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47117A - 음악 파일 재생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음악 파일 재생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47117A
KR20070047117A KR1020050103906A KR20050103906A KR20070047117A KR 20070047117 A KR20070047117 A KR 20070047117A KR 1020050103906 A KR1020050103906 A KR 1020050103906A KR 20050103906 A KR20050103906 A KR 20050103906A KR 20070047117 A KR20070047117 A KR 200700471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music file
earset
user
frequency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039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42618B1 (ko
Inventor
이선기
이강훈
이정순
심대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039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42618B1/ko
Priority to US11/591,110 priority patent/US8031884B2/en
Priority to CN2006101431452A priority patent/CN1972524B/zh
Priority to EP06123374A priority patent/EP1781063A3/en
Publication of KR200700471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71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26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26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5/00Stereophonic arrangements
    • H04R5/04Circuit arrangements, e.g. for selective connection of amplifier inputs/outputs to loudspeakers, for loudspeaker detection, or for adaptation of settings to personal preferences or hearing impairmen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2Analogue recording or reproduc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2Audiometering
    • A61B5/121Audiometering evaluating hearing capacity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05/00Details of stereophonic arrangements covered by H04R5/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5/041Adaptation of stereophonic signal reproduction for the hearing impair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70Adaptation of deaf aid to hearing loss, e.g. initial electronic fitting

Abstract

본 발명은, 음악 파일 재생이 가능한 단말의 음악 파일 재생 방법에 있어서, 음악 파일 재생 요구시 상기 음악 파일의 이퀄라이징 재생 특성을 파악하는 과정과, 미리 측정된 사용자의 청력 특성을 나타내는 개별 청력 상태 정보와 상기 이퀄라이징 재생 특성에 따라 오디오 신호의 출력 이퀄라이저 셋팅값을 결정하여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음악 파일을 재생하여 상기 오디오 신호를 상기 출력 이퀄라이저 셋팅값에 따라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음악 재생 단말, 개별 청력 상태 정보, 이퀄라이저

Description

음악 파일 재생 방법 및 장치{MUSIC FILE PLAYING METHOD AND APPARATUS}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악 파일 재생 단말과 이어셋(ear-set)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개별 청력 상태 정보를 측정하는 음악 파일 재생 단말의 동작 흐름을 나타낸 도면,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개별 청력 상태 정보에 따라 음악 파일을 재생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별 청력 상태 정보 측정시 구성을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은 음악 파일 재생이 가능한 단말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의 청력 상태에 따라 최적의 상태로 음악을 재생하는 음악 파일 재생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CD 플레이어, MP3 플레이어 등 다양한 포터블 음악 파일 재생 장치부터 이동 통신 단말, PDA까지 현재 음악 파일 재생 기능을 제공하는 단말의 종류는 다양해지고 있다. 그리고 양질의 음악 감상을 원하는 사용자 욕구에 따라 좋은 음질의 음악을 재생하여 출력하기 위한 연구가 계속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한 음악 파일 재생 단말에서 제공하는 음악 파일 재생 방식은 고정된 주파수 이퀄라이징을 거친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되어진다. 