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1832B1 - 노래반주기 및 노래반주기에서의 배경영상 선택방법 - Google Patents

노래반주기 및 노래반주기에서의 배경영상 선택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1832B1
KR100931832B1 KR1020080034590A KR20080034590A KR100931832B1 KR 100931832 B1 KR100931832 B1 KR 100931832B1 KR 1020080034590 A KR1020080034590 A KR 1020080034590A KR 20080034590 A KR20080034590 A KR 20080034590A KR 100931832 B1 KR100931832 B1 KR 1009318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ng
background image
theme
file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45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41159A (ko
Inventor
이경호
김창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엔터기술
이경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엔터기술, 이경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엔터기술
Priority to KR10200800345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1832B1/ko
Publication of KR200800411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11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18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18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36Accompaniment arrangements
    • G10H1/361Recording/reproducing of accompaniment for use with an external source, e.g. karaoke systems
    • G10H1/368Recording/reproducing of accompaniment for use with an external source, e.g. karaoke systems displaying animated or moving pictures synchronized with the music or audio part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40/00Data organisation or data communication aspects,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40/121Musical libraries, i.e. musical databases indexed by musical parameters, wavetables, indexing schemes using musical parameters, musical rule bases or knowledge bases, e.g. for automatic composing methods
    • G10H2240/131Library retrieval, i.e. searching a database or selecting a specific musical piece, segment, pattern, rule or parameter se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Reverberation, Karaoke And Other Acous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노래반주기 및 노래반주기에서의 배경영상 선택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노래반주기의 배경영상 선택방법은, 노래의 테마에 대한 테마정보를 헤더영역에 각각 담고 있는 복수의 노래파일들과, 배경의 테마에 대한 테마정보를 헤더영역에 각각 담고 있는 복수의 배경영상파일들이, 상기 노래반주기의 메모리에 저장된 노래반주기를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노래반주기에 저장된 상기 복수의 노래파일들 중 어느 하나의 노래파일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면, 선택된 노래파일의 테마정보와 동일한 테마정보를 헤더영역에 담고 있는 배경영상 파일을 선택하여, 상기 노래파일의 재생시 함께 재생하는 단계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배경영상과 연주되는 노래가 일치되는 느낌을 줄 수 있으며, 사용자가 선택한 노래와 동일한 테마를 가지는 배경영상이 자동 또는 수동으로 선택되어 재생되어 사용자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테마, 노래, 배경영상, 색인어, 헤더

Description

노래반주기 및 노래반주기에서의 배경영상 선택방법{Music accompaniment apparatus and method for selecting background image of the same}
본 발명은 노래반주기 및 노래반주기에서의 배경영상 선택방법에 관한 것으로, 노래의 테마에 따라 배경영상이 자동 또는 수동으로 선택될 수 있는 노래반주기 및 노래반주기에서의 배경영상 선택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노래반주기(music(또는 song) accompaniment apparatus)는 기록매체에 기록된 반주곡을 재생하여 사용자에게 들려줌으로써 사용자가 따라 부를 수 있도록 한 장치이다. 이와 같은 노래반주기는 통상적으로 보다 나은 현장감을 제공하기 위하여 해당 곡의 진행 정도에 따라 변화하는 배경영상이나 자막을 디스플레이해주는 영상시스템과 함께 사용된다. 또한 사용자가 자신의 노래실력을 객관적으로 알 수 있도록 사용자의 가창에 따른 음량상태, 박자상태 등의 정도를 평가하여 점수로써 디스플레이 해주는 점수 평가 장치를 부수적으로 구비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노래반주기의 배경영상은 정지영상 및 동영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사용자가 노래반주기를 이용하여 노래를 부르는 경우에, 사용자가 원하는 노래를 선곡하면, 그 노래에 대응되어 표시되는 배경영상이 표시되게 된다. 그러나, 노래에 대응되어 표시되는 배경영상은 사용자가 선택한 곡과는 무관하게 표시된다. 예를 들면, 배경영상이 사용자의 곡 선택과는 무관하게 노래 반주기에 저장된 순서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에 표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구성은 배경영상과 연주되는 곡이 일치되는 느낌을 주지 못하고, 사용자들의 흥미를 유발시키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는 노래반주기 및 노래반주기에서의 배경영상 선택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배경영상과 연주되는 곡이 일치되는 느낌을 줄 수 있는 노래반주기 및 노래반주기에서의 배경영상 선택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선택한 노래와 동일한 테마를 가지는 배경영상이 자동 또는 수동으로 선택되어 재생될 수 있는 노래반주기 및 노래반주기에서의 배경영상 선택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노래반주기 및 노래반주기에서의 배경영상 선택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들의 일부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체화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노래반주기의 배경영상 선택방법은, 노래의 테마에 대한 테마정보를 헤더영역에 각각 담고 있는 복수의 노래파일들과, 배경의 테마에 대한 테마정보를 헤더영역에 각각 담고 있는 복수의 배경영상파일들을, 상기 노래반주기의 메모리에 저장된 노래반주기를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노래반주기에 저장된 상기 복수의 노래파일들 중 어느 하나의 노래파일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면, 선택된 노래파일의 테마정보와 동일한 테마정보를 헤더영역에 담고 있는 배경영상 파일을 선택하여, 상기 노래파일의 재생시 함께 재생하는 단계를 구비한다.
