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9195B1 - 캡사이신을 포함하는 나노캡슐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캡사이신을 포함하는 나노캡슐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9195B1
KR100929195B1 KR1020070133004A KR20070133004A KR100929195B1 KR 100929195 B1 KR100929195 B1 KR 100929195B1 KR 1020070133004 A KR1020070133004 A KR 1020070133004A KR 20070133004 A KR20070133004 A KR 20070133004A KR 100929195 B1 KR100929195 B1 KR 1009291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saicin
nanocapsules
polycaprolactone
surfactant
particle siz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30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65616A (ko
Inventor
박동준
김범근
이준수
이창호
Original Assignee
한국식품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식품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식품연구원
Priority to KR10200701330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9195B1/ko
Publication of KR200900656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56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91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919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1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ducts
    • A23P10/30Encapsulation of particles, e.g. foodstuff addit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3/00Colloid chemistry, e.g. the production of colloidal materials or their solu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aking microcapsules or microballoons
    • B01J13/02Making microcapsules or microballo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40/00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33/00Carboxylic acid amides
    • C07C233/01Carboxylic acid amides having carbon atoms of carboxamide groups bound to hydrogen atoms or to acyclic carbon atoms
    • C07C233/16Carboxylic acid amides having carbon atoms of carboxamide groups bound to hydrogen atoms or to acyclic carbon atoms having the nitrogen atom of at least one of the carboxamide groups bound to a carbon atom of a hydrocarbon radical substituted by singly-bound oxygen atoms
    • C07C233/17Carboxylic acid amides having carbon atoms of carboxamide groups bound to hydrogen atoms or to acyclic carbon atoms having the nitrogen atom of at least one of the carboxamide groups bound to a carbon atom of a hydrocarbon radical substituted by singly-bound oxygen atoms with the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 bound to the nitrogen atom of the carboxamide group by an acyclic carbon atom
    • C07C233/20Carboxylic acid amides having carbon atoms of carboxamide groups bound to hydrogen atoms or to acyclic carbon atoms having the nitrogen atom of at least one of the carboxamide groups bound to a carbon atom of a hydrocarbon radical substituted by singly-bound oxygen atoms with the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 bound to the nitrogen atom of the carboxamide group by an acyclic carbon atom having the carbon atom of the carboxamide group bound to a carbon atom of an acyclic unsaturated carbon skelet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ano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생분해성 고분자인 폴리카프로락톤(polycaprolactone)을 이용하여 캡사이신을 포함하는 나노캡슐을 제조하는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캡사이신을 포함하는 나노캡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캡사이신을 포함하는 나노캡슐의 제조방법은, (ⅰ) 캡사이신 분산용 유기용매에 폴리카프로락톤과 캡사이신을 각각 용해시킨 유기용액과, 증류수에 계면활성제를 용해시킨 수성용액을 0.1:20 내지 1:20(v/v)으로 혼합하고, 이를 균질화하여 에멀젼을 수득하는 공정; 및, (ⅱ) 상기 에멀젼으로부터 유기용매를 휘발시켜 현탁액을 수득하고, 이를 건조시켜서 캡사이신을 포함하는 나노캡슐을 수득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캡사이신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캡사이신의 캡슐화 효율이 증대된 나노캡슐을 제조할 수 있으므로, 캡사이신을 이용할 수 있는 기능성 식품의 개발에 널리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캡사이신, 나노캡슐, 폴리카프로락톤

Description

캡사이신을 포함하는 나노캡슐 및 그의 제조방법{A Nano-capsule Comprising Capsaicin and Process for Preparing the Same}
본 발명은 캡사이신을 포함하는 나노캡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생분해성 고분자인 폴리카프로락톤(polycaprolactone)을 이용하여 캡사이신을 포함하는 나노캡슐을 제조하는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캡사이신을 포함하는 나노캡슐에 관한 것이다.
