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2662B1 - 휴대용 말뚝 항타기 - Google Patents

휴대용 말뚝 항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2662B1
KR100932662B1 KR1020080101892A KR20080101892A KR100932662B1 KR 100932662 B1 KR100932662 B1 KR 100932662B1 KR 1020080101892 A KR1020080101892 A KR 1020080101892A KR 20080101892 A KR20080101892 A KR 20080101892A KR 100932662 B1 KR100932662 B1 KR 1009326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pile
delete delete
hammer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18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태운
Original Assignee
권태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태운 filed Critical 권태운
Priority to KR10200801018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2662B1/ko
Priority to PCT/KR2008/006508 priority patent/WO2010044504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26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26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7/00Methods or apparatus for placing sheet pile bulkheads, piles, mouldpipes, or other moulds
    • E02D7/02Placing by driving
    • E02D7/06Power-driven drivers
    • E02D7/10Power-driven drivers with pressure-actuated hammer, i.e. the pressure fluid acting directly on the hammer struc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7/00Methods or apparatus for placing sheet pile bulkheads, piles, mouldpipes, or other moulds
    • E02D7/02Placing by driving
    • E02D7/06Power-driven drivers
    • E02D7/08Drop drivers with free-falling hamme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7/00Methods or apparatus for placing sheet pile bulkheads, piles, mouldpipes, or other moulds
    • E02D7/02Placing by driving
    • E02D7/06Power-driven dr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lacing Or Removing Of Piles Or Sheet Piles, Or Accessories Thereof (AREA)

Abstract

휴대용 말뚝 항타기가 제공된다. 제공된 말뚝 항타기는 콤프레셔와 연결되어 에어를 고압으로 압출하는 에어 노커와; 상기 에어 노커의 하부에 결합되어 에어 연통구가 상하 관통형성되며, 탄성체에 의해 탄성 지지되는 해머가 상기 에어 연통구의 내부에 밀착 삽입되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의 하부에 결합되며 내부는 말뚝이 삽입 가능하도록 중공으로 형성되고, 상단에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해머가 관통 삽입되는 말뚝 지지부;로 구성된다.
말뚝, 항타, 실린더, 에어 노커, 해머

Description

휴대용 말뚝 항타기{PILE DRIVING HAMMER}
본 발명은 말뚝 항타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간편하게 휴대하면서 고압의 에어를 이용하여 땅에 말뚝을 쉽고 견고하게 박을 수 있으며, 제작단가가 적게 소요되어 대중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휴대용 말뚝 항타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 토목 등의 현장이나 인삼, 고추, 오이 등의 농작물을 경작하기 위해서는 많은 말뚝을 필요로 한다. 이를 위해서는 말뚝을 원하는 위치에 위치시킨 후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망치나 해머 등을 이용하여 내려쳐 박는 것이 대부분이다.
그러나, 기존 말뚝을 박는 작업은 단수명의 작업자에 의해 수행될 경우 정확한 타격이 어렵고 큰 힘을 낼 수가 없기 때문에 대부분 두 명이 한 조가 되어서 작업을 하게 되나, 장시간의 작업에도 불구하고 작업자의 인력에 의해서는 많은 말뚝을 박기가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넓은 면적에 많은 말뚝을 박기 위해서는 많은 인력과 시간이 필요하게 되어 작업 공기가 길어지거나, 파종 시기를 놓치는 경우도 발생하게 된다. 아울러, 인건비의 상승 및 비 효율적인 작업이 이루어지게 되고, 작업자도 육체적으로 힘이 들기 때문에 많은 작업이 불가능하게 되어 인건비의 상승으로 이어지게 된다.
