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3271B1 -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방법 및 그 프로그램이기록된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방법 및 그 프로그램이기록된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3271B1
KR100933271B1 KR1020070139893A KR20070139893A KR100933271B1 KR 100933271 B1 KR100933271 B1 KR 100933271B1 KR 1020070139893 A KR1020070139893 A KR 1020070139893A KR 20070139893 A KR20070139893 A KR 20070139893A KR 100933271 B1 KR100933271 B1 KR 1009332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window
content
search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98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71949A (ko
Inventor
김은리
김현정
김채현
홍정은
Original Assignee
엔에이치엔(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에이치엔(주) filed Critical 엔에이치엔(주)
Priority to KR10200701398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3271B1/ko
Priority to JP2008329805A priority patent/JP4898774B2/ja
Publication of KR200900719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19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32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32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방법 및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가 개시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제공하는 방법 단말에 제공하는 시각 정보 위에 검색창을 표시하는 단계; 검색창에 입력되는 검색어를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검색어에 따른 컨텐츠를 검색하여 컨텐츠 리스트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컨텐츠 리스트 정보를 시각정보 상의 특정 위치에 결과창으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복수개의 컨텐츠 중 소정의 컨텐츠를 보다 용이하게 검색하여 접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컨텐츠, 인터페이스, 검색

Description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방법 및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User interface providing apparatus, method thereof and recorded medium recorded with program thereof}
본 발명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방법 및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개의 컨텐츠를 포함하는 서버와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장치, 방법 및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최근, 네트워크 기술의 발달로 대용량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고속 전송이 가능해지고, 네트워크에 접속 가능한 사용자 단말기의 보편적인 보급에 따라 사용자에게 다양한 종류의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업체(Contents Provider : CP)가 급속도로 증가하는 추세이다.
컨텐츠 제공업체는 검색, 쇼핑, 게임 및 채팅 서비스와 같은 다양한 종류의 컨텐츠를 제공하고 있다. 특히 컨텐츠 중 게임 서비스는 유료 서비스인 경우에도 많은 수요자 층을 확보할 수 있다는 점에서 컨텐츠 제공업체의 큰 수익원으로 자리 잡고 있다.
이하, 컨텐츠 중 온라인 게임을 예로 들어서 설명하나, 본 명세서에서 컨텐츠는 온라인 게임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쇼핑, 뉴스, 채팅 서비스, 영화 감상 등 온라인 상에서 제공되는 다양한 컨텐츠일 수 있다.
온라인 게임은 차세대 성장 엔진으로 주목 받고 있는 분야이며, 현재 전체 게임 시장에서 차지하고 있는 비중이 그 성장 가능성과 함께, 매년 급격하게 상승하는 성장률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흐름 속에 기존의 유수한 게임 관련 업체들이 온라인 게임에 관심을 가지고 장기적인 전략을 수립하여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온라인 게임 제공 업체들은 사용자들의 게임에 대한 다양한 기호를 충족시키기 위해 사용자 클라이언트에 수 십여 개의 온라인 게임을 제공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게임 제공 업체들은 사용자들이 인증 과정(예를 들어, 로그인 과정)을 거치는 메인 페이지(main page)에 수십여 개의 온라인 게임 목록을 예시해 놓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온라인 게임 제공 방법에 따르면, 수십여 개의 온라인 게임 목록 중 사용자가 좋아하는 특정의 온라인 게임을 일일이 찾아서 게임을 실행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온라인 게임 제공 방법에 따르면 인터넷에 익숙하지 않은 초보자들이 메인 페이지에서 소정의 게임을 쉽게 찾을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개의 컨텐츠를 제공하는 서버와 네트워크로 연결된 사용자클라이언트에서, 사용자가 복수개의 컨텐츠 중 소정의 컨텐츠를 보다 용이하게 검색하여 접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장치, 방법 및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를 제안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즐겨 찾는 컨텐츠에 단축키를 부여하여, 사용자가 보다 용이하게 컨텐츠를 접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장치, 방법 및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를 제안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따르면, 단말과 네트워크로 연결된 서버가 상기 단말의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단말에 제공하는 시각 정보 위에 검색창을 표시하는 단계; (b) 상기 검색창에 입력되는 검색어를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c) 상기 수신된 검색어에 따른 컨텐츠를 검색하여 컨텐츠 리스트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d) 상기 컨텐츠 리스트 정보를 상기 시각정보 상의 특정 위치에 결과창으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컨텐츠 리스트 정보는 검색된 컨텐츠의 명칭, 고유키, 단축키 및 컨텐츠 웹페이지 정보를 포함하는 버튼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이 제공된다.