고추에서 추출되는 무색의 휘발성 화합물인 캡사이신(capsaicin)은 알칼로이드의 일종으로서, 고추의 매운 맛을 나타내는 주요성분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캡사이신은 신진대사를 촉진시키고, 체내의 지방을 분해하며, 강력한 항산화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다이어트 식품 및 건강식품의 주성분으로서 각광받고 있으며, 이를 포함하는 제품의 개발이 가속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 667876호에는 캡사이신이 포함되어 다이어트 효과를 나타내는 고추맛 해바라기씨 초콜릿 및 그의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고,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 653166호에는 캡사이신이 포함되어 항산화 활성과 다이어트 효과를 극대화시킨 기능성 다이어트 필름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으며,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 590611호에는 캡사이신이 첨가된 육류용 양념소스 조성물, 그 제조방법 및 상기 양념소스로 처리한 양념 소갈비가 개시되어 있고,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 588320호에는 캡사이신이 첨가되어 항산화 활성 및 질병에 대한 저항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동물 사료, 동물 사료 첨가제 또는 동물 사료 첨가제에 첨가하기 위한 프라믹스 및 그의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으며,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 568939호에는 캡사이신 성분이 함유되어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는 주류 및 그의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처럼 캡사이신을 포함하는 각종 식품은 캡사이신의 휘발성으로 인하여 그 효과를 충분히 나타내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으므로,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고자 캡사이신의 휘발성 손실을 방지하려는 노력이 계속되었으며, 그 해결방안으로 캡사이신을 캡슐화하는 방법에 주목하게 되었다.
통상적으로, 식품에서 사용되는 캡슐화기술로는 분무건조(spray drying)법을 응용한 다단식 분무건조법(multi stage spray drying), 수분을 적정량으로 조절한 고온 용융성 탄수화물류의 물질에 핵물질을 넣어 유화시킨 후, 예열된 압출기를 통하여 찬 냉매에 압출시켜 고형화하는 압출법(extrusion), 시클로올리고당의 동공(cavity)에 향료 등의 핵물질을 포집시키는 분자 캡슐화법(molecular encapsulation) 등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캡사이신은 그의 특성으로 인하여 상술한 캡슐화기술에 적용되기 못하거나 캡슐화 효율이 낮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휘발성을 갖는 캡사이신은 다단식 분무건조법에 적용할 수 없고, 예열된 압출 기를 통과하면서 대량이 손실되어 압출법에 적용하기에는 캡슐화 효율이 낮으며, 분자량이 작아 시클로올리고당의 동공에 효과적으로 포집되는 양보다 포집되지 않은 양이 더욱 많아 캡슐화 효율이 낮다는 어려움이 있어, 상술한 캡슐화기술에 적용되기 못하였다.
따라서, 캡사이신의 캡슐화 효율을 효과적으로 증대시킬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여야 할 필요성이 끊임없이 대두되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캡사이신의 캡슐화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고자 예의 연구노력한 결과, 생분해성 고분자인 폴리카프로락톤(polycaprolactone)을 이용하여 캡사이신을 포함하는 나노캡슐을 제조할 경우, 작은 분자량의 물질, 휘발성을 갖는 물질 등을 효과적으로 포집할 수 있는 나노캡슐의 특성으로 인하여 캡사이신의 캡슐화 효율을 효과적으로 증대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결국,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캡슐화 효율이 증대된, 캡사이신을 포함하는 나노캡슐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캡사이신을 포함하는 나노캡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생분해성 고분자인 폴리카프로락톤을 이용하여 캡사이신을 포함하는 나노캡슐을 제조하는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캡사이신을 포함하는 나노캡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작은 분자량의 물질, 휘발성을 갖는 물질 등을 효과적으로 포집할 수 있는 나노캡슐의 특성으로 인하여 캡사이신의 캡슐화 효율이 증대된 나노캡슐을 제조할 수 있으므로, 캡사이신을 이용할 수 있는 기능성 식품의 개발에 널리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캡슐화 효율이 증대된 캡사이신을 포함하는 캡슐을 제조하는 방법을 개발하고자 다양한 연구를 수행하던 중, 나노캡슐의 제조방법에 주목하게 되었다. 비교적 작은 분자량의 물질을 포집하기 위한 나노캡슐은 종래의 식품에 사용되던 캡슐과는 달리, 캡슐입자의 크기가 작고, 캡슐벽의 밀도가 높아, 작은 분자량의 물질, 휘발성을 갖는 물질 등을 포집하는데 유용하므로, 나노캡슐의 제조방법을 이용하여 캡사이신을 포함하는 나노캡슐을 제조하면, 작은 분자량과 함께 휘발성을 갖는 캡사이신을 포함하는 캡슐의 제조시에 캡슐화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라 예측하였다.