만약 별도의 주파수 이퀄라이징 기능이 첨부된 음악 파일 재생 단말의 경우에도 특정 주파수대역의 레벨 조절이 가능하거나, 전체 가청 주파수 대역 중 3개에서 5개 정도의 정해진 주파수 대역의 레벨 조절이 가능한 주파수 이퀄라이저가 구비될 뿐이다. 하지만 개인에 따라 청력 특성은 모두 다르다. 이에 따라 고정된 주파수 이퀄라이징을 거친 오디오 신호들은 불특정 다수의 사용자를 만족시킬 수 없으며, 간략한 이퀄라이저가 구비된 음악 파일 재생 단말이라 하여도, 사용자가 조정할 수 있는 주파수 대역이 미리 고정되어 있으므로 사용자의 모든 욕구를 만족 시킬 수 없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다수의 주파수 대역의 레벨을 조절할 수 있는 주파수 이퀄라이저를 음악 파일 재생 단말에 구비하는 것은 주파수 이퀄라이저의 부피 때문에 음악 파일 재생 단말기의 휴대성이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개개인의 청력 특성을 고려하여 음악 파일 재생 오디오 신호를 출력할 수 있는 음악 파일 재생 방식 및 단말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청력 특성에 따른 음악 파일 재생 오디오 신호를 출력 할 수 있는 음악 파일 재생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좋은 음질의 음악을 듣고자하는 욕구를 만족시킬 수 있는 음악 파일 재생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음악 파일 재생이 가능한 단말의 음악 파일 재생 방법에 있어서, 음악 파일 재생 요구시 상기 음악 파일의 이퀄라이징 재생 특성을 파악하는 과정과, 미리 측정된 사용자의 청력 특성을 나타내는 개별 청력 상태 정보와 상기 이퀄라이징 재생 특성에 따라 오디오 신호의 출력 이퀄라이저 셋팅값을 결정하여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음악 파일을 재생하여 상기 오디오 신호를 상기 출력 이퀄라이저 셋팅값에 따라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번호 및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먼저, 도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악 파일 재생 단말과 이어셋(ear-set)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악 파일 단말과 이어셋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음악 파일 재생 장치는 음악 파일 재생 단말(100)과 이어셋(20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가 상기 이어셋(200)을 귀에 착용한 후에 개별 청력 상태 정보 측정 요구를 입력하면, 상기 음악 파일 재생 단말(100)은 사용자 요청에 대응하여 기본 가청 주파수 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이어셋(200)으로 전송한다. 상기 이어셋(200)은 수신된 기본 가청 주파수 신호를 출력하고, 귓속에서 귀의 내벽이나 고막에 반사되는 신호들을 마이크(210)를 통해 음집하여, 음집된 측정 반사 신호를 상기 음악 파일 재생 단말(100)로 전송한다. 상기 음악 파일 재생 단말(100)은 수신된 측정 반사 신호와 표준 반사 신호를 비교하는 과정을 통해 최적정 기준 가청 주파수 신호를 생성하여 사용자의 개별 청력 상태 정보를 측정한다. 그리고 음악 파일 재생 단말(100)은 음악 파일 재생시 상기 개별 청력 상태 정보에 따라 음알 파일의 오디오 신호를 이퀄라이징하여 출력한다.
상기와 같이 동작하는 음악 파일 재생 단말(100)은 제어부(10), 메모리(20), 이퀄라이저부(30), 디스플레이부(40), 신호 비교부(50), 기준신호발생부(60), 음원 처리부(70), 이어셋 접속부(80)를 포함하고, 상기 이어셋(200)은 이어 마이크(210), 이어 스피커(220), 프로세서(230), 단말 접속부(240)를 포함한다.
상기 음악 파일 재생 단말(100)의 제어부(10)는 상기 음악 파일 재생 단말(10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상기 메모리(20)는 제어부(11)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 참조 데이터, 갱신 가능한 각종 보관용 데이터 등을 저장하며, 제어부(11)의 워킹 메모리 (working memory)로 제공된다. 그리고 메모리(2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기본 가청 주파수 신호 정보와, 표준 반사 신호 정보와, 개별 청력 상태 정보를 저장한다. 상기 기본 가청 주파수 신호 정보란 모든 가청 주파수대역을 포함하며, 각 주파수에 대응되는 신호 레벨이 균일한 신호이다. 상기 표준 반사 신호 정보란 정상적인 청력을 가지는 사람의 귀에 상기 기본 가청 주파수 신호를 출력하였을 때, 귀의 내벽이나 고막 등에 반사되어 측정된 신호이다.
상기 이어셋 접속부(80)는 상기 음악 파일 재생 단말(100)과 상기 이어셋(200)이 통신하는데 필요한 연결부로서, 음원처리부(70)로부터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연결된 이어셋(200)으로 전송하고, 이어셋(200)으로부터 수신되는 오디오 신호를 음원처리부(70)로 출력한다. 상기 이어셋 접속부(80)는 상기 이어셋(200)과 상기 음악 파일 재생 단말(100)이 유선 연결시 이용되는 상기 이어셋(200)의 연결 단자와 결합되는 접속 커넥터와, 상기 음악 파일 재생 단말(100)과 상기 이어셋(100)이 무선으로 연결시 이용되는 블루투스와 같은 근거리 무선 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음원처리부(70)는 제어부(10)의 제어하에 음악 파일 재생에 따른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여 스피커(SPK)나 이어셋 접속부(80)로 출력하고, 마이크(MIC)로부터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여 제어부(10)로 출력한다. 또한 제어부(10)의 제어하에 기준 신호 발생부(6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적정 처리하여 이어셋 접속부(80)로 출력하고, 이어셋 접속부(80)로부터 입력되는 측정 반사 신호를 제어부(10)로 출력한다.
