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0306B1 - 사용후핵연료의 파이로 공정 회수 금속우라늄을 이용한중수로용 핵연료 소결체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사용후핵연료의 파이로 공정 회수 금속우라늄을 이용한중수로용 핵연료 소결체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0306B1
KR100930306B1 KR1020080014453A KR20080014453A KR100930306B1 KR 100930306 B1 KR100930306 B1 KR 100930306B1 KR 1020080014453 A KR1020080014453 A KR 1020080014453A KR 20080014453 A KR20080014453 A KR 20080014453A KR 100930306 B1 KR100930306 B1 KR 1009303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ranium
nuclear fuel
heavy water
producing
metal urani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44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89091A (ko
Inventor
송기찬
박창제
류호진
강권호
나상호
박근일
Original Assignee
한국원자력연구원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원자력연구원,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원자력연구원
Priority to KR10200800144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0306B1/ko
Publication of KR200900890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90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03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03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19/00Arrangements for treating, for handling, or for facilitating the handling of, fuel or other materials which are used within the reactor, e.g. within its pressure vessel
    • G21C19/42Reprocessing of irradiated fuel
    • G21C19/44Reprocessing of irradiated fuel of irradiated solid fuel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3/00Reactor fuel elements and their assemblies; Selection of substances for use as reactor fuel elements
    • G21C3/42Selection of substances for use as reactor fuel
    • G21C3/58Solid reactor fuel Pellets made of fissile material
    • G21C3/62Ceramic fuel
    • G21C3/623Oxide fue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30/00Energy generation of nuclear origin
    • Y02E30/30Nuclear fission reac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nufacture And Refinement Of Met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후핵연료의 파이로 공정 회수 금속우라늄을 이용한 중수로용 핵연료 소결체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후경수로핵연료를 재처리하는 파이로공정 중 전해 정련 공정에서 회수되는 금속 우라늄을 반복되는 산화 및 환원 과정을 통해 소결 가능한 이산화우라늄 분말로 변환하고, 생성된 이산화우라늄 분말을 성형체로 가공하여 소결시키는 과정을 통해 중수로에 사용할 수 있는 핵연료 소결체를 제조하는 파이로 공정 회수 금속우라늄을 이용한 중수로용 핵연료 소결체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사용후핵연료의 파이로 공정 회수 금속우라늄을 이용한 중수로용 핵연료 소결체 제조 방법은, 파이로 공정 중 전해 정련 공정에서 회수되는 금속 우라늄을 공기분위기 하에서 산화시켜 U3O8 분말을 제조하는 산화 공정과; 상기 산화 공정을 통해 제조된 U3O8 분말을 수소 분위기에서 환원시켜 이산화우라늄 분말을 제조하는 환원 공정과; 상기 환원 공정을 통해 얻어지는 이산화우라늄 분말을 성형체로 제조하는 성형 공정과; 상기 성형 공정을 통해 제조된 이산화우라늄 성형체를 환원 분위기에서 소결시켜 핵연료 소결체를 제조하는 소결 공정;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점을 특징으로 한다.
사용후핵연료, 재사용, 파이로 공정, 금속 우라늄, 핵연료 소결체, 산화 환원, 성형, 소결, 중수로

Description

사용후핵연료의 파이로 공정 회수 금속우라늄을 이용한 중수로용 핵연료 소결체 제조 방법{A fabrication method of nuclear fuel pallet for heavy water reactor using the metallic uranium obtained through the pyroprocess of spent fuel}
본 발명은 사용후핵연료의 파이로 공정 회수 금속우라늄을 이용한 중수로용 핵연료 소결체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후경수로핵연료를 재처리하는 파이로공정 중 전해 정련 공정에서 회수되는 금속 우라늄을 반복되는 산화 및 환원 과정을 통해 소결 가능한 이산화우라늄 분말로 변환하고, 생성된 이산화우라늄 분말을 성형체로 가공하여 소결시키는 과정을 통해 중수로에 사용할 수 있는 핵연료 소결체를 제조하는 파이로 공정 회수 금속우라늄을 이용한 중수로용 핵연료 소결체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원자로는 사용되는 감속재의 종류에 따라 크게 중수(D20)를 사용하는 중수로와 일반 물, 즉 경수(H2O)를 사용하는 경수로로 구분된다.