최근에는 대형장비에 해머를 장착하여 말뚝을 타격함으로써 쉽게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하지만, 해머에 의해 말뚝을 박는 작업은 장비가 대형이기 때문에 이동하거나 말뚝을 타격하기 위한 위치를 조정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효율적이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이와 더불어, 작은 공간의 장소에서는 사용이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고가의 장비를 이용함으로 인해 경제적으로 부담이 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작업자의 힘에 의하지 않고 장치의 타격 압력에 의해 말뚝이 박히도록 하여 작업자의 노동력을 최대한 줄이면서도 빠른 시간에 많은 말뚝을 박을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작업자가 쉽게 휴대하여 이동할 수 있어 작은 공간에서도 쉽게 사용하여 말뚝을 박을 수 있도록 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콤프레셔와 연결되어 에어를 고압으로 압출하는 에어 노커;
상기 에어 노커의 하부에 결합되어 에어 연통구가 상하 관통형성되며, 탄성체에 의해 탄성 지지되는 해머가 상기 에어 연통구의 내부에 밀착 삽입되는 실린더; 및
상기 실린더의 하부에 결합되며 내부는 말뚝이 삽입 가능하도록 중공으로 형성되고, 상단에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해머가 관통 삽입되는 말뚝 지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휴대용 말뚝 항타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해머의 상부에는 마그네트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말뚝 지지부의 일측에는 중도부 이상의 높이까지 절개부를 형성하여 말뚝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말뚝 지지부의 일측면에는 에어 배출구를 더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는,
콤프레셔와 연결되어 에어를 고압으로 압출하는 에어 노커;
상기 에어 노커의 하부에 결합되어 에어 연통구가 상하 관통형성되며, 탄성체에 의해 탄성 지지되는 해머가 상기 에어 연통구의 내부에 밀착 삽입되는 실린더;
상기 실린더의 하부에 결합되며 내부는 말뚝이 삽입 가능하도록 중공으로 형 성되고, 상단에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해머가 관통 삽입되는 말뚝 지지부; 및
상기 말뚝 지지부의 상부에 구비되는 걸림단에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에 삽입되어 해머와 말뚝 사이에 위치하며, 양측 끝단에 걸림돌기가 돌출 형성되는 타격구;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에어 노커는 상부 일측에서 타측으로 길게 형성되어 콤프레셔와 연결되는 에어 주입로와; 상기 에어 주입로와 하단으로 이격되어 제1연통공 및 제2연통공에 의해 연통되도록 마련되며, 상기 제1연통공을 감싸면서 에어차단구 작동공간이 구비되는 에어탱크와; 상기 에어 주입로의 끝단에 삽입되어 탄성체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에어 주입로에서 제2연통공을 통해 에어탱크로 에어가 주입되는 것을 차단 또는 개방하는 에어핀과; 상기 에어차단구 작동공간에 밀착 삽입되는 에어차단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말뚝 항타기는 소형이므로 휴대 및 이동이 쉽고 사용이 간편하며, 고압의 에어를 사용하여 항타하므로 작업자의 피로감이 줄어들고, 작업효율이 높아 인건비의 절감 및 작업성이 향상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1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말뚝 항타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말뚝 항타기에 말뚝을 삽입하고 대기하는 상태를 도시한 일부 절결 예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말뚝 항타기에 압축 공기를 주입하는 상태를 도시한 일부 절결 예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말뚝 항타기에 일시적으로 공기의 주입을 중단하여 말뚝이 타격되는 상태를 도시한 일부 절결 예시도이다.
