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0746B1 - 무선 데이터 통신 서비스 중에 사용자의 요청에 따른 음성통화 서비스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데이터 통신 서비스 중에 사용자의 요청에 따른 음성통화 서비스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0746B1
KR100930746B1 KR1020030014251A KR20030014251A KR100930746B1 KR 100930746 B1 KR100930746 B1 KR 100930746B1 KR 1020030014251 A KR1020030014251 A KR 1020030014251A KR 20030014251 A KR20030014251 A KR 20030014251A KR 100930746 B1 KR100930746 B1 KR 1009307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communication
wireless data
user
voice call
communication ser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42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79463A (ko
Inventor
문귀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to KR10200300142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0746B1/ko
Publication of KR200400794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794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07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07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with magnetic or electric fields
    • C02F1/48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with magnetic or electric fields using permanent magnets
    • C02F1/48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with magnetic or electric fields using permanent magnets located on the outer wall of the treatment device, i.e. not in contact with the liquid to be treated, e.g. detachabl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데이터 통신 서비스 중에 기존의 데이터 연결(PPP) 상태를 유지한 상황에서 음성 통화를 원하는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단말을 휴면(dormant) 모드로 진입시키고 음성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무선 데이터 통신 서비스 중에 사용자의 요청에 따른 음성 통화 서비스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단말기가 상기 무선 데이터 통신 서비스를 위한 통신망을 통해 사용자에게 상기 무선 데이터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 1 단계; 상기 무선 데이터 통신 서비스를 이용중이던 사용자로부터 상기 무선 데이터 통신 서비스의 연결을 유지한 채 상기 음성 통화 서비스의 이용을 요청하는 키 입력을 받는 제 2 단계; 상기 키 입력을 통해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음성 통화 서비스에 대한 이용 요청을 확인한 상기 단말기가 데이터 송수신 중이 아님을 확인하고 상기 무선 데이터 통신 서비스의 상태를 휴면(dormant) 모드로 진입시키는 제 3 단계; 및 상기 단말기가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음성 통화 서비스의 이용이 가능함을 통지하여 상기 사용자가 상기 음성 통화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제 4 단계를 포함한다.
휴면 모드, dormant,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무선

Description

무선 데이터 통신 서비스 중에 사용자의 요청에 따른 음성 통화 서비스 방법 {Method for providing voice call service during wireless data service upon reguest of a user}
도 1 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무선 데이터 통신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예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데이터 통신 서비스 중에 사용자의 요청에 따른 음성 통화 서비스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단말 장치 12 : 기지국
13 : 교환기(MSC) 14 : 패킷 교환 지원 노드(SGSN)
15 : 공중 전화망(PSTN) 16 : 데이터 통신망
본 발명은 무선 데이터 통신 서비스 중에 사용자의 요청에 따른 음성 통화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무선 데이터 통신 서비스 중에 사용자가 음성 통화를 원하는 경우 사용자에 의해서 단말이 휴면(dormant) 모드로 진입하게 하는 무선 데이터 통신 서비스 중에 사용자의 요청에 따른 음성 통화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무선 데이터 단말 장치(예를 들어, 이동통신 단말기, 피디에이(PDA : Personal Digital Assistant), 노트북 컴퓨터, 기타 지능형 단말장치 등)를 이용한 무선 데이터 통신 서비스, 특히 음성 통화와 무선 데이터 통신 서비스 양쪽을 제공하는 무선 데이터 통신 서비스는 무선 인터넷 서비스 및 트래픽 점유 양방향 문자 서비스 등과 같이 트래픽 채널을 점유하는 서비스를 지칭한다.
무선 인터넷 서비스는 에치티티피(HTTP : HyperText Transfer Protocol), 왑(WAP : 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등을 수용하는 단말 장치에서 무선 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상기한 HTTP 방식이 구현 가능한 언어로는 엠-에치티엠엘(m-HTML : mobile-Hyper Text Markup Language), 씨-에치티엠엘{c(compact)-HTML} 등이 있고, WAP 방식의 구현 언어로는 더블유엠엘(WML : Wireless Markup Language), 에치디엠엘(HDML : Handheld Device Markup Language) 등이 있다.
