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9619B1 - 외장형 밸브 조립체가 설치된 브레이커 - Google Patents

외장형 밸브 조립체가 설치된 브레이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9619B1
KR101809619B1 KR1020160105890A KR20160105890A KR101809619B1 KR 101809619 B1 KR101809619 B1 KR 101809619B1 KR 1020160105890 A KR1020160105890 A KR 1020160105890A KR 20160105890 A KR20160105890 A KR 20160105890A KR 101809619 B1 KR101809619 B1 KR 1018096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ssage
valve
cylinder
flow path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58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수민
김종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수산중공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수산중공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수산중공업
Priority to KR10201601058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96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96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96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96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arrangements for alternate or simultaneous use of different digging elements
    • E02F3/966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arrangements for alternate or simultaneous use of different digging elements of hammer-type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DPERCUSSIVE TOOLS
    • B25D9/00Portable percussive tools with fluid-pressure drive, i.e. driven directly by fluids, e.g. having several percussive tool bits operated simultaneously
    • B25D9/14Control devices for the reciprocating piston
    • B25D9/16Valve arrangement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5/00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for special purposes
    • E02F5/30Auxiliary apparatus, e.g. for thawing, cracking, blowing-up, or other preparatory treatment of the soil
    • E02F5/305Arrangements for breaking-up hard groun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3/00Details of servomotor systems ; Valve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13/02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 F15B13/04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for use with a single servomotor
    • F15B13/0401Valve members; Fluid interconnection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DPERCUSSIVE TOOLS
    • B25D2222/00Materials of the tool or the workpiece
    • B25D2222/72Stone, rock or concre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ercussive Tools And Related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작동유가 하우징 내부에 형성된 유입로를 통해 주입되고, 유출로를 통해 배출되어, 작동유의 유로가 짧아져 단순화되고, 작동유로 인한 백 헤드 내부의 충진가스 온도 상승이 없는 외장형 밸브 조립체가 설치된 브레이커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외장형 밸브 조립체가 설치된 브레이커 { Breaker equipped external valve assembly }
본 발명은 피스톤이 왕복하며 로드를 타격하여 파쇄 대상물을 파쇄하는 외장형 밸브 조립체가 설치된 브레이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브레이커는 굴삭기의 아암에 버켓 대신에 설치되어 토목 공사나 건물 기초 공사에서 암석파쇄, 말뚝박기 등에 사용되는 작업설비이다.
굴삭기에 장착된 브레이커의 작동은, 먼저 작업자가 굴삭기의 붐대를 작동시켜 브레이커의 로드(또는 치즐)를 파쇄 대상물에 접촉시켜 눌러준 상태에서 풋스위치를 밟아서 유압공급장치를 온 동작시키면, 고압의 유압이 브레이커에 공급되고, 이로 인해 타격용 피스톤이 왕복 작동하면서 로드를 타격하게 되어 파쇄 대상물을 파쇄시키게 된다.
한국등록특허 제10-1290789호에 기재된 바와 같이, 유압 브레이커의 브레이커 본체부는 프론트 헤드(FRONT HEAD)와 실린더부(CYLINDER) 및 백 헤드(BACK HEAD)로 분할 구성되며, 이때 상기 프론트 헤드는, 하측으로 암반을 파쇄하는 로드와 상기 로드를 지지하는 프론트 커버(FRONT COVER) 및 상기 로드가 하측으로 이탈을 방지토록 프론트 헤드 내측에 로드핀과, 상기 로드의 타격시 피스톤과 수직 정렬상태를 유지토록 링 부쉬가 각각 착설되며, 또한 상기 실린더부의 내부에는 상기 로드를 타격하는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의 상,하 행정을 컨트롤하는 유압 컨트롤밸브 및 상기 실린더부의 상,하측으로 오일의 누설을 방지토록 상,하부 시일 키트(SEAL KIT)가 착설된다.
