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1862B1 - 소형 문서 탈산장치 - Google Patents

소형 문서 탈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1862B1
KR100931862B1 KR1020090052018A KR20090052018A KR100931862B1 KR 100931862 B1 KR100931862 B1 KR 100931862B1 KR 1020090052018 A KR1020090052018 A KR 1020090052018A KR 20090052018 A KR20090052018 A KR 20090052018A KR 100931862 B1 KR100931862 B1 KR 1009318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mber
tank
deoxidation
liquid
docu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20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두원
정일진
Original Assignee
(주)센추리이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센추리이씨 filed Critical (주)센추리이씨
Priority to KR10200900520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186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18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18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5/00After-treatment of paper not provided for in groups D21H17/00 - D21H23/00
    • D21H25/18After-treatment of paper not provided for in groups D21H17/00 - D21H23/00 of old paper as in books, documents, e.g. restoring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5/00After-treatment of paper not provided for in groups D21H17/00 - D21H23/00
    • D21H25/02Chemical or biochemical treatmen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rying Of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탈산액을 이용하여 산성화된 문서를 탈산 처리하는 문서 탈산장치에 관한 기술로서, 기존의 대량 탈산장비와는 구별되고 소형으로 제작이 가능하여 소규모의 도서관ㆍ교육기관ㆍ언론기관ㆍ관공서 등에 적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 여건에 따라 쉽게 운반하여 사용할 수 있는 소형 문서 탈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요 구성은 개폐되는 도어가 구비된 본체와; 상기 본체에서 도어로 밀폐되고, 문서가 투입되어 탈산액에 침수되는 챔버와; 상기 챔버에 수용되는 탈산액이 저장되고, 저장된 탈산액을 주기적으로 혼합하는 혼합노즐이 구비된 탈산액탱크와; 상기 탈산액탱크에서 탈산액을 펌핑하여 챔버와 혼합노즐에 공급하는 펌프와; 상기 챔버로 건조 열풍을 공급하여 문서를 건조하고, 건조과정에서 증발된 탈산액을 응축하여 회수하는 회수유닛과; 상기 회수유닛의 증발기에 냉매를 공급하는 냉각기와; 상기 펌프와 회수유닛 및 냉각기의 작동을 제어하여 챔버로 탈산액을 공급 및 순환시키는 한편 탈산액탱크에 저장된 탈산액을 주기적으로 혼합하고, 챔버에서 탈산액을 회수하는 콘트롤러;를 포함한다.
문서, 탈산, 회수, 탈산액, 증발기, 챔버(chamber), 히터, 펌프

Description

소형 문서 탈산장치{Apparatus for the deacidification of library materials}
본 발명은 탈산액을 이용하여 산성화된 문서를 탈산 처리하는 문서 탈산장치에 관한 기술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산성화된 문서를 챔버(chamber) 안에 넣고 탈산액으로 침수시킨 다음, 탈산액을 일정시간 지속적으로 순환시켜 문서의 탈산효율을 높이는 한편 탈산과정이 완료된 후, 챔버 안에 수용된 탈산액을 회수하고, 건조 열풍으로 문서를 건조하면서 증발되는 탈산액을 응축하여 회수함에 따라 탈산액의 회수효율을 최대한으로 높여 유지비용을 대폭 절감하며, 특히 소형으로 제작이 가능하여 소규모의 도서관ㆍ교육기관ㆍ언론기관ㆍ관공서 등에 적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 여건에 따라 쉽게 운반하여 사용할 수 있는 소형 문서 탈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책이나 잡지ㆍ신문ㆍ기록문서 등을 보관하고 있는 도서관, 관공서, 교육기관, 언론기관, 문서보관소 등은 오랜 시간이 경과하면서 문서의 종 이가 변질되는 것에 대하여 많은 고심을 하고 있으며, 특히 오랜 세월이 지난 고서(古書)나 중요 기록문서를 더 이상 변질되지 않도록 현 상태를 유지하여 보관한다는 것은 매우 어려운 실정이다.
이와 같이 시간이 경과하면서 문서가 변질되는 원인은, 첫째 문서를 이루고 있는 종이의 재질이 변질되기 쉬운 섬유질로 이루어져 있으며, 둘째 종이의 제조과정에서 이물질이 필연적으로 포함되고, 셋째 대기 오염이나 자연광 또는 인공광의 노출과 미생물 또는 세균의 침투 및 물리적 접촉 등에 의한 환경조건 등이 있다.
상기의 원인 중에서 섬유질 종이가 변질되는 가장 큰 이유는 섬유질에 포함되어 있는 산성물질에 의한 산성화로서, 이 산성화에 의해 종이의 섬유질 구조가 파괴되어 부서지기 쉽거나 변색됨으로써, 수 백년 동안 유지될 수 있는 종이가 수년을 유지하기 어렵게 되는데, 이러한 산성물질은 바로 종이의 섬유질을 만드는 공정과 대기오염이 주요 원인이다.
