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1913B1 - Systme for learning languages by training sentence - Google Patents

Systme for learning languages by training senten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1913B1
KR100931913B1 KR1020090019179A KR20090019179A KR100931913B1 KR 100931913 B1 KR100931913 B1 KR 100931913B1 KR 1020090019179 A KR1020090019179 A KR 1020090019179A KR 20090019179 A KR20090019179 A KR 20090019179A KR 100931913 B1 KR100931913 B1 KR 1009319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tence
learner
test
language
lev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917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권영
김철현
신동민
유영배
조성훈
Original Assignee
김권영
김철현
신동민
유영배
조성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권영, 김철현, 신동민, 유영배, 조성훈 filed Critical 김권영
Priority to KR10200900191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1913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19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191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7/00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 G09B7/02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of the type wherein the student is expected to construct an answer to the question which is presented or wherein the machine gives an answer to the question presented by a student
    • G09B7/04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of the type wherein the student is expected to construct an answer to the question which is presented or wherein the machine gives an answer to the question presented by a student characterised by modifying the teaching programme in response to a wrong answer, e.g. repeating the question, supplying a further explan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6Foreign langu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PURPOSE: A language learning system through sentence training is provided to effectively improve linguistic ability by using a network 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CONSTITUTION: A language learning system comprises a learner terminal(10) and a learning management server(20). The learning terminal is formed with a terminal with key input function and internet access function like a desktop PC, a note book PC and a mobile terminal. The learner terminal comprises a client(120) accessing to a learning management server and an application(130) providing interface for language learning. The learner terminal comprises a key input unit(110) inputting key data for sentence test and an output unit(140) outputting video and audio data for learning. The learning management server comprises a UI part(210) providing user interface, a database storing sentences according to the level, and a sentence training management part(40).

Description

문장트레이닝을 통한 어학 학습 시스템 {Systme For Learning Languages By Training Sentence}Language Learning System through Sentence Training {Systme For Learning Languages By Training Sentence}

본 발명은 문장트레이닝을 통한 어학 학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문장을 수준 별로 구분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학습자의 수준에 따라 문장을 샘플링하여 학습자에게 테스트를 제공하고, 상기 테스트 제공시 학습자의 타자속도 보다 빨리 문장이 화면에서 소거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언어의 재구성 훈련을 통해 어학 실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어학 학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anguage learning system through sentence training, and more particularly, to construct a database in which sentences are classified for each level, to provide a test to a learner by sampling a sentence according to the learner's level from the database, and testing the tes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anguage learning system that can improve language proficiency through reconstruction of a language by constructing a sentence to be erased from the screen faster than the typing speed of the learner.

본 발명은 외국어의 습득에 있어 인간이 두뇌에서 언어를 처리하기 위한 정보 기대순서를 갖게 되며 이에 대한 효율적인 인지심리학적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학습자가 자국어와 다른 외국어의 정보처리 기대순서를 습득하여 외국어실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어학과 관련된 모든 교육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a expectation order for humans to process language in the brain in the acquisition of foreign languages, and provides an efficient cognitive psychological interface to the learners, so that learners learn the expected order of information processing for their native languages and other foreign languages. It can be applied to all educational systems related to linguistics.

일반적으로 외국어 학습이 어려운 이유는 발음, 어휘, 문법 등 어학 자체의 특성 뿐만 아니라, 어순이 한국어와 다르므로 인해 기인한다.In general, foreign language learning is difficult due to not only the characteristics of the language itself, such as pronunciation, vocabulary, and grammar, but also because the word order is different from Korean.

일례로, 한국사람들은 어순이 동일한 일본어의 경우 상대적으로 쉽게 습득이 가능하지만, 어순이 다른 영어의 경우 습득에 상당한 어려움을 겪는다.For example, Koreans can learn relatively easily in Japanese with the same word order, but have difficulty in acquiring English with different word orders.

그러나, 종래의 어학 교육 방법은 외국어의 발음, 어휘, 문법 등 어학 자체의 특성에만 포커스를 맞추고 있을 뿐, 외국어의 어순을 자연스럽게 인지하여 자국어를 외국어 문장으로 재구성할 수 있는 학습 방법을 제시하고 있지 못한 실정이다. However, the conventional language teaching method focuses only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language itself, such as pronunciation, vocabulary, and grammar of foreign languages, and does not provide a learning method for reconstructing a native language into a foreign language sentence by naturally recognizing the order of foreign languages. It is true.

종래 학습의 경우, 문법을 이해하거나 암기 하도록 한 뒤, 자국어로 해석하는 과정을 거치도록 한다. 하지만, 자국어의 경우 해석하지 않고 즉시 인식하게 된다. 따라서, 외국어는 자국어와 달리 해석이라는 과정을 거치게 되어, 실질적으로는 머릿속에서 언어를 2중 처리를 하게 되며, 이 방식으로는 모국어와 똑같은, 자연언어로 처리되지 아니하고 '지식'이라는 형태로 처리하게 된다. In the case of conventional learning, after understanding or memorizing grammar, the process of interpreting the native language is performed. However, the native language is recognized immediately without interpretation. Therefore, foreign languages go through a process called interpretation, unlike the native language, and the language is actually processed in the head twice. In this way, it is processed as 'knowledge', not as a natural language, as the native language. do.

이에 따라, 외국어를 자국어로 해석 하는 과정에서 외국어의 어순을 자국어에 맞게 구성하는 것을 습관화 하게 된다. Accordingly, in the process of interpreting a foreign language as a native language, it becomes a habit to construct a word order of a foreign language according to a native language.

언어의 습득이라는 것은 정보처리를 기대하는 순서 역시 학습 언어와 동일하게 이루어져야 가능한 것으로, 한국인의 경우 주어 다음에 목적어를 기대하지만, 영어 사용자의 경우 주어 다음에는 항상 서술어를 기대하게 되는 정보처리 기대순서의 특성이 있어, 영어를 공부할 때에는 영어의 어순을 그대로 인지하도록 훈련하는 것이 어순을 바꾸어 해석하는 것 보다 두뇌의 능력에 부하를 주지 아니하는 효율적 습득방법이며, 이는 노엄 촘스키 박사의 LAD(Language acquisition divece) 이론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Acquisition of language means that the order in which information processing is expected should be made in the same way as the learning language.In the case of Koreans, subjects expect the next subject, but in the case of English users, subjects always expect the descriptors. Because of its characteristics, training to recognize English word order as it is is an efficient learning method that does not place a burden on the brain's ability than changing the word order. This is a language acquisition divece by Dr. Norm Chomsky. It is widely known as a theory.

따라서, 외국어 학습자에게 필요한 것은, 의미의 파악뿐이 아니라, 의미의 구성이며 외국어의 습득에 있어서 이와 같이 언어를 우리 두뇌에서 파싱 하는 훈련이 필요하게 된다.Therefore, it is necessary not only to grasp meaning but also to comprehend the language in the foreign language learner.

