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1066B1 - 광이온화 센서를 이용한 악취 측정 방법 - Google Patents

광이온화 센서를 이용한 악취 측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1066B1
KR100931066B1 KR1020090047640A KR20090047640A KR100931066B1 KR 100931066 B1 KR100931066 B1 KR 100931066B1 KR 1020090047640 A KR1020090047640 A KR 1020090047640A KR 20090047640 A KR20090047640 A KR 20090047640A KR 100931066 B1 KR100931066 B1 KR 1009310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ltraviolet
concentration
lamp
measured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76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재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래코리아
표준환경시험연구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래코리아, 표준환경시험연구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래코리아
Priority to KR10200900476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10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10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10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6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the ionisation of gases, e.g. aerosols; by investigating electric discharges, e.g. emission of cathode
    • G01N27/622Ion mobility spectrometr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62Systems in which the material investigated is excited whereby it emits light or causes a change in wavelength of the incident light
    • G01N21/63Systems in which the material investigated is excited whereby it emits light or causes a change in wavelength of the incident light optically excite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6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the ionisation of gases, e.g. aerosols; by investigating electric discharges, e.g. emission of cathode
    • G01N27/64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the ionisation of gases, e.g. aerosols; by investigating electric discharges, e.g. emission of cathode using wave or particle radiation to ionise a gas, e.g. in an ionisation chamber
    • G01N27/66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the ionisation of gases, e.g. aerosols; by investigating electric discharges, e.g. emission of cathode using wave or particle radiation to ionise a gas, e.g. in an ionisation chamber and measuring current or voltag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49/00Particle spectrometers or separator tubes
    • H01J49/02Details
    • H01J49/10Ion sources; Ion guns
    • H01J49/16Ion sources; Ion guns using surface ionisation, e.g. field-, thermionic- or photo-emission
    • H01J49/161Ion sources; Ion guns using surface ionisation, e.g. field-, thermionic- or photo-emission using photoionisation, e.g. by las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athology (AREA)
