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7585B1 - 보일러 하부 배관연결용 분기매립박스 및 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보일러 하부 배관연결용 분기매립박스 및 그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7585B1
KR101397585B1 KR1020120046809A KR20120046809A KR101397585B1 KR 101397585 B1 KR101397585 B1 KR 101397585B1 KR 1020120046809 A KR1020120046809 A KR 1020120046809A KR 20120046809 A KR20120046809 A KR 20120046809A KR 101397585 B1 KR101397585 B1 KR 1013975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boiler
box body
piping
l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68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23579A (ko
Inventor
이용춘
이근기
황혜자
Original Assignee
황혜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혜자 filed Critical 황혜자
Priority to KR10201200468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7585B1/ko
Publication of KR201301235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35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75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75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9/00Details
    • F24D19/0097Casings or frame structures for hydraulic compon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21Devices for positioning or connecting of water supply l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10Feed-line arrangements, e.g. providing for heat-accumulator tanks, expansion tanks ; Hydraulic components of a central heating system
    • F24D3/1058Feed-line arrangements, e.g. providing for heat-accumulator tanks, expansion tanks ; Hydraulic components of a central heating system disposition of pipes and pipe connections
    • F24D3/1066Distributors for heating liqu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일러 하부 배관연결용 분기매립박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일러와 연결되어 냉온수와 난방수를 공급 및 분배하는 다수의 이중관 구조의 배관을 덧침콘크리트 후 돌출되지 않도록 보일러 하부 바닥에 안전하게 매립할 수 있어 타공정 작업시 작업자의 실수나 거푸집의 낙하로 인한 배관의 파손이 방지되고, 매립된 배관들의 내측으로 이물질 유입이 방지되며 보일러실과 인접한 세탁실 인입 배관을 위해 별도의 분배기를 설치하지 않고도 분기가 용이함으로써 시공비용이 절감되어 배관 시공 및 보수가 용이한 분기매립박스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일단은 벽체에 고정된 보일러(2)에 연결되고 타단은 보일러(2)의 하부 바닥 또는 벽체에 매립되어 냉온수 및 난방수를 공급 및 분배하도록 CD관과 연질관으로 이중배관된 냉온수 배관(50) 및 난방 배관(51)과; 상면이 개구된 박스형상이고 측면에 상기 냉온수 배관(50) 및 난방 배관(51)의 입출 및 분기를 위한 다수의 배관출입공(11)이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배관출입공(11)이 형성된 측면과 접하는 저면에는 나란하게 이격되어 오목하게 형성되는 철근도피부(12)가 형성되는 박스본체(10)와; 상기 박스본체(10)의 개구된 상면에 대응되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고 다수의 연질관출입공(22)을 충격을 가하여 형성할 수 있는 다수의 원형절단홈(21)이 형성되는 덮개(20)와; 상기 박스본체(10) 내에 유입된 냉온수 배관(50) 및 난방 배관(51)을 각각 필요에 따라 분기되도록 결합되는 연결관(40);으로 이루어지는 보일러 하부 배관연결용 분기매립박스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에 관한 것을 그 기술적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보일러 하부 배관연결용 분기매립박스 및 그 시공방법{branch buried box for connecting hot and cold water pipes under boiler and method thereby}
본 발명은 보일러 하부 배관연결용 분기매립박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보일러와 연결되어 냉온수와 난방수를 공급 및 분배하는 다수의 이중관 구조의 배관을 덧침콘크리트 후 돌출되지 않도록 보일러 하부 바닥에 안전하게 매립할 수 있어 타공정 작업시 작업자의 실수나 거푸집의 낙하로 인한 배관의 파손이 방지되고, 매립된 배관들의 내측으로 이물질 유입이 방지되며 보일러실과 인접한 세탁실 인입 배관을 위해 별도의 분배기를 설치하지 않고도 분기가 용이함으로써 시공비용이 절감되어 배관 시공 및 보수가 용이한 분기매립박스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택, 아파트, 오피스텔, 호텔 등의 주거 공간을 신축이나 증축하는 경우에 외부에서 유입되는 냉온수 배관은 보일러를 경유하여 싱크대 하부, 붙박이장, 드레스룸 등에 설치되는 난방수 분배기를 통해 각 방 및 거실 등 난방이 필요한 각수요처로 난방수를 보내고, 냉온수 분배기를 통해 화장실이나 욕실, 보일러실, 다용도실, 세탁실, 보조주방 등의 각 수요처로 냉온수를 공급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시설된다.
여기서, 상기 보일러(boiler)와 연결되는 다수의 냉온수 배관(150)과 난방 배관(151)은 이중관(CD관+연질관)구조를 이용하여 매립되며 이렇게 매립된 바닥으로부터 돌출되어 보일러하부에 연결되고 있다.