즉, 나무펄프의 섬유질에서 만들어지는 종이를 불투명하게 하거나 종이로서 사용하기에 충분한 재질을 갖도록 하기 위해서는 대부분 다양한 화학물질로 처리해야 하는데, 특히 채취된 나무펄프 섬유질의 침전에는 산을 사용하는 방법이 쓰이고 있다. 이에 따라 완성된 종이의 조직속에는 산화물이 남아 있어 시간의 경과에 따라 산성화가 진행되는데, 이러한 섬유질의 산성화는 대기오염에 의해 더욱 가속화 된다. 예컨대, 대기 중에는 산을 형성하기 위한 가수분해 가능한 유황, 질소 및 탄소산화물 등의 화학물질들이 다량 포함되어 있는 바, 이러한 대기중의 화학물질들이 본래부터 산성화된 종이의 변질을 더욱 가속화시킬 뿐만 아니라 본래 알카리성 이거나 중성인 종이가 산성화되는 조건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대기오염에 의한 산성화는 도심에 위치한 도서관이나 문서보관소 등은 장기적인 문제가 되겠지만, 대기오염이 심각한 공업지역이나 이에 인접한 곳에서는 매우 심각한 문제가 아닐 수 없다.
한편 종이의 변질을 막는 방법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는데, 하나는 종이에 현존하고 있는 산성조건을 중화시키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오랜 시간동안 제공되고 있는 산성화 조건을 중화시키는 것으로서, 이러한 방법으로 문서를 탈산 용액으로 약품 처리함으로써 산성화를 방지하는 방법이 이용되고 있는데, 지금까지는 단순히 수작업에 의해 탈산처리 용액을 문서에 일일이 분무하는 방법에 의존하고 있었다.
종래 수작업에 의존하여 실시되었던 문서의 탈산방법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국내 등록특허 제10-0354565호(문서탈산처리장치)와, 등록특허 제10-0817032호(문서탈산장치)가 선등록되어 제안된 바 있다.
상기의 선행기술 중에서 후자(문서탈산장치)는 본 출원인이 개발하여 등록된 선행기술로서, 복수개의 챔버(chamber)를 이용하여 동시 다발적으로 다량의 문서를 한꺼번에 탈산시키는 한편 문서에 탈산액의 침투가 용이하도록 문서를 탈산액에 침수시켜 탈산 처리하며, 특히 챔버를 가열 및 진공시켜서 탈산액에 침수되었던 문서를 건조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의 선행기술은 복수개의 챔버를 적용하여 다량의 문서를 한꺼번에 탈산시키는 장점과, 문서를 탈산액에 침수시켜 탈산액의 침투효과가 우수하고 챔버를 가열 및 진공시켜 문서를 건조하면서 증발된 탈산액을 회수하는 장점이 있으나, 복수개의 챔버를 가열 및 진공상태로 만들기 위하여 별도의 가열장치와 진공장치가 필요함에 따라 상대적으로 탈산장치의 부피가 크고, 구조가 복잡할 뿐만 아니라 제작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실정이다.
따라서, 선행기술로 제안된 문서탈산장치는 탈산용량이 대형이고, 구입과 유지관리에 고비용이 소요됨에 따라 대규모의 도서관ㆍ박물관ㆍ문서보관소 등에는 적용이 가능하나, 소규모의 도서관ㆍ교육기관ㆍ언론기관ㆍ관공서 등에는 적용이 어려운 문제점들이 있었다.
