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2576B1 - 생체 조직 결찰용 클립 장치 - Google Patents

생체 조직 결찰용 클립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2576B1
KR100932576B1 KR1020070073939A KR20070073939A KR100932576B1 KR 100932576 B1 KR100932576 B1 KR 100932576B1 KR 1020070073939 A KR1020070073939 A KR 1020070073939A KR 20070073939 A KR20070073939 A KR 20070073939A KR 100932576 B1 KR100932576 B1 KR 1009325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ip
passage
tip
insertion portion
hold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39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10303A (ko
Inventor
모또이 사따께
고오 기무라
Original Assignee
올림푸스 메디칼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올림푸스 메디칼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올림푸스 메디칼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103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03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25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25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 A61B17/128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for applying or removing clamps or clips
    • A61B17/1285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for applying or removing clamps or clip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8Wound clamps or clips, i.e. not or only partly penetrating the tissue ; Devices for bringing together the edges of a wound
    • A61B17/083Clips, e.g. resili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 A61B17/122Clamps or clips, e.g. for the umbilical cord
    • A61B17/1227Spring cli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03Automatic limiting or abutting means, e.g. for safety
    • A61B2090/037Automatic limiting or abutting means, e.g. for safety with a frangible part, e.g. by reduced diameter

Abstract

생체 조직 결찰용 클립 장치는, 클립(12)을 포함하고 내시경의 겸자 채널에 삽입되는 삽입 부분(10)의 선단부(10a)에 착탈 가능한 클립 유닛(14), 및 삽입 부분의 통로(10c) 내를 연장하고 상기 유닛에 접속된 조작 부분(16)을 구비한다. 상기 유닛이, 삽입 부분의 선단부에 있어서의 상기 통로의 개구보다도 소직경이고 클립이 출몰되어 클립의 복수의 아암을 탄성적으로 개폐시키는 통로(18a)를 갖는 클립 보유 지지 부재(18)와, 이 보유 지지 부재에 있어서 상기 통로의 주위에 마련되고 삽입 부분의 상기 통로의 개구로부터의 상기 보유 지지 부재의 돌출에 의해 탄성적으로 개방되어 삽입 부분의 선단부와 상기 통로의 길이 방향으로 결합하는 결합부(20)와, 클립의 기단(12b) 및 상기 조작 부분에 접속되고 상기 출몰 통로 내를 이동하는 연결 부재(22)가 상기 조작 부분으로부터의 인장력에 의해 파단부(22a)에서 파단할 때에 선단부(22e)에 부하되는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하는 힘(BF)이 결합부를 더 개방시키는 것을 저지하는 구조(24)를 구비한다.
클립, 선단부, 통로, 클립 보유 지지 부재, 기단부, 파단부

Description

생체 조직 결찰용 클립 장치{CLIPPING DEVICE FOR LIGATING LIVING TISSUE}
본 발명은 생체 조직 결찰용 클립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생물의 체강 내에 삽입된 내시경의 겸자 채널에 삽입되는 삽입 부분과, 삽입 부분의 선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개폐 가능한 클립을 포함하는 클립 유닛과, 삽입 부분의 기단부에 노출된 외부 조작부와 외부 조작부로부터 삽입 부분의 선단부까지 연장하여 클립 유닛에 접속되어 있는 클립 접속부를 포함하고 있고 외부 조작부를 조작함으로써 클립 유닛의 클립을 개폐 조작 가능한 클립 조작 부분을 구비하고 있는 생체 조직 결찰용 클립 장치가, 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제2002-191609호 공보 및 일본 특허 공개 제2004-121485호 공보에 의해 알려져 있다.
이러한 종래의 생체 조직 결찰용 클립 장치를, 도5 내지 도8b를 참조하면서 이하에 설명한다.
도5 중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종래의 생체 조직 결찰용 클립 장치의 삽입 부분(10)은, 선단부(10a)와 기단부(10b)와 선단부(10a)와 기단부(10b)와의 사이를 연장한 통로(10c)를 포함하고 있고, 선단부(10a)를 선두로 생물, 예를 들어 인체의 체강 내에 삽입된 도시되어 있지 않은 내시경의 겸자 채널에 삽입된다.
상기 종래의 클립 장치에 있어서 삽입 부분(10)의 선단부(10a)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클립 유닛(14)이 포함되어 있는 클립(12)은, 상호 독립된 선단(12a)과 상호 연결된 타단(12b)을 각각이 갖는 복수의 가늘고 긴 아암(12c)을 갖고 선단(12a)을 탄성적으로 개폐 가능하다.
상기 종래의 클립 장치에 있어서 클립 유닛(14)의 클립(12)을 개폐 조작 가능한 클립 조작 부분(16)은, 삽입 부분(10)의 기단부(10b)에 노출된 외부 조작부(16a)와 외부 조작부(16a)로부터 삽입 부분(10)의 선단부(10a)까지 삽입 부분(10)의 통로(10c) 내를 연장 돌출하여 클립 유닛(14)에 접속되어 있는 클립 접속부(16b)를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외부 조작부(16a)를 조작함으로써 클립 유닛(14)의 클립(12)을 개폐 조작 가능하다.
도시되어 있지 않은 내시경에 있어서 겸자 채널이 그 내부를 연장하고 있는 삽입 부분이 가요성을 갖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클립 장치의 삽입 부분(10) 및 클립 조작 부분(16)의 각각도 가요성을 갖고 있지 않아도 좋다. 그러나, 도시되어 있지 않은 내시경의 삽입 부분이 가요성을 갖고 있는 경우에는, 상기 내시경의 상기 삽입 부분의 굽힘에 추종하기 위해 클립 장치의 삽입 부분(10) 및 클립 조작 부분(16)도 가요성을 갖고 있어야만 한다.
다음에, 도5, 도6a, 그리고 도6b를 참조하면서, 종래의 클립 유닛(14)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클립 유닛(14)은, 삽입 부분(10)의 선단부(10a)에 있어서의 상기 통로(10c)의 개구보다도 소직경인 클립 보유 지지 부재(18)를 구비하고 있다. 클립 보유 지 지 부재(18)는, 상기 통로(10c)의 길이 방향 중심선을 따라 연장하고 클립(12)이 출몰 가능하게 보유 지지된 클립 출몰 통로(18a)를 갖고 있다. 클립 출몰 통로(18a)에 대해 클립(12)이 출몰함으로써, 클립 출몰 통로(18a)의 내주면에 클립(12)의 복수의 아암(12c)의 외측면이 미끄럼 접촉하여 복수의 아암(12c)이 탄성적으로 개폐된다.
클립 유닛(14)은 또한, 클립 보유 지지 부재(18)에 있어서 클립 출몰 통로(18a)의 주위에 클립 출몰 통로(18a)의 직경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결합부(20)를 구비하고 있다. 결합부(20)는, 클립 출몰 통로(18a)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가늘고 길고, 삽입 부분(10)의 선단부(10a)에 있어서의 상기 통로(10c)의 개구로부터 돌출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선단만이 클립 보유 지지 부재(18)의 주위벽에 연결되어 있고, 결합부(20)는 상기 선단을 제외하고 클립 보유 지지 부재(18)의 주위벽으로부터 분리되어 있다. 결합부(20)는, 삽입 부분(10)의 선단부(10a)에 있어서의 상기 통로(10c)의 개구 내에 클립 보유 지지 부재(18)가 몰입되어 있는 동안에 상기 통로(10c)의 내주면에 압박되어 상기 선단을 중심으로 클립 출몰 통로(18a)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의 내측을 향해 탄성적으로 휘어지고(즉, 폐쇄되고), 상기 통로(10c)의 개구로부터의 클립 보유 지지 부재(18)의 돌출에 의해 상기 선단을 중심으로 클립 출몰 통로(18a)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의 외측을 향해 탄성적으로 튀어나온다(즉, 개방된다). 탄성적으로 개방된 결합부(20)는, 클립 출몰 통로(18a)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상기 선단과는 반대측에 위치하는 후단을 삽입 부분(10)의 선단부(10a)에 있어서의 상기 통로(10c)의 개구의 주위와 상기 통로(10c)의 길이 방향 중심선을 따른 방향으로 결합하여, 삽입 부분(10)의 선단부(10a)에 있어서의 상기 통로(10c)의 개구 내로의 클립 보유 지지 부재(18)의 몰입을 저지한다.
클립 유닛(14)은 또한, 클립 보유 지지 부재(18)의 클립 출몰 통로(18a) 내에 클립 출몰 통로(18a)의 연장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연결 부재(22)를 구비하고 있다. 연결 부재(22)는, 클립(12)의 복수의 가늘고 긴 아암(12c)의 복수의 기단(12b)과 클립 조작 부분(16)의 클립 접속부(16b)에 접속되어 있다. 연결 부재(22)는, 클립 조작 부분(16)에 의해 조작되어 클립(12)과 함께 클립 출몰 통로(18a) 내를 상기 연장 방향으로 이동한다. 연결 부재(22)는, 클립 조작 부분(16)에 의한 소정 이상의 인장력의 부하에 의해 파단하는 파단부(22a)를 갖고 있다.
