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9565B1 - 사용자 청음능력이 반영된 기준음데이터 제공 디바이스 및방법 - Google Patents

사용자 청음능력이 반영된 기준음데이터 제공 디바이스 및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9565B1
KR100929565B1 KR1020080057645A KR20080057645A KR100929565B1 KR 100929565 B1 KR100929565 B1 KR 100929565B1 KR 1020080057645 A KR1020080057645 A KR 1020080057645A KR 20080057645 A KR20080057645 A KR 20080057645A KR 100929565 B1 KR100929565 B1 KR 1009295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du
volume level
tdu
module
sound sou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76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대훈
Original Assignee
권대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대훈 filed Critical 권대훈
Priority to KR10200800576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956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95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95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5/00Stereophonic arrangements
    • H04R5/04Circuit arrangements, e.g. for selective connection of amplifier inputs/outputs to loudspeakers, for loudspeaker detection, or for adaptation of settings to personal preferences or hearing impair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2Audiometering
    • A61B5/121Audiometering evaluating hearing capac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70Adaptation of deaf aid to hearing loss, e.g. initial electronic fit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05/00Details of stereophonic arrangements covered by H04R5/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5/041Adaptation of stereophonic signal reproduction for the hearing impair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Otolaryngology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ultimedia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 청음능력이 반영된 기준음데이터 제공 디바이스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 청음능력 검사데이터(TDU: Test Data where the auditory ability of the User is reflected)를 확보한 후, 이를 표준청음곡선 ISO226:2003, 또는, 기준 청음 직선을 기준으로 보정하여, 사용자 청음능력이 반영된 기준음데이터(SDU: Standard audio Data where the auditory ability of the User is reflected)를 생성할 수 있는 전산모듈, TDU 또는 SDU를 ISO 표준에 따른 소음기준곡선을 기준으로 보정하여, TDU 생성 당시의 주변 소음상황이 반영된 음향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는 전산모듈, TDU 또는 SDU를 전자기기 음향출력 특성곡선을 기준으로 보정하여, 전자기기 고유의 음향출력특성이 반영된 음향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는 전산모듈, 전자기기의 고유 음향출력특성이 반영된 맞춤형 SDU를 전자기기의 이퀄라이저 측으로 제공하여, 해당 이퀄라이저 측에서, 음원 데이터의 출력 국면에서, 해당 음원 데이터를 SDU를 기준으로 하여(즉, 사용자의 청음능력에 정확히 일치시켜) 맞춤형으로 자동 이퀄라이징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는 전산모듈 등을 체계적으로 연계 배치하고, 이를 통해, 사용자의 음원 데이터 소비환경이 해당 사용자의 청음능력에 부합되는 최적의 상태로 향상될 수 있도록 보조함으로써, 사용자 측에서, 자신의 청음능력과 무관한 이질적인 음원 데이터의 무분별한 소비에 따른 청력손상 문제점, 음원 데이터의 음감/명료도/음질 저하 문제점 등을 손쉽게 회피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할 수 있다.

Description

사용자 청음능력이 반영된 기준음데이터 제공 디바이스 및 방법{The device and method which provides the standard audio data where the auditory ability of the user is reflected}
본 발명은 사용자 청음능력이 반영된 기준음데이터 제공 디바이스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사용자 청음능력 검사데이터(TDU: Test Data where the auditory ability of the User is reflected; 이하, "TDU"라 함)를 확보한 후, 이를 표준청음곡선 ISO226:2003, 또는, 기준 청음 직선을 기준으로 보정하여, 사용자 청음능력이 반영된 기준음데이터(SDU: Standard audio Data where the auditory ability of the User is reflected; 이하, "SDU"라 함)를 생성할 수 있는 전산모듈, TDU 또는 SDU를 ISO 표준에 따른 소음기준곡선을 기준으로 보정하여, TDU 생성 당시의 주변 소음상황이 반영된 음향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는 전산모듈, TDU 또는 SDU를 전자기기 음향출력 특성곡선을 기준으로 보정하여, 전자기기 고유의 음향출력특성이 반영된 음향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는 전산모듈, 전자기기의 고유 음향출력특성이 반영된 맞춤형 SDU를 전자기기의 이퀄라이저 측으로 제공하여, 해당 이퀄라이저 측에서, 음원 데이터의 출력 국면에서, 해당 음원 데이터를 SDU를 기준으로 하여(즉, 사용자의 청음능력에 정확히 일치시켜) 맞춤형으로 자동 이퀄라이징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는 전산모듈 등을 체계적으로 연계 배치하고, 이를 통해, 사용자의 음원 데이터 소비환경이 해당 사용자의 청음능력에 부합되는 최적의 상태로 향상될 수 있도록 보조함으로써, 사용자 측에서, 자신의 청음능력과 무관한 이질적인 음원 데이터의 무분별한 소비에 따른 청력손상 문제점, 음원 데이터의 음감/명료도/음질 저하 문제점 등을 손쉽게 회피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할 수 있는 SDU 제공 디바이스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각종 전기/전자 관련기술이 급격한 발전을 이루면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종 음원 데이터(예컨대, 음성데이터, 음악데이터, 소리데이터, 음향데이터 등)를 사용자의 청각기관(3)으로 출력·전달하는 다양한 종류의 전자기기들(1:예컨대, 휴대폰단말기, 유선전화 단말기, 컴퓨터, IPTV 플레이어, MP3 플레이어, 오디오기기, 보청기, 게임기 등)이 폭 넓게 개발·보급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음원 데이터는 해당 음원 데이터를 소비하는 각 사용자가 보유한 청음능력(또는, 청력도)과 전혀 무관하게, 본래 정해진 음향특성을 고스란히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전자기기(1) 측에서는 언제나 획일화된 음원 데이터를 출력시킬 수밖에 없게 되며, 결국, 이러한 이질적인 음향환경 속에서, 별도의 조치가 취해지지 아니하는 한, 각 사용자 측에서는 자신의 청력이 크게 손상되는 피해, 나아가, 음원 데이터의 음감/명료도/음질이 대폭 떨어지는 피해를 피할 수 없게 된다.