상기 기준 신호 발생부(60)는 제어부(10)의 제어하에 기본 가청 주파수 신호 정보에 따른 가청 주파수를 발생하여 상기 음원 처리부(70)로 출력한다. 그리고 신호 비교부(50)로부터 입력되는 기준 가청 주파수 정보에 따라 기준 가청 주파수를 발생하여 상기 음원처리부(70)로 출력한다.
상기 신호 비교부(50)는 상기 제어부(10)의 제어하에 상기 음원처리부(70)에서 제어부(10)를 통해 입력되는 측정 반사 신호와 상기 표준 반사 신호를 각 주파수 별로 비교하여 그 차이가 미리 설정된 허용 오차 범위에 포함되는지 판단한다. 상기 차이가 허용 오차 범위가 아닌 경우 신호 비교부(50)는 기본 가청 주파수 신호의 해당 주파수의 레벨을 미리 정해진 단계만큼 변화시켜 기준 가청 주파수를 결정하고 그에 대한 정보를 기준 신호 발생부(60)로 출력한다. 즉, 신호 비교부(50)는 측정 반사 신호의 임의의 주파수의 레벨이 표준 반사 신호의 해당 주파수 레벨 보다 작으면 미리 정해진 단계만큼 기본 가청 주파수의 신호의 해당 주파수 레벨을 증가 시킨다. 그리고 측정 반사 신호의 임의의 주파수의 레벨이 표준 반사 신호의 해당 주파수 레벨 보다 크면 신호 비교부(50)는 미리 정해진 단계만큼 기본 가청 주파수의 신호의 해당 주파수 레벨을 감소시킨다. 이러한 과정에 따라 결정된 기준 가청 주파수를 제1기준 가청 주파수라 하고, 이어셋(200)으로 출력한다. 그리고 다시 측정 반사 신호를 수신하여 표준 반사 신호와 비교하여, 그 결과에 따라 상기 제1기준 가청 주파수를 조정하여 제2기준 가청 주파수를 생성한다. 이와 같은 과정을 반복하여 상기 측정 반사 신호와 상기 표준 반사 신호의 각 주파수 별 레벨 차이가 미리 설정된 허용 오차 범위에 포함되면, 신호 비교부(50)는 가장 최근에 결정했던 기준 가청 주파수를 제어부(10)로 출력하여 사용자의 개별 청력 상태 정보 로서 메모리(20)에 저장한다. 즉, 상기 개별 청력 상태 정보는 기본 가청 주파수 신호에 포함되는 주파수 중 사용자의 청력 특성에 따라 사용자의 청력이 둔한 주파수 대역의 신호 레벨은 둔한 만큼 증폭하고, 사용자의 청력이 예민한 주파수 대역의 신호 레벨은 예민한 만큼 감소시킨 신호이다. 상기 개별 청력 상태 정보는 사람마다 각기 다른 특성을 가지며, 측정시 주변 환경에도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상기 이퀄라이저부(30)는 상기 제어부(10)의 제어하에 상기 개별 청력 상태 정보를 기준으로 재생할 음악 파일의 재생 특성을 비교하여 결정한 보정값에 따라 음악 파일 재생 단말(100)의 오디오 신호 출력 이퀄라이저 값을 결정하여 셋팅한다. 다시 말해 재생할 음악 파일의 재생 특성에 따라 특정 주파수 대역을 강조해야 하는 경우, 출력 오디오 신호의 해당 주파수의 레벨을 일정 양 증폭해야하는데, 실질적인 증폭 값이 상기 개별 청력 상태 정보를 고려하여 결정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예를 들어, 상기 개별 청력 상태 정보로 결정된 기준 가청 주파수 신호에 따른 각 주파수 별 레벨 값을 오디오 신호 기본 출력 이퀄라이저 셋팅값으로 설정하고, 기본 출력 이퀄라이저 셋팅값이 설정된 상태에서 임의의 음악 파일의 재생 특성에 따른 이퀄라이저 셋팅값을 가감하여 최종적인 출력 이퀄라이저가 설정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제어부(10)가 상기 개별 청력 상태 정보와 음악 파일의 재생 특성에 따라 산술적으로 이퀄라이저 셋팅값을 계산하여 최종 출력 이퀄라이저가 설정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이어셋(200)에 구비되는 이어 마이크(210)와 이어 스피커(220)는 동일한 유닛에 구비되어야한다. 다시 말해, 상기 마이크(210)는 본 발명의 실시예 에 따라 사용자의 귀 내벽에서 반사되는 신호들을 집음할 수 있는 구조로 구성되어야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특성상 상기 마이크(210)는 콘덴서 마이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프로세서(230)는 단말 접속부(240)로부터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상기 이어 스피커(220)로 출력하고, 상기 이어 마이크(210)로부터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단말 접속부(240)로 출력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 볼륨 등을 조절할 수 있는 볼륨키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음악 파일 재생 단말(100)의 동작을 제어하는 키 데이터를 발생하는 다수의 키들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단말 접속부(240)는 상기 음악 파일 재생 단말(100)과 상기 이어셋(200)이 통신하는데 필요한 연결부로서, 프로세서(230)로부터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연결된 음악 파일 재생 단말(100)로 전송하고, 음악 파일 재생 단말(100)로부터 수신되는 오디오 신호를 프로세서(230)로 출력한다. 