또한, 상기 실린더부의 일측에는 브레이커의 특성상 충격, 에너지저장 및 맥동방지 기능을 위하여 내부에 질소가스(N2)가 충진된 어큐뮬레이터(ACCUMULATOR)가 설치되고, 상기 피스톤이 상기 로드의 타격시, 상기 피스톤의 상단부에 작용하는 유압과 백 헤드 내부에 충진된 질소가스(N2)가 동시에 피스톤의 타격력을 극대화 시켜주는 역활을 수행하게 되고, 또한 상기 피스톤의 타격 후 피스톤이 반발되어 상부로 튀어 오를 때 그 충격력을 상기 백 헤드 내부의 질소가스가 완충시켜주는 수행을 하게 되며. 이때 상기 백 헤드의 내측 상부에는 상기 백 헤드에 질소가스의 충진을 위한 밸브가 설치된다.
한편, 도 1에는 한국등록특허 제10-0490592호에 기재된 유압 브레이커(101)를 도시하였다. 유압 브레이커(101)는 실린더부의 외면에 제어밸브(140)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 것이다. 제어밸브(140)는 유압유동유로(113)(유압공급라인(113a) 및 유압배출라인(113b))를 따라 유동하는 유압유를 단속한다. 유압 브레이커(101)는 가스충전실(115)에 충전된 질소가스의 압축력에 의한 피스톤(130)의 반발 작용과, 피스톤 챔버(111)의 내부로 유압유가 출입하는 것을 단속하는 제어밸브(140)의 작동에 의해서, 피스톤(130)이 상하 승강하면서 로드(120)를 반복적으로 타격하게 된다. 이때, 제어밸브(140)의 작동은 플러그밸브(143)와 밸브하우징(141) 사이의 스풀 수용공간(145)에 수용된 밸브스풀(147)이 유압유동유로(113)를 개폐시키는 동작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제어밸브(140)의 밸브하우징(141) 일측에는 유압유의 압력을 제어하기 위한 릴리프밸브 역할로서 안전밸브(150)가 설치된다.
그러나, 한국등록특허 제10-0490592호와 같이 실린더부의 외면에 제어밸브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 경우에는 백 헤드까지 연장되어 형성된 유압공급라인(113a)을 통해 작동유가 공급되고, 유압배출라인(113b)을 통해 작동유가 배출되므로, 유로가 길게 형성되고, 유압공급라인(113a) 및 유압배출라인(113b)을 유동하는 작동유에 의해 백 헤드 내부의 질소가스의 온도가 상승되어 질소가스에 의한 피스톤 완충 및 반발 효과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290789호 한국등록특허 제10-0490592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작동유의 유로가 짧아져 단순화되고, 작동유로 인한 백 헤드 내부의 충진가스 온도 상승이 없는 외장형 밸브 조립체가 설치된 브레이커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외장형 밸브 조립체가 설치된 브레이커는, 내부에서 피스톤이 왕복 운동하는 실린더를 포함하고, 상기 피스톤을 왕복 운동시키는 작동유가 유동되는 것으로 상기 실린더의 하부에 연결된 제1유동로와, 상부에 연결된 제2유동로를 포함하는 실린더부; 상기 실린더부의 외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 외장형 밸브 조립체; 를 포함하되, 상기 외장형 밸브 조립체는, 상기 실린더부의 외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하우징; 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작동유를 제어하는 밸브; 와, 일측이 상기 밸브의 일측에 연통되고, 타측이 상기 제1유동로에 연통되는 제1공급로;와, 일측이 상기 밸브의 타측에 연통되고, 타측이 상기 제2유동로에 연통되는 제2공급로;를 포함하고, 상기 작동유는 상기 하우징 내부에 형성된 유입로를 통해 주입되고, 유출로를 통해 배출되어, 상기 작동유를 공급 및 회수하는 연결호스가 상기 하우징에 연결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유입로는 상기 밸브의 일측 및 상기 제1공급로에 연통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유출로는 일측이 상기 밸브에 연통되고, 타측이 상기 실린더에 연결된 회수로에 연통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는 상기 밸브에 연결된 배출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배출로는 상기 실린더에 연결된 제3유동로에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외장형 밸브 조립체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유지보수가 용이한 동시에, 작동유가 하우징의 내부에 형성된 유입로를 통해 주입되고, 유출로를 통해 배출되므로, 연결호스를 하우징에 연결할 수 있어, 백 헤드에 연결할 경우에 비해서 작동유의 유로가 짧고 단순화된다. 그리고 부품수가 적어지므로 원가 절감 및 중량 감소 효과가 있다.
