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8810B1 - 권취 스트립 진행장애 제거 방법 - Google Patents

권취 스트립 진행장애 제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8810B1
KR100928810B1 KR1020020077855A KR20020077855A KR100928810B1 KR 100928810 B1 KR100928810 B1 KR 100928810B1 KR 1020020077855 A KR1020020077855 A KR 1020020077855A KR 20020077855 A KR20020077855 A KR 20020077855A KR 100928810 B1 KR100928810 B1 KR 1009288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ip
line
cutting
roll
wi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78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50196A (ko
Inventor
김종광
이한진
이강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200778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8810B1/ko
Publication of KR200400501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501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88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88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7/00Control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metal-rolling mills or the work produced thereb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15/00Arrangements for performing additional metal-working operation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8/00Methods or devices for measuring, detecting or monitoring specially adapted for metal-rolling mills, e.g. position detection, inspection of the produ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15/00Arrangements for performing additional metal-working operation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15/0007Cutting or shearing the product
    • B21B2015/0014Cutting or shearing the product transversely to the rolling dir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15/00Arrangements for performing additional metal-working operation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2015/0057Coiling the rolled produ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15/00Arrangements for performing additional metal-working operation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2015/0071Levelling the rolled produ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7/00Control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metal-rolling mills or the work produced thereby
    • B21B37/58Roll-force control; Roll-gap control
    • B21B37/60Roll-force control; Roll-gap control by control of a motor which drives an adjusting screw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ding, Rewinding, Material Storage Devices (AREA)
  • Controlling Rewinding, Feeding, Winding, Or Abnormalities Of Web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압연공정 연속소둔 라인의 작업중 연속라인의 스트립(strip) 절단 후, 또는 선후행 스트립의 연결을 위한 용접부 절단후, 후행재 스트립의 선단부가 권취기로 진행되는 과정에서, 스트립 진행중 걸림등의 영향으로 스트립의 선단부에 발생되던 굴곡(loop)을 자동적으로 방지하도록 한 권취 스트립 진행장애 제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방법은 스트립의 진행장애를 판정하는 단계(S51); 스트립의 진행장애 판정시, 출측라인 급속 정지(48mpm/sec감속)시켜 스트립의 진행 거리를 계산하는 단계(S52,S53); 스트립 굴곡부의 교정 제어를 실행하는 단계(S54); 출측 라인을 후진시키는 단계(S55-S59); 절단 매수 만큼 진행장애 스트립의 절단을 수행하는 단계(S60-S62); 및 스트립 선단부의 초기권취를 개시하는 단계(S63,S64)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스트립 진행장애를 제거할 수 있고, 조치시간 지연으로 인한 중앙 라인의 스톱(stop)을 방지할 수 있으며, 자동으로 진행장애가 조치되는 연속라인의 생산 휴지를 예방하여 생산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초기권취, 절단기(시어), 진행장애, 스트립 굴곡 거리 계측센서. 포토센서

Description

권취 스트립 진행장애 제거 방법{METHOD FOR REMOVING PROCEEDING FAILURE OF STRIP}
도 1은 종래 압연공정 연속 소둔라인의 권취 스트립 진행장애 발생 상태도이다.
도 2는 종래의 권취 스트립 진행장애 제거 과정을 보이는 플로우챠트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권취 스트립 진행장애 제거 장치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3의 스트립 굴곡부 교정 롤(15)의 상세 구성을 보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권취 스트립 진행장애 제거 방법을 보이는 전체 플로우챠트이다.
도 6은 도 5의 스트립 진행장애 판정 과정을 보이는 플로우챠트이다.