이에, 나노캡슐의 제조에 사용되는 벽물질로 알려진 키토산, 알긴산, 폴리카프로락톤(PCL), 폴리락타이드-코-글리콜라이드(polylactide-co-glycolide, PLGA), 폴리락트산(polylactic acid, PLA) 또는 폴리글리콜산(polyglycolic acid, PGA)을 대상으로 하여 캡사이신을 포함하는 캡슐을 제조한 결과, 평균입도 및 제타전위의 측면에서 폴리카프로락톤(PCL)이 가장 적합함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따라, 캡사이신 분산용 용매에 PCL과 캡사이신을 각각 용해시킨 유기용액과, 증류수에 계면활성제를 용해시킨 수성용액을 각각 수득하고, 이들 유기용액과 수성용액을 혼합 및 균질화하여 에멀젼을 수득하였으며, 이로부터 유기용매를 휘발시켜 현탁액을 수득하고, 이를 건조시켜서 캡사이신을 포함하는 나노캡슐을 제조할 수 있었다. 이때, PCL을 이용한 캡사이신을 포함하는 나노캡슐의 제조시에 캡슐화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제조조건을 연구한 결과, 계면활성제로는 플루로닉 F127을 사용함이 바람직하고, 이의 농도는 5 내지 10%(w/v)가 바람직하며, 캡사이신 분산용 용매로는 디클로로메탄이 바람직하고, 유기용액과 수성용액의 혼합비는 0.1:20 내지 1:20(v/v)가 바람직하고, PCL의 농도는 0.5 내지 3%(w/v)가 바람직함을 알 수 있었다.
결국, 본 발명의 캡사이신을 포함하는 나노캡슐의 제조방법은, (ⅰ) 캡사이신 분산용 유기용매에 폴리카프로락톤(polycaprolactone, PCL)과 캡사이신을 각각 용해시킨 유기용액과, 증류수에 계면활성제를 용해시킨 수성용액을 0.1:20 내지 1:20(v/v)으로 혼합하고, 이를 균질화하여 에멀젼을 수득하는 공정; 및, (ⅱ) 상기 에멀젼으로부터 유기용매를 휘발시켜 현탁액을 수득하고, 이를 건조시켜서 캡사이신을 포함하는 나노캡슐을 수득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캡사이신을 포함한다. 이때, 폴리카프로락톤의 농도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0.5 내지 3%(w/v)가 바람직하고, 캡사이신의 농도는 절대로 제한되지 않으며, 계면활성제는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플루로닉 F127을 사용함이 바람직하고, 계면활성제의 농도는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5 내지 10%(w/v)가 바람직하며, 현탁액의 건조는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분무건조, 열풍건조, 동결건조 등에 의하여 수행됨이 바람직하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캡사이신을 포함하는 나노캡슐의 벽물질의 선별
캡사이신 분산용 용매인 디클로로메탄에 다양한 벽물질(wall material)(키토산, 알긴산, 폴리카프로락톤(PCL), 폴리락타이드-코-글리콜라이드(polylactide-co-glycolide, PLGA), 폴리락트산(polylactic acid, PLA) 또는 폴리글리콜산(polyglycolic acid, PGA))과 캡사이신을 각각 용해시켜서, 벽물질의 최종농도 가 2%(w/v)이고, 캡사이신의 최종농도가 0.1mg/ml인 유기용액을 수득하였다. 또한, 증류수에 계면활성제인 폴리비닐알코올(Sigma-Aldrich, USA)을 용해시켜서 최종농도가 2%(w/v)인 수성용액을 수득하였다.
상기 수득한 유기용액과 수성용액을 1:20(v/v)으로 혼합하고, 균질화 장치(T25, IKA, Germany)에 적용한 다음, 10,000rpm으로 1분간 균질화시켜서 o/w 에멀젼을 수득하였으며, 수득한 o/w 에멀젼을 1시간동안 상온에서 교반하면서 용매인 디클로로메탄을 휘발시켜서, 캡사이신을 포함하는 나노캡슐이 현탁된 용액을 수득하고, 이를 분무건조시켜서 분말형의 캡사이신을 포함하는 나노캡슐을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나노캡슐을 ELS-8000(Electrophoresis Laser Light Scattering)(Otsuka, Japan)에 적용하여 이들 나노캡슐의 평균입도(mean particle size) 및 제타전위(zeta potential)를 측정하였다(참조: 표 1).