본 발명은 종래 문서 탈산장치의 선행기술에 따른 문제점들을 개선하고자 안출된 기술로서, 산성화된 문서를 챔버 안에 넣고 탈산액으로 침수시킨 다음, 문서의 탈산효율을 높이고자 탈산액을 일정시간 지속적으로 순환시키는 한편 탈산액의 회수효율을 최대한으로 높여 유지비용을 절감하고자 탈산과정이 완료된 후, 챔버 안에 수용된 탈산액을 회수하고 건조 열풍으로 문서를 건조하면서 증발되는 탈산액을 응축하여 회수하며, 특히 소형으로 제작하여 소규모의 도서관ㆍ교육기관ㆍ언론기관ㆍ관공서 등에 적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 여건에 따라 쉽게 운반하여 사용할 수 있는 소형 문서 탈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소기의 목적을 실현하고자,
개폐되는 도어가 구비된 본체와; 상기 본체에서 도어로 밀폐되고, 문서가 투입되어 탈산액에 침수되는 챔버와; 상기 챔버에 수용되는 탈산액이 저장되고, 저장된 탈산액을 주기적으로 혼합하는 혼합노즐이 구비된 탈산액탱크와; 상기 탈산액탱크에서 탈산액을 펌핑하여 챔버와 혼합노즐에 공급하는 펌프와; 상기 챔버로 건조 열풍을 공급하여 문서를 건조하고, 건조과정에서 증발된 탈산액을 응축하여 회수하는 회수유닛과; 상기 회수유닛의 증발기에 냉매를 공급하는 냉각기와; 상기 펌프와 회수유닛 및 냉각기의 작동을 제어하여 챔버로 탈산액을 공급 및 순환시키는 한편 탈산액탱크에 저장된 탈산액을 주기적으로 혼합하고, 챔버에서 탈산액을 회수하는 콘트롤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산성화된 문서를 챔버 안에 넣고 탈산액으로 침수시킨 다음, 탈산액을 일정시간 지속적으로 순환시켜 탈산액의 침투효과로 문서의 탈산효율을 높이는 한편 탈산과정이 완료된 후, 챔버 안에 수용된 탈산액을 1차 회수하고, 건조 열풍으로 챔버와 문서를 건조하면서 증발되는 탈산액을 응축하여 2차 회수함에 따라 탈산액의 회수효율을 최대한으로 높여 유지비용을 대폭 절감하는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는 구조가 간단한 소형으로 제작이 가능하여 구입비용이 저렴하고, 부피가 작으므로 소규모의 도서관ㆍ교육기관ㆍ언론기관ㆍ관공서 등에 적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 여건에 따라 쉽게 운반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도면에 도시한 도 1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주된 요지는 문서의 탈산효율을 높이고자 문서를 챔버 안에 넣고 탈산액으로 침수시킨 다음, 탈산액을 일정시간 지속적으로 순환시 키는 한편 탈산액의 회수효율을 높이고자 탈산과정이 완료된 후, 챔버 안에 수용된 탈산액을 1차 회수하고 건조 열풍으로 챔버와 문서를 건조하면서 증발되는 탈산액을 응축하여 2차 회수하며, 특히 소형으로 제작하여 소규모의 도서관ㆍ교육기관ㆍ언론기관ㆍ관공서 등에 적용될 수 있는 문서 탈산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형 문서 탈산장치의 주요 구성을 살펴보면, 개폐되는 도어(11)가 구비된 본체(10)와; 상기 본체(10)에서 도어(11)로 밀폐되고, 문서가 투입되어 탈산액에 침수되는 챔버(20)와; 상기 챔버(20)에 수용되는 탈산액이 저장되고, 저장된 탈산액을 주기적으로 혼합하는 혼합노즐(36)이 구비된 탈산액탱크(30)와; 상기 탈산액탱크(30)에서 탈산액을 펌핑하여 챔버(20)와 혼합노즐((36)에 공급하는 펌프(40)와; 상기 챔버(20)로 건조 열풍을 공급하여 문서를 건조하고, 건조과정에서 증발된 탈산액을 응축하여 회수하는 회수유닛(50)과; 상기 회수유닛(50)의 증발기(53)에 냉매를 공급하는 냉각기(60)와; 상기 펌프(40)와 회수유닛(50) 및 냉각기(60)의 작동을 제어하여 챔버(20)로 탈산액을 공급 및 순환시키는 한편 탈산액탱크(30)에 저장된 탈산액을 주기적으로 혼합하고, 챔버(20)에서 탈산액을 회수하는 콘트롤러(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도면에서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장방체의 형태로 구성되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내부공간에 설치되는 챔버(20), 탈산액탱크(30), 펌프(40), 회수유닛(50), 냉각기(60)를 포함하고, 상기 여러 장치들의 작동을 제어하는 콘트롤러(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의 주요 구성에서 본체(10)는 장방체의 형태로서, 가령 일반적인 김치냉장고의 크기와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부에 회동하여 개폐되는 도어(11)가 구비되는 한편 전술한 여러 장치들의 작동을 제어하는 콘트롤러(70)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구성에서 챔버(20)는 도면에서 도 4 내지 도 7과 같이, 가능한 상부가 개방된 장방체의 형태로 구성함이 바람직하고, 한쪽 측면의 하부에 탈산액이 공급되는 주입구(22)가 마련되고, 이와 대향쪽에 마주하도록 탈산액이 넘쳐 순환되는 오버플로우(23)가 형성되는 한편 다른 한쪽 측면에 마주하도록 유입구(24)와 토출구(25)가 형성되어 건조 열풍이 내부공간(21)으로 유입되거나 내부공간(21)에서 외부로 토출된다.