도 7은 도 5의 스트립 굴곡부 교정 제어과정을 보이는 플로우챠트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스트립 2 : NO.8 텐션 브라이들 롤
2-1 : 거리 계측센서 3,4 : 권취기
5 : 절단기(shear) 6 : 런아웃컨베어
7 ~ 11 : 스트립 지지롤 15 : 스트립 굴곡부 교정 롤
60 : 스트립 이동거리 연산부 70 : 절단기(shear) 모터 제어부
80 : 라인구동 모터 제어부 90 : 스트립 진행장애 제거 제어부
200 : 스트립 진행장애 판정부 203 : 스트립 굴곡부 교정 제어부
209 : 신호 입력부
본 발명은 압연공정 연속 소둔라인의 최종제품 생산시, 스트립 절단후의 스트립 선단부를 권취기에 진행시키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스트립의 진행장애 제거를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압연공정 연속소둔 라인의 작업중 연속라인의 스트립(strip) 절단 후, 또는 선후행 스트립의 연결을 위한 용접부 절단후, 후행재 스트립의 선단부가 권취기로 진행되는 과정에서, 스트립 진행중 걸림등의 영향으로 스트립의 선단부에 발생되던 굴곡(loop)을 자동적으로 방지하도록 함으로서, 스트립 진행장애를 제거할 수 있고, 조치시간 지연으로 인한 중앙 라인의 스톱(stop)을 방지할 수 있으며, 자동으로 진행장애가 조치되는 연속라인의 생산 휴지를 예방하여 생산성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는 권취 스트립 진행장애 제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압연공정의 연속 소둔라인은 입측, 중앙 및 출측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중앙라인은 로내부로 스트립을 연속적으로 이동시키고 있어 라인을 개시(start)한 후에는 생산되는 소재에 따라 라인 속도(speed) 및 로내부 온도가 적정하게 제어가 이루어지지 못하는 경우에는 제품 결함이 발생되며, 입측 및 출측 라인의 영향으로 중앙라인이 정지(stop)되게 되면 노 내부 온도를 감온 후 재 개시를 해야 하는 관계로 장시간의 생산휴지가 발생하게 된다.
한편, 압연공정 연속 소둔라인의 최종제품 생산시, 스트립 절단후의 스트립 선단부를 권취기에 진행시키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스트립의 진행장애 제거를 제어하는 방법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초기권취 : 절단기(shear)에서 스트립 절단후의 후행재를 권취기로 스트립을 진행시켜 코일형태로 감는 제어
절단기(shear) : 라인이 가동 상태에서 이동되는 스트립을 절단하는 장치
거리 계측센서 : 모터의 회전량에 따라 신호를 발생하는 센서
포토센서 : 빛의 투광부와 수광부로 이루어져 빛의 차단,투과에 따라 외부로 접점 신호를 출력하는 센서
스트립 굴곡부 교정:스트립의 구부러진(loop) 부분을 곧게 바로잡는 것.
도 1은 종래 압연공정 연속 소둔라인의 권취 스트립 진행장애 발생 상태도로서, 도 1을 참조하면, 출측라인은 스트립(1)을 수요가의 요구에 알맞게 길이 절단 및 선후행재 연결을 위한 용접부 절단후 스트립을 권취기(3,4)에서 코일(coil) 형태로 감아 최종 제품을 생산하는 과정에서, 출측 절단기(5)에서 스트립(strip)을 절단후 스트립의 선단부를 권취기로 진행시키는 과정에서 스트립 선단부가 진행되면서 런아웃 컨베어(6)의 회전수 불일치, 런아웃 컨베어 내부 마그네트의 스트립 부착 능력(자력) 저하, 스트립 지지 롤(10,11) 통과시의 걸림, 권취기 선택 테이블(slect table)(12)의 업다운(UP,DOWN) 동작불량에 의한 걸림 등의 영향으로 선단부는 진행이 이루어지지 못하여 스트립 진행 장애가 발생된다. 또한 후방에서 진행되는 힘에 의해 스트립 굴곡(loop)이 발생되며 스트립 굴곡부를 운전자가 조기에 발견하지 못하는 경우는 많은 량의 스트립이 쌓이게 된다.