또한, 작동유로 인한 백 헤드 내부의 충진가스(질소가스)의 온도 상승이 없어, 충진가스에 의한 피스톤 완충 및 반발 효과가 저해될 우려가 없다.
도 1은 종래의 유압 브레이커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외장형 밸브 조립체가 설치된 브레이커의 사시도.
도 3은 도 2에서 외장형 밸브 조립체가 분리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외장형 밸브 조립체가 설치된 브레이커의 내부 유로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아래에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외장형 밸브 조립체(50)가 설치된 브레이커(1)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에서 피스톤(27)이 왕복 운동하는 실린더(21)를 포함하고, 피스톤(27)을 왕복 운동시키는 작동유가 유동되는 것으로 실린더(21)의 하부에 연결된 제1유동로(30)와, 상부에 연결된 제2유동로(32)를 포함하는 실린더부(20);와, 실린더부(20)의 외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 외장형 밸브 조립체(50); 를 포함하되, 외장형 밸브 조립체(50)는, 실린더부(20)의 외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하우징(51); 과, 하우징(51)의 내부에 설치되어 작동유를 제어하는 밸브(52); 와, 일측이 밸브(52)의 일측에 연통되고, 타측이 제1유동로(30)에 연통되는 제1공급로(53);와, 일측이 밸브(52)의 타측에 연통되고, 타측이 제2유동로(32)에 연통되는 제2공급로(54);를 포함하고, 작동유는 하우징(51) 내부에 형성된 유입로(57)를 통해 주입되고, 유출로(58)를 통해 배출되어, 작동유를 공급 및 회수하는 연결호스(90)가 하우징(51)에 연결되도록 하는 것이다.
브레이커(1)는 고압의 작동유가 공급되고, 이로 인해 피스톤(27)이 왕복 작동하면서 로드(12)를 타격하게 되어 파쇄 대상물을 파쇄시키게 된다.
도 2 및 도 4와 같이, 브레이커(1)는 프론트 헤드(10)와 실린더부(20) 및 백 헤드(80)로 분할 구성되며, 상호 분리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프론트 헤드(10)의 하부에는 암반을 파쇄하는 로드(12)가 설치된다. 또한 프론트 헤드(10)의 상측에는 내부에 피스톤(27)을 포함한 실린더부(20)가 설치되고, 실린더부(20)의 상측에는 내부에 질소가스가 충진된 백 헤드(80)가 설치된다. 실린더부(20) 내부의 피스톤(27)은 상하 왕복 운동하며 로드(12)를 타격하고, 피스톤(27)의 상하 왕복 운동을 제어하는 밸브(52)가 후술할 외장형 밸브 조립체(50) 내부에 포함되어 실린더부(20)의 외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실린더부(20)의 외면에서 외장형 밸브 조립체(50)의 하부에는 브레이커(1)의 특성상 충격, 에너지저장 및 맥동방지 기능을 위하여 내부에 질소가스(N2)가 충진된 어큐뮬레이터(60)(ACCUMULATOR)가 설치되고, 피스톤(27)이 로드(12)의 타격시, 피스톤(27)의 상단부에 작용하는 유압과 백 헤드(80) 내부에 충진된 질소가스(N2)가 동시에 피스톤(27)의 타격력을 극대화시켜주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피스톤(27)의 타격 후 피스톤(27)이 반발되어 상부로 튀어 오를 때 그 충격력을 백 헤드(80) 내부의 질소가스가 완충시켜주는 수행을 하게 되며, 백 헤드(80)의 내측 상부에는 백 헤드(80)에 질소가스의 충진을 위한 충진밸브(미도시)가 설치된다.