도5, 도6a, 그리고 도6b 중에 도시되어 있는 종래예에서는, 클립 보유 지지 부재(18)에 있어서 클립 출몰 통로(18a)의 주위에서 클립 보유 지지 부재(18)의 주위 방향으로 180도 상호 이격된 2개의 위치에 2개의 결합부(20)가 설치되어 있다. 클립 보유 지지 부재(18)와 2개의 결합부(20)는, 예를 들어 PPA(폴리프탈아미드), PA(폴리아미드) 등의 적절한 탄성을 갖고 있는 동시에 높은 강도를 갖는 합성 수지를 사출 성형함으로써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연결 부재(22)는, 예를 들어 액정 폴리머나 나일론 등의 고강도인 수지 재료를 사출 성형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연결 부재(22)의 파단부(22a)는, 선단부(22e)와 기단부(22b) 사이에서 상기 연결 부재의 외주면의 일부로부터 상기 클립 보유 지지 부재(18)의 직경 방향으로 클립 출몰 통로(18a)의 연장 방향과 교차하도록 절입된 절입부에 의해 규정되어 있고, 상기 절입부에, 클립(12)의 복수의 가늘고 긴 아암(12c)의 기단(12b)이 걸어 고정되어 있다.
연결 부재(22)에 있어서 파단부(22a)보다도 삽입 부분(10)의 선단부(10a)에 가까운 기단부(22b)는 2갈래로 분기되어 있다. 2개의 분기단은 직경 방향으로 연장된 분할선(22c)을 사이에 끼워 상호 접근하고 있는 동시에 클립 출몰 통로(18a)의 길이 방향 중심선을 따라 접속 개구(22d)가 형성되어 있다. 연결 부재(22)의 기단부(22b)의 2갈래의 분기단의 접속 개구(22d)에는, 클립 조작 부분(16)의 클립 접속부(16b)의 말단으로부터 클립 조작 부분(16)의 길이 방향으로 돌출한 접속 돌기의 돌출단의 대략 원뿔 형상의 결합부(16c)가 압입되어 있고, 연결 부재(22)의 기단부(22b)의 2갈래의 분기단과 클립 조작 부분(16)의 클립 접속부(16b)와의 회전 가능한 접속을 달성하고 있다.
연결 부재(22)의 외주면의 일부는 평탄하게 형성되어 있고, 클립 보유 지지 부재(18)의 클립 출몰 통로(18a)의 내주면에 있어서 연결 부재(22)의 외주면의 평탄부에 대응하는 부분도 평탄하게 형성되어 있다. 클립 출몰 통로(18a)의 내주면의 평탄부는, 클립 출몰 통로(18a) 내를 연결 부재(22)가 이동하는 동안의 연결 부재(22)의 외주면의 평탄부의 이동 범위로 연장되어 있다. 결과적으로, 연결 부재(22)는 클립 출몰 통로(18a) 내에서 클립 출몰 통로(18a)의 주위 방향으로는 회전하지 않는다.
클립 출몰 통로(18a) 내에 있어서의 연결 부재(22)의 파단부(22a)의 이동 궤 적은, 클립 보유 지지 부재(18)의 2개의 결합부(20)의 한쪽의 내측면에 인접하고 있다.
다음에,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종래의 클립 장치를 사용하여 생물, 예를 들어 인체의 체강 내의 원하는 생체 조직의 원하는 영역의 결찰을 행하는 작업의 순서에 대해 설명한다.
처음으로, 상기 체강 내에 도시하지 않은 내시경의 삽입부를 삽입하고, 이 삽입부의 선단을 상기 원하는 생체 조직의 상기 원하는 영역을 향하게 한다. 그 동안에, 이 내시경의 삽입 부분의 도시하지 않은 겸자 채널에 전술한 종래의 클립 장치의 삽입 부분(10)을 선단부(10a)를 선두로 삽입한다. 이때에, 클립 보유 지지 부재(18)의 클립 출몰 통로(18a) 내에 클립(12)이 인입되어 있고, 또한 클립 보유 지지 부재(18)가 삽입 부분(10)의 통로(10c)의 선단부 영역에 인입되어 있다.
내시경의 삽입 부분의 겸자 채널의 선단 개구로부터 삽입 부분(10)의 선단부(10a)가 돌출한 후에, 클립 조작 부분(16)의 외부 조작부(16a)를 압박하여 클립 보유 지지 부재(18)를 삽입 부분(10)의 통로(10c)의 선단부 영역으로부터 돌출시키는 동시에, 클립 보유 지지 부재(18)의 클립 출몰 통로(18a) 내로부터 클립(12)을 돌출시킨다.
돌출한 클립 보유 지지 부재(18)의 2개의 결합부(20)의 각각은, 도7a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각각의 선단을 중심으로 클립 보유 지지 부재(18)의 직경 방향의 외측으로 탄성적으로 튀어나온다(즉, 개방된다). 개방된 2개의 결합부(20)의 각각의 후단은, 삽입 부분(10)의 선단부(10a)에 있어서의 통로(10c)의 개구의 주위 와 통로(10c)의 길이 방향 중심선을 따른 방향으로 결합하여, 삽입 부분(10)의 선단부(10a)에 있어서의 통로(10c)의 개구 내로의 클립 보유 지지 부재(18)의 몰입을 저지한다.
돌출한 클립(12)은, 도7a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복수의 아암(12c)을 타단(12b)을 중심으로 클립 출몰 통로(18a)의 직경 방향의 외측으로 개방한다. 그 후, 생물, 예를 들어 인체의 체강 내의 원하는 생체 조직의 원하는 영역(DR)에, 클립(12)의 복수의 아암(12c)의 개방되어 있는 선단(12a)의 사이의 간극을 위치시키도록, 전술한 도시되어 있지 않은 내시경의 삽입 부분의 선단부의 방향[즉, 삽입 부분(10)의 선단부(10a)의 방향]이나, 삽입 부분(10)의 기단부(10b)를 향하는 클립 조작 부분(16)의 외부 조작부(16a)의 압박량[즉, 클립 보유 지지 부재(18)의 클립 출몰 통로(18a) 내로부터의 클립(12)의 돌출 거리]을 조정한다.
다음에, 외부 조작부(16a)를 더욱 압박하여 클립(12)의 복수의 아암(12c)의 개방되어 있는 선단(12a)을 원하는 생체 조직의 원하는 영역(DR)에 침입시킨 후에, 삽입 부분(10)이 그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삽입 부분(10)의 기단부(10b)를 압박하면서 외부 조작부(16a)를 당긴다. 이 결과, 클립(12)의 복수의 아암(12c)이 클립 보유 지지 부재(18)의 클립 출몰 통로(18a) 내에 인입되는 동안에, 복수의 아암(12c)의 외측면이 클립 보유 지지 부재(18)의 돌출단에 있어서의 클립 출몰 통로(18a)의 개구의 주연부에 미끄럼 접촉하여 상기 개구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의 내측으로 압박되고, 그리고, 도7b 중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클립(12)의 복수의 아암(12c)의 선단(12a)에 의해 원하는 생체 조직의 원하는 영역(DR)을 끼움 지지할 수 있다.
외부 조작부(16a)를 더 당기면, 원하는 생체 조직의 원하는 영역(DR)에 생기는 인장 저항 및 클립 출몰 통로(18a)의 개구의 주연부에 대한 클립(12)의 복수의 아암(12c)의 외측면의 마찰 저항의 증대에 의해, 클립 조작 부분(16)으로부터 연결 부재(22)의 파단부(22a)의 밑둥에 부하되는 인장력이 상기 밑둥이 파단하는 소정의 값에 근접해 간다.
연결 부재(22)의 파단부(22a)의 밑둥이 파단하기 직전에는, 도7c 중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연결 부재(22)의 선단부(22e)에 상기 밑둥을 회전 중심으로 한 편의력(偏倚力)(BF)이 부하된다.
클립(12)의 복수의 아암(12c)의 개방되어 있는 선단(12a)을 도7b 중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원하는 생체 조직의 원하는 영역(DR)에 침입시켰을 때의 클립(12)의 복수의 아암(12c)의 선단(12a)의 개방된 거리가 비교적 크면, 클립(12)의 복수의 아암(12c)이 클립 보유 지지 부재(18)의 클립 출몰 통로(18a)에 충분히 인입되기 전에, 도7c 중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연결 부재(22)의 선단부(22e)에 상기 밑둥을 회전 중심으로 한 편의력(BF)이 부하된다.
이때에는, 클립 출몰 통로(18a)에 있어서 연결 부재(22)의 선단부(22e)가 클립 보유 지지 부재(18)의 2개의 결합부(20)의 한쪽의 내측면에 대면하고 있다. 따라서, 연결 부재(22)의 파단부(22a)의 밑둥이 파단할 때까지, 도7d 중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편의력(BF)이 부하되어 있는 연결 부재(22)의 선단부(22e)가 대응하고 있는 한쪽의 결합부(20)의 내측면을 클립 출몰 통로(18a)의 직경 방향의 외측으로 압출한다.
이 결과, 클립 보유 지지 부재(18)의 클립 출몰 통로(18a) 내로의 클립(12)의 복수의 아암(12c)의 그 이상의 인입은 저지되고, 클립(12)의 복수의 아암(12c)의 선단(12a)에 의한 원하는 생체 조직의 원하는 영역(DR)으로의 침입[즉, 원하는 생체 조직의 원하는 영역(DR)의 결찰]은 불충분한 상태가 된다.