즉, 챔버(20)는 상부가 개방되고 바닥면 위로 다공판(21a)이 형성되어 문서가 적치되는 내부공간(21)과; 상기 내부공간(21)으로 탈산액이 공급되는 주입구(22)와; 상기 주입구(22)와 마주하고, 내부공간(21)에 수용된 탈산액이 넘쳐 순환되는 오버플로우(23)와; 상기 내부공간(21)으로 건조 열풍이 유입 및 토출되고, 서로 마주하도록 설치되는 유입구(24) 및 토출구(25)와; 상기 내부공간(21)의 바닥면에 형성되고, 내부공간(21)에 수용된 탈산액이 배수되는 회수구(21b);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챔버(20)에서 주입구(22)와 마주하는 오버플로우(23)는 내부공간(21)과 격리된 공간으로서, 상부 안쪽에 내부공간(21)과 연통되도록 배출공(23a)이 형성되 고, 바닥면에 배수구(23b)가 형성된 구조이다.
오버플로우(23)에 형성된 배출공(23a)은 내부공간(21)에 수용된 탈산액이 넘쳐서 배출되어 순환되는 기능으로서, 내부공간(21)으로 탈산액이 공급되는 주입구(22)의 위치보다 가능한 높게 위치함이 바람직하고, 배수구(23b)를 통하여 배수된 탈산액은 탈산액탱크(30)로 유입되어 순환된다.
즉, 탈산액이 공급되는 주입구(22)가 한쪽 측면의 하부에 형성되고, 이와 마주하는 방향에 탈산액이 넘쳐서 배출되어 순환되는 오버플로우(23)의 배출공(23a)이 주입구(22) 보다 높게 상부에 설치되므로 주입구(22)를 통해 공급되는 탈산액은 내부공간(21)의 바닥면에서 다공판(21a) 위로 점차 수용되면서 문서를 침수시키고, 오버플로우(23)의 배출공(23a)으로 넘쳐서 탈산액탱크(30)로 순환된다.
내부공간(21)의 다공판(21a) 위에 거치대(26)가 설치되어 문서가 거치되며, 여기서 거치대(26)는 레일(26a)이 다공판(21a) 위에 부착되고, 상기 레일(26a)을 타고 거치대(26)가 좌우 이송되어 간격이 조절되므로 문서의 거치가 용이하며, 상기 거치대(26)의 대용으로 다공성 카트리지를 적용하여 문서를 내부공간(21)에 적치할 수 있다.
챔버(20)에서 하부에 형성된 주입구(22)를 통하여 내부공간(21)에 수용된 탈산액은 탈산과정이 완료된 후, 다공판(21a)을 통해 바닥면의 회수구(21b)로 배출되어 탈산액탱크(30)로 유입되므로 탈산액을 1차 회수하며, 탈산액이 회수된 다음 유입구(24)를 통해 내부공간(21)으로 건조 열풍이 공급되어 문서가 건조된다.
내부공간(21)으로 건조 열풍이 공급되는 유입구(24)는 내부공간(21)과 사이 에 유입실(24a)이 형성되고, 그 아래로 내부공간(21)과 연통되도록 유입공(24b)이 형성되어 건조 열풍이 내부공간(21)의 바닥으로 공급되며, 건조 열풍이 토출되는 토출구(25)는 유입구(24)와 마주하고, 내부공간(21)과 사이에 토출실(25a)이 구비되며, 그 아래로 내부공간(21)과 연통되도록 토출공(25b)이 형성되어 건조 열풍이 외부로 배기된다.
따라서, 챔버(20)는 내부공간(21)의 거치대(26)에 문서가 거치된 다음, 도어(11)로 밀폐되고 주입구(22)를 통해 탈산액이 수용되어 문서가 침수되는 한편 오버플로우(23)로 탈산액이 넘쳐 지속적으로 순환되고, 탈산과정이 완료된 후, 회수구(21b)를 통하여 탈산액이 배출된 다음, 유입구(24)를 통해 건조 열풍이 공급되어 문서가 건조된다.
다음으로 탈산액탱크(30)는 본체(10)의 바닥면에 설치되고, 도면에서 도 8 내지 도 10과 같이 밀폐된 용기로 기화가 가능한 탈산액을 기밀상태로 저장하며, 펌프(40)를 통하여 챔버(20)에 탈산액을 공급하고, 챔버(20)와 회수유닛(50)에서 회수된 탈산액이 유입 저장된다.