상기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의한 말뚝 항타기는 상부에 에어 노커(Air nocker)(100)가 구비되어 별도의 콤프레셔(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음)와 연결되며, 상기 에어 노커(100)의 하부에는 상기 에어 노커(100)에 형성되는 에어탱크(110)와 연통되도록 에어 연통구(210)가 상하 관통되어 형성된 실린더(200)가 밀착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실린더(200)의 에어 연통구(210) 내에는 탄성체(220)에 의해 탄성 지지되는 해머(230)가 밀착 삽입되며, 실린더(200)의 하부에는 말뚝(P)이 삽입되어 지지되는 말뚝 지지부(300)가 결합되되, 상기 말뚝 지지부(300)의 하단은 개방되고 상단은 해머(230)가 말뚝 지지부(300) 내로 관통되도록 하기 위해 걸림단(310)과, 상기 걸림단(310)에 관통공(320)이 관통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해머(230)의 상부에는 강한 자력을 가지는 마그네틱부(231)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실린더(200)의 하부 일측벽에는 에어배출구(240)를 천공하여 해머(230)가 하강 시 실린더(200) 내의 에어가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물론, 상기 실린더(200)와 말뚝 지지부(300) 사이 관통공(320)에 별도의 타격구(400)를 체결하여 상기 해머(230)의 타격력을 말뚝(P)으로 전달하는 중간 역할을 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를 위해 상기 타격구(400)는 관통공(320)에 삽입되는 직경과 길이의 연결대(410)와 상기 연결대(410)의 상하측에 각각 돌출되어 걸림단(310)에 걸리는 걸림돌기(420)가 돌출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말뚝 지지부(300)의 일측면에는 하단부터 소정의 높이까지 일부가 절개된 절개부(330)가 형성됨으로써, 말뚝(P)을 말뚝 지지부(300)에 삽입 시 보다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말뚝 지지부(300)의 측면에는 손잡이(500)를 더 결합하여 이동이 편리하도록 하며, 상기 손잡이(500)는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여 다양한 말뚝(P)의 길이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에어 노커(100)는 공기를 압축하여 강한 힘으로 배출되는 형태의 다양한 에어 노커가 사용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에어 노커(100)는 상부 일측에서 타측으로 길게 에어 주입로(120)가 형성되며, 그 하측에는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에어탱크(110)가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에어 주입로(120)의 타측에는 에어핀(130)이 탄성체(131)에 의해 탄성 지지되어 삽입되되, 상기 에어핀(130)의 선단은 에어 주입로(120)에 형성된 걸림턱(123)에 걸리는 형태로 삽입된다.
또한, 상기 에어 주입로(120)와 에어탱크(110) 사이에는 제1연통공(121)과 제2연통공(122)이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된 상태에서 각각 상기 에어 주입로(120)와 에어탱크(110) 사이에 연통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2연통공(122)은 에어핀(130) 하측에 형성되어, 에어핀(130)의 작동에 의해 에어 주입로(120)와 에어탱크(110) 사이를 연통 또는 차단한다.
상기 제1연통공(121) 측 에어탱크(110) 상부에는 제 1연통공(121)을 감싸는 형태로 에어차단구 작동공간(111)이 하측에 결합되는 실린더(200)와 이격되는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에어차단구 작동공간(111)에는 에어차단구(140)가 밀착 삽입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말뚝 항타기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말뚝(P)을 박고자 하는 위치에 본 발명의 항타기 손잡이(500)를 잡고 이동하여 위치시키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말뚝 지지부(300)의 하부로 말뚝(P)을 삽입한다. 이때, 측면의 절개부(330) 측으로 삽입하면 삽입이 보다 용이해진다.
삽입되어지는 말뚝(P)에 의해 타격구(400)가 말뚝 지지부(300)의 관통공(320)에서 위로 밀려 상승하며, 걸림단(310)에 타격구(400) 하부의 걸림돌기(420)가 걸려 더 이상 상승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상기 도 3에서와 같이 별도의 콤프레셔를 작동시켜 고압의 에어를 에어 주입로(120)를 통해 에어 노커(100)로 주입하게 되며, 주입되는 에어의 일부는 제1연통공(121)을 통해 에어차단구 작동공간(111)으로 유입되면서, 에어 차단구(140)의 상부를 강한 압력으로 밀어 에어탱크(110)와 실린더(200)가 서로 연 통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그러나, 제2연통공(122) 측으로 주입되는 에어는 탄성체(131)에 의해 탄성 지되어 있는 에어핀(130)을 밀면서 에어탱크(110) 내부로 유입되며, 이렇게 유입된 에어는 제1연통공(121) 측의 에어 압력에 의해 하강한 상태의 에어 차단구(140)에 의해 실린더(200) 측으로 배출이 차단되어 에어탱크(120) 내에 압축 충진된다.