도 2는 종래의 권취 스트립 진행장애 제거 과정을 보이는 플로우챠트로서, 도 2를 참조하면, 스트립의 진행장애 부분을 제거하는 종래 방법은 단계(S10)에서 스트립 절단준비 동작으로 스트립의 절단 지점이 절단기 전방 20~30m 전방에 도착하면 출측 라인(no.8 텐션 브라이들 롤(2) ~ 권취기(3,4))의 구동모터 속도를 절단기의 절단 가능한 속도(30~60mpm) 만큼 감속제어를 하게되며 감속제어가 완료되면 스트립 지지 롤(7,8,9,10,11)이 클로즈(CLOSE)되어 스트립 절단후의 스트립이 후방으로 빠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단계S11에서 스트립 절단 지점이 절단기에 도착되면 절단기는 스트립 절단이 이루어지고, 절단기 라스트(last)절단 완료 신호가 수신되면 단계S12에 서 런아웃컨베어(run out conveyor)(6) 내부의 마그네트(magnet)는 자력이 발생되어 후행재 스트립 선단부를 부착하여 전방으로 진행시키게 되며, 단계S13에서 스트립 선단부 초기 권취가 시작되어 권취기 선택 테이블(slect table)(12)의 동작(UP,DOWN)이 이루어지고, 단계S14에서 스트립 선단부 진행중 장애가 육안으로 확인되면 단계S15에서 출측라인을 수동으로 정지시키게 되며, 단계S16에서 출측라인 수동 서행(Jog) 후진을 30mpm으로 조작하여 진행장애가 발생된 스트립을 후방으로 이동시키게 되고, 그리고 단계S17에서 진행장애 부분의 스트립 선단부가 절단기 까지 후진된 것을 육안으로 확인하게 되면 출측 라인 후진을 정지하고, 단계S18에서 출측 라인 수동 서행(Jog) 전진을 30mpm으로 조작하여 스트립이 전방으로 약 1m 전진하게 되면(육안확인) 단계S19에서 절단기를 수동으로 조작하여 스트립을 절단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방법에 의하면, 수동 조작을 여러 번 반복하여 단계S20에서 스트립 진행장애 부분의 절단이 완료(스크랩처리)되면 단계S21에서 스트립 선단부 초기권취를 시작하여 스트립 진행장애 부분을 제거하게 되나 조치 시간 지연으로 중앙라인이 스톱되게 되어 소둔 로 내부의 스트립이 고온에 의한 변형으로 온도 감온시 까지 대기해야 하는 관계로 생산휴지를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압연공 정 연속소둔 라인의 작업중 연속라인의 스트립(strip) 절단 후, 또는 선후행 스트립의 연결을 위한 용접부 절단후, 후행재 스트립의 선단부가 권취기로 진행되는 과정에서, 스트립 진행중 걸림등의 영향으로 스트립의 선단부에 발생되던 굴곡(loop)을 자동적으로 방지하도록 하는 권취 스트립 진행장애 제거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스트립 진행장애를 제거할 수 있고, 조치시간 지연으로 인한 중앙 라인의 스톱(stop)을 방지할 수 있으며, 자동으로 진행장애가 조치되는 연속라인의 생산 휴지를 예방하여 생산성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는 권취 스트립 진행장애 제거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방법은
압연공정 연속 소둔라인의 최종제품 생산시, 스트립 절단후의 스트립 선단부를 권취기에 진행시키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스트립의 진행장애를 제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스트립 선단부의 초기 권취중, 스트립의 진행거리에 기초해서 스트립의 진행장애를 판정하는 단계;
스트립의 진행장애 판정시, 출측라인 급속 정지제어를 행하여 출측라인이 정지되면, 이때 까지의 스트립의 진행 거리를 계산하여 기억하는 단계;
스트립 굴곡부의 교정 제어를 실행하여 스트립 굴곡부 교정 롤과 스트립을 밀착시키는 단계;
출측 라인을 1차 후진 속도로 후진 제어하고 후진 감속 판정되면 출측라인의 후진 감속 속도를 2차 후진 속도로 후진 제어하고, 출측라인의 후진 정지 판정시는 출측라인의 후진을 정지시키는 단계;
스트립 절단 매수 및 라인 개시 지령이 수신되면 사전에 설정된 출측 라인의 속도로 동작개시를 수행하고, 설정된 절단 매수 만큼 진행장애 스트립의 절단을 수행하는 단계; 및
설정 매수의 연속절단 완료 신호가 수신되면 스트립 선단부의 초기권취를 개시하여 출측 라인을 정상적으로 가동시키는 단계
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권취 스트립 진행장애 제거 장치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그 구성 및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참조된 도면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과 기능을 가진 구성요소들은 동일한 부호를 사용할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권취 스트립 진행장애 제거 장치의 전체 구성도로서, 도 3을 참조하면, 스트립 선단부 초기 권취를 위한 스트립 진행중 장애로 진행 불가시 스트립 진행장애 판정부(200)에서 진행장애 신호를 스트립 진행장애 제거 제어부(90)로 송신하면 스트립 진행장애 제거 제어부는 라인구동 모터 제어부(80)로 라인 급속 정지 신호를 출력하고 라인구동 모터 제어부는 NO.8 텐션 브라이들 롤(Bridle Roll)(2) ~ 권취기(3,4) 구간의 구동 모터가 급속 정지되도록 제어를 하며 스트립 진행장애 제거 제어부는 NO.8 텐션 브라이들 롤의 거리 이동 계측 센서(2-1)에서 스트립 이동거리 검출부(50)로 읽어 들인 계측치를 스트립 이동 거리 연산부(60)로 부터 이동 거리를 기억(memory)한다.