최근에는 상기한 서비스의 이용이 가능한 무선 데이터 단말 장치의 보급이 확대되고, 이들 장치를 이용한 무선 인터넷 사용자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상황 하에서 종래의 무선 데이터 통신 서비스는 사용자가 설정하지 않으면 데이터 송수신이 없는 경우 255초 후에 단말이 휴면(dormant) 모드로 진입 하게 되어 사용자가 음성 통화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었다. 또한, 사용자가 특정 값을 설정하는 경우에는 설정된 값이 경과한 후에야 단말이 휴면(dormant) 모드로 진입하게 되어 사용자가 음성 통화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었다. 여기서, 사용자가 음성 통화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는 것은 단말이 휴면(dormant) 모드 진입 후에는 사용자의 음성 착발신이 가능하게 된다는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가 설정하지 않은 상태에서 데이터 서비스 중에 음성 통화가 필요한 경우에는 설정값의 시간이 경과한 후나 무선 데이터 통신 서비스를 종료한 후에 통화가 가능해지므로, 음성 통화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사용자는 무조건 휴면(dormant) 상태가 될 때까지 기다리거나 무선 데이터 통신 서비스를 종료한 후에야 상기 음성 통화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무선 데이터 통신 서비스 중에 기존의 데이터 연결(PPP) 상태를 유지한 상황에서 음성 통화를 원하는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단말을 휴면(dormant) 모드로 진입시키고 음성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무선 데이터 통신 서비스 중에 사용자의 요청에 따른 음성 통화 서비스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무선 데이터 통신 서비스와 음성 통 화 서비스의 제공이 가능한 단말기에 적용되는 무선 데이터 통신 서비스 중의 음성 통화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가 상기 무선 데이터 통신 서비스를 위한 통신망을 통해 사용자에게 상기 무선 데이터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 1 단계; 상기 무선 데이터 통신 서비스를 이용중이던 사용자로부터 상기 무선 데이터 통신 서비스의 연결을 유지한 채 상기 음성 통화 서비스의 이용을 요청하는 키 입력을 받는 제 2 단계; 상기 키 입력을 통해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음성 통화 서비스에 대한 이용 요청을 확인한 상기 단말기가 데이터 송수신 중이 아님을 확인하고 상기 무선 데이터 통신 서비스의 상태를 휴면(dormant) 모드로 진입시키는 제 3 단계; 및 상기 단말기가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음성 통화 서비스의 이용이 가능함을 통지하여 상기 사용자가 상기 음성 통화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제 4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음으로, 상기한 발명의 기술적 과제에서 언급한 피피피(PPP : Point-to-Point Protocol)에 대해 간단히 설명한다.
PPP는 두 점 간을 접속하여 데이터 통신을 할 때 이용하는 광역 통신망(WAN)용 통신 규약이다. 오에스아이(OSI : open systems interconnection) 기본 참조 모델의 데이터 연결 계층(제2계층)에 해당한다. 구내 정보 통신망(LAN) 접속 장치의 라우터는 대부분의 제품이 PPP를 지원하고 있다. PPP는 데이터 패킷의 헤더 부분만을 압축하는 기능이나 비밀 번호 인증 규약(PAP) 또는 챌린지-핸드셰이크 인증 규약(CHAP) 등의 인증 규약을 포함하고 있어서 접속 설정 시 이들 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 또 원격 LAN 접속 시에 접속 서버가 클라이언트 개인용 컴퓨터에 자동적으로 아이피(IP : Internet Protocol) 주소를 할당하는 인터넷 프로토콜 제어 프로토콜(IPCP)의 기능도 가지고 있다. 일반 전화망이나 종합 정보 통신망(ISDN) 등 공중망을 통하여 인터넷 정보 제공자(ISP)의 서버에 접속하는 다이얼 업 IP 접속에서는 일반적으로 PPP 접속으로 IPCP를 이용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세계적 IP 주소를 취득하지 않아도 된다. PPP는 다이얼 업 IP 접속을 위한 대표적인 규약으로 'RFC 1171'에 규정되어 있다.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무선 데이터 통신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예시도이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은 무선 데이터 통신 서비스 시스템은 상기한 것처럼 사용자가 자신의 단말을 이용하여 무선 데이터 통신 서비스와 음성 통화 서비스를 모두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이다.
이러한 무선 데이터 통신 서비스 시스템은 도 1 에 도시된 것처럼, 단말 장치(11), 기지국(12), 교환기(MSC : Mobile Switching Center, 13), 패킷 교환 지원 노드(PDSN : Packet Data Switching Node, 14), 공중 전화망(PSTN :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15) 및 데이터 통신망(16)을 포함한다.