상기 탈산액탱크(30)는 기밀상태로 유지되는 탱크와; 상기 탱크에 탈산액을 주입하는 주입관(31)과; 상기 탱크에 빛을 발산하는 조명등(33)과; 상기 탱크에 수용된 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물배수구(34)와; 상기 탱크에 수용된 탈산액과 물의 용량을 표시하는 게이지(35)와; 상기 탱크의 내부에 탈산액을 분사하여 혼합하는 혼합노즐(36);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탈산액탱크(30)에서 탈산액을 주입하는 주입관(31)은 탱크의 한쪽 상부에 수 직상으로 위치함이 바람직하고, 상부면에 도어(32)가 기밀상태로 설치되는 한편 상부에 조명등(33)이 설치되어 탱크의 내부공간에 빛을 발산하고, 한쪽 측면에 상하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개의 물배수구(34)가 형성되어 내부에 수용된 물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또한 상기에서 물배수구(34)와 인접한 위치에 상하로 게이지(35)가 설치되어 탱크의 내부공간에 수용된 탈산액과 물의 용량을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되고, 내부공간의 바닥면 위에 혼합노즐(36)이 위치하여 펌프(40)로 펌핑된 탈산액을 분사하므로 탈산액이 침전되지 않도록 주기적으로 혼합한다.
상기에서 혼합노즐(36)은 탱크의 상부에서 혼합관(36a)으로 연결 설치되며, 다수개의 분사공이 구비되어 방사상으로 구성됨이 바람직하고, 이러한 경우 탱크의 바닥면에 탈산액을 골고루 분사하므로 탈산액의 혼합이 용이하여 침전을 방지하며, 탱크의 저면부 한쪽에 펌프(40)로 탈산액이 공급되는 공급구(31a)가 형성된다.
한편 탱크의 상부 한쪽에 회수구(37)가 형성되어 챔버(20)에 수용된 탈산액이 탱크로 유입되어 회수되고, 이와 인접하게 회수공(38)이 형성되어 회수유닛(50)에서 응축된 탈산액이 탱크로 유입되어 회수되며, 또한 에어배출구(39)가 형성되어 탱크의 내부공간에서 외부로 에어가 배기된다.
다음으로 펌프(40)는 탈산액탱크(30)에 수용된 탈산액을 펌핑하여 챔버(20)와 탈산액탱크(30)에 설치된 혼합노즐(36)에 공급하는 기능으로서, 챔버(20)의 내부공간(21)에 탈산액을 공급하여 문서를 침수시키고 지속적으로 순환시켜 탈산과정을 수행하는 한편 혼합노즐(36)에 탈산액을 공급하여 혼합과정을 수행하며, 콘트롤 러(70)의 제어로 작동이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문서를 건조하고 증발된 탈산액을 응축하여 회수하는 회수유닛(50)은 도면에서 도 11 및 도 12와 같이, 유입구(51)와 토출구(52)가 구비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유입구(51) 쪽에 설치되고 유입되는 증발된 탈산액을 냉각시켜 응축하는 증발기(53)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고 유입구(51)로 증발된 탈산액을 흡입하여 송풍압력을 가하는 팬(54)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토출구(52) 쪽에 설치되고 송풍되는 공기를 가열하여 건조 열풍을 만드는 히터(5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회수유닛(50)에서 하우징은 증발기(53)가 위치한 내부공간의 아래에 함몰된 집수조가 형성되고, 상기 집수조의 저면에 회수구(56)가 형성되어 증발기(53)에서 응축된 탈산액이 집수조로 흘러 떨어져 회수구(56)를 통해 탈산액탱크(30)로 유입되도록 설치된다.
회수유닛(50)에서 증발기(53)는 냉각기(60)를 통하여 냉매가 공급되고, 유입구(51)를 통하여 흡입되는 공기를 냉각 응축하여 탈산액을 회수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히터(55)는 증발기(53)에서 응축과정이 수행된 공기를 가열하여 건조 열풍을 만들게 된다.
상기 전술한 회수유닛(50)에서 하우징에 형성된 유입구(51)는 챔버(20)에 형성된 토출구(25)와 덕트로 연결되고, 또한 하우징의 다른 한쪽에 형성된 토출구(52)는 챔버(20)에 형성된 유입구(24)와 덕트로 연결 설치된다.
따라서, 회수유닛(50)에서 팬(54)이 작동하면 챔버(20)의 내부공간(21)에 있 는 공기가 토출구(25)를 통해 하우징의 유입구(51)로 흡입되어 증발기(53)와 히터(55)를 통과한 다음, 다시 토출구(52)와 유입구(24)를 통해 챔버(20)로 순환하므로 히터(55)에서 가열된 건조 열풍이 챔버(20)의 내부공간(21)에 유입되어 문서를 건조하고, 여기서 증발된 탈산액이 하우징으로 유입되어 증발기(53)에서 냉각 응축됨에 따라 탈산액을 회수하게 된다.