상기 배경영상 파일의 선택은, 상기 노래파일과 동일한 테마정보를 가지는 복수의 배경영상파일들 중에서 미리 정해진 순서 또는 랜덤으로 어느 하나의 배경영상파일이 자동으로 선택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배경영상 파일의 선택은,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노래파일과 동일한 테마정보를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배경영상파일을 리스트하여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도록 하는 수동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테마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테마별 색인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들의 일부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구체화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노래반주기는, 노래의 테마에 대한 테마정보를 헤더영역에 각각 담고 있는 복수의 노래파일들과, 배경의 테마에 대한 테마정보를 헤더영역에 각각 담고 있는 복수의 배경영상파일들을, 메모리에 저장하고, 사용자에 의해 노래파일이 선택되면, 선택된 노래파일의 테마정보와 동일한 테마정보를 가지는 배경영상 파일을 선택하여, 선택된 노래파일과 함께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배경영상과 연주되는 노래가 일치되는 느낌을 줄 수 있으며, 사용자가 선택한 노래와 동일한 테마를 가지는 배경영상이 자동 또는 수동으로 선택되어 재생되어 사용자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철저한 이해를 제공할 의도 외에는 다른 의 도 없이,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래 반주기의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래 반주기는, 제어부(100), 모드선택부(110), 메모리부(120), 수치 및 제어버튼(22)을 구비한다.
상기 제어부(100)는 적어도 두가지 이상의 모드에서 동작한다. 예를 들면, 자동모드와 수동모드에서 동작한다.
상기 자동모드는 사용자가 노래(또는 노래파일)(이하 ‘노래’라 함)를 선택하고 일정시간 동안 배경영상을 선택하지 않거나, 상기 모드 선택부(110)에서 자동모드를 선택한 경우의 동작모드이다.
상기 자동모드에서는, 상기 메모리부(120)에 저장된 정지영상들 및 동영상들(이하 ‘배경영상’이라함) 중에서 사용자가 선택된 노래와 동일한 테마정보를 가지는 배경영상(또는 배경영상 파일)(이하 ‘배경영상’이라 함)을 미리 정해진 일정 순서(예를 들면, 저장순서) 또는 랜덤(random)으로 선택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30)로 출력한다.
상기 수동모드는 상기 모드 선택부(110)에서 수동모드를 선택한 경우의 동작모드이다. 상기 수동모드에서는, 상기 메모리부(120)에 저장된 정지영상들 및 동영상들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노래의 테마정보와 동일한 테마정보를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배경영상 제목을 리스트하여 사용자에 의해 하나의 배경영상이 선택되도록 한다. 사용자에 의해 배경영상이 선택되면, 노래 반주신호와 동시에 디스플레이 패널(130)로 출력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30)은 TV나 PC 등의 모니터 등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100)는 사용자가 선택한 노래, 노래가사 및 배경영상을 외부의 스피커 및 디스플레이 패널(130)로 전송하기 위한 오디오 및 비디오 신호 송신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스피커나 디스플레이 패널(130)은 상기 제어부(100)에서 송신되는 오디오 및 비디오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오디오 및 비디오 수신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00)는 노래의 테마정보와 동일한 테마정보를 가지는 배경영상을 검색하기 위한 검색수단을 구비할 수도 있다.