  • Immu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Toxic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Other Investigation Or Analysis Of Materials By Electrical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이온화 센서를 이용한 악취 측정 방법에 관한 것으로, 농도를 측정하고자 하는 오염물질을 포함한 공기에 자외선을 방출하는 자외선 (UV:Ultra Violet) 램프(10)와, 상기 자외선 (UV:Ultra Violet) 램프(10)의 전면에 설치되며 절연체(20)에 의해 서로 절연되는 양극(30)과 음극(40)으로 구성되는 광이온화 센서(PID: Photo-Ionazation Detector)(100)을 이용한 악취 측정 방법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UV:Ultra Violet) 램프(10)의 자외선 방출방향으로 농도를 측정하고자 하는 오염물질을 포함한 공기를 포집하는 단계(S1)와, 상기 자외선 (UV:Ultra Violet) 램프(10)에서 농도를 측정하고자 하는 오염물질의 가스 분자(50)의 이온화 에너지보다 큰 에너지를 가지는 자외선 영역의 빛을 방출하여 상기 가스 분자(50)를 이온화시키는 단계(S2)와, 상기 가스 분자 이온화 단계(S2)에서 이온화된 가스 분자(50)를 상기 양극(30)과 음극(40)에 전압을 인가하여 포집하여 발생하는 전류를 증폭 변환 수단을 이용하여 전압 신호로 증폭/변환하여 측정하는 단계(S3)와, 상기 전류 증폭/변환 및 측정 단계(S3)에서 측정된 전압 값을 공기에 포함된 오염물질의 농도로 변환하는 단계(S4)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오염물질의 농도로 변환하는 단계(S4)는, 공기희석배수와 측정된 전압 사이의 관계가 0mV:0배, 150mV:200배, 300mV:400배, 450mV:600배, 600mV:800배 및 750mV:1000배의 관계를 가지는 관계 곡선의 기울기에 의하여 산출되어 변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이온화 센서를 이용한 악취 측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는 경우, 정확도가 높은 센서 방식 중의 하나인 PID센서를 이용하면서, 간편하게 22개 악취물질의 농도를 측정하여 악취도와 공기희석배수로 표현해 줄 수가 있어 향후 대기오염방지를 위해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오염물질의 농도를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것이 가능하며, 높은 정확도로 신뢰성 있는 측정값을 얻어내어 향후 공정개선을 하는데 크게 기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도장공장과 같이 소규모 사업장에서 발생하는 물질을 측정하여 감시할 수 있어 대기오염방지를 위해 효과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으며, 특정화학물질을 내보낼 경우 다른 센서와 혼합하여 그 농도를 정성평가 할 수 있어 신뢰성 높은 측정값을 얻어내어 향후 공정개선을 하는데 크게 기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PID, 오염, 공기, 농도, 측정,

Description

광이온화 센서를 이용한 악취 측정 방법{Odor Detecting Method Using Photo-Ionazation Detector(PID)}
본 발명은 광이온화 센서를 이용한 악취 측정 방법에 관한 것으로, 농도를 측정하고자 하는 오염물질을 포함한 공기에 자외선을 방출하는 자외선 (UV:Ultra Violet) 램프(10)와, 상기 자외선 (UV:Ultra Violet) 램프(10)의 전면에 설치되며 절연체(20)에 의해 서로 절연되는 양극(30)과 음극(40)으로 구성되는 광이온화 센서(PID: Photo-Ionazation Detector)(100)을 이용한 악취 측정 방법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UV:Ultra Violet) 램프(10)의 자외선 방출방향으로 농도를 측정하고자 하는 오염물질을 포함한 공기를 포집하는 단계(S1)와, 상기 자외선 (UV:Ultra Violet) 램프(10)에서 농도를 측정하고자 하는 오염물질의 가스 분자(50)의 이온화 에너지보다 큰 에너지를 가지는 자외선 영역의 빛을 방출하여 상기 가스 분자(50)를 이온화시키는 단계(S2)와, 상기 가스 분자 이온화 단계(S2)에서 이온화된 가스 분자(50)를 상기 양극(30)과 음극(40)에 전압을 인가하여 포집하여 발생하는 전류를 증폭 변환 수단을 이용하여 전압 신호로 증폭/변환하여 측정하는 단계(S3)와, 상기 전류 증폭/변환 및 측정 단계(S3)에서 측정된 전압 값을 공기에 포함된 오염물질의 농도로 변환하는 단계(S4)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오염물질의 농도로 변환하는 단계(S4)는, 공기희석배수와 측정된 전압 사이의 관계가 0mV:0배, 150mV:200배, 300mV:400배, 450mV:600배, 600mV:800배 및 750mV:1000배의 관계를 가지는 관계 곡선의 기울기에 의하여 산출되어 변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이온화 센서를 이용한 악취 측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장공장 등 화학물질을 다루는 공장이나 기타 오염 물질 배출원에서 발생되는 휘발성유기화합물(이하 VOC)과 악취가스의 농도는 그 지역이나 위치 등에 따라 법정되어 규제되고 있다. 따라서, 상기한 시설 등에서는 정기적 또는 주기적으로 VOC 및 악취가스의 농도를 측정하여 그 측정값을 토대로 시설의 운전 상태 및 규제한도 준수 여부를 확인하여야 할 의무가 있다.
이러한 VOC 및 악취가스 농도의 측정방법은 대기오염공정시험방법에 의하여 직접관능법 또는 공기희석관능법으로 실시하되, 부지경계선에서 채취한 시료 중에 기기분석법에 규정된 8가지의 악취물질이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기기분석법을 병행한다. 이 경우 어느 하나의 방법에 의하여 기준을 초과하는 때에는 배출허용기준을 초과한 것으로 보게 된다.
