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4626B1 - 하수용 콘크리트관 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연결공법 - Google Patents

하수용 콘크리트관 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연결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4626B1
KR100934626B1 KR1020090032676A KR20090032676A KR100934626B1 KR 100934626 B1 KR100934626 B1 KR 100934626B1 KR 1020090032676 A KR1020090032676 A KR 1020090032676A KR 20090032676 A KR20090032676 A KR 20090032676A KR 100934626 B1 KR100934626 B1 KR 1009346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rete pipe
clamp
circular plate
lock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26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남식
전제호
Original Assignee
듀라케미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듀라케미 (주) filed Critical 듀라케미 (주)
Priority to KR10200900326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462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46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46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4Pipes o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sewer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6Methods of, or installations for, laying sewer pipes

Abstract

본 발명은 콘크리트관 연결장치 및 연결공법에 관한 것으로 압착클램프와 원형플래이트로 이루어진 결합부재와, 체결수단으로 이루어진 연결장치를 구성하여 전.후방콘크리트관의 외관에 장착시켜 연결부위를 가압하며 밀폐시키고, 가압된 상태에서 연결부위 내측으로 압축성 충진재를 주입하여 접착완료되면 연결장치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하여 콘크리트관을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하여 유체의 누출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하수용 콘크리트관용 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연결공법에 관한 것이다.
하수관, 콘크리트관, 충진재, 클램프

Description

하수용 콘크리트관 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연결공법{The concrete pipe a coupling device for drain and and Applied the connecting method}
본 발명은 콘크리트관 연결장치 및 연결공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압착클램프와 원형플래이트로 이루어진 결합부재와 상기 결합부재를 체결하는 체결수단으로 구성된 연결장치에 의해 전.후방콘크리트관의 연결부위를 가압하며 밀폐시키고, 가압된 상태에서 연결부위 내측으로 압축성 충진재를 주입하여 접착완료되면 연결장치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하여 콘크리트관을 용이하게 결합시켜 유체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는 하수용 콘크리트관용 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연결공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관은 지하에 매설되어 상ㆍ하수, 지중 선로, 케이블 등의 통로로써 사용된다. 상기 콘크리트관이 상ㆍ하수 등 유체의 통로로써 사용되는 경우에는 연결부위에서 유체가 외부로 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콘크리트 관의 끝단부의 외주면에 매입 칼라를 설치하고, 다른 끝단부의 외주면에 매입 칼라와 형합하는 계단 턱을 형성한다. 즉, 전방(前方) 콘크리트관의 매입 칼라에 후방(後 方) 콘크리트 관의 계단 턱을 삽입함으로써 유체가 새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매입 칼라와 계단 턱 사이에 유체의 누출을 방지하기 위하여 고무링을 삽입하기도 하며, 연결부위 외부측을 모르타르로 밀폐시켜 유체가 새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이와 같이, 매입 칼라를 이용하면 별도의 용접이나 콘크리트 타설을 하지 않고서도 콘크리트관을 서로 연결할 수 있다. 그러나, 매입 칼라를 이용한 콘크리트관의 연결은 인장력에 취약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연결된 콘크리트관이 인장력에 의하여 분리되어 유체가 유출될 수 있다. 또한, 지반 침하, 지반의 동결ㆍ융해 등으로 인하여 콘크리트 관이 이동하게 되면 매입 칼라가 콘크리트관으로부터 떨어져 나갈 수 있다. 