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6982Y1 - 보일러용 온수분배기 - Google Patents

보일러용 온수분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6982Y1
KR200406982Y1 KR2020050032051U KR20050032051U KR200406982Y1 KR 200406982 Y1 KR200406982 Y1 KR 200406982Y1 KR 2020050032051 U KR2020050032051 U KR 2020050032051U KR 20050032051 U KR20050032051 U KR 20050032051U KR 200406982 Y1 KR200406982 Y1 KR 20040698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water
water distributor
valve
boiler
c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3205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화성
Original Assignee
이화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화성 filed Critical 이화성
Priority to KR202005003205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698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698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698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10Feed-line arrangements, e.g. providing for heat-accumulator tanks, expansion tanks ; Hydraulic components of a central heating system
    • F24D3/1058Feed-line arrangements, e.g. providing for heat-accumulator tanks, expansion tanks ; Hydraulic components of a central heating system disposition of pipes and pipe connections
    • F24D3/1066Distributors for heating liqui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9/0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16L19/005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comprising locking means for the threaded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9/0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16L19/02Pipe ends provided with collars or flanges, integral with the pipe or not, pressed together by a screwed member
    • F16L19/0212Pipe ends provided with collars or flanges, integral with the pipe or not, pressed together by a screwed member using specially adapted sealing means
    • F16L19/0218Pipe ends provided with collars or flanges, integral with the pipe or not, pressed together by a screwed member using specially adapted sealing means comprising only sealing 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9/00Details
    • F24D19/1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D19/100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 F24D19/1009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for central heating
    • F24D19/1015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for central heating using a valve or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02Fluid distribution means
    • F24D2220/0271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02Fluid distribution means
    • F24D2220/0285Pipe s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Valve Hous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보일러용 온수 분배기에 관한 것으로, 보일러에 접속되는 온수공급구(10)나 온수배출구(10')가 각각 급수용 온수분배기(D)와 환수용 온수분배기(D')를 이루는 관체(20,20')의 일단에 나사결합되고, 관체(20,20')의 타단에는 엔드 캡(90,90')이 나사결합되며, 이 관체(20,20')의 외측으로는 각각 복수의 난방라인 연결용 분배구(30,30')가 일정간격으로 돌출 형성된 것에 있어서, 난방라인 연결용 분배구(30,30')의 내면에는 각각 난방용 배관(70,70')에 결합되는 원터치식 파이프 조인트(80,80') 일단의 수나사부(81,81')가 결합되도록 암나사부(31,31')가 형성되고, 상기 급수용 온수분배기(D)에 접속되는 원터치식 파이프 조인트(80)는 콕(cock; 60) 일체형으로 이루어진다.
보일러, 온수분배기, 원터치식 파이프 조인트, 콕(cock), 밸브

Description

보일러용 온수분배기 {Hot water distributer for boiler}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보일러용 온수분배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보일러용 온수분배기에서 급수측 분배기에 설치되는 콕 일체형 원터치식 파이프 조인트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2와 같은 상태에서의 밸브의 분해 단면도,
도 4는 밸브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결합 단면도로서 밸브가 열린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5는 밸브가 닫힌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보일러용 온수분배기에서 환수측 분배기에 설치되는 연결구의 분해단면도,
도 7은 도 6에서 연결구와 환수 배관이 환수측 분배기에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온수공급구 10' : 온수배출구
20,20' : 관체 30,30' : 난방라인 연결용 분배구
31,31' : 암나사부 40 : 에어밸브
50 : 온수공급배관 50': 순환배관
60 : 콕(cock) 61,62 : 통로
63 : 밸브 공간 64 : 연결통로
65 : 콕 밸브 66 : 단턱
66a : 경사면 67 : 탄성걸림구
68,68' : 오-링 69 : 오리피스
70,70' : 난방용 배관 80,80' : 원터치식 파이프 조인트
81,81' : 수나사부 81a,81a' : 오-링
82,82' : 관 삽입부 82a,82a' : 수나사부
83 : 오-링 84 : 슬리브
85 : 스냅링 86 : 조임너트
90,90' : 엔드 캡 100 : 브라켓
D : 급수용 온수분배기 D' : 환수용 온수분배기
본 고안은 보일러용 온수분배기에 관한 것으로, 상세히는 모든 배관자재와의 연결이 가능하여 호환성이 우수하고, 합성수지로 사출성형하므로 산화부식이나 경화 및 노화현상이 적어 장기간 사용이 가능하고, 급수용 온수분배기와 난방용 배관 사이에 설치되는 볼 밸브형태의 개폐 밸브 대신 제작이 용이하고 가격이 저렴한 콕 (cock) 밸브를 사용하여 온수분배기의 가격경쟁력을 향상시킨 것이다.