일반적으로 경수로형 원자로에서는 핵연료가 연소되는 동안 핵연료에 포함된 핵분열성 물질이 중성자와 반응하면서 그 양이 점점 감소되나, 원자로에서 일정주기 동안 연소된 후 방출되는 핵연료, 즉 사용후핵연료에는 여전히 U-235의 함량이 충분히 높으며, 따라서 이들 사용후핵연료는 재사용할 가치가 충분한 재활용 자원이 된다.
우리나라는 경수로형 원자로와 중수로형 원자로를 동시에 보유하고 있어, 경수로형 원자로에서 방출된 사용후핵연료를 중수로형 원자로에서 재사용하여 사용후핵연료의 처분량 감소는 물론, 자원 재활용이라는 두 가지 목적을 달성하고자 하는 사용후핵연료 재사용 기술에 대한 연구·개발이 활발히 수행되고 있다.
종래의 사용후핵연료 재사용 기술로는 사용후경수로핵연료를 건식 공정으로 재가공하여 새로운 핵연료 소결체를 제조함으로써, 이를 중수로형 원자로에서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경·중수로 연계핵연료 주기(Direct Use of spent PWR Fuel in CANDU Reactors; DUPIC) 기술이 있다.
그러나, 종래의 DUPIC 공정을 거쳐 재사용되는 핵연료는 희토류 금속(RE)과 같은 불순물을 많이 함유하고 있어 핵연료의 성능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핵분열 생성물(Fission Product; FP)이나 초우랄원소(Trans Uranics; TRU) 물질과 같은 다량의 방사성 물질을 포함하고 있어 방사선 준위가 매우 높기 때문에, 밀폐된 핫셀 내에서 원격으로 모든 제조 작업을 수행해야 하므로 작업 시간 및 비용이 많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경수로의 사용후핵연료를 고속로(fast reactor)에 재사용하는 기술로 파이로 공정(pyro process) 기술이 있으며, 현재 우리나라는 고준위 방사성 폐기물 처리 문제에 대한 방안으로서 파이로 공정 기술을 적용할 계획을 수립 중에 있다.
도 1은 파이로 공정 기술의 세부 공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이로 공정 기술은 사용후핵연료를 전해 환원, 전해 정련, 전해 제련의 공정을 거쳐 금속 형태의 핵연료로 재가공하여 이를 고속로에 재활용하게 되는데, 각 공정에 대하여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전해 환원 공정에서는 핵분열 생성물이 다량 함유된 산화물 핵연료인 UO2를 약 650 ℃ 온도에서 LiCl-Li2O 용액에 넣어 전기를 통해줌으로써 금속전환체로 환원시켜준다. 전해 환원 공정을 통해 석출되는 금속 형태의 금속전환체에는 우라늄(U)과 함께 초우랄 원소(TRU) 및 핵분열 생성물(FP) 등이 포함되는데, TRU의 종류로는 플루토늄(Pu), 아메리슘(Am), 퀴륨(Cm), 넵티늄(Np) 등이 있으며, FP의 종류로는 지르코늄(Zr), 팔라듐(Pd), 로듐(Rh), 루테늄(Ru) 등이 있다. 또한, 염화물 용액(LiCl-Li2O)에 잔류하는 물질로는 요오드(I), 세슘(Cs), 스트론튬(Sr), 바륨(Ba) 등이 있으며, 이들 잔류 물질은 폐기물 처분장에서 처분된다.
다음, 전해 정련 공정에서는 전해 환원 공정을 통해 석출된 금속전환체(U+TRU+FP)에서 우라늄을 분리하는 공정으로서, 전해 환원 공정의 결과물인 금속전환체를 용융염인 LiCl-KCl 용액에 담그고 금속 전환체의 양측에 양전극과 음전극을 연결해준 상태에서 양극에 전기를 통해주면, 음전극에서 금속 우라늄이 회수되고 용융염 내에는 일부 잔여 우라늄과 TRU 및 FP가 남게 된다. 여기서, 음전극을 통해 회수되는 금속 우라늄은 대부분 순수한 우라늄 성분으로 이루어지게 되며, 비 록 순수한 우라늄 성분 이외에 극미량의 TRU, FP, RE 등의 불순물이 포함될 수 있기는 하나 그 함량은 전체 중량의 0.01 % 이내로 제한됨을 확인할 수 있다.