또한, 매입 칼라를 이용한 콘크리트관의 연결은 곡선 경로 또는 경사면 등에 적용하기가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매입 칼라가 콘크리트관의 끝단으로부터 소정 길이만큼 연장되도록 설치되고, 이러한 매입 칼라에 전방 콘크리트관의 후단이 삽입되기 때문에 곡선부 또는 경사면 등에 적용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아울러, 이와 같은 문제를 극복하고자 유리섬유복합관(GRP)이 사용되고 있으나, 이는 콘크리트관의 비해 6배정도 고가임으로 경제적인 어려움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콘크리트관 연결부위 내측에 압축성 충진재를 삽입하여 연결구간이 접착됨과 동시에 밀폐시켜 누수 및 부식을 방지할 수 있고, 상기 압축성 충진재를 삽입하기전에 먼저 콘크리트관을 서로 결합하여 콘크리트관의 연결부위를 밀폐 및 가압시킴과 동시에 충진재를 삽입시 충진재가 굳어 콘크리트관이 서로 안정적으로 접착되기까지 콘크리트관의 유동을 방지하는 결합부재와 체결수단으로 이루어진 연결장치를 구성하여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본 발명은 전.후방콘크리트관의 연결부위 외주연으로 체결하여 연결부위를 가압하여 밀폐시킬 수 있도록 압착클램프와 원형플래이트로 이루어진 결합부재와; 상기 압착클램프와 원형플래이트를 체결하는 체결수단과;으로 연결장치를 구성하고, 상기 연결장치에 의해 콘크리트관을 연결후 연결부위 내측으로 주입하는 압축성 충진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하수용 콘크리트관 연결장치에 의하면, 연결장치에 의해 안정적으로 콘크리트관을 결합한 상태에서 압착성 충진재를 내측으로 주입시켜 밀폐및 접착할 수 있음에 따라 전.후방콘크리트관의 연결부위의 누수를 효과적으로 방 지할 수 있고,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4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도면과 상세한 설명에서 일반적인 콘크리트관용 연결장치 로부터 이 분야의 종사자들이 용이하게 알 수 있는 구성 및 작용에 대한 도시 및 언급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였다. 특히 도면의 도시 및 상세한 설명에 있어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지 않는 요소의 구체적인 기술적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상세한 설명 및 도시는 생략하고, 본 발명과 관련되는 기술적 구성만을 간략하게 도시하거나 설명하였다.
이하, 상기의 효과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에 대해 도면을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분리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장착과정을 보인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착용상태를 보인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착용상태를 보인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도 1에 보인바와 같이, 전.후방콘크리트관(100,200)의 연결부위(A) 외주연으로 체결하여 연결부위(A)를 가압하여 밀폐시킬 수 있도록 결합부재(30)와 체결수단(40)으로 이루어진 연결장치를 구성하여 전.후방콘크리트관(100,200)을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한 것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도 4의 보인바와 같이, 연결장치에 의해 가압 밀 폐되는 전.후방콘크리트관(100,200)의 연결부위(A)의 내측으로 압축성 충진재(50)를 주입하여 충진시키고, 충진재(50)가 굳어지면서 연결부위(A)를 접착시킴과 동시에 밀폐시킬 수 있어 유체의 누출을 완벽하게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같은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관용 연결장치는 도 1과 같이 압착클램프(10)와 원형플래이트(20)로 이루어진 결합부재(30)와, 체결수단(40)이 구비되며 압축성 충진재(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결합부재(30)는 전방콘크리트관(100)의 매입컬러부(101) 전단에 감싸듯 체결되는 압착클램프(11)와, 매입컬러부(101) 입구에 일측면이 접촉되고 후방콘크리트관(200)의 외주연을 감싸듯 체결되는 원형플래이트(20)로 나눠져 구성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압착클램프(11)는 제1.2클램프부재(11a,11b)로 분리 형성되며, 제1클램프부재(11a)의 일단으로 걸림홈(12a)이 뚫린 걸림고리(12)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제2클램프부재(11b)의 일단으로 걸림구(13)가 일체가 되게 돌출 형성되며, 제1.2클램프부재(11a11b)의 타단으로는 볼트로 결합하여 긴밀하게 조임 가능하도록 볼트구멍(14a)이 뚫린 조임구(14)가 돌출되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원형플래이트(20)는 일측에 고무판(23)이 일체로 결합된 제1.2압륜판(21a,21b)이 대응되게 분리 구성되고, 대응되는 일단부가 힌지부재(22)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며, 제1압륜판(21a)의 타단에 걸림밴드(25a)를 포함한 잠금레버(25)가 설치되고, 제2압륜판(21b)의 타단에 걸림밴드(25a)를 체결하는 고정스토퍼(24)가 설치되어 제1.2압륜판(21a,21b)이 일단부의 힌지를 중심으로 좌.우로 벌림되며, 타단부의 잠금레버(25)에 의해 체결할 수 있다.