일반적으로 온수난방을 하고 있는 각 가정에서 사용되는 온수분배기는 보일러에서 버너의 열에 의해 가열된 온수를 각 방으로 분배하기 위한 것으로, 각 분배구에는 통상적으로 수동 또는 자동으로 조절되는 개폐 밸브가 구비된 파이프 조인트가 나사결합되도록 암나사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암나사부에 파이프 조인트의 수나사부를 수밀용 테이프를 감은 상태에서 체결하고, 이 파이프 조인트의 타단에 난방용 배관을 접속하도록 되어 있다.
또, 종래의 온수분배기는 그 관체의 일단에 보일러의 온수공급관과 체결되는 암나사부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분배구에서와 마찬가지로 온수공급관의 말단에 수밀용 테이프를 감은 상태에서 상호 나사결합방식에 의해 연결하도록 되어 있다.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종래의 온수분배기는 그 제작시에 분배구와 관체의 일단에 각각 암나사부를 별도로 가공하여야 하는 공정을 거쳐야만 했었으므로 작업공수추가에 의한 제작비용이 과다하게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을 뿐만 아니라, 이의 설치시에도 별도의 수밀용 테이프를 온수공급관과 밸브의 수나사부에 감은 상태에서 1쌍의 스패너 또는 파이프 렌치를 사용하여 상호 나사결합시켜 주어야 함으로써 배관작업이 매우 힘들고 많은 시간이 소요되었을 뿐만 아니라, 설치완료 후 배관접속부위에서 누수가 발생하는 경우가 허다하여 이의 보완작업이 매우 번거로운 단점이 있어왔다.
또한, 종래의 온수분배기는 급수용 온수분배기의 분배구와 난방용 배관 사이 에 볼 밸브 형태의 개폐 밸브를 설치하여 필요로 하는 방으로만 난방용 온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하고 있는데, 온수분배기에 사용되고 있는 볼 밸브는 외부의 밸브 보디와 밸브체가 팽창률이 서로 다른 소재로 이루어져 있어 온도변화에 따라 수밀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을 뿐만 아니라, 이 볼 밸브는 이의 제작과 조립이 어려워 상대적으로 고가라는 단점도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모든 배관자재와의 연결이 가능하여 호환성이 우수하고, 산화부식이나 경화 및 노화현상이 적어 장기간 사용이 가능하며, 볼 밸브 대신 온도변화에 따라 누수의 발생이 없는 대신 제작이 용이하고 저가인 밸브를 사용함으로써 가격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온수분배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보일러에 접속되는 온수공급구가 관체의 일단에 나사결합되고, 관체의 타단에는 엔드 캡이 나사결합되며, 이 관체의 외측으로는 복수의 난방라인 연결용 분배구 및 공기밸브 접속구가 형성된 온수분배기에 있어서, 상기 온수공급구와 난방라인 연결용 분배구는 각각 온수공급관과 결합되는 원터치식 파이프 조인트와 난방용 배관에 결합되는 원터치식 파이프 조인트 일단의 수나사부가 결합되도록 암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급수용 온수분배기의 분배구에 접속되는 원터치식 파이프 조인트는 콕(cock) 일체형으로 이루어진 보일러용 온수분배기를 제공한다.