브레이커(1)에 대해서는 종래에 많이 공개되어 있으므로, 본 실시예에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이하에는 실린더부(20)의 외면에 설치된 외장형 밸브 조립체(5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 및 도 3과 같이, 외장형 밸브 조립체(50)는 실린더부(20)의 상부 외면에 착탈 가능하게 볼트(40) 결합된다. 외장형 밸브 조립체(50)는 실린더부(20)의 상부 외면에서, 어큐뮬레이터(60)의 상측에 설치된다.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실린더부(20)의 외면에서 어큐뮬레이터(60)의 상측에는 설치면(42)이 형성되고, 설치면(42)에는 외장형 밸브 조립체(50)가 착탈 가능하게 볼트(40) 결합된다.
설치면(42)의 양측에는 볼트(40)가 삽입되는 볼트구멍(47)이 형성되고, 설치면(42)의 중앙부에는 제1구멍(43), 제2구멍(44), 제3구멍(45) 및 제4구멍(46)이 형성된다. 제1구멍(43)은 실린더(21)의 하부의 제1챔버(22)에 연결된 제1유동로(30)에 연통되고, 제2구멍(44)은 실린더(21)의 상부의 제2챔버(23)에 연결된 제2유동로(32)에 연통되고, 제3구멍(45)은 실린더(21)의 중앙부의 제3챔버(24)에 연결된 제3유동로(35)에 연통되고, 제4구멍(46)은 실린더(21)의 중앙부의 제3챔버(24)에 연결된 회수로(37)에 연통된다.
도 4를 참고하여 실린더부(20)의 내부에 대해 설명하면, 실린더부(20)는 내부에 피스톤(27)이 상하 왕복 운동하는 중공의 실린더(21)를 포함한다. 실린더(21)의 내부에는 피스톤(27)이 삽입되고, 실린더(21)의 하부 내주에는 제1챔버(22), 상부 내주에는 제2챔버(23), 중앙부 내주에는 제3챔버(24)가 각각 형성된다.
실린더(21) 하부의 제1챔버(22)에는 제1유동로(30)가 연결되고, 상부의 제2챔버(23)에는 제2유동로(32)가 연결되고, 중앙부의 제3챔버(24)에는 제3유동로(35)와 회수로(37)가 연결된다. 도 4와 같이, 제3챔버(24)에서 제3유동로(35)는 회수로(37)보다 하부에 연결된다. 제1유동로(30), 제2유동로(32), 제3유동로(35) 및 회수로(37)에는 작동유가 유동된다.
이하에는 설치면(42)에 볼트(40) 결합되는 외장형 밸브 조립체(50)에 대해 먼저 설명하도록 한다.
외장형 밸브 조립체(50)는, 실린더부(20)의 외면, 다시 말해 설치면(42)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하우징(51)과, 하우징(51)의 내부에 설치(또는 배치)되어 작동유를 제어하는 밸브(52)와, 일측이 밸브(52)의 일측에 연통되고, 타측이 제1유동로(30)에 연통되는 제1공급로(53)와, 일측이 밸브(52)의 타측에 연통되고, 타측이 제2유동로(32)에 연통되는 제2공급로(54)와, 작동유가 주입되는 유입로(57)와, 작동유가 배출되는 유출로(58)를 포함한다. 또한, 일측이 밸브(52)에 연결되고 타측이 제3유동로(35)에 연결된 배출로(55), 보다 자세하게는 제1배출로(55)와, 밸브(52)와 유출로(58)를 연결하는 제2배출로(59)를 포함한다.
하우징(51)은 대략 정육면체의 상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하우징(51)의 외부 양측에는 연장부(51a)가 형성되고, 연장부(51a)를 관통하여 볼트구(51b)가 형성된다. 볼트(40)는 볼트구(51b)를 관통한 후, 설치면(42)에 대응하여 형성된 볼트구멍(47)에 결합됨으로 하우징(51)이 실린더부(20)의 외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하우징(51)의 내부에 설치된 밸브(52)는, 작동유의 유동을 제어하여 피스톤(27)을 상하 왕복 운동시키는 것으로, 밸브 작동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전술한 종래기술을 포함하여 기존에 많이 공개되어 있으므로, 본 실시예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하우징(51)에는 작동유의 압력을 제어하기 위한 릴리프밸브 역할로서 안전밸브가 설치될 수 있다.