물론, 사용자가 전자기기(1)의 이퀄라이저(2:Equalizer,등화기)를 조작하는 조치를 별도로 취하게 되면, 상술한 여러 가지 피해를 어느 정도 피할 수 있겠지만, 현실적으로, 음향분야의 비전문가인 사용자 측에서, 자신의 청음능력을 정확히 파악하고, 그에 따라 이퀄라이저(2)를 세밀하게 조작하기란 거의 불가능하기 때문에, 이러한 이퀄라이저(2)의 배치환경에도 불구하고, 사용자 측에서는 음원 데이터에 의한 자신의 청력손상을 그대로 방치할 수밖에 없게 됨은 물론, 음원 데이터의 음감/명료도/음질 등이 떨어지는 피해까지도 전혀 피할 수 없게 된다(더욱이, 이러한 상황 하에서, 각 사용자 측에서는, 청력손상의 문제점은 물론, 이퀄라이저(2)의 추가 조작에 따른 불편함까지도 고스란히 감수할 수밖에 없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 청음능력 검사데이터(TDU: Test Data where the auditory ability of the User is reflected)를 확보한 후, 이를 표준청음곡선 ISO226:2003, 또는, 기준 청음 직선을 기준으로 보정하여, 사용자 청음능력이 반영된 기준음데이터(SDU: Standard audio Data where the auditory ability of the User is reflected)를 생성할 수 있는 전산모듈, TDU 또는 SDU를 ISO 표준에 따른 소음기준곡선을 기준으로 보정하여, TDU 생성 당시의 주변 소음상황이 반영된 음향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는 전산모듈, TDU 또는 SDU를 전자기기 음향출력 특성곡선을 기준으로 보정하여, 전자기기 고유의 음향출력특성이 반영된 음향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는 전산모듈, 전자기기의 고유 음향출력특성이 반영된 맞춤형 SDU를 전자기기의 이퀄라이저 측으로 제공하여, 해당 이퀄라이저 측에서, 음원 데이터의 출력 국면에서, 해당 음원 데이터를 SDU를 기준으로 하여(즉, 사용자의 청음능력에 정확히 일치시켜) 맞춤형으로 자동 이퀄라이징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는 전산모듈 등을 체계적으로 연계 배치하고, 이를 통해, 사용자의 음원 데이터 소비환경이 해당 사용자의 청음능력에 부합되는 최적의 상태로 향상될 수 있도록 보조함으로써, 사용자 측에서, 자신의 청음능력과 무관한 이질적인 음원 데이터의 무분별한 소비에 따른 청력손상 문제점, 음원 데이터의 음감/명료도/음질 저하 문제점 등을 손쉽게 회피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과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음원 데이터를 이퀄라이징하는 이퀄라이저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내에 설치되며, 사용자 청음능력이 반영된 기준음데이터(SDU: Standard audio Data where the auditory ability of the User is reflected)의 생성·제공절차를 총괄 제어하는 SDU 제공 제어모듈과, 상기 SDU 제공 제어모듈에 의해 제어되며, 사용자 청음능력 검사데이터(TDU: Test Data where the auditory ability of the User is reflected)의 볼륨레벨을 표준청음곡선 ISO226:2003을 기준으로 올리거나 높여, 상기 SDU를 생성하는 SDU 생성모듈과, 상기 SDU 제공 제어모듈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SDU를 상기 이퀄라이저 측으로 제공하여, 해당 이퀄라이저 측에서, 상기 음원 데이터의 출력 국면에서, 해당 음원 데이터의 볼륨레벨을 상기 SDU를 기준으로 이퀄라이징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SDU 출력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DU 제공 디바이스를 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서는, 음원 데이터를 이퀄라이징하는 이퀄라이저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내에 설치되며, SDU의 생성·제공절차를 총괄 제어하는 SDU 제공 제어모듈과, 상기 SDU 제공 제어모듈에 의해 제어되며, TDU의 볼륨레벨을 특정 기준 볼륨값을 균일하게 유지하는 기준 청음 직선을 기준으로 올리거나 높여, 상기 SDU를 생성하는 SDU 생성모듈과, 상기 SDU 제공 제어모듈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SDU를 상기 이퀄라이저 측으로 제공하여, 해당 이퀄라이저 측에서, 상기 음원 데이터의 출력 국면에서, 해당 음원 데이터의 볼륨레벨을 상기 SDU를 기준으로 이 퀄라이징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SDU 출력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DU 제공 디바이스를 개시한다.
나아가,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서는, 음원 데이터를 이퀄라이징하는 이퀄라이저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내에 설치되는 SDU 제공 디바이스의 SDU 제공방법에 있어서, TDU의 볼륨레벨을 표준청음곡선 ISO226:2003을 기준으로 올리거나 높여, SDU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SDU를 상기 이퀄라이저 측으로 제공하여, 해당 이퀄라이저 측에서, 상기 음원 데이터의 출력 국면에서, 해당 음원 데이터의 볼륨레벨을 상기 SDU를 기준으로 이퀄라이징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DU 제공 방법을 개시한다.
이외에도,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서는, 음원 데이터를 이퀄라이징하는 이퀄라이저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내에 설치되는 SDU 제공 디바이스의 SDU 제공방법에 있어서, TDU의 볼륨레벨을 특정 기준 볼륨값을 균일하게 유지하는 기준 청음 직선을 기준으로 올리거나 높여, SDU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SDU를 상기 이퀄라이저 측으로 제공하여, 해당 이퀄라이저 측에서, 상기 음원 데이터의 출력 국면에서, 해당 음원 데이터의 볼륨레벨을 상기 SDU를 기준으로 이퀄라이징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DU 제공 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서는 TDU를 확보한 후, 이를 표준청음곡선 ISO226:2003, 또는, 기준 청음 직선을 기준으로 보정하여, SDU를 생성할 수 있는 전산모듈, TDU 또는 SDU를 ISO 표준에 따른 소음기준곡선을 기준으로 보정하여, TDU 생성 당시의 주변 소 음상황이 반영된 음향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는 전산모듈, TDU 또는 SDU를 전자기기 음향출력 특성곡선을 기준으로 보정하여, 전자기기 고유의 음향출력특성이 반영된 음향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는 전산모듈, 전자기기의 고유 음향출력특성이 반영된 맞춤형 SDU를 전자기기의 이퀄라이저 측으로 제공하여, 해당 이퀄라이저 측에서, 음원 데이터의 출력 국면에서, 해당 음원 데이터를 SDU를 기준으로 하여(즉, 사용자의 청음능력에 정확히 일치시켜) 맞춤형으로 자동 이퀄라이징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는 전산모듈 등을 체계적으로 배치 제공하기 때문에, 본 발명의 구현환경 하에서, 사용자의 음원 데이터 소비환경은 해당 사용자의 청음능력에 부합되는 최적의 상태로 향상될 수 있게 되며, 결국, 사용자 측에서는, 자신의 청음능력과 무관한 이질적인 음원 데이터의 무분별한 소비에 따른 청력손상 문제점, 음원 데이터의 음감/명료도/음질 저하 문제점 등을 손쉽게 회피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SDU 제공 디바이스 및 방법을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SDU 제공 디바이스(100)는 기기 제어모듈(11), 이퀄라이저(13) 등을 구비하는 전자기기(10:예컨대, 휴대폰단말기, 유선전화 단말기, 컴퓨터, IPTV 플레이어, MP3 플레이어, 오디오기기, 보청기, 게임기 등)에 설치되는 구조를 취하게 된다.
