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4463B1 - 난방용수 분배 및 회수기 설치구조 및 그 시공 방법 - Google Patents

난방용수 분배 및 회수기 설치구조 및 그 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4463B1
KR100934463B1 KR1020090016846A KR20090016846A KR100934463B1 KR 100934463 B1 KR100934463 B1 KR 100934463B1 KR 1020090016846 A KR1020090016846 A KR 1020090016846A KR 20090016846 A KR20090016846 A KR 20090016846A KR 100934463 B1 KR100934463 B1 KR 1009344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heating water
pipe
water
so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68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환
Original Assignee
김성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환 filed Critical 김성환
Priority to KR10200900168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446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44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44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10Feed-line arrangements, e.g. providing for heat-accumulator tanks, expansion tanks ; Hydraulic components of a central heating system
    • F24D3/1058Feed-line arrangements, e.g. providing for heat-accumulator tanks, expansion tanks ; Hydraulic components of a central heating system disposition of pipes and pipe connections
    • F24D3/1066Distributors for heating liquid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21Devices for positioning or connecting of water supply l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1/00Branching pipes; Joining pipes to walls
    • F16L41/08Joining pipes to walls or pipes, the joined pipe axis being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wall or to the axis of another pi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team Or 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반 단독 주택이나 아파트와 같이 주거용 집합 건물의 각 세대에 난방을 위해 방바닥에 온수 파이프를 설치하며, 이를 통해 난방용수를 순환시켜 주거 공간을 난방하는 바닥 가열 난방 방식에 있어서, 각 방으로 난방용수를 분배하는 난방용수 분배 시스템 및 난방용수 분배 방법 개선을 개선하여 난방효율을 크게 높이도록 한 난방용수 분배 및 회수기 설치구조 및 그 시공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실내 난방을 위해 바닥에 개별적으로 설치된 각 난방용수 회수용 배관으로 난방용수를 공급하는 난방용 온수분배기와 각 실내의 난방에 사용되어 냉각된 난방용수를 회수하는 귀환수 집수기로 구성되되, 상기 난방용 온수분배기와 귀환수 집수기가 별도로 분리 설치되고, 상기 난방용 온수분배기는 난방이 필요한 각 실내의 위치를 고려하여 최대한 중심부에 설치되며, 상기 난방용 온수분배기로부터 각 실내의 바닥에 설치된 난방용수 회수용 배관의 인입지점까지는 최단거리로 공급배관이 연결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용수 분배 및 회수기 설치구조가 제공된다.
또한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실내 난방을 위해 바닥에 개별적으로 설치된 각 난방용수 회수용 배관으로 난방용수를 공급하는 난방용 온수분배기와, 각 실내의 난방에 사용되어 냉각된 난방용수를 회수하는 귀환수 집수기를 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난방용 온수분배기와 귀환수 집수기를 별도의 장소에 분리 설치하되, 상 기 난방용 온수분배기는 난방이 필요한 각 실내의 위치를 고려하여 최대한 중심부에 설치하며, 상기 난방용 온수분배기로부터 각 실내의바닥에 설치된 난방용수 회수용 배관의 인입지점까지 최단거리를 이루도록 공급배관을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용수 분배 및 회수기 시공 방법이 제공된다.
난방용수, 분배, 회수, 집수기

Description

난방용수 분배 및 회수기 설치구조 및 그 시공 방법{A Construction for heating water distribution and waste heat collector and method for construction the same}
본 발명은 일반 단독 주택이나 아파트와 같이 주거용 집합 건물의 각 세대에 난방을 위해 방바닥에 온수 파이프를 설치하며, 이를 통해 난방용수를 순환시켜 주거 공간을 난방하는 바닥 가열 난방 방식에 있어서, 각 방으로 난방용수를 분배하는 난방용수 분배 시스템 및 난방용수 분배 방법 개선을 개선하여 난방효율을 크게 높이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택이나 아파트 등의 주거 공간을 난방하는 방법으로는 방이나 거실 등의 방바닥에 배관을 설치하고, 보일러에서 가열한 난방용수를 배관을 통해 난방용 온수분배기로 공급하며, 난방용 온수분배기를 거친 난방용수는 상기 방바닥에 설치한 배관을 통해 실내 바닥을 가열하고, 냉각 되어진 난방용수는 다시 난방용 온수분배기로 복귀된 후 배관을 통해 보일러로 유입되어 재차 가열된 후, 상기 과정을 통해 재순환하는 방법으로 주거 공간을 난방하게 된다.
보통 아파트 등의 집합 주거 건물의 각 세대로의 난방 방식은 중앙난방 방식과 개별 난방 방식 2가지로 구분될 수 있다.
개별난방 방식은 각 세대가 독립적인 보일러를 구비하는 것을 말하며, 중앙난방 방식은 외부의 보일러장치에서 가열된 난방용수를 각 세대로 공급하여 각 세대를 난방하는 것으로, 대개 중앙 난방 방식은 하루 종일 난방용수를 제공받게 되나, 개별 난방 방식은 거주자가 보일러를 가동시켜야만 비로서 난방용수를 얻게 된다.
이와 같이 개별 난방 방식이나 중앙 난방 방식을 불문하고 본 발명이 적용 가능하나 금번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는 중앙 난방 방식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이를 위해 첨부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의 난방 배관 구조를 나타낸 배치도로서, 실내 바닥에 지그재그형태의 난방용수 배관(600)을 설치하고, 난방용수를 순환시켜 난방하는 것에 있어서는, 외부의 보일러장치(도시는 생략함)에서 가열되어 각 세대로 공급된 난방용수는 공급배관(130)을 거쳐 난방용 온수분배기(M)로 먼저 공급되고, 상기 난방용 온수분배기(M)로 공급된 난방용수는 상기 난방용 온수공급기(M)에 연결된 난방용수 배관(600)을 통해 각 방으로 난방용수를 공급하게 된다.