해석, 즉 언어를 모국어에 끼워 맞추는 방식으로는 언어의 파싱 작용을 습득할 수 없으며, 인지(cognition), 즉 언어의 파싱 순서를 그대로 훈련하는 것이 실제로 외국어 학습시의 과제라 할 수 있다.By interpreting, ie, fitting the language to the native language, the parsing action of the language cannot be acquired, and training of cognition, that is, the parsing order of the language as it is, is actually a task in learning a foreign language.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외국어의 습득에 있어 인간이 두뇌에서 언어를 처리하기 위한 정보 기대순서를 갖게 되며 이에 대한 효율적인 인지심리학적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학습자가 자국어와 다른 외국어의 정보처리 기대순서를 습득하여 외국어실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문장 트레이닝을 통한 어학 학습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A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described above, the objec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obtain information order for humans to process language in the brain in the acquisition of foreign languages, and to provide an efficient cognitive psychological interface to the human language, It is to provide a language learning system through sentence training that can improve foreign language proficiency by acquiring the expected order of information processing in and other foreign languages.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어학 학습 시스템은 문장이 레벨 별로 구분되어 저장된 데이터 베이스와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문장을 샘플링하여 테스트 문제를 제공하고, 설정된 개시 시간 동안만 상기 문장을 디스플레이하고, 학습자로부터 입력된 문장이 테스트 문장과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문장 트레이닝 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language learn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est problem by sampling sentences stored in the database and sentences stored in each level, and displays the sentences only for a set start time. And a sentence training manager to determine whether the sentence input from the learner is the same as the test sentence.

그리고 상기 데이터 베이스는 학습자의 레벨 정보를 저장하는 학습자 정보 저장부와 문장들이 다수 개의 레벨 별로 구분되어 저장된 문장 저장부와 상기 문장 트레이닝 관리부를 통해 제공된 테스트 문제에 대해 학습자가 입력한 결과인 테스트 데이터를 저장하는 테스트 이력 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atabase may further include a learner information storage unit that stores learner level information, and test data that is a result of a learner inputting a test problem provided through the sentence storage unit and the sentence training management unit in which sentences ar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levels.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test history storage for storing.

또한, 상기 문장 트레이닝 관리부는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문장 중 샘플링을 통해 테스트 문장을 추출하여 테스트 문제를 제공하는 테스트 문장 추출 모듈과 상기 테스트 문장의 개시 시간을 설정하고, 설정된 개시 시간 동안 만 상기 테스트 문장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고, 학습자로부터 입력된 결과가 상기 제공된 테스트 문장과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학습 제어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entence training manager may extract a test sentence from a sentence stored in the database and set a start time of the test sentence and a test sentence extraction module that provides a test problem and set the start time of the test sentenc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learning control module for controlling to be displayed, and determines whether the result input from the learner matches the provided test sentence.

그리고 상기 테스트 문장 추출모듈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학습자 레벨 정보를 추출하여 학습자 레벨에 포함된 문장 중에서 샘플링하여 테스트 문장을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test sentence extraction module extracts learner level information stored in the database, and extracts a test sentence by sampling among sentences included in the learner level.

또한, 상기 학습 제어 모듈은 학습자로부터 샘플 문장을 제공하고, 학습자로부터 상기 샘플 문장에 대한 평균 타자속도를 측정하고, 상기 타자속도에 따라 문장을 입력할 시간보다 빠른 시간을 개시 시간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learning control module may provide a sample sentence from a learner, measure an average typing speed with respect to the sample sentence from a learner, and set a time earlier than a time for inputting a sentence according to the typing speed as a start time. It is done.

그리고 상기 학습 제어 모듈은 상기 타자속도에 따라 문장을 입력할 시간보다 10 ~ 95% 범위 중 선택된 비율만큼 작은 시간을 개시시간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the learning control modul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time set by the selected time in the range of 10 ~ 95% less than the time to input the sentence according to the typing speed, characterized in that the start time.

또한, 상기 학습 제어 모듈은 학습자의 타자속도를 체크하여 타자속도가 향상되거나 감소한 경우 상기 개시시간을 타자속도가 향상되거나 감소한 만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learning control module is characterized by adjusting the start time by increasing or decreasing the typing speed when the typing speed is improved or decreased by checking the typing speed of the learner.

그리고 상기 학습 제어 모듈은 학습자가 입력한 문장과 상기 테스트 문장을 비교하여 일치할 경우 정답으로 일치하지 않을 경우 오답으로 판단하고, 상기 정답과 오답을 구분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learning control module compares the sentence input by the learner with the test sentence, and if it does not match with the correct answer, determines that it is an incorrect answer.

또한, 상기 학습 제어 모듈은 상기 학습자의 테스트 결과 타자속도가 학습자 의 평균 타자속도 이상이면서 정답률이 설정된 값 이상인 경우 상위 레벨로 학습자 레벨을 업그레이드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learning control module is characterized in that to upgrade the learner level to a higher level when the test result of the learner is more than the average typing speed of the learner and the correct answer rate is more than the set value.

그리고 상기 학습 제어 모듈은 학습자가 처음 접속한 경우 테스트 문장을 제공하여 학습자의 평균 타자속도를 측정하고, 최하위 레벨의 문장을 추출하여 테스트 문제를 출제하고, 학습자의 평균 타자속도 이상이면서 정답률이 설정된 값 이상인 경우 상위 레벨의 문장으로 테스트 문제를 출제하는 과정을 반복하여 학습자의 레벨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learning control module provides a test sentence when a learner first accesses to measure a learner's average typing speed, extracts a sentence at the lowest level, and then creates a test problem, and sets a correct answer rate at or above the learner's average typing speed. In the above case, it is characterized by setting a learner's level by repeating the process of asking a test question with a sentence of a higher level.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문장 트레이닝을 통한 어학 학습 시스템은 네트워크를 이용하거나 휴대용 전자기기에 임베드디되어 간편하게 학습할 수 있으므로 어학 실력 향상에 매우 효과적이다.As described above, the language learning system through sentence train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learned by using a network or embedded in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또한, 일반적인 타자게임이나 독해 학습 점검 과정에서 이루어지지 않는 정보처리 기대순서, 즉 파싱에 대한 연습을 경험하도록 유도하여 학습자가 말하기와 쓰기 과정에 있어 탁월한 학습효과를 얻을 수 있다.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obtain an excellent learning effect in the speaking and writing process by inducing the learner to experience the information processing expectation order, that is, parsing practice, which is not performed in a general typing game or reading learning check process.

본 발명은 외국어와 자국어의 기능적인 어순이 달라서, 일반적으로 외국어 습득을 목적으로 하는 사용자가 언어를 습득할 때에 두가지 방식을 갖게 되며, 그중 한가지는 외국어의 어순을 자국어의 정보처리 기대순서에 맞게 배열하여 해석하 는 과정(이하, 해석 방법)으로 구성되고, 또 다른 한가지는 외국어의 정보처리 기대 순서를 그대로 습득하게 되는 방식(이하, 파싱 방법)을 갖게 되어, 이중 두번째 방법론을 지원하여, 사용자가 두번째의 방법, 즉 파싱 방법론으로 외국어를 습득하는 것에 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different in the functional order of the foreign language and the native language, generally have two methods when a user for the purpose of foreign language acquisition acquires the language, one of which is to arrange the foreign language order in accordance with the expected order of information processing of the native language And the second method is to parse the information processing expectation of foreign language as it is (parsing method), and supports the second methodology. The second way, parsing methodology, is to acquire a foreign language.

따라서, 본 발명은 인간이 언어를 사용하는 메커니즘에 대한 두뇌 기억 절차에 있어 효율적인 방안을 도출하고, 사용자가 효율적으로 외국어를 습득하도록 하는 것에 대한 것이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directed to deriving an efficient method in the brain memory procedure for the mechanism by which humans use language, and to allowing a user to efficiently acquire a foreign language.