여기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은 컨텐츠별 단축키를 설정하는 설정창 을 상기 시각정보 위에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설정창에 입력된 단축키 설정정보에 상응하여 상기 컨텐츠 리스트 정보의 상기 단축키를 갱신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검색창 또는 결과창은 환경 설정 정보에 상응하여 크기, 위치, 색상 및 글자의 크기, 폰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특정되어 상기 시각 정보 상에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환경 설정 정보는 상기 서버 또는 상기 단말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측면에 따르면, 서버와 네트워크로 연결된 단말이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서버가 상기 단말에 제공하는 시각 정보 상의 특정 위치에 검색창을 표시하는 단계; (b) 상기 검색창에 입력되는 검색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검색어에 따른 컨텐츠 리스트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c) 수신된 상기 컨텐츠 리스트 정보를 결과창으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컨텐츠 리스트 정보는 컨텐츠의 명칭, 고유키, 단축키 및 컨텐츠 웹페이지 정보를 포함하는 버튼 중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3 측면에 따르면, 단말과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상기 단말에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제공하는 서버에 있어서, 상기 단말에 제공하는 시각 정보 위에 검색창을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검색창에 입력되는 검색어를 수신한 경우, 상기 검색어에 따른 컨텐츠 리스트 정보를 생성하는 검색부를 포함하되, 상기 표시부는 상기 컨텐츠 리스트 정보를 상기 시각 정보 위에 결과창으로 표시하고, 상기 컨텐츠 리스트 정보는 검색된 컨텐츠의 명칭, 고유키, 단축키 및 컨텐츠 웹페이지 정보를 포함하는 버튼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서버가 제공된다.
여기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서버는 단축키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표시부는 컨텐츠별 단축키를 설정하는 설정창을 상기 시각정보위에 표시하되, 상기 단축키부는 상기 설정창에 입력되어 수신되는 단축키 설정정보에 상응하여 상기 컨텐츠 리스트 정보의 상기 단축키를 갱신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검색창 또는 결과창은 환경 설정 정보에 상응하여 크기, 위치, 색상 및 글자의 크기, 폰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특정되어 상기 시작 정보 상에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검색창은 상기 서버가 포함하는 컨텐츠 리스트 정보 또는 상기 컨텐츠 접속 빈도에 따라 검색어를 추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검색창 및 상기 결과창은 소정의 입력에 따라 열림, 닫힘 및 숨겨짐 상태 중 어느 하나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측면에 따르면, 단말과 네트워크로 연결된 서버가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서버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명령어들의 프로 그램이 구현되어 있으며, 상기 서버에 의해 판독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에 있어서, (a) 상기 단말에 제공하는 시각 정보 위에 검색창을 표시하는 단계; (b) 상기 검색창에 입력되는 검색어를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c) 상기 수신된 검색어에 따른 컨텐츠를 검색하여 컨텐츠 리스트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d) 상기 컨텐츠 리스트 정보를 상기 시각정보 상의 특정 위치에 결과창으로 표시하는 단계를 수행하되, 상기 컨텐츠 리스트 정보는 검색된 컨텐츠의 명칭, 고유키, 단축키 및 컨텐츠 웹페이지 정보를 포함하는 버튼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가 제공된다.
여기서, 컨텐츠별 단축키를 설정하는 설정창을 상기 시각정보 위에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설정창에 입력된 단축키 설정정보에 상응하여 상기 컨텐츠 리스트 정보의 상기 단축키를 갱신시키는 단계를 더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검색창 또는 결과창은 환경 설정 정보에 상응하여 크기, 위치, 색상 및 글자의 크기, 폰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특정되어 상기 시각 정보 상에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환경 설정 정보는 상기 서버 또는 상기 단말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방법 및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는 복수개의 컨텐츠를 제공하는 서버와 네트워크로 연결된 사용자클라 이언트에서, 사용자가 복수개의 컨텐츠 중 소정의 컨텐츠를 보다 용이하게 검색하여 접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사용자가 즐겨 찾는 컨텐츠에 사용자별로 소정의 단축키를 부여하여, 컨텐츠를 별도로 검색하지 아니하여도 사용자가 보다 용이하게 컨텐츠를 접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 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 번호에 상관없이 동일한 수단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방법 및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를 설명하기에 앞서, 온라인 게임 시스템의 구성에 대해서 먼저 설명한다.
도 1은 온라인 게임 시스템의 구성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온라인 게임 시스템은 게임 호스트(`12)와 사용자 클라이언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게임 호스트(12)는 인증서버(13), 게임서버(14) 및 데이터베이스(15)를 포함할 수 있다.
게임 호스트(12)는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클라이언트(11)와 연결된다. 여기서 네트워크는 인터넷, 전용선을 포함하는 유선 네트워크와 무선 인터넷, 이동 통신망 및 위성 통신망을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클라이언트(11)는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온라인 게임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게임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복수의 단말 장치로서, 데스크탑 PC, 노트 북, 이동 전화기, PDA 및 MBS(Mobile Broadcast System)폰 등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인증 서버(13)는 게임 시스템에 접속하려는 사용자가 게임 시스템에 접속할 수 있는 권한이 있는 사용자인지 여부를 인증하는 기능을 한다.
인증 서버(13)는 사용자 클라이언트(11)로부터 인증 요청 정보를 수신하고, 인증 요청이 유효한지 여부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인증 요청 정보가 사용자의 아이디 및 비밀번호 정보인 경우, 인증 서버(13)는 아이디 및 비밀 번호가 유효한지 여부를 판단한다.
