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3566B1 - 매체 재생 기능과 전자 전자 사전 기능이 결합된 휴대형매체 재생 장치 - Google Patents

매체 재생 기능과 전자 전자 사전 기능이 결합된 휴대형매체 재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3566B1
KR100933566B1 KR1020070078607A KR20070078607A KR100933566B1 KR 100933566 B1 KR100933566 B1 KR 100933566B1 KR 1020070078607 A KR1020070078607 A KR 1020070078607A KR 20070078607 A KR20070078607 A KR 20070078607A KR 100933566 B1 KR100933566 B1 KR 1009335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unit
medium
dictionary
search
cap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86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14556A (ko
Inventor
임양균
이덕환
이지혜
Original Assignee
아이스테이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이스테이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아이스테이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786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3566B1/ko
Publication of KR200900145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45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35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35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6Foreign languag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6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both visual and audible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 G09B5/065Combinations of audio and video presentations, e.g. videotapes, videodiscs, television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매체 재생 기능과 전자 사전 기능이 결합된 휴대형 매체 재생 장치(100)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형 매체 재생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10)와 제어부(20)를 구비하고, 디스플레이부(10)는 매체를 재생하여 표시하기 위한 매체 재생 표시부(30)와, 매체에 대한 자막을 표시하고 검색된 단어의 사전 내용을 표시하기 위한 검색 내용 표시부(40) 및 검색을 원하는 단어를 입력하기 위한 검색부(50)를 포함하고, 제어부(20)는 상기 검색 내용 표시부(40)가 상기 매체 재생 표시부(30)에서 매체가 재생되는 동안에 자막이 표시되도록 하는 자막 표시 모드와, 사전 검색 내용을 표시하기 위한 사전 내용 표시 모드 사이에서 전환가능하도록 하며, 제어부(20)는 상기 매체 재생 표시부에서 매체가 재생되는 도중에 상기 검색부(50)에 검색을 원하는 단어를 입력하고 검색을 실행하는 경우, 상기 검색 내용 표시부(40)가 자막 표시 모드에서 사전 내용 표시 모드로 전환되어 검색된 단어에 대한 사전 내용이 검색 내용 표시부에 표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휴대용 매체 재생 장치, PMP, 전자 사전

Description

매체 재생 기능과 전자 전자 사전 기능이 결합된 휴대형 매체 재생 장치{PORTABLE MEDIA PLAYER HAVING MEDIA PLAYING FUNCTION COUPLED WITH ELECTRONIC DICTIONARY FUNCTION}
본 발명은 휴대형 매체 재생 장치(portable media player, 이하 PMP)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매체 재생 기능과 전자 사전 기능이 결합된 PMP에 관한 것이다.
PMP란 음악 및 동영상 재생, 디지털카메라 기능까지 모두 갖춘 휴대용 멀티미디어 재생장치로서, 휴대형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휴대형 멀티미디어 재생기, 차세대 휴대형 컨버전스 기기라고도 한다. PMP의 기본적인 구조는 기존의 MP3플레이어와 같지만, 음악 재생 기능만 있는 MP3플레이어와 달리 동영상 재생 기능, 디지털 카메라 기능을 가지고 있는 것이 일반적이고, 최근에는 인터넷 기능, 문자입력 기능, 게임기능, 전자사전 기능 등 다양한 기능을 갖춘 PMP도 등장하였다. PMP에는 이러한 매체 재생을 표시하기 위한 액정디스플레이(LCD) 화면이 장착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한편, 전자 사전의 기능이 부가된 휴대용 매체 재생 장치는 종래에도 존재하 였다. 그렇지만, 이러한 휴대용 매체 재생 장치에서는 단순히 매체 재생 어플리케이션에 전자 사전 어플리케이션을 부가한 것일 뿐이어서, 매체 재생과 전자 사전은 개별적인 어플리케이션으로 구동된다. 따라서, 매체 재생 도중 전자 사전을 구동하려면 전자 사전 어플리케이션을 따로 실행하여야 한다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전자 사전과 매체 재생이 서로 상이한 인터페이스에서 구동되므로, 매체 재생 도중 전자 사전을 검색하려면 매체 재생을 일시적으로 중단시켜야 한다는 불편을 감수하여야 했었다.