여기에서 직접 관능법은 취기강도가 가장 높은 지점을 선정한 후, 후각이 정상이고 건강한 사람 5명의 조사원 (odor panel)에게 미리 주어진 표에 제시한 것과 같이 6 등 급의 취기강도를 결정하게 하여 측정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이러한 직접 관능법은 별도의 장비가 필요하지 않아 간편하다는 장점은 있으나, 다수의 인원이 필요하여 그 시행 방법이 번거로운 것은 물론, 각 조사원 개인의 후각 능력 및 주관에 따라 그 결과가 지극히 주관적으로 나올 수밖에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인간의 코는 냄새가 강하면 무뎌져 다음 실험을 하기까지 오랜 시간을 소비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다음으로, 공기희석 관능법은 측정대상지역에서 채취한 공기시료를 시험실로 운반한 후 무취 공기로 희석배수를 단계적으로 증가시키면서 냄새를 느낄 수 없을 때의 희석배수를 구하는 방법으로, 비교적 정확도가 높아 현재 유럽과 미국에서 많이 이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 방법은 정성적 측정법이라 할 수 있으며 특히 개인의 후각능의 차이로 인해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다음으로, 화학분석 측정법은 정성분석과 정량분석이 가능한 분석법으로, 일반적으로 가스 크로마토그래피(GC:gas chromatography)분석법이 많이 사용된다. 화학분석 측정법은 그 결과가 대단히 정확하다는 장점은 있으나, 사용되는 장비가 고가이며, 측정을 위한 시료를 포집하여 운반하는 데 많은 노력과 번거로움이 따른다는 문제점이 있어, 실시간으로 오염물질의 공기 중 농도를 측정하는 데는 부적합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여러 물질이 복합으로 대기중에 있을 때는 분석하는데 어려움이 있으며, 연속적으로 측정하기에는 비용적으로 큰 어려움이 있어 공단 경계면에 설치할 수는 없었다. 또한, 이 물질들의 기준치 단위는 개별 ppm이여서 복합물질을 사람의 코가 직접 측정한 직접관능법과의 상관성을 표현하기에 어려움이 많았다.
이러한 상기 측정법들의 단점들을 보완할 수 있는 기존의 장비로 대기오염자동 감시시스템인 TMS(Tele Monitoring System)가 사용되고 있으나, 이 경우 그 장비의 비용이 대단히 고가여서 널리 사용하기에는 부적합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여, 정확도가 높은 센서 방식 중의 하나인 PID센서를 이용하는 악취 측정 방법을 제공하여, 간편하게 22개 악취물질의 농도를 측정하여 악취도 또는 공기희석배수로 표현해 줄 수가 있어 향후 대기오염방지를 위해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오염물질의 농도를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것이 가능하며, 높은 정확도로 신뢰성 있는 측정값을 얻어내어 향후 공정개선을 하는데 크게 기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그 과제로 한다.
또한, 도장공장과 같이 소규모 사업장에서 발생하는 물질을 측정하여 감시할 수 있어 대기오염방지를 위해 효과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으며, 특정화학물질을 내보낼 경우 다른 센서와 혼합하여 그 농도를 정성평가 할 수 있어 신뢰성 높은 측정값을 얻어 내어 향후 공정개선을 하는데 크게 기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그 과제로 한다.
한편, 기존 TMS보다는 제조 비용 및 단가 등의 운영비용이 10배 이상 저렴하여 산업경제적으로 파급효과가 매우 클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그 과제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광이온화 센서를 이용한 악취 측정 방법은, 농도를 측정하고자 하는 오염물질을 포함한 공기에 자외선을 방출하는 자외선 (UV:Ultra Violet) 램프(10)와, 상기 자외선 (UV:Ultra Violet) 램프(10) 의 전면에 설치되며 절연체(20)에 의해 서로 절연되는 양극(30)과 음극(40)으로 구성되는 광이온화 센서(PID: Photo-Ionazation Detector)(100)을 이용한 악취 측정 방법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UV:Ultra Violet) 램프(10)의 자외선 방출방향으로 농도를 측정하고자 하는 오염물질을 포함한 공기를 포집하는 단계(S1)와, 상기 자외선 (UV:Ultra Violet) 램프(10)에서 농도를 측정하고자 하는 오염물질의 가스 분자(50)의 이온화 에너지보다 큰 에너지를 가지는 자외선 영역의 빛을 