본 고안에서 상기 난방용 배관에 결합되는 원터치식 파이프 조인트는 공히 그 일단에 관 삽입부가 형성되고, 이 관 삽입부에는 각각 오-링과 슬리브 및 스냅링이 차례대로 끼워지며, 상기 관 삽입부 외측의 수나사부에 조임너트가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본 고안의 파이프 조인트는 동파이프나 XL파이프 PVC파이프 및 스테인리스 주름관 등 칫수만 일치되는 배관용 관체는 어느 것이든 연결이 가능하므로 가정마다 사용된 난방용 배관이 어느 것이라도 호환가능하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보일러용 온수분배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보일러용 온수분배기에서 급수측 분배기에 설치되는 콕 일체형 원터치식 파이프 조인트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와 같은 상태에서의 분해 단면도이다. 또, 도 4 및 도 5는 콕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도 4는 콕이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5는 콕이 닫힌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또한,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보일러용 온수분배기에서 환수측 분배기에 설치되는 연결구의 분해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에서 연결구와 난방용 배관이 환수측 분배기에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상기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온수분배기는 도시 안된 보일러에 접속되는 온수공급구(10)나 온수배출구(10')가 각각 급수용 온수분배기(D)와 환수용 온수분배기(D')를 이루는 관체(20,20')의 일단에 나사결합되고, 관체(20,20')의 타단에는 엔드 캡(90,90')이 나사결합되며, 이 관체(20,20')의 외측으로는 각각 복수의 난방라인 연결용 분배구(30,30')가 일정간격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난방라인 연결용 분배구(30,30')의 내면에는 각각 난방용 배관(70,70')에 결합되는 원터치식 파이프 조인트(80,80') 일단의 수나사부(81,81')가 결합되도록 암나사부(31,31')가 형성되고, 상기 급수용 온수분배기(D)에 접속되는 원터치식 파이프 조인트(80)는 콕(cock; 60) 일체형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도면 중 부호 40은 급수용 온수분배기(D)의 관체(20) 상부에 부착되는 에어 밸브이고, 부호 50,50'은 보일러 측으로 연결된 온수 공급 및 순환 배관이며, 부호 100은 온수분배기를 지지하기 위한 1쌍의 브라켓이다.
본 고안은 상기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은 5구형 외에도 2구형에서부터 그 이상의 구형까지 각 가정의 방 수에 따라 필요로 하는 다양한 구형으로 제작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이의 제작은 합성수지, 바람직하게는 폴리카보네이트를 소재로 사출성형함으로써 기존의 금속재 온수분배기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중량이 가볍고 견고한 구조를 가지며, 기존이 금속재에 비하여 열전도율이 매우 낮으므로 온수분 배기를 통한 열손실도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난방효율 향상과 연료절약을 도모할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한 온수분배기는 정밀한 금형을 이용한 사출성형에 의해 생산되므로 품질과 규격의 균일성을 유지할 수 있으며, 온수분배기(D,D')의 관체(20,20')와 브라켓(100)의 탈부착에 있어서도 양단에 온수공급구(10)나 온수배출구(10') 및 엔드 캡(90,90')이 나사결합되는 방식으로 이루어져 있어 이의 탈부착이 용이하여 유지보수가 편리한 장점도 있다.
상기 온수분배기의 관체(20,20')는 1쌍의 브라켓(100)사이에서 수평상태로 설치되는데, 이의 결합구조는 본 출원인의 선등록실용신안 제374228호(등록연월일; 2005.01.17)에 개시된 것과 동일한바, 이는 관체(20,20')의 양단에 형성된 수나사부 내측으로 단턱이 형성되어 있고, 이 단턱의 전방으로는 복수개의 위치고정돌기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브라켓(100)에는 관체(20)의 외경과 동일한 직경으로 고정구멍이 천공되어 있고, 이 고정구멍의 둘레에는 상기 위치고정돌기가 끼워지도록 방사상으로 다수개의 위치고정홈이 형성되어 있어 온수분배기의 관체(20,20')를 적정한 각도로 브라켓(100)에 고정시키는 것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으며, 관체(20.20')의 양단을 브라켓(100)의 고정구멍에 끼우고 그 외측에서 각각 온수공급구(10) 및 온수배출구(10')와 엔드 캡(90,90')을 나사결합시키면 관체(20,20')가 유동되지 않게 브라켓(100)에 고정되는 것이다.
상기 브라켓(100)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관체(20,20')의 각도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은 방바닥에 매립설치된 난방용 배관(70,70')을 온수분배기의 관체(20,20') 외측에 돌출형성된 난방라인 연결용 분배구(30,30')에 결합시키는 것을 용이하게 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며, 이는 브라켓(100) 상부에 설치되는 급수용 온수분배기(D)보다 브라켓(100)의 하부에 설치되는 환수용 온수분배기(D')에 난방용 배관(70')을 연결할 경우에 더 필요한데, 이는 온수분배기(D')의 각도를 조절할 수 없을 경우 접속이 매우 어렵게 되는 것을 감안하여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설계한 것이다.