한편, 하우징(51)의 내부 하부에는 유입로(57) 및 유출로(58)가 좌우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유입로(57) 및 유출로(58)는 도 3과 같이, 하우징(51)의 외측면을 관통하여 형성된다. 유입로(57)의 외측 단부인 유입구(57a)를 통해 작동유가 유입되고, 유출로(58)의 외측 단부인 유출구(58a)를 통해 작동유가 배출된다. 도 3과 같이, 연결호스(90)의 미연결시에는 유입구(57a) 및 유출구(58a)에 각각 마개(57b,58b)가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도 4와 같이 유입로(57)의 단부인 유입구(57a)와, 유출로(58)의 단부인 유출구(58a)에는 각각 연결호스(90)가 연결링크(92)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유입구(57a)에 일단이 연결된 연결호스(90)는 타단이 펌프(미도시)에 연결되어 작동유를 유입로(57)로 유입시키고, 유출구(58a)에 일단이 연결된 연결호스(90)는 타단이 작동유를 흡인하는 섬프(미도시)에 연결된다.
한편, 유입로(57)는 제1공급로(53)에 연결되어 연통된다. 또한 제1공급로(53)는 실린더부(20)의 외면, 보다 자세하게는 설치면(42)의 제1구멍(43)을 통해 제1유동로(30)와 연통된다. 그래서 유입로(57)를 통해 주입된 작동유는 제1공급로(53)를 통해 제1유동로(30)로 유입되고, 제1유동로(30)로 유입된 작동유는 실린더(21) 하부의 제1챔버(22)에 공급된다. 유입로(57)를 주입되어 제1유동로(30)를 통해 제1챔버(22)로 공급되는 작동유는, 회수로(37) 및 유출로(58)를 통해 배출되는 작동유에 비해 고압이다.
또한, 유입로(57)는 밸브(52)의 일측, 즉 밸브(52)의 하부에 제1연결유로(52a)를 통해 연결되어 연통된다. 또한, 밸브(52)의 일측은 제1연결유로(52a)를 통해 제1공급로(53)에 연결되어 연통되고, 제1유동로(30)와 연통된다.
또한, 밸브(52)의 타측에 연결된 제2공급로(54)는 실린더부(20)의 외면, 보다 자세하게는 설치면(42)의 제2구멍(44)을 통하여 제2유동로(32)에 연통된다. 밸브(52)는 작동유를 선택적으로 유동시켜 작동유를 제2공급로(54) 및 제2유동로(32)를 통해 실린더(21) 상부의 제2챔버(23)에 유동시킨다.
피스톤(27)이 하강한 상태에서는, 제1연결유로(52a)를 통해 밸브(52)에 공급된 고압의 작동유가 제2공급로(54)를 통해 제2챔버(23)로 유동되지 못하도록 차단되어, 제1챔버(22)에 공급된 고압의 작동유에 의해 피스톤(27)이 상승된다.
또한, 피스톤(27)이 상승된 상태에서는, 제1연결유로(52a)를 통해 밸브(52)에 공급된 고압의 작동유가, 제2공급로(54)를 통해 제2챔버(23)에 공급되어, 피스톤(27)은 하강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밸브(52)를 통해 제2챔버(23)에 작동유를 선택적으로 유동시켜 피스톤(27)이 상하 왕복 운동하게 된다.
한편, 유출로(58)는 제2배출로(59)를 통해 일측이 밸브(52)에 연결되어 연통되고, 제2연결유로(58c)를 통해 타측이 회수로(37)에 연결되어 연통된다. 회수로(37)는 실린더(21) 중앙부의 제3챔버(24)에 연결되어 있다. 보다 자세하게는 회수로(37)는 제3챔버(24)의 상부에 연결된다. 피스톤(27)의 왕복 운동시 사용된 저압의 작동유는, 회수로(37)를 통해 제2연결유로(58c)를 유입되고, 유출로(58)를 통해 실린더부(20)의 외부로 배출된다. 유출로(58)를 통해 배출되는 작동유는 연결호스(90)를 통해 작동유를 흡인하는 섬프(미도시)로 유동된다.