나노캡슐의 벽물질에 따른 나노캡슐의 평균입도 및 제타전위의 비교
벽물질 평균입도(nM) 제타전위(mV)
키토산 알긴산 PCL PLGA PLA PGA 2458.18±92.71 3327.07±70.66 1347.74±53.80 1812.39±67.54 1948.96±96.17 2175.71±24.63 1.20±1.33 0.49±0.41 2.74±1.10 2.16±0.88 1.83±0.49 1.67±1.74
상기 표 1에서 보듯이, 벽물질로서 PCL을 이용한 경우에 평균입도가 가장 작고 제타전위의 절대값이 가장 크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일반적으로, 나노캡슐을 제조함에 있어서 표면 전하를 나타내는 제타전위의 절대값이 작을수록 입자들간의 반발력이 거의 없게 되는 것이고, 절대값이 커질수록 입자간 반발력이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전자의 경우에는 입자간 뭉침현상이 커지게 되어 입도가 증가하게 되는 것이고, 후자의 경우 반발력으로 인해 입자간 뭉침현상이 적게 발생하여 작은 입도가 유지된다.
결론적으로, 상기 표 1의 결과로부터 벽물질로서 PCL을 사용할 경우, 입자간의 반발력이 가장 크기 때문에, 우수한 분산성을 갖는 나노캡슐을 제조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2: 계면활성제의 선별
계면활성제에 따라, 실시예 1에서 제조한 나노캡슐의 특성이 변화되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다양한 계면활성제를 이용하여 나노캡슐를 제조하였다.
즉, 계면활성제로서 폴리비닐알코올(PVA, Sigma-Aldrich Chem Co., USA), 트트윈 80(Tween 80, Sigma-Aldrich Chem Co., USA) 또는 플루로닉 F127(Pluronic F127, Sigma-Aldrich Chem Co., USA)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캡사이신을 포함하는 나노캡슐의 평균입도 및 제타전위를 측정하고, 서로 비교하였다(참조: 표 2).
계면활성제의 종류에 따른 입도 및 제타전위의 변화
계면활성제 평균입도(nm) 제타전위(mV)
폴리비닐알콜 1347.10±103.42 2.74±1.71
트윈 80 1005.27±72.17 -6.52±2.71
플루로닉 F127 523.45±36.70 -10.18±1.46
상기 표 2에서 보듯이, 계면활성제로서 폴리비닐알콜을 이용할 경우, 가장 높은 평균입도와 가장 낮은 절대값의 제타전위를 나타내었고, 플루로닉 F127을 이용할 경우, 가장 낮은 평균입도와 가장 높은 절대값의 제타전위를 나타내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절대값의 제타전위가 높을 수록 입자간의 반발력이 증대되어 분산성이 향상되므로, 바람직한 계면활성제는 플루로닉 F127임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3: 계면활성제의 농도결정
상기 실시예 2에서 계면활성제로서 플루로닉 F127을 사용함이 바람직함을 확인하였는 바, 나노캡슐의 제조에 있어 플루로닉 F127의 최적농도를 결정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계면활성제로서 플루로닉 F127을 사용하고, 이의 농도를 1, 2, 5, 7, 10, 12 또는 15%(w/v)로 용해시키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캡사이신을 포집한 나노캡슐를 제조하고, 이들의 평균입도를 서로 비교하였다(참조: 표 3).