상기 단말 접속부(240)는 상기 이어셋(200)과 상기 음악 파일 재생 단말(100)의 유선 연결시 이용되는 상기 음악 파일 재생 단말(10)의 접속 커넥터와 결합되는 연결 단자와, 상기 음악 파일 재생 단말(100)과 상기 이어셋(100)의 무선 연결시 이용되는 블루투스와 같은 근거리 무선 모듈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음악 파일 재생 단말(100)과 이어셋(200)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의 개별 청력 상태 정보를 측정하는 과정을 도2와 도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는 개별 청력 상태 정보 측정 요구 입력을 음악 파일 재생 단말(100)에 입력하기 전에 도4와 같이 이어셋(200)의 이어 마이크(210)와 이어 스 피커(220)가 구비된 유닛을 귀에 접근 시켜야한다. 이어셋(200) 유닛은 가능한 만큼 귀에 접촉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도4와 같이 삽입형 이어셋(200)으로 구성될 수 도 있다.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별 청력 상태 정보 측정시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후, 사용자는 키입력등을 통해 도2의 301단계에서 개별 청력 상태 정보 측정 요구를 하면 제어부(10)는 303단계로 진행한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개별 청력 상태 정보를 측정하는 음악 파일 재생 단말의 동작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303단계에서 제어부(10)는 기본 가청 주파수 신호를 재생하여 이어셋(200)으로 전송하고 305단계로 진행한다.
이어셋(200)은 수신되는 기본 가청 주파수 신호를 이어 스피커(220)를 통해 출력한다. 출력된 기본 가청 주파수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귀 내벽과 고막 등에 반사되며, 반사된 신호들은 이어 마이크(210)를 통해 집음되어 프로세서(230)로 출력된다. 프로세서(230)는 상기와 같이 입력된 측정 반사 신호를 단말 접속부(240)를 통해 음악 파일 재생 단말(100)로 전송한다.
305단계에서 제어부(10)는 상기 이어셋(200)으로부터 사용자의 귀 내벽에 반사된 신호로 이루어진 상기 측정 반사 신호를 수신하고 307단계로 진행한다. 307단계에서 제어부(10)는 각 주파수 별로 표준 반사 신호와 측정 반사 신호를 비교하고 309단계로 진행한다. 제어부(10)는 309단계에서 각 주파수별 레벨 비교 결과, 즉 두 신호의 주파수별 레벨 차이가 중 허용 오차 범위를 벗어나는 비교 결과가 있는지 확인하여 허용 오차 범위를 벗어나는 비교 결과가 있으면 311단계로 진행하고, 허용 오차 범위를 벗어나는 결과가 없으면 313단계로 진행한다. 311단계에서 제어 부(10)는 각 주파수 별 비교 결과에 따라 단계적으로 레벨을 조절하여 기준 가청 주파수 신호를 생성하여 이어셋(200)으로 전송하고 상기 305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305단계 내지 311단계를 반복 수행한다. 그 결과 상기 309단계에서 표준 반사 신호와 측정 반사 신호의 각 주파수별 신호 레벨 비교 결과 모든 레벨 차이가 허용 오차 범위 내에 속하면 313단계에서 제어부(10)는 가장 최근에 발생한 기준 가청 주파수 신호를 개별 청력 상태 정보로 저장하고 동작 과정을 종료한다.
상기 개별 청력 상태 정보를 측정하여 저장한 후 사용자로부터 임의의 음악파일에 대한 재생 요구가 있으면, 상기 음악 파일 재생 단말(100)은 먼저 상기 임의의 음악 파일의 재생 특성을 파악한다. 그리고 상기 개별 청력 상태 정보를 기준으로 파악된 재생 특성에 따라 출력 오디오 신호의 이퀄라이저 셋팅값을 결정하여 셋팅한 후 음악 파일을 재생하여 출력한다.