인간의 기억은 크게 절차기억과 일화기억의 두가지 메커니즘으로 대뇌가 그 절차를 관장하며, 특별히 언어에 있어 칼로좀이스무스영역과, 베르니케 영역, 그리고 브로카 영역, 대뇌 변연계 등이 협조동작을 하게 되는 특성이 있다.Human memory has two mechanisms: procedural memory and anecdotal memory. The brain controls the procedure, and in particular, the language is coordinated by the Carlosome-Ismus, Wernicke, Broca, and the cerebral limbic system. There is a characteristic.

본 발명의 핵심적인 개념이 되는 대뇌 언어 절차를 설명하면, 첫째로, 언어의 입력과정과 출력과정은 각기 다른 절차를 거친다는 것이다. 즉, 언어를 입력할 때에는 문장의 배열을 정확하게 기억하지 않으며, 통사구조(Syntax structure)상 중요한 부분의 순서만 검지하고 처리하게 된다. Referring to the cerebral language procedure, which is the cor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first, the input and output processes of the language go through different procedures. That is, when inputting a language, the arrangement of sentences is not accurately stored, and only the order of important parts of the syntax structure is detected and processed.

하지만 언어를 출력할 때에는, 문장을 구성하는 단어의 배열이 정확하게 계획되어야 출력 과정이 나타나게 되며, 이 과정이 잘 이루어질 경우 해당 언어에 대하여 브로카 유창성을 가지게 되어, 언어 구사 능력중 발화 혹은 작문 능력이 있다고 보게 된다. However, when outputting a language, the arrangement of words constituting the sentence must be correctly planned so that the output process appears. If this process is well done, you will have Broka fluency for the language. You see.

이 때, 입력 절차에 의한 의미 파악 단계와 의미 재구성 단계가 있으며, 일반적으로 브로카 유창성을 갖지 않아도, 의미 파악은 가능하나, 브로카유창성이 있 어야 의미 재구성 단계를 갖게 된다. At this time, there is a semantic grasp step and semantic reconstruction step by the input procedure. Generally, semantic grasp is possible without broca fluency, but broca fluency has a semantic reconstruction step.

따라서, 입력 과정은 크게 보아 2단계의 난이도를 갖게 되며, 외국인이 특정 언어를 습득하는 과정에 있어, 읽기와 듣기는 어느정도의 학습으로 가능하지만, 쓰기와 말하기는 의미 재구성 단계를 거쳐야 하기 때문에 해당언어를 구사하는데에 말하기, 읽기, 듣기, 쓰기 영역의 불균형을 가지는 것이 일반적인 현상이다.Therefore, the input process has two levels of difficulty, and in the process of foreigners acquiring a specific language, reading and listening are possible with some degree of learning, but writing and speaking must go through a reconstruction of meaning. It is a common phenomenon to have a disparity in speaking, reading, listening and writing areas.

본 발명은 이러한 언어의 입출력상의 불균형을 해소하기 위하여, 언어의 학습도구중 타자게임을 이용하며, 언어의 입력과정에서 의미 재구성을 위한 단계를 추가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하여, 사용자가 외국어를 습득 할때에, 해당언어의 의미 재구성을 위한 단계, 즉 언어 처리의 정보기대순서를 반드시 갖도록 하는 절차를 거치게 되며, 이에 따라 사용자는 문장에 대하여 언어입력과 출력 과정에 있어 브로카 유창성을 확보하는 것을 그 주요한 효과로 제공 받게 된다.In order to solve the imbalance between the input and output of the language, the present invention utilizes a typing game among language learning tools, and adds a step for reconstructing the meaning in the language input process. At this time, the process of reconstructing the semantics of the language, that is, having the information processing order of the language processing, must be performed. Accordingly, the user is required to secure Broca fluency in the language input and output process for the sentence. You will be provided with the effect.

이에 따라, 본 발명의 구성상 특징을 통해, 상기 언어입력 과정에서 언어재구성을 위한 정보처리 기대순서(이하, 파싱)과 관련한 특별한 학습 목표나 학습기술을 갖지 않은 일반적인 사용자가, 일반적인 학습방법인 도서의 독해 과정으로는 도달할 수 없는 언어 재구성에 필수적인 파싱 경험을 제공하여 외국어 습득상 언어출력과정, 즉 말하기와 쓰기에 직접적인 효과를 얻게 된다.Accordingly, through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 general user who does not have a special learning objective or learning technique related to the information processing expected ord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parsing) for reconstructing a language in the language input process is a general learning method. It provides a parsing experience essential for language reconstruction that cannot be reached by reading process, which has a direct effect on language output process, namely speaking and writing.

본 발명은 언어 재구성이 가능하게 이해되지 않은 언어는 그 데이터 처리 기대순서 작용, 즉 파싱작용이 완전하지 않으며 따라서, 어순을 혼돈하게 되고, 어순을 그대로 재구성할 수 없기 때문에, 문장이 제시될 경우 끝 부분에 위치한 단어를 인식하지 못하는 현상이 발생하는 점을 고려하여 도출되었으며, 타자게임에 적용 될 경우, 해석하지 못한 문장이 사용자의 타자속도보다 빠른 속도가 요구되도록 게시되어 사용자가 문장의 전체를 받아 치지 못한 상태에서 문장의 끝부분이 사라지게 되면, 해석이 되지 않은 문장은 더 이상 입력할 수 없는 원리에 따른 것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language whose language reconstruction is not comprehensible is not completed when the sentence is presented because the data processing expected order action, that is, the parsing action is not complete and thus the word order is confused and the word order cannot be reconstructed as it is. It was derived in consideration of the phenomenon of not recognizing the words located in the part.When it is applied to the typing game, the sentence that is not interpreted is posted to require the speed faster than the typing speed of the user. If the end of the sentence disappears without hitting, the sentence that is not interpreted is based on the principle that you can no longer enter it.

즉, 언어가 인간에게 듣기 혹은 읽기의 형태로 주어져 입력될 때, 입력되는 언어를 이해 하는 데에는 문장의 구조와 어순과정이 개입 되지 않지만, 언어를 재구성하여 출력하는 데에 필요한 정보는 문장의 구조와 어순 과정이 개입되는 , 언어의 입력과 출력, 이해와 재구성상에서의 대뇌작용이 같지 않다는 특성을 이용한 것이다.That is, when language is input to human beings in the form of listening or reading, the structure of the sentence and the word order are not involved in understanding the language that is input, but the information necessary for reconstructing and outputting the language is based on the structure of the sentence. It is based on the characteristic that cerebral actions in language input and output, understanding and reconstruction are not equal.

이를 다시 쉽게 설명하면, 이해가 충분한 학습 대상 외국어 문장의 경우, 특정 개시시간 내에서 암기하여 재구성할 수 있지만, 이해가 충분하지 않은 학습대상 외국어 문장의 경우, 종합적으로 이해가 충분하지 않으면 반복하여 동일하게 재구성할 수 없는 현상을 학습에 이용하는 것이라 하겠다.In order to explain this again, in the case of a foreign language sentence having a sufficient understanding, the sentence can be memorized and reconstructed within a specific start time. The phenomenon that cannot be reconstructed is used for learning.