이때, 기기 제어모듈(11) 측에서는 이퀄라이저(2)를 위시한 각종 기기운영 보조모듈(12), 예컨대, 메모리, 전원공급모듈, 키패드 관리모듈, 통신모듈, 데이터 표시 관리모듈, 프로그램 컴포넌트 관리모듈 등을 체계적으로 총괄/제어함으로써, 전자기기(10)가 자신에게 부여된 기능을 정상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하게 된다(물론, 이러한 기기운영 보조모듈의 종류는 상황에 따라 다양한 변형을 이룰 수 있다).
여기서, 이퀄라이저(2)는 전자기기(10)에 의해 관리되는 각종 음원 데이터(예컨대, 음성데이터, 음악데이터, 소리데이터, 음향데이터 등)의 볼륨레벨을 조절하고, 볼륨레벨이 조절 완료된 음원 데이터를 스피커(14)를 통해, 사용자의 청각기관(3)으로 출력·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도 8 참조).
이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SDU 제공 디바이스(100)는 기기 제어모듈(11), 이퀄라이저(13) 등과 일련의 교신관계를 형성하면서, 전체적인 SDU의 생성/제공절차를 총괄 제어하는 SDU 제공 제어모듈(101)과, 이 SDU 제공 제어모듈(101)의 제어 하에 놓인 운영정보 저장모듈(108), TDU 취득모듈(103), 주변소음반영 보정모듈(105), SDU 생성모듈(104), 기기 음향출력특성 반영 보정모듈(107), SDU 출력모듈(109) 등이 긴밀하게 조합된 구성을 취하게 된다.
여기서, SDU 제공 제어모듈(101)에 의해 제어되는 운영정보 저장모듈(108)은 SDU의 생성/제공에 필요한 각종 운영정보, 예컨대, 기기 제어모듈(11)의 등록정보, TDU의 등록정보, 이퀄라이저(13)의 등록정보, 디바이스(100) 내부의 자원 현황정보, 각종 데이터의 볼륨레벨을 조절하기 위한 프로그램 컴포넌트 정보, 표준청음곡선 ISO226:2003 정보, 기준 청음 직선 정보, ISO 표준에 따른 소음기준곡선 정보, 전자기기 음향출력 특성곡선 정보 등을 안정적으로 저장 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 경우, 본 발명에서는 소정의 핑크 노이즈(Pink noise)를 발생시킨 후, 이 핑크 노이즈의 플랫(Flat)상태(즉, 측정된 모든 주파수가 특정한 값의 기준 볼륨값을 유지하게 되는 상태)를 각 사용자의 청력 특성을 적용하기 위한 기준 청음 직선(여기서, 기준 청음 직선은 청력 레벨의 상대값을 표현하게 됨)으로 선택하게 된다.
이때, 전자기기(10)에 의해 관리되는 TDU는 예를 들어, 본 출원인에 의해 기 출원/등록된 국내 등록특허 제707339호(명칭: 청력도 기반 이퀄러이제이션 방법 및 장치)에 의해 획득될 수 있으며, 사용자 측에서는, 앞의 707339 특허가 구현된 장치를 통해, TDU를 확보한 후, 확보 완료된 TDU를 전자기기(10) 또는 SDU 제공 디바이스(100) 측에 설치/전달함으로써,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는 기반환경을 미리 조성하게 된다(물론, 이러한 TDU의 획득 및 설치/전달 경로/방법은 사용자 또는 전자기기 측이 처한 상황에 따라 다양한 변형을 이룰 수 있다).
이렇게 하여, TDU가 전자기기(10) 내에 설치/저장되어 있거나, 사용자에 의해 TDU가 제공되는 상황에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SDU 제공 제어모듈(101)에 의해 제어되는 TDU 취득모듈(103) 측에서는, 인터페이스 모듈(102)을 매개로, 전자기기(10) 측 기기 제어모듈(11)과 교신을 취하면서, TDU를 취득하고, 취득 완료된 TDU를 프로세싱 버퍼(106) 또는 운영정보 저장모듈(108) 측에 안정적으로 저장 관리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단계 S10).
이러한 절차 후, SDU 제공 제어모듈(101)에 의해 제어되는 주변소음 반영 보 정모듈(105), SDU 생성모듈(104), 기기 음향출력특성 반영 보정모듈(107), SDU 출력모듈(109) 측에서는, 각기, TDU의 볼륨레벨을 ISO 표준에 따른 소음기준곡선(N)을 기준으로 올리거나 높여, TDU 생성 당시의 주변 소음상황이 반영된 보정 TDU를 생성하는 절차(단계 S20)(도 5 참조), 보정 TDU의 볼륨레벨을 표준청음곡선 ISO226:2003(P)을 기준으로 올리거나 높여, SDU를 생성하는 절차(단계 S30)(도 6 참조), SDU의 볼륨레벨을 전자기기 음향출력 특성곡선을 기준으로 올리거나 높여, 전자기기(10) 고유의 음향출력특성이 반영된 보정 SDU를 생성하는 절차(단계 S40)(도 7 참조), 보정 SDU를 이퀄라이저(13) 측으로 제공하여, 해당 이퀄라이저(13) 측에서, 음원 데이터의 출력 국면에서, 해당 음원 데이터의 볼륨레벨을 보정 SDU를 기준으로 하여(즉, 사용자의 청음능력에 정확히 일치시켜), 이퀄라이징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절차(단계 S50)(도 8 참조)를 순차적으로 진행하게 된다.
이하, 상술한 각 구성요소들의 기능수행 절차를 좀더 상세히 살펴본다.
우선, SDU 제공 제어모듈(101)에 의해 제어되는 주변소음 반영 보정모듈(105) 측에서는, 프로세싱 버퍼(106), 운영정보 저장모듈(108) 등과 일련의 교신을 취하면서, TDU 취득모듈(103)에 의해 취득된 TDU 및 ISO 표준에 따른 소음기준곡선(N)을 추출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단계 S21).
이렇게 하여, TDU 및 ISO 표준에 따른 소음기준곡선(N)이 추출 완료되면, 주변소음반영 보정모듈(105) 측에서는 운영정보 저장모듈(108)에 저장되어 있던 프로그램 컴포넌트 정보를 참조하면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련의 데이터 보정루틴을 진행시켜, TDU를 이루는 각 주파수별 볼륨레벨 증감곡선(T)의 볼륨레벨을 ISO 표준에 따른 소음기준곡선(N)을 기준으로 올리거나 높이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단계 S22).