체결수단(40)은 압착클램프(10)와 원형플래이트(20)를 연결하는 연결바(41)가 마련되고, 연결바(41)의 일단으로 압륜판(21)의 전면에 걸림되어 가압볼트(44)로 조여 가압할 수 있도록 가압볼트(44)가 포함된 후크(42)가 형성되며, 연결바(41)의 타단은 압착클램프(10)의 외주연에 결합된 고정부재(43)로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 된다.
여기서 상기 압착클램프(10)의 외주연으로 돌출되게 결합되는 고정부재(43)는 압착클램프(10)의 외주연에 용접하여 일체가 되게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압축성 충진재(50)는 내구성 및 탄성력, 수밀성이 우수한 폴리우레탄, 폴리우레아 하이브리드, 폴리우레탄 폼, 폴리우레아 하이브리드 폼 중 하나 이상 선택되어진다. 상기 폴리우레탄 및 폴리우레탄 폼 조성물로는 경화제로서의 기능을 갖는 15~26% NCO 변성 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100중량%로 이루어진 프리폴리머용액과, 수지로서 중량 평균 분자량 1500~5,000의 폴리올 50~60wt%와, 사슬 연장제로 글리콜 5~10wt%와, 촉매로 아민 0.5~ 2wt%와 선택적으로 발포제로 물 0.2~3wt%와 실리콘 정포제 0.1~1wt%로 구성되며, 상기 프리폴리머용액과 수지용액을 0.5~1 : 1 의 비율로 혼합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또한 폴리우레아 하이브리드 및 폴리우레아 하이브리드 폼 조성물로는 경화제로서의 기능을 갖는 15~26% NCO 변성 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100중량%로 이루어진 프리폴리머용액과, 수지로서 중량 평균 분자량 1500~5,000의 폴리올 및 폴리아민 50~60wt%와, 사슬 연장제로 글리콜 5~10wt%와, 촉매로 아민 0.5~ 2wt%와 선택적으로 발포제로 물 0.2~3wt%와 실리콘 정포제 0.1~1wt%로 구성되며, 상기 프리폴 리머용액과 수지용액을 0.5~1 : 1 의 비율로 혼합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한편, 상기 충진재로는 실리콘수지가 선택되어 질 수도 있으며, 이는 메틸트리클로로 실란(CH3SiCl3 ), 에틸트리클로로실란(C2 H5SiCl3 ), 산무수물 [(CH3CO)2O]이 함께 반응하여 생성된 메틸프로폭시디아세톡시실란, 에틸트리아세톡시실란, 에틸프로폭시디아세톡시실란이 혼합된 아세톡시실란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이러한 콘크리트관용 연결장치는 후크(42)가 압륜판(21)으로 걸림시 후크(42)에 마련된 가압볼트(44)를 점차적으로 조임에 따라 가압볼트(44)가 압륜판(21)을 가압하게 되어 전방콘크리트관(100)의 매입컬러부(101)의 입구 전면부를 눌러주게 되고, 압륜판(21)이 가압됨과 동시에 원형플래이트(20)에 장착된 후방콘크리트관(200)의 전면부가 매입컬러부(101)의 내측에 고정된다. 또한 상기 체결수단(40)은 일정한 간격으로 수개가 설치되어 전.후방콘크리트관(100,200)의 연결부위(A)로 그 체결력을 골고루 전달하여 가압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하수용 콘크리트관 연결장치를 이용한 시공과정을 설명하면,
먼저 전방콘크리트관(100)의 매입컬러부(101) 전단에 압착클램프(10)를 설치하되, 상기 압착클램프(10)는 분리되어진 제1.2클램프부재(11a,11b)를 전방콘크리트관(100)의 외주연으로 감싸는 형태로 체결하여 제1.2클램프부재(11a,11b)의 일단을 걸림고리(12)와 걸림구(13)에 의해 연결시키고, 타단은 조임구(14)로 서로 대응되게 하여 볼트를 체결하여 제1.2클램프부재(11a,11b)가 콘크리트관을 가압하며 긴밀하게 압착클램프(10)를 고정시킨다.