따라서, 자국어 문장의 경우 20여 단어 이상으로 구성된 문장을 음성이나 문자정보가 주어졌다가 사라진 뒤, 동일 어순으로 재구성 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외국어의 경우, 평균적으로 4-14단어 내에서만 처리할 수 있는 등의 현상이 나타나게 되며, 이와 같은 현상은 미국편집자협회의 나이에 따른 이독성(readability) 지수 조사 등의 유명한 통계들로 증명되어 있다고 하겠다.Therefore, in the case of a national language sentence, a sentence composed of more than 20 words is given and disappeared after being given voice or character information, but in the case of a foreign language, it can be processed only within 4 to 14 words on average. This phenomenon is demonstrated by famous statistics, such as the American Editors' Association's readability index according to age.

따라서, 문법을 통해 해석이나 작문 연습을 하는 종래의 방식으로는, 첫째로 Therefore, in the conventional way of practicing interpretation or writing through grammar,

해석의 도구로 문법이라는 단순 규칙을 적용하기 때문에, 문법적으로는 합치함에도 불구, 실제로는 의미를 구성하지 않거나 정 반대의 의미를 갖는 경우를 발 생시켜왔으며, 언어를 정보처리 기대순서에 대한 효과적인 습득을 할 수 없어왔다. 본 발명은 본디 언어의 특성상 중요한 과정인, 많은 문장을 접하고, Syntax structure를 습득하여, 보다 긴 문장을 다루게 되는 방식으로, 종래의 학습법이 가질 수 없는 파싱 트레이닝을 가능하게 한다.Because of the application of simple rules of grammar as a tool of interpretation, despite the fact that they are syntactically consistent, they do not actually constitute meanings or have opposite meanings. I have not been able to.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parsing training that conventional learning methods cannot have in such a way that a lot of sentences are encountered, a syntax structure is learned, and longer sentences are handled, which is an important process inherent to the nature of the language.

즉, 언어에서 누구나 문법을 도출할 수 는 있으나, 문법과 단어만으로 언어를 재구성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즉, 1+1=2를 공리로 두어 미적분이 유도될 수는 있겠으나, 미적분을 통해 공리를 증명하려는 것은 불가능하다. That is, anyone can derive grammar from a language, but it is impossible to reconstruct a language using only grammar and words. In other words, a calculus can be derived by setting 1 + 1 = 2 as axiom, but it is impossible to prove axiom through calculus.

본 발명 상의 파싱 훈련과 방법론은, 기존의 문법 과 해석을 통한 언어 습득에 비하여, 상기의 문법을 통한 언어 재구성 불가성에 비추어 볼 때, 보다 과학적인 훈련방법으로, 외국어를 의미파악 단계에 머무르는 단계로 습득하게 되는 기존의 해석 방식에 비하여, 사용자의 파싱 능력에 따라 문장이 제공되고, 향상을 검지하여 보다 높은 수준을 경험토록 하게 되므로, 외국어를 재구성하는 능력을 습득하는데에 우월한 특성을 가진다.The parsing training and methodolog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more scientific training method in view of the impossibility of language reconstruction through the grammar, compared to the existing language acquisition through grammar and interpretation. Compared with the existing interpretation method to be acquired, the sentence is provided according to the parsing ability of the user, and the improvement is detected so that a higher level of experience can be experienced, and thus, it is superior in acquiring the ability to reconstruct a foreign language.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어학 학습 시스템의 구성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language learning syste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인터넷 망을 이용한 네트워크 환경에서 제공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컴퓨터 또는 노트북과 같은 단말에 다운로드되어 설치되거나 전자사전, PMP, PDA, 이동 단말, 휴대 인터넷 단말 등의 전자기기에 임베디드되어 제공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모든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는 포괄적인 용어로 어학 학습 시스템이라 정의하기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rovided not only in a network environment using an internet network, but also downloaded and installed in a terminal such as a computer or a notebook or embedded in an electronic device such as an electronic dictionary, a PMP, a PDA, a mobile terminal, a portable internet terminal, and the like.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fined as a language learning system in a comprehensive term applicable to all the above embodiments.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구성도이다.1 is a system configuration diagram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어학 학습 시스템은 인터넷망을 이용한 네트워크 환경에서 제공되는 경우로서 학습자 단말(10)과 학습 관리 서버(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a language learning system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in a network environment using an internet network, and may include a learner terminal 10 and a learning management server 20.

여기서, 상기 학습자 단말(10)은 데스크탑, 노트북, 이동 단말 등 키 입력이 가능하고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단말은 무엇이나 가능하다.Here, the learner terminal 10 is capable of inputting a key such as a desktop, a notebook, a mobile terminal, and any terminal capable of accessing the Internet.

상기 학습자 단말(10)은 학습 관리 서버와 접속을 수행하는 클라이언트(120)와 어학 학습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 (130)과 문장 테스트를 위해 키 데이터를 입력하는 입력부(140)와 학습을 위한 비디오 및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하는 출력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learner terminal 10 includes a client 120 for accessing a learning management server, an application 130 for providing an interface for language learning, an input unit 140 for inputting key data for a sentence test, and learning for learning.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n output unit 150 for outputting video and audio data.

그리고 학습 관리 서버(20)는 학습자 단말의 접속을 허용하고 테스트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UI부(210)와 문장이 레벨 별로 구분되어 저장된 데이터 베이스(30)와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문장을 샘플링하여 테스트 문제를 제공하고, 설정된 개시 시간 동안만 상기 문장을 디스플레이하고, 학습자로부터 입력된 문장이 테스트 문장과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문장 트레이닝 관리부(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learning management server 20 samples the stored database 30 and the sentences stored in the database, in which the UI unit 210 and sentences that allow the access of the learner terminal and provide a user interface for a test are divided by levels.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sentence training management unit 40 to provide a test problem, display the sentence only for a set start time, and determines whether the sentence input from the learner matches the test sentence.

도 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구성도이다.2 is a system configuration diagram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어학 학습 시스템은 전자기기(50)에 임베디드되어 제공되는 경우로서, 학습자로부터 키입력을 받아 키데이터 를 생성하는 입력부(510)와 문장이 레벨 별로 구분되어 저장된 데이터 베이스(30)와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문장을 샘플링하여 테스트 문제를 제공하고, 설정된 개시 시간 동안만 상기 문장을 디스플레이하고, 학습자로부터 입력된 문장이 테스트 문장과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문장 트레이닝 관리부(40) 및 학습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해 오디오와 비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부(520) 및 전체 기기를 제어하는 제어부(5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language learning system according to the second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hen the language learning system is embedded in the electronic device 50, and receives an input unit 510 and a sentence for receiving key input from a learner and generating key data. A test problem is provided by sampling the stored database 30 and the sentences stored in the database by level, and displaying the sentence only during a set start time, and whether the sentence input from the learner matches the test sentence. It may include a sentence training management unit 40 for determining, an output unit 520 for outputting audio and video signals to provide an interface for learning, and a control unit 530 for controlling the entire device.

제 2 실시예에 따른 어학 학습 시스템은 전자기기에 임베디드된 펌웨어, 운영체제, 어플리케이션 레벨에서 구현될 수 있다.The language learning system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may be implemented at a firmware, an operating system, and an application level embedded in an electronic device.

상기 제 1 실시예는 시스템이 네트워크상의 학습자를 서버에서 관리하고, 상기 제 2 실시예는 전자기기에 임베디드되어 학습자 단위로 관리한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어학 학습 시스템의 구성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세부 구성 및 방법에 대하여 구분없이 통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The first embodiment is the same as the language learning system except that the system manages learners on a network in a server, and the second embodiment is embedded in an electronic device and managed in units of learners. The method will be described in an integrated manner.