이러한 음악 파일 재생 단말(100)의 동작 과정을 도3에 도시하였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개별 청력 상태 정보에 따라 음악 파일을 재생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3을 참조하여, 음악 파일 재생 단말(100)의 제어부(10)는 321단계에서 키입력등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음악 파일 재생 요구가 입력되면 323단계로 진행한다. 323단계에서 제어부(10)는 음악 파일의 재생 특성을 파악하고 325단계로 진행한다. 325단계에서 음악 파일의 재생 특성과 개별 청력 상대 정보를 비교하여 결정한 보정값에 따라 출력 이퀄라이저 값을 셋팅하고 327단계로 진행한다. 327단계에서 제어부(10)는 음악 팡리 재생 및 셋팅된 출력 이퀄라이저 값에 따라 음악 신호 출력하고 329단계로 진행한다. 329단계에서 제어부(10)는 다른 음악 파 일 재생 요구가 있는지 확인하여, 다른 음악 파일 재생 요구가 있으면 상기 323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323단계 내지 상기 329단계를 반복 수행한다. 이후, 331단계에서 제어부(10)는 음악 파일 재생 중지 요구가 있으면, 음악 파일 재생을 중지하고 동작 과정을 종료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음악 파일 재생 단말(100)은 이동 통신 단말, PDA, CD 플레이어, MP3 플레이어 등 포터블 음악 파일 재생 기기 등이 될 수 있으며, 포터블 음악 파일 재생 기기가 아닌 일반적인 오디오 등 음악 파일 재생되는 모든 기기가 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음악 파일 재생 단말(100)은 휴대 가능한 단말 뿐만 아니라, 음악 파일 재생이 가능한 모든 단말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특허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 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 마다 개별 청력 상태 정보를 측정하고, 재생할 음악 파일의 재생 특성을 파악하여, 최종 출력 이퀄라이저 셋팅값을 설정함으로써, 사용자의 청력 특성에 따라 오디오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Claims (11)

  1. 음악 파일 재생이 가능한 단말의 음악 파일 재생 방법에 있어서,
    음악 파일 재생 요구시 상기 음악 파일의 이퀄라이징 재생 특성을 파악하는 과정과,
    미리 측정된 사용자의 청력 특성을 나타내는 개별 청력 상태 정보와 상기 이퀄라이징 재생 특성에 따라 오디오 신호의 출력 이퀄라이저 셋팅값을 결정하여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음악 파일을 재생하여 상기 오디오 신호를 상기 출력 이퀄라이저 셋팅값에 따라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음악 파일 재생이 가능한 단말의 음악 파일 재생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요구에 따라 사용자의 청력 특성에 따라 결정되는 개별 청력 상태 정보를 측정하는 과정과,
    음악 파일 재생 요구시 상기 음악 파일의 이퀄라이징 재생 특성을 파악하는 과정과,
    상기 사용자의 개별 청력 상태 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이퀄라이징 재생 특성에 따라 출력 이퀄라이저 셋팅값을 결정하여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음악 파일을 재생하여 상기 오디오 신호를 상기 출력 이퀄라이저 셋팅 값에 따라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개별 청력 상태 정보를 측정하는 과정은
    모든 가청 주파수 대역이 포함되는 기본 가청 주파수 신호를 이어셋으로 전송하여 상기 이어셋의 이어 스피커를 통해 사용자의 귓속으로 상기 기본 가청 주파수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이어셋의 이어 마이크를 통해 음집되며 상기 기본 가청 주파수 신호를 출력함에 따라 사용자의 귀 내벽과 고막에 반사되어진 신호인 측정 반사 신호를 상기 이어셋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측정 반사 신호 레벨과 미리 저장된 표준 반사 신호의 레벨을 각 주파수별로 비교하여, 각 주파수별로 레벨 차이가 허용 오차 범위 내에 속하는지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 결과 허용 오차 범위를 벗어나는 주파수가 있으면, 상기 기본 가청 주파수의 대응 주파수의 레벨 값을 미리 정해진 레벨 값만큼 조절하여 기준 가청 주파수 신호를 생성하여 이어셋으로 전송하여 상기 이어셋의 이어 스피커를 통해 사용자의 귓속으로 상기 기준 가청 주파수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이어셋으로부터 상기 기준 가청 주파수 신호 출력에 따른 측정 반사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표준 반사 신호와 비교하여 각 주파수별 레벨 차이 값이 상기 허용 오차 범위 내에 속할 때까지 상기 기준 가청 주파수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 는 상기 과정을 반복하는 단계와,
