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0932B1 - 자동차의 도어글라스 레귤레이터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도어글라스 레귤레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0932B1
KR100930932B1 KR1020080042746A KR20080042746A KR100930932B1 KR 100930932 B1 KR100930932 B1 KR 100930932B1 KR 1020080042746 A KR1020080042746 A KR 1020080042746A KR 20080042746 A KR20080042746 A KR 20080042746A KR 100930932 B1 KR100930932 B1 KR 1009309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rier plate
guide rail
door glass
regulator
glass regul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27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16926A (ko
Inventor
박병성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427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0932B1/ko
Publication of KR200901169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69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09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09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08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 B60J1/12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adjustable
    • B60J1/16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adjustable slidable
    • B60J1/17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adjustable slidable vertically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65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 E05F15/668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for overhead wings
    • E05F15/681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for overhead wings operated by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e.g. belts
    • E05F15/686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for overhead wings operated by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e.g. belts by cables or rop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65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 E05F15/689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window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65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 E05F15/689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windows
    • E05F15/692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windows enabling manual drive, e.g. in case of power fail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1Passenger cars; Automobi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4Carri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44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 E05Y2201/654Cab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708Sli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dow Of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도어글라스 레귤레이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캐리어 플레이트가 상하로 움직이는 가이드레일의 상하단부의 폭을 줄여 증가하는 마찰력으로 승하강 말기의 속도를 줄임으로써 충격음을 줄일 수 있는 레귤레이터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도어글라스 레귤레이터는, 상하방향으로 설치되는 가이드레일의 외측면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당겨지도록 케이블이 설치되고, 이 케이블에 고정되어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캐리어 플레이트가 승하강하여 캐리어 플레이트에 장착된 도어글라스가 승하강하는 자동차의 도어글라스 레귤레이터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의 승하강 말기 속도를 감속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레일의 상하단부에 기구적인 구속력을 구비시켜 캐리어 플레이트와 가이드레일과의 마찰력을 증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어글라스, 레귤레이터, 충격음, 가이드레일, 그루브, 마찰력

Description

자동차의 도어글라스 레귤레이터 {Door Glass Regulator of Car}
본 발명은 자동차의 도어글라스 레귤레이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캐리어 플레이트가 상하로 움직이는 가이드레일의 상하단부의 폭을 줄여 증가하는 마찰력으로 승하강 말기의 속도를 줄임으로써 충격음을 줄일 수 있는 레귤레이터 구조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도어의 아랫부분 내측에는 도어글라스의 승하강동작을 제어하는 레귤레이터가 설치되며, 이 레귤레이터는 그 구동 메커니즘에 따라 케이블 방식과 아암 방식(arm type)으로 분류된다.
도 1은 일반적인 케이블 방식의 레귤레이터를 보여주는 정면도로서, 도어 내면의 소정 위치에 고정되어 설치되는 구동모터(20)와, 이 구동모터(20)의 구동방향에 따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동하는 드럼(30)과, 상하방향으로 설치되는 가이드레일(40)과, 양쪽 끝부분이 상기 드럼(30)의 외주면상에 서로 엇갈리는 방향으로 감긴 상태에서 가이드레일(40)의 외측면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당겨지도록 설치되는 케이블(50)과, 이 케이블(50)에 고정되어 상기 가이드레일(40)을 따라 승하강하고, 도어글라스(10)가 마운팅된 캐리어홀더(70)가 체결되어 상기 도어글라스(10) 를 승하강시키는 캐리어 플레이트(6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레일(40)은 캐리어 플레이트(60)가 곡선운동으로 승하강하도록 진행하기 위한 가이드 역할을 하며, 곡선으로 되어 있지만 그 폭은 일정하다.
한편, 기술의 개발과 더불어 차량의 개발 수준도 높아지고, 소비자의 요구 사항도 점점 높아지고 있는 추세이다.