그리고, 신호 입력부(209)에서 굴곡부 교정 롤(roll)(15) 간격조정 조정 설정 데이터를 스트립 진행장애 제거 제어부(90)가 수신하여 스트립 굴곡부 교정 제어부(203)로 신호를 출력하면 스트립 굴곡부 교정 제어부는 스트립 굴곡부 교정 롤(roll)(15)의 상.하 간격 조정을 자동으로 실행한 후 상부 롤이 하강되어 스트립과 밀착이 되도록 제어를 하게 되며 스트립 진행장애 제거 제어부(90)는 출측라인이 자동 후진 되도록 라인구동 모터 제어부(80)로 후진 지령을 하면 라인구동 모터 제어부는 NO.8 텐션 브라이들 롤(2) ~ 권취기(3,4) 구간의 모터(Motor)를 후진 제어하게 되고 스트립 진행장애 제거 제어부(90)는 후진되는 스트립의 이동 거리를 스트립 이동 거리 연산부(60)로부터 읽어 진행 장애 판정시까지의 스트립 이동 거리와 후진되는 스트립 이동 거리 및 절단기 전방 스트립 검출센서(21) 동작 상태를 비교 판정하여 라인 후진(스트립 선단부가 절단기 전방 스트립 검출센서 전방 까지 후진)정지 신호를 라인구동 모터 제어부(80)로 지령한다.
이때, 라인구동 모터 제어부는 출측 라인 후진 정지 제어를 하여 출측라인을 정지시키게 되며 운전 모니터(Monitor)(40)를 통하여 진행 장애가 발생된 스트립의 길이에 비례한 절단기 절단 매수를 신호 입력부(209)에서 수신하여 스트립 진행장애 제거 제어부(90)로 전송하면 스트립 진행장애 제거 제어부는 절단기(shear) 모터 제어부(70)로 전송하게 되고 신호 입력부(209)로부터 출측 라인 스타트(start) 신호를 스트립 진행장애 제거 제어부가 수신하여 라인구동 모터 제어부와 절단기 모터 제어부로 전송하면 출측 라인은 스타트와 동시에 정상적인 운전 패턴과 동일하게 스트립 진행장애 부분을 스크랩(scrap)으로 연속 절단한 후에 절단 매수 만큼의 절단 완료 신호가 절단기 모터제어부(70)로부터 스트립 진행장애 제거 제어부(90)로 수신되면 스트립 선단부는 초기 권취 제어가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진행장애 판정부로 입력되는 스트립 감지 센서(20-1,20-2)는 빛의 차단과 투과에 의해 신호를 발생하는 포토(photo) 센서(sensor)를 포함한다.
도 4는 도 3의 스트립 굴곡부 교정 롤(15)의 상세 구성을 보이는 사시도로서, 도 4를 참조하면, 굴곡부 교정 롤 구동용 모터(15-1)는 여러개의 롤에 동력 전달이 가능한 감속기(gear)(15-2)와 커플링(coupling)으로 연결되고 감속기는 상부 롤(15-10)과 하부 롤(15-4)의 베어링 블럭(bearing block)에 상하 작용이 가능한 볼 조인트(ball joint) (15-3) 커플링으로 연결되어 회전이 이루어지며 상부 롤 간격 조정 모터(15-5)는 간격 조정 모터 회전량 검출 신호 발생기(pluse generator)(15-6)와 연결되어 펄스 신호수에 따라 간격량으로 환산하여 간격 조정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제어를 하게 된다.