그리고,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노래에 대응되는 배경영상의 자동선택이나 수동모드에서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동작 등은 상기 제어부(100)에 구현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메모리부(120)는 복수의 노래파일 및 배경영상들의 저장을 위한 것으로, 상기 메모리부(120)는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적어도 하나 이상의 RAM을 구비하는 메인 메모리와, 플래시 메모리를 포함하여 적어도 하나이상의 ROM을 구비하는 저장메모리와, 데이터 백업을 위한 백업메모리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부(120)는 복수의 노래 파일 또는 배경영상들이 저장된 메모리 확장 팩 또는 메모리 카드의 삽입을 위한 복수의 슬롯들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 확장팩이나 메모리 카드를 이용하여 배경영상의 저장이 가능한 경우 상기 메인 메모리, 저장메모리, 및 백업 메모리는 구비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메모리부(120)에는 노래와 다양한 테마별 배경영상들이 저장된다.
상기 메모리부(120)에 저장된 노래 및 배경영상들은 각각의 노래 또는 배경영상들의 테마와 관련된 테마정보를 담고 있다. 예를 들어, 사랑과 관련된 노래인 경우에는 테마정보로써 색인어(예를 들면, 'L(Love)')가 저장되어 있고, 스포츠와 관련된 노래인 경우에는 테마정보로써 색인어(예를 들면, ‘S(sports)')가 저장된다. 또한, 파티와 관련된 노래인 경우에는 테마정보로써 색인어(예를 들면, ’P(Party)')가 저장될 수 있다. 배경영상들에도 노래파일의 경우와 동일한 방식으로 테마정보가 저장되게 된다. 상기 테마정보는 노래파일 또는 배경영상 파일의 헤더영역에 저장될 수 있다. 헤더영역은 파일을 구성할 때 파일의 구성(configuration)데이터 정보가 담기는 영역으로, 상기 헤더영역의 일부를 테마정보영역으로 하여 테마정보에 해당하는 테마별 색인어가 저장될 수 있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래파일(10)은 파일의 구성 데이터 정보(config 정보)가 저장되는 영역(12) 및 테마별 색인어 즉 테마정보가 저장되는 영역(14)을 가지는 헤더영역과, 노래데이터가 저장되는 노래데이터 저장영역(16)을 구비한다. 그리고,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경영상 파일(20)은 파일의 구성데이터 정보(config 정보)가 저장되는 영역(28) 및 테마별 색인어 즉 테마정보가 저장되는 영역(24)을 가지는 헤더영역과, 노래데이터가 저장되는 노래데이터 저장영역(26)을 구비한다.
상기 모드 선택부(110)는 상기 자동모드 또는 상기 수동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것으로 선택 스위치 또는 버튼을 구비한다. 상기 모드선택부(110)에서의 모드 선택은 사용자에 의해 수행되며, 상기 수치 및 제어버튼(22)의 버튼 선택을 통하여 수행될 수도 있다.
상기 수치 및 제어버튼(22)은 상기 자동모드에서는 노래를 선곡하고, 상기 수동모드에서는 노래 및 배경영상을 선택하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인 노래방 기기에 구비되는 리모콘이나 기타 본체에 구비되는 선택버튼들을 포함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수치 및 제어버튼(22)을 사용하여 원하는 노래 번호 및 배경화면을 입력하기 위한 수치 및 원하는 배경영상을 입력할 경우에 입력된 내용이 정확하게 입력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는 LCD 등의 표시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들이 원하거나 좋아하는 정지영상 및 동영상을 더 추가하여 상기 메모리부(120)에 저장할 수 있도록 USB 포트와 같은 외부 통신 수단을 더 구비할 수 있다.
기타 본 발명의 구현 및 실시와 관련하여, 설명되지 않은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용이하게 구현 가능할 것이므로 더이상의 설명을 생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자동모드에서 노래를 선택하거나 수동모드에서 사용자가 노래 및 배경영상을 동시에 선택하고, 노래반주기의 시작 버튼을 누르면 사용자가 선택한 노래반주가 연주될 때,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노래와 동일한 테마의 배경영상이 재생됨으로써 사용자들의 흥미를 배가시킬 수 있다.