이때, 갑자기 에어의 주입을 정지시키게 되면, 도 4에서와 같이 에어 차단구(140)를 가압하던 힘이 제거되면서 에어탱크(110) 내부의 에어 압력에 의해 상기 에어 차단구(140)가 에어차단구 작동공간(111)의 상측으로 상승하게 되며, 에어핀(130)은 탄성체(131)의 힘에 의해 에어주입로(120)를 차단하게 된다.
따라서, 에어탱크(110) 내부에 압축 충진된 고압의 에어는 유일하게 개방된 실린더(200)의 에어 연통구(210)를 통해 배출되면서 실린더(200) 내부에 구비된 해머(230)의 상부를 강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해머(230)는 하측의 타격구(400)의 상부의 걸림돌기(420)를 타격하고, 다시 상기 타격구(400)는 하측의 말뚝을 강타하게 되므로, 타격된 말뚝은 땅 속으로 박히게 된다.
물론, 상기 타격구(400)가 구성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해머(230)의 하단이 바로 말뚝을 강타하여 땅 속으로 박히게 하는 것은 너무나 당연한 사실이다.
한편, 상기 해머(230)가 순간적으로 하강하는 경우, 실린더(200) 내부의 공기는 측면의 에어배출구(240)로 배출되므로 해머(230)의 하강을 방해하지 않게 되며, 하강했던 해머(230)는 탄성체(220)와 마그네트부(231)의 강력한 자력에 의해 다시 원위치로 복귀하여 실린더(200)의 에어 연통구(210)를 차단한다.
그리고, 다시 콤프레셔에 의해 에어노커(100)로 공기를 주입하게 되면, 상기와 마찬가지로 에어 차단구(140)를 하강시켜 실린더(120)로 에어가 배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것은 물론, 에어핀(130)이 밀리면서 제2연통공(122)을 통해 에어가 에어탱크(110) 내부에 압축 충진되는 도 2 내지 도 4의 과정이 반복된다.
이때, 상기와 같이 공기를 주입하고 일시적으로 차단하는 것을 타이머에 의해 일정한 간격으로 작동시키는 것도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고압으로 압축된 에어의 강력한 힘에 의해 말뚝을 타격하여 땅 속에 원하는 깊이로 박고, 다시 본 발명의 항타기를 다른 말뚝을 박기 위한 위치로 이동하여 작업을 계속하게 된다.
<제 2실시예>
도 5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말뚝 항타기의 전체구성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A"부분을 확대한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말뚝 항타기에 있어, 타격편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발췌 분해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말뚝항타기의 측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의한 말뚝 항타기는 에어 노커(100')와, 해머(230')가 포함된 실린더(200')와, 말뚝 지지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에어노커(100')는 그 상부 중앙에 에어주입구(120"), 예컨대 별도의 에어 컴퓨레셔와 연결되는 에어주입구(120")가 구비되고, 이러한 에어주입구(120")의 하부로 에어주입로(120')가 마련된다. 이와 같은 에어주입로(120')의 하부에는 작동공간에 수용된 에어차단구(140')가 구비되고, 이러한 에어차단구(140')를 중심으로 양측에는 제 1, 제 2에어탱크(110',110")가 마련된다. 이때,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서는 에어주입로(120')와 제 1에어탱크(110')가 연통공(124)에 의해 연결되는데, 이러한 에어주입로(120')와 연통공(124)의 사이에는 볼밸브체(150), 예컨대 탄성스프링에 의해 일측이 지지되어 소정압 이상에서만 개방되는 볼밸브체(150)가 구비된다.
상기 실린더(200')는 에어 연통구(210'), 즉 상기 에어 노커(100')의 제 1, 제 2에어탱크(110',110")와 연통되도록 그 내경에 마련되는 에어 연통구(210')내부에 해머(230')가 밀착삽입된다. 이와 같은 해머(230')는 도 8에서와 같이 그 직경이 2단으로 좁아지는 형태, 즉 제 1단턱(233)과 제 2단턱(234)이 마련되는데, 이러한 제 1, 제 2단턱(233,234)을 경계로 하여 제 1단턱부(231)와 제 2단턱부(232)로 분할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 1단턱부(231)와 제 2단턱부(232)에는 탄성스프링(235)이 끼워지는데, 이러한 탄성스프링(235)의 일단은 상기 제 1단턱(233)에 고정된다. 아울러, 상기 해머(230')의 하부 측면에는 상기 탄성스프링(235)을 상기 해머(230')의 외둘레에 견고히 고정하기 위한 다수의 고정볼트(236)가 설치된다.