즉, 챔버(20)에서 문서가 탈산액에 침수되어 탈산과정이 완료된 후, 내부공간(21)에서 탈산액을 배수하여 1차 회수한 다음, 냉각기(60) 및 회수유닛(50)에서 팬(54)과 히터(55)가 작동하면, 히터(55)에서 가열된 건조 열풍이 챔버(20)로 공급되어 문서를 건조하고, 건조과정에서 증발된 탈산액이 회수유닛(50)으로 흡입되어 증발기(53)에서 응축과정을 거친 다음, 다시 히터(55)로 가열되어 챔버(20)로 계속하여 순환되며, 증발기(53)에서 응축된 탈산액은 탈산액탱크(30)로 유입되어 2차 회수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형 문서 탈산장치의 작동과정을 도면에서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본체(10)에 구비된 도어(11)를 열어서 챔버(20)를 개방한 다음, 챔버(20)의 내부공간(21)에 문서를 가지런히 적치하고 도어(11)를 닫아 챔버(20)를 밀폐시킨 다음, 콘트롤러(70)를 작동시키면 펌프(40)가 구동하여 탈산액탱크(30)에서 탈산액을 펌핑하여 챔버(20)로 공급하며, 챔버(20)의 내부공간(21)에 탈산액이 수용되어 문서가 침수되는 한편 펌프(40)의 지속적인 펌핑으로 탈산액이 내부공 간(21)에서 오버플로우(23)로 넘쳐 탈산액탱크(30)로 계속하여 순환된다.
문서의 종류와 산성화에 따라 탈산액이 일정시간 순환되어 탈산과정이 진행되고, 일정시간 경과 후 탈산과정이 완료되면 펌프(40)가 정지함과 동시에 챔버(20)의 회수구(21b)와 탈산액탱크(30)의 회수구(37) 라인에 설치된 밸브가 개방되면서 챔버(20)의 내부공간(21)에 수용된 탈산액이 탈산액탱크(30)로 배수되어 1차 회수된 다음, 콘트롤러(70)에서 냉각기(60) 및 회수유닛(50)의 팬(54)과 히터(55)를 작동시킨다.
상기에서 콘트롤러(70)의 제어로 회수유닛(50)이 작동하면, 히터(55)로 가열된 건조 열풍이 챔버(20)로 공급되어 문서를 건조하고, 문서와 챔버(20)의 건조과정에서 증발된 탈산액이 회수유닛(50)으로 흡입되어 증발기(53)에서 냉각 응축된 다음, 다시 히터(55)로 가열된 후 챔버(20)로 계속하여 순환되므로 문서의 건조과정과 증발된 탈산액의 회수과정이 진행되며, 증발기(53)에서 응축된 탈산액은 탈산액탱크(30)로 유입되어 2차 회수되고, 일정시간 경과 후 문서의 건조과정이 완료되면 콘트롤러(70)에서 냉각기(60)와 회수유닛(50)의 작동을 정지하며, 본체(10)에서 도어(11)를 열고 챔버(20)에서 건조된 문서를 꺼내면 탈산작업이 완료된다.
상기의 작동과정 중에서 펌프(40)로 펌핑되는 일부 탈산액이 탈산액탱크(30)에 설치된 혼합노즐(36)로 공급되어 혼합과정을 수행함에 따라 탈산액의 침전을 방지하며, 이러한 작동은 콘트롤러(70)에서 밸브를 제어하여 1시간에 10분 정도 혼합과정을 실시하여 탈산액의 침전을 방지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는 챔버(20)의 내부공간(21)에서 외부로 공기를 배기 하는 배관라인을 설치하고, 여기에 체크밸브를 설치하여 내부공기는 외부로 배기하고 외부공기는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설치함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이유는 펌프(40)에서 탈산액을 챔버(20)에 펌핑할 경우 압력을 줄여 펌핑작동이 원활하게 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회수유닛(50)의 회수구(56)와, 탈산액탱크(30)의 회수공(38)에 연결 설치되는 배관라인에 배수트랩의 구조를 설치하여 역류작용을 방지함이 바람직하고, 또한 챔버(20)의 회수구(21b)와 탈산액탱크(30)의 회수구(37)에 연결 설치되는 배관라인에 필터(80)를 설치하여 회수되는 탈산액에서 이물질을 여과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챔버(20)에 수용된 탈산액을 탈산액탱크(30)로 1차 회수한 다음, 회수유닛(50)의 작동으로 문서와 챔버(20)를 건조하면서 증발된 탈산액을 냉각 응축하여 2차 회수하므로 탈산액의 회수효율을 최대한으로 높여 탈산액을 절감함에 따라 유지비용을 대폭적으로 줄이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는 구조가 간단하고 부피가 작으므로 제작비용을 줄여 보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본체(10)의 저면에 캐스터를 설치할 경우 작업 여건에 따라 쉽게 운반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소규모의 도서관ㆍ교육기관ㆍ관공서 등에 적용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 하였으며,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상기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으로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설치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설치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챔버를 나타낸 요부 분해 사시도.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챔버를 나타낸 정단면도 및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챔버를 나타낸 평단면도.