여기서, 단말 장치(11)는 상기한 바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 피디에이(PDA), 노트북 컴퓨터, 기타 지능형 단말장치 등의 무선 데이터 통신 서비 스와 음성 통화 서비스를 사용자가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교환기(MSC, 13)는 이동 통신 네트워크와 일반 전화망, 동일 또는 다른 이동 통신망에 있는 다른 교환기(MSC) 사이의 사용자 트래픽을 위한 접속점을 구성하는 자동 시스템을 말한다. 고정망과 연동되어 이동 통신 가입자에게 회선 교환 서비스를 제공하는 교환기로, 부가적 기능으로는 이동 전화 가입자의 위치를 추적하여 항상 이동 전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하고 이동 장소가 바뀌더라도 통신 서비스를 지속시켜 주는 통화 채널 전환(hand-off) 기능을 가지고 있다.
패킷 교환 지원 노드(SGSN, 14)는 서비스 지역 내에서 단말 장치(11)와의 데이터 패킷 전달을 담당하는 노드를 말한다. 패킷 라우팅 및 전송, 이동성 관리, 논리적 링크 관리, 인증 및 요금 부과 등의 기능을 가지며, SGSN의 위치 레지스터는 SGSN에 등록된 지피알에스(GPRS : General Packet Radio Service) 사용자의 위치 정보(셀 또는 방문자 위치 레지스터 등), 사용자 프로파일(국제 이동국 식별 번호: IMSI) 등을 저장한다.
공중 전화망(PSTN, 15)은 통신 사업자가 제공하는 통상적인 가입 전화 서비스를 위한 전화망이다. 근래 발달해 온 공중 가입형의 데이터 통신망(공중 교환 데이터망 등) 또는 이용자 직영의 사설 통신망 등과 비교하여 기존의 전화망을 이와 같이 부른다.
또한, 상기한 데이터 통신망(16)은 인터넷과 같이 데이터 통신을 위한 통신망을 의미한다. 상기한 공중 전화망(PSTN, 15)의 설명을 통해 제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 통신망(16)에는 공중 가입형의 데이터 통신망이 있을 수 있고, 사설 통신망이 있을 수도 있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데이터 통신 서비스 중에 사용자의 요청에 따른 음성 통화 서비스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기존의 무선 데이터 통신 서비스 연결을 유지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음성 통화를 원하는 경우, 사용자에 의해서 단말이 휴면(dormant) 모드로 진입하게 하는 것이다. 무선 데이터 통신 서비스를 이용해서 사용자가 웹페이지를 읽고 있는 중(즉, 데이터 송수신이 없는 경우)에 긴급히 음성 통화가 필요한 경우, 사용자가 특정 키를 선택함으로써 단말이 휴면(dormant) 상태에 진입하고 음성 통화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무선 데이터 통신 서비스를 이용중이던 사용자로부터 무선 데이터 통신 서비스가 계속 연결 중인 상태에서 잠시 음성 통화를 하고 싶다는 요청을 받아 사용중인 단말기의 데이터 통신 모드를 휴면(dormant) 모드로 변환시키고, 사용자에게 음성 통화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물론, 사용자의 음성 통화 종료 후에 일정 시간이 경과하거나 사용자의 데이터 통신 이용 요청을 받아 휴면(dormant) 모드에서 데이터 통신 모드로 다시 복귀하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대해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은 흐름에 따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무선 데이터 통신 서비스와 음성 통화 서비스의 제공이 가능한 단말이 사용자로부터 무선 데이터 통신 서비스의 이용을 요청받는다(201). 즉, 사용자로부터 데이터 통신 이용 요청을 받는 것이다.
그러면, 단말은 무선 통신망을 통해 무선 데이터 통신 서비스에 연결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202). 즉, 사용자에게 무선 데이터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웹 페이지를 보고, 전자 메일을 발송하는 등의 다양한 데이터 통신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 있는 단말은 음성 통화를 원하는 사용자로부터 키 입력을 받는다(203). 즉, 데이터 통신 서비스 이용 중의 상황에서 음성 통화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것으로, 데이터 통신 모드를 휴면(dormant)로 변환하도록 사용자가 요청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사용자의 요청을 받은 단말은 현재 데이터 통신 서비스의 제공에 따른 데이터 송수신이 진행중인가를 점검한다(204).
점검 결과, 단말이 데이터 송수신을 진행중이면 데이터 송수신이 없을 때까지 대기하고(205), 데이터 송수신이 마무리되면 휴면(dormant) 모드로 진입시킨다(206).