방출하여 상기 가스 분자(50)를 이온화시키는 단계(S2)와, 상기 가스 분자 이온화 단계(S2)에서 이온화된 가스 분자(50)를 상기 양극(30)과 음극(40)에 전압을 인가하여 포집하여 발생하는 전류를 증폭 변환 수단을 이용하여 전압 신호로 증폭/변환하여 측정하는 단계(S3)와, 상기 전류 증폭/변환 및 측정 단계(S3)에서 측정된 전압 값을 공기에 포함된 오염물질의 농도로 변환하는 단계(S4)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오염물질의 농도로 변환하는 단계(S4)는, 공기희석배수와 측정된 전압 사이의 관계가 0mV:0배, 150mV:200배, 300mV:400배, 450mV:600배, 600mV:800배 및 750mV:1000배의 관계를 가지는 관계 곡선의 기울기에 의하여 산출되어 변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자외선 (UV:Ultra Violet) 램프(10)는 불활성 가스인 크립톤 가스로 충전되어 10.6eV 에너지의 자외선을 방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정확도가 높은 센서 방식 중의 하나인 PID센서를 이용하면서, 간편하게 22개의 악취물질을 측정하여 악취도 또는 공기희석배수로 표현해 줄 수가 있어 향후 대기오염 방지를 위해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오염물질의 농도를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것이 가능하며, 높은 정확도로 신뢰성 있는 측정값을 얻어내어 향후 공정개선을 하는데 크게 기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도장공장과 같이 소규모 사업장에서 발생하는 물질을 측정하여 감시할 수 있어 대기오염방지를 위해 효과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으며, 특정화학물질을 내보낼 경우 다른 센서와 혼합하여 그 농도를 정성평가 할 수 있어 신뢰성 높은 측정값을 얻어내어 향후 공정개선을 하는데 크게 기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기존 TMS보다는 제조 비용 및 단가 등의 운영비용이 10배 이상 저렴하여 산업경제적으로 파급효과가 매우 클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광이온화 센서를 이용한 악취 측정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본 발명의 광이온화 센서를 이용한 악취 측정 방법은 크게 도 1에 도시한 것과 같이 오염 물질을 포함한 공기를 포집하는 단계(S1), 가스 분자 이온화 단계(S2), 전류 신호 증폭/변환 및 측정단계(S3) 및오염물질 농도 변환단계(S4)로 구성된다.
먼저,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광이온화 센서(PID:PhotoIonization Detector)의 작동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 광이온화 센서(100)는 도 1에 도시한 것과 같이 농도를 측정하고자 하는 오염물질을 포함한 공기에 자외선을 방출하는 자외선 (UV:Ultra Violet) 램프(10)와, 상기 자외선 (UV:Ultra Violet) 램프(10)의 전면에 설치되며 절연체(20)에 의해 서로 절연되는 양극(30)과 음극(40)으로 구성된다.
자외선 방출원으로 사용되는 상기 자외선 램프(10)는 유리관 내부에 대기압보다 낮은 압력으로 불활성 가스가 주입되어 있다. 주로 아르곤, 크립톤, 제논 가스들을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들 불활성 가스들은 전기방전에 의해 저마다 독특한 빛의 에너지를 방출하게 되는 데, 크세논 가스는 8.4eV 및 9.6eV, 크립톤 가스는 10.0eV 및 10.6eV, 아르곤 가스는 11.7eV 에너지의 자외선을 방출한다. 도 3에 푸른 선으로 도시한 것과 같이 10.6eV 에너지의 자외선을 내는 크립톤 램프 정도면 도 3에 도시한 것과 같이 대표적인 악취물질인 암모니아, 메틸메르캅탄, 황화수소, 황화메틸, 이황화메틸, 트릴메틸아민, 아세트알데히드, 스틸렌 등 22종 물질 대부분의 유기화합물 가스를 이온화시키기에 충분하기 때문에 가장 많이 쓰이고 있다. 더욱이 이온화에너지가 각각 15.5eV 및 12.0eV인 질소가스 및 산소가스는 이러한 크립톤 램프에 의해 이온화되지 않음으로 대기중에 풍부하게 존재하는 이들 가스들에 의한 신호들에 의해 검출하고자하는 유기화합물의 신호가 가려지는 일이 일어나지 않기 때문에 신호분석을 통한 농도검출을 보다 용이하게 하여준다.
본 발명의 광이온화 센서를 이용한 악취 측정 방법측정하고자 하는 휘발성유기화합물(VOCs) 등의 오염 물질을 포함한 공기를 도 1에 도시한 것과 같이 상기 자외선 (UV:Ultra Violet) 램프(10)의 자외선 방출방향으로 포집한다(S1).