또한, 자막이 포함된 동영상, 전자북, 가사가 포함된 음악 등과 같이 텍스트가 연속적으로 표시되는 매체의 재생시에는 매체의 감상 도중 자막, 전자북 또는 가사 중에 검색을 원하는 단어를 발견한 경우에 별도로 구동된 전자 사전 어플리케이션의 입력창에 검색 단어를 입력하는데에 시간이 걸리므로, 검색 단어 입력을 위해 매체의 재생을 일시적으로 중단시켜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검색 단어의 입력을 용이하게 할 필요성이 존재하였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도출된 것으로서, 매체 재생과 전자 사전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및 인터페이스에서 구동하도록 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매체 재생 표시부와 자막 및 사전 내용 표시부가 하나의 화면에서 동시에 실시간으로 표시되도록 하고, 검색을 원하는 단어의 입력을 용이하게 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매체 재생 기능과 전자 사전 기능이 결합된 휴대형 매체 재생 장치는 디스플레이부(10)와 제어부(20)를 구비하고, 이 디스플레이부(10)는 매체를 재생하여 표시하기 위한 매체 재생 표시부(30); 이 매체에 대한 자막을 표시하고 검색된 단어의 사전 내용을 표시하기 위한 자막 및 사전 내용 표시부(40); 및 검색을 원하는 단어를 입력하기 위한 검색부(50)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자막 및 사전 내용 표시부(40)가 상기 매체 재생 표시부(30)에서 매체가 재생되는 동안에 자막이 표시되도록 하는 자막 표시 모드와, 사전 검색 내용을 표시하기 위한 사전 내용 표시 모드 사이에서 전환가능하도록 하고,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매체 재생 표시부에서 매체가 재생되는 도중에 상기 검색부(50)에 검색을 원하는 단어를 입력하고 검색을 실행하는 경우, 상기 자막 및 사전 내용 표시부(40)가 자막 표시 모드에서 사전 내용 표시 모드로 전환되 어 검색된 단어에 대한 사전 내용이 자막 및 사전 내용 표시부에 표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휴대형 매체 재생 장치에서는 자막 및 사전 내용 표시부에 표시된 자막(41) 또는 사전 내용(43)은 상기 매체 재생 표시부(30)에서 재생되는 매체와 상기 디스플레이부(10) 상에서 동시적으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휴대형 매체 재생 장치에서는 검색부(50)는 입력창(51)과 검색 실행 버튼(52)을 포함하고, 검색을 원하는 단어의 입력은 입력창(51)에 입력되고, 검색의 실행은 검색 실행 버튼(52)을 터치함에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형 매체 재생 장치에서는 상기 검색부(51)의 입력창(51)에 대한 단어의 입력은 상기 자막 및 사전 내용 표시부(40)가 자막 표시 모드에 있을 때 상기 자막 및 사전 내용 표시부(40)에 표시된 자막(41)을 터치함으로써 실행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휴대형 매체 재생 장치에 따르면, 기 매체 재생 표시부(30)에서는 매체의 재생과 동시에 자막(31)이 오버레이되어 표시되고, 상기 검색부(50)의 입력창(51)에 대한 단어의 입력은 상기 매체 재생 표시부(30)에 표시된 자막(31)을 터치함으로써 실행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형 매체 재생 장치에서는 상기 검색부(50)의 입력창(51)을 터치하면 키보드 화면(70)이 상기 매체 재생 표시부(30) 및 상기 자막 및 사전 내용 표시부(40)의 일부분에 오버레이(overlay)되며, 상기 검색부(50)의 입력창(51)에 대한 단어의 입력은 상기 키보드 화면(70)의 자판을 터치함에 의해 실행 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형 매체 재생 장치에서는 상기 검색부(50)는 키보드 실행 버튼(53)을 더 포함하고, 상기 키보드 실행 버튼을 터치하면 키보드 화면(70)이 상기 매체 재생 표시부(30)와 상기 자막 및 사전 내용 표시부(40)의 일부분에 오버레이(overlay)되며, 상기 검색부(50)의 입력창(51)에 대한 단어의 입력은 상기 키보드 화면(70)의 자판을 터치함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형 매체 재생 장치에 따르면, 상기 키보드 화면(70)의 자판을 터치하여 상기 검색부(50)의 입력창(51)에 단어를 입력한 경우, 상기 입력창(51)에 입력된 단어를 포함하는 단어들의 목록이 상기 입력창(51)의 하단에 인접하여 표시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형 매체 재생 장치에서는 상기 검색부(51)는 사전 종류 변경 버튼(54)을 더 포함하고, 상기 사전 종류 변경 버튼을 터치할 때마다 상기 자막 및 사전 내용 표시부(40)의 사전 표시 모드에서 표시될 사전의 종류가 순차적으로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형 매체 재생 장치에서는 상기 자막 및 사전 내용 표시부(40)에 표시된 자막(41) 중 상기 매체 재생 표시부(30)에서 재생되는 매체에서 재생 중인 자막(31)은 실시간으로 하이라이트(highlight)되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형 매체 재생 장치에 따르면, 상기 매체 재생 표시부(30)에서 매체가 재생되는 도중에 매체 재생 표시부(30)를 터치하면, 재생되는 매체에 대한 정보(31, 32, 33)가 상기 매체 재생 표시부(30)의 일부분에 오버레 이(overlay)되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형 매체 재생 장치에 따르면, 상기 재생되는 매체에 대한 정보(31, 32, 33)는 재생 매체의 자막 목록(31a, 31b, 31c)을 포함하고, 재생 매체의 자막 목록 중 현재 재생되는 자막 목록(31b)이 하이라이트(highlight)되어 표시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형 