본 발명에 따른 어학 학습 시스템은 데이터베이스(30)와 문장 트레이닝 관리부(40)로 구성된다.The language learn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atabase 30 and a sentence training manager 40.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베이스의 세부 블럭도이다.3 is a detailed block diagram of a databas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데이터베이스(30)는 문장들이 다수 개의 레벨로 구분되어 저장된 문장 저장부(320)와 학습자의 레벨 정보를 저장하는 학습자 정보 저장부(310)와 상기 문장 트레이닝 관리부를 통해 제공된 테스트 문제에 대해 학습자가 입력한 결과인 테스트 데이터를 저장하는 테스트 이력 저장부(3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the database 30 is provided through a sentence storage unit 320 and a learner information storage unit 310 for storing the learner's level information, in which sentences ar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levels, and the sentence training manager.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test history storage unit 330 for storing the test data that is the result of the learner input for the test problem.

그리고 상기 데이터베이스(30)는 단일기기로 구현 될 경우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혹은 핸드폰 공중망을 이용하는 경우로 실시될 수 있으며, 단일 기기의 실시예에서는 파일 시스템과 슬롯시스템에 탑재될 수 있고, 네트워크 어댑터와 핸드폰 공중망으로 이루어질 경우 단말과 달리 별도의 서버에 탑재될 수 있다.The database 30 may be implemented as a single device, a network interface, or a mobile phone public network. In an embodiment of the single device, the database 30 may be mounted in a file system and a slot system, and a network adapter and a mobile phone. If it is made of a public network, unlike the terminal may be mounted on a separate server.

상기 데이터베이스(30)의 문장 저장부(320)에 저장되는 문장은 문장의 길이와 어휘 및 형식을 고려하여 레벨을 구분할 수 있다.Sentences stored in the sentence storage unit 320 of the database 30 may be divided into levels in consideration of sentence length, vocabulary, and format.

예를 들어, 단어 또는 띄어쓰기 단위와 어퍼스트로피(')를 문장의 파싱단위를 계산하고, 즉 "단어 수", "띄어쓰기 개수 + 1", "띄어쓰기 개수 + 1 + 어퍼스토로피 개수" 등을 통해 파싱 수를 계산하고 상기 파싱 수에 따라 문장의 레벨을 구분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word or spacing unit and the apostrophe (') are calculated for the sentence parsing unit, that is, "word count", "number of spaces + 1", "number of spaces + 1 + number of apostrophes", etc. The parsing number can be calculated and the level of the sentence can b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parsing number.

I got away. 파싱 수 : 3개 (2개 띠어쓰기 + 1)I got away. Number of parses: 3 (2 stripe rewriting + 1)

I wasn't threre. 파싱 수 : 3개 (2개 띠어쓰기 + 1) 또는I wasn't threre. Number of parses: 3 (2 strips + 1) or

4개 (2개 띠어쓰기 + 1개 어퍼스트로피 + 1)                           4 (2 strips + 1 apostrophe + 1)

If you were there, then they wouldn't get fired. If you were there, then they wouldn't get fired.

파싱 수 : 9개 (8개 띠어쓰기 + 1) 또는                   Number of parses: 9 (8 strips + 1) or

10개 (9개 띠어쓰기 + 1개 어퍼스트로피 + 1)                            10 (9 Strips + 1 Apostrophe + 1)

여기서, 어퍼스트로피는 두개의 단어가 합쳐서 형성된 것이므로 하나의 파싱단위로 구분할 수 도 있고, 2개의 파싱단위로 구분할 수 있다. 또한, 쉼표의 수를 고려할 수 있다.Here, the apostrophe is formed by combining two words, and thus can be divided into one parsing unit or two parsing units. You can also consider the number of commas.

상기와 같이 파싱 수 만으로 문장의 레벨을 구분할 수 있지만, 상기 파싱 수 와 함께 단어의 레벨과 문법 및 문장의 형식을 고려하여 레벨을 구분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level of the sentence may be distinguished only by the number of parsing, but the level may be classified in consideration of the word level, the grammar, and the sentence form together with the number of parsing.

상기 단어는 생활영어, 중학수준, 고교수준, 토플 수준, 토익 수준, GRE 수준 등으로 난이도 구분이 가능하고, 문법도 상대적으로 쉬운 문법(예를 들어, To 부정사)과 어려운 문법(예를 들어, 관계사)으로 구분이 가능하고, 문장의 형식 역시 쉬운 형식(1형식)과 어려운 형식(5형식)으로 구분이 가능하므로 상기 파싱 수와 함께 단어, 문법, 문장 형식을 함께 고려하여 문장의 레벨을 구분할 수 있다.The words can be divided into difficulty levels such as living English, middle school level, high school level, TOEFL level, TOEIC level, GRE level, and grammar is relatively easy grammar (for example, To infinitive) and difficult grammar (for example, Related sentences), and the sentence form can be divided into easy form (1 form) and difficult form (5 form), so that the level of sentences can be classified by considering the word, grammar, and sentence form together with the number of parsing. Can be.

예를 들어, 최하위 레벨의 경우 파싱 수 4개 이하, 단어수준은 생활영어 수준, 문장 형식은 1형식으로 된 문장으로 구성하고, 차 상위 레벨은 파싱 수 4개 ~ 7개 사이, 단어수준은 중학 3500 검정단어, 문장형식은 1형식, 2형식으로 된 문장으로 구성하는 방식등으로 문장 레벨을 구분할 수 있다.For example, at the lowest level, the number of parsing is 4 or less, the word level is composed of living English level, the sentence form is one sentence, the upper level is between 4 and 7 parsing, and the word level is middle school. 3500 words and sentence types can be divided into sentence types, such as a sentence composed of 1 form, 2 forms.

상기 문장 트레이닝 관리부(40)는 상기 데이터 베이스(30)에 저장된 문장 중 학습자 레벨에 따라 샘플링을 통해 테스트 문장을 추출하여 테스트 문제를 제공하는 테스트 문장 추출모듈(410)과 상기 테스트 문장의 개시 시간을 설정하고, 설정된 개시 시간 동안 만 상기 테스트 문장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고, 학습자로부터 입력된 결과가 상기 제공된 테스트 문장과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학습 제어 모듈(4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The sentence training manager 40 extracts a test sentence through sampling based on a learner level among sentences stored in the database 30 and provides a test sentence extraction module 410 for providing a test problem and a start time of the test sentence. And a learning control module 420 configured to control the test sentence to be displayed only during a set start time, and determine whether a result input from a learner matches the provided test sentence.

여기서, 상기 개시 시간은 테스트 문장이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시간을 의미하고, 상기 개시시간은 학습자의 평균 타자 속도에 따라 문장을 모두 입력할때 소요되는 시간보다 작은 시간으로 설정된다.Here, the start time means a time when the test sentence is displayed on the screen, and the start time is set to a time smaller than the time required for inputting all the sentences according to the average typing speed of the learner.

이를 위해 상기 학습 제어 모듈은 학습자로부터 샘플 문장을 제공하고, 학습 자로부터 상기 샘플 문장에 대한 평균 타자속도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평균 타자속도에 따라 문장을 모두 입력할 때 소요되는 입력소요시간을 산출하고, 상기 입력소요시간 보다 작은 시간을 문장 개시 시간으로 설정한다.To this end, the learning control module provides a sample sentence from the learner, measures the average typing speed for the sample sentence from the learner, and inputs the time required for inputting all the sentences according to the measured average typing speed. It calculates and sets time shorter than the said input time as a sentence start time.