이때, 상기 난방용수 배관(600)은 각 방(침실1, 침실2, 침실3, 가족실, 발코니, 서재 등)을 난방하기 위해 각 방에 하나의 라인이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되는 부분 중 난방용수가 공급되어지는 구간을 난방용수 공급용 배관(600a), 난방용수가 회수되는 구간을 난방용수 회수용 배관(600b)으로 구분되어 난방용수의 공급 및 회수가 이루어 진다.
상기 설명에서와 같이, 상기 난방용수 공급용 배관(600a)을 따라 흐르면서 난방에 사용되어짐으로써 냉각된 난방용수는 상기 난방용수 회수용 배관(600b)를 거쳐 난방용 분배기(M)로 회수되며, 다시 귀환용 배관(330) 라인을 따라 보일러장치로 보내져 가열된다.
한편,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 1의 A부에 위치된 상기 난방용 온수분배기(M)는 크게 양측에 세워진 지지판(500) 사이에 난방용수 온수공급관(100) 및 귀환수 집수관(300)이 각각 구비된다.
이때, 상기 난방용수 온수공급관(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각 분배구(110)에는 난방용수 공급용 배관(600a)이 연결되고, 상기 지지판(500) 일측에는 상기 난방용수 온수공급관(100)으로 가열된 온수를 공급하는 공급배관(130)이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귀환수 집수관(3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각 회수구(310)에는 난방에 사용되어 냉각된 난방용수를 집수하기 위한 난방용수 회수용 배관(600b)이 연결되고, 상기 지지판(500) 일측에는 집수된 난방용수를 가열하기 위해 보일러장치로 보내는 보일러 귀환용 배관(330)이 연결된다.
따라서, 난방용수의 순환과정을 구체적으로 살펴 보면, 가열된 난방용수는 상기 난방용수 온수공급관(100)의 분배구(110)를 통해 실내 바닥에 개별적으로 설 치된 난방용수 공급용 배관(600a)으로 공급되고, 이 공급된 난방용수는 난방이 필요한 장소(침실1, 침실2, 침실3, 가족실, 발코니, 서재 등)로 공급되어 실내 바닥을 가열하게 되며, 실내 바닥의 가열 후 냉각된 난방용수는 난방용수 회수용 배관(600b)를 거쳐 상기 회수구(330)을 통해 귀환수 집수관(300)로 회수된 다음, 다시 보일러 귀환용 배관(330)을 통해 보일러장치로 보내지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난방용 온수분배기(M)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안고 있다.
첫째로, 종래 난방용 온수분배기(M)는 난방용수 온수공급관(100)과 귀환수 집수관(300)이 하나의 모듈로 통합되어 있으며, 각 실내까지의 배관 길이 및 이에 따른 난방 온도저하 등에 대한 고려없이 통상 각 세대로 들어오고 나가기 용이한 지점(즉, 보일러장치로의 귀환이 용이한 지점)에 설치된다.
따라서, 실제 난방용수 온수분배기(100)로부터 난방이 필요한 각 장소까지의 난방용수 공급을 위한 배관 길이가 매우 길어지게 되며, 이에 따라 난방용수의 공급 도중 많은 양의 열이 손실되는 문제점이 있다.
예컨대, 난방용 온수분배기(M)로부터 난방이 필요한 장소에 설치된 난방용수 회수용 배관(600)으로 난방용수의 공급시, 실제 난방이 필요 없는 도 1의 "B" 구간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그 만큼 많은 열이 손실되어 실제 난방이 필요한 장소에 도달시 난방용수의 온도가 저하되므로 전체적으로 난방효율이 크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된다.
둘째로, 열손실에 따른 온도 저하를 해소하고 원하는 온도로 난방이 이루어 지도록 하기 위해서는 그 만큼 더 긴 시간 동안 난방이 이루어져야 하며, 이에 따라 에너지 소비 효율이 크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각 난방용수 회수용 배관이 설치된 가까운 곳에 상기 난방용수 분배기를 설치시켜 상기 난방용수 분배기를 통해 각 난방용수 회수용 배관으로 공급되는 난방용수의 공급거리를 단축시켜 공급 경로 상에서 난방용수가 냉각되는 것을 최소화시킴으로써 난방효율을 크게 높이도록 한 난방용수 분배 및 회수기 설치구조 및 그 시공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실내 난방을 위해 바닥에 개별적으로 설치된 각 난방용수 회수용 배관으로 난방용수를 공급하는 난방용 온수분배기와 각 실내의 난방에 사용되어 냉각된 난방용수를 회수하는 귀환수 집수기로 구성되되, 상기 난방용 온수분배기와 귀환수 집수기가 별도로 분리 설치되고, 상기 난방용 온수분배기는 난방이 필요한 각 실내의 위치를 고려하여 최대한 중심부에 설치되며, 상기 난방용 온수분배기로부터 각 실내의 바닥에 설치된 난방용수 회수용 배관의 인입지점까지는 최단거리로 공급배관이 연결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용수 분배 및 회수기 설치구조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따르면, 실내 난 방을 위해 바닥에 개별적으로 설치된 각 난방용수 회수용 배관으로 난방용수를 공급하는 난방용 온수분배기와, 각 실내의 난방에 사용되어 냉각된 난방용수를 회수하는 귀환수 집수기를 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난방용 온수분배기와 귀환수 집수기를 별도의 장소에 분리 설치하되, 상기 난방용 온수분배기는 난방이 필요한 각 실내의 위치를 고려하여 최대한 중심부에 설치하며, 상기 난방용 온수분배기로부터 각 실내의 바닥에 설치된 난방용수 회수용 배관의 인입지점까지 최단거리를 이루도록 공급배관을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용수 분배 및 회수기 시공 방법이 제공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본 발명은 난방용 온수분배기(10)를 통해 각 난방용수 회수용 배관(600)으로 공급되는 난방용수의 공급거리를 단축시켜 난방효율을 크게 높이는 효과가 있다.