이러한 보정 절차 하에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TDU를 이루는 각 주파수별 볼륨레벨 증감곡선(T)의 볼륨레벨은 각 영역 a1,a2,a3,a4,a5(물론, 이외의 다른 영역도 모두 포함함)에서, ISO 표준에 따른 소음기준곡선(N)을 기준으로 하여, 이 소음기준곡선(N)의 볼륨레벨보다 낮은 볼륨레벨은 소음기준곡선(N)의 볼륨레벨보다 높은 볼륨레벨로 보정되는 변화를 겪게 되며, 이 소음기준곡선(N)의 볼륨레벨보다 높은 볼륨레벨은 소음기준곡선(N)의 볼륨레벨보다 낮은 볼륨레벨로 보정되는 변화를 겪게 되고, 결국, TDU는 보정된 형태의 볼륨레벨 증감곡선(T1)을 가지는 보정 TDU, 즉, TDU 생성 당시의 주변 소음상황이 반영된 보정 TDU로 변환되는 절차를 겪게 된다. 이 경우, TDU를 이루는 각 주파수별 볼륨레벨 증감곡선(T)은 각 영역 a1,a2,a3,a4,a5(물론, 이외의 다른 영역도 모두 포함함)에서, 그 위상이 180°반전되는 역상의 변환패턴(보정패턴)을 겪어, 볼륨레벨 증감곡선(T1)을 이루게 된다.
이렇게 하여, 보정 TDU의 생성이 완료되면, 주변소음 반영 보정모듈(105) 측에서는 운영정보 저장모듈(108) 또는 프로세싱 버퍼(106)와 교신을 취하여, 생성 완료된 보정 TDU를 운영정보 저장모듈(108) 또는 프로세싱 버퍼(106) 내에 안정적으로 저장 관리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단계 S23)(물론, 이렇게 생성된 보정 TDU는 별도의 저장 절차 없이, SDU 생성모듈(104) 측에 직접 전달될 수도 있다).
한편, 상술한 절차 후, SDU 제공 제어모듈(101)에 의해 제어되는 SDU 생성모듈(104) 측에서는, 프로세싱 버퍼(106), 운영정보 저장모듈(107) 등과 일련의 교신 을 취하면서, 주변소음반영 보정모듈(105)에 의해 생성된 보정 TDU 및 표준청음곡선 ISO226:2003(P)을 추출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단계 S31,S32).
이렇게 하여, 보정 TDU 및 표준청음곡선 ISO226:2003(P)이 추출 완료되면, SDU 생성모듈(104) 측에서는 운영정보 저장모듈(108)에 저장되어 있던 프로그램 컴포넌트 정보를 참조하면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련의 데이터 보정루틴을 진행시켜, 보정 TDU를 이루는 각 주파수별 볼륨레벨 증감곡선(T1)의 볼륨레벨을 표준청음곡선 ISO226:2003(P)을 기준으로 올리거나 높이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단계 S34,S35).
이러한 보정 절차 하에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정 TDU를 이루는 각 주파수별 볼륨레벨 증감곡선(T1)의 볼륨레벨은 각 영역 b1,b2,b3,b4,b5(물론, 이외의 다른 영역도 모두 포함함)에서, 표준청음곡선 ISO226:2003(P)을 기준으로 하여, 이 표준청음곡선 ISO226:2003(P)의 볼륨레벨보다 낮은 볼륨레벨은 표준청음곡선 ISO226:2003(P)의 볼륨레벨보다 높은 볼륨레벨로 보정되는 변화를 겪게 되며, 이 표준청음곡선 ISO226:2003(P)의 볼륨레벨보다 높은 볼륨레벨은 표준청음곡선 ISO226:2003(P)의 볼륨레벨보다 낮은 볼륨레벨로 보정되는 변화를 겪게 되고, 결국, 보정 TDU는 보정된 형태의 볼륨레벨 증감곡선(S1)을 가지는 SDU로 변환되는 절차를 겪게 된다. 이 경우, 보정 TDU를 이루는 각 주파수별 볼륨레벨 증감곡선(T1)은 각 영역 b1,b2,b3,b4,b5(물론, 이외의 다른 영역도 모두 포함함)에서, 그 위상이 180°반전되는 역상의 변환패턴(보정패턴)을 겪어, 볼륨레벨 증감곡선(S1)을 이루게 된다.
이렇게 하여, SDU의 생성이 완료되면, SDU 생성모듈(104) 측에서는 운영정보 저장모듈(108) 또는 프로세싱 버퍼(106)와 교신을 취하여, 생성 완료된 SDU를 운영정보 저장모듈(108) 또는 프로세싱(106) 버퍼 내에 안정적으로 저장 관리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단계 S36)(물론, 이렇게 생성된 SDU 역시, 별도의 저장 절차 없이, 기기 음향출력특성 반영 보정모듈(107) 측에 직접 전달될 수도 있다).
한편, 상술한 절차 후, SDU 제공 제어모듈(101)에 의해 제어되는 기기 음향출력특성 반영 보정모듈(107) 측에서는, 프로세싱 버퍼(106), 운영정보 저장모듈(108) 등과 일련의 교신을 취하면서, SDU 생성모듈(104)에 의해 생성된 SDU 및 전자기기 음향출력 특성곡선(K)을 추출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단계 S41,S42).
이 경우, 전자기기 음향출력 특성곡선(K)은 본 발명의 SDU 제공 디바이스(100)가 설치된 전자기기(10)가 무엇이냐에 따라(즉, 본 발명의 SDU 제공 디바이스(100)가 설치된 전자기기(10)가 휴대폰단말기인가, 유선전화 단말기인가, 컴퓨터인가, IPTV 플레이어인가, MP3 플레이어인가, 오디오기기인가, 보청기인가, 게임기인가 등에 따라), 그 패턴을 달리하게 된다.
이렇게 하여, SDU 및 전자기기 음향출력 특성곡선(P)이 추출 완료되면, 기기 음향출력특성 반형 보정모듈(107) 측에서는 운영정보 저장모듈(108)에 기 저장되어 있던 프로그램 컴포넌트 정보를 참조하면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련의 데이터 보정루틴을 진행시켜, SDU를 이루는 각 주파수별 볼륨레벨 증감곡선(S1)의 볼륨레벨을 전자기기 음향출력 특성곡선(K)을 기준으로 올리거나 높이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단계 S43).
이러한 보정 절차 하에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SDU를 이루는 각 주파수별 볼륨레벨 증감곡선(S1)의 볼륨레벨은 각 영역 c1,c2,c3,c4,c5(물론, 이외의 다른 영역도 모두 포함함)에서, 전자기기 음향출력 특성곡선(K)을 기준으로 하여, 이 전자기기 음향출력 특성곡선(K)의 볼륨레벨보다 낮은 볼륨레벨은 전자기기 음향출력 특성곡선(K)의 볼륨레벨보다 높은 볼륨레벨로 보정되는 변화를 겪게 되며, 이 전자기기 음향출력 특성곡선(K)의 볼륨레벨보다 높은 볼륨레벨은 전자기기 음향출력 특성곡선(K)의 볼륨레벨보다 낮은 볼륨레벨로 보정되는 변화를 겪게 되고, 결국, SDU는 보정된 형태의 볼륨레벨 증감곡선(S)을 가지는 보정 SDU, 즉, 전자기기(10) 고유의 음향출력특성이 반영된 보정 SDU로 변환되는 절차를 겪게 된다. 이 경우, SDU를 이루는 각 주파수별 볼륨레벨 증감곡선(S1)은 각 영역 c1,c2,c3,c4,c5(물론, 이외의 다른 영역도 모두 포함함)에서, 그 위상이 180°반전되는 역상의 변환패턴(보정패턴)을 겪어, 볼륨레벨 증감곡선(S)을 이루게 된다.