끝으로, 전해 제련 공정에서는 우라늄 전해 정련후 용융염에 남은 잔여 우라늄 및 TRU를 액체 음극에서 카드뮴(Cd)과 같이 석출시켜 회수하고, 여기서 Cd를 증류시킨후 U-TRU-RE으로 이루어진 핵물질 군을 회수한다. 이와 같이 회수된 U-TRU-RE는 다시 고속로의 핵연료 제조 공정에 도입하여 고속로 핵연료의 원료로 사용함으로써, 상당량의 핵물질을 폐기물로 처분할 필요 없이 파이로 공정 시스템을 통해 재순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술한 공정 중에서 전해 정련 공정에서 회수되는 금속 우라늄은 순수한 우라늄 함량이 충분히 높은데도 불구하고, 이를 재활용할 방법이 없어 대부분 금속 괴 형태로 저장하거나 폐기물 처분장에서 처분할 계획이다. 따라서, 파이로 공정의 전해 정련 공정에서 회수되는 금속 우라늄을 재활용하여 핵연료 폐기물을 감축시키는 동시에 경제적인 이익을 얻을 수 있는 기술에 대한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상황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후경수로핵연료를 재처리하는 파이로공정 중 전해 정련 공정에서 회수되는 금속 우라늄을 반복되는 산화 및 환원 과정을 통해 소결 가능한 이산화우라늄 분말로 변환하여 성형 및 소결시킴으로써, 고준위 방사성 물질들이 효율적으로 제거되어 작업성과 성능이 향상된 중수로용 핵연료 소결체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파이로 공정에서 저장 및 폐기되는 금속 우라늄을 이용하여 중수로용 핵연료 소결체를 제조함으로써, 사용후핵연료의 저장 및 폐기에 소요되는 비용과 중수로용 핵연료의 제조 원가를 절감하는 데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서의 본 발명은, 파이로 공정 중 전해 정련 공정에서 회수되는 금속 우라늄을 공기분위기 하에서 산화시켜 U3O8 분말을 제조하는 산화 공정과; 상기 산화 공정을 통해 제조된 U3O8 분말을 수소 분위기에서 환원시켜 이산화우라늄 분말을 제조하는 환원 공정과; 상기 환원 공정을 통해 얻어지는 이산화우라늄 분말을 성형체로 제조하는 성형 공정과; 상기 성형 공정을 통해 제조된 이산화우라늄 성형체를 환원 분위기에서 소결시켜 핵연료 소결체를 제조하는 소결 공정;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후핵연료의 파이로 공정 회수 금속우라늄을 이용한 중수로용 핵연료 소결체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파이로 공정 회수 금속우라늄의 처리 방법은, 파이로 공정 회수 금속 우라늄을 재활용하여 중수로에 사용되는 핵연료 소결체를 제조함으로써, 파이로 공정 기술에서 요구되는 핵연료 저장과 처분 비용을 절감하는 동시에 중수로의 핵연료 제조에 소요되는 우라늄 도입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고준위 방사성 물질들을 효율적으로 제거하여 작업성과 성능이 향상된 중수로용 핵연료 소결체를 제공함으로써 핵연료 제조에 소요되는 작업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중수로용 핵연료 소결체 제조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파이로 공정 중의 전해 정련 공정을 거쳐 회수되는 금속 우라늄은 순수 우라늄 성분의 함량이 충분히 높아 중수로형 원자로에서 재사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파이로 공정에서 회수되는 금속 우라늄을 이용하여 중수로에서 사용되는 핵연료 소결체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이로 공정 중 전해 정련 공정에서 회수되는 금속 우라늄을 산화/환원시켜 미세한 이산화우라늄(UO2) 분말을 제조하는 산화(S20) 및 환원 공정(S30)과, 이산화우라늄 분말을 성형체로 제조하는 성형 공정(S40)과, 이산화우라늄 성형체를 환원 분위기에서 소결시켜 핵연료 소결체를 제조하는 소결 공정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파이로 공정 회수 금속 우라늄에는 전해 정련 공정에서 사용된 용융염이 묻어있어 이어지는 산화/환원 반응에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산화 공정 이전에 파이로 공정 회수 금속 우라늄에 묻어있는 용융염을 증발시켜 제거하는 전처리 공정(S10)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산화 공정(S20)에서는 파이로 공정에서 회수되는 금속 우라늄을 반응접시에 담고 이를 전기로에 넣은 후 공기분위기 하에서 450 ~ 550 ℃의 온도로 1 시간 이상 유지시켜 산화시키는 과정을 통해 이산화우라늄(UO2)을 거쳐 U3O8 분말을 제조한다.
