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43334A - 패킷/음성 통신 동시 제공방법 및 그를 구현하는 이동통신단말기 - Google Patents

패킷/음성 통신 동시 제공방법 및 그를 구현하는 이동통신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43334A
KR20030043334A KR1020010074466A KR20010074466A KR20030043334A KR 20030043334 A KR20030043334 A KR 20030043334A KR 1020010074466 A KR1020010074466 A KR 1020010074466A KR 20010074466 A KR20010074466 A KR 20010074466A KR 20030043334 A KR20030043334 A KR 200300433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ice
packet
traffic
service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44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47879B1 (ko
Inventor
김경희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744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47879B1/ko
Publication of KR200300433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33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78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7879B1/ko

Links

Landscapes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패킷 데이터 서비스와 음성 서비스의 동시제공방법 및 그를 구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패킷 데이터 서비스 중 음성착발신 요청이 있는 경우 PPP, TCP 등의 연결세션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패킷 데이터 트래픽만을 강제로 종료하고 음성트래픽을 설정하여 음성 통화 서비스를 수행하고, 음성 서비스가 종료한 후에 자동으로 패킷 데이터 서비스모드로 복귀시키게 한다.
본 발명을 이용하면, 서비스의 시간 및 비용을 절약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음성 서비스 종료 후 이전의 패킷 서비스를 연속적으로 진행할 수 있어서 사용상의 편리성을 향상시킨다.

Description

패킷/음성 통신 동시 제공방법 및 그를 구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Voice Service During Packet Data Service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패킷 데이터 서비스와 음성 서비스의 동시제공방법 및 그를 구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 더 상세하게는 패킷 데이터 서비스 중 음성착발신 요청이 있는 경우 패킷 데이터 트래픽만을 종료하여 강제 휴면모드(Dormant Mode)로 진입시켜 음성 착발신 서비스를 수행하고, 음성 서비스가 종료한 후에 자동으로 패킷 데이터 서비스모드로 복귀시키는 방법 및 그를 구현하는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이동통신 서비스가 널리 확산됨에 따라 거의 대부분의 국민이 하나 이상의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받고 있다. 이러한 이동통신 서비스는 기본적인 음성통화, 문자·음성메시지 전송에 이어, 무선 인터넷 서비스, 이동통신 단말기용 컨텐츠의 이용 등으로 확대되고 있다.
이 중, 단말기간의 일대일 데이터(문자 등) 통신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회선방식이 아닌 패킷 방식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PPP(Point-to-Point Protocol) 및 TCP/IP 또는 UDP 프로토콜에 의하여 두 단말기 사이의 채널세션을 형성하고, 필요한 데이터를 패킷에 인캡슐레이션(encapsulation)하여 전송하는 것이다. 이러한 패킷 통신은 회선방식에 비하여 채널의 이용효율이 뛰어나고 신뢰성을 보장하는 것으로, 인터넷망에서의 데이터 송수신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패킷 데이터 서비스는 다음과 같은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이동통신 단말기에 IP 어드레스(Static 또는 Dynamic IP Address)를 할당하고 데이터 송수신을 원하는 두 단말기 사이에 PPP 및 TCP 연결을 설정한 후 패킷을교환한다. 도 1은 이러한 이동통신 단말기 간의 패킷 데이터 통신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토콜 스택과 과정을 도시한다.
우선, 패킷 통신을 원하는 두 단말기(MS)에는 고유한 고정 또는 동적 IP 어드레스가 할당되어 있고, 기지국(BS) 또는 이동전화교환국(MSC)을 거쳐 데이터 통신을 위한 망연동장치(Inter Working Function; IWF) 및 패킷데이터제공노드(Packet Data Serving Node; PDSN)와 연결된다.