이렇게 하여, 보정 SDU의 생성이 완료되면, 기기 음향출력특성 반형 보정모듈(107) 측에서는 운영정보 저장모듈(108) 또는 프로세싱 버퍼(106)와 교신을 취하여, 생성 완료된 보정 SDU를 운영정보 저장모듈(108) 또는 프로세싱 버퍼(106) 내에 안정적으로 저장 관리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단계 S44)(물론, 이렇게 생성된 보정 SDU 역시, 별도의 저장 절차 없이, SDU 출력모듈(109) 측에 직접 전달될 수도 있다).
한편, 상술한 절차 후, SDU 제공 제어모듈(101)에 의해 제어되는 SDU 출력모듈(109) 측에서는, 프로세싱 버퍼(106), 운영정보 저장모듈(108) 등과 일련의 교신 을 취하면서, 기기 음향출력특성 반영 보정모듈(107)에 의해 생성된 보정 SDU를 추출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단계 S51).
이렇게 하여, 보정 SDU가 확보 완료되면, SDU 출력모듈(109) 측에서는 인터페이스 모듈(102)을 매개로, 기기 제어모듈(11), 이퀄라이저(13) 등과 교신을 취하여, 확보 완료된 보정 SDU를 기기 제어모듈(11), 이퀄라이저(13) 측으로 출력/전달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
물론, 이러한 절차에 따라, 보정 SDU가 제공 완료된 상황에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퀄라이저(13) 측에서는 추후, 음원 데이터의 출력 국면이 도래하는 경우, 본 발명의 SDU 제공 디바이스(100)에 의해 제공된 보정 SDU를 참조하면서, 해당 음원 데이터의 볼륨레벨을 보정 SDU를 기준으로 하여(즉, 사용자의 청음능력에 정확히 일치시켜), 이퀄라이징한 후, 이를 사용자의 청각기관(3)으로 전달할 수 있게 되며, 당연히, 이러한 본 발명의 체제 하에서, 사용자 측에서는, 자신의 청음능력과 무관한 이질적인 음원 데이터의 무분별한 소비에 따른 청력손상 문제점, 음원 데이터의 음감/명료도/음질 저하 문제점 등을 손쉽게 회피할 수 있게 되고, 결국, 전체적인 음원 데이터 소비환경이 자신의 청음능력에 부합되는 최적의 상태로 향상되는 이점을 효과적으로 향유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SDU 제공 디바이스의 절차수행 하에서, SDU 생성모듈(104) 측에서는, 프로세싱 버퍼(106), 운영정보 저장모듈(107) 등과 일련의 교신을 취하면서, 앞의 경우와 달리, 표준청음곡선 ISO226:2003(P) 대신에, 특정 기준 볼륨값을 균일하게 유지하는 기준 청음 직선(J: 도 10에 도시됨)을 추출하는 절차를 진행할 수도 있다(단계 S33).
이렇게 하여, 기준 청음 직선(J)이 추출 완료되면, SDU 생성모듈(104) 측에서는 운영정보 저장모듈(108)에 저장되어 있던 프로그램 컴포넌트 정보를 참조하면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련의 데이터 보정루틴을 진행시켜, 보정 TDU를 이루는 각 주파수별 볼륨레벨 증감곡선(T1)의 볼륨레벨을 기준 청음 직선(J)을 기준으로 올리거나 높이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단계 S34,S35).
이러한 보정 절차 하에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정 TDU를 이루는 각 주파수별 볼륨레벨 증감곡선(T1)의 볼륨레벨은 각 영역 b1,b2,b3,b4,b5(물론, 이외의 다른 영역도 모두 포함함)에서, 기준 청음 직선(J)을 기준으로 하여, 이 기준 청음 직선(J)의 볼륨레벨보다 낮은 볼륨레벨은 기준 청음 직선(J)의 볼륨레벨보다 높은 볼륨레벨로 보정되는 변화를 겪게 되며, 이 기준 청음 직선(J)의 볼륨레벨보다 높은 볼륨레벨은 기준 청음 직선(J)의 볼륨레벨보다 낮은 볼륨레벨로 보정되는 변화를 겪게 되고, 결국, 보정 TDU는 보정된 형태의 볼륨레벨 증감곡선(S1)을 가지는 SDU로 변환되는 절차를 겪게 된다. 이 경우에도, 보정 TDU를 이루는 각 주파수별 볼륨레벨 증감곡선(T1)은 각 영역 b1,b2,b3,b4,b5(물론, 이외의 다른 영역도 모두 포함함)에서, 그 위상이 180°반전되는 역상의 변환패턴(보정패턴)을 겪어, 볼륨레벨 증감곡선(S1)을 이루게 된다.
이렇게 하여, SDU의 생성이 완료되면, SDU 생성모듈(104) 측에서는 운영정보 저장모듈(108) 또는 프로세싱 버퍼(106)와 교신을 취하여, 생성 완료된 SDU를 운영정보 저장모듈(108) 또는 프로세싱(106) 버퍼 내에 안정적으로 저장 관리하는 절차 를 진행하게 된다(단계 S36)(물론, 이렇게 생성된 SDU 역시, 별도의 저장 절차 없이, 기기 음향출력특성 반영 보정모듈(107) 측에 직접 전달될 수도 있다).