도5 내지 도7d를 참조하면서 전술한 종래의 클립 장치 외에, 도8a 및 도8b 중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연결 부재(22)의 파단부(22a)의 밑둥이 파단하기 직전에 연결 부재(22)의 선단부(22e)에 부하되는 상기 밑둥을 회전 중심으로 한 편의력(BF)의 방향에 대해, 클립 보유 지지 부재(18)에 있어서 상기 밑둥에 가까운 결합부(20)가 탄성적으로 개방되는 방향(RO)을 클립 보유 지지 부재(18)의 주위 방향으로 45도 어긋나게 한 것만이 상이한 다른 종래의 클립 장치도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러한 다른 종래의 클립 장치에 있어서도, 도5 내지 도7d를 참조하면서 전술한 종래의 클립 장치에 있어서 발생하는 전술한 문제가 발생하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하에서 이루어지고, 본 발명의 목적은, 클립 유닛의 클립에 의해 원하는 생체 조직을 용이하고 항상 확실하게 결찰 가능한 생체 조직 결찰용 클립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생체 조직 결찰용 클립 장치는, 생물의 체강 내에 삽입된 내시경의 겸자 채널에 삽입되고, 상기 겸자 채널에 따른 통로(10c)를 갖는 삽입 부분(10)과, 서로 연결된 기단(12b)을 중심으로 탄성적으로 개폐 가능한 복수의 가늘고 긴 아암(12c)을 갖는 클립(12)을 포함하고, 삽입 부분(10)의 상기 통로(10c)에 삽입 부분의 선단부(10a)의 개구를 통해 출몰 가능한 클립 유닛(14)과, 그리고, 삽입 부분(10)의 통로(10c) 내를 연장 돌출하고, 삽입 부분의 기단부(10b)로부터 노출된 외부 조작부(16a)와 클립 유닛(14)에 접속되어 있는 클립 접속부(16b)를 포함하고, 외부 조작부에 의해 클립(12)의 상기 출몰을 조작하는 클립 조작 부분(16)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클립 유닛(14)은, 삽입 부분(10)의 상기 통로(10c) 내에 상기 선단부(10a)의 개구를 통해 출몰 가능하게 수용되고, 클립(12)의 복수의 아암(12c)을 탄성적으로 개폐시키도록 클립이 출몰 가능하게 보유 지지된 클립 출몰 통로(18a)를 갖고 있는 클립 보유 지지 부재(18)와, 클립 보유 지지 부재(18)의 주위벽에 형성된 관통 홈에 의해 일단부를 제외하고 상부 주위벽으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일단부를 중심으로 클립 출몰 통로의 반경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개폐 가능하고, 삽입 부분(10)의 상기 통로(10c)에 대한 클립 보유 지지 부재의 출몰에 의해 탄성적으로 개폐하고, 개방되어 있는 동안에 삽입 부분(10)의 선단부(10a)의 먼 위치의 단부면과 후단이 결합하는 결합부(20)와, 클립 보유 지지 부재(18)의 클립 출몰 통로(18a) 내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클립(12)의 기단(12b)이 접속된 선단부(22e)와 클립 조작 부분(16)의 클립 접속부(16a)가 접속된 기단부(22b)와의 사이에 파단부(22a)가 배치되고, 파단부가 클립 출몰 통로의 반경 방향에 있어서 선단부(22e)의 클립 기단 접속 위치보다도 외측에 위치하고, 클립(12)과 클립 조작 부분(16)에 소정 이상의 인장력이 부하됨으로써 파단부(22a)를 중심으로 선단부(22e)가 클립 출몰 통로(18a)의 반경 방향의 외측을 향하는 편의력(BF)이 발생하는, 연결 부재(22)와, 그리고, 상기 편의력(BF)이 부하된 상기 연결 부재의 선단부(22e)가 클립 출몰 통로(18a)의 반경 방향의 외측을 향해 상기 결합부(20)를 압박하는 것에 의해 상기 결합부(20)가 추가로 개방되는 것을 저지하는, 결합부 과도 개방 저지 구조(24)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결합부 과도 개방 저지 구조(24)는, 결합부(20)의 후단으로부터 돌출되고, 결합부가 개방되어 있는 동안에 삽입 부분(10)의 선단부(10a)에 있어서의 통로(10c)의 개구에 인접한 내주면에 접촉하여 결합부의 개방을 규제하는 개방 규제부(26)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생체 조직 결찰용 클립 장치는, 생물의 체강 내에 삽입된 내시경의 겸자 채널에 삽입되고, 상기 겸자 채널에 따른 통로(10c)를 갖는 삽입 부분(10)과, 서로 연결된 기단(12b)을 중심으로 탄성적으로 개폐 가능한 복수의 가늘고 긴 아암(12c)을 갖는 클립(12)을 포함하고, 삽입 부분(10)의 상기 통로(10c)에 삽입 부분의 선단부(10a)의 개구를 통해 출몰 가능한 클립 유닛(14)과, 그리고, 삽입 부분(10)의 통로(10c) 내를 연장 돌출하고, 삽입 부분의 기단부(10b)로부터 노출된 외부 조작부(16a)와 클립 유닛(14)에 접속되어 있는 클립 접속부(16b)를 포함하고, 외부 조작부에 의해 클립(12)의 상기 출몰을 조작하는 클립 조작 부분(16)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클립 유닛(14)은, 삽입 부분(10)의 상기 통로(10c) 내에 상기 선단부(10a)의 개구를 통해 출몰 가능하게 수용되고, 클립(12)의 복수의 아암(12c)을 탄성적으로 개폐시키도록 클립이 출몰 가능하게 보유 지지된 클립 출몰 통로(18a)를 갖고 있는 클립 보유 지지 부재(18)와, 클립 보유 지지 부재(18)의 주위벽에 형성된 관통 홈에 의해 일단부를 제외하고 상부 주위벽으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일단부를 중심으로 클립 출몰 통로의 반경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개폐 가능하고, 삽입 부분(10)의 상기 통로(10c)에 대한 클립 보유 지지 부재의 출몰에 의해 탄성적으로 개폐하고, 개방되어 있는 동안에 삽입 부분(10)의 선단부(10a)의 먼 위치의 단부면과 후단이 결합하는 결합부(20)와, 클립 보유 지지 부재(18)의 클립 출몰 통로(18a) 내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클립(12)의 기단(12b)이 접속된 선단부(22e)와 클립 조작 부분(16)의 클립 접속부(16a)가 접속된 기단부(22b)와의 사이에 파단부(22a)가 배치되고, 파단부가 클립 출몰 통로의 반경 방향에 있어서 선단부(22e)의 클립 기단 접속 위치보다도 외측에 위치하고, 클립(12)과 클립 조작 부분(16)에 소정 이상의 인장력이 부하됨으로써 파단부(22a)를 중심으로 선단부(22e)가 클립 출몰 통로(18a)의 반경 방향의 외측을 향하는 편의력(BF)이 발생하는, 연결 부재(22)와, 그리고, 상기 편의력(BF)이 부하된 상기 연결 부재의 선단부(22e)가 클립 출몰 통로(18a)의 반경 방향의 외측을 향해 상기 결합부(20)를 압박하는 것에 의해 상기 결합부(20)가 추가로 개방되는 것을 저지하는, 결합부 과도 개방 저지 구조(24)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결합부 과도 개방 저지 구조(24)는, 클립 보유 지지 부재(18)의 클립 출몰 통로(18a)에 있어서 클립(12)이 출몰하는 개구로부터 결합부(20)의 상기 전단까지의 거리(L1)를, 클립의 복수의 아암(12c)의 선단(12a)으로부터 연결 부재(22)의 상기 선단부(22e)의 선단까지의 거리(L2)보다도 길게 설정하고 있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생체 조직 결찰용 클립 장치는, 생물의 체강 내에 삽입된 내시경의 겸자 채널에 삽입되고, 상기 겸자 채널에 따른 통로(10c)를 갖는 삽입 부분(10)과, 서로 연결된 기단(12b)을 중심으로 탄성적으로 개폐 가능한 복수의 가늘고 긴 아암(12c)을 갖는 클립(12)을 포함하고, 삽입 부분(10)의 상기 통로(10c)에 삽입 부분의 선단부(10a)의 개구를 통해 출몰 가능한 클립 유닛(14)과, 그리고, 삽입 부분(10)의 통로(10c) 내를 연장 돌출하고, 삽입 부분의 기단부(10b)로부터 노출된 외부 조작부(16a)와 클립 유닛(14)에 접속되어 있는 클립 접속부(16b)를 포함하고, 외부 조작부에 의해 클립(12)의 상기 출몰을 조작하는 클립 조작 부분(16)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클립 유닛(14)은, 삽입 부분(10)의 상기 통로(10c) 내에 상기 선단부(10a)의 개구를 통해 출몰 가능하게 수용되고, 클립(12)의 복수의 아암(12c)을 탄성적으로 개폐시키도록 클립이 출몰 가능하게 보유 지지된 클립 출몰 통로(18a)를 갖고 있는 클립 보유 지지 부재(18)와, 클립 보유 지지 부재(18)의 주위벽에 형성된 관통 홈에 의해 일단부를 제외하고 상부 주위벽으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일단부를 중심으로 클립 출몰 통로의 반경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개폐 가능하고, 삽입 부분(10)의 상기 통로(10c)에 대한 클립 보유 지지 부재의 출몰에 의해 탄성적으로 개폐하고, 개방되어 있는 동안에 삽입 부분(10)의 선단부(10a)의 먼 위치의 단부면과 후단이 결합하는 결합부(20)와, 클립 보유 지지 부재(18)의 클립 출몰 통로(18a) 내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클립(12)의 기단(12b)이 접속된 선단부(22e)와 클립 조작 부분(16)의 클립 접속부(16a)가 접속된 기단부(22b)와의 사이에 파단부(22a)가 배치되고, 파단부가 클립 출몰 통로의 반경 방향에 있어서 선단부(22e)의 클립 기단 접속 위치보다도 외측에 위치하고, 클립(12)과 클립 조작 부분(16)에 소정 이상의 인장력이 부하됨으로써 파단부(22a)를 중심으로 선단부(22e)가 클립 출몰 통로(18a)의 반경 방향의 외측을 향하는 편의력(BF)이 발생하는, 연결 부재(22)와, 그리고, 상기 편의력(BF)이 부하된 상기 연결 부재의 선단부(22e)가 클립 출몰 통로(18a)의 반경 방향의 외측을 향해 상기 결합부(20)를 압박하는 것에 의해 상기 결합부(20)가 추가로 개방되는 것을 저지하는, 결합부 과도 개방 저지 구조(24)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결합부 과도 개방 저지 구조(24)는, 클립 보유 지지 부재(18)의 외주면에 있어서의 결합부(20)의 위치와 클립 출몰 통로(18a) 내에서 상기 편의력(BF)이 작용하는 위치가, 상기 클립 출몰 통로(18a)의 주위 방향에 있어서 서로 45°이상 이격되어 있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클립 유닛의 클립에 의해 원하는 생체 조직을 용이하고 항상 확실하게 결찰 가능한 생체 조직 결찰용 클립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제1 실시 형태]
다음에,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생체 조직 결찰용 클립 장치의 구성에 대해 도1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생체 조직 결찰용 클립 장치의 구성 부재의 대부분은, 도5, 도6a, 그리고 도6b를 참조하면서 전술한 종래의 생체 조직 결찰용 클립 장치의 구성 부재의 대부분과 동일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생체 조직 결찰용 클립 장치에 있어서 전술한 종래의 생체 조직 결찰용 클립 장치의 구성 부재와 동일한 구성 부재에는, 전술한 종래의 생체 조직 결찰용 클립 장치에 있어서 대응하는 구성 부재에 부여되어 있었던 참조 부호와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클립 장치의 구성이 전술한 종래의 클립 장치의 구성과 다른 것은, 연결 부재(22)의 파단부(22a)의 파단에 수반하여 연결 부재(22)에 있어서 파단부(22a)보다도 클립(12)에 가까운 측의 부분[즉, 선단부(22e)]에 부하되는, 클립 출몰 통로(18a)의 직경 방향의 외측을 향하는 편의력(BF)(도7c 참조)에 의해 결합부(20)가 추가로 개방되는 것을 저지하는 결합부 과도 개방 저지 구조(24)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다.