본 고안에서 상기 원터치식 파이프 조인트(80,80')는 공통으로 그 일단에 수나사부(81,81')가 형성되어 있고, 타단에는 관 삽입부(82,82')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 관 삽입부(82,82')에는 각각 오-링(83)과 슬리브(84) 및 스냅링(85)이 차례대로 끼워지고, 상기 관 삽입부(82,82')외측의 수나사부(82a,82a')에 조임너트(86)가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원터치식 파이프 조인트(80,80')를 사용하여 각각 난방라인 연결용 분배구(30,30')와 난방용 배관(70,70')을 결합시키는 방법은 원터치식 파이프 조인트를 사용하여 배관을 상호접속시키는 방법에 준하여 실시하면 되는데, 이를 간단하게 설명하면, 먼저 원터치식 파이프 조인트(80,80')를 온수분배기(D,D')의 각 분배구(30,30')에 나사결합시킨 상태에서 이 파이프 조인트(80,80') 타단의 관 삽입부 (82,82')에 각각 오-링(83)과 슬리브(84) 및 스냅링(85)을 차례대로 끼워넣고, 관 삽입부(82,82') 외측의 수나사부(82a,82a')에 조임너트(86)를 어느 정도 느슨한 상태로 나사결합시킨 상태에서 이 관 삽입부(82,82')에 각각 난방용 배관(70,70')을 깊숙이 끼워 넣고, 느슨하게 체결된 조임너트(86)를 손 또는 전용 공구를 사용하여 조임 방향으로 회전시켜주면 배관접속작업이 완료되는 것이며, 이 조임너트(86)는 실제로 360°회전(1회전)보다 적은 각도의 회전에 의해 완전하게 조여지게 되므로 매우 신속하고 간편하게 그리고 힘을 들이지 않고 배관접속작업을 실시할 수 있게 되는 것이고, 한번 접속된 부위는 내부의 스냅링(85)이 난방용 배관(70,70')을 물고 있어서 고압의 수압상태에서도 쉽게 빠지지 않게 되고, 오-링(83)에 의해 수밀상태가 유지되므로 누수의 발생이 없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의 파이프 조인트는 동파이프나 XL파이프 PVC파이프 및 스테인리스 주름관 등 칫수만 일치되는 배관용 관체는 어느 것이든 연결이 가능하므로 가정마다 사용된 난방용 배관이 어느 것이라도 호환가능하다.
본 고안에서 상기 콕 일체형 파이프 조인트(80)는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존의 볼 밸브를 대신하여 사용되어 각 방으로의 온수공급을 필요에 따라 수동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인데, 이 콕(60)은 파이프 조인트(80)의 내부에 상하로 관통된 통로(61,62)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된 실린더형의 밸브 공간(63)에 피스톤 형태를 이루고 상기 통로(61,62)를 연결시켜주는 연결통로(64)가 형성된 핸들 일체형의 콕 밸브(65)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것이며, 이 콕 밸브(65)에 는 상기 밸브 공간(63)의 입구 외측에 형성된 단턱(66)에 걸리는 후크형의 탄성걸림구(67)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 너트와 같은 별도의 결합구를 사용하지 않고 콕 밸브(65)를 파이프 조인트(80)에 결합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이다.
도면 중 부호 68,68'는 각각 밸브의 개방 및 폐쇄시 수밀을 유지하기 위한 오-링이고, 부호 69는 콕 밸브(65)를 끼워 넣을 때 밸브 공간(63) 내부의 공기를 배출시키기 위한 오리피스이며, 부호 81a,81a'는 분배구(30,30')와 파이프 조인트(80,80')사이의 수밀을 유지하기 위한 오-링이다.
본 고안에서 상기 단턱(66)은 콕 밸브(65)의 후크형 탄성걸림구(67)가 걸린 상태에서 밸브의 개폐를 위해 콕 밸브(65)를 회전시키더라도 콕 밸브(65)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밸브 공간(63)의 입구 외측 전 둘레에 형성되어 있으며, 그 단턱(66)의 전면에는 탄성걸림구(67)의 용이한 결합을 위한 경사면(66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후크형의 탄성걸림구(67)는 180°각도로 2개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경사면(66a)도 이에 대응되게 2곳에 형성되어 있다.
본 고안에서 상기 탄성걸림구(67)는 더욱 견고한 결합상태를 이룰 수 있도록 그 갯수는 2개 이상 즉 180°간격으로 3개를 형성할 수도 있고 90°간격으로 4개를 형성할 수도 있다.