패킷 데이터 통신을 원하는 사용자는 소정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킨 후 상대방 단말기의 IP 어드레스를 입력하여 BS/MSC 사이의 서비스 네고세이션(negotiation) 및 RLP(Radio Link Protocol) 네고세이션을 수행한다. 그 다음으로 IWF/PDSN과 PPP(Point-to-Point Protocol) 접속이 이루어지고, 상대방 단말기가 연동되어 있는 IWF/PDSN, BS/MSC를 경유하여 상대방 단말기로 데이터 패킷 송수신 착신요청을 한다. 상대방 단말기는 착신 요청을 받은 후 소정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위와 유사한 방법으로 PPP 연결을 수행한다. 이 상태에서 UDP 등을 이용하여 서로 데이터 패킷을 송수신할 수 있으며, 필요한 경우 TCP 세션을 연결한 후 TCP에 의한 패킷을 교환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러한 패킷 데이터 서비스 중 잠시 음성 착신 또는 음성 발신에 의한 음성통화서비스를 하고자 하는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에는 사용할 수 있는 트래픽이 없으므로 음성 서비스를 위하여 진행중이던 패킷 데이터 호접속을 완전히 종료한 후 음성 서비스를 받아야 한다. 즉, 문자 송수신, 온라인 게임, 컨텐츠 다운로드 등과 같은 패킷 서비스를 하는 도중에 전화가 오는 경우, 전화를 받아 음성서비스를 받기 위해 진행중이던 패킷 서비스를 종료하여야 하며, 음성통화가 끝난 후에 다시 처음부터 PPP, TCP와 같은 세션연결 등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수행하여야 한다. 따라서, 번거로울뿐 아니라 패킷 데이터 서비스에 소요되는 시간이 많아져서 비용의 소모가 많다는 단점이 있었다.
본원 발명은 이러한 점에 착안한 것으로, 이동통신 단말기의 패킷 데이터 서비스 도중에 음성 착발신이 있는 경우, 패킷 데이터 서비스용 연결세션의 일부를 유지하면서 음성 통화 서비스를 동시에 제공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통신 단말기간의 패킷 데이터 서비스 도중의 음성 통화 서비스 제공방법 및 그를 구현하기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동통신 단말기간의 패킷 데이터 서비스 도중에 음성 착발신 요청이 있는 경우, 연결세션 중 일부를 유지한 채 데이터 트래픽을 종료하고 음성 트래픽을 설정한 상태에서 음성통화 서비스를 제공하고, 음성 서비스 종료 후에 다시 데이터 트래픽을 재설정하는 방법 및 그를 구현하기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방식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 간의 패킷 데이터 통신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토콜 스택과 과정을 도시한다.
도 2는 종래의 음성통신 서비스 제공을 위한 시스템별 프로토콜 스택 구성을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능별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별 프로토콜 스택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패킷 서비스 도중의 음성 서비스 제공방법의 전체 흐름도이다.
도 6은 각 모드 간의 전이를 위한 키할당의 예를 도시하는 테이블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다.
음성보코더와 제어부를 포함하며, 제어부는 패킷 데이터 서비스 도중에 음성 착발신 신호를 수신한 경우, 패킷 서비스 개시때 설정한 PPP (및 TCP) 세션은 유지한 채 데이터 트래픽을 종료(패킷 트래픽 휴면 상태)하고, 보코더를 구동하여 음성 신호를 송수신하며, 음성 서비스 종료후에 다시 데이터 트래픽을 재설정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이를 위하여, 제어부는 제공되는 서비스 종류에 따라 패킷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는 "패킷 트래픽/음성 NULL 모드"와, 패킷 서비스 도중에 음성 트래픽을 설정하여 음성통화를 가능하게 하는 "패킷 트래픽 휴면/음성 트래픽 모드", 및 패킷 및 음성 서비스 모두가 불가능한 상태인 "IDLE 모드" 또는 "패킷 NULL/음성 NULL 모드"로 구분하고, 한 모드에서 다른 모드로 진행하기 위한 키를 할당한다.
본 발명에 의한 방법에서는,
패킷 서비스 도중에 음성 착발신 요청신호가 수신된 경우, 음성신호 송수신에 사용할 수 있는 여분 트래픽이 있는지 확인하는 제 1 단계와,
여분 트래픽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PPP 세션 및 TCP 세션은 유지한 채 데이터 트래픽만 종료하여 패킷 트래픽 휴면모드로 진입하는 제 2 단계와,
음성 트래픽을 설정하고 단말기의 보코더를 구동하여 음성신호를 송수신하는 제 3 단계와,
음성 통화 종료신호가 수신된 경우 음성 트래픽을 종료하고, 데이터 트래픽을 재설정함으로써 이전의 패킷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도록 하는 제 4 단계로 이루어진다.