물론, 사용자의 음성 통화 서비스 이용 요청을 받는 상황에서 데이터 송수신 중인 경우에 상기한 것처럼 처리하지 않을 수도 있으며, 이때는 데이터 송수신 중임을 사용자에게 통보하고 소정 시간이 경과한 후에 다시 음성 통화 이용 요청을 하도록 할 수도 있다.
현재 데이터 통신 서비스의 제공에 따른 데이터 송수신이 진행중인가를 점검한 결과, 데이터 송수신이 진행중이지 않으면, 단말을 휴면(dormant) 모드로 진입시킨다(206).
휴면(dormant) 모드로 진입한 다음에는 사용자에게 음성 통화 서비스를 이용하도록 한다(207). 물론, 사용자의 음성 통화가 이루어진 후에는 상기한 바와 같은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면 다시 데이터 통신 서비스 상태로 복귀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씨디롬, 램,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등)에 저장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사용자가 단말을 이용하여 무선 데이터 통신 서비스를 이용중에 긴급히 음성통화가 필요한 경우에 사용자에 의해서 기존의 데이터 통신 서비스 연결(PPP)을 유지한 상태에서 통화가 가능하도록 단말이 휴면(dormant) 모드로 진입하게 하여 사용자가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삭제
  2. 무선 데이터 통신 서비스와 음성 통화 서비스의 제공이 가능한 단말기에 적용되는 무선 데이터 통신 서비스 중의 음성 통화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가 상기 무선 데이터 통신 서비스를 위한 통신망을 통해 사용자에게 상기 무선 데이터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 1 단계;
    상기 무선 데이터 통신 서비스를 이용중이던 사용자로부터 상기 무선 데이터 통신 서비스의 연결을 유지한 채 상기 음성 통화 서비스의 이용을 요청하는 키 입력을 받는 제 2 단계;
    상기 키 입력을 통해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음성 통화 서비스에 대한 이용 요청을 확인한 상기 단말기가 데이터 송수신 중이 아님을 확인하고 상기 무선 데이터 통신 서비스의 상태를 휴면(dormant) 모드로 진입시키는 제 3 단계; 및
    상기 단말기가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음성 통화 서비스의 이용이 가능함을 통지하여 상기 사용자가 상기 음성 통화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제 4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제 3 단계는,
    상기 키 입력을 통해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음성 통화 서비스에 대한 이용 요청을 확인한 상기 단말기가 상기 무선 데이터 통신 서비스와 관련한 데이터 송수신 중인지를 점검하는 제 5 단계;
    상기 제 5 단계의 점검 결과, 상기 무선 데이터 통신 서비스와 관련한 데이터 송수신 중이면 상기 데이터 송수신이 이루어질 때까지 대기한 후 상기 무선 데이터 통신 서비스의 상태를 휴면(dormant) 모드로 진입시키는 제 6 단계; 및
    상기 제 5 단계의 점검 결과, 상기 무선 데이터 통신 서비스와 관련한 데이터 송수신 중이 아니면 상기 무선 데이터 통신 서비스의 상태를 휴면(dormant) 모드로 진입시키는 제 7 단계
    를 포함하는 무선 데이터 통신 서비스 중에 사용자의 요청에 따른 음성 통화 서비스 방법.
  3. 무선 데이터 통신 서비스와 음성 통화 서비스의 제공이 가능한 단말기에 적용되는 무선 데이터 통신 서비스 중의 음성 통화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가 상기 무선 데이터 통신 서비스를 위한 통신망을 통해 사용자에게 상기 무선 데이터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 1 단계;
    상기 무선 데이터 통신 서비스를 이용중이던 사용자로부터 상기 무선 데이터 통신 서비스의 연결을 유지한 채 상기 음성 통화 서비스의 이용을 요청하는 키 입력을 받는 제 2 단계;
    상기 키 입력을 통해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음성 통화 서비스에 대한 이용 요청을 확인한 상기 단말기가 데이터 송수신 중이 아님을 확인하고 상기 무선 데이터 통신 서비스의 상태를 휴면(dormant) 모드로 진입시키는 제 3 단계; 및
    상기 단말기가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음성 통화 서비스의 이용이 가능함을 통지하여 상기 사용자가 상기 음성 통화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제 4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제 3 단계는,
    상기 키 입력을 통해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음성 통화 서비스에 대한 이용 요청을 확인한 상기 단말기가 상기 무선 데이터 통신 서비스와 관련한 데이터 송수신 중인지를 점검하는 제 5 단계;
    상기 제 5 단계의 점검 결과, 상기 무선 데이터 통신 서비스와 관련한 데이터 송수신 중이면 상기 사용자에게 데이터 송수신 중임을 안내하는 제 6 단계; 및
    상기 제 5 단계의 점검 결과, 상기 무선 데이터 통신 서비스와 관련한 데이터 송수신 중이 아니면 상기 무선 데이터 통신 서비스의 상태를 휴면(dormant) 모드로 진입시키는 제 7 단계
    를 포함하는 무선 데이터 통신 서비스 중에 사용자의 요청에 따른 음성 통화 서비스 방법.