도 3은 배경영상의 수동선택을 위한 배경영상 리스트의 예를 나타낸 것이고, 도 4는 도 1의 노래반주기에서의 배경영상 선택방법을 나타낸 동작순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적으로 노래파일, 배경영상파일이 저장된 메 모리를 구비하는 노래반주기가 준비된다. 즉 노래반주기의 메모리에 저장되는 노래파일 각각에 테마별 색인어가 저장된다. 또한 배경영상 파일 각각에도 테마별 색인어가 저장된다(S10). 테마별 색인어는 테마정보로써, 노래 또는 배경영상의 테마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있다. 상기 테마정보인 테마별 색인어는 노래파일 또는 배경영상파일의 헤더영역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테마별 색인어는 적어도 두개 또는 세개의 단계별 카테고리로 분리되어 저장될 수 있다. 즉 큰 카테고리의 제1색인어와 상기 제1색인어보다 작은 카테고리의 제2색인어의 형태, 또는 제2색인어보다 더 작은 카테고리인 제3색인어의 형태로 분류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랑과 관련된 노래 또는 배경영상의 경우, 러브(Love)의 제1색인어(L), 로맨틱(romantic) 또는 스위트(sweet)의 제2색인어(RO 또는 SW) 등으로 분류저장될 수 있고, 스포츠와 관련된 노래 또는 배경영상의 경우, 스포츠(Sports)의 제1색인어(S), 골프, 스키, 또는 농구 등의 제2색인어(GO,SK,BA) 등으로 분류저장될 수 있다. 즉 하나의 테마별 색인어가 저장될 수도 있고, 제1 및 제2색인어, 제1 내지 제3색인어의 단계별 테마형태로 테마정보가 분류저장될 수 있다.
테마정보가 저장된 노래파일들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노래가 선택되면, 상기 노래반주기의 제어부(100)에서는 선택된 노래의 테마별 색인어를 식별하게 된다(S12).
상기 제어부는 자동모드인가 수동모드인가를 판정하고(S14), 자동모드인 경우에는(자동), 상기 선택된 노래의 테마별 색인어와 동일한 테마별 색인어를 가지 는 배경영상파일을 찾게 된다. 상기 노래파일의 색인어가 하나인 경우에는 그와 동일한 테마별 색인어를 가지는 배경영상파일들을 찾는다. 동일한 테마별 색인어를 가지는 배경영상파일들 중 일정한 순서(예를 들면, 저장순서, 또는 검색순서)에 의해서, 또는 랜덤하게 하나의 배경영상 파일을 선택하여, 상기 노래파일의 재생시 함께 재생하게 된다(S16).
수동모드인 경우에는(수동), 선택된 노래파일과 동일한 배경영상 파일 리스트를 디스플레이 패널에 출력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배경영상파일을 선택하도록 한다(S18). 상기 배경영상 파일들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 배경영상파일들을 테마별로 분류하여 그 제목들을 리스트하여, 테마가 다른 배경영상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도록 할 수도 있으나, 일반적으로는 선택된 노래파일과 동일한 테마정보를 가지는 배경영상들의 제목리스트만이 출력될 것이다. 이후 배경영상들의 리스트를 통해 사용자에 의해 배경영상파일(배경영상의 제목)이 선택되면, 이에 해당하는 배경영상파일을 선택된 노래파일과 함께 재생되도록 한다(S20).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노래와 동일한 테마의 배경영상이 재생됨에 의해, 배경영상과 연주되는 노래가 일치되는 느낌을 줄 수 있으며, 사용자가 선택한 노래와 동일한 테마를 가지는 배경영상이 자동 또는 수동으로 선택되어 재생되어 사용자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한 실시예의 설명은 본 발명의 더욱 철저한 이해를 위하여 도면을 참조로 예를 든 것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을 한정하는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 명의 기본적 원리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변경이 가능함은 명백하다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래반주기의 구성블록도이고,
도 2는 도 2의 메모리부에 저장되는 노래파일 및 배경영상파일의 구성도이고,
도 3은 테마별 배경영상 리스트의 예이고,
도 4는 도 1의 노래반주기의 동작순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제어부 110 : 모드선택부
120 : 메모리부 130 : 디스플레이 패널
22 : 수치 및 제어버튼 10 : 노래파일
20 : 배경영상파일.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노래반주기의 배경영상 선택방법에 있어서:
    노래의 테마에 대한 테마정보를 헤더영역에 각각 담고 있는 복수의 노래파일들과, 배경의 테마에 대한 테마정보를 헤더영역에 각각 담고 있는 복수의 배경영상파일들이, 상기 노래반주기의 메모리에 저장된 노래반주기를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노래반주기에 저장된 상기 복수의 노래파일들 중 어느 하나의 노래파일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면, 선택된 노래파일의 테마정보와 동일한 테마정보를 담고 있는 배경영상 파일을 선택하여, 상기 노래파일의 재생시 함께 재생하는 단계를 구비하며,
    상기 배경영상 파일의 선택은,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노래파일과 동일한 테마정보를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배경영상파일을 리스트하여 사용자에 의해 하나의 배경영상이 선택되도록 하는 수동방식으로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노래반주기의 배경영상 선택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테마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테마별 색인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배경영상 선택방법.