또한, 하우징(51)의 내부에는 밸브(52)에 연결된 배출로, 보다 자세하게는 제1배출로(55)를 포함한다. 제1배출로(55)는 일단이 밸브(52)의 상부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제1배출로(55)의 타단은 실린더(21) 중앙부의 제3챔버(24)에 연결된 제3유동로(35)에 연결되어 연통된다.
제1배출로(55)는 실린더부(20)의 외면, 보다 자세하게는 설치면(42)의 제3구멍(45)을 통해서 제3유동로(35)와 연통된다. 제3유동로(35)는 제3챔버(24)에서 회수로(37)보다 아래에 연결된다.
제3챔버(24)의 저압의 작동유는, 제3유동로(35)와 제1배출로(55)를 통해 밸브(52)의 상부로 유입되고, 제2배출로(59)를 통해 밸브(52)에서 유출로(58)로 배출되어 실린더부(20)의 외부로 배출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브레이커(1)는 외장형 밸브 조립체(50)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유지보수가 용이한 동시에, 작동유가 하우징(51)의 내부에 형성된 유입로(57)를 통해 주입되고, 유출로(58)를 통해 배출되므로, 연결호스(90)를 하우징(51)에 연결할 수 있어, 백 헤드(80)에 연결할 경우에 비해서 작동유의 유로가 짧고 단순화된다. 그리고 부품수가 적어지므로 원가 절감 및 중량 감소 효과가 있다.
또한, 종래와 같이 유입로(57) 및 유출로(58)가 백 헤드(80)에 형성될 경우에는 고압의 작동유가 유동하며 백 헤드(80) 내부의 충진가스(질소가스) 온도를 상승시켜 충진가스에 의한 피스톤(27) 완충 및 반발 효과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는데, 본 발명은 작동유로 인한 백 헤드(80) 내부의 충진가스(질소가스)의 온도 상승우려가 없어, 충진가스에 의한 피스톤(27) 완충 및 반발 효과가 저해될 우려가 없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분야의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 브레이커 10: 프론트 헤드
12: 로드 20: 실린더부
21: 실린더 22: 제1챔버
23: 제2챔버 24: 제3챔버
27: 피스톤 30: 제1유동로
32: 제2유동로 35: 제3유동로
37: 회수로 40: 볼트
42: 설치부 43: 제1구멍
44: 제2구멍 45: 제3구멍
46: 제4구멍 47: 볼트구멍
50: 외장형 밸브 조립체 51: 하우징
51a: 연장부 51b: 볼트구
52: 밸브 52a: 제1연결유로
53: 제1공급로 54: 제2공급로
55: 제1배출로(배출로) 57: 유입로
57a: 유입구 57b: 마개
58: 유출로 58a: 유출구
58b: 마개 58c: 제2연결유로
59: 제2배출로 60: 어큐뮬레이터
80: 백 헤드 90: 연결호스
92: 연결링크

Claims (4)

  1. 내부에서 피스톤이 왕복 운동하는 실린더를 포함하고, 상기 피스톤을 왕복 운동시키는 작동유가 유동되는 것으로 상기 실린더의 하부에 연결된 제1유동로와, 상부에 연결된 제2유동로를 포함하는 실린더부;
    상기 실린더부의 외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 외장형 밸브 조립체; 를 포함하되,
    상기 외장형 밸브 조립체는,
    상기 실린더부의 외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하우징; 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작동유를 제어하는 밸브; 와,
    일측이 상기 밸브의 일측에 연통되고, 타측이 상기 제1유동로에 연통되는 제1공급로;와,
    일측이 상기 밸브의 타측에 연통되고, 타측이 상기 제2유동로에 연통되는 제2공급로;를 포함하고,
    상기 실린더부의 외면에는 상기 하우징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설치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1공급로는 상기 설치면에 형성된 제1구멍을 통해 상기 제1유동로와 연통되고,
    상기 제2공급로는 상기 설치면에 형성된 제2구멍을 통해 상기 제2유동로와 연통되고,
    상기 실린더부는 상기 작동유가 유동되는 것으로 상기 실린더의 중앙부에 연결되는 제3유동로 및 회수로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3유동로가 상기 회수로보다 아래에 연결되고,
    상기 하우징 내부에는 상기 밸브에 연결된 배출로를 포함하여, 상기 설치면에 형성된 제3구멍을 통해 상기 제3유동로와 연통되고,