또한, 제 3 단계 이후에, 음성 및 패킷 서비스 모두의 종료신호(음성/패킷 동시 종료 신호)가 수신된 경우 음성 트래픽 및 모든 연결세션(PPP, TCP 세션 포함)을 종료하여 IDLE 모드로 진입시키는 제 5 단계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제 1 단계에서, 패킷 서비스 도중의 음성 착신신호의 입력은 플립 개방신호 또는 단말기 키패드 중 임의의 한 버튼신호의 입력이며, 패킷 서비스 도중의 음성발신신호의 입력은 단말기 키패드 중 "통화" 또는 "SEND" 버튼신호의 입력이다.
제 3 단계에서의 음성 통화 종료신호의 입력은 단말기 키패드 중 미리 설정된 특정한 한 버튼신호 입력이며, 제 5 단계에서의 음성/패킷 동시 종료 신호는 단말기 키패드의 "종료" 또는 "END" 버튼신호의 입력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되는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종래 방식에서의 이동통신 단말기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시스템별 프로토콜 스택(Protocol Stack)을 도시한다.
단말기에는 하위부터 IS-95A/B/C 프로토콜(물리계층) 레이어, RLP(Radio Link Protocol) 레이어(데이터링크계층), PPP 레이어, SNDCF 레이어, IP 레이어, TCP 레이어 및 어플리케이션 레이어 등으로 구성된 프로토콜 스택이 구현되어 있다.
이동통신망인 기지국(BS) 및/또는 이동통신 교환기(MSC)에는 물리계층 및 데이터링크 계층의 프로토콜이 구헌되어 있고, 데이터 통신을 가능하게 해 주는 IWF/PDSN에는 네트워크 계층인 IP 레이어까지 구현되어 있다.
패킷 데이터 통신을 위하여 우선, 단말기는 이동통신망 시스템(BS, MSC)과 RLP 세션을 설정하고, IWF/PDSN과 PPP 세션을 설정한다. 그 후에 TCP세션을 연결하고 TCP/IP 프로토콜에 의하여 데이터를 패킷화하거나 UDP 프로토콜에 의하여 데이터를 패킷화하여 상대방 단말기가 접속한 이동통신망(BS, MSC)으로 전송한다.
도 2는 종래의 음성통신 서비스 제공을 위한 시스템별 프로토콜 스택 구성을 도시한다.
단말기 측에는 물리계층 프로토콜로서의 IS95-A/B/C와, 음성 신호의 송수신을 위한 보코더(QCELP/EVRC)가 상위에 존재한다. 하나의 단말기에서 호접속요청(Call)을 하면 이동통신망(BS/MSC)을 거쳐 대상자 단말기로 Call이 전송되고, 착신응답을 하면 호접속(Circuit Connection)이 이루어진다. 이 상태에서 보코더가 추출하여 변조한 음성신호가 상대방 단말기로 송신되며, 상대방 단말기는 수신한 음성신호를 복조하여 출력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능별 블록도이다.
일반적인 단말기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는 크게 입력부(310), 출력부(320), 저장부(330), 송수신부(340), 보코더와 같은 음성신호처리부(350) 및 제어부(360)로 이루어지며, 입력부(310)는 데이터입력 또는 기능선택을 위한 키패드, 음성신호 입력을 위한 마이크로폰을 포함하고, 출력부는 데이터 화면출력을 위한 디스플레이 패널과 음성신호 출력을 위한 스피커부를 포함한다.
입력부, 출력부, 저장부, 송수신부 및 음성신호처리부는 일반적인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 및 기능과 동일하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단말기의 제어부(360)는 패킷 데이터 통신 서비스 도중(패킷 트래픽/음성 NULL 모드)에 음성서비스 요청신호(음성 착발신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여분의 트래픽이 존재하는 지 확인한다. 여분의 트래픽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PPP 및 TCP와 같은 연결세션은 그대로 유지한 채 패킷 서비스용 트래픽을 강제로 종료하고 음성 서비스용 트래픽을 설정한다(패킷 트래픽 휴면/음성 트래픽 모드). 동시에 보코더를 구동하여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변조하고 설정된 음성 서비스용 트래픽으로 전송하거나, 수신된 음성신호를 복조하여 출력한다. 물론, 여분의 트래픽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위와 같은 패킷 서비스용 트래픽의 종료가 필요없고, 여분의 트래픽을 음성 서비스용 트래픽으로 설정하면 된다.