매체 재생 장치에서는 상기 매체의 재생을 조작 및 제어하기 위한 매체 재생 조작부(60)를 더 포함하고, 상기 매체 재생 조작부(60)는 부가 기능 전환 버튼(61)을 구비하는 기본 화면 모드와 기본 화면 전환 버튼(62)을 구비하는 부가 기능 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기본 화면 모드에서 부가 기능 전환 버튼(61)을 터치하면 부가 기능 모드로 전환되며, 상기 부가 기능 모드에서 기본 화면 전환 버튼(62)을 터치하면 기본 화면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형 매체 재생 장치에 따르면, 상기 자막 및 사전 내용 표시부(40)의 자막 표시 모드의 상단에는 상기 매체에 대한 자막의 목록을 표시하기 위한 자막 탭(41)이 배치되고, 상기 자막 및 사전 내용 표시부(40)의 사전 내용 표시 모드의 상단에는 검색된 단어를 표시하기 위한 표제어 탭(42)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형 매체 재생 장치에 따르면, 상기 자막 및 사전 내용 표시부(40)에서 자막 표시 모드의 자막 탭(41)을 터치하면 자막 표시 모드가 활성화되고, 사전 내용 표시 모드의 표제어 탭(42)을 터치하면 사전 내용 표시 모드가 활성화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형 매체 재생 장치에서는 상기 표제어 탭(42)은 넓게/좁게 보기 버튼(42-1)을 더 포함하고, 상기 자막 및 사전 내용 표시부(40)와 상기 매체 재생 표시부(30)가 모두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표제어 탭(42)의 넓게/좁게 보기 버튼(42-1)을 터치하면 상기 자막 및 사전 내용 표시부(40)가 상기 매체 재생 표시부(30)에 이르기까지 확대되어 상기 자막 및 사전 내용 표시부(40)만 표시되고, 상기 자막 및 사전 내용 표시부(40)가 확대된 상태에서 상기 표제어 탭(42)의 넓게/좁게 보기 버튼(42-1)을 터치하면 상기 자막 및 사전 내용 표시부(40)는 원래의 크기로 축소되어 상기 자막 및 사전 내용 표시부(42)와 상기 매체 재생 표시부(30)가 모두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매체 재생 기능과 전자 사전 기능이 결합된 PMP에 따르면, 매체 재생기와 전자 사전이 하나의 어플리케에션에서 실행되므로, 매체 재생과 전자 사전을 개별적인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실행할 수 밖에 없었던 종래 기술에 비하여 간편하게 매체 재생과 전자 사전 기능을 동시에 이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르면 매체 재생 표시부와 자막 및 사전 내용 표시부가 하나의 화면에서 동시에 실시간으로 표시되고, 검색 단어의 입력이 재생되는 자막을 터치함에 의해 손쉽게 실행될 수 있으므로, 매체 재생을 일시중지 하여 자막 또는 사전 내용을 검색하거나 표시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 명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는 재생되는 매체가 동영상인 경우를 설명하였지만, 매체에는 동영상뿐만 아니라 음악 파일, 전자북 등과 같이 텍스트를 표시할 수 있는 임의의 정보물을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당업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도 1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PMP(100)의 외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a를 참조하면, PMP(100)는 디스플레이부(10), 안테나(11), 전원 스위치(12), 스피커(13), 조그 스위치(14), 전원 어댑터 장치(15), 볼륨 스위치(16)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PMP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PMP(100)는 디스플레이부(10)와 제어부(20)로 구성된다. 디스플레이부(10)는 재생될 매체가 표시되는 매체 재생 표시부(30)와, 재생되는 매체에 대한 자막을 표시하거나 검색된 사전 내용을 표시하기 위한 자막 및 사전 내용 표시부(40)와, 검색할 단어를 입력하기 위한 검색부(50)와, 재생될 매체를 조작하기 위한 매체 재생 조작부(60)를 포함한다. 제어부(20)는 자막 및 사전 내용 표시부(40), 검색부(50), 매체 재생 조작부(60), 키보드 화면(70)의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PMP(100)의 디스플레이부(10)에서 매체가 재생되는 모습을 보다 상세하게 도시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10) 좌측의 매체 재생 표시부(30)에서는 동영상이 재생되고, 동영상 파일과 함께 자막 파일이 포함된 경우 자막(31)도 동영상과 함께 표시된다. 한편, 디스플레이부(10)의 우측에는 자막 및 사전 내용 표시부(40)가 배치되는데, 자막 및 사전 내용 표시부(40)는 매체 재 생 표시부(30)에서 동영상이 재생될 때, 동영상과 실시간으로 자막(41)이 재생되는 자막 표시 모드와 검색 단어 입력시에 검색 단어에 대한 사전 내용을 표시하기 위한 사전 내용 표시 모드(도 10 참조) 사이에서 서로 전환 가능하다. 도 2에서는 자막 및 사전 내용 표시부(40)가 자막 표시 모드인 상태를 도시하며, 매체 재생 표시부(30)에서 재생되는 매체와 실시간으로 자막이 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매체 재생과 전자 사전이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상에서 실행된다. 즉, 매체 재생 표시부(30)에서의 매체 재생과 자막 및 사전 내용 표시부(40)에서의 자막 표시 또는 사전 내용 검색 표시는 별개의 어플리케이션이 아니고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및 인터페이스 상에서 실행된다. 따라서, 매체 재생 도중에 사전 검색을 위하여 별도의 사전 프로그램을 구동할 필요가 없다.