인증 서버(13)는 사용자 클라이언트(11)로부터의 인증 요청 정보가 유효할 경우, 해당 사용자 클라이언트의 게임 서버(14)로의 접속을 허용한다.
게임 서버(14)는 사용자 클라이언트(11)들로부터 수신되는 게임 메시지를 처리하고 게임 진행을 제어하는 기능을 한다.
인증 서버(13)와 게임 서버(14)는 하나의 서버(16)로 구현될 수 있으며,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별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인증 서버(13)와 게임 서버(14)를 통칭하여 서버(16)라 칭한다.
데이터베이스(15)는 게임과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고, 저장된 정보를 서버(16) 또는 사용자 클라이언트(11)의 요청에 응답하여 제공하는 기능을 한다.
일반적으로 게임 제공 업체가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메인 페이지(main page)에는 게임 제공 업체가 제공하는 온라인 게임의 목록이 예시되어 있다. 그리고 인증과정을 거친 사용자가 온라인 게임의 목록 중 특정의 온라인 게임을 선택하면, 서버(16)는 선택된 특정의 온라인 게임의 게임 웹페이지를 사용자 클라이언트(11)에 제공한다. 이어서, 사용자는 해당 게임 웹페이지에서 온라인 게임을 실행하거나, 기타 온라인 게임에 관련된 게시판에서 정보를 조회할 수 있다.
지금까지 도 1을 참조하여 온라인 게임 시스템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클라이언트(11)에 대해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하기에 앞서, 본 명세서에서의 구성부들에 대한 구분은 각 구성부가 담당하는 주기능별로 구분한 것에 불과함을 명확히 하고자 한다. 즉, 이하에서 설명할 2개 이상의 구성부가 하나의 구성부로 합쳐지거나 또는 하나의 구성부가 보다 세분화된 기능별로 2개 이상으로 분화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이하에서 설명할 구성부 각각은 자신이 담당하는 주기능 이외에도 다른 구성부가 담당하는 기능 중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도 있으며, 구성부 각각이 담당하는 주기능 중 일부 기능이 다른 구성부에 의해 전담되어 수행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를 통해 설명되는 각 구성부들의 존재 여부는 기능적으로 해석 되어져야 할 것이며,
이러한 이유로 본 발명의 사용자 클라이언트에 따른 구성부들의 구성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한도 내에서 도 2와는 상이해질 수 있음을 명확히 밝혀둔다. 또한, 본 발명의 사용자 클라이언트는 독자적으로 존재할 수도 있지만, 사용자 클라이언트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의 일부로서 존재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버(16)의 구성을 예시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서버(16)는 표시부(21), 단축키부(22), 캐릭터부(23) 및 통신부(24)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부(21)는 복수개의 온라인 게임 중 특정의 게임을 검색할 수 있는 검색창 및 그 검색결과를 나타내는 결과창을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표시부(21)는 서버(16)가 사용자 클라이언트(11)에 제공하는 시각 정보 상의 특정 위치에 검색창 및 결과창을 표시할 수 있다. 이 점에 대해서는 이후 도 3의 단계 S31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표시부(21)는 부가적으로 다양한 표정, 동작이 가능한 캐릭터가 표시되는 캐릭터창과 온라인 게임별 단축키를 설정할 수 있는 설정창을 표시할 수 있다. 이 점에 대해서는 도 3의 단계 S3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단축키부(22)는 설정창의 입력 정보에 따라 사용자별로 설정한 게임별 단축키를 설정한다. 그리고, 단축키부(22)는 단축키 정보를 포함하는 단축키 설정정보를 생성하여 저장할 수 있다. 단축키부(22)에 대해서는 이하 도 3의 단계 S3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캐릭터부(23)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캐릭터창에 다양한 캐릭터의 동작, 표정 및 풍선말 등이 표시부(21)를 통하여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예를 들어, 캐릭터부(23)는 마우스가 캐릭터상에 위치하거나, 캐릭터를 클릭하는 경우 그 이벤트에 따라 캐릭터가 다양한 표정, 동작을 출력하고, 표시부(21) 는 이를 캐릭터창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캐릭터부(23)는 사용자 클라이언트(11)의 입력 빈도, 횟수 등을 고려하여 말풍선에 미리 지정된 대화를 출력하고, 표시부(21)는 이를 캐릭터창에 표시할 수 있다.
검색부(24)는 사용자 클라이언트(11)로부터 수신되는 검색어와 일치하거나, 유사한 게임를 검색하여 후보 게임 리스트 정보를 생성한다.
통신부(미도시)는 사용자 클라이언트(11)에 입력되는 검색어를 수신하고, 검색어에 따른 컨텐츠 리스트 정보를 사용자 클라이언트(11)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가 사용자 클라이언트(11)와 서버(16)간에 다양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므로, 통신부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지금까지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버(16)의 구성을 설명하였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되, 도 2를 참조하여 주체를 명확히 하고, 각 단계의 설명에서 필요한 경우 이후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캐릭터창, 검색창 및 결과창을 예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설정창의 일례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결과창의 일례이다. .