계면활성제의 농도에 따른 평균입도의 변화
계면활성제의 농도%(w/v) 평균입도(nm)
1 2 5 7 10 15 20 705.27±72.17 523.45±36.70 153.27±6.43 108.69±1.61 53.2±8.73 52.9±2.57 52.4±3.41
상기 표 3에서 보듯이, 계면활성제의 농도가 5%(w/v)인 경우에 급격히 평균입도가 감소되었고, 5%(w/v) 이하인 경우에는 계면활성제의 농도에 비례하여 평균입도가 감소되었으나, 10%(w/v) 보다 큰 농도에서는 더 이상 평균입도가 감소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는 바, 바람직한 계면활성제의 농도는 5 내지 10%(w/v) 임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4: 캡사이신 분산용 용매의 선별
캡사이신 분산용 용매에 따라, 나노캡슐의 특성이 변화되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다양한 계면활성제를 이용하여 나노캡슐를 제조하였다. 즉, 계면활성제로서 플루로닉 F127을 사용하고, 분산용 용매로서 디클로로메탄, 디클로로메탄과 에탄올의 혼합용매(1:1, v/v), 디클로로메탄과 아세톤의 혼합용매(1:1, v/v)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캡사이신을 포함하는 나노캡슐을 제조하고, 이들의 평균입도, 제타전위 및 캡슐화 효율을 측정하고, 서로 비교하였다(참조: 표 4). 이때, 캡슐화효율은 캡사이신을 포함하는 나노캡슐이 현탁된 용액 10㎖에 메탄올 10㎖을 가하여 충분히 교반한 다음, 이를 HPLC(C18 컬럼)에 적용하여 메탄올 용액에 유리된 캡사이신 함량을 측정하고, 이를 하기 식에 적용하여 캡슐화효율을 산출하였다.
캡슐화효율(%) = (총 캡사이신 함량-유리된 캡사이신 함량)/총캡사이신 함량 ×100
분산상용매의 종류에 따른 평균입도, 제타전위 및 캡슐화 효율의 변화
분산상용매 평균입도(nm) 제타전위(mV) 캡슐화 효율(%)
디클로로메탄 523.45±36.70 -10.18±1.46 77
디클로로메탄 + 에탄올 494.50±29.15 -10.55±0.54 68
디클로로메탄 + 아세톤 493.53±6.93 -11.20±2.75 62
상기 표 4에서 보듯이, 분산상 용매의 종류가 변화되어도 평균입도 및 제타전위는 크게 변화되지 않았으나, 혼합용매를 사용한 경우에 보다 적은 평균입도를 나타내고, 제타전위의 절대값이 증대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모든 분산상 용매를 사용하여 제조한 각각의 나노캡슐은 모두 60% 이상의 캡슐화 효율을 나타내었으나, 혼합용매(디클로로메탄과 에탄올의 혼합용매: 68%, 디클로로메탄과 아세톤의 혼합용매: 62%)보다는 단일용매(디클로로메탄: 77%)를 사용할 경우에 보다 높은 캡슐화 효율을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혼합용매를 사용할 경우에는 평균입도와 제타전위가 미량으로 변화하였으나, 캡슐화 효율은 단일용매와 혼합용매를 사용할 경우 큰 차이를 나타내었는 바, 단일용매를 사용함이 바람직함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5: 유기용액과 수성용액의 혼합비 결정
유기용액과 수성용액의 혼합비에 따라, 실시예 1에서 제조한 나노캡슐의 특성이 변화되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다양한 혼합비의 유기용액과 수성용액의 혼합용액을 이용하여 나노캡슐을 제조하였다. 즉, 계면활성제로서 플루로닉 F127을 사용하고, 유기용액과 수성용액을 0.1:20, 0.5:20, 1:20, 2:20 또는 5:20(v/v)의 혼합비로 혼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캡사이신을 포함하는 나노캡슐을 제조하고, 이들의 평균입도, 제타전위 및 캡슐화 효율을 측정하고, 서로 비교하였다(참조: 표 5).