여기서, 상기 문장 개시 시간은 상기 입력소요시간보다 작게 설정하면 되며, 학습효과를 높이기 위해서 입력소요시간보다 5~ 90% 작게 설정될 수 있다. 상기 문장 개시 시간은 문장 레벨의 수준과 학습자의 이해 정도를 고려하여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언어 재구성 및 파싱 능력이 뛰어난 레벨이 높은 학습자는 문장 개시 시간이 작더라도 전체 문장을 입력할 수 있지만, 레벨이 낮은 학습자는 문장 개시 시간이 길더라도 문장을 입력하기 어려우므로 학습자 레벨을 고려하여 상기 문장 개시 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Here, the sentence start time may be set smaller than the input time, and may be set to 5 to 90% smaller than the input time in order to increase the learning effect. The sentence start time may be selected in consideration of the level of the sentence level and the degree of understanding of the learner. For example, a high level learner who has excellent language reconstruction and parsing ability can input the entire sentence even if the sentence start time is small. However, a low level learner can consider the learner level because it is difficult to enter a sentence even if the sentence start time is long. The sentence start time can be set.

예를 들어, 20글자 짜리 문장을 5초만에 입력하였을 경우, 학습자의 타자수는 분당 240타가 된다. 학습자의 평균 타자수가 분당 240타로 측정된 경우 문장이 16글자인 경우 문장을 모두 입력하는데 소요되는 입력소요시간은 4초가 되고, 문장 개시 시간은 상기 4초보다 작은 시간, 예를 들어 3초로 설정될 수 있다.For example, if a 20-character sentence is entered in 5 seconds, the learner's typing is 240 strokes per minute. When the average typing number of learners is measured at 240 strokes per minute, when the sentence is 16 characters, the input time required to input all the sentences is 4 seconds, and the sentence start time is set to be less than 4 seconds, for example, 3 seconds. Can be.

따라서, 문장 개시 시간을 하기의 식으로부터 산출될 수 있다.Therefore, the sentence start time can be calculated from the following equation.

문장 개시 시간 = {(문장의 글자수 × 60초) / 평균 분당 타자수} × ▽Sentence start time = {(text length × 60 seconds) / average typing per minute} × ▽

여기서, ▽는 0이상 1보다 작은 수이다. 예를 들어, ▽는 0.1 ~ 0.95 범위에 분포할 수 있으며 문장의 레벨, 단어수준, 파싱 수, 문법 수준, 학습자의 수준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선택될 수 있다.Is a number greater than or equal to zero and less than one. For example, ▽ may be distributed in the range of 0.1 to 0.95 and may be selected by comprehensively considering the sentence level, word level, parsing number, grammar level, learner level, and the like.

상기와 같이 입력소요시간 보다 작은 문장개시시간을 설정하는 이유는 인간 의 언어처리 절차중 단어의 배열기역은 음성기억과 보조를 맞추게되고, 언어 재구성 과정을 거쳐야 하기 때문에 상기 보조과정과 언어 재구성 과정을 거친 문장만 단기 암기하여 문장을 입력할 수 있게 된다. The reason for setting the sentence start time smaller than the input time as described above is that since the arrangement of words in the human language processing procedure keeps pace with the voice memory and goes through the language reconstruction process, the auxiliary process and the language reconstruction process are performed. Only a rough sentence can be memorized in a short time to enter a sentence.

따라서, 언어 재구성이 가능하도록 이해가 된 문장의 경우 입력소요시간 보다 작게 문장개시시간을 설정한다 하더라도 입력이 가능하지만, 이해가 되지 않은 문장의 경우 입력에 실패하게 된다.Therefore, in the case of a sentence understood to be able to reconstruct the language, even if the sentence start time is set smaller than the input time, input is possible, but in case of a sentence that is not understood, the input fails.

즉, 인간의 언어지능 과정상 이해가 되지 않은 문장의 정보처리 기대순서상 단어 배열 절차를 갖지 않는 현상 때문에 입력 능력보다 짧은 시간동안 문장이 개시될 경우 사용자는 입력에 성공하지 못하게 되는 것이다.In other words, if a sentence is started for a shorter time than the input ability, the user may not be able to input successfully due to the phenomenon of not having a word arrangement procedure in the information processing expected order of a sentence that is not understood by the human language intelligence process.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학습자가 언어입력 과정에서 언어 재구성을 위한 파싱과 관련한 특별한 학습 목표나 학습기술을 갖지 않은 일반적인 사용자가 일반적인 학습방법인 도서의 독해 과정으로는 도달할 수 없는 언어 재구성에 필수적인 파싱 경험을 제공하여 외국어 습득상 언어출력과정, 즉 말하기와 쓰기에 직접적인 효과를 얻게 된다.Through the above process, the learner does not have special learning objectives related to parsing the language in the language input process, and parsing is essential for language reconstruction that is not reachable by the reading process of books, which is a general learning method for a general user. The experience provides a direct effect on the language output process, ie speaking and writing.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어학 학습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고, 도 5는 도 4에 따른 예시도이다.4 is a flowchart schematically showing a language learning metho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n exemplary view according to FIG. 4.

도 4 및 5를 참조하면, 먼저 학습자가 어학 학습을 위해 사용자 정보를 로딩한다.4 and 5, a learner first loads user information for language learning.

여기서, 상기 제 1 실시예의 경우 학습자가 학습자 단말을 통해 상기 학습 관리 서버에 접속하고, 학습자 인증을 위한 로그인 과정을 통해 어학 학습 서비스 를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로그인 과정에서 공인기관의 인증키를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기기에 임베디드된 제 2 실시예의 경우 키입력에 의해 내장된 어학 학습 시스템을 활성화한다. Here, in the case of the first embodiment, a learner may access the learning management server through a learner terminal and use a language learning service through a login process for learner authentication. Here, the authentication key of the authorized authority may be used in the login process. In the second embodiment embedded in the electronic device, the embedded language learning system is activated by key input.

이어서 학습자를 식별(식별코드 0110)하고, 데이터베이스의 학습자 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학습자의 레벨 정보(2단계)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Next, the learner is identified (identification code 0110), and it is checked whether there is the learner level information (step 2) stored in the learner information storage unit of the database.

데이터베이스에 학습자 레벨 정보가 있는 경우 상기 테스트 문장 추출모듈은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학습자 레벨 정보를 분석하여 학습자 레벨에 포함된 문장 중에서 샘플링하여 테스트 문장을 추출하여 테스트 문제를 학습자에게 제공한다.When the learner level information is present in the database, the test sentence extraction module analyzes the learner level information stored in the database, extracts test sentences by sampling among sentences included in the learner level, and provides a test problem to the learner.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테스트 문장 추출모듈은 학습자 레벨에 포함된 문장 중에서 샘플링하여 테스트 문장을 추출하여 문장 리스트를 생성하고, 상기 문장 리스트가 생성되면 상기 문장 리스트에 포함된 문장이 순차적으로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한다.More specifically, the test sentence extraction module generates a sentence list by extracting a test sentence by sampling among sentences included in the learner level, and when the sentence list is generated, the sentences included in the sentence list are sequentially displayed on the screen. To control.

상기와 같이 테스트 문장이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면 학습자가 상기 문장을 입력수단을 통해 동일하게 입력한다. 여기서, 상기 입력수단은 키보드, 키패드, 마우스, 터치스크린 등 자판을 구성할 수 있는 모든 입력수단을 포함한다.When the test sentence is displayed on the screen as described above, the learner inputs the sentence in the same manner through the input means. Here, the input means includes all the input means that can configure a keyboard, such as a keyboard, a keypad, a mouse, a touch screen.