그리고, 전방콘크리트관(100)의 매입컬러부(101) 전면부와 후방콘크리트관(200)의 전방부 외주연으로 일단부가 힌지결합되어 제1.2압륜판(21a,21b)이 좌.우 회동하며 벌림되는 원형플래이트(20)를 설치하여 제1.2압륜판(21a,21b)의 타단이 서로 대응되며 마주보게 되면 제1압륜판(21a)의 걸림밴드(25a)를 제2압륜판(25b)의 고정스토퍼(24)로 걸어서 잠금레버25)를 회동시켜 잠금 및 고정시키게 된다. 이때 걸림밴드(25a)는 다시 잠금레버(25)측에 마련된 너트를 조임시켜 간극을 조절하며 체결력을 가할 수 있어 원형플래이트(20)를 후방콘크리트관(200)으로 용이하게 압착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압착클램프(10)와 원형플래이트(20)로 이루어진 결합부재(30)를 전.후방콘크리트관(100,200)으로 설치가 완료되면, 체결수단(40)을 구성하는 연결바(41)를 회동시키며, 연결바(41)의 일단에 연결된 후크(42)가 원형플레이트(20)의 압륜판(21)의 전면부에 걸림되도록 위치하게 된다.
상기 압륜판(21)의 전면부로 후크(42)가 걸림되면, 후크(42)에 체결되어진 가압볼트를 조임하며 가압볼트(44)가 긴밀하게 압륜판(21)의 전면을 가압하게 되고, 이에 압착클램프(10)가 연결바(41)에 의해 원형플래이트(20)와 결합하게 되며, 후방콘크리트관(200)의 전방부가 전방콘크리트관(100)의 매입컬러 내측으로 긴밀하게 삽입된다. 또한 후크(42)의 가압볼트(44)를 조일수록 전.후방콘크리트관(100,200)의 연결된 연결부위(A)를 더욱 가압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압륜판의 후면에는 고무판이 일체로 결합되어 있어 볼트로 조여 압륜판을 가압시에 압륜판이 매입컬러 전면부에 골고루 체결력을 전달할 수 있으며, 콘크리트의 깨어짐이나 갈라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후공정으로 주 입되는 충진재가 연결부위 사이로 새어 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체결수단(40)의 체결이 완료되어 전.후방콘크리트관(100,200)의 연결이 완료되면, 전.후방콘크리트관(100,200)의 내측 연결부위(A)에 충진재(50)(우레탄 및 우레아 폼)를 분사장치(미도시)에 의해 압력 주입시켜 연결부위(A)를 접착함과 동시에 밀폐시키도록 한다.