또한, 음성 통화 종료 신호가 입력되면 음성 트래픽을 종료하고 이전의 패킷 서비스용 트래픽을 재설정하며(패킷 트래픽/음성 NULL 모드), 패킷/음성 동시 종료 신호가 입력되면 모든 트래픽을 종료하고 모든 연결세션들을 해제한다(패킷 NULL/음성 NULL 모드).
이러한, 기능들은 단말기에 설치되는 소정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패킷 서비스 도중의 음성 서비스 제공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별 프로토콜 스택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시된 것은, 전술한 "패킷 트래픽 휴면/음성 트래픽" 모드가 진행되는 때의 각 시스템별 프로토콜 스택으로서, 이동통신 단말기가 IWF/PDSN과의 PPP세션 및 필요한 경우 TCP 세션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보코더를 구동하여 음성 서비스를 받는 상태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패킷 서비스 도중의 음성 서비스 제공방법의 전체 흐름도이다.
우선, 단말기 제어부는 패킷 서비스 도중(S511)에 음성 착발신 신호가 입력되는 지 모니터링한다(S512). 음성 착발신 신호의 입력은, 해당 단말기가 착신을 받은 경우에는 사용자가 통화를 위하여 누르는 임의의 버튼의 DTMF 신호이며, 해당 단말기가 발신을 하는 경우에는 상대방 전화번호 입력후에 누르는 "통화(SEND)" 버튼의 DTMF 신호일 것이다.
음성 착발신 신호가 입력되면, 여분의 트래픽이 존재하는 지 판단하고(S513), 여분의 트래픽이 없는 경우에 한하여, 패킷 서비스를 위하여 설정된 PPP 또는 TCP 같은 모든 연결세션들을 그대로 유지한 채 패킷 트래픽을 강제로 종료하고 음성 서비스용 트래픽을 설정함으로써, "패킷 트래픽 휴면/음성 트래픽"모드로 진입한다(S514, S515). 이 모드에서는 패킷 서비스를 위한 모든 기능이 정지한다. 즉, 데이터의 변·복조, 데이터의 인캡슐레이션, 패킷 데이터용 버튼 입력, 패킷 데이터의 수신 등이 모두 비활성(Inactive) 상태로 된다. 물론, 여분의 트래픽이 있는 경우에는 그를 음성 서비스용 트래픽으로 설정함으로써 "패킷 트래픽/음성 트래픽 모드"로 진입하게 되며, 이 상태에서는 음성 서비스와 패킷 서지스가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다.
이후에 단말기 제어부는 보코더를 구동하여 음성서비스를 제공한다(S516). 즉, 설정된 음성 트래픽을 통하여 호접속 신호를 송수신함으로써 호접속하고, 마이크로폰을 통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음성신호를 변조하여 상대방 단말기로 전송하거나, 상대방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음성신호를 복조하여 출력한다.
이 상태에서, 음성 서비스 종료 신호가 입력되면(S518), 음성 서비스용 트래픽을 종료하고 그를 다시 이전의 패킷 서비스용 트래픽으로 재설정하며(S519), 재설정된 트래픽을 이용하여 계속하여 패킷 데이터의 송수신을 수행하도록 한다(S511). 즉, "패킷 트래픽 휴면/ 음성 트래픽"모드에서 "패킷 트래픽/음성 NULL"모드로 진행할 때에는 데이터 트래픽 및 RLP만 다시 설정하면 되고, PPP 세션 및/또는 TCP 세션을 다시 설정할 필요가 없다. 또한, 음성/패킷 서비스의 동시 종료신호가 입력되면 모든 트래픽과 연결세션을 종료 또는 해제한다(S520, S521).