여기서 CD관은, Convoluted Duct 또는 Combine Duct의 줄임말로 주름관 또는 가요관이라고도 하며, 표면에 연속적으로 주름이 형성되어 있어 용이하게 휘어질 수 있고 다양한 색상으로 제조되어 냉수관(청색)와 온수관(적색)과 난방수관(녹색)을 색깔별로 배관하여 구분이 용이하게 사용되고 있으며, 콘크리트에 매설된 CD관을 통해 지름이 상대적으로 작은 연질관을 삽입하여 배관하는 이중관 구조가 널리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보일러와 연결되는 다수의 배관 연결시공은 바닥에 철근(103)이 배근된 상태에서, 먼저 이중관 구조의 냉온수 배관(150)과 보일러와 난방 분배기에 뜨거운 난방수를 공급하고 환수하는 난방 공급관과 환수관을 이중관 구조의 난방 배관(151)을 철근에 배관 및 고정하고 다음으로 바닥 덧침콘크리트(104)를 타설하되 냉온수 배관(150)의 단부가 바닥 상부로 돌출되도록 매립하며, 덧침콘크리트(104)가 양생된 이후에 천정 및 바닥 거푸집 해체작업을 하고, 다음으로 보일러 하부를 바닥 마감면보다 약간 높게 단턱을 두고 방수 및 미장, 타일작업을 하는데, 이는 발코니 수전과 세탁실 수전을 통해 토출되는 냉,온수가 바닥에 매립된 이중관 주위 틈새로 흘러들어 누수되는 것을 막기 위한 것이며, 보일러와 수전을 설치한 뒤 상기 바닥상부로 돌출된 냉온수 배관(150)을 연장하여 보일러의 하부에 연결하는 단계로 시공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이러한 보일러 하부 배관 연결방법은 덧침콘크리트시 바닥상부로 돌출된 이중관 구조의 냉온수 배관(150)과 난방 배관(151)이 천정 거푸집 해체 작업시 낙하하는 무거운 거푸집에 의해 대부분이 파손되고, 또한 타공정 작업자가 왕래하는 가운데 작업물 등에 충돌하여 파손되는 등 충격으로 인한 파손에 취약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파손된 냉온수 배관(150)과 난방 배관(151)이 배관연결시공시 교체하여야 하는데, 교체시 파손된 부위를 절단하고 새로운 배관으로 연결하거나, 바닥과 접한 위치에서 파손시에는 바닥을 일부 복개한 후 연결하여야 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파손된 부위를 보수하기 위해 바닥 복개시 발생되는 콘크리트 파편 및 먼지 등의 이물질이 매립된 이중관 구조의 냉온수 배관(150) 및 난방 배관(151)의 CD관내로 유입되어 CD관과 연질관을 파손시키고 연질관의 인출을 방해하는데, 이때 CD관 내로 삽입되는 연질관으로 된 냉온수 배관(150) 및 난방 배관(151)의 배관시 CD관 내 콘크리트 파편 등의 이물질을 공기압축기를 이용하여 상기 이물질을 빨아내는 작업이 부가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제조사마다 보일러의 배관 위치가 달라, 타사 보일러로 교체하거나 보일러 하부 바닥면에 매립된 냉온수 및 난방 배관(150,151)이 위치가 잘못 배관된 경우, 바닥 콘크리트를 다시 뜯을 수도 없고 배관의 위치가 복잡하게 엇갈려지거나 심한 경우 배관이 많이 휘어져 부러짐이 발생되는 등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보일러가 세탁실에 설치되는 경우, 손빨래 수전과 세탁기 수전에 냉,온수를 공급하기 위하여 별도의 냉,온수 분배기를 설치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되는 것으로, 보일러와 연결되어 냉온수와 난방수를 공급 및 분배하는 다수의 이중관 구조의 배관을 덧침콘크리트 후 돌출되지 않도록 보일러 하부 바닥에 안전하게 매립할 수 있어 타공정 작업시 작업자의 실수나 거푸집의 낙하로 인한 배관의 파손이 방지되고, 매립된 배관들의 내측으로 이물질 유입이 방지되며 보일러실과 인접한 세탁실 인입 배관을 위해 별도의 분배기를 설치하지 않고도 분기가 용이함으로써 시공비용이 절감되어 배관 시공 및 보수가 용이한 분기매립박스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일단은 CD관과 연질관으로 이중배관된 채로 보일러(2)의 하부 바닥 또는 벽체에 매립되고 타단은 연질관만을 인출하여 벽체에 고정된 보일러(2) 하부의 냉온수 배관 연결부에 연결되어 냉온수를 공급 및 분배하는 냉온수 배관(50)과; 일단은 CD관과 연질관으로 이중배관된 채로 보일러(2)의 하부 바닥 또는 벽체에 매립되고 타단은 연질관만을 인출하여 벽체에 고정된 보일러(2) 하부의 난방 배관 연결부에 연결되어 난방수를 공급 및 분배하는 난방 배관(51)과; 상면이 개구된 박스형상이고 측면에 상기 냉온수 배관(50) 및 난방 배관(51)의 입출 및 분기를 위한 다수의 배관출입공(11)이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배관출입공(11)이 형성된 측면과 접하는 저면에는 나란하게 이격되어 오목하게 형성되는 철근도피부(12)가 형성되어 설치시 철근절단 없이 설치가능한 박스본체(10)와; 상기 박스본체(10)의 개구된 상면에 대응되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고 보일러 제조사마다 다르게 배치되는 배관 인입 위치에 따라 선택하고 충격을 가하여 필요한 배관 위치에 다수의 연질관출입공(22)을 형성할 수 있는 다수의 원형절단홈(21)이 형성되는 덮개(20)와; 상기 박스본체(10) 내에 유입된 냉온수 배관(50) 및 난방 배관(51)을 각각 필요에 따라 분기되도록 결합되는 연결관(40);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 하부 배관연결용 분기매립박스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달성된다.