이어서, 전기로 내부를 3 ~ 5% 수소 분위기, 예를 들면 Ar-4%H2 분위기 하에서 650 ~ 750 ℃의 온도로 2시간 이상 유지시킴으로써, 산화 공정을 통해 얻어지는 U3O8 분말을 환원시켜 UO2분말을 제조하는 환원 공정(S30)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산화 공정(S20) 및 환원 공정(S30)을 통해 파이로 회수 금속 우라늄은 형석(Fluorite)형의 입방정(Cubic) 결정구조를 가지는 UO2로 산화된 후 사방정(Orthorhombic) 결정구조의 U3O8으로 되면서 상변화에 따라 약 30%의 부피 팽창이 일어나면서 분말화되고, 다시 환원되는 과정에서 UO2가 되면서 소결 가능한 특성을 가지는 미세한 분말이 된다.
이 때, 금속 우라늄이 산화 및 환원 공정을 통해 소결 가능한 UO2 분말로 형성되는 과정에서 반응가스와 직접 접촉하는 외부 표면층은 반응이 쉽게 일어나지만 금속 내부는 반응가스와 충분한 접촉이 이루어지지 않아 전체 금속 우라늄이 균일하게 분말화되지 못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충분히 반응된 분말을 얻기 위해서는 산화 및 환원 과정을 2회 또는 3회 반복하여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산화 공정(S20) 및 환원 공정(S30)을 반복하여 산화물 형태의 UO2 분말이 제조되면, UO2 분말을 압축 성형하여 성형체를 형성하는 성형 공정(S40)을 거친 후에, 형성된 성형체를 환원성 기체 분위기 하에서 소결하여 핵연료 소결체를 제조하는 소결 공정(S50)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상기 산화 (S20) 및 환원 공정(S30)을 통해 얻어진 UO2 분말을 성형 몰드(mold)에 주입하고, 1 ~ 5 ton/cm2의 압력으로 성형하여 실린더 형상과 같은 성형체를 제조할 수 있다. 이어, 환원성 기체 분위기로 1600 ~ 1800 ℃의 온도 범위에서 1 ~ 20 시간 유지하여 소결함으로써 중수로에서 사용될 수 있는 핵연료 소결체를 완성하게 된다. 여기서, 환원성 기체는 수소 기체, 또는 이산화탄소, 일산화탄소, 수증기, 질소 및 불활성 기체 중의 하나 이상을 수소와 혼합한 기체가 사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파이로 공정 기술의 전해 제련 및 전해 정 련 공정을 통해 TRU, FP 및 RE와 같은 고준위 방사성 물질이 대부분 제거된 금속 우라늄으로부터 일련의 공정을 거쳐 중수로에서 사용 가능한 핵연료 소결체로 만들어 주기 때문에, 분순물의 함량이 적어 이로부터 제조되는 핵연료의 성능이 우수하며, 또한 DUPIC과 같은 건식 공정을 거친 핵연료에 비하여 방사선 준위가 매우 낮아 작업성이 뛰어나므로 밀폐된 핫셀이 아닌 글로브박스(glove box)에서도 용이하게 핵연료 제조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시뮬레이션 결과, 사용후핵연료 1톤을 기준으로 하였을 때, 본 발명에 따른 재사용 방법을 통해 얻어지는 핵연료 소결체의 방사선 준위는 파이로 공정 회수 금속 우라늄의 순수 우라늄 함량이 100 w%인 경우에는 3.27E+00 Ci였고, 파이로 공정 회수 금속 우라늄 내에 순수 우라늄 외에 TRU, FP 및 RE의 불순물이 0.01 w% 함유되어 있다고 가정한 경우에도 8.67E+02 Ci로 나타나, 기존의 핵연료 재처리 공정인 DUPIC 공정을 거친 경우의 2.07 E+05 Ci에 비하여 현저히 낮은 방사선 준위를 갖는 핵연료를 얻을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하다 할 것이다.