즉, 한 가닥 형태의 지그재그로 깔리는 각 난방용수 회수용 배관(600)이 설치된 가까운 곳에 난방용수를 공급하는 상기 난방용 온수분배기(10)를 설치시켜 각 난방용수 회수용 배관(600)으로 난방용수의 공급이 단시간 내에 이루어져 각 난방용수 회수용 배관(600)으로 공급되는 과정에서 외부로 손실되는 난방용수의 열을 최소화시켜 난방효율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둘째, 본 발명은 열손실을 최소화시키므로 가열에 드는 시간이 단축되어 에너지 소비 효율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셋째, 본 발명은 집수관(33)의 회수구(33a)들에 설치된 유량 제어 밸브(50)는 조절부재(53)가 소켓에 대해 나선형으로 회전 운동하면서 축방향으로 이동하여 조절부재(53)와 밸브부(51b) 간의 간격을 조절하고, 이로써 유로의 개방 면적을 조절하여 유량을 제어한다. 따라서, 유량 조절이 매우 미세하고 정밀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조절부재(53) 및 소켓의중공부를 따라 축방향으로 유동하는 난방용수가 막히지 않고 원활하게 유동하므로 간섭에 따른 소음이 거의 발생하지 않으며, 원활한 유동을 보장할 수 있으므로 난방시스템의 전체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소켓과 조절부재(53) 만으로 유량제어밸브(50)를 구성할 수 있으므로 구조가 간단해지고, 제작 비용도 대폭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도 3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난방 시스템을 이루는 귀환수 집수기 및 난방용 온수분배기를 설명하되, 귀환수 집수기의 설명을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더욱 자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난방 배관 구조를 나타낸 배치도이고, 도 4는 도 3의 C부로써, 귀환수 집수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귀환수 집수기를 E방향에서 본 것으로써, 조립된 상태에서 일부분을 절개하여 나타낸 측면상태의 일부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I - I선을 나타낸 평면상태의 단면도이다.
본 실시 예의 구성을 설명하기에앞서, 종래의 구성과 동일하게 이루어지는 부분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하고, 또한 동일한 부호를 적용하여 설명한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며, 본 발명은 실내 난방을 위해 바닥에 개별적으로 설치된 각 난방용수 배관(600)으로 난방용수를 공급하는 난방용 온수분배기(10)와 각 실내의 난방에 사용되어 냉각된 난방용수를 회수하는 귀환수 집수기(30)로 구성되되, 상기 난방용 온수분배기(10)와 귀환수 집수기(30)가 별도로 분리 설치되고, 상기 난방용 온수분배기(10)는 난방이 필요한 각 실내의 위치를 고려하여 중심부에 설치되며, 상기 난방용 온수분배기(10)로부터 각 실내의 바닥에 설치된 난방용수 회수용 배관(600)의 인입지점까지는 최단거리로 공급배관(130)이 연결되도록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난방용수 배관(600)은 난방용수가 공급되어지는 구간인 난방용수 공급용 배관(600a), 난방용수가 회수되는 구간인 난방용수 회수용 배관(600b)으로 구분된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귀환수 집수기(30)는, 케이스(31)와 상기 케이스(31) 내측에 수평하게 인접 배열되게 수용되는 다수개의 이음관(32)과 내부에 빈 공간을 가지며 그 일측에는 인접 배열되며, 난방용수의 회수가 이루지는 다수개의 회수구(33a) 및, 한 개의 귀환구(33b)를 갖는 집수관(33)과 상기 이음관(32)과 상기 집수관(33) 사이에 수직하게 인접 배열되는 다수개의 연결관(34)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케이스(31)는 내부 확인이 육안으로 할 수 있게 투명창으로 만들 어지되, 상부 일측 개방된 부분을 개폐 가능하게 경첩(36)에 의해 고정된 투명한 개폐판(31a)이 구비된다.
상기 케이스(31) 중 난방용수 회수용 배관(600b)들 및 귀환용 배관(330)이 인접 배열되게 연결되는 정면은 아치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케이스(31)의 한 쪽 모퉁이 부분에는 이물질 배출을 위한 배수구(31b)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집수관(33)은 상기 케이스(31) 상부의 지지판(500) 사이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케이스(31) 내측에 인접 배열된 이음관(32)의 양단부에는 상기 연결관(34)과의 상호 결합 및, 상기 난방용수 회수용 배관(600b) 및 귀환용 배관(330)과 상호 결합을 위한 연결부재(35)가 더 구비된다.
상기 연결부재(35)는, 중공구조를 가지며, 양단부에 환형의 홈이 형성되되, 내측벽에 해당되는 부분이 외향 돌출되게 형성되며, 양단부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고정 소켓(35a)과 상기 고정 소켓(35a)의 외주면 나사산에 나사결합되는 앤드캡(35b)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이음관(32)과 상기 연결관(34)을 상호 결합시키는 쪽에 해당되는 상기 고정 소켓(35a)은 L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이음관(32)과 상기 난방용수 회수용 배관(600b) 및 귀환용 배관(330)을 상호 결합시키는 쪽에 해당되는 상기 고정 소켓(35a)은 일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난방용 온수분배기(10)의 설명을 도 7 내지 도 9을 참조하여 설명한 다.
도 7은 도 3의 D부 상세도로써, 난방용 온수분배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에 따른 설치상태를 나타낸 측면상태의 단면도이며, 도 9는 도 8의 F방향에서 본 것으로써, 일부분을 절개하여 나타낸 평면상태의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난방용 온수분배기(10)는 케이스(11)와 상기 케이스(11) 내측에 구비되는 공급 메인관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공급 메인관은 내부가 빈 공간을 가지며 일측면측에는 인접 배열되며 난방용수의 분배를 위한 다수개의 분배구(13a) 및, 난방용수의 회수를 위한 공급구(13b)가 구비된다.
상기 공급 메인관(13)의 타측면에는 난방용수의 분배가 이루어지는 다수개의 분배구(13a)만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케이스(11)에는 상기 케이스(11)가 바닥면을 이루는 곳으로부터 일정 높이 이격되도록 간격유지용 지지체(12)가 더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공급 메인관(13)의 분배구(13a)들 및 공급구(13b)가 형성된양측면의 경사는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안쪽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이를 측면에서 보면 역사다리꼴 모양을 이루게 된다.