자동차 메이커들은 이러한 소비자의 욕구와 고객 만족을 위해 각종 신기술 도입과 고급감 향상을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실례로 상술한 도어글라스의 작동시 발생하는 작동음을 줄이기 위해 모터(20)에 저소음 릴레이를 사용하는 한편, RPM 조절, 패드 추가 등을 하고 있다.
상기 도어글라스 작동음에는 모터 및 기어류 소음을 포함해서 도어글라스 승하강 말기의 충격음이 포함된다.
이와 같은 승하강 말기 충격음은 기구적으로 레귤레이터 시스템이 글라스의 작동 스트로크 끝단에 도착하여 기계적으로 멈출 때 발생하는 충격음으로, 이를 근본적으로 없앨 수는 없어 소음을 줄이기 위한 여러 방안들이 적용 중에 있다.
그 일례로 하단 충격음을 줄이기 위해 하단부에 러버 재질의 스토퍼를 적용하고 소프트 스톱(soft stop)이라는 로직을 이용하여 레귤레이터가 하단부에 도달하기 전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여 충격음을 방지하는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상단에 도어글라스가 닫히면서 발생하는 충격음은 상기 소프트 스톱의 로직으로는 적용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왜냐하면, 상단부의 경우 바람소리 및 수밀 성능을 높이기 위하여 더욱더 강하게 도어글라스를 상부로 밀어 올려야 유리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기존의 레귤레이터 시스템에 기구학적인 구속력을 추가하여 상하단부에서 승하강 속도가 느려지도록 속도를 가변함으로써 충격음을 줄일 수 있고, 종래 로직이나 모터를 그대로 사용하여 개발비 상승을 줄일 수 있는 자동차의 도어글라스 레귤레이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도어글라스 레귤레이터는, 상하방향으로 설치되는 가이드레일의 외측면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당겨지도록 케이블이 설치되고, 이 케이블에 고정되어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캐리어 플레이트가 승하강하여 캐리어 플레이트에 장착된 도어글라스가 승하강하는 자동차의 도어글라스 레귤레이터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의 승하강 말기 속도를 감속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레일의 상하단부에 기구적인 구속력을 구비시켜 캐리어 플레이트와 가이드레일과의 마찰력을 증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상하단부에서 승하강 속도가 느려지도록 속 도를 가변함으로써 충격음을 줄일 수 있고, 종래 로직이나 모터를 그대로 사용하여 개발비 상승을 줄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그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레일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작동 상태도이다.
도 2과 도 1을 참고로 설명하면, 상하방향으로 설치되는 가이드레일(40)의 외측면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당겨지도록 케이블(50)이 설치되고, 이 케이블(50)에 고정되어 상기 가이드레일(40)을 따라 캐리어 플레이트(60)가 승하강한다.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60)에는 캐리어홀더(70)가 부착되고 이 캐리어홀더(70)에는 도어글라스(10)가 마운팅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캐리어 플레이트(60)가 가이드레일을 따라 승하강할 때 도어글라스(10)도 동반 승하강하게 된다.
상기 가이드레일(40)은 곡선으로 되어 있고, 캐리어 플레이트(60)를 안내할 수 있도록 양측벽(42)의 끝단에서 내측으로 절곡된 대략
Figure 112008032798214-pat00001
형상을 이룬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가이드레일(40)의 상하단부에 승하강 끝단에서 캐리어 플레이트(60)의 속도를 감속할 수 있도록 기구적인 구속력을 추가한다.
상기 기구적인 구속력을 추가하기 위한 방법으로 가이드레일(40) 상하단부의 양측벽(42) 사이의 거리(폭)를 좁혀 캐리어 플레이트(60)와의 마찰력을 증가시킨다.
그리고 폭을 좁히는 방법으로 감속 돌기(43)를 형성하되, 양측벽(42)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그루브(groove)(44)를 형성함으로써 감속 돌기(43)를 형성하고, 상기 감속 돌기(43)에 의해 캐리어 플레이트(60)가 진행 방향으로 이송시 간섭을 받아 그 마찰력으로 속도가 줄어든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레일(40)의 중간에 있던 캐리어 플레이트(60)가 상승하면 가이드레일(40)의 상단부 감속 돌기(43)에 끼임이 발생하여 마찰력이 증대되고 레귤레이터의 작동 속도가 줄어들게 된다.