상기와 같은 학습자의 입력 중 학습자의 타자 속도에 따라 설정된 문장 개시 시간이 종료되면 상기 문장을 화면에서 소거한다.When the sentence start time set according to the learner's typing speed is finished, the sentence is deleted from the screen.

상기 문장이 화면에서 소거되면, 학습자는 의미 재구성을 위한 파싱 과정을 통해 소거된 후 입력하지 못했던 나머지 문장을 완성한다.When the sentence is erased from the screen, the learner completes the remaining sentence that was not input after being erased through a parsing process for reconstruction of meaning.

여기서, 학습자는 테스트 문장이 주어지면 타자 입력과 함께 주어진 문장을 크게 읽으면서 학습할 경우 파싱 효과를 증가시킬 수 있다. Here, when a learner is given a test sentence, the learner may increase the parsing effect when learning while reading the sentence given with the typing input.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학습자 입력이 종료되면 학습 제어 모듈은 입력된 문장이 테스트 문장과 일치하는지 여부를 비교하여 정답 또는 오답을 판단한다.When the learner input is terminated through the above process, the learning control module compares whether the input sentence matches the test sentence and determines a correct answer or a wrong answer.

그리고 모든 문장 리스트에 포함된 문장에 대한 테스트가 종료되면, 학습 제어 모듈이 상기 학습자로부터 입력된 테스트 결과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테스트 답의 정답률을 체크하여 레벨의 다운그레이드, 유지, 업그레이드 여부를 결정하게 된다.When the test for the sentences included in all sentence lists is finished, the learning control module stores the test results input from the learner in a database, and checks the correct answer rate of the test answers to determine whether the level is downgraded, maintained, or upgraded. You decide.

예를 들어, 타자 속도와 정답률이 평균 타자 속도 이상이면서 설정된 값을 초과할 경우 학습자 문장레벨을 업그레이드 시키고, 평균 타자 속도 또는 정답률이 설정된 값 이하인 경우에는 학습자 문장 레벨을 다운 그레이드 시킬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batter speed and the correct answer rate exceeds the average batter speed and exceeds the set value, the learner sentence level may be upgraded. If the batter speed or the correct answer rate is less than the set value, the learner sentence level may be downgraded.

구체적인 예로, 학습자의 평균 타자 속도가 300타이고, 업그레이드를 위한 정답률이 90%인 경우 학습자의 테스트 결과 타자속도가 300타 이상이고, 정답률이 90%이상인 경우 문장레벨을 업그레이드 시키고, 이하인 경우에는 현재 레벨을 유지한다.For example, if the learner's average typing speed is 300 typing and the correct answer rate for upgrading is 90%, the learner's test result is more than 300 typing, and if the correct answer rate is 90% or more, the sentence level is upgraded. Keep your level.

또한, 다운그레이드를 위한 기준이 평균 타자 속도 -20, 정답률 70% 이하로 설정된 경우 테스트 결과 타자속도가 280타 이하거나, 정답률이 70%이하인 경우 학습자의 문장레벨을 다운그레이드 시킨다. In addition, if the criterion for downgrading is set to an average typing speed of -20 and a correct answer rate of 70% or less, the test result downgrades the learner's sentence level if the typing speed is 280 or less, or 70% or less.

상기 레벨 업 그레이드와 다운 그레이드를 위한 기준은 각 레벨마다 다르게 설정될 수 있으며, 문장 수준과 각 레벨에 포함된 문장 개수를 고려하여 임의적으 로 결정될 수 있다.The criteria for the level upgrade and the downgrade may be set differently for each level, and may be arbitrarily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sentence level and the number of sentences included in each level.

상기와 같이 레벨이 결정되면 상기 테스트 결과인 테스트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의 테스트 이력저장부에 저장한다. When the level is determined as described above, the test data, which is the test result, is stored in the test history storage unit of the database.

여기서, 상기 테스트 데이터는 학습자 식별코드, 테스트 일자, 아는문장 리스트, 모르는 문장 리스트, 학습자 레벨 등의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Here, the test data may include information such as a student identification code, a test date, a list of known sentences, a list of unknown sentences, a learner level, and the like.

따라서, 학습자는 상기 테스트 이력 저장부에 저장된 테스트 이력을 확인할 수 있으며 실력 향상과정 및 성취도 등을 분석할 수 있다.Therefore, the learner can check the test history stored in the test history storage unit and can analyze the progress of improvement and achievement.

만일 데이터베이스에 학습자 레벨 정보가 없는 경우 학습자의 타자속도를 측정하기 위해 타자 테스트 문장을 학습자에게 제공한다. 여기서, 타자 테스트 문장 제공시에는 문장 개시 시간이 적용되지 않는다.If there is no learner level information in the database, a learner test sentence is provided to the learner to measure the learner's typing speed. Here, the sentence start time is not applied when the typing test sentence is provided.

상기 타자 테스트 문장의 입력을 통해 학습 제어 모듈은 학습자의 분당 타자수를 측정하고, 이에 따른 문장 개시 시간을 산출한다. Through the input of the typing test sentence, the learning control module measures the number of typing per minute of the learner and calculates a sentence start time accordingly.

이어서, 상기 테스트 문장 추출모듈은 최하 레벨에서 최상 레벨까지 순차적으로 테스트 문장을 추출하여 학습자에게 제공한다. Subsequently, the test sentence extraction module sequentially extracts test sentences from the lowest level to the highest level and provides them to the learner.

보다 구체적으로, 최하위 레벨의 문장 중 샘플링하여 테스트 문장을 추출하고, 학습자로부터 입력을 수신하여 상기 학습 제어 모듈에 의한 테스트 판단 결과 설정된 레벨 업 기준을 넘지 못할 경우 학습자를 최하위 레벨로 판정하고, 설정된 레벨 업 기준을 넘을 경우 다음 상위 레벨의 문장 중 샘플링하여 테스트 문장을 추출하는 과정을 반복하여 학습자의 레벨을 판정하게 된다. More specifically, the test sentence is extracted by sampling among the sentences of the lowest level, and when the input from the learner does not exceed the set up criteria as a result of the test determination by the learning control module, the learner is determined as the lowest level, and the set level. When the up criterion is exceeded, the learner's level is determined by repeating the process of extracting a test sentence by sampling among the sentences of the next higher level.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이탈함이 없이 당해 발명에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해당 처리 절차의 순서를 변경하거나, 이에 따라 구성요소가 위치할 하드웨어의 종류를 변경하는 등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specific embodiments, any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belong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invention claimed in the claims, the order of the processing procedure Various changes may be made, such as changing the type of hardware on which the component is to be located.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구성도이다.1 is a system configuration diagram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구성도이다.2 is a system configuration diagram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베이스의 세부 블럭도이다.3 is a detailed block diagram of a databas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어학 학습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고, 도 5는 도 4에 따른 예시도이다.4 is a flowchart schematically showing a language learning metho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n exemplary view according to FIG. 4.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0 : 학습자 단말 20 : 학습 관리 서버10: learner terminal 20: learning management server

30 : 데이터베이스 310 : 학습자 정보 저장부30: database 310: learner information storage unit

320 : 문장 저장부 330 : 테스트 이력 저장부320: sentence storage unit 330: test history storage unit

40 : 문장 트레이닝 관리부 410 : 테스트 문장 추출모듈40: sentence training management unit 410: test sentence extraction module