이러한 음성서비스 종료신호 또는 패킷/음성 동시 종료 신호는 미리 정해져 있는 버튼신호를 통해 입력될 수 있으며, 이러한 예에 대해서는 도 6을 참고로 아래에서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은 각 모드 간의 전이를 위한 키할당의 예를 도시하는 테이블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패킷 트래픽/음성 NULL모드"와, "패킷 트래픽 휴면/음성 트래픽 모드" 및 "패킷 NULL/음성 NULL 모드" 사이의 전환을 위해서는 사용자의 명령 신호(패킷 서비스 중의 음성 착발신 신호, 음성 서비스 종료신호, 패킷/음성 동시 종료신호)가 입력되어야 하는 바, 이러한 명령 신호의 입력 및 식별은 미리 할당된 버튼의 DTMF 신호를 이용하여 수행한다.
도 6은 전술한 각 명령신호를 키에 할당하는 방법을 예시한 것으로, 우선 패킷 서비스 도중에 서비스를 종료하기 위한 명령(패킷 트래픽/음성 NULL모드 →패킷 NULL/음성 NULL 모드)으로 통상의 음성서비스 종료와 같이 "END" 또는 "종료"버튼을 할당한다.
또한, 패킷 서비스 도중에 음성 서비스를 받고자 하는 명령은 다음과 같이 2가지로 나눌 수 있다. 1) 우선, 음성 착신을 받은 경우 사용자가 통화를 위하여 단말기의 플립을 열거나(플립오픈신호), 키패드 중 임의의 한 버튼을 누름으로써 "패킷 트래픽/음성 NULL모드"에서 "패킷 트래픽 휴면/음성 트래픽 모드"로 전환한다. 2) 해당 단말기가 음성 발신을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대방 전호번호를 입력한 후 "SEND" 또는 "발신"버튼을 누르거나, 전화번호를 검색하여 상대방 전화번호를 특정한 상태에서 "SEND" 또는 "발신" 버튼을 누름으로써 "패킷 트래픽/음성 NULL모드"에서 "패킷 트래픽 휴면/음성 트래픽 모드"로 전환하는 2가지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음성 서비스를 종료하고 다시 패킷 서비스 모드로 진행하고자 입력하는 음성 서비스 종료 명령은 키패드의 어느 한 키에 할당할 수 있으며, 본 예에서는 "CLR" 버튼으로 하였다. 즉, 사용자가 패킷 서비스 도중에 음성 통화를 끝내고 다시 패킷 서비스모드로 진행하려 하는 경우에는 "CLR" 버튼을 누르면 되고, 이에 따라 "패킷 트래픽 휴면/음성 트래픽 모드"에서 "패킷 트래픽/음성 NULL 모드"로 변환된다.
사용자가 패킷 서비스 도중에 착발신된 음성 통화와 이전에 수행하던 패킷 서비스 모두를 종료하고 싶은 경우에 입력하는 패킷/음성 동시 종료명령에는 위에서와 마찬가지로 "END" 또는 "종료" 버튼을 할당한다. 즉, 패킷 서비스 도중에 착발신된 음성 통화가 끝나고 "END" 또는 "종료" 버튼을 누르면, "패킷 트래픽 휴면/음성 트래픽 모드"에서 "패킷 NULL/음성 NULL 모드"로 진행하게 된다.
물론, 이러한 명령에 대한 버튼 할당은 전술한 바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다른 방식의 버튼 할당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방법을 이용하면, 이동통신 단말기 간의 패킷 서비스 도중에 음성 서비스를 제공요청이 있는 경우, 패킷 서비스용 연결세션을 그대로 유지함으로써, 시간 및 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또한, 음성 서비스 종료 후 이전의 패킷 서비스를 연속적으로 진행할 수 있어서, 사용상의 편리성을 향상시킨다. 즉, 문자메시지 송수신, 온라인 게임, 컨텐츠 다운로드 등의 패킷 서비스 도중에 음성 서비스를 제공하고, 음성 통화가 종료된 경우 간편하게 이전의 패킷 서비스를 계속하여 수행할 수 있으므로 편리하다.