상기 줄어든 속도는 상단 및 하단의 충격을 줄여주어 차량의 고급감을 향상시킨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캐리어 플레이트의 구조도이고, 도 5a와 도 5b는 도 4에 나타낸 캐리어 플레이트의 작동 상태도이다.
제1실시예에 의해 그루브(44)를 주어 폭이 좁아진 상하단부의 가이드레일(40)로 캐리어 플레이트(60)를 지나가도록 하면 초기에는 원하는 성능을 발휘하지만 시간이 지나 플라스틱 재질의 캐리어 플레이트(60)가 마모되면서 마찰력이 줄어들어 레귤레이터 작동 속도가 줄어들지 않게 된다.
이를 방지하지 위하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60)의 양측 내부에 소정 공간을 갖는 수용부(62)를 형성하고 상기 수용부(62)에 슬라이드 되도록 수용되어 캐리어 플레이트(60) 외측으로 출몰하는 슬라이더(64)와, 상 기 슬라이더(64)를 외측으로 탄력 지지하는 고무 재질의 쿠션(66)이 수용부(62)에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더(64)는 수용부(62) 내에서 슬라이드 되는 슬라이드 본체(64a)와, 상기 슬라이드 본체(64a)에서 형성되어 캐리어 플레이트(60)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기(64b)가 일체로 이루어지되, 상기 돌기(64b)는 내측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사다리꼴 형상을 하여 캐리어 플레이트(60) 외측으로 둘출되는 부분은 한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캐리어 플레이트(60)의 내부에 수용부(62)를 형성하고 그루브(44) 구간을 지날 때 마찰력을 줄여줄 수 있는 슬라이더(64)와 고무 쿠션(66)의 구조를 활용하여, 캐리어 플레이트(60)가 가이드레일(40)의 중간 구간에 있을 때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리어 플레이트(60)가 가이드레일(40)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승하강한다.
그러나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레일(40)의 상하단부의 속도 감소 구간에 도달하면 캐리어 플레이트(60)의 슬라이더 돌기(64b)가 가이드레일(40)의 변형된 감속 돌기(43)와 접촉하게 되고 이때 슬라이더(64)가 내측으로 이송되면서 쿠션(66)을 누르게 되며(쿠션이 압축되면서 찌그러짐), 이 압축된 쿠션(66)의 반발력이 마찰력으로 작용하여 승하강 작동에 저항을 가해 레귤레이터의 작동 속도를 늦추는 효과를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바람소리와 수밀 성능을 떨어트리지 않고서도 차량의 레귤레이터 작동시 상단 충격음을 줄일 수 있어 작동 감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모터(10)를 새로 개발해야 하는 기간 및 개발비를 단축할 수 있어 가격 경쟁력을 갖출 수 있고, 저항력은 가이드레일(40)의 폭이나 슬라이더(64)의 두께 또는 쿠션(66)의 탄성력 조정으로 쉽게 조절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케이블 방식의 레귤레이터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레일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도 2의 작동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캐리어 플레이트의 구조도,
도 5a와 도 5b는 도 4에 나타낸 캐리어 플레이트의 작동 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도어글라스 40: 가이드레일
43: 감속 돌기 44: 그루브
50: 케이블 60: 캐리어 플레이트
64: 슬라이더 66: 쿠션
60: 캐리어홀더

Claims (5)

  1. 상하방향으로 설치되는 가이드레일의 외측면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당겨지도록 케이블이 설치되고, 이 케이블에 고정되어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캐리어 플레이트가 승하강하여 캐리어 플레이트에 장착된 도어글라스가 승하강하는 자동차의 도어글라스 레귤레이터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의 승하강 말기 속도를 감속시키는 기구적인 구속력을 구비하기 위하여 상기 가이드레일의 상하단부에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와 가이드레일과의 마찰력을 증대시키는 감속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도어글라스 레귤레이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의 양측벽에 외측에서 내측으로 그루브를 형성하는 것에 의해 감속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도어글라스 레귤레이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의 양측 내부에 소정 공간을 갖는 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에 슬라이드 이송되면서 캐리어 플레이트 외측으로 출몰하는 슬라이더와, 상기 슬라이더를 외측으로 탄력 지지하는 쿠션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도어글라스 레귤레이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는 수용부 내에서 슬라이드 되는 슬라이드 본체와, 상기 슬라이드 본체에서 형성되어 캐리어 플레이트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기가 일체로 이루어지되, 상기 돌기는 내측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사다리꼴 형상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도어글라스 레귤레이터.
