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0752B1 - 전체가 구형인 영상시설 - Google Patents

전체가 구형인 영상시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0752B1
KR100930752B1 KR1020050041208A KR20050041208A KR100930752B1 KR 100930752 B1 KR100930752 B1 KR 100930752B1 KR 1020050041208 A KR1020050041208 A KR 1020050041208A KR 20050041208 A KR20050041208 A KR 20050041208A KR 100930752 B1 KR100930752 B1 KR 1009307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here
passage
bottom plate
shaped
facil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12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47962A (ko
Inventor
야수노부 죠노
마사하루 스즈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아사츠-디케이
가부시키가이샤 고토 고가쿠 겐큐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아사츠-디케이, 가부시키가이샤 고토 고가쿠 겐큐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아사츠-디케이
Publication of KR200600479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79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07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07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41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54Accessories
    • G03B21/56Projection scree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rojection Apparatus (AREA)
  • Overhead Projectors And Projection Screens (AREA)

Abstract

구체 내의 내벽을 스크린으로 하여 구 전체에 걸쳐 영상을 투영하는 영상시설에 있어서, 구체의 중앙을 관통하도록 교량 형상의 통로를 설치한 경우에 투영기의 투영된 광속(光束)이 화면에 찍히지 않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통로가 시야에 들어오는 것에 의한 관객의 시각 방해를 방지한다.
구체(D)의 내벽을 스크린으로 하여 구 전체에 걸쳐 영상을 투영하는 영상시설에 있어서, 구체의 중앙을 관통하도록 교량 형상의 통로(10)를 설치하고, 상기 통로는 바닥판의 폭방향의 중앙부를 불투명부(12)로 하는 동시에, 폭방향의 좌우부분을 투명부(13)로 하고, 좌우단부로부터 투명 중간벽(14)을 세워올려, 상기 통로의 바닥판의 불투명부를 정점이 하방을 향하는 역삼각형 단면 모양의 다리기둥(15)으로 지지한다.
구체, 통로, 바닥판, 불투명부, 투명부, 중간벽

Description

전체가 구형인 영상시설{SPHERE SHAPED REFLECTION FACILITY}
도1은 본 발명의 영상시설의 일부 절단 측면도.
도2는 본 발명의 영상시설 통로부분의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의 영상시설의 단면도.
도4는 본 발명의 영상시설의 단면도.
도5는 본 발명의 영상시설 통로부분의 단면도.
도6은 본 발명의 영상시설 통로부분의 측면도.
도7은 본 발명의 영상시설 통로부분의 저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D: 구체
10: 통로
11: 바닥판
12: 불투명부
13: 투명부
14: 중간벽
15: 다리 기둥
본 발명은 영상시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구체의 내벽을 스크린으로하여 전구(全球)에 걸쳐 영상을 투영하는 영상시설에 관한 것이다.
구체내의 모든 면에 영상이 표시되는 전구영상에 대한 구상은 오래전부터 있고, 궁극적인 영상표시로서 자리매김되어 있다. 예를 들어, 종래반구형 돔(dome)에 투영했던 플라네타륨(planetarium; 별자리 투영기)에 있어서, 전체가 구형인 스크린을 채용함으로써 천구(天球)를 재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보다 사실적인 천체의 시뮬레이션을 실현할 수 있는 것외에, 관객에게 마치 우주를 유영하고 있는 것처럼 몰입감을 주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지구상의 자연현상을 시뮬레이트하는 영상에 있어서도, 바다속의 영상을 예로 들면 관객은 해저와 해면을 동시에 관찰하는 것이 가능하며, 보다 실제 현상에 가까운 의사체험을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구형태의 스크린을 가정하는 경우, 바닥면을 돔이 덮는 반구형의 돔 스크린과 다르게 스크린내에 관객을 위치시키는 수단이 아니라, 전구영상을 실현하기 위한 목부(neck)으로 되어 있었다. 종래에는 이를 위한 수단으로서 구체의 중앙을 관통하도록 교량 형상의 통로를 설치하는 것이 특허문헌1에 의해 공지되어 있다. 또한, 구체의 적도부 근처에 설치된 관통구멍으로부터 좌석을 구체의 바깥보다 구체의 내부에 대하여 진퇴가능하게 배치하는 것이 특허문헌2에 의해 공지되어 있다.