그리고, 간격 조정 모터는 상부 롤의 베어링 블록과 결합된 감속기(15-8)와 상하 작용이 가능한 유니버셜 조인트(universal joint)(15-7)로 연결되며 롤 양측 베어링 블록부의 감속기간 연결은 커플링(coupling)(15-9)으로 결합되어 상부 롤이 상하로 미세하게 간격 조정이 가능하도록 하며 고정 프레임(frame)(15-15)에 부착된 에어 실린더(air cylinder)(15-12)는 에어밸브(air valve)(15-11) 작동에 의해 상부 굴곡부 교정 롤이 상하로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에어 실린더는 상부 롤 양측 베어링 블록부 감속기와 연결 커플링(15-13)으로 결합되어 있으며 에어 실린더 작동에 의해 상하 수직으로 움직여 스트립(1)과 밀착되게 된다.
또한, 에어 실린더 커플링에는 스크류 잭(screw jack)(15-14)이 결합되어 에어 실린더 상하 작동시의 상부롤 양측이 일정하게 움직이도록 하여 언바란스(unbalance)를 방지하게 되는 구성이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스트립 굴곡부 교정 제어부의 지령을 받아 상부 롤 간격 조정 모터(15-5)는 상부 롤 상승과 하강 제어를 하여 상하 롤 간격조정 제어를 하고 간격조정 제어 완료 신호에 의해 에어 밸브(15-11)가 작동되어 에어 실린더(15-12)는 하부로 작동되어 스트립과 밀착되며 스트립 굴곡부 교정 롤 구동 모터(15-1)의 전,후진 제어에 의해 진행장애가 발생된 스트립의 굴곡부 교정이 이루어져 스트립은 곧게 바로 잡혀지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을 첨부도면에 의 거하여 하기에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권취 스트립 진행장애 제거 방법을 보이는 전체 플로우챠트로서, 도 5를 참조하면, 단계(S51)에서는 상기 스트립 선단부의 초기 권취중, 스트립의 진행거리에 기초해서 스트립의 진행장애를 판정한다.
그 다음, 단계(S52,S53)에서는 스트립의 진행장애 판정시, 출측라인 급속 정지(48mpm/sec감속)제어를 행하여 출측라인이 정지되면, 이때 까지의 스트립의 진행 거리를 계산하여 기억(memory)하는데, 여기서, 상기 스트립의 진행 거리는 "거리계측센서 신호수 변화량(△L) x 계측센서 인크리멘트 = 스트립진행거리, 인크리멘트 = no.8브라이들 롤 외경 x 3.14 / 기어비"로 정의될 수 있다.

그 다음, 단계(S54)에서는 스트립 굴곡부의 교정 제어를 실행하여 스트립 굴곡부 교정 롤과 스트립을 밀착시킨다.
그 다음, 단계(S55-S59)에서는 출측 라인을 1차 후진 속도로 후진 제어하고 후진 감속 판정되면 출측라인의 후진 감속 속도를 2차 후진 속도로 후진 제어하고, 출측라인의 후진 정지 판정시는 출측라인의 후진을 정지시킨다. 즉, 이 단계에서 출측 라인 30mpm 후진 제어가 이루어지고, 후진 감속 판정(후진거리 >스트립의 진 행장애 발생 거리)을 하게되면 출측라인 후진 감속 속도 10mpm으로 후진이 이루어지며 출측라인 후진 정지 판정(절단기 전방 스트립 검출센서(21) 스트립 없음 검출)이 이루어지면 출측라인 후진 정지가 이루어진다.
그 다음, 단계(S60-S62)에서는 스트립 절단 매수 및 라인 개시 지령이 수신되면 사전에 설정된 출측 라인의 속도로 동작개시를 수행하고, 설정된 절단 매수 만큼 진행장애 스트립의 절단을 수행한다. 즉, 이 단계에서는 신호 입력부로부터 스트립 절단 매수 및 라인 스타트 지령 신호를 수신하게 되면 출측 라인 속도(speed)가 30 ~ 60mpm으로 스타트가 이루어지며 설정된 절단 매수 만큼 진행장애 스트립의 절단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단계(S63,S64)에서는 설정 매수의 연속절단 완료 신호가 수신되면 스트립 선단부의 초기권취를 개시하여 출측 라인을 정상적으로 가동시킨다. 즉, 이 단계에서는 설정 매수 연속절단 완료 신호가 절단기 모터 제어부(70)로부터 수신되면 스트립 선단부 초기권취가 시작되며 출측 라인은 정상적으로 가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도 6은 도 5의 스트립 진행장애 판정 과정을 보이는 플로우챠트로서, 도 6을 참조하여 상기 스트립 진행장애 판정 단계(S51)에 대해서 보다 자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단계(S511)에서는 스트립의 절단(cut) 준비를 위해 출측라인을 절단기 스트립의 절단 가능속도로 감속시키고 스트립 지지롤(7,8,9,10,11)을 클로즈한다. 그리고, 단계(S512)에서는 스트립 절단 지점이 절단기에 도착되면 절단기 절단 동작을 수행한다. 그 다음, 단계(S513-S515)에서는 절단기 라스트(Last) 절단후 스트립의 진행거리를 초기화(리셋)하고 스트립 선단부의 초기 권취를 시작한다. 그 다음, 단계(S516)에서는 스트립의 거리계측에 기초해서 스트립 선단부의 진행거리를 계측하는데, 여기서, 상기 스트립 선단부 진행거리를 계측은 "거리계측센서 신호수 변화량(△L) x 계측센서 인크리멘트"로 구해질 수 있다.