    상기 각 주파수별 레벨 차이 값이 상기 허용 오차 범위 내에 속하면, 가장 최근에 출력한 기준 가청 주파수 신호를 개별 청력 상태 정보로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 파일 재생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개별 청력 상태 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이퀄라이징 재생 특성에 따라 출력 이퀄라이저 셋팅값을 결정하여 설정하는 과정은 상기 개별 청력 상태 정보로 결정된 상기 기준 가청 주파수 신호에 따른 각 주파수 별 레벨 값을 오디오 신호 기본 출력 이퀄라이저 셋팅값으로 설정하고, 기본 출력 이퀄라이저 셋팅값이 설정된 상태에서 상기 이퀄라이저 재생 특성에 따른 이퀄라이저 셋팅값을 가감하여 최종적인 출력 이퀄라이저를 설정하는 과정임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 파일 재생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개별 청력 상태 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이퀄라이징 재생 특성에 따라 출력 이퀄라이저 셋팅값을 결정하여 설정하는 과정은 상기 개별 청력 상태 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이퀄라이저 재생 특성에 따라 산술적으로 이퀄라이저 셋팅값을 계산하여 최종 출력 이퀄라이저를 설정하는 과정임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 파일 재생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표준 반사 신호의 레벨은 정상적인 청력을 가진 사람의 상기 기본 가청 주파수 신호에 대한 반사 신호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 파일 재생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이어셋은 이어 마이크와 이어 스피커가 하나의 유닛에 구비되며, 상기 유닛은 장착시 사용자의 귀에 미리 정해진 거리 이내에 위치하도록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 파일 재생 방법.
  8. 음악 파일 재생 장치에 있어서,
    개별 청력 상태 정보 측정 요구를 입력에 대응하여 기본 가청 주파수 신호를 발생하여 이어셋으로 전송하고, 이어셋으로부터 수신되는 기본 가청 주파수 신호 출력에 따른 측정 반사 신호와 표준 반사 신호를 비교하여 상기 기본 가청 주파수 신호를 적정 변형한 기준 가청 주파수 신호를 생성하여 사용자의 개별 청력 상태 정보로 저장하고, 음악 파일 재생시 상기 개별 청력 상태 정보와 상기 음악 파일의 이퀄라이징 재생 특성에 따라 오디오 신호 출력 이퀄라이징을 셋팅하여 음악 파일 재생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음악 파일 재생 단말과,
    상기 음악 파일 재생 단말로부터 수신한 기본 가청 주파수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기본 가청 주파수 신호 출력에 따라 귀의 내벽과 고막에 반사되는 신호들을 이어 마이크를 통해 음집하여, 음집된 측정 반사 신호를 상기 음악 파일 재생 단말로 전송하는 이어셋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 파일 재생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음악 파일 재생 단말은
    상기 음악 파일 재생 단말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기본 가청 주파수 신호 정보와, 표준 반사 신호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하에 상기 측정 반사 신호와 상기 표준 반사 신호를 각 주파수 별로 비교하여 그 차이가 미리 설정된 허용 오차 범위에 포함되는지 판단하고, 상기 차이가 허용 오차 범위가 아닌 경우 기본 가청 주파수 신호의 해당 주파수의 레벨을 미리 정해진 단계만큼 변화시켜 기준 가청 주파수 신호를 결정하여 상기 기준 가청 주파수에 대한 정보를 기준 신호 발생부로 출력하고, 상기 차이가 허용 오차 범위에 포함될 때 까지 이전 기준 가청 주파수 신호를 상기 미리 정해진 단계만큼 변화시켜 상기 기준 가청 주파수 신호를 변형하며, 상기 차이가 허용 오차 범위에 포함되면 가장 최근의 기준 가청 주파수 신호를 상기 개별 청력 상태 정보로 저장하는 신호 비교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하에 기본 가청 주파수 신호 정보에 따른 가청 주파수를 발생하여 음원 처리부로 출력하고, 상기 신호 비교부로부터 입력되는 기준 가청 주파수 정보에 따라 기준 가청 주파수를 발생하는 기준 신호 발생 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하에 상기 음악 파일 재생시 상기 개별 청력 상태 정보를 기준으로 재생할 음악 파일의 재생 특성을 비교하여 결정한 보정값에 따라 음악 파일 재생 단말의 오디오 신호 출력 이퀄라이저 셋팅값을 셋팅하는 이퀄라이저부와,
    상기 이어셋과 연결되며, 상기 기준 신호 발생부로부터 입력되는 기본 가청 주파수 신호와 기준 가청 주파수 신호를 상기 이어셋으로 전송하고, 상기 이어셋으로부터 수신되는 측정 반사 신호를 상기 신호 비교부로 출력하는 이어셋 접속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 파일 재생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이어셋은 하나의 유닛에 상기 이어 마이크와 상기 이어 스피커를 구비하며, 상기 유닛은 장착시 사용자의 귀에 미리 정해진 거리 이내에 위치하도록 구성되어지며, 상기 이어셋 접속부와 연결되는 단말 접속부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 파일 재생 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개별 청력 상태 정보는 기본 가청 주파수 신호에 포함되는 주파수 중 사용자의 청력 특성에 따라 사용자의 청력이 둔한 주파수 대역의 신호 레벨은 둔한 만큼 증폭하고, 사용자의 청력이 예민한 주파수 대역의 신호 레벨은 예민한 만큼 감소시킨 신호임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 파일 재생 장치.