[특허문헌1] 등록 제3027303호 실용신안공보
[특허문헌2] 등록 제3099132호 실용신안공보
그런데, 구 전체에 걸쳐 영상을 투영하는 수단을 가정한 경우, 복수의 비디오프로젝터에 의한 투영상을 서로 연결시켜 구 전체를 하나로 묶는 수단이 현재 시점에서 가장 적합하다. 즉, 여기서는 스크린을 구성하는 구체의 벽면 둘레 전체에 여러대의 프로젝터를 배치하고, 각 프로젝터의 화상을 대면하는 스크린의 영역에 투영하고, 그 영상을 서로 연결시켜 구 전체를 하나로 묶는다.
앞선 설명으로부터 알 수 있듯이, 구체 내에 관객이 위치한다고 하는 것은 동시에 투영된 광속(投映光束)내에 관객이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고, 관객과 관객의 지지수단에 의해 투영된 광속이 화면에 찍히지 않는 것이 생기지 않도록, 투영방법 또는 관객 지지수단의 배치를 연구하는 방책이 필요하게 되었다.
상기 특허문헌1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관객의 통로가 구체의 중앙을 관통하도록 배치되기 때문에 투영상이 화면에 찍히지 않는 문제가 생기는 것처럼 보이지만, 당해 발명에 있어서 천체의 표시는 투영기에 의해서가 아니고 스크린면에 발광단부를 노출한 광섬유군에 의한 것이므로, 화면에 찍히지 않는 문제가 발생하는 공간은 없었다. 또한, 특허문헌2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투영기에 의한 투영을 전제로 하고 있다고는 하지만, 좌석은 구체의 적도부근에 설치된 관통공으로부터 진퇴하는 것만으로는 구체중앙부근 까지에는 이르지 않기 때문에, 마찬가지로 화면에 찍히지 않는 문제가 생기는 공간은 없었다.
한편, 관객의 통로가 구체의 중앙을 관통하도록 배치되는 특허문헌1에 기재된 발명에 의해, 통로가 구체의 내부를 가로지르는 것에 의해 시각상 통로가 눈에 거슬리게 되어 관객의 몰입감을 손상시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관객의 통로가 구체의 중앙을 관통하도록 배치되면서, 화면에 찍히지 않는 문제를 최소한으로 하고, 몰입감을 최대한으로 높인 전체가 구형인 영상시설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여기에서는 다음의 두 발명을 개시한다.
제1발명은, 구체 내벽을 스크린으로 하여 구 전체에 걸쳐 영상을 투영(投映)하는 영상시설에 있어서, 구체의 중앙을 관통하도록 교량 형상의 통로를 설치하고, 상기 통로는 바닥판과 그 바닥판을 지지하는 정점이 하방을 향하는 역삼각형 단면 모양의 다리 기둥에 의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2발명은, 구체의 내벽을 스크린으로 하여 구 전체에 걸쳐 영상을 투영하는 영상시설에 있어서, 구체의 중앙을 관통하도록 교량 형상의 통로를 설치하고, 상기 통로는 바닥판의 폭방향의 중앙부를 불투명부로 하는 동시에 폭방향의 좌우 부분을 투명부로 하고, 게다가 좌우 단부로부터 투명 중간벽을 직립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1은 이 발명의 영상시설의 전체를 표시하는 도면이다. 도면 내의 부호 D는 내면을 스크린면으로 한 중공 구체를 나타낸다. 상기 구체(D)의 스크린면에는 구 전체에 걸쳐 프로젝터에 의해 영상이 투영된다.