그 다음, 단계(S517,S518)에서는 제1 권취기(3) 또는 제2 권취기(4)가 선택되면, 제1 권취기 스트립 검출센서(20-1)의 위치 스트립 도착시간 및 제2 권취기 스트립 검출센서(20-2)의 위치 스트립 도착시간 설정을 수행하는데, 이때, 상기 위치 스트립 도착시간 설정은 "절단기에서 스트립검출센서까지의 고정거리 - 스트립 진행거리"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 다음, 단계(S519)에서는 스트립 검출센서의 동작신호와 스트립 이동거리를 비교하여 설정된 시간내에 스트립의 도착여부를 판정하는데, 즉 이 단계에서는 스트립 검출센서 동작신호와 스트립 이동거리를 비교하여 설정(+ 시간:여유시간 )된 시간내에 스트립 미 도착시는 단계(S520)에서 스트립 진행장애 판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 다음, 단계(S520,S521)에서는 설정된 시간내에 스트립 미도착시는 스트립 진행장애를 판정하고, 설정 시간내에 스트립 도착시에는 스트립 초기권취 정상으로 판정한다.
도 7은 도 5의 스트립 굴곡부 교정 제어과정을 보이는 플로우챠트로서, 도 7을 참조하여 도 5의 스트립 굴곡부 교정 제어 단계(S54)에 대해서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단계(S541,S542)에서는 신호 입력부를 통한 굴곡부 교정 상부 롤(15-10)의 간격 설정 데이터와, 간격 조정 모터 회전량 검출신호 발생기(15-6)에서 검출된 현재 간격 피드백(feed back)치를 비교한다. 그리고, 상기 간격 설정 데이터는 "스트립 두께"보다 크게 설정될 수 있다. 그 다음, 단계(S543)에서는 상기 설정 데이터 보다 현재의 피드백치가 크게 되면 상부 롤 간격조정 모터(15-5)를 구동시켜 하강 제어를 실행하고, 현재의 피드백치 보다 설정 데이터가 크게 되면 상부 롤 간격 조정 모터를 구동시켜 상승 제어를 실행한다.
그 다음, 단계(S544-S548)에서는 상기 간격조정 피드백치와 설정 데이터가 일치(허용오차 1mm)하면, 상부 롤 간격 조정 모터의 제어를 정지시키고, 간격조정 제어 완료 신호에 따라 에어 밸브(15-11)의 하강측 포트(port)를 온(on)시키고, 고정 프레임(15-15)에 부착된 에어 실린더(15-12)를 하강 작동시켜 굴곡부 교정 상부 롤(15-10) 전체를 하부로 이동시킨다.
그 다음, 단계(S549-S551)에서는 라인구동 모터 제어부(80)의 라인 전후진 지령에 의해 굴곡부 교정 롤 구동 모터(15-1)의 전후진 제어를 수행하고, 스트립 선단부 초기권취 완료 신호가 수신되면 굴곡부 교정 롤 구동 모터를 정지시켜 교정 제어를 완료한다. 즉, 이 단계에서는 굴곡부 교정 롤은 자동으로 스트립과 밀착되며 라인구동 모터 제어부(80)의 라인 전후진 지령에 의해 굴곡부 교정 롤 구동 모터(15-1)는 전후진 제어가 이루어지면서 스트립 진행장애 부분의 굴곡은 교정(곧게 바로 잡힘)이 이루어지게 되고 스트립 선단부 초기권취 완료 신호가 스트립 진행장애 제거 제어부(90)로부터 수신되면 굴곡부 교정 롤 구동 모터는 정지되어 교정 제어는 완료된다.