KR1020050103906A 2005-11-01 2005-11-01 음악 파일 재생 방법 및 장치 KR1008426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3906A KR100842618B1 (ko) 2005-11-01 2005-11-01 음악 파일 재생 방법 및 장치
US11/591,110 US8031884B2 (en) 2005-11-01 2006-11-01 Method and apparatus for reproducing music file
CN2006101431452A CN1972524B (zh) 2005-11-01 2006-11-01 再现音乐文件的方法和设备
EP06123374A EP1781063A3 (en) 2005-11-01 2006-11-02 Method and apparatus for reproducing music fi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3906A KR100842618B1 (ko) 2005-11-01 2005-11-01 음악 파일 재생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7117A true KR20070047117A (ko) 2007-05-04
KR100842618B1 KR100842618B1 (ko) 2008-06-30

Family

ID=376859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3906A KR100842618B1 (ko) 2005-11-01 2005-11-01 음악 파일 재생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031884B2 (ko)
EP (1) EP1781063A3 (ko)
KR (1) KR100842618B1 (ko)
CN (1) CN1972524B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9565B1 (ko) * 2008-06-19 2009-12-03 권대훈 사용자 청음능력이 반영된 기준음데이터 제공 디바이스 및방법
KR101051036B1 (ko) * 2009-07-20 2011-07-21 김시중 사용자 개개인의 청력에 맞추어 오디오 기기의 음질을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
KR101425555B1 (ko) * 2013-03-19 2014-08-05 주식회사 바이오사운드랩 청력 보완 기능을 가진 티브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5611B1 (ko) 2008-05-02 2010-11-22 권대훈 사용자 개인별 청음능력을 기반으로 하는 컨텐츠 운영시스템
KR101020266B1 (ko) * 2008-10-07 2011-03-07 동의과학대학 산학협력단 개인별 청력특성과 스피커 전달특성을 고려한 소리 크기 조절방법 및 이를 사용한 소리크기 조절장치
AU2010281346A1 (en) * 2009-08-02 2012-03-08 Blamey & Saunders Hearing Pty Ltd Fitting of sound processors using improved sounds
WO2011034520A1 (en) * 2009-09-15 2011-03-24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System and method for modifying an audio signal
US9307340B2 (en) 2010-05-06 2016-04-05 Dolby Laboratories Licensing Corporation Audio system equalization for portable media playback devices
US9020623B2 (en) 2012-06-19 2015-04-28 Sonos, Inc Methods and apparatus to provide an infrared signal
CN103919559A (zh) * 2013-01-11 2014-07-16 王跃建 声场测听信号输出装置
US9517366B2 (en) 2013-02-01 2016-12-13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Respirator mask speech enhancement apparatus and method
US9498658B2 (en) * 2013-02-01 2016-11-22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Respirator mask speech enhancement apparatus and method
WO2015064796A1 (ko) * 2013-11-01 2015-05-07 유한회사 청텍 개인의 청력 특성에 최적화된 음원의 출력을 가능하게 하는 이어폰 장치
EP3382443B1 (en) * 2014-03-21 2023-07-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Head-mounted display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US9678707B2 (en) 2015-04-10 2017-06-13 Sonos, Inc. Identification of audio content facilitated by playback device
JP7047833B2 (ja) * 2017-03-13 2022-04-05 ソニーグループ株式会社 端末装置、制御方法及びオーディオデータ再生システム
US11206003B2 (en) * 2019-07-18 2021-12-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Personalized headphone equalization
RU2749725C1 (ru) * 2020-12-07 2021-06-16 Ооо «Медхард» Цифровой стетоскоп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99809A (en) * 1985-11-17 1997-12-23 Mdi Instruments, Inc. Device and process for generating and measuring the shape of an acoustic reflectance curve of an ear
US4809708A (en) * 1987-08-12 1989-03-07 Nicolet Instrument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real bar measurements
DE4128172C2 (de) 1991-08-24 2000-07-13 Ascom Audiosys Ag Flamatt Digitales Hörgerät
US5594174A (en) * 1994-06-06 1997-01-14 University Of Washington System and method for measuring acoustic reflectance