상기 충진재(50)가 주입되어 연결부위(A)에서 굳어지면 전.후방콘크리트관(100,200)의 외부측에 장착된 결합부재(30)를 제거하여 시공을 완료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장착과정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착용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착용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0,200 : 전후방콘크리트관 101 : 매입컬러부
10 : 압착클램프 11 : 클램프부재 12 : 걸림고리 13 : 걸림구
14 : 조임구
20 : 원형플레이트 21 : 압륜판 22 : 힌지부재 23 : 고무판
24 : 고정스토퍼 25 : 잠금래버
30 : 결합부재
40 : 체결수단 41 : 연결바 42 : 후크 43 : 고정부재

Claims (7)

  1. 전.후방콘크리트관(100,200)의 연결부위(A) 외주연으로 체결하여 연결부위(A)를 가압하여 밀폐시킬 수 있도록 압착클램프(10)와 원형플래이트(20)로 이루어진 결합부재(30)와, 상기 압착클램프(10)와 원형플래이트(20)를 체결하는 체결수단(40)으로 이루어진 하수용 콘크리트관 연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압착클램프(10)는 제1.2클램프부재(11a,11b)로 분리 형성되며, 제1클램프부재(11a)의 일단으로 걸림홈(12a)이 뚫린 걸림고리(12)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제2클램프부재(11b)의 일단으로 걸림구(13)가 일체가 되게 돌출 형성되며, 제1.2클램프부재(11a11b)의 타단으로는 볼트로 결합하여 긴밀하게 조임 가능하도록 볼트구멍(14a)이 뚫린 조임구(14)가 돌출되게 형성하고,
    상기 원형플래이트(20)는 일측에 고무판(23)이 일체로 결합된 제1.2압륜판(21a,21b)이 대응되게 분리 구성하고, 대응되는 일단부가 힌지부재(22)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하며, 제1압륜판(21a)의 타단에 걸림밴드(25a)를 포함한 잠금레버(25)를 설치하고 제2압륜판(21b)의 타단에는 걸림밴드(25a)를 체결하는 고정스토퍼(24)를 설치하여 제1.2압륜판(21a,21b)이 일단부의 힌지를 중심으로 좌우로 벌림되고 타단부의 잠금레버(25)에 의해 체결될 수 있게 하며,
    상기 체결수단(40)은 압착클램프(10)와 원형플래이트(20)를 연결하는 연결바(41)를 마련하고 연결바(41)의 일단으로 압륜판(21)의 전면에 걸림되어 가압볼트(44)로 조여 가압할 수 있는 가압볼트(44)가 포함된 후크(42)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용 콘크리트관 연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바(41)의 타단을 압착클램프(10)의 외주연에 결합된 고정부재(43)로 회동가능하게 힌지 결합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용 콘크리트관 연결장치.
  3. 제 1항의 하수용 콘크리트관 연결장치를 이용하여 전방콘크리트관의 전방콘크리트관(100)의 매입컬러부(101) 전단에 압착클램프(10)를 설치하고,
    상기 전방콘크리트관(100)의 매입컬러부(101) 전면부와 후방콘크리트관(200)의 전방부 외주연으로 원형플래이트(20)를 압착 설치하며,
    상기 압착클램프(10)와 원형플래이트(20)로 이루어진 결합부재(30)를 체결수단(40)으로 결합하여 전.후방콘크리트관(100,200) 내측 연결부위(A)에 압축성 충 진재(50)를 분사장치에 의해 압력 주입시켜 연결부위(A)를 접착함과 동시에 밀폐시키고,
    상기 압축성 충진재(50)가 주입되어 연결부위(A)에서 굳어지면 전.후방콘크리트관(100,200)의 외부측에 장착된 결합부재(30)를 제거하는 것으로 콘크리트관을 연결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용 콘크리트관 연결공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성 충진재(50)는 폴리우레탄, 폴리우레아 하이브리드, 폴리우레탄 폼, 폴리우레아 하이브리드 폼, 실리콘수지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거나, 또는 조합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용 콘크리트관 연결공법.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090032676A 2009-04-15 2009-04-15 하수용 콘크리트관 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연결공법 KR1009346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2676A KR100934626B1 (ko) 2009-04-15 2009-04-15 하수용 콘크리트관 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연결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2676A KR100934626B1 (ko) 2009-04-15 2009-04-15 하수용 콘크리트관 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연결공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34626B1 true KR100934626B1 (ko) 2009-12-31