이러한 다른 실시예 하에서도, 추후, 상술한 <SDU의 볼륨레벨을 전자기기 음향출력 특성곡선을 기준으로 올리거나 높여, 전자기기(10) 고유의 음향출력특성이 반영된 보정 SDU를 생성하는 절차>(단계 S40)(도 7 참조), <보정 SDU를 이퀄라이저(13) 측으로 제공하여, 해당 이퀄라이저(13) 측에서, 음원 데이터의 출력 국면에서, 해당 음원 데이터의 볼륨레벨을 보정 SDU를 기준으로 하여(즉, 사용자의 청음능력에 정확히 일치시켜), 이퀄라이징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절차>(단계 S50)(도 8 참조) 등이 진행 완료되면, 사용자 측에서는, 자신의 청음능력과 무관한 이질적인 음원 데이터의 무분별한 소비에 따른 청력손상 문제점, 음원 데이터의 음감/명료도/음질 저하 문제점 등을 손쉽게 회피할 수 있게 되며, 결국, 전체적인 음원 데이터 소비환경이 자신의 청음능력에 부합되는 최적의 상태로 향상되는 이점을 효과적으로 향유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11 내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하에서, 상술한 주변소음 반영 보정모듈(105), SDU 생성모듈(104), 기기 음향출력특성 반영 보정모듈(107) 측에서는, 각자가 전담·진행하던 각 단계 S20,S30,S40의 진행순서를, 상황에 따라, 앞의 경우와 다르게 변형시켜 운영할 수도 있게 된다(물론, 도 11 내지 도 15에 도시된 각 단계 S20,S30,S40 등은 앞서 설명한 도 4 및 도 9의 각 단계 S20,S30,S40 등과 약간의 미차가 있지만, 그 실질적인 내용은 앞의 설명을 통해 충분히 유추/해석할 수 있으므로, 편의상, 그 상세 내역에 대한 세부적인 설 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우선,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하에서, 주변소음 반영 보정모듈(105), SDU 생성모듈(104), 기기 음향출력특성 반영 보정모듈(107) 측에서는, TDU의 볼륨레벨을 ISO 표준에 따른 소음기준곡선(N)을 기준으로 올리거나 높여, TDU 생성 당시의 주변 소음상황이 반영된 보정 TDU를 생성하는 절차(단계 S20), 보정 TDU의 볼륨레벨을 전자기기 음향출력 특성곡선을 기준으로 올리거나 높여, 전자기기(10) 고유의 음향출력특성이 반영된 2차 보정 TDU를 생성하는 절차(단계 S40), 2차 보정 TDU의 볼륨레벨을 표준청음곡선 ISO226:2003(P) 또는 기준 청음 직선(J)을 기준으로 올리거나 높여, SDU를 생성하는 절차(단계 S30) 등의 변화된 순서로 프로세스를 진행할 수도 있다.
물론, 이러한 변화된 환경 하에서도, 추후, 상술한 SDU 출력모듈(109) 측에 의해, <SDU를 이퀄라이저(13) 측으로 제공하여, 해당 이퀄라이저(13) 측에서, 음원 데이터의 출력 국면에서, 해당 음원 데이터의 볼륨레벨을 보정 SDU를 기준으로 하여(즉, 사용자의 청음능력에 정확히 일치시켜), 이퀄라이징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절차>(단계 S50)(도 8 참조)가 진행 완료되면, 사용자 측에서는, 자신의 청음능력과 무관한 이질적인 음원 데이터의 무분별한 소비에 따른 청력손상 문제점, 음원 데이터의 음감/명료도/음질 저하 문제점 등을 손쉽게 회피할 수 있게 되며, 결국, 전체적인 음원 데이터 소비환경이 자신의 청음능력에 부합되는 최적의 상태로 향상되는 이점을 효과적으로 향유할 수 있게 된다.
다른 예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 하에서, 주변소음 반영 보정모듈(105), SDU 생성모듈(104), 기기 음향출력특성 반영 보정모듈(107) 측에서는, TDU의 볼륨레벨을 전자기기 음향출력 특성곡선을 기준으로 올리거나 높여, 전자기기(10) 고유의 음향출력특성이 반영된 보정 TDU를 생성하는 절차(단계 S40), 보정 TDU의 볼륨레벨을 ISO 표준에 따른 소음기준곡선(N)을 기준으로 올리거나 높여, TDU 생성 당시의 주변 소음상황이 반영된 2차 보정 TDU를 생성하는 절차(단계 S20), 2차 보정 TDU의 볼륨레벨을 표준청음곡선 ISO226:2003(P) 또는 기준 청음 직선(J)을 기준으로 올리거나 높여, SDU를 생성하는 절차(단계 S30) 등의 변화된 순서로 프로세스를 진행할 수도 있다.
물론, 이러한 변화된 환경 하에서도, 추후, 상술한 SDU 출력모듈(109) 측에 의해, <SDU를 이퀄라이저(13) 측으로 제공하여, 해당 이퀄라이저(13) 측에서, 음원 데이터의 출력 국면에서, 해당 음원 데이터의 볼륨레벨을 보정 SDU를 기준으로 하여(즉, 사용자의 청음능력에 정확히 일치시켜), 이퀄라이징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절차>(단계 S50)(도 8 참조)가 진행 완료되면, 사용자 측에서는, 자신의 청음능력과 무관한 이질적인 음원 데이터의 무분별한 소비에 따른 청력손상 문제점, 음원 데이터의 음감/명료도/음질 저하 문제점 등을 손쉽게 회피할 수 있게 되며, 결국, 전체적인 음원 데이터 소비환경이 자신의 청음능력에 부합되는 최적의 상태로 향상되는 이점을 효과적으로 향유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 하에서, 주변소음 반영 보정모듈(105), SDU 생성모듈(104), 기기 음향출력특성 반영 보정모듈(107) 측에서는, TDU의 볼륨레벨을 전자기기 음향출력 특성곡선을 기준으로 올리 거나 높여, 전자기기(10) 고유의 음향출력특성이 반영된 보정 TDU를 생성하는 절차(단계 S40), 보정 TDU의 볼륨레벨을 표준청음곡선 ISO226:2003(P) 또는 기준 청음 직선(J)을 기준으로 올리거나 높여, SDU를 생성하는 절차(단계 S30), SDU의 볼륨레벨을 ISO 표준에 따른 소음기준곡선(N)을 기준으로 올리거나 높여, TDU 생성 당시의 주변 소음상황이 반영된 보정 SDU를 생성하는 절차(단계 S20) 등의 변화된 순서로 프로세스를 진행할 수도 있다.
물론, 이러한 변화된 환경 하에서도, 추후, 상술한 SDU 출력모듈(109) 측에 의해, <보정 SDU를 이퀄라이저(13) 측으로 제공하여, 해당 이퀄라이저(13) 측에서, 음원 데이터의 출력 국면에서, 해당 음원 데이터의 볼륨레벨을 보정 SDU를 기준으로 하여(즉, 사용자의 청음능력에 정확히 일치시켜), 이퀄라이징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절차>(단계 S50)(도 8 참조)가 진행 완료되면, 사용자 측에서는, 자신의 청음능력과 무관한 이질적인 음원 데이터의 무분별한 소비에 따른 청력손상 문제점, 음원 데이터의 음감/명료도/음질 저하 문제점 등을 손쉽게 회피할 수 있게 되며, 결국, 전체적인 음원 데이터 소비환경이 자신의 청음능력에 부합되는 최적의 상태로 향상되는 이점을 효과적으로 향유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 하에서, 주변소음 반영 보정모듈(105), SDU 생성모듈(104), 기기 음향출력특성 반영 보정모듈(107) 측에서는, TDU의 볼륨레벨을 표준청음곡선 ISO226:2003(P) 또는 기준 청음 직선(J)을 기준으로 올리거나 높여, SDU를 생성하는 절차(단계 S30), SDU의 볼륨레벨을 전자기기 음향출력 특성곡선을 기준으로 올리거나 높여, 전자기기(10) 고유의 음향출력특성이 반영된 보정 SDU를 생성하는 절차(단계 S40), 보정 SDU의 볼륨레벨을 ISO 표준에 따른 소음기준곡선(N)을 기준으로 올리거나 높여, TDU 생성 당시의 주변 소음상황이 반영된 2차 보정 SDU를 생성하는 절차(단계 S20) 등의 변화된 순서로 프로세스를 진행할 수도 있다.