구 전체에 걸쳐 영상을 투영하는 수단은 몇개 있지만, 이 발명으로는 복수의 비디오프로젝터에 의해 투영상을 서로 연결시켜 구 전체를 하나로 묶는 수단을 채용하고 있다. 즉, 여기서는 구체(D)의 벽면에 복수의 프로젝터를 배치하고(도시 안됨), 각 프로젝터의 화상을 대면하는 스크린의 영역에 투영하고, 그러한 화상을 서로 연결시켜 구 전체를 하나로 묶는다. 이 경우, 구면에 투영한 경우의 비틀림 때문에 각 영상을 합성해서 하나의 영상을 구성하는 것이 불가능하게 되므로, 비틀림이 적은 투영상을 얻기 위해서 각 프로젝터로부터 투영해야 할 화상에 변형을 가하여 보정하거나, 색이나 명도를 맞추거나, 화상경계의 경계를 희미하게 하는 처리 등을 전기적으로 처리하는 공지의 방법을 채용한다.
상술한 구체(D)는 영상시설의 건물본체 B에 합체시킨 건축물로서 구축되고, 이 실시예에서는 구체(D)로서 내경 12.7m 정도의 것을 가정하고 있다. 구체(D)의 적도부근의 전후에는 한 쌍의 관통구(D1, D1)가 설치되고, 상기의 관통구에는 구체의 중앙을 관통하도록 교량 형상의 통로(10)가 설치되어 지나간다. 한편, 건물본체(B)에는 상기 통로(10)에 연결되는 출입구(B1, B1)를 전후에 설치함으로써, 관객은 건물본체의 한 쪽의 구멍으로부터 구체(D)내에 입관하여 통로(10)위에서 영상을 감상하고, 그대로 다른 쪽의 구멍으로 퇴관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도3참조) 이러한 구성은 박람회등의 이벤트 전시회장에 있어서 여기서 설명한 영상시설을 다른 어트랙션(관객을 끌어 모으기 위해 상연 전후에 하는 배우의 인사 내지 실연 등을 말함)과 복합시켜 어떤 지점에서 타 지점으로 가는 길의 순서 위에 배치하는 경우 에 특히 유용하다.
도2 및 도5 내지 도7은 앞에 기재한 통로(10)의 상세한 내용을 표시하는 도면이다. 이 통로(10)는 관객(G)이 걸어가는 바닥판(11)과, 상기 바닥판을 지지하는 다리 기둥(15) 부분에 의해 구성된다. 다리 기둥(15)은 정점이 하방을 향하는 역삼각형 단면 모양에 의해 구성되지만,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두 개의 막대 모양의 상현재(上弦材)(16, 16)와 하나의 막대 모양의 하현재(下弦材)(17)를 다수의 막대 모양의 경사부재(18)에 의해 연결한 역삼각형 단면 모양의 트러스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 바닥판(11)은 폭방향의 중앙부를 금속이나 수지나 목재등에 의해 구성한 불투명부(12)로 하는 동시에 폭방향의 좌우 부분을 강화유리나 수지 등으로 구성한 투명부(13, 13)로 하고, 다시 좌우단부로부터 강화유리나 수지 등으로 구성한 투명 중간벽(14, 14)을 직립시키고 있다. 더우기, 도면내의 부호 19는 앞서 기재한 트러스와 바닥판(11)사이에 끼어 있게 하여 바닥판(11)을 수용하는 봉 형태의 받침부재(19)이고, 트러스의 축선방향에 직교해서 복수개로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는, 앞서 전술한 트러스를 구성하는 상현재(16, 16)의 간격을 바닥판(11)의 불투명부(12)의 폭내에 넣고, 한편, 받침부재(19)의 길이를 투명부(13, 13)까지 포함한 바닥판(11)의 폭 전체까지 연장함으로써 트러스를 바닥판의 불투명부의 아래에 숨기고, 투명부를 통해서 트러스가 보이게 되어 관객의 시각을 방해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제1발명에 의하면, 통로의 바닥판은 다리 기둥에 의해 지지되기 때문에, 시 각상 방해가 되지 않도록 바닥판의 폭 및 두께를 적게 하여도 전체의 강도가 저하되지 않고, 한편으로는, 다리 기둥은 정점이 하방을 향하는 역삼각형의 단면 모양으로 구성되므로 통로상의 관객은 다리 기둥의 존재를 신경쓰지 않는다는 시각적인 효과를 얻는 것이 가능하다. 게다가, 다리 기둥은 정점이 하방을 향하는 역삼각형의 단면 모양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투영기로부터의 투영된 광속을 방해할 가능성이 가급적 감소되어, 화면에 찍히지 않는 것을 해소하는데에 유리하게 된다.