또한, 상기 보일러 하부 배관연결용 분기매립박스에 있어서, 상기 박스본체(10)의 배관출입공(11)은 2열로 형성되되 철근도피부()를 형성하여 바닥에 매립되는 박스의 높이를 얇게 제작하는 것이 가능하고 설치시 철근의 절단없이 바닥 콘크리트 철근 피복두께 내부에 설치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보일러 하부 배관연결용 분기매립박스에 있어서, 상기 철근도피부(鐵筋逃避部,12)는 나란하게 형성되는 것 외에 추가적으로 십자(十字)로 교차되어 오목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보일러 하부 배관연결용 분기매립박스에 있어서, 상기 박스본체(10)의 개구된 상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소정높이를 갖도록 형성되어 상하면이 개구되며 고정수단(60)을 이용하여 결합되고 보일러실의 바닥 마감면보다 약간 높게 형성된 단턱(5)의 두께에 대응하여 높이를 형성하며 상기 덮개(20)를 상면에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는 연장박스(3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바닥 덧침콘크리트시 CD관과 연질관으로 이중배관된 냉온수 배관 및 난방 배관이 바닥 상부로 돌출되도록 매립하고, 돌출된 냉온수 배관 및 난방 배관의 연질관만을 인출한 뒤 상측으로 연장하여 후시공된 보일러에 연결하는 보일러 하부 배관연결 시공방법에 있어서, 상면이 개구된 박스형상이고 측면에 상기 냉온수 배관(50) 및 난방 배관(51)의 입출 및 분기를 위한 다수의 배관출입공(11)이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배관출입공(11)이 형성된 측면과 접하는 저면에는 나란하게 이격되어 오목하게 형성되는 철근도피부(12)가 형성되는 박스본체(10)와 상기 박스본체(10)의 개구된 상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다수의 연질관출입공(22)이 형성되는 판형의 덮개(20)를 구비(S100)하여; 바닥 덧침콘크리트 단계(S130) 이전에, 상기 박스본체(10)를 배근된 철근에 철근도피부(12)가 위치되도록 놓고 고정시켜 배관출입공(11)에 바닥에 설치된 다수의 CD관(52)의 단부를 결합시키는 단계(S110)와; 상기 박스본체(10)의 개구된 상면을 밀폐하도록 덮개(20)를 결합시키는 단계(S120);를 포함하고, 바닥 덧침콘크리트 단계(S130) 이후 천정 및 바닥 거푸집을 해체(S140)하고 방수와 미장과 타일마감하고 보일러 설치(S160)후, 상기 덮개(20)를 개방하고 상기 CD관(52)으로부터 인출된 다수의 연질관(53)을 박스본체(10) 내측에서 각각 필요에 따라 분기되도록 연결관(40)을 이용하여 결합하는 단계(S170)와; 상기 CD관(52)으로부터 인출된 연질관(53)과 상기 단계(S170)에서 분기된 연질관(53)이 상부로 인출되도록 덮개(20)의 원형절단홈(21) 중 보일러 제조사의 배관 인입위치에 따라 원형절단홈(21)을 선택하고 충격하여 연질관출입공(22)을 형성한 뒤 이를 통하여 연질관(53)을 인출하고 덮개(20)를 박스본체(10)에 결합하는 단계(S18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 하부 배관연결 시공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달성된다.