그 다음, 단계(S551,S552)에서는 에어 밸브의 상승측 포트를 온시켜 에어 실린더를 상승 작동시키고 굴곡부 교정 상부 롤(15-10) 전체를 상부 방향으로 움직이게 하여 스트립과 교정 롤을 분리시켜 제어를 종료한다. 즉, 이 단계에서는 에어 밸브는 상승측 포트가 온이되어 에어 실린더는 상승작동이 이루어져 굴곡부 교정 상부 롤(15-10) 전체를 상부 방향으로 움직이게 되며 스트립과 교정 롤은 분리되고 제어는 종료되며 출측 라인은 정상적인 생산이 이루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압연공정 연속소둔 라인의 작업중 연속라인의 스트립(strip) 절단 후, 또는 선후행 스트립의 연결을 위한 용접부 절단후, 후행재 스트립의 선단부가 권취기로 진행되는 과정에서, 스트립 진행중 걸림등의 영향으로 스트립의 선단부에 발생되던 굴곡(loop)을 자동적으로 방지하도록 함으로서, 스트립 진행장애를 제거할 수 있고, 조치시간 지연으로 인한 중앙 라인의 스톱(stop)을 방지할 수 있으며, 자동으로 진행장애가 조치되는 연속라인의 생산 휴지를 예방하여 생산성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한 설명에 불과하고, 본 발명은 이러한 구체적인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또한, 본 발명에 대한 상술한 구체적인 실시 예로부터 그 구성의 다양한 변경 및 개조가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쉽게 알 수 있다.

Claims (3)

  1. 압연공정 연속 소둔라인의 최종제품 생산시, 스트립 절단후의 스트립 선단부를 권취기에 진행시키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스트립의 진행장애를 제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스트립 선단부의 초기 권취중, 스트립의 진행거리에 기초해서 스트립의 진행장애를 판정하는 단계(S51);
    스트립의 진행장애 판정시, 출측라인 급속 정지(48mpm/sec감속)제어를 행하여 출측라인이 정지되면, 이때 까지의 스트립의 진행 거리를 계산하여 기억(memory)하는 단계(S52,S53);
    스트립 굴곡부의 교정 제어를 실행하여 스트립 굴곡부 교정 롤과 스트립을 밀착시키는 단계(S54);
    출측 라인을 1차 후진 속도로 후진 제어하고 후진 감속 판정되면 출측라인의 후진 감속 속도를 2차 후진 속도로 후진 제어하고, 출측라인의 후진 정지 판정시는 출측라인의 후진을 정지시키는 단계(S55-S59);
    스트립 절단 매수 및 라인 개시 지령이 수신되면 사전에 설정된 출측 라인의 속도로 동작개시를 수행하고, 설정된 절단 매수 만큼 진행장애 스트립의 절단을 수행하는 단계(S60-S62); 및
    설정 매수의 연속절단 완료 신호가 수신되면 스트립 선단부의 초기권취를 개시하여 출측 라인을 정상적으로 가동시키는 단계(S63,S64)
    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권취 스트립 진행장애 제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립 진행장애 판정 단계(S51)는
    스트립의 절단(cut) 준비를 위해 출측라인을 절단기 스트립의 절단 가능속도로 감속시키고 스트립 지지롤(7,8,9,10,11)을 클로즈하는 단계(S511);
    스트립 절단 지점이 절단기에 도착되면 절단기 절단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S512);
    절단기 라스트(Last) 절단후 스트립의 진행거리를 초기화(리셋)하고 스트립 선단부의 초기 권취를 시작하는 단계(S513-S515);
    스트립의 거리계측에 기초해서 스트립 선단부의 진행거리를 계측하는 단계(S516);
    제1 권취기(3) 또는 제2 권취기(4)가 선택되면, 제1 권취기 스트립 검출센서(20-1)의 위치 스트립 도착시간 및 제2 권취기 스트립 검출센서(20-2)의 위치 스트립 도착시간 설정을 수행하는 단계(S517,S518);
    스트립 검출센서의 동작신호와 스트립 이동거리를 비교하여 설정된 시간내에 스트립의 도착여부를 판정하는 단계(S519); 및
    설정된 시간내에 스트립 미도착시는 스트립 진행장애를 판정하고, 설정 시간내에 스트립 도착시에는 스트립 초기권취 정상으로 판정하는 단계(S520,S521)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취 스트립 진행장애 제거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립 굴곡부 교정 롤과 스트립을 밀착시키는 단계(S54)는,