도 8과 도 9는 본 발명에서 탈산액탱크를 나타낸 정단면도 및 평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탈산액탱크를 나타낸 요부 측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회수유닛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정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회수유닛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탈산장치의 시스템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본체 11: 도어
20: 챔버(chamber) 21: 내부공간
22: 주입구 23: 오버플로우
24: 유입구 25: 토출구
26: 거치대 30: 탈산액탱크
31: 주입관 33: 조명등
35: 게이지 36: 혼합노즐
40: 펌프 50: 회수유닛
53: 증발기 54: 팬
55: 히터 60: 냉각기
70: 콘트롤러 80: 필터

Claims (8)

  1. 삭제
  2. 탈산액을 이용하여 산성화된 문서를 탈산시키는 문서 탈산장치에 있어서;
    개폐되는 도어(11)가 구비된 본체(10)와; 상기 본체(10)에서 도어(11)로 밀폐되고, 문서가 투입되어 탈산액에 침수되는 챔버(20)와; 상기 챔버(20)에 수용되는 탈산액이 저장되고, 저장된 탈산액을 주기적으로 혼합하는 혼합노즐(36)이 구비된 탈산액탱크(30)와; 상기 탈산액탱크(30)에서 탈산액을 펌핑하여 챔버(20)와 혼합노즐((36)에 공급하는 펌프(40)와; 상기 챔버(20)에 건조 열풍을 공급하여 문서를 건조하는 히터(55)를 구비하고, 건조과정에서 증발된 탈산액을 냉각시켜 응축하는 증발기(53)가 구비되어 탈산액을 회수하는 회수유닛(50)과; 상기 회수유닛(50)의 증발기(53)에 냉매를 공급하는 냉각기(60)와; 상기 펌프(40)와 회수유닛(50) 및 냉각기(60)의 작동을 제어하여 챔버(20)로 탈산액을 공급 및 순환시키는 한편 탈산액탱크(30)에 저장된 탈산액을 주기적으로 혼합하고, 챔버(20)에서 탈산액을 회수하는 콘트롤러(70);를 포함하며,
    상기 챔버(20)는 상부가 개방되고 바닥면 위로 다공판(21a)이 형성되어 문서가 적치되는 내부공간(21)과; 상기 내부공간(21)으로 탈산액이 공급되는 주입구(22)와; 상기 주입구(22)와 마주하고, 내부공간(21)에 수용된 탈산액이 넘쳐 순환되는 오버플로우(23)와; 상기 내부공간(21)으로 건조 열풍이 유입 및 토출되고, 서로 마주하도록 설치되는 유입구(24) 및 토출구(25)와; 상기 내부공간(21)의 바닥면에 형성되고, 내부공간(21)에 수용된 탈산액이 배수되는 회수구(21b);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문서 탈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유입구(24)는 내부공간(21)과 사이에 유입실(24a)이 형성되고, 그 아래로 내부공간(21)과 연통되도록 유입공(24b)이 형성되며, 토출구(25)는 유입구(24)와 마주하고, 내부공간(21)과 사이에 토출실(25a)이 구비되는 한편 아래로 내부공간(21)과 연통되도록 토출공(25b)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문서 탈산장치.
  4. 삭제
  5. 제2항에 있어서;
    탈산액탱크(30)는 기밀상태로 유지되는 탱크와; 상기 탱크에 탈산액을 주입하는 주입관(31)과; 상기 탱크에 빛을 발산하는 조명등(33)과; 상기 탱크에 수용된 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물배수구(34)와; 상기 탱크에 수용된 탈산액과 물의 용량을 표시하는 게이지(35)와; 상기 탱크의 내부에 탈산액을 분사하여 혼합하는 혼합노즐(36);을 포함하고,
    상기 혼합노즐(36)은 탱크의 상부에서 혼합관(36a)으로 연결 설치되며, 다수개의 분사공이 구비되어 방사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문서 탈산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회수유닛(50)은,
    유입구(51)와 토출구(52)가 구비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유입구(51) 쪽에 설치되고 유입되는 증발된 탈산액을 냉각시켜 응축하는 증발기(53)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고 유입구(51)로 증발된 탈산액을 흡입하여 송풍압력을 가하는 팬(54)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토출구(52) 쪽에 설치되고 송풍되는 공기를 가열하여 건조 열풍을 만드는 히터(55);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문서 탈산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회수유닛(50)의 하우징은 증발기(53)가 위치한 내부공간의 아래에 집수조가 형성되고, 상기 집수조의 저면에 회수구(56)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문서 탈산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내부공간(21)에 거치대(26)가 설치되고, 상기 거치대(26)는 레일(26a)이 다공판(21a) 위에 부착되며, 상기 레일(26a)을 타고 거치대(26)가 좌우 이송되어 간격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문서 탈산장치.