  5. 노래의 테마에 대한 테마정보를 헤더영역에 각각 담고 있는 복수의 노래파일들과, 배경의 테마에 대한 테마정보를 헤더영역에 각각 담고 있는 복수의 배경영상파일들을 메모리에 저장하고, 사용자에 의해 노래파일이 선택되면,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노래파일과 동일한 테마정보를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배경영상파일을 리스트하여 사용자에 의해 하나의 배경영상이 수동으로 선택되도록 하고, 선택된 배경영상이 선택된 노래파일과 함께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래반주기.
KR1020080034590A 2008-04-15 2008-04-15 노래반주기 및 노래반주기에서의 배경영상 선택방법 KR1009318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4590A KR100931832B1 (ko) 2008-04-15 2008-04-15 노래반주기 및 노래반주기에서의 배경영상 선택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4590A KR100931832B1 (ko) 2008-04-15 2008-04-15 노래반주기 및 노래반주기에서의 배경영상 선택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1159A KR20080041159A (ko) 2008-05-09
KR100931832B1 true KR100931832B1 (ko) 2009-12-15

Family

ID=396484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4590A KR100931832B1 (ko) 2008-04-15 2008-04-15 노래반주기 및 노래반주기에서의 배경영상 선택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183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97371A (ko) * 2004-04-02 2005-10-07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라오케시스템에서 영상 및 가사 매칭 장치
KR20060110689A (ko) * 2005-04-21 2006-10-25 김영지 노래방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오디오 재생장치 및 그 방법
KR20070114918A (ko) * 2006-05-30 2007-12-05 주식회사 엔터기술 배경영상을 지정하는 기능을 구비한 마이크형 노래반주기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97371A (ko) * 2004-04-02 2005-10-07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라오케시스템에서 영상 및 가사 매칭 장치
KR20060110689A (ko) * 2005-04-21 2006-10-25 김영지 노래방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오디오 재생장치 및 그 방법
KR20070114918A (ko) * 2006-05-30 2007-12-05 주식회사 엔터기술 배경영상을 지정하는 기능을 구비한 마이크형 노래반주기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1159A (ko) 2008-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2008789A (ja) 動画推薦システム及び動画推薦方法
CA2537108C (en) Karaoke system which displays musical notes and lyrical content
KR100187962B1 (ko) 비디오 믹서를 구비한 노래반주장치
JP3931179B2 (ja) コンテンツ再生装置
KR100931832B1 (ko) 노래반주기 및 노래반주기에서의 배경영상 선택방법
JP4447524B2 (ja) 統一テンポのメドレー選曲処理に特徴を有するカラオケ装置
JP2005285285A (ja) コンテンツ読出装置及び楽曲再生装置
JP3010936B2 (ja) 音楽再生装置
JPH06230793A (ja) カラオケ装置
JP3858735B2 (ja) カラオケ装置およびカラオケ装置の演奏曲決定方法
KR19990009967A (ko) 가라오케 시스템의 재생 영상 매칭 방법
KR100323206B1 (ko) 영상가요반주기의애창곡표시방법
JP2012234002A (ja) カラオケ楽曲検索システム
JPH0981165A (ja) カラオケ装置
KR100702683B1 (ko) 사용자의 노래선호정보를 기록한 정보저장매체, 그재생방법 및 노래방 장치
KR100929139B1 (ko) 서로 다른 노래파일을 저장하고 있는 복수의 송팩 및 그 제조방법
KR100510600B1 (ko) 인터넷을 이용한 노래연습시스템
KR100563378B1 (ko) 노래반주기의 절 점프 구현장치 및 구현방법
KR100209160B1 (ko) 비디오 씨디 시스템의 피비씨 재생 방법
JP2012113554A (ja) コンテンツ再生装置及びコンテンツ再生システム
JPS63164089A (ja) マガジン収容デイスクプレ−ヤ
KR20080015138A (ko) 뮤직비디오 및 학습컨텐츠 재생기능을 가지는 마이크형노래반주기
JPH09288490A (ja) 楽音再生装置
JP5322585B2 (ja) 楽曲検索結果提示システム
KR200467620Y1 (ko) 해상도 조절이 가능한 노래반주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5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