도 3을 참조하면, 단계 S31에서 표시부(21)는 서버(16)가 사용자 클라이언 트(11)에 제공하는 시각 정보(40)에 캐릭터창(41), 검색창(42) 및 결과창(43)을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릭터창(41), 검색창(42) 및 결과창(43)의 예시는 도 4와 같다.
도 4를 참조하면, 캐릭터창(41)은 표시부(21)가 캐릭터부(23)로부터 입력을 받아 캐릭터를 표시하는 창을 말한다. 검색창(42)은 사용자로부터 검색어를 입력받는 창을 말한다. 결과창(43)은 검색어에 따른 컨텐츠 리스트 정보를 출력하는 창을 말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와 발명의 이해를 도모하기 위하여 캐릭터창(41), 검색창(42) 및 결과창(43)을 리모컨이라 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모컨은 자바(java), 아작스(ajax), 에이치티엠엘(HTML), 플래쉬(flash) 등의 다양한 프로그램밍 언어 및 도구로 구현될 수 있음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비추어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부(21)는 리모컨을 서버(16)에서 사용자 클라이언트(11)로 전송하는 시각 정보(40)위의 미리 지정된 위치에 표시한다.
표시부(21)는 캐릭터창(41)에 다양한 캐릭터를 표시한다. 구체적으로, 표시부(21)는 캐릭터부(23)로부터 출력되는 다양한 캐릭터의 모양, 표정 및 말풍선을 캐릭터창(41)에 표시할 수 있다.
표시부(21)는 온라인 게임을 검색하기 위한 검색어를 입력받는 검색창(42)를 시각정보(40) 위에 표시한다. 검색창(42)에 검색어가 입력되면, 서버(16)는 해당 검색어를 사용자 클라이언트(11)로부터 수신한다. 이 경우 서버(16)의 검색부(24) 는 서버(16)에 포함되는 온라인 게임 중 수신되는 검색어에 일치하거나 유사한 게임인 후보 게임을 검색하여 후보 게임 리스트 정보를 생성한다. 이어서, 표시부(21) 후보 게임 리스트 정보를 결과창(43)으로 시각정보 위에 표시한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단계 S32에서 표시부(21)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리모컨의 환경을 설정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 클라이언트(11)로부터 수신되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표시부(21)는 리모컨의 환경을 설정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마우스 등으로 드래그(drag)하는 경우, 표시부(21)는 수신되는 사용자의 입력 신호에 따라 리모컨의 크기, 위치 등을 변경하여 시각정보(40)위에 리모컨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21)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리모컨의 색상, 글자 크기, 글자의 폰트 및 캐릭터의 표정, 동작 등이 다양하게 변경하여 리모컨을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표시부(21)는 사용자 클라이언트(11)로부터 수신되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리모컨의 위치, 크기, 색상, 글자의 크기 및 폰트를 갱신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21)는 변경 또는 갱신된 리모컨의 환경 정보를 사용자별 환경 설정 정보(즉, 상술한 리모컨의 위치, 크기, 색상, 글자크기 및 폰트 정보)로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이후에 사용자 클라이언트(11)가 서버(16)에 연결된 경우 설정된 환경 설정 정보에 따른 리모컨을 표시부(21)가 사용자 클라이언트(11)에 제공하는 시각정보 위에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환경 설정 정보는 서버(16)에 저장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적용되는 환경에 따라 사용자 클라이언트(11)에 저장될 수 있음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에 비추어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이어서, 단계 S33에서 단축키부(22)는 사용자 클라이언트(11)로부터 수신되는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게임별 단축키를 설정할 수 있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해 단축키부(22)가 설정창에서 단축키를 설정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설정창은 단축키를 설정할 게임을 선택하기 위해 게임 리스트를 표시하는 제1창(51), 사용자별로 단축키를 설정한 게임의 리스트를 표시하는 제2창(52), 제 1창에서 소정의 게임을 선택하여 단축키를 부여하거나, 제 2창에서 소정의 게임을 선택하여 단축키를 제거하기 위한 버튼(53) 및 제 2창에서 단축키가 설정된 게임간의 단축키 변경을 위한 버튼(54)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창(51)은 서버(16)가 포함하는 게임의 전체 리스트, 사용자의 접속 빈도에 따른 게임 리스트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도 5에 예시된 설정창은 하나의 일례에 불과하며, 서버(16)가 포함하는 복수개의 게임 중 사용자가 소정의 게임을 선택하여 단축키를 설정하기 위하여 공지된 여러 기술이 적용될 수 있음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비추어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또한, 도 5에 예시된 설정창에서 사용자별로 단축키를 설정할 수 있는 게임이 9개로 예시되어 있으나, 단축키를 설정할 수 있는 게임의 개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또한, 도 5에는 단축키가 숫자로서 예시되어 있으나, 단축키가 다양한 부호 및 문자, 마우스의 특정 방향의 드래그(drag) 및 클릭 또는 터치스크린에서의 입력등이 될 수 있음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비추어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도 5를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표시부(21)는 설정창를 사용자 클라이언트(11)로 전송하는 시각정보 상에 표시하고, 단축키부(22)는 사용자 클라이언트(11)로부터 수신되는 사용자의 설정 정보에 따라(즉, 설정창에 입력되는 단축키 설정정보에 따라) 게임별 단축키를 설정한다. 