또한, 상기 보일러 하부 배관연결 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보일러(2)가 세탁실 및 발코니에 설치되어 보일러(2)의 하부에 단턱(5)이 형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박스본체(10)의 개구된 상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소정높이를 갖도록 형성되어 전후면이 개구되며 고정수단(60)을 이용하여 결합되는 연장박스(30)를 더 구비(S105)하고; 상기 바닥 및 천정 거푸집을 해체하는 단계(S140) 이후, 상기 박스본체(10)의 덮개(20)를 개방하고 박스본체(10)의 상면에 연장박스(30)를 결합하고 덮개(20)를 결합하는 단계(S150);를 더 포함하고, 바닥면 방수 및 미장, 타일마감시 단턱(5)도 함께 설치하고 양생후 함께 마감된 벽면에 보일러(2)를 설치(S161)한 뒤, 상기 연장박스(30)의 덮개(20)를 개방하고 상기 냉온수 배관(50) 및 난방 배관(51)의 CD관(52)으로부터 인출된 다수의 연질관(53)을 박스본체(10)와 연장박스(30)의 내측에서 각각 필요에 따라 분기되도록 연결관(40)을 이용하여 결합하는 단계(S171)와; 상기 CD관(52)으로부터 인출된 연질관(53)과 상기 단계(S171)에서 분기된 연질관(53)이 상부로 인출되도록 덮개(20)의 원형절단홈(21) 중 선택하고 충격하여 연질관출입공(22)을 형성한 뒤 이를 통하여 연질관(53)을 인출하고 덮개(20)를 연장박스(30)에 결합하는 단계(S181);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
보일러와 연결되어 냉온수와 난방수를 공급 및 분배하는 다수의 이중관 구조의 배관을 덧침콘크리트 후 돌출되지 않도록 보일러 하부 바닥에 안전하게 매립할 수 있어 타공정 작업시 작업자의 실수나 거푸집의 낙하로 인한 배관의 파손이 방지되고, 매립된 배관들의 내측으로 이물질 유입이 방지되며 보일러실과 인접한 세탁실 인입 배관을 위해 별도의 분배기를 설치하지 않고도 분기가 용이함으로써 시공비용이 절감되어 배관 시공 및 보수가 용이한 분기매립박스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 은 종래의 보일러 하부 배관연결을 보이는 개략도
도 2 는 본 발명을 적용한 보일러 하부 배관연결용 분배기를 보이는 개략도
도 3 은 본 발명을 적용한 시공방법 중 박스본체를 매립한 상태를 보이는 측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을 적용한 시공방법 중 박스본체의 덮개를 덮는 상태를 보이는 측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을 적용한 시공방법 중 덮개를 관통하여 연질관을 상측으로 인출한 상태를 보이는 측단면도
도 6 은 본 발명을 적용한 시공방법 중 박스본체의 상측에 연장박스를 설치한 상태를 보이는 측단면도
도 7 은 본 발명을 적용한 시공방법 중 연장박스의 개구에 덮개를 덮고 연질관을 상측으로 인출한 상태를 보이는 측단면도
도 8 은 본 발명을 적용한 시공방법 중 단턱공사후 덮개를 통하여 연질관을 상측으로 인출한 상태를 보이는 측단면도
도 9 는 본 발명을 적용한 시공방법 중 보일러에 배관들을 연결한 상태를 보이는 측단면도
이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보다 잘 이해할 수 있도록 설명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하며, 본 발명을 이에 한정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실시예1)
먼저,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분기매립박스(1)는 CD관과 연질관으로 이중배관된 냉온수 배관(50) 및 난방 배관(51)과 박스본체(10)와 덮개(20)와 연결관(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냉온수 배관(50) 및 난방 배관(51)은 외면이 굴곡진 보호용 주름관인 CD관(자바라 형상의 연질관, Corrugated duct)의 내부에 연질관을 삽입한 이중배관으로 사용된다. 일단은 벽체에 고정된 보일러(2)에 연결되고 타단은 보일러(2)의 하부 바닥 콘크리트 슬랍(Slab)에 이중관 구조로 매립되어 각 수요처에 냉온수 및 난방 분배기에 뜨거운 난방수를 공급하고 환수하는 냉온수 및 난방 분배기에 연결된다.
상기 박스본체(10)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면이 개구된 박스형상이고 측면에 상기 냉온수 배관(50) 및 난방 배관(51)의 입출 및 분기를 위한 다수의 배관출입공(11)이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배관출입공(11)이 형성된 측면과 접하는 저면에는 나란하게 이격되어 오목하게 형성되는 철근도피부(12)가 형성된다. 상기 철근도피부(12)는 나란하게 형성되는 것 외에 추가적으로 십자(十字)로 교차되어 오목하게 형성되어 배근된 철근이 십자로 교차되는 부분에도 설치가 용이하게 제작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박스본체(10)의 배관출입공(11)은 2열로 형성되되 높이(박스본체의 두께)를 낮출 수 있도록 1열과 2열은 상호 지그재그로 배열되어 근접되게 형성함으로써 배근된 철근(3)을 절단할 필요없이 바닥 콘크리트 슬랍(Slab)내에 매립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덮개(20)는 상기 박스본체(10)의 개구된 상면에 대응되는 플레이트(PLATE) 형상으로 형성되고 보일러 제조사에 따른 배관설치 위치에 맞게 선택한 뒤 충격을 가하여 다수의 연질관출입공(22)을 형성할 수 있는 다수의 원형절단홈(21)이 형성된다.