본 고안에 의한 콕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콕 밸브(65)를 회전 시키는 것에 의해 통로(61,62)를 연통시키거나(도 4) 통로(61,62) 사이를 차단함으로써 온수분배기(D)의 관체(20)로부터 공급되는 난방용 온수를 난방용 배관(70)으로 선택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것이며, 상기 콕 밸브(65)와 이 콕 밸브(65)가 삽입되는 밸브 공간(63)이 형성된 파이프 조인트(80)는 동일 소재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온수나 외부의 온도변화가 발생하더라도 양자의 열팽창(수축)계수가 동일하므로 틈새의 벌어짐 등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견고한 수밀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에 의한 온수분배기에서 사용되는 콕 밸브 일체형 파이프 조인트(배관 연결구)는 이의 소재가 모두 합성수지와 고무(실리콘)만으로 이루어지므로 기존의 금속재 볼 밸브의 단점이던 온도변화에 따른 열팽창과 수축률의 차이에 의한 수밀성 저하문제를 해소할 수 있음과 아울러, 이의 재료비와 및 조립이 용이하여 저렴한 비용으로 제작할 수 있으므로 가격경쟁력을 갖는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온수분배기 전체가 합성수지로 사출성형되므로 산화부식이나 경화 및 노화현상이 적어 장기간 사용이 가능하고, 제품의 규격과 품질이 균일하며, 이의 제조원가가 기존의 금속재에 비하여 저렴하고, 기존의 볼 밸브 대신 수밀성이 우수하고 저렴한하며, 조립이 용이한 콕 밸브를 사용하므로 온수분배기의 품질향상과 더불어 가격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등의 실용적인 효과를 갖는다.

Claims (4)

  1. 보일러에 접속되는 온수공급구(10)나 온수배출구(10')가 각각 급수용 온수분배기(D)와 환수용 온수분배기(D')를 이루는 관체(20,20')의 일단에 나사결합되고, 관체(20,20')의 타단에는 엔드 캡(90,90')이 나사결합되며, 이 관체(20,20')의 외측으로는 각각 복수의 난방라인 연결용 분배구(30,30')가 일정간격으로 돌출 형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난방라인 연결용 분배구(30,30')의 내면에는 각각 난방용 배관(70,70')에 결합되는 원터치식 파이프 조인트(80,80') 일단의 수나사부(81,81')가 결합되도록 암나사부(31,31')가 형성되고, 상기 급수용 온수분배기(D)에 접속되는 원터치식 파이프 조인트(80)는 콕(cock; 60) 일체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용 온수분배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원터치식 파이프 조인트(80,80')의 타단에는 난방용 배관(70,70')이 접속되는 관 삽입부(82,82')가 형성되고, 이 관 삽입부(82,82')에는 각각 오-링(83)과 슬리브(84) 및 스냅링(85)이 차례대로 끼워지며, 상기 관 삽입부(82,82') 외측에는 수나사부(82a,82a')가 형성되며, 여기에 조임너트(86)가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용 온수분배기.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콕 일체형 파이프 조인트(80)는 그 내부에 상하로 관통된 통로(61,62)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실린더형의 밸브 공간(63)이 형성되고, 이 밸브 공간(63)에는 상기 통로(61,62)를 연결시켜주는 연결통로(64)가 형성된 핸들 일체형의 콕 밸브(65)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지되, 이 콕 밸브(65)에는 상기 밸브 공간(63)의 입구 외측에 형성된 단턱(66)에 걸리는 후크형의 탄성걸림구(67)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용 온수분배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단턱(66)은 콕 밸브(65)의 후크형 탄성걸림구(67)가 걸린 상태에서 밸브의 개폐를 위해 콕 밸브(65)를 회전시키더라도 콕 밸브(65)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밸브 공간(63)의 입구 외측 전 둘레에 형성되고, 이 단턱(66)의 전면에는 탄성걸림구(67)의 용이한 결합을 위한 경사면(66a)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용 온수분배기.