그리고, 단축키부(22)는 설정창에 게임별 설정된 단축키 정보를 포함하는 단축키 설정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별로 게임별 설정된 단축키 정보를 포함하는 단축키 설정정보는 서버(16)에 저장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클라이언트(11)에 저장될 수 있음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비추어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단축키부(22)는 단축키가 설정된 게임이 서버(16)에 계속 포함되는 지, 또는 서버(16)에서 사용자 클라이언트(11)로 제공될 수 있는지를 모니터링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갑이 신맞고에 대해서 단축키 1을 설정하였다고 가정하자. 이 경우 단축키부(22)는 신맞고 게임에 단축키 1을 설정하였다는 정보를 포함하는 단축키 설정정보를 생성한다. 그리고 단축키부(22)부는 단축키 설정정보를 참고하여 서버(16)에서 신맞고 게임이 사용자 클라이언트(11)에 제공될 수 있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한다. 만일 서버(16)에서 신맞고 게임이 폐지된 경우, 단축키부(22)는 서버(16)에서 신맞고 게임이 서버(16)에서 제공되지 않는 이벤트가 발생한 것을 감지한다. 이 경우, 표시부(21)가 설정창(도 5)을 표시하는 경우, 단축키부(22)는 표시부(21)에 단축키 1이 설정된 신맞고 게임이 제공되지 않는다는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표시부(21)는 설정창의 제2창(즉, 도 5를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단축키가 설정된 게임 리스트를 출력하는 창)에서 단축키 1번란에 신맞고는 더 이상 제공되지 않는 안내 메시지 등을 출력할 수 있다.
지금까지 도 5를 참조하여 표시부(21)가 표시하는 설정창과, 설정창을 이용한 입력이 있는 경우 단축키부(22)가 사용자별 게임의 단축키를 설정하고 단축키 설정정보를 생성하는 과정을 설명하였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단계 S34에서 표시부(21)가 표시하는 검색창(42)에 검색어가 사용자 클라이언트(11)로부터 수신되는 경우 검색부(24)는 검색어에 따른 후보 게임 리스트 정보를 생성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검색부(24)는 서버(16)에 포함된 게임 중 검색어와 일치하거나 유사한 단축키, 고유키를 가지는 게임을 검색하여 후보 게임 리스트 정보를 생성한다.
이어서, 단계 S35에서 표시부(21)는 게임 리스트 정보를 결과창(43)에 표시한다.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결과창(43)의 일례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6은 검색창(42)에 게임에 따른 검색어로 고유키가 입력된 경우(도 6a)와 검색어로 게임의 명칭이 입력된 경우(도 6b)의 결과창(43)의 일례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검색어는 숫자, 문자 및 부호(예를 들어, ※, !, @, #, $, %, ^, &, *, \ 등)중 어느 하나 이거나 이들의 조합일 수 있 다. 이하, 발명의 이해와 설명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하여 본 명세서에서는 숫자인 경우를 일례로 들어서 설명하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 아니함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비추어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16)에서 게임별로 고유키가 미리 지정될 수 있다. 여기서, 고유키는 서버(16)에서 각 게임을 식별하기 위한 키이며, 단축키는 사용자별 게임에 설정한 키이다. 고유키 및 단축키는 다양한 부호, 문자, 마우스의 특정 방향의 드래그(drag) 및 클릭 또는 터치스크린에서의 입력 등이 될 수 있음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비추어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예를 들어, 서버(16)에 포함되는 온라인 게임이 20개인 경우, 각 온라인 게임 별로 고유키 1 내지 20이 각각 지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6)에 포함되는 온라인 게임이 30개인 경우, 고유키 1 내지 10은 사용자가 사용자의 기호에 맞게 자주 실행하는 게임을 단축키로 지정할 수 있도록 여유로 남겨두고, 각 온라인 게임별로 고유키 10 내지 40이 각각 지정될 수 있다.
도 6a를 참조하면, 검색창(42-a)에 검색어로 고유키 7이 입력될 수 있다. 이 경우 검색부(24)는 단축키 7에 해당하는 게임, 고유키 7과 관련된 정보를 가지는 게임(예를 들어, 고유키가 70 내지 79, 고유키가 700내지 799인 게임) 및 게임의 명칭이 7인 게임을 검색하여 후보 게임 리스트 정보를 생성한다. 여기서, 후보 게임 리스트 정보는 검색된 게임의 명칭, 단축키, 고유키 및 후보 게임과 관련된 웹페이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어서, 표시부(21)는 후보 게임 리스트 정보를 결과창(43)에 표시할 수 있다.