한편, 디스플레이부(10)의 상단에는 검색 단어를 입력하기 위한 검색부(50)가 배치될 수 있는데, 검색부(50)에는 검색 단어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창(51)과 검색 실행 버튼(52), 키보드 실행 버튼(53) 및 사전 종류 변경 버튼(54)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0)의 하단에는 재생되는 매체에 대한 조작(재생 모드, 볼륨 조절 등)을 하기 위한 매체 재생 조작부(60)가 배치될 수 있다. 도 2에서 도시된 디스플레이부(10) 내의 각 부분들, 즉 매체 재생 표시부(30), 자막 및 사전 내용 표시부(40), 검색부(50) 및 매체 재생 조작부(60)의 배치는 어디까지나 예시적인 것이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이하, 도 3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매체 재생 기능과 전자 사전 기능이 결합된 PMP의 작동 방식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은 검색부(50)의 입력창(51)에 검색 단어("Turn")가 입력된 모습을 도시한다. 입력창(51)에 단어를 입력하는 방법은 자막 및 사전 내용 표시부(40)에서 자막이 동영상과 함께 실시간으로 표시되는 상태에서 자막 및 사전 내용 표시부(40)에 표시된 자막(41) 중 특정의 단어(예를 들어, "Turn")를 터치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한편, 매체 재생 표시부(30)에 자막(31)이 재생되는 경우에는 매체 재생 표시부(30)의 자막(31) 중 특정의 단어(예를 들어, "Turn")를 터치함으로써 입력부(51)에 단어를 입력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입력창(51)에 대한 검색 단어의 입력은 동영상과 함께 표시되는 매체 재생 표시부(30) 또는 자막 및 사전 내용 표시부(40)에 표시된 자막의 특정 단어를 단지 터치함으로써 수행되므로, 손쉽게 원하는 단어를 입력할 수 있다.
입력창(51)에 검색을 원하는 단어("Turn")을 입력한 후, 검색 실행 버튼(52)을 터치하면, 도 10에 도시된 것과 같이 자막 및 사전 내용 표시부(40)는 자막 표시 모드에서 사전 내용 표시 모드로 변환되어 입력된 단어("Turn")에 대한 사전 내용(43)이 표시된다. 도 10에서는 자막 표시 창이 비활성화되고, 사전 내용 표시 창이 활성화되어 있다. 자막 및 사전 내용 표시부(40)가 자막 표시 모드 또는 사전 내용 표시부인 동안에도 매체 재생 표시부(30)에서는 동영상이 계속 재생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사전 내용의 표시가 매체 재생 표시부(30)와는 별도의 부분인 자막 및 사전 내용 표시부(40)에서 표시되므로 동영상의 재생 도중에 플레이되는 자막 중에 검색을 원하는 단어가 발견된 경우에도 동영상을 중단할 필요 없이 일시중지 하여 검색된 사전 내용을 볼 수 있다.
한편, 도 10에 도시된 것과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자막 표시 모드의 상단에는 자막 목록(자막 1, 자막 2, 자막 3)이 표시되어 있는 자막 탭(42)이 포함될 수 있고, 사전 내용 표시 모드의 상단에는 검색된 단어를 표시하기 위한 표제어 탭(44)를 포함될 수도 있다. 자막 탭(42)과 표제어 탭(44)이 있는 경우, 자막 표시 모드와 사전 내용 표시 모드 사이의 전환은 자막 탭(42) 또는 표제어 탭(44)을 터치함에 의해 손쉽게 실행된다. 예를 들어, 도 10에 도시된 사전 내용 표시 모드에서 자막 탭(42)을 터치하면 도 1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자막 탭(42)이 활성화되고, 그 상태에서 다시 표제어 탭(44)를 터치하면 도 10에 도시된 것과 같이 사전 표시 모드가 재활성화되는 것이다.