    상기 작동유는 상기 하우징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의 외측면을 관통하는 유입로를 통해 주입되고, 유출로를 통해 배출되어, 상기 작동유를 공급 및 회수하는 연결호스가 상기 하우징에 연결되도록 하고,
    상기 유입로는 상기 밸브의 일측 및 상기 제1공급로에 연통되고,
    상기 유출로는 일측이 상기 밸브에 연통되고, 타측이 상기 설치면에 형성된 제4구멍을 통해 상기 회수로에 연통되는 외장형 밸브 조립체가 설치된 브레이커.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60105890A 2016-08-22 2016-08-22 외장형 밸브 조립체가 설치된 브레이커 KR1018096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5890A KR101809619B1 (ko) 2016-08-22 2016-08-22 외장형 밸브 조립체가 설치된 브레이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5890A KR101809619B1 (ko) 2016-08-22 2016-08-22 외장형 밸브 조립체가 설치된 브레이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09619B1 true KR101809619B1 (ko) 2017-12-18

Family

ID=609229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5890A KR101809619B1 (ko) 2016-08-22 2016-08-22 외장형 밸브 조립체가 설치된 브레이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961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0592B1 (ko) * 2004-06-30 2005-05-19 김태순 유압 브레이커의 안전밸브
KR100901145B1 (ko) * 2007-12-10 2009-06-04 주식회사 에버다임 유압 브레이커
KR101626519B1 (ko) * 2014-10-06 2016-06-02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유압 브레이커
KR101778256B1 (ko) * 2016-08-22 2017-09-13 디앤에이중공업 주식회사 유압 브레이커용 안전밸브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0592B1 (ko) * 2004-06-30 2005-05-19 김태순 유압 브레이커의 안전밸브
KR100901145B1 (ko) * 2007-12-10 2009-06-04 주식회사 에버다임 유압 브레이커
KR101626519B1 (ko) * 2014-10-06 2016-06-02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유압 브레이커
KR101778256B1 (ko) * 2016-08-22 2017-09-13 디앤에이중공업 주식회사 유압 브레이커용 안전밸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66740B1 (ko) 투 스트로크 밸브가 장착된 유압브레이커
KR101550899B1 (ko) 2단 자동 행정을 갖는 유압 브레이커
KR100675851B1 (ko) 굴착용 공압해머와 그 구동방법
KR102103906B1 (ko) 윤활유 자동공급구조가 구비된 유압 브레이커
KR101420696B1 (ko) 파쇄작업시 타격압을 상승시키는 어터치먼트
KR101809619B1 (ko) 외장형 밸브 조립체가 설치된 브레이커
KR101490597B1 (ko) 유압브레이커
KR101574576B1 (ko) 공타 방지기능을 갖는 유압브레이커
KR101336993B1 (ko) 유압브레이커의 밸브장치
KR100971295B1 (ko) 유압브레이커의 공타방지구조
KR100772735B1 (ko) 유압타격장치
KR100569198B1 (ko) 유압타격장치
KR101149834B1 (ko) 공타방지장치가 구비된 유압브레이커
KR101575059B1 (ko) 스프링 및 압축가스식 브레이커
KR200456319Y1 (ko) 유압브레이커의 내부압상승장치
KR101515216B1 (ko) 초대형 유압 브레이커용 실린더
KR101337974B1 (ko) 배출공기량 조절이 가능한 조합해머
KR101846289B1 (ko) 브레이커
JP2003071744A (ja) 衝撃動工具
KR101472909B1 (ko) 공타 완충 구조를 갖는 유압브레이커
KR101621218B1 (ko) 유압 브레이커 장치
CN108824542A (zh) 一种新型液压破碎锤
KR101521637B1 (ko) 워터햄머를 이용한 천공장치
CN113522407B (zh) 破碎装置
KR0135760Y1 (ko) 유압식 착암기의 유압 밸브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