그 후, 상기 자외선 (UV:Ultra Violet) 램프(10)에서 농도를 측정하고자 하는 오염물질의 가스 분자(50)의 이온화 에너지보다 큰 에너지를 가지는 자외선 영역의 빛을 방출하여 상기 가스 분자(50)를 이온화시키는 단계(S2)를 수행한다. 이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공기를 구성하는 주성분인 질소가스 및 산소가스의 이온화 에너지가 각각 15.5eV 및 12.0eV이며, 도 3에 도시한 것과 같이 농도 측정의 대상이 되는 디메틸 설페이트(Dimethyl Sulfate), 트리메틸아민(Trimethylamine), 스티렌(Styrene), 크실렌(xylene), 디메틸 설파이드(Dimethyl Sulfide), 메틸 이소부틸 케톤(Methyl isobutyl ketone), 메틸 에틸 케톤(Methyl ethyl ketone), n-발레릭알데히드(n-valeric aldehyde), i-발레릭알데히드(i-valeric aldehyde), 부틸 알데히드(Butyl aldehyde), 프로피온알데히드(Propionaldehyde), 부틸 아세테이트(Butyl acetate), i-부틸알콜(i-Butyl alcohol), 암모니아(Ammonia), n-부틸산(n-Butyric acid), 아세트알데히느(Acetaldehyde), 프로피린산(Propirinic acid), 황화 수 소(Hydrogen sulfide), i-발레릭산(i-valeric acid) 및 n-발레릭산(n-valeric acid)의 22 종의 물질이 10.6eV 미만의 이온화 에너지를 가지는 것을 고려할 때, 상기 자외선 (UV:Ultra Violet) 램프(10)는 불활성 가스인 크립톤 가스로 충전되어 10.6eV 에너지의 자외선을 방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양극(30)과 음극(40)에 도 1에 도시한 것과 같이 전압을 인가하면, 상기 가스 분자 이온화 단계(S2)에서 이온화된 가스 분자(50)가 양이온은 상기 음극(40)으로, 음이온은 상기 양극(30)으로 포집되면서 전류가 발생하게 된다. 이렇게 발생한 전류의 크기는 오명 물질의 농도와 비례하게 된다. 그러나, 이 경우 발생하는 전류의 양이 미세한 점을 고려할 때, 발생된 전류를 증폭 변환 수단을 이용하여 전압 신호로 증폭/변환하여 측정하는 단계(S3)를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증폭 변환 수단은 전류/전압 변환기(Current/Voltage Convertor)와 증폭기(Amplifier)를 결합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러한 증폭 변환 수단을 구성하는 기술은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는 널리 알려져 실시되고 있는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 후, 상기 전류 증폭/변환 및 측정 단계(S3)에서 측정된 전압 값을 공기에 포함된 오염물질의 농도로 변환하는 단계(S4)를 수행한다. 이 단계는, 오염 물질의 농도를 표현하는 방법이 ppm과 같이 단위 공기당 오염물질의 양을 표현하는 방법으로 표현 될 수도 있으나, 그 ppm 농도값을 실험자가 직접 관능법에 의해 악취농 도로 바꾼 악취도(0~5도 또는 OU/m3)를 사용하여 표현하거나, 공기희석 관능법에서와 같이 공기 희석배수를 사용하여 표현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 경우, 상기 전류 증폭/변환 및 측정 단계(S3)에서 측정된 전압 값과 악취도 사이에는 실험자들에 의해 상관성조사를 한 결과 도 4에 도시한 것과 같은 관계가 나타나며, 상기 전류 증폭/변환 및 측정 단계(S3)에서 측정된 전압 값과 공기 희석배수 사이에는 실험자들에 의해 상관성조사를 한 결과 도 5에 도시한 것과 같은 관계가 나타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오염물질의 농도로 변환하는 단계(S4)는, 공기 희석배수를 사용하여 오염물질의 농도를 표현하는 경우라면 그 일 실시예로 도 5에 도시한 것과 같이 공기희석배수와 측정된 전압 사이의 관계가 0mV:0배, 150mV:200배, 300mV:400배, 450mV:600배, 600mV:800배 및 750mV:1000배의 관계를 가지는 관계 곡선의 기울기에 의하여 산출되어 변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증폭 변환 수단에서 증폭하는 배율에 따라 측정된 전압은 증가하거나 감소할 수 있으나. 일정한 공기희석배수(예를 들어 1000배)에서의 전압 측정값이 1500mV였다면, 상기 관계곡선의 기울기를 이용하여, 0㎷:0배, 300㎷:200배, 600㎷:400배, 900㎷:600배, 1200㎷:800배 및 1500㎷:1000배와 같은 관계곡선으로 보정(Calibration)하여 변환하게 된다. 한편, 악취도(0~5도 또는 OU/m3)를 이용하여 표현하는 경우에는 마찬가지로 도 4에 도시한 것과 같은 관계를 이용하여 변환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에서는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 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광이온화 센서를 이용한 악취 측정 방법의 순서도.