또한, 검색부(50)의 사전 종류 변경 버튼(53)을 터치함에 의해서 사전의 종류를 변경할 수도 있다. 예컨대, 사전 종류 변경 버튼(53)을 순차적으로 터치함에 따라, 사전의 종류가 통합-영한-영영-한영-통합 …의 순서로 순차적으로 변경될 수 있으며, 사전의 종류와 변경 순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원하는 대로 설정할 수 있다.
한편, 표제어 탭(44)은 넓게/좁게 보기 버튼(44-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에서와 같이 자막 및 사전 내용 표시부(40)가 디스플레이부(10)의 일부분만 차지한 상태에서 넓게/좁게 보기 버튼(44-1)을 터치하면, 자막 및 사전 내용 표시부(40)는 도 12에 도시된 것과 같이 매체 재생 표시부(30)가 차지하던 부분까지 확대되어 디스플레이부(10)의 좌측단에서 우측단까지 차지하게 될 수 있다. 물론, 도 12의 상태에서 넓게/좁게 보기 버튼(44-1)을 다시 터치하면, 자막 및 사 전 내용 표시부(40)는 도 11에서와 같은 원래의 크기로 복원된다.
사전 내용 표시 모드의 표제어 탭(44-1)은 하나 이상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11에 도시된 것과 같이, 검색된 단어가 "turn", "wheel"인 경우 각각의 표제어 탭(44a-1, 44b-1)이 히스토리식으로 모두 표시될 수 있다. 도 11에서는 표제어 탭이 2개인 경우를 예시하였지만, 히스토리식으로 표시되는 표제어 탭에 개수는 임의로 설정가능하다.
도 10에 도시된 것과 같이, 표제어 탭(44)에는 종료 버튼(44-2)을 포함할 수도 있으며, 표제어 탭(44)의 종료 버튼(44-2)을 터치하는 경우 도 9에 도시된 것과 같이 사전 내용 표시 모드는 자막 및 사전 내용 표시부(44)에서 사라지고 자막 표시 모드만이 표시된다.
도 4는 키보드 화면(70)을 이용하여 검색부(50)의 입력창(51)에 단어를 입력하는 다른 예를 도시한다. 키보드 화면(70)은 검색부(50)의 입력창(51)을 터치하거나, 키보드 실행 버튼(53)을 터치함에 의해 활성화되어 디스플레이부(10)의 매체 재생 표시부(30), 자막 및 사전 내용 표시부(40) 및 매체 재생 조작부(60)의 적어도 일부분에 오버레이될 수 있다. 도 4에서는 디스플레이부(10)의 하단에 키보드 화면(70)이 활성화된 모습이 도시되었지만, 키보드 화면(70)의 위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키보드 화면(70)이 활성화된 상태에서 원하는 자판을 터치함에 의해서 원하는 검색 단어를 입력창(51)에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turn"을 입력창(51)에 입력하기 위해서는 키보드 화면(70) 상의 "t", "u", "r", "n" 자판을 순차적으로 터치하면 된다.
도 5는 키보드 화면(70)의 자판을 터치함에 의해 입력창(51)에 검색 단어를 입력한 경우에 제공되는 유사 단어 표시 기능을 도시한다. 예를 들어, 키보드 화면(70) 상의 문자 자판 "w", "h", "e", "e"를 순차적으로 터치함에 의해 "whee"을 입력창(51)에 입력한 경우, 입력창(51)의 하단에는 "whee"을 포함하는 다른 문자들의 목록(예를 들어, "wheedle", "wheel animalcure" 등)이 펼침 목록 형식으로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에 의해 입력을 원하는 단어가 유사 단어 펼침 목록에 존재하는 경우 그 단어를 선택함으로써 손쉽게 단어를 입력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자막 및 사전 내용 표시부(40)의 현재 자막 하일라이트(highlight) 표시 기능을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자막 및 사전 내용 표시부(40)의 자막(41)들 중 매체 재생 표시부(30)에서 현재 재생되는 자막(41')인 "Turn left, now"가 하일라이트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에 의해 자막 및 사전 내용 표시부(40)에 표시된 자막(41)들 중 현재 재생되고 있는 자막을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다.