상세하게는,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결합부 과도 개방 저지 구조(24)는, 결합부(20)에 마련되고, 결합부(20)가 탄성적으로 개방되어 있는 동안에 삽입 부분(10)의 선단부(10a)에 있어서의 통로(10c)의 개구에 인접한 부분에 대면하고, 결합부(20)의 개방을 규제하는 개방 규제부(26)를 포함한다. 개방 규제부(26)의 대 면 영역(26a)은, 삽입 부분(10)의 통로(10c)의 연장 방향을 따라 상기 개구로부터 이격됨에 따라서 통로(10c)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의 내측을 향하도록 경사진 경사면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개방 규제부(26)는, 결합부(20)와 동일한 재료, 즉 클립 보유 지지 부재(18)와 동일한 재료에 의해 클립 보유 지지 부재(18) 및 결합부(20)와 동시에 사출 성형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삽입 부분(10)의 통로(10c)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의 2개의 결합부(20)의 2개의 개방 규제부(26)의 대면 영역(26a) 사이의 최대 거리(D1)는, 삽입 부분(10)의 통로(10c)의 직경(D2)과 동일하거나, 혹은 직경(D2)보다도 약간 작게 설정되어 있다.
다음에,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클립 장치를 사용하여 생물, 예를 들어 인체의 체강 내의 원하는 생체 조직의 원하는 영역의 결찰을 행하는 작업의 순서에 대해 설명한다.
처음으로, 상기 체강 내에 도시하지 않은 내시경의 삽입부를 삽입하고, 이 삽입부의 선단을 상기 원하는 생체 조직의 상기 원하는 영역을 향하게 한다. 그 동안에, 이 내시경의 삽입 부분의 도시하지 않은 겸자 채널에 클립 장치의 삽입 부분(10)(도5 참조)을 선단부(10a)를 선두로 삽입한다. 이때에, 클립 보유 지지 부재(18)의 클립 출몰 통로(18a) 내에 클립(12)이 인입되어 있고, 또한 클립 보유 지지 부재(18)가 삽입 부분(10)의 통로(10c)의 선단부 영역에 인입되어 있다.
내시경의 삽입 부분의 겸자 채널의 선단 개구로부터 삽입 부분(10)의 선단부(10a)가 돌출한 후에, 클립 조작 부분(16)(도5 참조)의 외부 조작부(16a)를 압박 하여 클립 보유 지지 부재(18)를 삽입 부분(10)의 통로(10c)의 선단부 영역으로부터 돌출시키는 동시에, 클립 보유 지지 부재(18)의 클립 출몰 통로(18a) 내로부터 클립(12)을 돌출시킨다.
돌출한 클립 보유 지지 부재(18)의 2개의 결합부(20)의 각각은, 도2a 중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각각의 선단을 중심으로 클립 보유 지지 부재(18)의 직경 방향의 외측으로 탄성적으로 튀어나온다(즉, 개방된다). 개방된 2개의 결합부(20)의 각각의 후단은, 삽입 부분(10)의 선단부(10a)에 있어서의 통로(10c)의 개구의 주위와 통로(10c)의 길이 방향 중심선을 따른 방향으로 결합하여, 삽입 부분(10)의 선단부(10a)에 있어서의 통로(10c)의 개구 내로의 클립 보유 지지 부재(18)의 몰입을 저지한다. 동시에, 결합부(20)와 일체의 개방 규제부(26)의 경사진 대면 영역(26a)이, 삽입 부분(10)의 선단부(10a)에 있어서의 통로(10c)의 개구에 인접한 부분에 대면한다.
삽입 부분(10)의 통로(10c)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의 2개의 결합부(20)의 2개의 개방 규제부(26)의 대면 영역(26a) 사이의 최대 거리(D1)는, 삽입 부분(10)의 통로(10c)의 직경(D2)과 동일하거나, 혹은 직경(D2)보다도 약간 작게 설정되어 있다. 또한, 개방 규제부(26)의 대면 영역(26a)은, 삽입 부분(10)의 통로(10c)의 연장 방향을 따라 상기 개구로부터 이격됨에 따라서 통로(10c)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의 내측을 향하도록 경사진 경사면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2개의 결합부(20)의 2개의 개방 규제부(26)는, 개방된 2개의 결합부(20)의 각각의 후단이, 삽입 부분(10)의 선단부(10a)에 있어서의 통로(10c)의 개 구의 주위와 통로(10c)의 길이 방향 중심선을 따른 방향으로 결합하여, 삽입 부분(10)의 선단부(10a)에 있어서의 통로(10c)의 개구 내로의 클립 보유 지지 부재(18)의 몰입을 저지하는 것을 방해하지 않는다. 이것은, 삽입 부분(10)의 선단부(10a)의 선단면에 대한 클립 보유 지지 부재(18)의 정확한 위치 결정이, 2개의 결합부(20)의 2개의 개방 규제부(26)에 의해 방해되지 않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돌출한 클립(12)은, 도2a 중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복수의 아암(12c)을 타단(12b)을 중심으로 클립 출몰 통로(18a)의 직경 방향의 외측으로 개방한다. 그 후, 생물, 예를 들어 인체의 체강 내의 원하는 생체 조직의 원하는 영역(DR)에, 클립(12)의 복수의 아암(12c)의 개방되어 있는 선단(12a)의 사이의 간극을 위치시키도록, 전술한 도시되어 있지 않은 내시경의 삽입 부분의 선단부의 방향[즉, 삽입 부분(10)의 선단부(10a)의 방향]이나, 삽입 부분(10)의 기단부(10b)를 향하는 클립 조작 부분(16)의 외부 조작부(16a)의 압박량[즉, 클립 보유 지지 부재(18)의 클립 출몰 통로(18a) 내로부터의 클립(12)의 돌출 거리]을 조정한다.
다음에, 외부 조작부(16a)를 더욱 압박하여 클립(12)의 복수의 아암(12c)의 개방되어 있는 선단(12a)을 원하는 생체 조직의 원하는 영역(DR)에 침입시킨 후에, 삽입 부분(10)이 그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삽입 부분(10)의 기단부(10b)를 압박하면서 외부 조작부(16a)를 당긴다. 이 결과, 클립(12)의 복수의 아암(12c)이 클립 보유 지지 부재(18)의 클립 출몰 통로(18a) 내에 인입되는 동안에, 복수의 아암(12c)의 외측면이 클립 보유 지지 부재(18)의 돌출단에 있어서의 클립 출몰 통로(18a)의 개구의 주연부에 미끄럼 접촉하여 상기 개구의 직경 방향에 있어 서의 내측으로 압박되고, 그리고, 도2b 중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클립(12)의 복수의 아암(12c)의 선단(12a)에 의해 원하는 생체 조직의 원하는 영역(DR)을 끼움 지지할 수 있다.
외부 조작부(16a)를 더 당기면, 원하는 생체 조직의 원하는 영역(DR)에 생기는 인장 저항 및 클립 출몰 통로(18a)의 개구의 주연부에 대한 클립(12)의 복수의 아암(12c)의 외측면의 마찰 저항의 증대에 의해, 클립 조작 부분(16)으로부터 연결 부재(22)의 파단부(22a)의 밑둥에 부하되는 인장력이 상기 밑둥이 파단하는 소정의 값에 근접해 간다.
연결 부재(22)의 파단부(22a)의 밑둥이 파단하기 직전에는, 도2c 중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연결 부재(22)의 선단부(22e)에 상기 밑둥을 회전 중심으로 한 편의력(BF)이 부하된다.