도 2: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광이온화 센서를 이용한 악취 측정 방법에 사용되는 광이온화 센서의 작동 모식도.
도 3: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광이온화 센서를 이용한 악취 측정 방법이 측정하는 각 오염물질의 이온화 포텐셜 에너지 그래프.
도 4: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광이온화 센서를 이용한 악취 측정 방법에서 변환하는 광이온화 센서 신호와 악취도와의 상관관계 그래프.
도 5: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광이온화 센서를 이용한 악취 측정 방법에서 변환하는 광이온화 센서 신호와 공기 희석배수와의 상관관계 막대그래프.
<도면의 주요부에 사용된 기호의 설명>
10: 자외선 (UV:Ultra Violet) 램프 20: 절연체
30: 양극(anode) 40: 음극(cathode)
50: 가스 분자

Claims (3)

  1. 삭제
  2. 농도를 측정하고자 하는 오염물질을 포함한 공기에 자외선을 방출하는 자외선 (UV:Ultra Violet) 램프(10)와, 상기 자외선 (UV:Ultra Violet) 램프(10)의 전면에 설치되며 절연체(20)에 의해 서로 절연되는 양극(30)과 음극(40)으로 구성되는 광이온화 센서(PID: Photo-Ionazation Detector)(100)을 이용한 악취 측정 방법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UV:Ultra Violet) 램프(10)의 자외선 방출방향으로 농도를 측정하고자 하는 오염물질을 포함한 공기를 포집하는 단계(S1);
    상기 자외선 (UV:Ultra Violet) 램프(10)에서 농도를 측정하고자 하는 오염물질의 가스 분자(50)의 이온화 에너지보다 큰 에너지를 가지는 자외선 영역의 빛을 방출하여 상기 가스 분자(50)를 이온화시키는 단계(S2);
    상기 가스 분자 이온화 단계(S2)에서 이온화된 가스 분자(50)를 상기 양극(30)과 음극(40)에 전압을 인가하여 포집하여 발생하는 전류를 증폭 변환 수단을 이용하여 전압 신호로 증폭/변환하여 측정하는 단계(S3);
    상기 전류 증폭/변환 및 측정 단계(S3)에서 측정된 전압 값을 공기에 포함된 오염물질의 농도로 변환하는 단계(S4);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오염물질의 농도로 변환하는 단계(S4)는, 공기희석배수와 측정된 전압 사이의 관계가 0mV:0배, 150mV:200배, 300mV:400배, 450mV:600배, 600mV:800배 및 750mV:1000배의 관계를 가지는 관계 곡선의 기울기에 의하여 산출되어 변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이온화 센서를 이용한 악취 측정 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UV:Ultra Violet) 램프(10)는 불활성 가스인 크립톤 가스로 충전되어 10.6eV 에너지의 자외선을 방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이온화 센서를 이용한 악취 측정 방법.