KR1020080042746A 2008-05-08 2008-05-08 자동차의 도어글라스 레귤레이터 KR1009309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2746A KR100930932B1 (ko) 2008-05-08 2008-05-08 자동차의 도어글라스 레귤레이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2746A KR100930932B1 (ko) 2008-05-08 2008-05-08 자동차의 도어글라스 레귤레이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6926A KR20090116926A (ko) 2009-11-12
KR100930932B1 true KR100930932B1 (ko) 2009-12-10

Family

ID=416014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2746A KR100930932B1 (ko) 2008-05-08 2008-05-08 자동차의 도어글라스 레귤레이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093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7270U (ko) * 1996-07-03 1998-04-30 김영귀 승합차용 슬라이드식 도어의 가이드 레일구조
JPH11247523A (ja) 1998-03-03 1999-09-14 Mitsubishi Motors Corp 窓ガラス昇降装置
JP2002322865A (ja) * 2001-02-23 2002-11-08 Mitsuba Corp ウインドレギュレータ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7270U (ko) * 1996-07-03 1998-04-30 김영귀 승합차용 슬라이드식 도어의 가이드 레일구조
JPH11247523A (ja) 1998-03-03 1999-09-14 Mitsubishi Motors Corp 窓ガラス昇降装置
JP2002322865A (ja) * 2001-02-23 2002-11-08 Mitsuba Corp ウインドレギュレー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6926A (ko) 2009-1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589737B1 (en) Window regulator
EP2058159B1 (en) Sunroof apparatus for vehicle
JP5018913B2 (ja) ケーブルの配線構造及び画像読取装置
KR100930932B1 (ko) 자동차의 도어글라스 레귤레이터
CN109733171A (zh) 摆臂后端设有限位块的汽车天窗
KR101466467B1 (ko) 선루프용 개폐장치
JP4193056B2 (ja) ドアウィンドレギュレータ構造
CN111347852B (zh) 用于车辆的敞开式车顶构造
KR101991778B1 (ko) 자동차용 윈도우 레귤레이터
CN207453732U (zh) 车窗玻璃升降机构、车门及汽车
CN108248351A (zh) 汽车天窗导向联动装置
KR101987488B1 (ko) 윈도우 레귤레이터 래틀 방지 장치
JP5149040B2 (ja) エレベータ装置
EP3165386B1 (en) Restricting device
KR100318603B1 (ko) 자동차의 윈도우레귤레이터
KR100656609B1 (ko) 도어 글라스 홀딩장치
JP3616246B2 (ja) ウインドレギュレータ
JP2010120541A (ja) 車両用ドア
JPS5938126A (ja) 自動車のスライドル−フ開閉装置
US20040221509A1 (en) Door module
JP3684473B2 (ja) 車両用サンルーフ装置のガイド機構
KR20100041164A (ko) 도어글라스 레귤레이터의 정지구조
JP6520292B2 (ja) サンルーフ装置
CN201325809Y (zh) 提高空间使用效率的住宅用电梯
KR20110043979A (ko) 차량용 파워 윈도우 레귤레이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