클립(12)의 복수의 아암(12c)의 개방되어 있는 선단(12a)을 도2b 중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원하는 생체 조직의 원하는 영역(DR)에 침입시켰을 때의 클립(12)의 복수의 아암(12c)의 선단(12a)의 개방된 거리가 비교적 크면, 클립(12)의 복수의 아암(12c)이 클립 보유 지지 부재(18)의 클립 출몰 통로(18a)에 충분히 인입되기 전에, 도2c 중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연결 부재(22)의 선단부(22e)에 상기 밑둥을 회전 중심으로 한 편의력(BF)이 부하된다.
이때에는, 클립 출몰 통로(18a)에 있어서 연결 부재(22)의 선단부(22e)가 클립 보유 지지 부재(18)의 2개의 결합부(20)의 한쪽의 내측면에 대면하고 있다. 따라서, 연결 부재(22)의 파단부(22a)의 밑둥이 파단할 때까지, 상기 편의력(BF)이 부하되어 있는 연결 부재(22)의 선단부(22e)가 대응하고 있는 한쪽의 결합부(20)의 내측면을 클립 출몰 통로(18a)의 직경 방향의 외측으로 압박한다.
그러나, 상기 한쪽의 결합부(20)는, 일체의 개방 규제부(26)의 경사진 대면 영역(26a)이 삽입 부분(10)의 선단부(10a)에 있어서의 통로(10c)의 개구에 인접한 부분에 접촉함으로써 연결 부재(22)의 선단부(22e)로부터 부하되는 상기 편의력(BF)에 대항하고, 그 이상 개방되지 않는다.
이 결과, 연결 부재(22)의 파단부(22a)의 밑둥이 완전히 파단될 때까지는, 클립 보유 지지 부재(18)의 클립 출몰 통로(18a) 내로의 클립(12)의 복수의 아암(12c)의 인입은 저지되지 않는다. 연결 부재(22)의 파단부(22a)의 밑둥이 완전히 파단되었을 때에는, 도2d 중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클립 보유 지지 부재(18)의 클립 출몰 통로(18a) 내로 클립(12)의 복수의 아암(12c)이 충분히 인입되어 있는 것이 된다.
따라서, 연결 부재(22)의 파단부(22a)의 밑둥이 완전히 파단된 후에는, 클립 보유 지지 부재(18)의 클립 출몰 통로(18a) 내로 복수의 아암(12c)이 충분히 인입되어 있는 것에 의해 복수의 아암(12c)의 선단(12a)에 의해 원하는 생체 조직의 원하는 영역(DR)을 견고하게 파지한(즉, 결찰한) 클립(12)이, 도2d 중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클립 보유 지지 부재(18) 및 연결 부재(22)의 선단부(22e)와 함께 체강 내에 남겨진다.
[제2 실시 형태]
다음에,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생체 조직 결찰용 클립 장치의 구 성에 대해 도3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생체 조직 결찰용 클립 장치의 구성 부재의 대부분은, 도5, 도6a, 그리고 도6b를 참조하면서 전술한 종래의 생체 조직 결찰용 클립 장치의 구성 부재의 대부분과 동일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생체 조직 결찰용 클립 장치에 있어서 전술한 종래의 생체 조직 결찰용 클립 장치의 구성 부재와 동일한 구성 부재에는, 전술한 종래의 생체 조직 결찰용 클립 장치에 있어서 대응하는 구성 부재에 부여되어 있었던 참조 부호와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클립 장치의 구성이 전술한 종래의 클립 장치의 구성과 다른 것은, 연결 부재(22)의 파단부(22a)의 파단에 수반하여 연결 부재(22)에 있어서 파단부(22a)보다도 클립(12)에 가까운 측의 부분[즉, 선단부(22e)]에 부하되는, 클립 출몰 통로(18a)의 직경 방향의 외측을 향하는 편의력(BF)(도7c 참조)에 의해 결합부(20)가 추가로 개방되는 것을 저지하는 결합부 과도 개방 저지 구조(24)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다.
상세하게는,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결합부 과도 개방 저지 구조(24)는, 클립 보유 지지 부재(18)의 클립 출몰 통로(18a)에 있어서 클립(12)이 출몰하는 개구로부터 결합부(20)에 있어서의 상기 개구측의 단(端)[즉, 결합부(20)의 선단]까지의 거리(L1)를, 클립(12)의 복수의 아암(12c)의 선단(12a)으로부터 연결 부재(22)에 있어서 파단부(22a)보다도 클립(12)의 선단측에 위치하는 선단부(22e)의 선단까지의 거리(L2)보다도 길게 설정하고 있는 것을 포함하고 있다.
원하는 생체 조직의 원하는 영역(RD)의 끼움 지지를 위해 클립 조작 부재(16)(도5 참조)에 의해 압박된 클립(12)은, 클립 보유 지지 부재(18)의 클립 출몰 통로(18a)의 선단 개구로부터 클립(12)의 복수의 아암(12c)을 돌출시키고, 도2a 중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원하는 생체 조직의 원하는 영역(DR)의 주위에 복수의 아암(12c)의 선단(12a)이 압박된다.
그 후에, 클립 조작 부재(16)(도5 참조)에 의해 당겨진 클립(12)은, 클립(12)의 복수의 아암(12c)이 클립 보유 지지 부재(18)의 클립 출몰 통로(18a) 내에 인입되는 동안에, 복수의 아암(12c)의 외측면이 클립 보유 지지 부재(18)의 돌출단에 있어서의 클립 출몰 통로(18a)의 개구의 주연부에 미끄럼 접촉하여 상기 개구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의 내측으로 압박되고, 그리고, 도2b 중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클립(12)의 복수의 아암(12c)의 선단(12a)에 의해 원하는 생체 조직의 원하는 영역(DR)을 끼움 지지할 수 있다.
외부 조작부(16a)를 더 당기면, 원하는 생체 조직의 원하는 영역(DR)에 생기는 인장 저항 및 클립 출몰 통로(18a)의 개구의 주연부에 대한 클립(12)의 복수의 아암(12c)의 외측면의 마찰 저항의 증대에 의해, 클립 조작 부분(16)으로부터 연결 부재(22)의 파단부(22a)의 밑둥에 부하되는 인장력이 상기 밑둥이 파단하는 소정의 값에 근접해 간다.
연결 부재(22)의 파단부(22a)의 밑둥이 파단하기 직전에는, 도2c 중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연결 부재(22)의 선단부(22e)에 상기 밑둥을 회전 중심으로 한 편의력(BF)이 부하된다.
그러나 이때에는, 클립 출몰 통로(18a)에 있어서 연결 부재(22)의 선단부(22e)의 선단이 클립 보유 지지 부재(18)의 2개의 결합부(20)의 한쪽의 선단에 대응하는 위치까지 도달하고 있지 않다.
원하는 생체 조직의 원하는 영역(DR)을 끼움 지지한 클립(12)의 복수의 아암(12c)의 선단(12a)이 클립 보유 지지 부재(18)의 돌출단에 있어서의 클립 출몰 통로(18a)의 개구에 도달하기 이전에[즉, 연결 부재(22)에 있어서 파단부(22a)보다도 클립(12)의 선단측에 위치하는 선단부(22e)의 선단이 클립 보유 지지 부재(18)의 2개의 결합부(20)의 각각의 선단에 도달하기 이전에], 연결 부재(22)의 파단부(22a)의 밑둥이 완전히 파단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클립 장치의 결합부 과도 개방 저지 구조(24)에 따르면, 클립 보유 지지 부재(18)의 클립 출몰 통로(18a)에 있어서 클립(12)이 출몰하는 개구로부터 결합부(20)에 있어서의 상기 개구측의 단[즉, 결합부(20)의 선단]까지의 거리(L1)가, 클립(12)의 복수의 아암(12c)의 선단(12a)으로부터 연결 부재(22)에 있어서 파단부(22a)보다도 클립(12)의 선단측에 위치하는 선단부(22e)의 선단까지의 거리(L2)보다도 길게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연결 부재(22)의 파단부(22a)의 밑둥이 파단할 때까지, 상기 편의력(BF)이 부하되어 있는 연결 부재(22)의 선단부(22e)의 선단은, 2개의 결합부(20)의 각각의 선단보다도 클립 보유 지지 부재(18)의 돌출단측에 위치하고 있는 클립 출몰 통로(18a)의 내주면의 영역에 미끄럼 접촉한다. 이것은, 연결 부재(22)의 파단부(22a)의 밑둥이 파단할 때까지, 상기 편의력(BF)이 부하되어 있는 연결 부 재(22)의 선단부(22e)의 선단은, 대응하는 한쪽의 결합부(20)의 내측면을 클립 출몰 통로(18a)의 직경 방향의 외측으로 압박하는 일이 전혀 없는 것을 의미한다.
이 결과, 연결 부재(22)의 파단부(22a)의 밑둥이 완전히 파단될 때까지는, 클립 보유 지지 부재(18)의 클립 출몰 통로(18a) 내로의 클립(12)의 복수의 아암(12c)의 인입은 저지되지 않는다. 연결 부재(22)의 파단부(22a)의 밑둥이 완전히 파단되었을 때에는, 도2d 중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클립 보유 지지 부재(18)의 클립 출몰 통로(18a) 내로 클립(12)의 복수의 아암(12c)이 충분히 인입되어 있는 것이 된다.
따라서, 연결 부재(22)의 파단부(22a)의 밑둥이 완전히 파단된 후에는, 클립 보유 지지 부재(18)의 클립 출몰 통로(18a) 내로 복수의 아암(12c)이 충분히 인입되어 있는 것에 의해 복수의 아암(12c)의 선단(12a)에 의해 원하는 생체 조직의 원하는 영역(DR)을 견고하게 파지한(즉, 결찰한) 클립(12)이, 도2d 중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클립 보유 지지 부재(18) 및 연결 부재(22)의 선단부(22e)와 함께 체강 내에 남겨진다.