KR1020090047640A 2009-05-29 2009-05-29 광이온화 센서를 이용한 악취 측정 방법 KR1009310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7640A KR100931066B1 (ko) 2009-05-29 2009-05-29 광이온화 센서를 이용한 악취 측정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7640A KR100931066B1 (ko) 2009-05-29 2009-05-29 광이온화 센서를 이용한 악취 측정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31066B1 true KR100931066B1 (ko) 2009-12-10

Family

ID=416841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7640A KR100931066B1 (ko) 2009-05-29 2009-05-29 광이온화 센서를 이용한 악취 측정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106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7031B1 (ko) * 2009-12-07 2010-08-19 안재경 광이온화센서를 이용한 화합물질 측정기기
KR101061773B1 (ko) * 2010-11-04 2011-09-05 안재경 공기희석배수 계산장치 및 그의 계산방법
CN108732236A (zh) * 2018-03-08 2018-11-02 浙江中通检测科技有限公司 一种有机异味物质分析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70008183A (ko) * 1986-02-15 1987-09-24 원본미기재 가스 혼합물내의 가스 또는 증기의 극소 농도 검출 방법 및 장치
EP0694954A2 (de) 1994-06-01 1996-01-31 Auergesellschaft Gmbh Ultraviolette Lampe für den Photoionisationsnachweis
US5561344A (en) * 1993-05-12 1996-10-01 Rae Systems, Inc. Photo-ionization detector for detecting volatile organic gases
US20080084224A1 (en) 2006-10-10 2008-04-10 Michael Nystrom Photoionization probe with injection of ionizing vapo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70008183A (ko) * 1986-02-15 1987-09-24 원본미기재 가스 혼합물내의 가스 또는 증기의 극소 농도 검출 방법 및 장치
US5561344A (en) * 1993-05-12 1996-10-01 Rae Systems, Inc. Photo-ionization detector for detecting volatile organic gases
EP0694954A2 (de) 1994-06-01 1996-01-31 Auergesellschaft Gmbh Ultraviolette Lampe für den Photoionisationsnachweis
US20080084224A1 (en) 2006-10-10 2008-04-10 Michael Nystrom Photoionization probe with injection of ionizing vapor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7031B1 (ko) * 2009-12-07 2010-08-19 안재경 광이온화센서를 이용한 화합물질 측정기기
KR101061773B1 (ko) * 2010-11-04 2011-09-05 안재경 공기희석배수 계산장치 및 그의 계산방법
CN108732236A (zh) * 2018-03-08 2018-11-02 浙江中通检测科技有限公司 一种有机异味物质分析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üller et al. A compact PTR-ToF-MS instrument for airborne measurements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at high spatiotemporal resolution
Eichler et al. A novel inlet system for online chemical analysis of semi-volatile submicron particulate matter
Wu et al. Assessment of odor activity value coefficient and odor contribution based on binary interaction effects in waste disposal plant
Drewnick et al. Intercomparison and evaluation of four semi-continuous PM2. 5 sulfate instruments
Petäjä et al. Sulfuric acid and OH concentrations in a boreal forest site
Sironi et al. Continuous monitoring of odours from a composting plant using electronic noses
Mertes et al. Development of a sensitive long path absorption photometer to quantify peroxides in aerosol particles (Peroxide-LOPAP)
Wang et al. Determination of VOSCs in sewer headspace air using TD–GC–SCD
Kumar et al. VOC–OHM: A new technique for rapid measurements of ambient total OH reactivity and volatile organic compounds using a single proton transfer reaction mass spectrometer
Sun et al. Real-time monitoring of trace-level VOCs by an ultrasensitive lamp-based VUV photoionization mass spectrometer
JP4024494B2 (ja) ガス中の窒素測定方法及び装置
KR100931066B1 (ko) 광이온화 센서를 이용한 악취 측정 방법
Li et al. Measurements of hydrogen sulfide (H 2 S) using PTR-MS: calibration, humidity dependence, inter-comparison and results from field studies in an oil and gas production region
Urabe et al. Development of portable mass spectrometer with electron cyclotron resonance ion source for detection of chemical warfare agents in air
CN104201085B (zh) 垃圾填埋排放恶臭有机物的直接质谱分析方法
KR100977031B1 (ko) 광이온화센서를 이용한 화합물질 측정기기
Joó et al. Quantification of interferences in PTR-MS measurements of monoterpene emissions from Fagus sylvatica L. using simultaneous TD-GC-MS measurements
Maurer et al. Improving environmental odor measurements: comparison of lab-based standard method and portable odor measurement technology
Arnanthigo et al. Sniff-testing for indoor air contaminants from new buildings environment detecting by aspiration-type ion mobility spectrometry
JP4262709B2 (ja) X線用ガスフロー型比例計数管を備えるx線分析装置およびx線用ガスフロー型比例計数管の使用方法。
JPS61118647A (ja) 半導体製造用水素化物ガスの検知装置
Chen et al. Real time monitoring of hazardous airborne chemicals: A styrene investigation
Peng et al. Dopant-assisted negative photoionization Ion mobility spectrometry coupled with on-line cooling inlet for real-time monitoring H2S concentration in sewer gas
JP2007327830A (ja) 土壌汚染の調査方法
Chen et al. Chemical characterization and formation of secondary organosiloxane aerosol (SOSiA) from OH oxidation of decamethylcyclopentasiloxa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3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