물론, 이러한 변화된 환경 하에서도, 추후, 상술한 SDU 출력모듈(109) 측에 의해, <2차 보정 SDU를 이퀄라이저(13) 측으로 제공하여, 해당 이퀄라이저(13) 측에서, 음원 데이터의 출력 국면에서, 해당 음원 데이터의 볼륨레벨을 보정 SDU를 기준으로 하여(즉, 사용자의 청음능력에 정확히 일치시켜), 이퀄라이징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절차>(단계 S50)(도 8 참조)가 진행 완료되면, 사용자 측에서는, 자신의 청음능력과 무관한 이질적인 음원 데이터의 무분별한 소비에 따른 청력손상 문제점, 음원 데이터의 음감/명료도/음질 저하 문제점 등을 손쉽게 회피할 수 있게 되며, 결국, 전체적인 음원 데이터 소비환경이 자신의 청음능력에 부합되는 최적의 상태로 향상되는 이점을 효과적으로 향유할 수 있게 된다.
이외에도,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 하에서, 주변소음 반영 보정모듈(105), SDU 생성모듈(104), 기기 음향출력특성 반영 보정모듈(107) 측에서는, TDU의 볼륨레벨을 표준청음곡선 ISO226:2003(P) 또는 기준 청음 직선(J)을 기준으로 올리거나 높여, SDU를 생성하는 절차(단계 S30), SDU의 볼륨레벨을 ISO 표준에 따른 소음기준곡선(N)을 기준으로 올리거나 높여, TDU 생성 당시의 주변 소음상황이 반영된 2차 보정 SDU를 생성하는 절차(단계 S20), 보정 SDU의 볼륨레벨을 전자기기 음향출력 특성곡선을 기준으로 올리거나 높여, 전자기기(10) 고유의 음향출력특성이 반영된 2차 보정 SDU를 생성하는 절차(단계 S40) 등의 변화된 순서로 프로세스를 진행할 수도 있다.
물론, 이러한 변화된 환경 하에서도, 추후, 상술한 SDU 출력모듈(109) 측에 의해, <2차 보정 SDU를 이퀄라이저(13) 측으로 제공하여, 해당 이퀄라이저(13) 측에서, 음원 데이터의 출력 국면에서, 해당 음원 데이터의 볼륨레벨을 보정 SDU를 기준으로 하여(즉, 사용자의 청음능력에 정확히 일치시켜), 이퀄라이징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절차>(단계 S50)(도 8 참조)가 진행 완료되면, 사용자 측에서는, 자신의 청음능력과 무관한 이질적인 음원 데이터의 무분별한 소비에 따른 청력손상 문제점, 음원 데이터의 음감/명료도/음질 저하 문제점 등을 손쉽게 회피할 수 있게 되며, 결국, 전체적인 음원 데이터 소비환경이 자신의 청음능력에 부합되는 최적의 상태로 향상되는 이점을 효과적으로 향유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상황에 따라, 다양한 변형을 이룰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서는, SDU 생성에 기준이 된 표준청음곡선 ISO226:2003을 이와 유사한 다른 청음곡선, 한국인 표준 청력도 특성곡선, 연령별 청력도 특성곡선 등으로 바꾸는 변화된 조치를 취할 수도 있다.
물론, 이러한 변화된 환경 하에서도, TDU는 자신의 볼륨레벨을 한국인 표준 청력도 특성곡선, 연령별 청력도 특성곡선 등에 따라, 적절하게 보정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 측에서는 음원 데이터를 소비하는 내내, 불필요한 청력손상을 손쉽게 회피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본 발명은 기준음데이터의 제공이 필요한 다양한 전자기기(비 전자기 기 포함)에서 전반적으로 유용한 효과를 발휘한다.
그리고,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이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가능성이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안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전자기기의 음원 데이터 제공절차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SDU 제공 디바이스의 전자기기 내 설치형태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SDU 제공 디바이스의 세부구성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SDU 제공 디바이스의 SDU 제공절차를 순차적으로 도시한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주변소음 반영 보정모듈의 TDU 보정절차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SDU 생성모듈의 SDU 생성절차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기기 음향출력특성 반영 보정모듈의 SDU 보정절차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을 채용한 전자기기의 음원 데이터 제공절차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SDU 제공 디바이스의 SDU 제공절차를 순차적으로 도시한 순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SDU 생성모듈의 SDU 생성절차를 개념 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11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SDU 제공 디바이스의 SDU 제공절차를 순차적으로 도시한 순서도.

Claims (8)

  1. 음원 데이터를 이퀄라이징하는 이퀄라이저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내에 설치되며, 사용자 청음능력이 반영된 기준음데이터(SDU: Standard audio Data where the auditory ability of the User is reflected)의 생성·제공절차를 총괄 제어하는 SDU 제공 제어모듈과;
    상기 SDU 제공 제어모듈에 의해 제어되며, 사용자 청음능력 검사데이터(TDU: Test Data where the auditory ability of the User is reflected)의 볼륨레벨을 표준청음곡선 ISO226:2003을 기준으로 올리거나 높여, 상기 SDU를 생성하는 SDU 생성모듈과;
    상기 SDU 제공 제어모듈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SDU를 상기 이퀄라이저 측으로 제공하여, 해당 이퀄라이저 측에서, 상기 음원 데이터의 출력 국면에서, 해당 음원 데이터의 볼륨레벨을 상기 SDU를 기준으로 이퀄라이징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SDU 출력모듈과;
    상기 SDU 제공 제어모듈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TDU의 볼륨레벨 또는 상기 SDU의 불륨레벨을 ISO 표준에 따른 소음기준곡선을 기준으로 올리거나 높여, TDU 생성 당시의 주변 소음상황이 반영된 음향데이터를 생성하는 주변소음 반영 보정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DU 제공 디바이스.