[제3 실시 형태]
다음에,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생체 조직 결찰용 클립 장치의 구성에 대해 도4a 및 도4b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생체 조직 결찰용 클립 장치의 구성 부재의 대부분은, 도5, 도6a, 그리고 도6b를 참조하면서 전술한 종래의 생체 조직 결찰용 클립 장치의 구성 부재의 대부분과 동일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생체 조직 결찰용 클립 장치에 있어서 전술한 종래의 생체 조직 결찰용 클립 장치의 구성 부재와 동일한 구성 부재에는, 전술한 종래의 생체 조직 결찰용 클립 장치에 있어서 대응하는 구성 부재에 부여되어 있었던 참조 부호와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클립 장치의 구성이 전술한 종래의 클립 장치의 구성과 다른 것은, 연결 부재(22)의 파단부(22a)의 파단에 수반하여 연결 부재(22)에 있어서 파단부(22a)보다도 클립(12)에 가까운 측의 부분[즉, 선단부(22e)]에 부하되는, 클립 출몰 통로(18a)의 직경 방향의 외측을 향하는 편의력(BF)(도7c 참조)에 의해 결합부(20)가 추가로 개방되는 것을 저지하는 결합부 과도 개방 저지 구조(24)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다.
상세하게는,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결합부 과도 개방 저지 구조(24)는, 도4b 중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결합부(20)의 개폐 방향(RO)과 상기 편의력(BF)이 향하는 방향이, 클립 출몰 통로(18a)의 연장 방향의 주위의 주위 방향 위치에 있어서 상호 이격되어 상호 독립되어 있는 것을 포함한다. 상세하게는, 본 실시 형태에서는, 결합부(20)의 개폐 방향(RO)과 상기 편의력(BF)이 향하는 방향이, 클립 출몰 통로(18a)의 연장 방향의 주위의 주위 방향 위치에 있어서 90°상호 이격되어 상호 독립되어 있다.
원하는 생체 조직의 원하는 영역(RD)의 끼움 지지를 위해 클립 조작 부재(16)(도5 참조)에 의해 압박된 클립(12)은, 클립 보유 지지 부재(18)의 클립 출몰 통로(18a)의 선단 개구로부터 클립(12)의 복수의 아암(12c)을 돌출시키고, 도2a 중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원하는 생체 조직의 원하는 영역(DR)의 주위에 복수의 아암(12c)의 선단(12a)이 압박된다.
그 후에, 클립 조작 부재(16)(도5 참조)에 의해 당겨진 클립(12)은, 클립(12)의 복수의 아암(12c)이 클립 보유 지지 부재(18)의 클립 출몰 통로(18a) 내에 인입되는 동안에, 복수의 아암(12c)의 외측면이 클립 보유 지지 부재(18)의 돌출단에 있어서의 클립 출몰 통로(18a)의 개구의 주연부에 미끄럼 접촉하여 상기 개구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의 내측으로 압박되고, 그리고, 도2b 중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클립(12)의 복수의 아암(12c)의 선단(12a)에 의해 원하는 생체 조직의 원하는 영역(DR)을 끼움 지지할 수 있다.
외부 조작부(16a)를 더 당기면, 원하는 생체 조직의 원하는 영역(DR)에 생기는 인장 저항 및 클립 출몰 통로(18a)의 개구의 주연부에 대한 클립(12)의 복수의 아암(12c)의 외측면의 마찰 저항의 증대에 의해, 클립 조작 부분(16)으로부터 연결 부재(22)의 파단부(22a)의 밑둥에 부하되는 인장력이 상기 밑둥이 파단하는 소정의 값에 근접해 간다.
연결 부재(22)의 파단부(22a)의 밑둥이 파단하기 직전에는, 도4a 중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연결 부재(22)의 선단부(22e)에 상기 밑둥을 회전 중심으로 한 편의력(BF)이 부하된다.
그러나, 본 실시 형태에서는, 결합부(20)의 개폐 방향(RO)과 상기 편의력(BF)이 향하는 방향이, 클립 출몰 통로(18a)의 연장 방향의 주위의 주위 방향 위치에 있어서 상호 이격되어 상호 독립되어 있다. 따라서, 이때에는, 클립 출몰 통 로(18a)에 있어서 연결 부재(22)의 선단부(22e)가 클립 보유 지지 부재(18)의 2개의 결합부(20)의 어느 한쪽의 내측면에도 대면하고 있지 않다.
이것은, 연결 부재(22)의 파단부(22a)의 밑둥이 파단할 때까지, 상기 편의력(BF)이 부하되어 있는 연결 부재(22)의 선단부(22e)가, 2개의 결합부(20)의 어느 한쪽의 내측면도 클립 출몰 통로(18a)의 직경 방향의 외측으로 압박하는 일은 없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이 결과, 연결 부재(22)의 파단부(22a)의 밑둥이 완전히 파단될 때까지는, 클립 보유 지지 부재(18)의 클립 출몰 통로(18a) 내로의 클립(12)의 복수의 아암(12c)의 인입은 저지되지 않는다. 연결 부재(22)의 파단부(22a)의 밑둥이 완전히 파단되었을 때에는, 도2d 중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클립 보유 지지 부재(18)의 클립 출몰 통로(18a) 내로 클립(12)의 복수의 아암(12c)이 충분히 인입되어 있는 것이 된다.
따라서, 연결 부재(22)의 파단부(22a)의 밑둥이 완전히 파단된 후에는, 클립 보유 지지 부재(18)의 클립 출몰 통로(18a) 내로 복수의 아암(12c)이 충분히 인입되어 있는 것에 의해 복수의 아암(12c)의 선단(12a)에 의해 원하는 생체 조직의 원하는 영역(DR)을 견고하게 파지한(즉, 결찰한) 클립(12)이, 도2d 중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클립 보유 지지 부재(18) 및 연결 부재(22)의 선단부(22e)와 함께 체강 내에 남겨진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결합부(20)의 개폐 방향(RO)과 상기 편의력(BF)이 향하는 방향을, 클립 출몰 통로(18a)의 연장 방향의 주위의 주위 방향 위치에 있어 서 상호 이격되어 상호 독립시키기 위해, 결합부(20)의 개폐 방향(RO)과 상기 편의력(BF)이 향하는 방향이 클립 출몰 통로(18a)의 연장 방향의 주위의 주위 방향 위치에 있어서 90°상호 이격되어 있다. 그러나, 결합부(20)의 개폐 방향(RO)과 상기 편의력(BF)이 향하는 방향을, 클립 출몰 통로(18a)의 연장 방향의 주위의 주위 방향 위치에 있어서 상호 이격되어 상호 독립시키기 위해서는, 결합부(20)의 개폐 방향(RO)과 상기 편의력(BF)이 향하는 방향이 클립 출몰 통로(18a)의 연장 방향의 주위의 주위 방향 위치에 있어서 45°이상 상호 이격되어 있으면 좋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생체 조직 결찰용 클립 장치의 주요부인 클립 유닛의 확대된 종단면도이고,
도2a, 도2b, 도2c, 그리고 도2d는, 도1의 클립 장치의 클립 유닛에 의해 생물의 체강 내의 원하는 생체 조직의 원하는 영역을 결찰하는 작업의 복수의 단계를 순차 도시하는 종단면도이고,
도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생체 조직 결찰용 클립 장치의 주요부인 클립 유닛의 확대된 종단면도이고,
도4a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생체 조직 결찰용 클립 장치의 주요부인 클립 유닛의 확대된 종단면도이고,
도4b는 도4a 중의 Ⅳ B-Ⅳ B선을 따른 횡단면도이고,
도5는 종래의 생체 조직 결찰용 클립 장치의 전체의 사시도이고,
도6a는 도5 중에 도시되어 있는 종래의 생체 조직 결찰용 클립 장치의 주요부인 클립 유닛의 확대된 종단면도이고,
도6b는 도6a 중의 Ⅵ B-Ⅵ B선을 따른 횡단면도이고,
도7a, 도7b, 도7c, 그리고 도7d는, 도6a 및 도6b 중에 도시되어 있는 클립 장치의 클립 유닛에 의해 생물의 체강 내의 원하는 생체 조직의 원하는 영역을 결찰하는 작업의 복수의 단계를 순차 도시하는 종단면도이고,
도8a는 다른 종래의 생체 조직 결찰용 클립 장치의 주요부인 클립 유닛의 절반 단면도이고,
도8b는 도8a 중의 ⅧB-ⅧB선을 따른 횡단면도.