또한, 상기 공급 메인관(13)의 경사면에 대응되는 상기 케이스(11)의 양측면은 상기 공급 메인관(13)의 경사면에 대응되게 형성되고, 이를 측면에서 보면 상기 공급 메인관(13)의 측면 모양과 동일한 역사다리꼴 모양을 이룬다.
한편, 상기 케이스(11)의 개방된상단부에는 내부 확인이 가능한 투명재질로 써, 이물질 유입을 방지하는 밀폐용 덮개판(14)이 씌어진다.
또한, 상기 공급 메인관(13)의 분배구(13a) 및 공급구(13b)에는 난방용수를 공급 및 분배하는 공급배관(130)들 및 메인 공급배관(150)을 고정하는 메인관측 연결부재(15)가 구비되고, 상기 케이스(11)에는 상기 공급배관(130)들 및 메인 공급배관(150)을 고정하는 케이스측 연결부재(16)가 구비된다.
상기 각 공급배관(130)들 및 상기 메인 공급배관(150)의 외주면에 삽입되는 상기 플렉시블관(140)들은 상기 각 공급배관(130)들 및 상기 메인 공급배관(150)을 보호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귀환수 집수기(30) 및 난방용 온수분배기(10)의 시공과정 및 그 과정에서의 본 발명 귀환수 집수기(30) 및 난방용 온수분배기(10)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귀환수 집수기(30)의 시공과정을 설명한다.
상기 집수기(33)와 상기 연결관(34)들 그리고 케이스(31)와 상기 이음관(32)들을 상호결합시켜 실내 바닥에 설치시키는 것에 있어, 우선 상기 케이스(31) 내측에 수용되는 상기 각각의 이음관(32)를 연결부재(35)를 이용하여 고정시키게 된다.
즉, 상기 케이스(31) 상부면에 상기 L자형의 고정소켓(35a)들을 위치시키고, 아치형태의 케이스(31) 전면에는 상기 일자형의 고정소켓(35a)들을 위치시킨다.
이어, L자형의 고정소켓(35a)들과 일자형의 고정소켓(35a)들 사이에 상기 이음관(32)들을 위치시키되, 상기 고정소켓(35)들의 홈(35a-1)에 상기 상기 이음관(32)들의 양측 각 단부들을 맞춰 끼운 후, 미리 준비된 앤드캡(35b)들을 각 상기 고정소켓(35a)들에 체결하여 상기 이음관(32)들을 고정시키게 된다.
다음으로, 연결부재(35)들에 의해 상기 이음관(32)들이 미리 고정된 상기 케이스(31)를 실내 바닥 장소에 설치한다.
이어, 상기 케이스(31) 정면쪽에 미리 준비된 난방용수 회수용 배관(600b)들 및 귀환용 배관(330)이 상기 이음관(32)에 각각 연결된다.
즉, 상기 고정소켓(35a)들의 홈(35a-1)에 난방용수 회수용 배관(600b)들 및 귀환용 배관(330)의 단부들을 맞춰 끼운 후, 앤드캡(35b)을 상기 고정소켓(35a)에 체결하여 고정시키게 된다(도 5 참조).
다음으로, 상기 케이스(31) 상부 양측에 지지판(500)이 세워지고, 그 지지판(500) 사이에 상기 집수관(33)을 고정시키며, 상기 집수관(33)과 상기 이음관(32) 사이에 위치된 상기 각 연결관(34)들 중 일단은 상기 집수관(33)의 회수구(33a)들 및 귀환구(33b)에 고정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집수관(33)의 회수구(33a)들 및 귀환구(33b)에 고정되지 않은 상기 연결관(34)들의 타단은 상기 이음관(32)에 각각 연결한다.
즉, 상기 고정소켓(35a)들의 홈(35a-1)에 상기 연결관(34)들의 단부를 맞춰 끼운 후, 상기 앤드캡(35b)을 상기 고정소켓(35a)에 체결하여 고정시키게 된다(도 5 참조).
한편, 상기 케이스(31) 상부에 경첩(36)에 의해 개폐가능하게 설치된 상기 개폐판(31a)은 상기 귀환수 집수기(30)의 시공과정이 완료된 후, 상기 이음관(32)들의 연결부분으로부터 누수 발생시 확인을 포함한 보수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31)의 한 쪽 모퉁이 부분에 형성된 상기 배수관(31b)은 상기 케이스(31) 내측에이음관(32)들의 연결부분으로부터 발생된 누수가 상기 케이스(31) 내에 고이지 않고 외부로 빠져나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난방용수 회수용 배관(600b)들 및 귀환용 배관(330)이 연결부재(35)에 의해 고정된 상기 케이스(31)의 전면은 아치형태로 되어 있는데, 이는 상기 난방용수 회수용 배관(600b)들 및 귀환용 배관(330) 사이 간격이 넓어 서로 간섭되는 것을 차단시켜 준다.
더욱이, 상기 케이스(31)의 전면 아치형태가 반원에 가까울수록 상기 난방용수 회수용 배관(600b)들간의 간섭은 더욱 줄어든다.
다음으로, 상기 케이스(31) 중 상기 케이스 상부쪽을 제외한 부분은 마감부재 투입으로 상기 각 난방용수 회수용 배관(600b)들 및 귀환용 배관(330)이 매설된다.
한편, 난방용 온수분배기(10)의 시공과정을 설명한다.
귀환수 집수기와는 별도로 난방용 온수분배기(10)를 설치하되, 난방이 필요한 각 실내의 위치를 고려하여 최대한 중심부에 따로 설치하는데 그 구체적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실내 바닥면 위에 케이스(11)가 일정한 높이를 유지한 상태로 놓일 수 있게 설치된다. 이때, 다수의 간격유지용 지지체(12)가 상기 케이스(11) 밑면 중 모퉁이 부분에 각각 설치된다.
다음으로, 상기 케이스(11)의 내측에 상기 공급 메인관(13)을 고정하게 된다.