상기 말뚝 지지부(300')는 그 일측면에 말뚝을 용이하게 설치하기 위한 절개부(330')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말뚝 지지부(300')의 측면에는 손잡이가 구비되는데,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서는 손잡이(500')를 구성함에 있어, 말뚝지지부(300') 의 하부 방향까지 연장구성하여 말뚝을 박는 작업시 지면에 밀착고정되게 하고, 말뚝 지지부(300')와의 결합부위에는 도 6에서와 같이 탄성스프링(510)을 설치하여 말뚝을 박는 작업시 발생하는 충격을 완충하도록 구성한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서는 상기 실린더(200')와 상기 말뚝 지지부(300')와의 플랜지연결부위에 걸림플랜지(600)가 설치되고, 상기 말뚝 지지부(300')의 내경에는 걸림턱(340)을 구비하여 타격판(350)을 설치한다. 이와 같은 걸림플랜지(600)는 도 8에서와 같이 상기 제 2단턱부(232)와 대응하는 내경을 갖도록 구성되고, 상기 타격판(350)은 상기 말뚝 지지부(300')의 내경과 대응하는 넓이를 갖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타격판(350)은 소정 열처리과정을 거친 금속재로써, 캡형태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상기 해머(230')는 하강작동시 제 2단턱부(232)가 상기 걸림플랜지(600)의 내경을 관통하여 하강한 상태에서 제 2단턱(234)이 걸림플랜지(600)에 걸려서 정지함과 아울러 탄성스프링(235)의 복원력에 의해 원위치되는 구성을 갖고, 상기 타격판(350)은 상기 해머(230')의 제 2단턱부(232)에 의해 타격된 후 걸림턱(340)에 걸려서 정지되는 구성을 갖게 된다.
이에,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말뚝 항타기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말뚝 항타기의 제 1작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말뚝 항타기의 제 2작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말뚝 항타기의 제 3작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서는 전술한 제 1실시예에서와 같이 말뚝(P)을 박고자 하는 위치에 말뚝 지지부(300')의 하부로 말뚝(P)을 삽입하되, 이때에는 타격판(350)의 하부면에 말뚝(P)이 밀착되도록 설치한 상태에서 고압의 에어를 에어 노커(100')에 주입하고, 고압의 에어가 실린더(200')내부에 구비된 해머(230')를 타격하여 이 해머(230')가 타격판(350)을 강타함으로써 말뚝(P)을 박는 작업을 수행한다.
이때,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서 에어노커(100')는 도 9에서와 같이 에어주입구(120")를 통해 고압의 에어가 주입될 경우, 고압의 에어가 에어주입로(120')와 볼밸브체(150) 및 연통공(124)을 통해 제 1에어탱크(110')에 충진되고, 도 10에서와 같이 에어의 주입을 멈추면, 밸볼브체(150)가 폐쇄위치로 변형됨과 아울러 에어차단구(140')가 작동공간(111')상으로 상승하고, 제 1에어탱크(110')에 충진되어 있는 고압의 에어가 실린더(200') 및 제 2에어탱크(110")로 유입되어 해머(230')의 상부를 타격하게 된다. 여기서, 에어노커(100')에 공기를 주입하고 일시적으로 차단하는 것은 전자센서의 타이머에 의해 일정한 간격으로 작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고압의 에어에 의해 타격된 해머(230')는 제 2단턱부(232)가 걸림플랜지(600)를 관통한 상태에서 타격판(350)을 강타하여 말뚝(P)을 박게 되는데, 이렇게 하강하는 제 2단턱부(232)는 제 2단턱(234)이 걸림플랜지(600)에 걸림에 따라서 정지하고, 탄성스프링(235)의 복원력에 의해 원위치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해머(230')가 원위치되면, 실린더(200')에 존재하는 소정압력의 에어는 해머(230')가 상승함에 따라서 제 1, 제 2에어탱크(110',110")로 귀환되는데, 이와 같은 상태에서 다른 말뚝(P)을 박기 위해 고압의 에어를 재차 주입하면, 제 1에어탱크(110')에는 그 전보다 높은 압력의 에어가 충진되므로, 이후의 작업에서는 보다 높은 타격력을 얻을 수 있다. 