도 6a의 결과창(43-a)를 살펴보면 후보 게임 리스트 정보가 예시되어 있다. 결과창(42-a)은 후보 게임의 단축키(61), 명칭(62), 후보 게임 웹페이지 정보를 포함하는 GO버튼(63), 각 후보 게임에 사용자별 단축키를 설정할 수 있는 저장버튼(64)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표시부(21) 가 검색창(42) 및 결과창(43)에 검색어가 입력되는 경우 수행하는 기능을 일례로 들어서 설명한다.
예를 들어, 표시부(21)는 검색어(예를 들어 고유키 7)에 일치하는(즉, 단축키가 7로 설정된) 후보 게임의 명칭을 검색창에 별도로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부(21)는 후보 게임 리스트 정보를 최근 사용자의 게임 접속 빈도 순으로 정리하여 결과창(43)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부(21)는 미리 설정된 소정의 키(예를 들어,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쉼표(,))를 사용자 클라이언트(11)로부터 수신하면 검색창 및/또는 결과창을 표시하거나 닫거나(close) 숨길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부(21)는 검색창(42)에 입력이 있는지를 모니터링해서, 검색창(42)에 입력이 있는 경우 사용자가 입력하는 검색어를 사용자가 보다 용이하게 보게 하기 위하여 검색어 또는 검색창(42)을 확대하여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부(21)는 검색창(42)에 입력이 있는지를 모니터링해서, 입력이 있는 경우 입력되는 글자 단위로, 또는 미리 지정된 시간단위로 검색어의 일부를 추출할 수 있다. 이 경우 검색부(24)는 사용자 클라이언트(11)로부터 수신되는 검색어의 일부에 따른 후보 게임 리스트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표시부(21)는 검색어의 일부에 따른 후보 게임 리스트 정보를 결과창(43)에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검색창(42)에 검색어가 입력되는 과정에서 결과창(43)에 표시되는 게임 리스트 정보는 계속 갱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부(21)는 검색창(42)에 입력되는 검색어 또는 검색어의 일부에 따라 최근 사용자가 실행한 게임 정보, 서버(16)의 게임 리스트 정보 또는 사용자의 게임 접속 빈도에 따라 검색어를 추천할 수 있다.
도 6b의 경우는 검색창(42-b)에 게임의 명칭의 일부가 입력된 경우의 결과창의 일례이다. 이 경우, 앞서 도 6a와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검색창(42)은 검색어에 따른 해당 게임의 웹페이지 정보를 포함하는 GO버튼(예를 들어, 60-a)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검색창(42-a)에 검색어로 7이 입력되고, GO버턴(60-a) 에 대한 클릭을 입력될 수 있다. 이 경우 검색부(24)는 상술한 바와 같이 검색어 7에 대한 후보 게임 리스트 정보를 생성한다. 그 후 표시부(21)는 GO버튼(60-a)에 대한 클릭이 있고, 단축키가 7로 설정된 게임이 있는 경우, 단축키가 7로 설정된 게임과 관련된 웹페이지를 사용자 클라이언트(11)에서 시각정보가 표시된 창 또는 별도의 창에 표시할 수 있다.
또 다른 일례로, 도 6a를 참조하여 상술한 경우에 있어서 검색어 7에 일치하는 울프 게임에 따른 웹페이지를 사용자 클라이언트(11)에서 시각정보가 표시된 창 또는 별도의 창에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GO버튼(60-a)에 대한 클릭은 클라이언트 단말(11)이 컴퓨터 및 컴퓨터의 운영체제와 유사한 운영체제를 사용하는 단말의 경우 enter의 입력이 있는 경우를 포함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결과창(예를 들어 43-a)은 검색된 각 후보 게임에 사용자별 단축키를 설정할 수 있는 저장버튼(64)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축키가 712 번인 신맞고의 저장버튼(64)이 클릭된 경우(보다 상세하게는, 신맞고의 저장버튼(64)에 대한 클릭이 수신되면), 표시부(21)는 신맞고 게임에 사용자별 단축키를 설정할 수 있는 설정창을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단계 S35에서 표시부(21)는 단축키 설정정보를 이용하여 결과창(43)에 제공되는 게임 리스트 정보의 단축키를 갱신할 수 있다.
이하, 도 7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예를 들어, 상술한 설정창을 이용하여 사용자 갑이 고유키가 250인 울프 게임을 단축키 07로 설정하였다고 가정하자. 이 경우, 단축키(22)는 울프 게임의 단축키를 07로 설정하고, 그에 따른 단축키 설정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 갑이 검색창(32)에 검색어로 07를 입력하였다고 가정하자. 이 경우, 표시부(21)는 앞서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서버(21)로부터 검색어 07에 따른 후보 게임 리스트 정보를 결과창(43)에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더 나아가 표시부(21)는 단축키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단축키가 07로 설정된 울프 게임의 정보를 결과창(43)에 표시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결과창(43)은 단축키(70), 고유키(71), 게임의 명칭(72), 게임 웹페이지 정보를 포함하는 GO 버튼(73) 및 게임의 단축키를 설정할 수 있는 저장버튼(74)를 표시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설정한 단축키 정보를 포함하는 게임 리스트 정보를 결과창(43)에서 조회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지금까지 도 3을 중심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였다.