KR1020090052018A 2009-06-11 2009-06-11 소형 문서 탈산장치 KR1009318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2018A KR100931862B1 (ko) 2009-06-11 2009-06-11 소형 문서 탈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2018A KR100931862B1 (ko) 2009-06-11 2009-06-11 소형 문서 탈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31862B1 true KR100931862B1 (ko) 2009-12-15

Family

ID=416842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2018A KR100931862B1 (ko) 2009-06-11 2009-06-11 소형 문서 탈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1862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120632A (zh) * 2014-07-16 2014-10-29 洛阳理工学院 一种熨纸机
KR101904249B1 (ko) * 2017-05-02 2018-10-04 (주)센추리이씨 문서 탈산장치
KR101904250B1 (ko) * 2017-05-02 2018-11-21 (주)센추리이씨 문서 탈산장치를 이용한 문서 탈산방법
CN110241652A (zh) * 2019-06-15 2019-09-17 湖北泰德安信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纸质档案案卷脱酸系统及其使用方法
KR20200011849A (ko) 2018-07-25 2020-02-04 신종순 귀중자료의 보존수명 연장용 탈산처리장치
WO2021031134A1 (zh) * 2019-08-16 2021-02-25 南京华鼎纳米技术研究院有限公司 一种大型图书脱酸设备及其控制系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7154A (ko) * 2000-04-20 2001-11-08 황해웅 문서 탈산처리 장치
KR100764594B1 (ko) 2006-08-28 2007-10-08 (주)센추리이씨 문서침수식 문서탈산장치를 이용한 문서탈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7154A (ko) * 2000-04-20 2001-11-08 황해웅 문서 탈산처리 장치
KR100764594B1 (ko) 2006-08-28 2007-10-08 (주)센추리이씨 문서침수식 문서탈산장치를 이용한 문서탈산방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120632A (zh) * 2014-07-16 2014-10-29 洛阳理工学院 一种熨纸机
CN104120632B (zh) * 2014-07-16 2016-01-20 洛阳理工学院 一种熨纸机
KR101904249B1 (ko) * 2017-05-02 2018-10-04 (주)센추리이씨 문서 탈산장치
KR101904250B1 (ko) * 2017-05-02 2018-11-21 (주)센추리이씨 문서 탈산장치를 이용한 문서 탈산방법
KR20200011849A (ko) 2018-07-25 2020-02-04 신종순 귀중자료의 보존수명 연장용 탈산처리장치
KR102083664B1 (ko) * 2018-07-25 2020-03-02 신종순 귀중자료의 보존수명 연장용 탈산처리장치
CN110241652A (zh) * 2019-06-15 2019-09-17 湖北泰德安信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纸质档案案卷脱酸系统及其使用方法
WO2021031134A1 (zh) * 2019-08-16 2021-02-25 南京华鼎纳米技术研究院有限公司 一种大型图书脱酸设备及其控制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1862B1 (ko) 소형 문서 탈산장치
KR101542389B1 (ko) 히트펌프모듈 및 히트펌프모듈을 이용한 건조장치
CN202247384U (zh) 洗涤烘干装置
CN110331566B (zh) 烘干系统及其使用方法
CN107106971B (zh) 通过液量产生和处理气体流的装置及使用该装置的设备和方法
KR101229156B1 (ko) 복합형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2118243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KR100854089B1 (ko) 폐수용 진공 증발농축 재생장치
KR20020002195A (ko) 황산리사이클장치
KR20130104420A (ko) 악취 제거장치
KR20010113440A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JP6391698B2 (ja) 真水生成装置
KR20060026222A (ko) 배기가스 내부 순환방식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0754772B1 (ko) 배출수를 활용하는 농업용 제습기
KR200299995Y1 (ko) 제습 공조장치
KR102083664B1 (ko) 귀중자료의 보존수명 연장용 탈산처리장치
CN217541307U (zh) 一种烘干机自动除水系统
RU2780600C1 (ru) Установка и способ сушки и термической обработки древесины
JP2019111524A (ja) 除湿機
CN213865889U (zh) 一种浸渍蒸发干燥装置
KR100723802B1 (ko) 무 폐수처리장치
CN217094896U (zh) 一种酸槽排风量可调型抽风装置
KR102511423B1 (ko) 액체 부피를 통한 기체 스트림의 제조 및 처리를 위한 설비
KR102516950B1 (ko) 에어컨의 응축수를 이용한 산소 발생시스템 및 이를 구비한 에어컨
CN218115257U (zh) 一种低温箱式污泥干化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7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