이에 따라서,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의한 말뚝 항타기는 에어노커(100')에 고압의 에어를 주입/차단하는 것을 되풀이할수록 고압의 에어를 제 1, 제 2에어탱크(110',110")에 충진할 수 있어, 높은 타격력을 얻을 수 있으므로 말뚝(P)을 박는 작업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말뚝 항타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말뚝 항타기에 말뚝을 삽입하고 대기하는 상태를 도시한 일부 절결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말뚝 항타기에 압축 공기를 주입하는 상태를 도시한 일부 절결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말뚝 항타기에 일시적으로 공기의 주입을 중단하여 말뚝이 타격되는 상태를 도시한 일부 절결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말뚝 항타기의 전체구성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A"부분을 확대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말뚝 항타기에 있어, 타격구와 타격편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발췌 분해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말뚝 항타기의 측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말뚝 항타기의 제 1작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말뚝 항타기의 제 2작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말뚝 항타기의 제 3작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0, 100' : 에어노커 110, 110', 110" : 에어탱크
111, 111' : 에어차단구 작동공간 120, 120' : 에어 주입로
120" : 에어주입구 121,122 : 제1,2연통공
123 : 걸림턱 130 : 에어핀 131,220 : 탄성체 140, 140' : 에어 차단구
200, 200' : 실린더 210, 210' : 에어 연통구 230, 230' : 해머 231 : 제 1단턱부
232 : 제 2단턱부 233 : 제 1단턱
234 : 제 2단턱 235 : 탄성스프링
236 : 고정볼트 240 : 에어 배출구 300, 300' : 말뚝 지지부 310 : 걸림단
320 : 관통공 330 : 절개부
340 : 걸림턱 350 : 타격판
400 : 타격구 410 : 연결대
420 : 걸림돌기 500, 500' : 손잡이 510 : 탄성스프링

Claims (17)

  1. 콤프레셔와 연결되어 에어를 고압으로 압출하는 에어 노커;
    상기 에어 노커의 하부에 결합되어 에어 연통구가 상하 관통형성되며, 탄성체에 의해 탄성 지지되는 해머가 상기 에어 연통구의 내부에 밀착 삽입되는 실린더; 및
    상기 실린더의 하부에 결합되며, 그 내부는 말뚝이 삽입 가능하도록 중공으로 형성되고, 상단에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해머가 관통 삽입되며, 측면에는 손잡이가 결합되는 말뚝 지지부; 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말뚝 항타기에 있어서,
    상기 해머는 제 1, 제 2단턱을 경계로 하여 제 1단턱부와 제 2단턱부로 분할구성되며, 상기 제 1단턱부와 제 2단턱부에는 탄성스프링이 삽입되고,
    상기 실린더와 상기 말뚝 지지부의 연결부위에는 걸림플랜지가 설치되고, 상기 말뚝 지지부의 내경에는 걸림턱을 구비하여 캡형태의 타격판이 설치되며,
    상기 손잡이는 상기 말뚝지지부의 하부 방향까지 연장구성되며, 상기 말뚝 지지부와의 결합부위에는 충격을 완충하기 위한 탄성스프링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말뚝 항타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KR1020080101892A 2008-10-17 2008-10-17 휴대용 말뚝 항타기 KR1009326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1892A KR100932662B1 (ko) 2008-10-17 2008-10-17 휴대용 말뚝 항타기
PCT/KR2008/006508 WO2010044504A1 (en) 2008-10-17 2008-11-05 Portable pile driv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1892A KR100932662B1 (ko) 2008-10-17 2008-10-17 휴대용 말뚝 항타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32662B1 true KR100932662B1 (ko) 2009-12-21

Family

ID=416844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1892A KR100932662B1 (ko) 2008-10-17 2008-10-17 휴대용 말뚝 항타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932662B1 (ko)
