SHIM 프로토콜에 정의된 메시지의 옵션(OPTION) 필드를 확장하여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토콜 확장을 이용한 이동 단말의 이동성 지원 방법.
  4. L3SHIM(L3 Site Multihoming by IPv6 Intermediation, 이하, L3SHIM이라 함) 프로토콜이 탑재된 이동 단말이 멀티홈드 네트워크(Multihomed Network)에서 새로운 다른 네트워크(Moved Network)로 이동하면서 두 네트워크에 교차되는 경우, 이동 단말의 이동성 지원 방법으로서,
    상기 새로운 다른 네트워크에서 획득한 로케이터들을 L3SHIM 프로토콜의 업데이트 요청 메시지에 추가(ADD)시키고, 상기 새로운 다른 네트워크에서 획득한 로케이터들만 업데이트시키면, 경계 지역의 이동 단말이 위치할 때에도 상대 고정 단말에 주기적인 업데이트 요청 메시지를 보내지 않는 단계와,
    상기 추가된 상태에서, 프리포런스(preference)를 통해 주가 되는 로케이터를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새로운 다른 네트워크로 이동하게 되면, 이전 네트워크로부터 생성된 로케이터들을 삭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프로토콜 확장을 이용한 이동 단말의 이동성 지원 방법.
KR1020070133229A 2007-12-18 2007-12-18 프로토콜 확장을 이용한 이동 단말의 이동성 지원 방법 KR1009353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3229A KR100935371B1 (ko) 2007-12-18 2007-12-18 프로토콜 확장을 이용한 이동 단말의 이동성 지원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3229A KR100935371B1 (ko) 2007-12-18 2007-12-18 프로토콜 확장을 이용한 이동 단말의 이동성 지원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5755A KR20090065755A (ko) 2009-06-23
KR100935371B1 true KR100935371B1 (ko) 2010-01-06

Family

ID=409939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3229A KR100935371B1 (ko) 2007-12-18 2007-12-18 프로토콜 확장을 이용한 이동 단말의 이동성 지원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537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8857B1 (ko) 2010-05-13 2016-12-23 삼성전자주식회사 컨텐츠 중심 네트워크(ccn)에서 단말 및 허브의 통신 방법 및 컨텐츠 중심 네트워크를 위한 단말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047348A1 (en) 2003-08-27 2005-03-03 Ntt Docomo, Inc Router apparatus, route information distributing method, and communications system
KR20050039066A (ko) * 2003-10-23 2005-04-2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웃탐색 프록시 기반의 아이피브이6 이동 네트워크에서의이동노드를 위한 경로최적화 방법
US20060274750A1 (en) 2005-06-01 2006-12-07 Babbar Uppinder S System and method to support data applications in a multi-homing, multi-mode communication device
KR100714036B1 (ko) * 2006-06-30 2007-05-04 주식회사 케이티 이동 네트워크에서 통신 경로의 분산을 통한 차별화된네트워크 연결 서비스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047348A1 (en) 2003-08-27 2005-03-03 Ntt Docomo, Inc Router apparatus, route information distributing method, and communications system
KR20050039066A (ko) * 2003-10-23 2005-04-2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웃탐색 프록시 기반의 아이피브이6 이동 네트워크에서의이동노드를 위한 경로최적화 방법
US20060274750A1 (en) 2005-06-01 2006-12-07 Babbar Uppinder S System and method to support data applications in a multi-homing, multi-mode communication device
KR100714036B1 (ko) * 2006-06-30 2007-05-04 주식회사 케이티 이동 네트워크에서 통신 경로의 분산을 통한 차별화된네트워크 연결 서비스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5755A (ko) 2009-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06934B2 (ja) Id/ロケータ分離アーキテクチャに基づくネットワーク並びにバックボーンネットワーク及びネットワーク構成要素
US7453887B2 (en) Arrangement for traversing an IPv4 network by IPv6 mobile nodes
JP4431112B2 (ja) 端末及び通信システム
US7277708B2 (en) Router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JP4607998B2 (ja) 異なるアドレス空間におけるモバイルIPv6のルート最適化
US7319689B2 (en) Method for handling the simultaneous mobility of mobile hosts in infrastructure-based networks
US8570976B2 (en) Method and system for fast handover in hierarchical mobile IPv6
KR100635127B1 (ko) Ipv6 기반 망이동성 서비스에서 경로 최적화 방법
JP4430106B2 (ja) IPv6サービスを提供する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JP4990985B2 (ja) プロキシ・モバイルipルーティング
EP1516472B1 (en) Connection of next generation mobile nodes across previous generation networks to next generation networks
FI122516B (fi) Menetelmä ja järjestelmä tiedonsiirtoistunnon siirtämiseksi datalähteiden välillä
US20070014262A1 (en) Method for handling over a call involving a mobile node in a macromobility situation in an IP communication network using hierarchical routing
KR20050072808A (ko) 라우팅 프로토콜들에 대한 모바일 라우터 비용 미터법업데이트용 시스템 및 방법
US20060280146A1 (en) Handover support for multiple types of traffic
EP1700430B1 (en) Method and system for maintaining a secure tunnel in a packet-based communication system
US8437309B2 (en) Multihome support method and apparatus
Novaczki et al. Micromobility support in HIP: survey and extension of host identity protocol
WO2008014719A1 (fr) Dispositif et procédé permettant d&#39;exécuter une itinérance de noeud dans un réseau ip version 6
WO2006103805A1 (ja) 移動通信システム、エッジルータおよびそれらに用いる移動管理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と記録媒体
KR100935371B1 (ko) 프로토콜 확장을 이용한 이동 단말의 이동성 지원 방법
KR100737140B1 (ko) 이동통신에서의 인터넷 프로토콜 가상 사설망 서비스처리장치 및 방법
JP4106621B2 (ja) モバイル端末及びルータ及びアドレス登録方法
JP2006352444A (ja) パケット転送システム及びパケット転送方法
JP4823053B2 (ja) 異種通信インタフェース間の切替方法、移動端末および管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0

Year of fee payment: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