이처럼 상기 연질관출입공(22)을 처음부터 형성하지 않고 이후 현장에서 필요에 따라 용이하게 형성하도록 함으로써 바닥 덧침콘크리트시에 박스본체(10)를 밀폐하는 용도로 사용되거나 세탁실에 설치되어 단턱을 시공하는 경우 연장박스(30)의 상면을 밀폐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작업현장에서의 상황에 따른 유연한 대처를 위한 배려이다.
상기 연결관(40)은 상기 박스본체(10) 내에 유입된 냉온수 배관(50) 및 난방 배관(51)을 각각 필요에 따라 다수의 배관으로 분기되도록 결합되는데,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엘보우연결관(40)이나 T형연결관(40)을 이용하여 분기되도록 배관할 수 있어, 보일러(2)와 연결을 위해 덮개(20)를 관통하여 인출되는 배관의 수량을 대폭 줄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박스본체(10) 내에서 분기가 가능하여 보일러(2)가 세탁실에 설치되는 경우, 세탁기 수전과 손빨래 수전과 연결된 냉온수 배관(50)을 별도의 분배기를 설치할 필요없이 상기 박스본체(10)로부터 분기되어 세탁기 수전과 손빨래 수전으로 공급되도록 배관함으로써 자재비 및 인건비절감과 배관 설치가 용이하게 되는 것이다.
이에 부가하여, 상기 보일러(2)가 세탁실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세탁기에 바닥 물의 접근을 방지하기 위한 단턱(5)이 형성되어 있어 이로 인한 설치시 덮개(20)의 결합을 위하여, 별도의 연장박스(30)가 필요하게 된다.
상기 연장박스(30)는 상기 박스본체(10)의 개구된 상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소정높이를 갖도록 형성되어 상하면이 개구되며 고정수단(60)을 이용하여 결합되고 보일러실의 바닥 마감면보다 약간 높게 형성된 단턱(5)의 두께에 대응하여 높이를 형성하며 상기 덮개(20)를 상면에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하, 도 3 내지 도 5 는 보일러(2)가 단독으로 베란다에 설치되는 경우를 예로 본 발명의 분기매립박스를 이용한 시공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도 2를 참조하여 박스본체를 제조한다(S100).
도 2에서는 박스본체(10)의 형상이 배관출입공(11)이 형성된 측면은 깊이가 깊고 반대측면은 얕게 형성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높이를 모두 배관출입공(11)이 형성된 측면과 같이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바닥에 배근된 철근(3)에 냉온수 배관(50)과 난방 배관(51)을 고정한 상태에서,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박스본체(10)를 배근된 철근(3)에 철근도피부(12)가 위치되도록 놓고 고정시킨 뒤 배관출입공(11)에 냉온수 배관(50) 및 난방 배관(51)의 CD관(52)의 단부를 결합시킨다(S110).
다음,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박스본체(10)의 개구된 상면을 밀폐하도록 덮개(20)를 결합시킨다(S120).
다음, 바닥 덧침콘크리트(4)를 타설한다(S130). 타설치 외측으로 노출된 냉온수 배관(50) 및 난방수 배관(51)이 전혀 없게 된다.
다음, 바닥 덧침콘크리트(4)를 양생한 후 바닥 및 천정 거푸집을 해체한다(S140). 천정 거푸집 해체 작업시 낙하하는 무거운 거푸집에 의해서 냉온수 배관(50) 및 난방 배관(51)이 파손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물론, 상기 배관의 단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다음, 바닥 방수 및 미장, 타일마감을 하고 마감된 벽면에 보일러(2)를 설치한다(S160).
다음, 상기 박스본체(10)의 덮개(20)를 개방하고 상기 냉온수 배관(50) 및 난방 배관(51)의 CD관(52)으로부터 인출된 다수의 연질관(53)을 박스본체(10) 내측에서 각각 필요에 따라 분기되도록 연결관(40)을 이용하여 결합한다(S170).
다음, 상기 CD관(52)으로부터 인출된 연질관(53)과 상기 단계(S170)에서 분기된 연질관(53)이 상부로 인출되도록 덮개(20)의 원형절단홈(21) 중 보일러 제조사의 배관 인입위치에 따라 원형절단홈(21)을 선택하고 충격하여 연질관출입공(22)을 형성한 뒤 이를 통하여 연질관(53)을 인출하고 덮개(20)를 박스본체(10)에 결합한다(S180).