지금까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리모컨의 환경을 설정하는 단계(도3의 S32참조) 이후 단축키를 설정하는 단계(도 3의 S33단계)가 수행되는 것으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리모컨의 환경을 설정하는 단계(도 3의 S32참조)와 단축키를 설정하는 단계(도 3의 S33단계)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다양한 환경에 따라 다양한 순서로 적용될 수 있음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비추어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지금까지 표시부(21), 단축키부(22), 캐릭터부(23) 및 검색부(24)가 서버(16)에 포함된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술한 표시부(21), 단축키(22) 및 캐릭터부(23) 중 하나 이상이 사용자 클 라이언트(11)에 포함되어 구현될 수 있음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비추어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또한, 지금까지 콘텐츠가 온라인 게임인 것으로 예를 들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 아니함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비추어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예를 들어, 서버(16)가 포탈 서비스를 개시하는 서버인 경우, 신문 중에서 경제신문이 단축키 1번이 설정될 수 있고, 연예신문이 단축키 2번이 설정될 수 있고, 쇼핑 몰 중 디지털 관련 쇼핑몰이 단축키 3번으로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 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또한 상술한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구조 등을 지정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반송파를 포함하는 광 또는 금속선, 도파관 등의 전송 매체일 수도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온라인 게임 시스템의 구성을 예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구성을 예시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표시부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표시부가 표시하는 결과창의 일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표시부가 표시하는 설정창의 일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사용자 클라이언트 12 : 서버
21 : 표시부 22 : 단축키부
23 : 캐릭터부 24 : 통신부
31 ; 캐릭터창 32 ; 검색창
33 : 결과창

Claims (11)

  1. 단말과 네트워크로 연결된 서버가 상기 단말의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단말에 제공하는 시각 정보 위에 검색창을 표시하는 단계;
    (b) 상기 검색창에 입력되는 검색어를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c) 상기 수신된 검색어에 따른 컨텐츠를 검색하여 컨텐츠 리스트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d) 상기 컨텐츠 리스트 정보를 상기 시각정보 상의 특정 위치에 결과창으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컨텐츠 리스트 정보는 검색된 컨텐츠의 명칭, 고유키, 단축키 및 컨텐츠 웹페이지 정보를 포함하는 버튼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컨텐츠별 단축키를 설정하는 설정창을 상기 시각정보 위에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설정창에 입력된 단축키 설정정보에 상응하여 상기 컨텐츠 리스트 정보의 상기 단축키를 갱신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방법.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창 또는 결과창은 환경 설정 정보에 상응하여 크기, 위치, 색상 및 글자의 크기, 폰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특정되어 상기 시각 정보 상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환경 설정 정보는 상기 서버 또는 상기 단말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방법.
  5. 서버와 네트워크로 연결된 단말이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서버가 상기 단말에 제공하는 시각 정보 상의 특정 위치에 검색창을 표시하는 단계;
    (b) 상기 검색창에 입력되는 검색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검색어에 따른 컨텐츠 리스트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c) 수신된 상기 컨텐츠 리스트 정보를 결과창으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컨텐츠 리스트 정보는 컨텐츠의 명칭, 고유키, 단축키 및 컨텐츠 웹페이지 정보를 포함하는 버튼 중 하나 이상이고,
    컨텐츠별 단축키를 설정하는 설정창을 상기 시각정보 위에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설정창에 입력된 단축키 설정정보에 상응하여 상기 컨텐츠 리스트 정보의 상기 단축키를 갱신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방법.
  6. 단말과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상기 단말에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제공하는 서버에 있어서,
    상기 단말에 제공하는 시각 정보 위에 검색창을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검색창에 입력되는 검색어를 수신한 경우, 상기 검색어에 따른 컨텐츠 리스트 정보를 생성하는 검색부; 및
    단축키부를 포함하되,
    상기 표시부는 상기 컨텐츠 리스트 정보를 상기 시각 정보 위에 결과창으로 표시하고, 컨텐츠별 단축키를 설정하는 설정창을 상기 시각 정보 위에 표시하며,
    상기 컨텐츠 리스트 정보는 검색된 컨텐츠의 명칭, 고유키, 단축키 및 컨텐츠 웹페이지 정보를 포함하는 버튼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단축키부는 상기 설정창에 입력되어 수신되는 단축키 설정정보에 상응하여 상기 컨텐츠 리스트 정보의 상기 단축키를 갱신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서버.
  7. 삭제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창 또는 결과창은 환경 설정 정보에 상응하여 크기, 위치, 색상 및 글자의 크기, 폰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특정되어 상기 시작 정보 상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서버.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창은 상기 서버가 포함하는 컨텐츠 리스트 정보 또는 상기 컨텐츠 접속 빈도에 따라 검색어를 추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서버.
  10.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창 및 상기 결과창은 소정의 입력에 따라 열림, 닫힘 및 숨겨짐 상태 중 어느 하나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서버.