KR2020050032051U 2005-11-11 2005-11-11 보일러용 온수분배기 KR20040698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2051U KR200406982Y1 (ko) 2005-11-11 2005-11-11 보일러용 온수분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2051U KR200406982Y1 (ko) 2005-11-11 2005-11-11 보일러용 온수분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6982Y1 true KR200406982Y1 (ko) 2006-01-24

Family

ID=492960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2051U KR200406982Y1 (ko) 2005-11-11 2005-11-11 보일러용 온수분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6982Y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8840B1 (ko) * 2007-01-03 2009-01-15 주식회사 대율케이앤피 급수분배기의 분배관
KR100934463B1 (ko) * 2009-02-27 2009-12-30 김성환 난방용수 분배 및 회수기 설치구조 및 그 시공 방법
KR101590577B1 (ko) * 2014-09-26 2016-02-01 한국티앤엠(주) 용접건의 냉각수 분배기
KR101656848B1 (ko) * 2016-03-30 2016-09-12 김학배 설치 및 교체가 용이한 동파방지용 트윈 구조의 보일러 온수 분배 시스템
KR101702367B1 (ko) * 2016-08-16 2017-02-03 성학제 조임너트 체결 안정성이 확보된 커넥터를 구비한 통합 분배기
KR20180026847A (ko) * 2016-09-05 2018-03-14 주식회사 한성시스코 보일러 온수 분배기
KR102130788B1 (ko) 2019-07-08 2020-07-06 한혜숙 온수 분배기
KR102130789B1 (ko) 2019-07-08 2020-07-06 이동렬 온수 분배 시스템
KR20230161256A (ko) * 2022-05-18 2023-11-27 주식회사 미성 난방용수 분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난방용 배관 시스템
KR102672610B1 (ko) 2023-05-26 2024-06-04 장유진 온수분배기용 관연결구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8840B1 (ko) * 2007-01-03 2009-01-15 주식회사 대율케이앤피 급수분배기의 분배관
KR100934463B1 (ko) * 2009-02-27 2009-12-30 김성환 난방용수 분배 및 회수기 설치구조 및 그 시공 방법
KR101590577B1 (ko) * 2014-09-26 2016-02-01 한국티앤엠(주) 용접건의 냉각수 분배기
KR101656848B1 (ko) * 2016-03-30 2016-09-12 김학배 설치 및 교체가 용이한 동파방지용 트윈 구조의 보일러 온수 분배 시스템
KR101702367B1 (ko) * 2016-08-16 2017-02-03 성학제 조임너트 체결 안정성이 확보된 커넥터를 구비한 통합 분배기
KR20180026847A (ko) * 2016-09-05 2018-03-14 주식회사 한성시스코 보일러 온수 분배기
KR101892585B1 (ko) * 2016-09-05 2018-08-28 주식회사 한성시스코 보일러 온수 분배기
KR102130788B1 (ko) 2019-07-08 2020-07-06 한혜숙 온수 분배기
KR102130789B1 (ko) 2019-07-08 2020-07-06 이동렬 온수 분배 시스템
KR20230161256A (ko) * 2022-05-18 2023-11-27 주식회사 미성 난방용수 분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난방용 배관 시스템
KR102616488B1 (ko) * 2022-05-18 2023-12-21 주식회사 미성 난방용수 분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난방용 배관 시스템
KR102672610B1 (ko) 2023-05-26 2024-06-04 장유진 온수분배기용 관연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06982Y1 (ko) 보일러용 온수분배기
US20080276998A1 (en) Water Manifold System And Method
EP0993584B1 (en) Distribution header for potable water and hot water space heating
KR100779516B1 (ko) 난방수 유량조절밸브
KR100752542B1 (ko) 파이프와 대상물의 연결구조
KR101534212B1 (ko) 밸브용 나사연결구
KR100860555B1 (ko) 냉온수 다분기 연결수단 및 이를 이용한 냉온수 배관시스템
KR100974004B1 (ko) 유체 분배기
WO2015188730A1 (zh) 易安装的水龙头结构
KR200461358Y1 (ko) 온수분배기의 결합구조
KR100952119B1 (ko) 보일러용 개량 볼밸브
KR200374228Y1 (ko) 보일러용 온수분배기
KR20100102801A (ko) 인서트에 의한 누수방지용 밸브소켓
KR101145109B1 (ko) 벽면설치용 수전
KR200438031Y1 (ko) 보일러용 온수분배기
KR101195895B1 (ko) 벽면설치용 수전
CN205639699U (zh) 一种水龙头万向三通组件
KR20070065764A (ko) 다용도 코크
KR200344915Y1 (ko) 보일러용 온수 및 가스 분배기
KR200249604Y1 (ko) 보일러용 온수분배기의 구조
CN213629020U (zh) 一种便于拆装的水龙头
KR200440774Y1 (ko) 배관 분기용 연결구
KR200286782Y1 (ko) 보일러용 온수 분배기
KR101160598B1 (ko) 냉온수 혼합 밸브
US10921832B2 (en) Hot water valve with integral thermostatic mixing cartrid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118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