  2. 음원 데이터를 이퀄라이징하는 이퀄라이저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내에 설치되며, SDU의 생성·제공절차를 총괄 제어하는 SDU 제공 제어모듈과;
    상기 SDU 제공 제어모듈에 의해 제어되며, TDU의 볼륨레벨을 특정 기준 볼륨값을 균일하게 유지하는 기준 청음 직선을 기준으로 올리거나 높여, 상기 SDU를 생성하는 SDU 생성모듈과;
    상기 SDU 제공 제어모듈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SDU를 상기 이퀄라이저 측으로 제공하여, 해당 이퀄라이저 측에서, 상기 음원 데이터의 출력 국면에서, 해당 음원 데이터의 볼륨레벨을 상기 SDU를 기준으로 이퀄라이징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SDU 출력모듈과;
    상기 SDU 제공 제어모듈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TDU의 볼륨레벨 또는 상기 SDU의 불륨레벨을 ISO 표준에 따른 소음기준곡선을 기준으로 올리거나 높여, TDU 생성 당시의 주변 소음상황이 반영된 음향데이터를 생성하는 주변소음 반영 보정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DU 제공 디바이스.
  3. 삭제
  4. 제 1 항 또는 제 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SDU 제공 제어모듈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TDU의 볼륨레벨 또는 상기 SDU의 불륨레벨을 전자기기 음향출력 특성곡선을 기준으로 올리거나 높여, 상기 전자기기 고유의 음향출력특성이 반영된 음향데이터를 생성하는 기기 음향출력특성 반영 보정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DU 제공 디바이스.
  5. 음원 데이터를 이퀄라이징하는 이퀄라이저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내에 설치되는 SDU 제공 디바이스의 SDU 제공방법에 있어서,
    TDU의 볼륨레벨을 표준청음곡선 ISO226:2003을 기준으로 올리거나 높여, SDU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SDU를 상기 이퀄라이저 측으로 제공하여, 해당 이퀄라이저 측에서, 상기 음원 데이터의 출력 국면에서, 해당 음원 데이터의 볼륨레벨을 상기 SDU를 기준으로 이퀄라이징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SDU를 생성하는 단계 이전, 또는, 상기 SDU를 생성하는 단계 이후에는 상기 TDU의 볼륨레벨 또는, 상기 SDU의 불륨레벨을 ISO 표준에 따른 소음기준곡선을 기준으로 올리거나 높여, TDU 생성 당시의 주변 소음상황이 반영된 음향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가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DU 제공 방법.
  6. 음원 데이터를 이퀄라이징하는 이퀄라이저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내에 설치되는 SDU 제공 디바이스의 SDU 제공방법에 있어서,
    TDU의 볼륨레벨을 특정 기준 볼륨값을 균일하게 유지하는 기준 청음 직선을 기준으로 올리거나 높여, SDU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SDU를 상기 이퀄라이저 측으로 제공하여, 해당 이퀄라이저 측에서, 상기 음원 데이터의 출력 국면에서, 해당 음원 데이터의 볼륨레벨을 상기 SDU를 기준으로 이퀄라이징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SDU를 생성하는 단계 이전, 또는, 상기 SDU를 생성하는 단계 이후에는 상기 TDU의 볼륨레벨 또는, 상기 SDU의 불륨레벨을 ISO 표준에 따른 소음기준곡선을 기준으로 올리거나 높여, TDU 생성 당시의 주변 소음상황이 반영된 음향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가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DU 제공 방법.
  7. 삭제
  8. 제 5 항 또는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SDU를 생성하는 단계 이전, 또는, 상기 SDU를 생성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TDU의 볼륨레벨 또는, 상기 SDU의 볼륨레벨을 전자기기 음향출력 특성곡선을 기준으로 올리거나 높여, 상기 전자기기 고유의 음향출력특성이 반영된 음향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가 더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DU 제공방법.
KR1020080057645A 2008-06-19 2008-06-19 사용자 청음능력이 반영된 기준음데이터 제공 디바이스 및방법 KR1009295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7645A KR100929565B1 (ko) 2008-06-19 2008-06-19 사용자 청음능력이 반영된 기준음데이터 제공 디바이스 및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7645A KR100929565B1 (ko) 2008-06-19 2008-06-19 사용자 청음능력이 반영된 기준음데이터 제공 디바이스 및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29565B1 true KR100929565B1 (ko) 2009-12-03

Family

ID=416837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7645A KR100929565B1 (ko) 2008-06-19 2008-06-19 사용자 청음능력이 반영된 기준음데이터 제공 디바이스 및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956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92431A (zh) * 2016-08-17 2017-01-04 广州市迪声音响有限公司 一种数字信号处理装置及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47117A (ko) * 2005-11-01 2007-05-04 삼성전자주식회사 음악 파일 재생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47117A (ko) * 2005-11-01 2007-05-04 삼성전자주식회사 음악 파일 재생 방법 및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92431A (zh) * 2016-08-17 2017-01-04 广州市迪声音响有限公司 一种数字信号处理装置及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933838B (zh) 使听力装置适应用户耳朵的方法及听力装置
US9613028B2 (en) Remotely updating a hearing and profile
JP6566963B2 (ja) 雑音消去パーソナルオーディオデバイスにおける二次経路適応応答の周波数整形雑音ベースの適応
CN107231598B (zh) 一种自适应音频调试方法、系统及移动终端
EP3038384A1 (en) A hearing device adapted for estimating a current real ear to coupler difference
JP5325994B2 (ja) 補聴器を微調整する方法
US20080254753A1 (en) Dynamic volume adjusting and band-shifting to compensate for hearing loss
US10200796B2 (en) Hearing device comprising a feedback cancellation system based on signal energy relocation
US20150078575A1 (en) Audio apparatus and methods
CN106416290A (zh) 基于换能器状态的检测来提高音频换能器的性能的系统及方法
CN105049993A (zh) 包括依赖于音量控制的均衡的扬声器系统
US20170046120A1 (en) Customizable Personal Sound Delivery System
US20230283968A1 (en) Hearing device comprising an amplifier system for minimizing variation in an acoustical signal caused by variation in gain of an amplifier
KR101175723B1 (ko) 보청장치 및 제어방법
DK2172062T3 (da) Fremgangsmåde til tilpasning af et høreapparat ved hjælp af en perceptuel model
CN1988734A (zh) 具有变化时延的音频系统和处理音频信号的方法
CN110753295B (zh) 可定制个人声音传送系统的校准方法
KR100929565B1 (ko) 사용자 청음능력이 반영된 기준음데이터 제공 디바이스 및방법
KR100933713B1 (ko) 청력 측정 및 보정 기능을 갖는 보청기 및 그 제어 방법
CN106911979B (zh) 用于耳机的音量调节方法、装置及耳机
US10433081B2 (en) Consumer electronics device adapted for hearing loss compensation
US20170366905A1 (en) Audio transmission system and audio processing method thereof
US20210141595A1 (en) Calibration Method for Customizable Personal Sound Delivery Systems
US10136241B1 (en) Audio playing system capable of automatically personally compensating
CN109104669A (zh) 一种耳机的音质修正方法、系统及耳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4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