Claims (6)

  1. 음성보코더와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패킷 데이터 서비스 도중에 음성 착발신 신호를 수신한 경우, 패킷 서비스 개시때 설정한 PPP (및 TCP) 세션은 유지한 채 데이터 트래픽을 종료(패킷 트래픽 휴면 상태)하고 음성 트래픽을 설정하며, 상기 설정된 음성 트래픽과 보코더를 이용하여 음성 신호를 송수신하는 기능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음성 통신 동시지원 이동통신 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음성 서비스 종료신호가 수신된 경우 음성 트래픽을 종료하고 패킷 트래픽을 재설정함으로써 이전의 패킷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며,
    음성/패킷 동시 종료신호가 입력되면, 모든 연결세션 및 트래픽을 종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음성 통신 동시지원 이동통신 단말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제공되는 서비스 종류에 따라 패킷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는 "패킷 트래픽/음성 NULL 모드"와, 패킷 서비스 도중에 음성 트래픽을 설정하여 음성통화를 가능하게 하는 "패킷 트래픽 휴면/음성 트래픽 모드", 및 패킷 및 음성 서비스 모두가 불가능한 상태인 "IDLE 모드" 또는 "패킷 NULL/음성 NULL 모드"로 구분하고, 상기 제어부는 한 모드에서 다른 모드로 전이하기 위하여 할당된버튼 신호를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음성 통신 동시지원 이동통신 단말기.
  4. 보코더와 제어부를 포함하고, 패킷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방법으로서,
    상기 제어부는 패킷 서비스 도중에 음성 착발신 요청신호가 수신된 경우, 음성신호 송수신에 사용할 수 있는 여분 트래픽이 있는지 확인하는 제 1 단계와,
    여분 트래픽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PPP 세션 및 TCP 세션은 유지한 채 데이터 트래픽만 종료하여 패킷 트래픽 휴면모드로 진입하는 제 2 단계와,
    음성 트래픽을 설정하고 단말기의 보코더를 구동하여 음성신호를 송수신하는 제 3 단계와,
    음성 통화 종료신호가 수신된 경우 음성 트래픽을 종료하고, 데이터 트래픽을 재설정함으로써 이전의 패킷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도록 하는 제 4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패킷/음성 서비스 동시 제공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계 이후에, 제어부는 음성 및 패킷 서비스 모두의 종료신호(음성/패킷 동시 종료 신호)가 수신된 경우 음성 트래픽 및 모든 연결세션(PPP, TCP 세션 포함)을 종료하는 제 5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패킷/음성 서비스 동시 제공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계에서,
    ① 패킷 서비스 도중의 음성 착신신호의 입력은 플립 개방신호 또는 단말기 키패드 중 임의의 한 버튼신호의 입력이며, 패킷 서비스 도중의 음성발신신호의 입력은 단말기 키패드 중 "통화" 또는 "SEND" 버튼신호의 입력이다.
    ② 제 3 단계에서의 음성 통화 종료신호의 입력은 단말기 키패드 중 미리 설정된 특정한 한 버튼신호 입력이며,
    ③ 제 5 단계에서의 음성/패킷 동시 종료 신호는 단말기 키패드의 "종료" 또는 "END" 버튼신호의 입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패킷/음성 서비스 동시 제공방법.