다음, 상기 덮개(20)를 관통하여 인출된 냉온수 배관(50) 및 난방 배관(51)의 연질관(53)을 보일러(2)에 연결한다(S190).
이후, 상기 보일러(2)가 노후되어 타사의 보일러(2)로 교체시 보일러 제조사 마다 배관의 인입위치가 상이하더라도, 박스본체() 내부에서 새로 설치된 보일러 배관위치에 맞게 연결관()을 이용하여 분기 및 배관 결합한 뒤 본 발명의 상기 덮개(20)의 원형절단홈(21) 중 설치할 보일러의 배관 인입위치에 맞추어 원형절단홈(21)을 선택하고 충격하여 연질관출입공(22)을 형성한 뒤 이를 통하여 연질관(53)을 인출하고 덮개(20)를 박스본체(10)에 결합(S180)할 수 있어 보일러(2)를 교체하여도 깔끔한 배관이 가능하게 된다.
이하, 도 6 내지 도 9 를 참조하여 보일러(2)가 세탁실 및 발코니에 설치되어 보일러(2) 하부에 매립된 이중관 배관 주위로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단턱(5)이 형성된 경우를 예로 본 발명의 분기매립박스를 이용한 시공방법을 설명한다.
상기 보일러(2)가 단독으로 베란다 및 발코니에 설치되는 경우의 시공방법 중 바닥 덧침콘크리트(4)를 양생한 후 바닥 및 천정 거푸집을 해체하는 단계(S140)까지 동일하다.
다음, 상기 박스본체(10)의 덮개(20)를 개방하고 박스본체(10)의 상면에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연장박스(30)를 결합하고 덮개(20)를 결합한다(S150).
다음, 보일러실 바닥에 단턱(5) 높이만큼 벽돌을 쌓고 바닥면과 단턱부를 방수처리한 뒤 타일과 미장으로 마감하고 양생후 보일러(2)를 설치한다(S161).
다음, 상기 연장박스(30)의 덮개(20)를 개방하고 상기 냉온수 배관(50) 및 난방 배관(51)의 CD관(52)으로부터 인출된 다수의 연질관(53)을 박스본체(10)와 연장박스(30)의 내측에서 각각 필요에 따라 분기되도록 연결관(40)을 이용하여 결합한다(S171).
다음, 상기 CD관(52)으로부터 인출된 연질관(53)과 상기 단계(S171)에서 분기된 연질관(53)이 상부로 인출되도록 덮개(20)의 원형절단홈(21) 중 선택하고 충격하여 연질관출입공(22)을 형성한 뒤 이를 통하여 연질관(53)을 인출하고 덮개(20)를 연장박스(30)에 결합한다(S181).
다음, 상기 덮개(20)를 관통하여 인출된 냉온수 배관(50) 및 난방 배관(51)의 연질관(53)을 보일러(2)에 연결한다(S190).
다음, 상기 덮개(20)의 연질관출입공(22)과 냉온수 배관(50) 및 난방 배관(51)의 사이 틈새를 실리콘 처리하여 박스본체(10) 내부로 물의 유입을 방지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분기매립박스 2: 보일러 3: 철근
4: 덧침콘크리트 5: 단턱 10: 박스본체
11: 배관출입공 12: 철근도피부 20: 덮개
21: 원형절단홈 22: 연질관출입공 30: 연장박스
40: 연결관 50: 냉온수 배관 51: 난방 배관
52: CD관 53: 연질관 60: 고정수단
S100: 박스본체 제조단계
S110: 박스본체 고정 및 배관 연결단계
S120: 박스본체와 덮개 결합단계
S130: 바닥 덧침콘크리트 타설단계
S140: 바닥 덧침콘크리트 양생후 거푸집 해체단계
S150: 박스본체에 연장박스 결합단계
S160,S161: 방수, 미장, 타일마감후 보일러 설치단계
S1701,S171: 연결관을 이용한 분기단계1: 분기매립박스
S180, S181: 덮개의 연질관출입공 형성 및 연질관 인출단계
S190: 보일러에 배관 연결단계

Claims (6)

  1. 일단은 CD관과 연질관으로 이중배관된 채로 보일러(2)의 하부 바닥 또는 벽체에 매립되고 타단은 연질관만을 인출하여 벽체에 고정된 보일러(2) 하부의 냉온수 배관 연결부에 연결되어 냉온수를 공급 및 분배하는 냉온수 배관(50)과;
    일단은 CD관과 연질관으로 이중배관된 채로 보일러(2)의 하부 바닥 또는 벽체에 매립되고 타단은 연질관만을 인출하여 벽체에 고정된 보일러(2) 하부의 난방 배관 연결부에 연결되어 난방수를 공급 및 분배하는 난방 배관(51)과;
    상면이 개구된 박스형상이고 측면에 상기 냉온수 배관(50) 및 난방 배관(51)의 입출 및 분기를 위한 다수의 배관출입공(11)이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배관출입공(11)이 형성된 측면과 접하는 저면에는 나란하게 이격되어 오목하게 형성되는 철근도피부(12)가 형성되어 설치시 철근절단 없이 설치가능한 박스본체(10)와;
    상기 박스본체(10)의 개구된 상면에 대응되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고 보일러 제조사마다 다르게 배치되는 배관 인입 위치에 따라 선택하고 충격을 가하여 필요한 배관 위치에 다수의 연질관출입공(22)을 형성할 수 있는 다수의 원형절단홈(21)이 형성되는 덮개(20)와;