유기용액과 수성용액의 혼합비에 따른 평균입도, 제타전위 및 캡슐화 효율의 변화
유기용액과 수성용액의 혼합비(v/v) 평균입도(nm) 제타전위(mV) 캡슐화 효율(%)
0.1:20 0.5:20 1:20 2:20 5:20 107.12±41.47 284.76±75.82 323.35±36.76 604.50±29.15 618.53±16.93 -22.87±5.17 -18.14±3.24 -16.20±2.75 -6.55±0.54 -4.18±1.46 96 94 92 82 78
상기 표 5에서 보듯이, 수성용액에 대한 유기용액의 혼합비가 증가할수록 평균입도가 증대되고 제타전위의 절대값이 감소하였으며, 캡슐화 효율이 감소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유기용액과 수성용액의 혼합비가 2:20(v/v)인 경우에는 평균입도의 크기가 현저하게 증대되었고, 제타전위의 절대값과 캡슐화 효율이 급격히 감소하였으므로, 유기용액과 수성용액의 바람직한 혼합비는 0.1:20 내지 1:20(v/v)임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6: 폴리카프로락톤의 농도 결정
폴리카프로락톤의 농도에 따라, 실시예 1에서 제조한 나노캡슐의 특성이 변화되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다양한 농도의 폴리카프로락톤을 이용하여 나노캡슐를 제조하였다. 즉, 계면활성제로서 플루로닉 F127을 사용하고, 폴리카프로락톤의 농도를 0.5, 1, 2 및 3%(w/v)로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캡사이신을 포함하는 나노캡슐을 제조하고, 이들의 평균입도, 제타전위 및 캡슐화 효율을 서로 비교하였다(참조: 표 6).
폴리카프로락톤의 농도에 따른 평균입도, 제타전위 및 캡슐화 효율의 변화
폴리카프로락톤의 농도(%, w/v) 평균입도(nm) 제타전위(mV) 캡슐화 효율(%)
0.5 1 2 3 512.21±34.71 516.43±68.46 523.67±95.15 525.85±12.94 -4.24±2.72 -4.68±3.34 -4.18±1.17 -3.87±2.05 84 86 88 89
상기 표 6에서 보듯이, 폴리카프로락톤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나노캡슐의 평균입도가 증가하고, 제타전위의 절대값이 감소하면, 캡슐화 효율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이들이 현저하게 변화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는 바, 0.5 내지 3%(w/v)의 폴리카프로락톤의 농도범위에서 캡사이신을 포함하는 나노캡슐을 제조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7)

  1. (ⅰ) 디클로로메탄 단독, 디클로로메탄과 에탄올이 1:1(v/v)로 혼합된 혼합용매, 또는 디클로로메탄과 아세톤이 1:1(v/v)로 혼합된 혼합용매에, 폴리카프로락톤(polycaprolactone, PCL)과 캡사이신을 각각 용해시킨 유기용액과, 증류수에 계면활성제를 용해시킨 수성용액을 0.1:20 내지 1:20(v/v)으로 혼합하고, 이를 균질화하여 에멀젼을 수득하는 공정; 및,
    (ⅱ) 상기 에멀젼으로부터 유기용매를 휘발시켜 현탁액을 수득하고, 이를 건조시켜서 캡사이신을 포함하는 나노캡슐을 수득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캡사이신을 포함하는 나노캡슐의 제조방법.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폴리카프로락톤은 캡사이신 분산용 유기용매에 0.5 내지 3%(w/v)의 농도로 용해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사이신을 포함하는 나노캡슐의 제조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계면활성제는 플루로닉 F127(Pluronic F127)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사이신을 포함하는 나노캡슐의 제조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계면활성제는 증류수에 5 내지 10%(w/v)의 농도로 용해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사이신을 포함하는 나노캡슐의 제조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현탁액의 건조는 분무건조, 열풍건조 또는 동결건조에 의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사이신을 포함하는 나노캡슐의 제조방법.
  7. 제 1항의 방법으로 제조되어, 캡사이신을 포함하는 폴리카프로락톤 재질의 나노캡슐.
KR1020070133004A 2007-12-18 2007-12-18 캡사이신을 포함하는 나노캡슐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9291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3004A KR100929195B1 (ko) 2007-12-18 2007-12-18 캡사이신을 포함하는 나노캡슐 및 그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3004A KR100929195B1 (ko) 2007-12-18 2007-12-18 캡사이신을 포함하는 나노캡슐 및 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5616A KR20090065616A (ko) 2009-06-23
KR100929195B1 true KR100929195B1 (ko) 2009-12-01

Family

ID=409938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3004A KR100929195B1 (ko) 2007-12-18 2007-12-18 캡사이신을 포함하는 나노캡슐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919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961053A (zh) * 2018-09-29 2020-04-07 泰州医药城国科化物生物医药科技有限公司 一种以含有聚氧乙烯聚氧丙烯醚嵌段共聚物的乳化配方制备多糖微球的方法
KR20230164827A (ko) 2022-05-26 2023-12-05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캡사이신을 포함하는 심부전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MX2014009687A (es) * 2014-08-12 2016-02-11 Univ Nac Autónoma De México Sistemas nanoestructurados como protectores termicos de ingredientes funcionales en alimentos y suplementos alimenticios.