즉, 상기 공급 메인관(13)의 양측면에 형성된 돌기부(13c)가 상기 케이스(11) 양측면에 형성된 걸림부(11a)에 걸려 지지됨으로써, 상기 공급 메인관(13)이 상기 케이스(11) 내측에 고정된다.
다음으로, 상기 분배구(13a)에는 공급배관(130)을 연결하고, 상기 공급구(13b)에는 메인 공급배관(150)을 연결한다.
이때, 상기 공급배관(130)들 및 메인 공급배관(150)의 외측면에는 플렉시블관(140)이 위치하게 된다.
한편, 상기에서 공급배관(130)들은 난방용 온수분배기(10)로부터 각 실내의 바닥에 설치된 상기 난방용수 공급용 배관(600a)과의 연결지점까지 최단거리를 이루도록 연결한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케이스(11) 내측에 고정된 상기 공급 메인관(13)의 분배구(13a)들에 고정되게 상기 각 공급배관(130)들의 일단부를 위치시키고, 타단부를 난방이 필요한 장소(침실1, 침실2, 침실3, 가족실, 발코니, 서재 등)에 설치된 난방용수 공급용 배관(600a)들과 연결되게 위치시키게 되는데(도 3 및 도 9 참조), 종래와는 달리 본 발명에서는 공급배관(130)들이 각 실내의 난방을 위한 인입지점까지의 길이가 최단거리가 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바닥면을 형성하는 거푸집(도시는 생략함)에 콘크리트(CON) 타설시, 상기 케이스(11) 내측을 제외한 부분과 상기 케이스(11) 외측으로 배열된 상기 플렉시블관(140)들은 콘크리트(CON)에 매립되며, 콘크리트(CON) 양생된 후 마감부재 투입으로난방용 온수분배기(10)의 시공이 마무리된다(도 8 참조).
한편, 냉각된 난방용수를 회수하는 귀환수 집수기(30) 및 가열된 난방용수를 공급하는 난방용 온수분배기(10) 상호간에 따른 난방 시스템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먼저, 난방용수가 공급되는 과정을 보면, 보일러장치로부터 가열되어 공급된 난방용수는 메인 공급배관(150)을 통해 공급 메인관(13)에 내부로 유입된다.
이어, 상기 공급 메인관(13)에 공급된 난방용수는 상기 각 분배구(13a)에 연결된 각 공급배관(130)들을 통해 각 난방용수 공급용 배관(600a)들로 공급되고, 상기 각 난방용수 공급용 배관(600a)을 타고 흐르는 난방용수는 난방이 필요한 장소(침실1, 침실2, 침실3, 가족실, 발코니, 서재 등)의 바닥을 가열하여 실내 난방을 수행하게 된다.
여기서, 도 3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상기 난방용 온수분배기(10)에서 상기 각 난방용수 공급용 배관(600a)의 인입지점까지 연결하는 상기 각 공급배관(130)들은 최단거리로 연결되어 난방용수를 공급함으로써, 난방용수의 유동과정에서 외부로 열이 손실되는 것을 최소화시킨다.
한편, 상기 각 난방용수 공급용 배관(600a)들을 통해 난방이 필요한 장소(침실1, 침실2, 침실3, 가족실, 발코니, 서재 등)의 바닥을 가열 후 냉각된 난방용수가 회수되는 과정을 보면, 난방이 필요한 장소의 바닥을 가열 후의 시점을 기준으로 난방용수가 회수되는 구간은 상기 각 난방용수 회수용 배관(600b)들을 통해 회 수된다.
즉, 상기 각 난방용수 회수용 배관(600b)들을 통과하는 난방용수는 상기 케이스(31) 내측에 위치된 상기 각 이음관(32)들과 상기 각 이음관(32)들과 상기 집수관(33)을 연결하는 상기 각 연결관(34)들을 각각 통과하고, 이어, 상기 회수구(33a)들을 통해 상기 집수관(33)에 회수된다.
상기 집수관(33)에 회수된 난방용수는 상기 집수관(33)의 귀환구(33b)를 통해 상기 연결관(34)들과 상기 이음관(32)들을 거쳐 다시 상기 이음관(32)들에 연결된 귀환용 배관(330)을 통해 보일러 장치로 보내어져 가열된다.
한편, 상기 집수관(33)의 회수구(33a)들 및 귀환구(33b)를 통해 회수되는 난방용수의 유량을 제어하기 위해 유량 제어 밸브(50)가 설치되며, 이 유량 제어 밸브(50)의 설명을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설명에 앞서, 유량 제어 밸브(50)는 난방용 온수 분배기(10)의 구성에 있어 공급 메인관(13)의 분배구(13a)에도 설치가능하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는 귀환수 집수기(30)에 설치된 상태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0은 도 4의 D부로써, 유량 제어 밸브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11a 및 도 11b는 귀환수 집수기에 적용되는 유량 제어 밸브의 작용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며, 본 발명의 유량 제어 밸브(50)는, 일단부가 상기 집수관(33)의 회수구(33a)와 나선 결합되는 중공 구조의 고정소켓(51)과, 상기 고정소켓(51)의 다른 일단부에 결합되는 링형태의 연결소켓(55)과, 상기 연결소켓(55)에 나선 결합되어 사용자에 의해 회전하여 연결소켓(55)에 대해 축선상으로 이동하 는 조절부재(53)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소켓(51)은 중공부(51a)의 내주면에 축중심 방향으로 돌출된 링형의 밸브부(51b)를 갖는다. 상기 밸브부(51b)는 상기 조절부재(53)의 선단부와의 이격 거리를 통해서 유량을 조절하는 부분으로서, 조절부재(53)의 선단부와 연접하여 유로를 폐쇄할 수 있도록 조절부재(53)의 선단부의 외경보다 약간 작은 내경을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 밸브부(51b)는 상기 조절부재(53)를 통해 유동하는 난방 용수가 원활하게 회수구(33a) 쪽으로 유동할 수 있도록 조절부재(53)를 향한 면이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조절부재(53)의 선단부에도 이에 대응하는 경사면이 구비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소켓(51)의 일단부 내주면에는 상기 회수구(33a)의 나사산(33b)에 나선 결합되는 제1나사산(51c)이 형성되어 있으며, 고정소켓(51)의 타단부외주면에는 상기 연결소켓(55)이 나선 결합되는 제2나사산(51d)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연결소켓(55)은 상기 고정소켓(51)과 상기 조절부재(53)를 상호 연결하는 구성요소로서, 일단부 내주면에는 상기 고정소켓(51)의 제2나사산(51d)에 나선 결합되는 제1나사산(55a)이 형성되며, 타단부 내주면에는 상기 조절부재(53)가 나선 결합되는 제2나사산(55b)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연결소켓(55)의 제1나사산(55a)과 제2나사산(55b)이 형성된 부분은 서로 직경이 다르게 형성되며, 제1나사산(55a)과 제2나사산(55b) 사이에는 단턱부(55c)가 형성된다. 상기 단턱부(55c) 상에는 고정소켓(51)과 연결소켓(55) 간의 기밀을 유지하기 위한 오링(O-ring) 형태의 팩킹부재(58)가 안치된다.