    상기 박스본체(10) 내에 유입된 냉온수 배관(50) 및 난방 배관(51)을 각각 필요에 따라 분기되도록 결합되는 연결관(40);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박스본체(10)의 배관출입공(11)은 2열로 형성되되 높이를 낮출 수 있도록 1열과 2열은 상호 지그재그로 배열되어 근접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 하부 배관연결용 분기매립박스.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박스본체(10)의 개구된 상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소정높이를 갖도록 형성되어 상하면이 개구되며 고정수단(60)을 이용하여 결합되고 보일러실의 바닥 마감면보다 약간 높게 형성된 단턱(5)의 두께에 대응하여 높이를 형성하며 상기 덮개(20)를 상면에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는 연장박스(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 하부 배관연결용 분기매립박스.
  5. 바닥 덧침콘크리트시 CD관과 연질관으로 이중배관된 냉온수 배관 및 난방 배관이 바닥 상부로 돌출되도록 매립하고, 돌출된 냉온수 배관 및 난방 배관의 연질관만을 인출한 뒤 상측으로 연장하여 후시공된 보일러에 연결하는 보일러 하부 배관연결 시공방법에 있어서,
    상면이 개구된 박스형상이고 측면에 상기 냉온수 배관(50) 및 난방 배관(51)의 입출 및 분기를 위한 다수의 배관출입공(11)이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배관출입공(11)이 형성된 측면과 접하는 저면에는 나란하게 이격되어 오목하게 형성되는 철근도피부(12)가 형성되는 박스본체(10)와 상기 박스본체(10)의 개구된 상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다수의 연질관출입공(22)이 형성되는 판형의 덮개(20)를 구비(S100)하여;
    바닥 덧침콘크리트 단계(S130) 이전에,
    상기 박스본체(10)를 배근된 철근에 철근도피부(12)가 위치되도록 놓고 고정시켜 배관출입공(11)에 바닥에 설치된 다수의 CD관(52)의 단부를 결합시키는 단계(S110)와;
    상기 박스본체(10)의 개구된 상면을 밀폐하도록 덮개(20)를 결합시키는 단계(S120);를 포함하고,
    바닥 덧침콘크리트 단계(S130) 이후 천정 및 바닥 거푸집을 해체(S140)하고 방수와 미장과 타일마감하고 보일러 설치(S160)후,
    상기 덮개(20)를 개방하고 상기 CD관(52)으로부터 인출된 다수의 연질관(53)을 박스본체(10) 내측에서 각각 필요에 따라 분기되도록 연결관(40)을 이용하여 결합하는 단계(S170)와;
    상기 CD관(52)으로부터 인출된 연질관(53)과 상기 단계(S170)에서 분기된 연질관(53)이 상부로 인출되도록 덮개(20)의 원형절단홈(21) 중 보일러 제조사의 배관 인입위치에 따라 원형절단홈(21)을 선택하고 충격하여 연질관출입공(22)을 형성한 뒤 이를 통하여 연질관(53)을 인출하고 덮개(20)를 박스본체(10)에 결합하는 단계(S18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 하부 배관연결 시공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보일러(2)가 세탁실에 설치되어 보일러(2)의 하부에 단턱(5)이 형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박스본체(10)의 개구된 상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소정높이를 갖도록 형성되어 전후면이 개구되며 고정수단(60)을 이용하여 결합되는 연장박스(30)를 더 구비(S105)하고;
    상기 바닥 및 천정 거푸집을 해체하는 단계(S140) 이후,
    상기 박스본체(10)의 덮개(20)를 개방하고 박스본체(10)의 상면에 연장박스(30)를 결합하고 덮개(20)를 결합하는 단계(S150);를 더 포함하고,
    바닥 방수와 미장 및 타일마감시 단턱(5)도 함께 설치하고 양생후 함께 마감된 벽면에 보일러(2)를 설치(S161)한 뒤,
    상기 연장박스(30)의 덮개(20)를 개방하고 상기 냉온수 배관(50) 및 난방 배관(51)의 CD관(52)으로부터 인출된 다수의 연질관(53)을 박스본체(10)와 연장박스(30)의 내측에서 각각 필요에 따라 분기되도록 연결관(40)을 이용하여 결합하는 단계(S171)와;
    상기 CD관(52)으로부터 인출된 연질관(53)과 상기 단계(S170)에서 분기된 연질관(53)이 상부로 인출되도록 덮개(20)의 원형절단홈(21) 중 선택하고 충격하여 연질관출입공(22)을 형성한 뒤 이를 통하여 연질관(53)을 인출하고 덮개(20)를 연장박스(30)에 결합하는 단계(S18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 하부 배관연결 시공방법.