420 : 학습 제어 모듈420: learning control module

Claims (10)

문장이 레벨 별로 구분되어 저장된 데이터 베이스; 및A database in which sentences are classified and stored for each level; And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문장 중 샘플링을 통해 테스트 문장을 추출하여 테스트 문제를 제공하는 테스트 문장 추출모듈과, A test sentence extraction module for providing a test problem by extracting a test sentence through sampling among sentences stored in the database; 상기 테스트 문장의 문장 개시 시간을 설정하고, 설정된 문장 개시 시간 동안 만 상기 테스트 문장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고, 학습자로부터 입력된 결과가 상기 제공된 테스트 문장과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학습 제어 모듈을 포함하는 문장 트레이닝 관리부를 포함하고, A sentence including a learning control module for setting a sentence start time of the test sentence, controlling the test sentence to be displayed only during the set sentence start time, and determining whether a result input from a learner matches the provided test sentence Including training management, 상기 학습 제어 모듈은 학습자에게 샘플 문장을 제공하고, 학습자로부터 상기 샘플 문장에 대한 평균 타자속도를 측정하고, 상기 타자속도에 따라 문장을 입력할 시간보다 빠른 시간을 문장 개시 시간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학 학습 시스템.The learning control module provides a sample sentence to a learner, measures an average typing speed of the sample sentence from the learner, and sets a time earlier than a time for inputting a sentence according to the typing speed as the sentence start time. Language learning system.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데이터 베이스는The database is 학습자의 레벨 정보를 저장하는 학습자 정보 저장부와;A learner information storage unit for storing learner level information; 문장들이 다수 개의 레벨 별로 구분되어 저장된 문장 저장부와;A sentence storage unit for storing sentence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levels; 상기 문장 트레이닝 관리부를 통해 제공된 테스트 문제에 대해 학습자가 입력한 결과인 테스트 데이터를 저장하는 테스트 이력 저장부를 포함하는 어학 학습 시스템.And a test history storage unit configured to store test data which is a result of a learner inputting a test problem provided through the sentence training manager.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테스트 문장 추출모듈은The test sentence extraction module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학습자 레벨 정보를 추출하여 학습자 레벨에 포함된 문장 중에서 샘플링하여 테스트 문장을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학 학습 시스템. And extracting the learner level information stored in the database to sample test sentences from the sentences included in the learner level.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학습 제어 모듈은 The learning control module 상기 타자속도에 따라 문장을 입력할 시간보다 10 ~ 95% 범위 중 선택된 비율만큼 작은 시간을 개시시간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학 학습 시스템.The language learn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for setting the start time to a time smaller than the selected ratio of 10 ~ 95% range than the time to enter the sentence according to the typing speed.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학습 제어 모듈은 The learning control module 학습자의 타자속도를 체크하여 타자속도가 향상되거나 감소한 경우 상기 개시시간을 타자속도가 향상되거나 감소한 만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학 학습 시스템.Checking the learner's typing speed, if the typing speed is improved or decreased, the language learn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for adjusting the start time as the typing speed is increased or decreased.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학습 제어 모듈은The learning control module 학습자가 입력한 문장과 상기 테스트 문장을 비교하여 일치할 경우 정답으로 일치하지 않을 경우 오답으로 판단하고, 상기 정답과 오답을 구분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학 학습 시스템.The language learn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learner compares the input sentence and the test sentence is matched, if it is not the correct answer is determined as the wrong answer, and the correct answer and the wrong answer is stored in the database. 제 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학습 제어 모듈은The learning control module 상기 학습자의 테스트 결과 타자속도가 학습자의 평균 타자속도 이상이면서 정답률이 설정된 값 이상인 경우 상위 레벨로 학습자 레벨을 업그레이드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학 학습 시스템.The language learn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for upgrading the learner level to a higher level when the typing speed of the learner is more than the learner's average typing speed and the correct answer rate is above the set value. 제 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학습 제어 모듈은 The learning control module 학습자가 처음 접속한 경우 테스트 문장을 제공하여 학습자의 평균 타자속도를 측정하고, 최하위 레벨의 문장을 추출하여 테스트 문제를 출제하고, 학습자의 평균 타자속도 이상이면서 정답률이 설정된 값 이상인 경우 상위 레벨의 문장으로 테스트 문제를 출제하는 과정을 반복하여 학습자의 레벨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학 학습 시스템.When the learner accesses for the first time, the test sentence is provided to measure the learner's average typing speed, the lowest level sentence is extracted, and the test question is asked. Language learn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o set the level of learners by repeating the process of questions to test questions.
KR1020090019179A 2009-03-06 2009-03-06 Systme for learning languages by training sentence KR10093191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9179A KR100931913B1 (en) 2009-03-06 2009-03-06 Systme for learning languages by training senten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9179A KR100931913B1 (en) 2009-03-06 2009-03-06 Systme for learning languages by training senten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31913B1 true KR100931913B1 (en) 2009-12-15

Family

ID=416842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9179A KR100931913B1 (en) 2009-03-06 2009-03-06 Systme for learning languages by training senten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1913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679122A (en) * 2016-03-20 2016-06-15 郑州航空工业管理学院 Multifunctional college English teaching management system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20480A (en) * 2003-08-23 2005-03-04 최항 language studying typing game system use internet
KR100532225B1 (en) * 2004-09-09 2005-12-01 주식회사 아이비티코리아 A study apparatus using network and the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20480A (en) * 2003-08-23 2005-03-04 최항 language studying typing game system use internet
KR100532225B1 (en) * 2004-09-09 2005-12-01 주식회사 아이비티코리아 A study apparatus using network and the method thereof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679122A (en) * 2016-03-20 2016-06-15 郑州航空工业管理学院 Multifunctional college English teaching management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78650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calable educational content
Liu et al. Learning a tonal language by attending to the tone: An in vivo experiment
Rello et al. A computer-based method to improve the spelling of children with dyslexia
US20170287356A1 (en) Teaching systems and methods
US10546508B2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ed literacy assessment
BR112015020314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language learning
Siegelman Statistical learning abilities and their relation to language
Rauschenberger et al. Technologies for dyslexia
Ke et al. Strategy use in L2 Chinese reading: The effect of L1 background and L2 proficiency
KR100995847B1 (en) Language training method and system based sound analysis on internet
KR20150126176A (en) A word study system using infinity mnemotechniques and method of the same
US20120323556A1 (en) System and method for using pinyin and a dynamic memory state for modifying a hanyu vocabulary test
KR101984063B1 (en) System for learning the english
KR20190107540A (en) Learning System of Foreign Languages and Learning Method thereof
KR100931913B1 (en) Systme for learning languages by training sentence
Li et al. The role of segmental and tonal information in visual word recognition with learners of Chinese
Alsunaidi et al. Abjad: Towards interactive learning approach to arabic reading based on speech recognition
KR101215405B1 (en) System judging word proficiency
KR20120078453A (en) System for english teaching
Troussas et al. NLP-based error analysis and dynamic motivation techniques in mobile learning
KR20160103660A (en) Foreign language learning system and method using the personalized level of repeat cycle
KR20150036954A (en) Dictation study and scoring Method using Application
Rauschenberger Early screening of dyslexia using a language-independent content game and machine learning
KR101075990B1 (en) System and Method for Studying of Language Using Automatic Synchronized Memorization, Recording Medium Therefor
KR20170034802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learning contents using binary princip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