한편, 상기 조절부재(53)는 상기 연결소켓(55) 및 고정소켓(51)에 대해 축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단부와 고정소켓(51)의 밸브부(51b) 간의 간격 조정을 통해 유량을 조절하는 기능을 한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조절부재(53)는 중간부분 외주면에 연결소켓(55)의 제2나사산(55b)에 나선 결합되는 제1나사산(53c)이 형성된중공의 몸체부(53a)를 구비한다. 상기 몸체부(53a)의 하단부 외주면에는 난방용수 배관(600)의 소켓(800)에 나선 결합되는 제2나사산(53g)이 형성된다. 상기 제1나사산(53c)과 제2나사산(53g) 사이에는 상기 연결소켓(55)의 하단부 또는 난방용수 배관(600)의 소켓(800) 상단부에 접하게 되는 스커트부(53f)가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몸체부(53a)의 중공부(53b) 하단은 개방되어 있으며, 중공부(53b) 상단은 차폐판(53d)에 의해 폐쇄되어 있으나, 몸체부(53a)의 상단부의 측면부, 엄밀히 말하면 차폐판(53d)의 바로 하측에 난방 용수가 유동할 수 있도록 유출구(53e)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유출구(53e)는 단 1개만 형성될 수도 있지만, 복수개가 일정 간격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차폐판(53d)은 난방용수의 유동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하측으로 오목한 돔(dome) 형태 또는 원추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몸체부(53a)의 상부, 예컨대 상기 유출구(53e)의 바로 아래쪽에는 조절부재(53)의 하강 위치를 제한하기 위한 스톱링(53h)이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스톱링(53h)은 조절부재(53)이 하강 이동시 상기 팩킹부 재(58) 또는 연결소켓(55)의 단턱부(55c)와 접촉하면서 조절부재(53)의 하강 위치를 제한하여 조절부재(53)가 연결소켓(55)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유량제어밸브(50)는 다음과같이 작동한다.
먼저, 도 11a는 유량제어밸브(50)의 유로가 완전히 폐쇄된 상태로, 조절부재(53)의 상단부의 차폐판(53d) 외주연부가 고정소켓(51)의 밸브부(51b)의 내주연부에 접촉하면서 밸브부(51b)의 내주부를 완전히 막아 회수구(33a)를 향한 유동이 차단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조절부재(53)를 연결소켓(55)에 대해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조절부재(53)가 축방향을 따라 아래로 이동하여 도 5b에 도시한 것과 같이 조절부재(53)의 상단부와 고정소켓(51)의 밸브부(51b)가 일정 거리 이격되어 양자간에 공간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난방 배관(5)을 통해 회수되는 난방용수는 조절부재(53)의 중공부(53b)를 지나 조절부재(53) 상단부의 유출구(53e)를 통해 고정소켓(51)의 중공부(51a) 내측으로 유입된 후, 회수구(33a)를 통해 집수관(33)(도 3참조) 내측으로 유입된다.
전술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유량제어밸브(50)는 사용자가 상기 조절부재(53)를 연결소켓(55)에 대해 나선 회전시켜 연결소켓(55) 및 고정소켓(51)에 대해 축방향으로 위치 이동을 시키고, 이로써 조절부재(53)의 상단부 외주부와 밸브부(51b) 간의 이격 거리를 조절하여 유로 면적을 조절한다. 즉, 난방용수의 유량을 증대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조절부재(53)를 일방향(예컨대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조절부재(53)를 하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조절부재(53)의 상단부와 고정소켓(51)의 밸브부(51b)와의 간격을 넓히고, 반대로 난방용수의 유량을 감소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조절부재(53)를 이전과는 반대방향(예컨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조절부재(53)를 상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조절부재(53)의 상단부와 고정소켓(51)의 밸브부(51b)와의 간격을 좁힌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유량제어밸브(50)는 조절부재(53)의 1회전시 나사산의 1피치만큼 조절부재(53)가 축방향으로 이동하여 조절부재(53) 상단부와 밸브부(51b) 간의 간격을 조정하게 되므로, 유로 면적의 조정이 기존에 비해 미세하고 정밀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조절부재(53)의 중공부(53b) 내측으로 유동하는 난방용수가 조절부재(53)의 상단부측면에 형성된 유출구(53e)를 통해 흘러 나온 다음 밸브부(51b)와 조절부재(53) 상단부 사이의 개방된 공간을 통해 유동하므로 거의 저항을 받지 않고 원활하게 유동할 수 있다. 따라서, 기존에 비하여 소음을 대폭 감소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조절부재(53)를 통한 유량의 제어를 더욱 정밀하게 하기 위하여 조절부재(53)의 몸체부(53a) 외면에 눈금 등을 새겨 조절부재(53)의 위치를 더욱 정밀하게 조정할 수도 있을 것이다.