  11. 제 1항, 제 3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1020070139893A 2007-12-28 2007-12-28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방법 및 그 프로그램이기록된 기록매체 KR1009332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9893A KR100933271B1 (ko) 2007-12-28 2007-12-28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방법 및 그 프로그램이기록된 기록매체
JP2008329805A JP4898774B2 (ja) 2007-12-28 2008-12-25 ユーザーインターフェース提供装置、方法及び該方法を行うためのプログラムが記録された記録媒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9893A KR100933271B1 (ko) 2007-12-28 2007-12-28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방법 및 그 프로그램이기록된 기록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1949A KR20090071949A (ko) 2009-07-02
KR100933271B1 true KR100933271B1 (ko) 2009-12-22

Family

ID=409662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9893A KR100933271B1 (ko) 2007-12-28 2007-12-28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방법 및 그 프로그램이기록된 기록매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4898774B2 (ko)
KR (1) KR10093327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1819B1 (ko) * 2012-11-15 2014-07-24 정승훈 온라인 환경에서의 벌룬을 이용한 키워드 검색 결과 제공 방법
CN105955597B (zh) * 2016-04-22 2019-08-23 广州酷狗计算机科技有限公司 信息显示方法及装置
KR101992706B1 (ko) * 2016-11-07 2019-06-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JP6916476B2 (ja) * 2018-06-12 2021-08-11 株式会社AI Samurai 知的財産支援装置および知的財産支援方法並びに知的財産支援プログラム
JP7229047B2 (ja) * 2019-03-08 2023-02-27 シャープ株式会社 ログイン装置及び表示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9577A (ko) * 2000-05-30 2001-12-12 조영표 검색어 처리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과 그 프로그램소스를 저장한 기록매체
KR20040027724A (ko) * 2004-02-26 2004-04-01 박창현 검색서비스를 이용한 새창열기 광고 방안
KR20040066074A (ko) * 2004-07-02 2004-07-23 김수현 인터넷 사이트의 페이지 내에 고정시켜 사용할 수 있는툴바형 창을 삽입하여 검색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이용한 수익 배분 방법
KR20050054798A (ko) * 2003-12-06 2005-06-10 안기철 검색엔진링크프로그램 및 검색엔진시스템 및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83210A (ja) * 2000-12-14 2002-06-28 Nippon Telegraph & Telephone East Corp 検索サーバにおけるコンテンツ検索方法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が記録され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WO2007116817A1 (ja) * 2006-03-30 2007-10-18 Pioneer Corporation 情報記録再生装置
JP4861894B2 (ja) * 2007-05-22 2012-01-25 株式会社リコー プレゼンスサーバ及びプレゼンスサーバにおける情報処理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9577A (ko) * 2000-05-30 2001-12-12 조영표 검색어 처리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과 그 프로그램소스를 저장한 기록매체
KR20050054798A (ko) * 2003-12-06 2005-06-10 안기철 검색엔진링크프로그램 및 검색엔진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40027724A (ko) * 2004-02-26 2004-04-01 박창현 검색서비스를 이용한 새창열기 광고 방안
KR20040066074A (ko) * 2004-07-02 2004-07-23 김수현 인터넷 사이트의 페이지 내에 고정시켜 사용할 수 있는툴바형 창을 삽입하여 검색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이용한 수익 배분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1949A (ko) 2009-07-02
JP2009163735A (ja) 2009-07-23
JP4898774B2 (ja) 2012-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47571B2 (en) Message service providing method for message service linked to search service and message server and user terminal to perform the method
US11941244B1 (en) Presenting suggestions from search corpora
US10491552B2 (en) Inserting content into an application from an online synchronized content management system
EP2795441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identifying and suggesting emoticons
RU2581840C2 (ru) Регистрация для поискового интерфейса пользователя системного уровня
US8001470B1 (en) Help functionality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applications
US20160170587A1 (en) Method for Presenting Documents Using a Reading List Panel
KR20130132810A (ko) 시스템 레벨 검색 사용자 인터페이스
US20090204819A1 (en) Advertisement-based human interactive proof
CN106681598B (zh) 信息输入方法和装置
WO2020215852A1 (zh) 信息处理方法、装置、终端设备及服务器
KR100933271B1 (ko)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방법 및 그 프로그램이기록된 기록매체
US20090019349A1 (en) Method and system for exposing games
JP2009087214A (ja) 文字列入力方法、文字列力装置および該入力方法を実施するため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CN111934985A (zh) 媒体内容的分享方法、装置、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8825625B2 (en) Method and system for improved categorical searching
CN108738362A (zh) 基于多层级引用符数据生成应用的深度链接
JP2020154491A (ja) コミュニケーション支援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KR100939074B1 (ko)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방법 및 그 프로그램이기록된 기록매체
KR20070105945A (ko) 메신저 사용 정보 생성 방법
KR20100133260A (ko) 게시물 스크랩 방법 및 시스템
KR100443774B1 (ko) 다국어 화상 키보드 제공 방법 및 이 방법을 위한 컴퓨터 장치
US11570170B2 (en) Embedding group-based communication system content
KR20070105944A (ko) 팝업 차단 방법
KR20070105597A (ko) 온라인 접속 통계 정보 생성 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5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