도 7은 매체 재생 표시부(30)에서 현재 재생되고 있는 매체에 대한 상세 정보를 표시하는 기능을 도시한다. 매체 재생 표시부(30)에서 매체가 재생되고 있는 동안, 매체 재생 표시부(30)의 자막(31) 이외의 부분을 터치하면, 자막 목록(31a, 31b, 31c), 재생 상태 표시(32) 및 매체 파일명(33)과 같은 매체 상세 정보가 매체 재생 표시부(30) 상에 오버레이될 수 있다. 예컨대, 동영상에 2개의 자막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자막 목록은 무자막(31a), 자막 1(31b), 자막 2(31c)와 같이 표시될 것이다. 한편, 현재 재생되고 있는 자막 상태에 해당하는 자막 목록이 하일라이트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현재 재생되고 있는 자막이 자막 1(31b)인 경우, 자막 목록 중 자막 1(31b)이 하일라이트될 수 있다. 매체 상세 정보가 오버레이된 상태에서 매체 재생 표시부(30)의 자막(31) 이외의 부분을 다시 터치하면 오버레이되었던 매체 상세 정보는 매체 재생 표시부에서 사라진다.
한편,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체 재생 조작부(60)에 포함된 조작 버튼의 개수가 하나의 화면 내에 모두 표시되기 어려운 경우에는 기본 기능 모드(도 8)와 부가 기능 모드(도 9)로 나뉘어서 표시될 수 있다. 도 8은 매체 재생 조작부(60)가 기본 기능 모드인 경우를 도시하는데, 기본 기능 모드는 부가 기능 전환 버튼(61), 재생 버튼(61-1), 단위 이동 버튼(61-2), 정지 버튼(61-3), 음량 조절 버튼(61-4), 파일 열기 버튼(6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기본 화면 모드에서 부가 기능 전환 버튼(61)을 터치하면, 도 9에 도시된 것과 같이 부가 기능 모드로 전환된다. 부가 기능 모드는 기본 모드 전환 버튼(62), 북마크 버튼(62-1), 구간 반복 버튼(62-2), 자막 반복 버튼(62-3), 배속 조정 버튼(62-4), 환경 설정 버튼(62-5)을 포함한다. 도 9의 부가 기능 모드 상태에서 기본 모드 전환 버튼(62)을 터치하면 다시 도 8의 기본 기능 모드로 전환된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하였지만,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매체 재생 장치의 사시도.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매체 재생 장치의 구조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매체 재생 장치의 디스플레이부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매체 재생 장치의 디스플레이부 검색부에 검색을 원하는 단어를 입력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매체 재생 장치의 디스플레이부에 키보드 화면이 활성화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매체 재생 장치의 디스플레이부의 입력창에 유사 단어 목록이 표시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매체 재생 장치의 디스플레이부의 검색 내용 표시부에 현재 자막이 하일라이트 표시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매체 재생 장치의 디스플레이부의 매체 재생 표시부에 매체 정보가 표시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8,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매체 재생 장치의 디스플레이부의 매체 재생 조작부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매체 재생 장치의 디스플레이부의 검색 내용 표시부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매체 재생 장치의 디스플레이 부의 검색 내용 표시부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매체 재생 장치의 디스플레이부의 검색 내용 표시부가 확대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
* 도면의 주요 구성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휴대형 매체 재생 장치 10 : 디스플레이부
20 : 제어부 30 : 매체 재생 표시부
40 : 자막 및 사전 내용 표시부 50 : 검색부
60 : 매체 재생 조작부 70 : 키보드 화면

Claims (18)

  1. 매체 재생 기능과 전자 사전 기능이 결합된 휴대형 매체 재생 장치(100)로서, 상기 휴대형 매체 재생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10)와 제어부(20)를 구비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10)는
    매체를 재생하여 표시하기 위한 매체 재생 표시부(30);
    상기 매체에 대한 자막을 표시하고 검색된 단어의 사전 내용을 표시하기 위한 자막 및 사전 내용 표시부(40); 및
    검색을 원하는 단어를 입력하기 위한 검색부(50)를 포함하고,
    상기 검색부(50)는 입력창(51)과 검색 실행 버튼(52)을 포함하고, 검색을 원하는 단어의 입력은 입력창(51)에 입력되고, 검색의 실행은 검색 실행 버튼(52)을 터치함에 의해 수행되고,
    상기 검색부(50)의 입력창(51)을 터치하면 키보드 화면(70)이 상기 매체 재생 표시부(30) 및 상기 자막 및 사전 내용 표시부(40)의 일부분에 오버레이(overlay)되며,