전술한 실시예의 유량제어밸브(50)는 난방용 집수기(30)에 적용되어 각 난방용수 배관(600)들을 통해 유동하는 난방용수의 유량을 조절하도록 되어 있지만, 이 와 다르게 본 발명의 유량제어밸브(50)는 난방용 온수분배기(10)(도 3참조)에 적용되어 각 난방용수 배관(600)으로 공급되는 난방용수의 유량을 조절함으로써 난방을 필요로 하는 각 장소의난방 정도를 정밀하게 조절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12 및 도 13는 귀환수 집수기(30)의 다른 실시예로서, 이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실시예의 귀환수 집수기는 상기 지지판(500)에 상기 집수관(33) 및 버티컬 파이프(34)가 이중으로 설치되도록 한 경우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그 작용은 도 4 내지 도 6을 통해 설명된 귀환수 집수기와 동일 원리로 수행되며, 난방용수 배관의 설치 개수 및 난방 용량의 증대를 도모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난방 배관 구조를 나타낸 배치도이다.
도 2는 도 1의 A부로써, 난방용 온수분배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난방 배관 구조를 나타낸 배치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난방 배관 구조를 나타낸 배치도이다.
도 4는 도 3의 C부로써, 귀환수 집수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E방향에서 본 것으로써, 일부분을 절개하여 나타낸 측면상태의 일부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I ?? I선을 나타낸 평면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3의 D부 상세도로써, 난방용 온수분배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따른 설치상태를 나타낸 측면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F방향에서 본 것으로써, 일부분을 절개하여 나타낸 평면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4의 D부로써, 유량 제어 밸브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a 및 도 11b는 온수용 집수기에 적용되는 유량 제어 밸브의 작용도로써,
도 11a는 회수구를 통한 집수관 내부로 냉각된 난방용수의 회수가 차단된 상태도
도 11b는 회수구를 통한 집수관 내부로 냉각된 난방용수의 회수가 이루어지고 있는 상태도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써, 귀환수 집수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에 따른 귀환수 집수기의 설치를 나타낸 평면상태의 일부 절개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난방용 온수분배기 11: 케이스
13: 공급 메인관 13a: 분배구
13b:공급구 14: 덮개판
15: 메인측 연결부재 16: 케이스측 연결부재
30: 귀환수 집수지 31: 케이스
32: 이음관 33: 집수관
33a: 회수구 33b:귀환구
34: 연결관 35: 연결부재
50: 유량 제어 밸브 51: 고정소켓
51b: 밸브부 53: 조절부재
53a: 몸체부 53d: 차폐판
53e: 유출구 53h: 스톱링
55: 연결소켓 55c: 단턱부
58: 팩킹부재

Claims (18)

  1. 실내 난방을 위해 바닥에 개별적으로 설치된 각 난방용수 배관(600)으로 난방용수를 공급하는 난방용 온수분배기(10)와,
    각 실내의 난방에 사용되어 냉각된 난방용수를 회수하는 귀환수 집수기(30)로 구성되되, 상기 귀환수 집수기(30)는,
    내부에 빈 공간을 가지며 그 일측에는 인접 배열된 다수개의 회수구(33a)가 형성된 집수관(33)과, 수평하게 인접 배열되는 다수개의 이음관(32)과, 상기 다수개의 이음관(32)이 내측에 수용되도록 감싸는 케이스(31)와, 상기 케이스(31)와 상기 집수관(33) 사이를 연결하도록 수직하게 인접 배열되는 다수개의 연결관(34)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난방용 온수분배기(10)와 귀환수 집수기(30)가 별도로 분리 설치되고, 상기 난방용 온수분배기(10)는 난방이 필요한 각 실내의 위치를 고려하여 최대한 중심부에 설치되며,
    상기 난방용 온수분배기(10)로부터 각 실내의 바닥에 설치된 난방용수 배관(600)의 인입지점까지는 최단거리로 공급배관(130)이 연결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용수 분배 및 회수기 설치구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31) 내측에 인접 배열된 상기 다수개의 이음관(32)은 상기 다수개의 연결관과의 상호결합 및 상기 난방용수 배관(600)과의 상호결합되도록 중공구조를 가지며, 양단부에 환형의 홈이 형성되되, 내측벽에 해당되는 부분이 외향 돌출되게 형성되며, 양단부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고정 소켓(35a)과
    상기 고정 소켓(35a)의 외주면 나사산에 나사결합되는 앤드캡(35b)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용수 분배 및 회수기 설치구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집수관(33) 각 회수구(33a)에는 난방용수의 수압을 제어하는 유량 제어 밸브(50)가 선택적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용수 분배 및 회수기 설치구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유량 제어 밸브(50)는,
    중공부(51a) 내주면에 링형상의 밸브부(51b)가 반경방향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는 중공관 형태의 소켓과,
    일부가 상기 소켓의 중공부(51a) 내측으로 삽입되면서 상기 소켓에 나선 결합되고, 다른 일부가 상기 소켓에 대해 나선 회전하면서 축방향으로 위치 이동하여 상기 소켓의 중공부(51a) 내측으로 삽입된 부분의 일단부와 상기 밸브부(51b) 간의 간격 조절을 통해 유로의 개방 면적을 조절하는 중공관 형태의 조절부재(53)를 포함하여 구성된 난방용수 분배 및 회수기 설치구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재(53)는, 외주면에 상기 소켓에 나선 결합되는 나사산이 형성된 중공의 몸체부(53a)와, 상기 몸체부(53a)의 중공부(53b) 일단부를 축방향으로 폐쇄하도록 설치되는 차폐판(53d)과, 몸체부(53a)의 일단부 측면에 소켓의 중공부(51a)와 연통되도록 형성된 배출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용수 분배 및 회수기 설치구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판(53d)은 몸체부(53a)의 중공부(53b) 내측 방향으로 오목한 돔 형태 또는 원추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용수 분배 및 회수기 설치구조.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은 난방용 온수분배기(10)의 분배구(10a)들 또는 귀환수 집수기(30)의 회수구(33a)들에 고정되게 결합되는 고정소켓(51)과, 일단부가 상기 고정소켓(51)에 고정되게 결합되며 타단부 내주면에 상기 조절부재(53)가 나선 결합되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연결소켓(55)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용수 분배 및 회수기 설치구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소켓(51)과 연결소켓(55)의 결합부에는 누수를 방지하기 위한 링형태의 팩킹부재(58)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용수 분배 및 회수기 설치구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재(53)의 외주부에는 상기 팩킹부재(58)와 접촉하여 조절부재(53)의 위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톱링(53h)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용수 분배 및 회수기 설치구조.