KR1020120046809A 2012-05-03 2012-05-03 보일러 하부 배관연결용 분기매립박스 및 그 시공방법 KR1013975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6809A KR101397585B1 (ko) 2012-05-03 2012-05-03 보일러 하부 배관연결용 분기매립박스 및 그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6809A KR101397585B1 (ko) 2012-05-03 2012-05-03 보일러 하부 배관연결용 분기매립박스 및 그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3579A KR20130123579A (ko) 2013-11-13
KR101397585B1 true KR101397585B1 (ko) 2014-05-21

Family

ID=498527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6809A KR101397585B1 (ko) 2012-05-03 2012-05-03 보일러 하부 배관연결용 분기매립박스 및 그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758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47700A (ja) * 2000-07-31 2002-02-15 Toto Ltd 給水の配管システムにおける分岐配管内の漏水排出構造
KR100863155B1 (ko) * 2007-06-14 2008-10-13 주식회사 피아이피 철근회피홈을 구비한 벽체매립형 수전함 및 이를 이용한배관시공방법
KR100934463B1 (ko) * 2009-02-27 2009-12-30 김성환 난방용수 분배 및 회수기 설치구조 및 그 시공 방법
KR20120011221A (ko) * 2010-07-28 2012-02-07 황혜자 벽체매립형 이중관보호부재 및 이를 이용한 분배기 배관연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47700A (ja) * 2000-07-31 2002-02-15 Toto Ltd 給水の配管システムにおける分岐配管内の漏水排出構造
KR100863155B1 (ko) * 2007-06-14 2008-10-13 주식회사 피아이피 철근회피홈을 구비한 벽체매립형 수전함 및 이를 이용한배관시공방법
KR100934463B1 (ko) * 2009-02-27 2009-12-30 김성환 난방용수 분배 및 회수기 설치구조 및 그 시공 방법
KR20120011221A (ko) * 2010-07-28 2012-02-07 황혜자 벽체매립형 이중관보호부재 및 이를 이용한 분배기 배관연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3579A (ko) 2013-1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59161B1 (ko) 벽체매립형 수전함
US20090229672A1 (en) Method of constructing cold and hot water piping system
KR200417638Y1 (ko) 단열재가 부착된 벽체 매립형의 배관 점검함
CA2957690A1 (en) Flushing station for a ring-pipe or series-pipe system, ring-pipe system as well as series-pipe system
KR100586223B1 (ko) 벽체매립형 오픈 수전함
KR101204760B1 (ko) 배관연결 및 유지보수가 용이한 구조를 갖는 천정매립형 분배기
KR101397585B1 (ko) 보일러 하부 배관연결용 분기매립박스 및 그 시공방법
KR101640432B1 (ko) 공동주택 폐쇄형 스프링클러 소화설비의 세대배관 설치방법
KR100780798B1 (ko) 벽체 매립형의 배관 점검함
KR100742352B1 (ko) 급수 분배기함 및 이를 이용한 급수 배관방법
KR100851937B1 (ko) 냉, 온수용 분배기 및 그 시공방법
KR100780797B1 (ko) 벽체 매립형의 배관 점검함
KR100761927B1 (ko) 슬라브 매립형 냉온수 분배기 박스
KR100742403B1 (ko) 배수가 용이한 분배기
KR102149492B1 (ko) 건식 및 습식 시공이 가능한 온수 온돌 조립체
KR200338297Y1 (ko) 배수가 용이한 분배기
KR20100037227A (ko) 급수설비 및 그 시공 방법
KR200424768Y1 (ko) 유체 이송용 이중 배관을 위한 연결소켓
KR102351576B1 (ko) 배관부재가 구비된 벽체 매립형 수전함
KR102351575B1 (ko) 배관 조립체가 구비된 벽체 매립형 수전함
KR100958123B1 (ko) 냉온수 분배기 박스
KR102569017B1 (ko) 씽크 이중배관을 이용한 주방 및 세탁실 통합 배수 시스템
KR101050191B1 (ko) 수전함 설치방법
KR100862333B1 (ko) 아파트 층고를 절감하기 위한 스프링클러 배관 구조 및이에 사용되는 슬리브
JP6820906B2 (ja) 排水配管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