    상기 검색부(50)의 입력창(51)에 대한 단어의 입력은 상기 키보드 화면(70)의 자판을 터치함에 의해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매체 재생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막 및 사전 내용 표시부(40)는 상기 제어부(20)에 의해서 상기 매체 재생 표시부(30)에서 매체가 재생되는 동안에 자막이 표시되도록 하는 자막 표시 모드와, 사전 검색 내용을 표시하기 위한 사전 내용 표시 모드 사이에서 전환가능하도록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매체 재생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매체 재생 표시부(30)에서 매체가 재생되는 도중에 상기 검색부(50)에 검색을 원하는 단어를 입력하고 검색을 실행하는 경우, 상기 자막 및 사전 내용 표시부(40)는 상기 제어부(20)에 의해서 자막 표시 모드에서 사전 내 용 표시 모드로 전환되어 검색된 단어에 대한 사전 내용이 자막 및 사전 내용 표시부에 표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매체 재생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막 및 사전 내용 표시부에 표시된 자막(41) 또는 사전 내용(43)은 상기 매체 재생 표시부(30)에서 재생되는 매체와 상기 디스플레이부(10) 상에서 동시적으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매체 재생 장치.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부(50)의 입력창(51)에 대한 단어의 입력은 상기 자막 및 사전 내용 표시부(40)가 자막 표시 모드에 있을 때 상기 자막 및 사전 내용 표시부(40)에 표시된 자막(41)을 터치함으로써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매체 재생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매체 재생 표시부(30)에서는 매체의 재생과 동시에 자막(31)이 오버레이되어 표시되고,
    상기 검색부(50)의 입력창(51)에 대한 단어의 입력은 상기 매체 재생 표시부(30)에 표시된 자막(31)을 터치함으로써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매체 재생 장치.
  8. 삭제
  9. 매체 재생 기능과 전자 사전 기능이 결합된 휴대형 매체 재생 장치(100)로서, 상기 휴대형 매체 재생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10)와 제어부(20)를 구비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10)는
    매체를 재생하여 표시하기 위한 매체 재생 표시부(30);
    상기 매체에 대한 자막을 표시하고 검색된 단어의 사전 내용을 표시하기 위한 자막 및 사전 내용 표시부(40); 및
    검색을 원하는 단어를 입력하기 위한 검색부(50)를 포함하고,
    상기 검색부(50)는 입력창(51)과 검색 실행 버튼(52)을 포함하고, 검색을 원하는 단어의 입력은 입력창(51)에 입력되고, 검색의 실행은 검색 실행 버튼(52)을 터치함에 의해 수행되고,
    상기 검색부(50)는 키보드 실행 버튼(53)을 더 포함하고, 상기 키보드 실행 버튼을 터치하면 키보드 화면(70)이 상기 매체 재생 표시부(30)와 상기 자막 및 사전 내용 표시부(40)의 일부분에 오버레이(overlay)되며,
    상기 검색부(50)의 입력창(51)에 대한 단어의 입력은 상기 키보드 화면(70)의 자판을 터치함에 의해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매체 재생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키보드 화면(70)의 자판을 터치하여 상기 검색부(50)의 입력창(51)에 단어를 입력한 경우, 상기 입력창(51)에 입력된 단어를 포함하는 단어들의 목록이 상기 입력창(51)의 하단에 인접하여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매체 재생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부(50)는 사전 종류 변경 버튼(54)을 더 포함하고, 상기 사전 종류 변경 버튼을 터치하여 선택할 사전종류를 리스트로 표시하며, 사용할 사전을 터치하여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매체 재생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막 및 사전 내용 표시부(40)에 표시된 자막(41) 중 상기 매체 재생 표시부(30)에서 재생되는 매체에서 재생 중인 자막(31)은 실시간으로 하이라이트(highlight)되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매체 재생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매체 재생 표시부(30)에서 매체가 재생되는 도중에 매체 재생 표시부(30)를 터치하면, 재생되는 매체에 대한 정보(31, 32, 33)가 상기 매체 재생 표시부(30)의 일부분에 오버레이(overlay)되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매체 재생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되는 매체에 대한 정보(31, 32, 33)는 재생 매체의 자막 목록(31a, 31b, 31c)을 포함하고, 재생 매체의 자막 목록 중 현재 재생되는 자막 목록(31b)이 하이라이트(highlight)되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매체 재생 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매체의 재생을 조작 및 제어하기 위한 매체 재생 조작 부(60)를 더 포함하고,
    상기 매체 재생 조작부(60)는 부가 기능 전환 버튼(61)을 구비하는 기본 화면 모드와 기본 화면 전환 버튼(62)을 구비하는 부가 기능 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기본 화면 모드에서 부가 기능 전환 버튼(61)을 터치하면 부가 기능 모드로 전환되며, 상기 부가 기능 모드에서 기본 화면 전환 버튼(62)을 터치하면 기본 화면 모드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매체 재생 장치.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막 및 사전 내용 표시부(40)의 자막 표시 모드의 상단에는 상기 매체에 대한 자막의 목록을 표시하기 위한 자막 탭(41)이 배치되고,
    상기 자막 및 사전 내용 표시부(40)의 사전 내용 표시 모드의 상단에는 검색된 단어를 표시하기 위한 표제어 탭(42)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매체 재생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자막 및 사전 내용 표시부(40)에서 자막 표시 모드의 자막 탭(41)을 터치하면 자막 표시 모드가 활성화되고, 사전 내용 표시 모드의 표제어 탭(42)을 터치하면 사전 내용 표시 모드가 활성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매체 재생 장치.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표제어 탭(42)은 넓게/좁게 보기 버튼(42-1)을 더 포함하고, 상기 자막 및 사전 내용 표시부(40)와 상기 매체 재생 표시부(30)가 모두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표제어 탭(42)의 넓게/좁게 보기 버튼(42-1)을 터치하면 상기 자막 및 사전 내용 표시부(40)가 상기 매체 재생 표시부(30)에 이르기까지 확대되어 상기 자막 및 사전 내용 표시부(40)만 표시되고,