KR10-2001-0074466A 2001-11-28 2001-11-28 이동통신단말기의 패킷/음성 통신 동시 제공방법 KR1004478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4466A KR100447879B1 (ko) 2001-11-28 2001-11-28 이동통신단말기의 패킷/음성 통신 동시 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4466A KR100447879B1 (ko) 2001-11-28 2001-11-28 이동통신단말기의 패킷/음성 통신 동시 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3334A true KR20030043334A (ko) 2003-06-02
KR100447879B1 KR100447879B1 (ko) 2004-09-08

Family

ID=295717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4466A KR100447879B1 (ko) 2001-11-28 2001-11-28 이동통신단말기의 패킷/음성 통신 동시 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47879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0864A (ko) * 2001-12-19 2003-06-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에서의 데이터 호 수신 중 음성 호 모니터링 방법
KR20030059699A (ko) * 2002-01-04 2003-07-10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시스템에서 데이터 서비스 중 음성 호의 착신 방법
KR100588622B1 (ko) * 2003-04-22 2006-06-13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음성 및 데이터 통신 통합형 단말기, 플랫폼 및 그 방법
KR100753366B1 (ko) * 2005-12-22 2007-08-30 주식회사 팬택 콜 착신 실패 처리 방법 및 시스템
KR100930746B1 (ko) * 2003-03-07 2009-12-09 주식회사 팬택 무선 데이터 통신 서비스 중에 사용자의 요청에 따른 음성통화 서비스 방법
KR20120032156A (ko) * 2010-09-28 2012-04-05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데이터 서비스 장치 및 방법, 네트워크 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 방법, 단말기 및 단말기의 구동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49681B1 (en) * 1997-04-01 2001-06-19 Nokia Mobile Phones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acket data call re-establishment in a telecommunications system
KR20010027334A (ko) * 1999-09-13 2001-04-06 박종섭 씨디엠에이 이동통신 시스템내 기지국에서의 멀티서비스를 위한 패킷 처리방법
KR20000024291A (ko) * 2000-02-03 2000-05-06 이성철 통화중 문자 송수신장치
KR100370041B1 (ko) * 2000-12-20 2003-01-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동시 서비스 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0864A (ko) * 2001-12-19 2003-06-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에서의 데이터 호 수신 중 음성 호 모니터링 방법
KR20030059699A (ko) * 2002-01-04 2003-07-10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시스템에서 데이터 서비스 중 음성 호의 착신 방법
KR100930746B1 (ko) * 2003-03-07 2009-12-09 주식회사 팬택 무선 데이터 통신 서비스 중에 사용자의 요청에 따른 음성통화 서비스 방법
KR100588622B1 (ko) * 2003-04-22 2006-06-13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음성 및 데이터 통신 통합형 단말기, 플랫폼 및 그 방법
KR100753366B1 (ko) * 2005-12-22 2007-08-30 주식회사 팬택 콜 착신 실패 처리 방법 및 시스템
KR20120032156A (ko) * 2010-09-28 2012-04-05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데이터 서비스 장치 및 방법, 네트워크 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 방법, 단말기 및 단말기의 구동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47879B1 (ko) 2004-09-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6771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ixed mode personal communication
EP1360788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nabling multimedia calls using session initiation protocol
KR100260516B1 (ko) 코드분할 다중접속 이동통신망에서의 비동기통신 데이터발신호 및 착신호 서비스 방법
US7720498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an image of a speaker in a push-to-talk communication service in a push-to-talk portable terminal
KR100689477B1 (ko) 무선 통신시스템에서 신속한 호 셋업 방법 및 시스템
KR20020071111A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트래픽 채널을 이용한 멀티미디어방송서비스 방법
US20120157056A1 (en) System, Method and Terminal for Communication between WAPI Terminals
KR100447879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패킷/음성 통신 동시 제공방법
KR20010061323A (ko) 인터넷 폰 서비스 지원 방법 및 시스템
JPH11313377A (ja) 移動データ通信システムとその移動端末装置及びデータ通信装置
KR100547877B1 (ko) 무선 통신시스템에서 신속한 호 설정 방법
KR20040093802A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그룹 호 서비스를 위한 무선 링크관리 방법
KR20010048891A (ko) 무선통신용 단말기간 데이터통신 연결방법
JPH11313371A (ja) 移動データ通信システムとその基地局装置及び移動端末装置
KR100361492B1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영상 호 제어 방법
KR100612698B1 (ko) 무선랜 및 휴대 인터넷을 이용하여 cdma 패킷 데이터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프로토콜 구조, 서비스 제공 방법및 이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
KR100568190B1 (ko) 단문메시지를 이용한 푸쉬 투 토크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JP4301639B2 (ja) 移動無線端末装置
KR20040042049A (ko) 통화 모드 변경 방법
KR100233850B1 (ko) 코드분할다중접속 이동 통신망에서의 비동기 통신 데이터 발신호 및 착신호 서비스 방법
KR100548410B1 (ko) 이동통신 시스템의 피티티 서비스 방법
KR100429289B1 (ko) 데이터 호 사용 중 음성 호 착신 방법
JP2001061187A (ja) 無線データ通信方法および無線データ通信システム
KR100574661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연속 호연결 방법
KR100313915B1 (ko) 무선가입자망에서의메시지처리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1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