US5825894A (en) 1994-08-17 1998-10-20 Decibel Instruments, Inc. Spatialization for hearing evaluation
DE69625242T2 (de) * 1995-01-26 2003-10-30 Mdi Instr Inc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erzeugen und bestimmen der form der reflektionskurve des ohres
KR19990040058A (ko) * 1997-11-17 1999-06-05 전주범 텔레비젼의 음성출력제어장치
US5919143A (en) * 1998-01-12 1999-07-06 Mdi Instrument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analysis of acoustic reflectance and thermal radiation of an ear
EP1073314A1 (de) * 1999-07-27 2001-01-31 Siemens Audiologische Technik GmbH Verfahren zur Anpassung eines Hörhilfegerätes sowie Hörhilfegerät
AU2001244029A1 (en) * 2001-04-10 2001-07-09 Phonak Ag Method for adjustment of a hearing aid to suit an individual
GB0116071D0 (en) 2001-06-30 2001-08-22 Hewlett Packard Co Improvements in audio reproduction
US7190795B2 (en) * 2003-10-08 2007-03-13 Henry Simon Hearing adjustment appliance for electronic audio equipment
US7564979B2 (en) 2005-01-08 2009-07-21 Robert Swartz Listener specific audio reproduction system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9565B1 (ko) * 2008-06-19 2009-12-03 권대훈 사용자 청음능력이 반영된 기준음데이터 제공 디바이스 및방법
KR101051036B1 (ko) * 2009-07-20 2011-07-21 김시중 사용자 개개인의 청력에 맞추어 오디오 기기의 음질을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
KR101425555B1 (ko) * 2013-03-19 2014-08-05 주식회사 바이오사운드랩 청력 보완 기능을 가진 티브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70098187A1 (en) 2007-05-03
CN1972524A (zh) 2007-05-30
EP1781063A3 (en) 2010-08-11
EP1781063A2 (en) 2007-05-02
US8031884B2 (en) 2011-10-04
KR100842618B1 (ko) 2008-06-30
CN1972524B (zh) 2011-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2618B1 (ko) 음악 파일 재생 방법 및 장치
US20230111715A1 (en) Fitting method and apparatus for hearing earphone
US868200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transducer calibration and tuning
US8059833B2 (en) Method of compensating audio frequency response characteristics in real-time and a sound system using the same
US2010002780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ing audio volume to prevent hearing loss or damage
US20090315708A1 (en) Method and system for limiting audio output in audio headsets
CN109498030B (zh) 一种自由声场听力测试系统以及方法
US20180098720A1 (en) A Method and Device for Conducting a Self-Administered Hearing Test
JP2009527979A (ja) 外耳道内挿入用イヤプラグ
US9525954B2 (en) Audio device and audio producing method
US2015019566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udio testing
CN111666061A (zh) 控制数字耳机音量的方法、电子终端以及数字耳机
JP2009060209A (ja) 再生装置、プログラム、及び再生装置における周波数特性調整方法
KR20080096988A (ko) 청력도 기반의 음질보정 음향출력장치
KR100999647B1 (ko) 음량 자동 제어 방법 및 시스템
JP4283645B2 (ja) 信号遅延時間測定装置及びそのため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TW201118719A (en) System and method for modifying an audio signal
US11206502B1 (en) System and method for evaluating an ear seal using normalization
JP7461771B2 (ja) マルチチャンネルオーディオシステム、マルチチャンネルオーディオ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マルチチャンネルオーディオ再生方法
US20020151995A1 (en) Distributed audio system for the capture, conditioning and delivery of sound
KR102248208B1 (ko) 음향 기기 및 이를 이용한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의 청각 상태를 반영하여 음향을 보정할 수 있는 방법
WO2023160286A1 (zh) 降噪参数适配方法和装置
CN117528341A (zh) 一种声音增益调节方法、音频处理设备、麦克风及系统
JPH05168087A (ja) 音響装置及びリモコン
CN116264658A (zh) 音讯调节系统及音讯调节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30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