도 1은 파이로 공정 기술의 세부 공정을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이로 공정 회수 금속우라늄의 처리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

Claims (6)

  1. 사용후핵연료의 파이로 공정 회수 금속우라늄을 이용하여 중수로용 핵연료 소결체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파이로 공정 중 전해 정련 공정에서 회수되는 금속 우라늄을 공기분위기 하에서 산화시켜 U3O8 분말을 제조하는 산화 공정과;
    상기 산화 공정을 통해 제조된 U3O8 분말을 수소 분위기에서 환원시켜 이산화우라늄 분말을 제조하는 환원 공정과;
    상기 환원 공정을 통해 얻어지는 이산화우라늄 분말을 성형체로 제조하는 성형 공정과;
    상기 성형 공정을 통해 제조된 이산화우라늄 성형체를 환원 분위기에서 소결시켜 핵연료 소결체를 제조하는 소결 공정;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후핵연료의 파이로 공정 회수 금속우라늄을 이용한 중수로용 핵연료 소결체 제조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우라늄의 산화 공정 이전에,
    파이로 공정 중 전해 정련 공정에서 회수되는 금속 우라늄에 묻어있는 용융염을 증발시켜 제거하는 전처리 공정을 추가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 후핵연료의 파이로 공정 회수 금속우라늄을 이용한 중수로용 핵연료 소결체 제조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 공정 및 환원 공정은,
    2회 또는 3회 반복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후핵연료의 파이로 공정 회수 금속우라늄을 이용한 중수로용 핵연료 소결체 제조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 공정은,
    450 ~ 550 ℃의 온도 하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후핵연료의 파이로 공정 회수 금속우라늄을 이용한 중수로용 핵연료 소결체 제조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환원 공정은,
    3 ~ 5 %의 수소 분위기에서 650 ~ 750 ℃의 온도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후핵연료의 파이로 공정 회수 금속우라늄을 이용한 중수로용 핵연료 소결체 제조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소결 공정은,
    1600 ~ 1800 ℃의 온도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후핵연료의 파이로 공정 회수 금속우라늄을 이용한 중수로용 핵연료 소결체 제조 방법.