Claims (8)

  1. 생체 조직 결찰용 클립 장치이며,
    생물의 체강 내에 삽입된 내시경의 겸자 채널에 삽입되고, 상기 겸자 채널에 따른 통로(10c)를 갖는 삽입 부분(10)과,
    서로 연결된 기단(12b)을 중심으로 탄성적으로 개폐 가능한 복수의 가늘고 긴 아암(12c)을 갖는 클립(12)을 포함하고, 삽입 부분(10)의 상기 통로(10c)에 삽입 부분의 선단부(10a)의 개구를 통해 출몰 가능한 클립 유닛(14)과, 그리고,
    삽입 부분(10)의 통로(10c) 내를 연장 돌출하고, 삽입 부분의 기단부(10b)로부터 노출된 외부 조작부(16a)와 클립 유닛(14)에 접속되어 있는 클립 접속부(16b)를 포함하고, 외부 조작부에 의해 클립(12)의 상기 출몰을 조작하는 클립 조작 부분(16)을 구비하고,
    클립 유닛(14)이,
    삽입 부분(10)의 상기 통로(10c) 내에 상기 선단부(10a)의 개구를 통해 출몰 가능하게 수용되고, 클립(12)의 복수의 아암(12c)을 탄성적으로 개폐시키도록 클립이 출몰 가능하게 보유 지지된 클립 출몰 통로(18a)를 갖고 있는 클립 보유 지지 부재(18)와,
    클립 보유 지지 부재(18)의 주위벽에 형성된 관통 홈에 의해 일단부를 제외하고 상부 주위벽으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일단부를 중심으로 클립 출몰 통로의 반경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개폐 가능하고, 삽입 부분(10)의 상기 통로(10c)에 대한 클립 보유 지지 부재의 출몰에 의해 탄성적으로 개폐하고, 개방되어 있는 동안에 삽입 부분(10)의 선단부(10a)의 먼 위치의 단부면과 후단이 결합하는 결합부(20)와,
    클립 보유 지지 부재(18)의 클립 출몰 통로(18a) 내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클립(12)의 기단(12b)이 접속된 선단부(22e)와 클립 조작 부분(16)의 클립 접속부(16a)가 접속된 기단부(22b)와의 사이에 파단부(22a)가 배치되고, 파단부가 클립 출몰 통로의 반경 방향에 있어서 선단부(22e)의 클립 기단 접속 위치보다도 외측에 위치하고, 클립(12)과 클립 조작 부분(16)에 소정 이상의 인장력이 부하됨으로써 파단부(22a)를 중심으로 선단부(22e)가 클립 출몰 통로(18a)의 반경 방향의 외측을 향하는 편의력(BF)이 발생하는, 연결 부재(22)와, 그리고,
    상기 편의력(BF)이 부하된 상기 연결 부재의 선단부(22e)가 클립 출몰 통로(18a)의 반경 방향의 외측을 향해 상기 결합부(20)를 압박하는 것에 의해 상기 결합부(20)가 추가로 개방되는 것을 저지하는, 결합부 과도 개방 저지 구조(24)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결합부 과도 개방 저지 구조(24)는,
    결합부(20)의 후단으로부터 돌출되고, 결합부가 개방되어 있는 동안에 삽입 부분(10)의 선단부(10a)에 있어서의 통로(10c)의 개구에 인접한 내주면에 접촉하여 결합부의 개방을 규제하는 개방 규제부(26)를 포함하는, 생체 조직 결찰용 클립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 규제부(26)의 대면 영역(26a)이, 삽입 부분(10)의 통로(10c)의 연장 방향을 따라 삽입 부분의 통로(10c)의 상기 개구로부터 이격됨에 따라서 상기 통로(10c)의 반경 방향에 있어서의 내측을 향하도록 경사진 경사면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생체 조직 결찰용 클립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22)의 파단부(22a)는, 선단부(22e)와 기단부(22b) 사이에서 상기 연결 부재의 외주면의 일부로부터 상기 클립 보유 지지 부재(18)의 직경 방향으로 클립 출몰 통로(18a)의 연장 방향과 교차하도록 절입된 절입부에 의해 규정되어 있고,
    상기 절입부에, 클립(12)의 복수의 가늘고 긴 아암(12c)의 기단(12b)이 걸어 고정되어 있는, 생체 조직 결찰용 클립 장치.
  4. 생체 조직 결찰용 클립 장치이며,
    생물의 체강 내에 삽입된 내시경의 겸자 채널에 삽입되고, 상기 겸자 채널에 따른 통로(10c)를 갖는 삽입 부분(10)과,
    서로 연결된 기단(12b)을 중심으로 탄성적으로 개폐 가능한 복수의 가늘고 긴 아암(12c)을 갖는 클립(12)을 포함하고, 삽입 부분(10)의 상기 통로(10c)에 삽입 부분의 선단부(10a)의 개구를 통해 출몰 가능한 클립 유닛(14)과,
    삽입 부분(10)의 통로(10c) 내를 연장 돌출하고, 삽입 부분의 기단부(10b)로부터 노출된 외부 조작부(16a)와 클립 유닛(14)에 접속되어 있는 클립 접속부(16b)를 포함하고, 외부 조작부에 의해 클립(12)의 상기 출몰을 조작하는 클립 조작 부분(16)을 구비하고,
    클립 유닛(14)이,
    삽입 부분(10)의 상기 통로(10c) 내에 상기 선단부(10a)의 개구를 통해 출몰 가능하게 수용되고, 클립(12)의 복수의 아암(12c)을 탄성적으로 개폐시키도록 클립이 출몰 가능하게 보유 지지된 클립 출몰 통로(18a)를 갖고 있는 클립 보유 지지 부재(18)와,
    클립 보유 지지 부재(18)의 주위벽에 형성된 관통 홈에 의해 일단부를 제외하고 상기 주위벽으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일단부를 중심으로 클립 출몰 통로의 반경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개폐 가능하고, 삽입 부분(10)의 상기 통로(10c)에 대한 클립 보유 지지 부재의 출몰에 의해 탄성적으로 개폐하고, 개방되어 있는 동안에 삽입 부분(10)의 선단부(10a)의 먼 위치의 단부면과 후단이 결합하는 결합부(20)와,
    클립 보유 지지 부재(18)의 클립 출몰 통로(18a) 내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클립(12)의 기단(12b)이 접속된 선단부(22e)와 클립 조작 부분(16)의 클립 접속부(16a)가 접속된 기단부(22b)와의 사이에 파단부(22a)가 배치되고, 파단부가 클립 출몰 통로의 반경 방향에 있어서 선단부(22e)의 클립 기단부 접속 위치보다도 외측에 위치하고, 클립(12)과 클립 조작 부분(16)에 소정 이상의 인장력이 부하됨으로써 파단부(22a)를 중심으로 선단부(22e)가 클립 출몰 통로(18a)의 반경 방향의 외측을 향하는 편의력(BF)이 발생하는, 연결 부재(22)와,
    상기 편의력(BF)이 부하된 상기 연결 부재의 선단부(22e)가 클립 출몰 통로(18a)의 반경 방향의 외측을 향해 상기 결합부(20)를 압박하는 것에 의해 상기 결합부(20)가 추가로 개방되는 것을 저지하는, 결합부 과도 개방 저지 구조(24)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결합부 과도 개방 저지 구조(24)는,
    클립 보유 지지 부재(18)의 클립 출몰 통로(18a)에 있어서 클립(12)이 출몰하는 개구로부터 결합부(20)의 상기 전단까지의 거리(L1)를, 클립의 복수의 아암(12c)의 선단(12a)으로부터 연결 부재(22)의 상기 선단부(22e)의 선단까지의 거리(L2)보다도 길게 설정하고 있는 것을 포함하는, 생체 조직 결찰용 클립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22)의 파단부(22a)는, 선단부(22e)와 기단부(22b) 사이에서 상기 연결 부재의 외주면의 일부로부터 상기 클립 보유 지지 부재(18)의 직경 방향에 클립 출몰 통로(18a)의 연장 방향과 교차하도록 절입된 절입부에 의해 규정되어 있고,
    상기 절입부에, 클립(12)의 복수의 가늘고 긴 아암(12c)의 기단(12b)이 걸어 고정되어 있는, 생체 조직 결찰용 클립 장치.
  6. 생체 조직 결찰용 클립 장치이며,
    생물의 체강 내에 삽입된 내시경의 겸자 채널에 삽입되고, 상기 겸자 채널에 따른 통로(10c)를 갖는 삽입 부분(10)과,
    서로 연결된 기단(12b)을 중심으로 탄성적으로 개폐 가능한 복수의 가늘고 긴 아암(12c)을 갖는 클립(12)을 포함하고, 삽입 부분(10)의 상기 통로(10c)에 삽입 부분의 선단부(10a)의 개구를 통해 출몰 가능한 클립 유닛(14)과, 그리고,
    삽입 부분(10)의 통로(10c) 내를 연장 돌출하고, 삽입 부분의 기단부(10b)로부터 노출된 외부 조작부(16a)와 클립 유닛(14)에 접속되어 있는 클립 접속부(16b)를 포함하고, 외부 조작부에 의해 클립(12)의 상기 출몰을 조작하는 클립 조작 부분(16)을 구비하고,
    클립 유닛(14)이,
    삽입 부분(10)의 상기 통로(10c) 중에 상기 선단부(10a)의 개구를 통해 출몰 가능하게 수용되고, 클립(12)의 복수의 아암(12c)을 탄성적으로 개폐시키도록 클립이 출몰 가능하게 보유 지지된 클립 출몰 통로(18a)를 갖고 있는 클립 보유 지지 부재(18)와,
    클립 보유 지지 부재(18)의 주위벽에 형성된 관통 홈에 의해 일단부를 제외하고 상기 주위벽으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일단부를 중심으로 클립 출몰 통로의 반경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개폐 가능하고, 삽입 부분(10)의 상기 통로(10c)에 대한 클립 보유 지지 부재의 출몰에 의해 탄성적으로 개폐하고, 개방되어 있는 동안에 삽입 부분(10)의 선단부(10a)의 먼 위치의 단부면과 후단이 결합하는 결합부(20)와,
    클립 보유 지지 부재(18)의 클립 출몰 통로(18a) 내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클립(12)의 기단(12b)이 접속된 선단부(22e)와 클립 조작 부분(16)의 클립 접속부(16a)가 접속된 기단부(22b)와의 사이에 파단부(22a)가 배치되고, 파단부가 클립 출몰 통로의 반경 방향에 있어서 선단부(22e)의 클립 기단부 접속 위치보다도 외측에 위치하고, 클립(12)과 클립 조작 부분(16)에 소정 이상의 인장력이 부하됨으로써 파단부(22a)를 중심으로 선단부(22e)가 클립 출몰 통로(18a)의 반경 방향의 외측을 향하는 편의력(BF)이 발생하는, 연결 부재(22)와, 그리고,
    상기 편의력(BF)이 부하된 상기 연결 부재의 선단부(22e)가 클립 출몰 통로(18a)의 반경 방향의 외측을 향해 상기 결합부(20)를 압박하는 것에 의해 상기 결합부(20)가 추가로 개방되는 것을 저지하는, 결합부 과도 개방 저지 구조(24)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결합부 과도 개방 저지 구조(24)는,
    클립 보유 지지 부재(18)의 외주면에 있어서의 결합부(20)의 위치와 클립 출몰 통로(18a) 내에서 상기 편의력(BF)이 작용하는 위치가, 상기 클립 출몰 통로(18a)의 주위 방향에 있어서 서로 45°이상 이격되어 있는 것을 포함하는, 생체 조직 결찰용 클립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22)의 파단부(22a)는, 선단부(22e)와 기단부(22b) 사이에서 상기 연결 부재의 외주면의 일부로부터 상기 클립 보유 지지 부재(18)의 직경 방향으로 클립 출몰 통로(18a)의 연장 방향과 교차하도록 절입된 절입부에 의해 규정되어 있고,
    상기 절입부에, 클립(12)의 복수의 가늘고 긴 아암(12c)의 기단(12b)이 걸어 고정되어 있는, 생채 조직 결찰용 클립 장치.