Family

ID=416849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2676A KR100934626B1 (ko) 2009-04-15 2009-04-15 하수용 콘크리트관 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연결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4626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9303B1 (ko) 2010-01-25 2010-05-25 (주) 제일산업 상하수도관과 연결구 일체형 플랜지 연결구조
KR100982561B1 (ko) 2010-01-25 2010-09-16 (주) 제일산업 상하수도관과 연결구 일체형 플랜지 연결구조와 그 체결방법
KR101347731B1 (ko) * 2011-12-26 2014-01-06 한국남부발전 주식회사 조개류 부착방지 장치
KR101406131B1 (ko) * 2013-08-20 2014-06-12 주식회사 삼진코리아 힌지형 배관 이음장치
KR20190009513A (ko) 2017-07-19 2019-01-29 권두영 관 연결부 밀폐장치
CN111911734A (zh) * 2020-08-18 2020-11-10 镇江市神龙电器管件有限公司 一种高抗拉伸的热熔连接管
JP7420747B2 (ja) 2018-05-31 2024-01-23 ボストン サイエンティフィック サイムド,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外科訓練モデル、システム、及び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0677U (ko) * 1999-05-12 2000-12-05 김윤식 하수관용 클램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0677U (ko) * 1999-05-12 2000-12-05 김윤식 하수관용 클램프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9303B1 (ko) 2010-01-25 2010-05-25 (주) 제일산업 상하수도관과 연결구 일체형 플랜지 연결구조
KR100982561B1 (ko) 2010-01-25 2010-09-16 (주) 제일산업 상하수도관과 연결구 일체형 플랜지 연결구조와 그 체결방법
KR101347731B1 (ko) * 2011-12-26 2014-01-06 한국남부발전 주식회사 조개류 부착방지 장치
KR101406131B1 (ko) * 2013-08-20 2014-06-12 주식회사 삼진코리아 힌지형 배관 이음장치
KR20190009513A (ko) 2017-07-19 2019-01-29 권두영 관 연결부 밀폐장치
JP7420747B2 (ja) 2018-05-31 2024-01-23 ボストン サイエンティフィック サイムド,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外科訓練モデル、システム、及び方法
CN111911734A (zh) * 2020-08-18 2020-11-10 镇江市神龙电器管件有限公司 一种高抗拉伸的热熔连接管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4626B1 (ko) 하수용 콘크리트관 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연결공법
CN101372840B (zh) 内装可卸式橡胶止水带的安装方法
US6217688B1 (en) Method of repairing a flanged pipe joint
US6612341B2 (en) Securing shell assemblies to pipelines
KR100838630B1 (ko) 연결소켓 일체형 콘크리트 맨홀
AU2001250504A1 (en) Securing shell assemblies to pipelines
KR100775954B1 (ko) 패커를 이용한 보수공법 및 그 보수용 패커구조
KR20050082143A (ko) 수밀형 맨홀
JP3598080B2 (ja) マンホールの鞘管の固定方法
KR200203749Y1 (ko) 파형강관 연결장치
KR20090011365U (ko) 맨홀과 지수단관의 고정 장치
JP4719479B2 (ja) 地下止水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JP4813699B2 (ja) 接続構造及び止水可とう継手
KR20050082101A (ko) 수밀형 맨홀의 접속관 결합구조 및 시공방법
JP2001099386A (ja) 既設管継手部の補修装置および補修方法
KR200412485Y1 (ko) 맨홀과 접속관의 연결구조
KR101332570B1 (ko) 배관 유닛 및 그 배관 유닛을 이용하여 시공한 배관의 누수 차단 시공방법.
KR100623162B1 (ko) 전기배관 이음부의 누수방지 장치
KR100607599B1 (ko) 금형을 이용한 배관연결공법
KR100637586B1 (ko) 상,하수도관로의 보수-보강장치 및 방법
CN213836744U (zh) 一种预应力钢缆约束下箱涵接口缝的防水系统
KR200398178Y1 (ko) 맨홀과 접속관의 연결구조
JP2537383B2 (ja) 枝管付き既設管の内面ライニング方法
JP7459351B1 (ja) 水密試験方法
JPH08128039A (ja) アンカー工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