KR1020030014251A 2003-03-07 2003-03-07 무선 데이터 통신 서비스 중에 사용자의 요청에 따른 음성통화 서비스 방법 KR1009307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4251A KR100930746B1 (ko) 2003-03-07 2003-03-07 무선 데이터 통신 서비스 중에 사용자의 요청에 따른 음성통화 서비스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4251A KR100930746B1 (ko) 2003-03-07 2003-03-07 무선 데이터 통신 서비스 중에 사용자의 요청에 따른 음성통화 서비스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9463A KR20040079463A (ko) 2004-09-16
KR100930746B1 true KR100930746B1 (ko) 2009-12-09

Family

ID=373644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4251A KR100930746B1 (ko) 2003-03-07 2003-03-07 무선 데이터 통신 서비스 중에 사용자의 요청에 따른 음성통화 서비스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074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73198A (ko) * 2004-12-24 2006-06-28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패킷 데이타 서비스 상태에서 안정적인 휴지 상태 전환을위한 네트웍 관리 시스템 및 방법
US20090305645A1 (en) * 2006-01-27 2009-12-10 Kyocera Corporation Radio Communication Devic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9822A (ko) * 2000-10-14 2002-04-20 이상철 무선 데이터 통신 서비스 중 수신되는 음성 호에 대해선택적으로 통화 연결하는 장치 및 그 방법
KR20020049819A (ko) * 2000-12-20 2002-06-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동시 서비스 방법
KR20030043334A (ko) * 2001-11-28 2003-06-02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패킷/음성 통신 동시 제공방법 및 그를 구현하는 이동통신단말기
KR20030059699A (ko) * 2002-01-04 2003-07-10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시스템에서 데이터 서비스 중 음성 호의 착신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9822A (ko) * 2000-10-14 2002-04-20 이상철 무선 데이터 통신 서비스 중 수신되는 음성 호에 대해선택적으로 통화 연결하는 장치 및 그 방법
KR20020049819A (ko) * 2000-12-20 2002-06-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동시 서비스 방법
KR20030043334A (ko) * 2001-11-28 2003-06-02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패킷/음성 통신 동시 제공방법 및 그를 구현하는 이동통신단말기
KR20030059699A (ko) * 2002-01-04 2003-07-10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시스템에서 데이터 서비스 중 음성 호의 착신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9463A (ko) 2004-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693988B1 (en) A method of the subscriber terminal selecting the packet data gateway in the wireless local network
US718476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cellular data communication to roaming mobile telephony devices
US7522907B2 (en) Generic wlan architecture
KR100414648B1 (ko) 통신제어방법, 통신방법, 서버장치, 단말기, 중계장치 및 통신시스템
US9681294B2 (en) Method for managing local terminal equipment accessing a network
US20040038689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mmunication service portability
EP1719292B1 (en) A method of probing a node
JP2007511131A (ja) セルラーと、ボイスオーバーインターネットプロトコル通信との間での移行をする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20060233133A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searching address and locating a correspondent node in a wlan
KR100729101B1 (ko) 단말 이동성을 갖는 인터넷 서비스 장치 및 그 방법
EP1695514B1 (en) Communication network
US7492733B2 (en) Method of transmitting packets in a mobile 3G network system
CN100553240C (zh) 支持访问认证的装置和系统及其使用的方法
US20080247346A1 (en) Communication node with multiple access support
AU2004224971B2 (en) A method of authentication via a secur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06090233A1 (en) Provision of services in a communication system
KR100930746B1 (ko) 무선 데이터 통신 서비스 중에 사용자의 요청에 따른 음성통화 서비스 방법
EP1176760A1 (en) Method of establishing access from a terminal to a server
JP4460400B2 (ja) 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方法
EP1444856B1 (en) Roaming in mms environment
US7904359B1 (en) Providing accounting services for a communication network
KR100957636B1 (ko) 데이터 세션 관리 방법 및 시스템
JP2004201087A (ja) 携帯電話機によるダイヤルアップ接続方法
JP4290589B2 (ja) サーバ装置
KR100841793B1 (ko) 통신 네트워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