WO (1) WO2010044504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24090A1 (zh) * 2010-04-07 2011-10-13 Guo David Wei 具有气压缓冲器的打桩机
CN102704479A (zh) * 2012-06-12 2012-10-03 张永忠 液压锤击式混凝土灌注桩设备
WO2014196879A1 (en) * 2013-06-07 2014-12-11 Progressive Ip Limited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pile and impact driving equipm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65729A (ja) * 1983-03-10 1984-09-19 Sekisui Prefab Homes Ltd 杭打ち装置
JPH06280262A (ja) * 1993-03-26 1994-10-04 Sato Tekko Kk ハンマー装置
KR200405525Y1 (ko) 2005-10-25 2006-01-11 (주)유니텍이앤씨 파일 해머의 소음 저감 장치
KR100827370B1 (ko) * 2008-01-15 2008-05-06 권태운 휴대용 말뚝 항타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A905486A (de) * 1986-11-20 1991-02-15 Inst Gornogo Dela Sibirskogo O Pneumatisch angetriebener, einzelschlaege ausfuehrender hammer
US5340233A (en) * 1992-10-07 1994-08-23 M-B-W Inc. Pneumatically operated ramm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65729A (ja) * 1983-03-10 1984-09-19 Sekisui Prefab Homes Ltd 杭打ち装置
JPH06280262A (ja) * 1993-03-26 1994-10-04 Sato Tekko Kk ハンマー装置
KR200405525Y1 (ko) 2005-10-25 2006-01-11 (주)유니텍이앤씨 파일 해머의 소음 저감 장치
KR100827370B1 (ko) * 2008-01-15 2008-05-06 권태운 휴대용 말뚝 항타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24090A1 (zh) * 2010-04-07 2011-10-13 Guo David Wei 具有气压缓冲器的打桩机
CN102704479A (zh) * 2012-06-12 2012-10-03 张永忠 液压锤击式混凝土灌注桩设备
WO2014196879A1 (en) * 2013-06-07 2014-12-11 Progressive Ip Limited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pile and impact driving equip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0044504A1 (en) 2010-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2662B1 (ko) 휴대용 말뚝 항타기
CA2823796C (en) Post driver with limited movement floating post anvil
KR100827370B1 (ko) 휴대용 말뚝 항타기
CA2139677C (en) Hydraulically powered repetitive impact hammer
CN107558472B (zh) 液压冲击锤系统和方法
JP5145503B1 (ja) 破砕方法
CN101973019B (zh) 射钉枪冲击板
CN105442603B (zh) 打桩机的打桩机构以及打桩机
MX2015003480A (es) Dispositivo percutor hidraulico para maquinas excavadoras.
KR101307183B1 (ko) 열교환기 부착물 제거용 타격장치
KR200258972Y1 (ko) 천공기
KR101567835B1 (ko) 에어 바이브레이터 해머를 이용하여 항타 및 항발 작업을 병행하는 오거 크레인
KR101326161B1 (ko) 말뚝타격장치
KR20170035287A (ko) 오거장치를 이용한 콘크리트파일 항타장치
KR101131955B1 (ko) 천공기의 햄머
KR102439392B1 (ko) 진공타격식 저소음형 유압브레이커
KR20140066334A (ko) 피타격체용 가이드홀이 형성되어 있는 해머
KR20110070838A (ko) 천공기의 햄머
KR20090008695U (ko) 유압브레이커의 소음방지장치
JPS5923953B2 (ja) 油圧式さく岩機の空打ち防止機構
KR20160002287A (ko) 더블함마 지하천공기
KR101809619B1 (ko) 외장형 밸브 조립체가 설치된 브레이커
RU2440460C1 (ru) Пневмоударная машина для забивания инструментов в грунт
JP5487266B2 (ja) 騒音低減型地下穿孔用のハンマードリル
KR20150003348U (ko) 농업용 모종이식홈 성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