제2발명에 의하면, 통로는 바닥판의 폭 방향의 중앙부를 불투명부로 하는 동시에, 폭 방향의 좌우 부분을 투명부로 하고, 좌우단부로부터 투명 중간벽을 세워올리는 구성으로 되기 때문에, 불투명부를 최소한의 폭으로 할 수 있고, 통로가 관객의 시각을 방해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한편으로는, 통로상의 관객은 구체 내에서 유영하고 있는 것같은 몰입감을 얻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Claims (5)

  1. 구체 내벽을 스크린으로 하여 구 전체에 걸쳐 영상을 투영하는 영상시설로서, 구체의 중앙을 관통하도록 교량 형상의 통로를 설치하고, 상기 통로는 바닥판과 그 바닥판을 지지하는 정점이 하방을 향하는 역삼각형 단면 모양의 다리 기둥에 의해 구성되는 전체가 구형인 영상 시설에 있어서,
    다리 기둥은 두 개의 막대 모양의 상현재와 한 개의 막대 모양의 하현재를 막대 모양의 경사부재에 의해 연결한 역삼각형 단면 모양의 트러스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체가 구형인 영상시설.
  2. 구체의 내벽을 스크린으로 하여 구 전체에 걸쳐 영상을 투영하는 영상시설에 있어서,
    구체의 중앙을 관통하도록 교량 형상의 통로를 설치하고, 상기 통로는 바닥판의 폭방향의 중앙부를 불투명부로 하는 동시에 폭방향의 좌우 부분을 투명부로 하고, 좌우 단부로부터 투명 중간벽을 직립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체가 구형인 영상시설.
  3. 구체의 내벽을 스크린으로 하여 구 전체에 걸쳐 영상을 투영하는 영상시설에 있어서,
    구체의 중앙을 관통하도록 교량 형상의 통로를 설치하고, 상기 통로는 바닥판의 폭 방향의 중앙부를 불투명부로 하는 동시에 폭 방향의 좌우 부분을 투명부로 하고, 좌우 단부로부터 투명 중간벽을 세워올리고, 상기 통로의 바닥판을 정점이 하방을 향하는 역삼각형의 단면 모양의 다리 기둥에 의해 지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체가 구형인 영상시설.
  4. 제3항에 있어서, 다리 기둥을 두 개의 막대 모양의 상현재와 한 개의 막대 모양의 하현재를 막대 모양의 경사부재에 의해 연결한 역삼각형의 단면 모양의 트러스로 구성하고, 트러스를 구성하는 상현재의 간격을 바닥판의 불투명부의 폭내에 넣는 것과 함께, 트러스와 바닥판 사이에 바닥판을 수용하는 막대 모양의 받침부재를 트러스의 축선방향에 직교하여 복수로 배치하고, 상기 받침부재의 길이를 투명부까지 포함한 바닥판의 폭 전체까지 연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체가 구형인 영상시설.