  8. 삭제
KR1020070073939A 2006-07-25 2007-07-24 생체 조직 결찰용 클립 장치 KR10093257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202342 2006-07-25
JP2006202342A JP4116049B2 (ja) 2006-07-25 2006-07-25 生体組織のクリップ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0303A KR20080010303A (ko) 2008-01-30
KR100932576B1 true KR100932576B1 (ko) 2009-12-17

Family

ID=386066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3939A KR100932576B1 (ko) 2006-07-25 2007-07-24 생체 조직 결찰용 클립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854739B2 (ko)
EP (3) EP2335613B1 (ko)
JP (1) JP4116049B2 (ko)
KR (1) KR100932576B1 (ko)
CN (1) CN101112327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5576B1 (ko) * 2017-11-10 2019-08-13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내시경용 클립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20305B2 (en) 2007-01-19 2014-12-30 Advanced Bariatric Technology, Llc Vertically oriented band for stomach
US20090228023A1 (en) * 2008-03-04 2009-09-10 Fujifilm Corporation Clipping device
EP2098176A3 (en) * 2008-03-06 2009-10-07 FUJIFILM Corporation Magazine type clipping device
CN101606856B (zh) * 2009-07-07 2011-12-28 中国人民解放军第三军医大学第二附属医院 一种生物组织夹具装置
EP2528512B1 (en) 2010-01-29 2018-04-11 Advanced Bariatric Technology, LLC Surgical clamp
DE102012100086A1 (de) 2011-01-07 2012-08-02 Z-Medical Gmbh & Co. Kg Chirurgisches Instrument
CN102579116B (zh) * 2011-01-07 2015-12-16 Z-医药有限公司及两合公司 外科手术器械
JP5343113B2 (ja) 2011-09-15 2013-11-13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クリップユニット及びこれを用いる結紮装置
WO2013067662A1 (zh) * 2011-11-11 2013-05-16 Zhu Jian 一种夹持或结扎装置
US9138234B2 (en) * 2011-11-14 2015-09-22 Anrei Medical (Hz) Co., Ltd. Clip apparatus for ligature of living tissue
DE102012003334A1 (de) * 2012-02-16 2013-08-22 Anja Honnefelder Chirurgischer Clip
CN102727276B (zh) * 2012-07-05 2014-04-23 安瑞医疗器械(杭州)有限公司 一种组织止血夹持装置
IL305906A (en) 2012-08-09 2023-11-01 Advanced Bariatric Tech Llc Polymeric molded bariatric core and installation method
JP5576998B1 (ja) * 2012-08-30 2014-08-20 オリンパスメディカ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閉孔器
JP5750620B2 (ja) * 2013-05-07 2015-07-22 オリンパス株式会社 内視鏡処置具
WO2014181675A1 (ja) * 2013-05-07 2014-11-13 オリンパスメディカ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クリップユニット
DE102013110796A1 (de) 2013-09-30 2015-04-02 Z-Medical Gmbh & Co. Kg Chirurgisches Instrument
AU2015306617B2 (en) 2014-08-26 2019-10-24 Advanced Bariatric Technology, Llc Bariatric clamp with suture portions, magnetic inserts and curvature
CN104248461B (zh) * 2014-09-25 2016-06-22 安瑞医疗器械(杭州)有限公司 夹钳、夹钳推送装置和止血夹
CN105310738B (zh) * 2014-12-24 2017-12-26 石益海 一种三瓣式可脱落夹持装置
CN107072671B (zh) * 2015-05-27 2019-08-30 奥林巴斯株式会社 内窥镜用处置器具
CN105147349A (zh) * 2015-09-10 2015-12-16 施青青 一种医用双联钛钉
WO2018009669A1 (en) 2016-07-07 2018-01-11 Advanced Bariatric Technology, Llc Inflatable bariatric clamp
CA3032763C (en) * 2016-09-22 2021-02-02 Boston Scientific Limited Multiple opening/closing of reloadable clip
EP4349280A2 (en) * 2016-11-03 2024-04-10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User actuated reloadable clip cartridge
WO2018235401A1 (ja) * 2017-06-21 2018-12-27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クリップ処置具
US10932938B2 (en) 2017-07-24 2021-03-02 Advanced Bariatric Technology, Llc Clamp installation tool
CA3069748A1 (en) 2017-09-28 2019-04-04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Reloadable and rotatable clip
US10993719B2 (en) * 2017-10-11 2021-05-04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Reinforced mechanical hemostasis clip
CN113164176A (zh) * 2018-12-11 2021-07-23 奥林巴斯株式会社 医疗设备
US11234686B2 (en) * 2019-05-28 2022-02-01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Hemostasis clip with collapsible capsule
AU2020294607B2 (en) * 2019-06-19 2022-12-01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Hemostasis clip reduced length deployment mechanism
US11937828B2 (en) * 2021-01-26 2024-03-26 Olympus Medical Systems Corp. Endoscope treatment device
US11944321B2 (en) * 2021-01-26 2024-04-02 Olympus Medical Systems Corp. Endoscopic treatment devic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45909A1 (en) * 2000-10-16 2002-04-18 Olympus Optical Co., Ltd. Physiological tissue clipping apparatus, clipping method and clip unit mounting method
US20020128667A1 (en) 2001-03-07 2002-09-12 Olympus Optical Co., Ltd. Apparatus for ligating living tissues
EP1523946A1 (en) * 2002-07-19 2005-04-20 Olympus Corporation Clip operation device
US20050143767A1 (en) * 2002-08-21 2005-06-30 Olympus Corporation Living tissue ligation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09069B2 (ja) 2002-10-01 2008-06-25 オリンパス株式会社 生体組織の結紮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45909A1 (en) * 2000-10-16 2002-04-18 Olympus Optical Co., Ltd. Physiological tissue clipping apparatus, clipping method and clip unit mounting method
US20020128667A1 (en) 2001-03-07 2002-09-12 Olympus Optical Co., Ltd. Apparatus for ligating living tissues
EP1523946A1 (en) * 2002-07-19 2005-04-20 Olympus Corporation Clip operation device
US20050143767A1 (en) * 2002-08-21 2005-06-30 Olympus Corporation Living tissue ligation de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5576B1 (ko) * 2017-11-10 2019-08-13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내시경용 클립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335612B1 (en) 2012-09-19
KR20080010303A (ko) 2008-01-30
EP2335613A1 (en) 2011-06-22
EP1882451A2 (en) 2008-01-30
JP4116049B2 (ja) 2008-07-09
CN101112327A (zh) 2008-01-30
US7854739B2 (en) 2010-12-21
JP2008023257A (ja) 2008-02-07
EP1882451B1 (en) 2012-04-25
CN101112327B (zh) 2010-08-11
EP1882451A3 (en) 2008-10-08
EP2335612A1 (en) 2011-06-22
EP2335613B1 (en) 2012-09-19
US20080027467A1 (en) 2008-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2576B1 (ko) 생체 조직 결찰용 클립 장치
CA3032824C (en) Surgical ligation clip
US5925032A (en) Syringe cannula holder
US20190133590A1 (en) Ligation clip with controlled tissue compression
JP2020511267A (ja) 安定化部材付きのクリップアプライヤ
EP3709900B1 (en) Surgical clip
US20060271066A1 (en) Insertion apparatus for endoscope
JP2009095471A (ja) 内視鏡用クリップ装置
US20060089526A1 (en) Self-sealing closure for an ophthalmic cannula
JP2002263197A (ja) 留置用カテーテル
FR2770125A1 (fr) Instrument de recuperation de suture
WO2004060142A3 (en) Vascular suturing clip
US20180271534A1 (en) Clip applier with stabilizing member
CN105877803B (zh) 一种止血夹
CN111163710B (zh) 可重新加载且可旋转的夹子
US10471247B2 (en) Catheter coupling
JP2000316986A (ja) Yコネクタ
US20100044251A1 (en) Clip package and clip loading method
EP1593405A1 (en) Joint device
JP4935039B2 (ja) 内視鏡用クリップ
CN111249615B (zh) 止血阀装置
CN211749834U (zh) 一种软组织夹的夹头
WO2022244463A1 (ja) Y型コネクタ
CN114652387A (zh) 夹具递送装置
NL2020824B1 (en) Needle-suture combination, needle holder and surgical suture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0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