    상기 자막 및 사전 내용 표시부(40)가 확대된 상태에서 상기 표제어 탭(42)의 넓게/좁게 보기 버튼(42-1)을 터치하면 상기 자막 및 사전 내용 표시부(40)는 원래의 크기로 축소되어 상기 자막 및 사전 내용 표시부(42)와 상기 매체 재생 표시부(30)가 모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매체 재생 장치.
KR1020070078607A 2007-08-06 2007-08-06 매체 재생 기능과 전자 전자 사전 기능이 결합된 휴대형매체 재생 장치 KR1009335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8607A KR100933566B1 (ko) 2007-08-06 2007-08-06 매체 재생 기능과 전자 전자 사전 기능이 결합된 휴대형매체 재생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8607A KR100933566B1 (ko) 2007-08-06 2007-08-06 매체 재생 기능과 전자 전자 사전 기능이 결합된 휴대형매체 재생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4556A KR20090014556A (ko) 2009-02-11
KR100933566B1 true KR100933566B1 (ko) 2009-12-23

Family

ID=406844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8607A KR100933566B1 (ko) 2007-08-06 2007-08-06 매체 재생 기능과 전자 전자 사전 기능이 결합된 휴대형매체 재생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356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6293A (ko) * 1999-10-16 2000-07-05 은원수 실시간 전자 사전을 갖는 자막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50106588A (ko) * 2005-10-20 2005-11-10 안성준 문자인식을 통한 전자사전 기능을 갖는 피.엠.피 및 그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6293A (ko) * 1999-10-16 2000-07-05 은원수 실시간 전자 사전을 갖는 자막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50106588A (ko) * 2005-10-20 2005-11-10 안성준 문자인식을 통한 전자사전 기능을 갖는 피.엠.피 및 그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4556A (ko) 2009-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39989B2 (en) User interface for displaying and playing multimedia contents,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3770742B1 (en) Method for providing graphical user interface (gui), and multimedia apparatus applying the same
JP4179269B2 (ja) 携帯型電子機器、表示方法、そのプログラム及び表示操作装置
US7844916B2 (en) Multimedia reproducing apparatus and menu screen display method
US9001044B2 (en) Method for inputting user command and video apparatus employing the same
JP4412269B2 (ja) 電子機器、表示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080007570A1 (en) Digital Content Playback
JP4203741B2 (ja) データ再生装置およびデータ再生方法
JP2006323664A (ja) 電子機器
WO2010146684A1 (ja) 情報表示装置
US20080163119A1 (en) Method for providing menu and multimedia device using the same
US20100058242A1 (en) Menu display device and menu display method
US20070083911A1 (en) Intelligent media navigation
US20120079430A1 (en) Method for providing a gui for searching for content, and device adoptiving same
KR20070014094A (ko) 재생 장치, 메뉴 표시 방법, 메뉴 표시 방법의 프로그램 및메뉴 표시 방법의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JP5323660B2 (ja) スクロール表示装置
EP1681617B1 (en) Method of selecting an element from a list by moving a graphics distinction and apparatus implementing the method
JP2008071117A (ja) インタフェース装置、楽曲再生装置、インタフェースプログラム、及びインタフェース方法
JP5411680B2 (ja) スクロール表示装置
KR100933566B1 (ko) 매체 재생 기능과 전자 전자 사전 기능이 결합된 휴대형매체 재생 장치
JP2007323664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7094814A (ja) 電子機器、電子機器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0911736B1 (ko) 매체 재생 기능에 전자 사전 기능이 연동가능한 휴대형매체 재생 장치
KR20090000508A (ko) 컨텐츠 목록 표시 방법 및 장치
KR20100026092A (ko)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 및 그 화면 표시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5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