KR1020080014453A 2008-02-18 2008-02-18 사용후핵연료의 파이로 공정 회수 금속우라늄을 이용한중수로용 핵연료 소결체 제조 방법 KR1009303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4453A KR100930306B1 (ko) 2008-02-18 2008-02-18 사용후핵연료의 파이로 공정 회수 금속우라늄을 이용한중수로용 핵연료 소결체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4453A KR100930306B1 (ko) 2008-02-18 2008-02-18 사용후핵연료의 파이로 공정 회수 금속우라늄을 이용한중수로용 핵연료 소결체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9091A KR20090089091A (ko) 2009-08-21
KR100930306B1 true KR100930306B1 (ko) 2009-12-08

Family

ID=412074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4453A KR100930306B1 (ko) 2008-02-18 2008-02-18 사용후핵연료의 파이로 공정 회수 금속우라늄을 이용한중수로용 핵연료 소결체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030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6509B1 (ko) 2014-08-28 2015-10-05 한국원자력연구원 사용후핵연료의 파이로 공정 시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4042B1 (ko) * 2009-09-28 2012-01-06 한국원자력연구원 사용후 핵연료를 이용한 중수로용 핵연료 소결체 제조 방법
KR101925784B1 (ko) 2017-02-27 2018-12-06 한국원자력연구원 사용 후 핵연료 처리방법
US10685753B1 (en) 2019-05-17 2020-06-16 Metatomic, Inc. Systems and methods for fast molten salt reactor fuel-salt preparation
EP3970163A4 (en) 2019-05-17 2023-01-04 Metatomic, Inc. SYSTEMS AND PROCESSES FOR PRODUCTION OF FUEL SALTS FOR MOLTEN SALT REACTOR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9597A (ko) * 1999-03-05 2000-10-05 장인순 불량품의 재활용이 가능한 이산화 우라늄(uo₂) 핵연료 소결체의 제조 방법
JP2000314790A (ja) 1999-04-28 2000-11-14 Mitsubishi Nuclear Fuel Co Ltd 核燃料焼結体の製造方法
KR100832567B1 (ko) 2006-12-05 2008-05-27 한국원자력연구원 큰 결정립 핵연료 소결체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9597A (ko) * 1999-03-05 2000-10-05 장인순 불량품의 재활용이 가능한 이산화 우라늄(uo₂) 핵연료 소결체의 제조 방법
JP2000314790A (ja) 1999-04-28 2000-11-14 Mitsubishi Nuclear Fuel Co Ltd 核燃料焼結体の製造方法
KR100832567B1 (ko) 2006-12-05 2008-05-27 한국원자력연구원 큰 결정립 핵연료 소결체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6509B1 (ko) 2014-08-28 2015-10-05 한국원자력연구원 사용후핵연료의 파이로 공정 시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9091A (ko) 2009-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34738B1 (en) Molten salt extraction of transuranic and reactive fission products from used uranium oxide fuel
KR100930306B1 (ko) 사용후핵연료의 파이로 공정 회수 금속우라늄을 이용한중수로용 핵연료 소결체 제조 방법
JP5483867B2 (ja) 使用済燃料からの金属燃料物質の回収方法及び使用済燃料の再処理方法
Galashev Recovery of actinides and fission products from spent nuclear fuel via electrolytic reduction: Thematic overview
KR101104042B1 (ko) 사용후 핵연료를 이용한 중수로용 핵연료 소결체 제조 방법
CN111155136A (zh) 一种熔盐电解u3o8直接制备uo2的装置及方法
CA2020601A1 (en) Actinide recovery
US4331618A (en) Treatment of fuel pellets
Maher Current headend technologies and future developments in the reprocessing of spent nuclear fuels
KR101122477B1 (ko) 고에너지 방사선 시설에서 발생하는 고준위 폐기물을 중저준위 폐기물로 정화하는 방법
US6767444B1 (en) Method for processing spent (TRU, Zr)N fuel
Goff et al. Dry processing of used nuclear fuel
JP3519557B2 (ja) 使用済み燃料の再処理方法
KR102084462B1 (ko) 우라늄, 초우라늄 및 희토류 원소 고체 내 희토류 원소 함량의 저감 방법
KR100969640B1 (ko) 금속 이물질이 함유된 고연소도 사용후핵연료를 이용한핵연료 소결체 제조방법
Laidler Pyrochemical processing of DOE spent nuclear fuel
KR20230117901A (ko) 사용후핵연료로부터 고방열성 핵종을 분리하는 방법 및 사용후핵연료 고방열 핵종 분리장치
Murakami et al. Recent achievements and remaining challenges on pyrochemical reprocessing in CRIEPI
KR101530226B1 (ko) 표면 산화를 통한 사용후핵연료 폐 피복관의 제염방법
KR20230117900A (ko) 사용후핵연료의 고준위 방사성 폐기물 저감 방법
JPH0943391A (ja) 核燃料リサイクルシステム
US2970050A (en) Process for removing noble metals from uranium
Williamson Argonne national laboratory processes spent reactor fuel
Kudinov et al. Status of and prospects for using carbide fuel
CN105218109A (zh) 一种氟化物陶瓷坩埚及其制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6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