KR101883737B1 (ko) * 2016-12-26 2018-07-31 (주) 태광직물 캡사이신 오일 캡슐을 포함하는 밴딩용 점착제 조성물 및 그를 포함하는 스포츠테이핑용 기능성 밴드
KR102032275B1 (ko) 2018-04-05 2019-10-16 안호영 다중성분 폴리머 시스템을 이용한 유효성분 화합물의 나노 수준 캡슐화 제형
KR101949644B1 (ko) * 2018-07-02 2019-05-02 김훈 발포타입 폴리에틸렌 멀티-레이어 부직포의 자동 생산 시스템
KR102278422B1 (ko) 2019-10-02 2021-07-19 안호영 다중성분 폴리머 시스템을 이용한 유효성분 화합물의 나노 수준 캡슐화 제형을 포함하는 농약 조성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47432A (ja) * 2001-08-03 2003-02-18 Ogawa & Co Ltd カプサイシン含有マイクロカプセル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47432A (ja) * 2001-08-03 2003-02-18 Ogawa & Co Ltd カプサイシン含有マイクロカプセル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961053A (zh) * 2018-09-29 2020-04-07 泰州医药城国科化物生物医药科技有限公司 一种以含有聚氧乙烯聚氧丙烯醚嵌段共聚物的乳化配方制备多糖微球的方法
KR20230164827A (ko) 2022-05-26 2023-12-05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캡사이신을 포함하는 심부전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5616A (ko) 2009-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ahalakshmi et al. Micro-and nano-encapsulation of β-carotene in zein protein: Size-dependent release and absorption behavior
KR100929195B1 (ko) 캡사이신을 포함하는 나노캡슐 및 그의 제조방법
Encina et al. Conventional spray-drying and future trends for the microencapsulation of fish oil
Guo et al. Starch-based materials encapsulating food ingredients: Recent advances in fabrication methods and applications
Rezvankhah et al. Encapsulation and delivery of bioactive compounds using spray and freeze-drying techniques: A review
CN101252845B (zh) 胶囊化活性成分、制备方法及其用途
US11845052B2 (en) Flavor encapsulation using electrostatic atomization
Weisany et al. Targeted delivery and controlled released of essential oils using nanoencapsulation: A review
Chew et al. Microencapsulation of kenaf seed oil by co-extrusion technology
Song et al. Prolamin‐based complexes: Structure design and food‐related applications
AU7247000A (en) Composite materials
CN102613298B (zh) 一种月桂酸单甘油酯微胶囊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2580638A (zh) 一种通过复合凝聚法制备亲水性物质为芯材的微胶囊化方法
NZ533501A (en) Microcapsules with foreign substances encapsulated inside microorganism cells
Tabatabaei et al. Producing submicron chitosan-stabilized oil Pickering emulsion powder by an electrostatic collector-equipped spray dryer
CN109317066B (zh) 一种肉豆蔻精油微胶囊及其制备方法和应用
WO2010020853A1 (fr) Additif pour l'alimentation animale et son procédé de préparation
JP2012516154A (ja) 香味料カプセル化およびその方法
Vimala Bharathi et al. Nano and microencapsulation using food grade polymers
Mahalakshmi et al. Emulsion electrospraying and spray drying of whey protein nano and microparticles with curcumin
AU2014232243B2 (en) Encapsulation compositions comprising of spices, herbs, fruit, and vegetable powders
JP3969652B2 (ja) カロテノイド含有パウダーの製造方法
KR101729497B1 (ko) 용해도가 증진된 콩 과립의 제조방법
CN110574795B (zh) 真空冷冻干燥Pickering乳液制备高水溶性茶油粉末的方法
Chranioti et al. Encapsulation of food ingredi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0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8

Year of fee payment: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