  13.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부(51b)는 조절부재(53)를 향한 면이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용수 분배 및 회수기 설치구조.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31) 전면은 난방용수 배관(600)들간에 간섭되지 않게 단면형상이 아치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용수 분배 및 회수기 설치구조.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31)의 일측에 이물질 배출을 위한 배수구(31b)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용수 분배 및 회수기 설치구조.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난방용 온수분배기(10)는
    케이스(11)와
    상기 케이스(11) 내측에 난방용수가 공급되도록 내부가 빈 공간을 가지며, 공급된 난방용수를 각각의 난방용수 배관(600)으로 분배하도록 다수개의 분배구(13a)를 갖는 공급 메인관(13)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용수 분배 및 회수기 설치구조.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케이스(11)가 바닥면을 이루는 곳으로부터 일정 높이 이격되도록 하는 간격유지용 지지체(12)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용수 분배 및 회수기 설치구조.
  18. 실내 난방을 위해 바닥에 개별적으로 설치된 각 난방용수 배관(600)으로 난방용수를 공급하는 난방용 온수분배기(10)와, 각 실내의 난방에 사용되어 냉각된난방용수를 회수하는 귀환수 집수기(30)를 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난방용 온수분배기(10)와 귀환수 집수기(30)를 별도의 장소에 분리 설치하되,
    상기 난방용 온수분배기(10)는 난방이 필요한 각 실내의 위치를 고려하여 최 대한 중심부에 설치하며,
    상기 난방용 온수분배기(10)로부터 각 실내의 바닥에 설치된 난방용수 배관(600)의 인입지점까지 최단거리를 이루도록 공급배관(130)을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용수 분배 및 회수기 시공방법.
KR1020090016846A 2009-02-27 2009-02-27 난방용수 분배 및 회수기 설치구조 및 그 시공 방법 KR1009344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6846A KR100934463B1 (ko) 2009-02-27 2009-02-27 난방용수 분배 및 회수기 설치구조 및 그 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6846A KR100934463B1 (ko) 2009-02-27 2009-02-27 난방용수 분배 및 회수기 설치구조 및 그 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34463B1 true KR100934463B1 (ko) 2009-12-30

Family

ID=416848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6846A KR100934463B1 (ko) 2009-02-27 2009-02-27 난방용수 분배 및 회수기 설치구조 및 그 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446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7585B1 (ko) * 2012-05-03 2014-05-21 황혜자 보일러 하부 배관연결용 분기매립박스 및 그 시공방법
KR101805804B1 (ko) * 2016-06-02 2017-12-07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에이제이 분배기
KR20210034184A (ko) * 2019-09-20 2021-03-30 주식회사 디아 핸드밸브 수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4564Y1 (ko) * 2004-11-15 2005-01-29 최봉림 난방용 온수순환관의 배관장치
KR200406982Y1 (ko) * 2005-11-11 2006-01-24 이화성 보일러용 온수분배기
KR100728264B1 (ko) * 2006-12-21 2007-06-14 주식회사 피아이피 화장실 벽체매립형 냉,온수분배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4564Y1 (ko) * 2004-11-15 2005-01-29 최봉림 난방용 온수순환관의 배관장치
KR200406982Y1 (ko) * 2005-11-11 2006-01-24 이화성 보일러용 온수분배기
KR100728264B1 (ko) * 2006-12-21 2007-06-14 주식회사 피아이피 화장실 벽체매립형 냉,온수분배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7585B1 (ko) * 2012-05-03 2014-05-21 황혜자 보일러 하부 배관연결용 분기매립박스 및 그 시공방법
KR101805804B1 (ko) * 2016-06-02 2017-12-07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에이제이 분배기
KR20210034184A (ko) * 2019-09-20 2021-03-30 주식회사 디아 핸드밸브 수전
KR102236747B1 (ko) 2019-09-20 2021-04-06 주식회사 디아 핸드밸브 수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4463B1 (ko) 난방용수 분배 및 회수기 설치구조 및 그 시공 방법
US10775112B2 (en) Heat recovery apparatus and method
CN204919779U (zh) 一种用于同层排水的地漏
WO2019159039A1 (en) Device and method for filtering a fluid circulating in a plumbing and heating system
US11306978B2 (en) Heat recovery apparatus and method
KR101231173B1 (ko) 환수구조를 구비한 온돌패널 조립체
JP6682070B2 (ja) 排水機器の配管構造
KR100851937B1 (ko) 냉, 온수용 분배기 및 그 시공방법
CN201007520Y (zh) 混合式采暖装置
CN206560720U (zh) 集成水路系统和具有其的清洗装置
KR20100097945A (ko) 난방 시스템용 유량제어밸브
JP2004244865A (ja) メーター配管ユニットの結合構造
KR100953897B1 (ko) 집합건물용 통합배수관
JP2019190791A (ja) 間接排水用継手及び機器設置構造
EP2435773A2 (en) Heat exchanger for recuperation of residual heat from waste water
CN1892127B (zh) 住宅用换气系统
JP3211006U (ja) 縦型貯水装置と貯水装置付きマンション
US11859832B2 (en) Gray water heat recovery apparatus and method
EP4113048B1 (en) Grey water heat recovery apparatus
CN209213964U (zh) 一种智能暖通维护装置
KR200452295Y1 (ko) 분배기용 연결부재
CN205350435U (zh) 一种改进型的三通阀
CN107883100A (zh) 分水器和配置该分水器的用水系统
KR101374329B1 (ko) 다단 분기를 위한 급수/급탕/난방 분배기 통합 배수장치
KR200231756Y1 (ko) 온수 분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