  5. 삭제
KR1020050041208A 2004-05-19 2005-05-17 전체가 구형인 영상시설 KR10093075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002800U JP3105332U (ja) 2004-05-19 2004-05-19 全球型映像施設
JPJP-U-2004-00002800 2004-05-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7962A KR20060047962A (ko) 2006-05-18
KR100930752B1 true KR100930752B1 (ko) 2009-12-09

Family

ID=362640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1208A KR100930752B1 (ko) 2004-05-19 2005-05-17 전체가 구형인 영상시설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3105332U (ko)
KR (1) KR100930752B1 (ko)
CN (1) CN100430827C (ko)
TW (1) TW20061388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7159A (ko) 2015-09-01 2017-03-09 (주)엑스원프로덕션 4차원 영상구현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32553A1 (ja) * 2005-09-14 2007-03-22 Sony Corporation 視聴覚システム
KR100941165B1 (ko) * 2008-09-12 2010-02-10 (주)투미르 구형 스크린 영상표시시설
CN105652585A (zh) * 2016-03-21 2016-06-08 深圳市远望淦拓科技有限公司 一种360度全景球幕影院系统
CN111145660A (zh) * 2020-01-19 2020-05-12 山东金东数字创意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led主体的沉浸式系统
CN112365787B (zh) * 2020-11-09 2022-04-01 张前进 一种装配式桥梁设计模型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7987A (ko) * 1987-11-04 1989-07-06 원본미기재 이동시뮬레이션 시스템
KR910005088A (ko) * 1989-08-31 1991-03-30 김한성 구면 스크린(screen) 투영장치
KR920022888A (ko) * 1991-05-13 1992-12-19 완다 케이. 덴슨-로우 후방 투사 돔 영상처리 시스템
JP2003131560A (ja) 2001-08-10 2003-05-09 Goto Optical Mfg Co プラネタリウムにおける投映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925883A1 (de) * 1989-03-20 1990-09-27 Korea Measures Co Ltd Tragbares massband mit eingebauter lampe und stoppvorrichtung
JPH0868220A (ja) * 1994-06-24 1996-03-12 Masahiko Hayashi ドームシアター
JP3027303U (ja) * 1995-12-18 1996-08-09 株式会社サテライト 星を表示した球形ドーム
JP3099132U (ja) * 2003-07-09 2004-03-25 株式会社五藤光学研究所 全球型映像施設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7987A (ko) * 1987-11-04 1989-07-06 원본미기재 이동시뮬레이션 시스템
KR910005088A (ko) * 1989-08-31 1991-03-30 김한성 구면 스크린(screen) 투영장치
KR920022888A (ko) * 1991-05-13 1992-12-19 완다 케이. 덴슨-로우 후방 투사 돔 영상처리 시스템
JP2003131560A (ja) 2001-08-10 2003-05-09 Goto Optical Mfg Co プラネタリウムにおける投映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7159A (ko) 2015-09-01 2017-03-09 (주)엑스원프로덕션 4차원 영상구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350940B (ko) 2011-10-21
KR20060047962A (ko) 2006-05-18
JP3105332U (ja) 2004-10-28
TW200613887A (en) 2006-05-01
CN1700091A (zh) 2005-11-23
CN100430827C (zh) 2008-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0752B1 (ko) 전체가 구형인 영상시설
US6665985B1 (en) Virtual reality theater
US20130181901A1 (en) Multiple Screens for Immersive Audio/Video Experience
JP6706662B2 (ja) 星空再現装置
KR20070111495A (ko) 준 3차원 화상을 생성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RU2725471C2 (ru) Дизайн связанного с социальными сетями крупноформатного театра
JP2000132082A (ja) シュミレーションライド装置
JP2007536964A (ja) 仮想風景を表示するための方法と装置
US6937210B1 (en) Projecting images on a sphere
JP3512396B2 (ja) 映像表示システム
JP2003121942A (ja) 映像鑑賞装置
US10805591B2 (en) Three dimensional display environment and viewing theater
JPWO2006006642A1 (ja) 映像演出システム及び映像演出方法
JP4538352B2 (ja) 全球型映像施設
WO2021250597A1 (en) Aqua dome space theatre
CA1275192C (en) Entertainment or amusement structure
Weinstein Stage and Audience: Constructing relations and opportunities
CN218446649U (zh) 多形态融合显示系统及装置
Munoz-Vera Moving images, Moved spectators: Jon Rafman’s Sculpture Garden (Hedge Maze) and the Panorama Experience
Greub Image–Building: A Branded Occupation by Night
Dehus FINAL PROJECT DOCUMENTATION
Quiroga Fernandez The Architecture as a Visual Component. The Panoramas and Dioramas as Simulation Mechanisms to Experience Travel
d'Arcy The Double-Façade Mirror Organ: The Nexus of Architecture and Music in the Hispanic Baroque
Afabor et al. A Critical Interpretation of Set and Light Designs in Kiriji War Production
Betsworth et al. Pico projection for performative place based servi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5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