    신호 입력부를 통한 굴곡부 교정 상부 롤(15-10)의 간격 설정 데이터와, 간격 조정 모터 회전량 검출신호 발생기(15-6)에서 검출된 현재 간격 피드백(feed back)치를 비교하는 단계(S541,S542);
    상기 설정 데이터 보다 현재의 피드백치가 크게 되면 상부 롤 간격조정 모터(15-5)를 구동시켜 하강 제어를 실행하고, 현재의 피드백치 보다 설정 데이터가 크게 되면 상부 롤 간격 조정 모터를 구동시켜 상승 제어를 실행하는 단계(S543);
    상기 간격조정 피드백치와 설정 데이터가 일치하면, 상부 롤 간격 조정 모터의 제어를 정지시키고, 간격조정 제어 완료 신호에 따라 에어 밸브(15-11)의 하강측 포트(port)를 온(on)시키고, 고정 프레임(15-15)에 부착된 에어 실린더(15-12)를 하강 작동시켜 굴곡부 교정 상부 롤(15-10) 전체를 하부로 이동시키는 단계(S544-S548);
    라인구동 모터 제어부(80)의 라인 전후진 지령에 의해 굴곡부 교정 롤 구동 모터(15-1)의 전후진 제어를 수행하고, 스트립 선단부 초기권취 완료 신호가 수신되면 굴곡부 교정 롤 구동 모터를 정지시켜 교정 제어를 완료하는 단계(S549-S551); 및
    에어 밸브의 상승측 포트를 온시켜 에어 실린더를 상승 작동시키고 굴곡부 교정 상부 롤(15-10) 전체를 상부 방향으로 움직이게 하여 스트립과 교정 롤을 분리시켜 제어를 종료하는 단계(S551,S552)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취 스트립 진행장애 제거 방법.
KR1020020077855A 2002-12-09 2002-12-09 권취 스트립 진행장애 제거 방법 KR1009288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7855A KR100928810B1 (ko) 2002-12-09 2002-12-09 권취 스트립 진행장애 제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7855A KR100928810B1 (ko) 2002-12-09 2002-12-09 권취 스트립 진행장애 제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0196A KR20040050196A (ko) 2004-06-16
KR100928810B1 true KR100928810B1 (ko) 2009-11-25

Family

ID=373444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7855A KR100928810B1 (ko) 2002-12-09 2002-12-09 권취 스트립 진행장애 제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881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4127B1 (ko) * 2007-11-30 2009-06-24 현대제철 주식회사 코일걸림으로 인한 열연공정 중단 시 코일제거 방법 및이에 사용되는 코일절단장치
CN115401077B (zh) * 2022-08-19 2024-05-28 日照钢铁控股集团有限公司 后滑速度控制方法、装置、介质、设备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78432A (ja) * 1993-12-22 1995-07-18 Nippon Steel Corp 熱間圧延における板頭部の曲がり制御方法
JPH0985315A (ja) * 1995-09-27 1997-03-31 Kawasaki Steel Corp 鋼帯コイルの品質判定方法及び装置
JPH09253728A (ja) * 1996-03-22 1997-09-30 Kawasaki Steel Corp 帯状材の通板制御方法
JPH11197741A (ja) * 1998-01-19 1999-07-27 Kawasaki Steel Corp 金属帯の巻き取り方法
KR20010011177A (ko) * 1999-07-26 2001-02-15 이구택 열간 스트립 선단부의 상향휨 교정장치및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78432A (ja) * 1993-12-22 1995-07-18 Nippon Steel Corp 熱間圧延における板頭部の曲がり制御方法
JPH0985315A (ja) * 1995-09-27 1997-03-31 Kawasaki Steel Corp 鋼帯コイルの品質判定方法及び装置
JPH09253728A (ja) * 1996-03-22 1997-09-30 Kawasaki Steel Corp 帯状材の通板制御方法
JPH11197741A (ja) * 1998-01-19 1999-07-27 Kawasaki Steel Corp 金属帯の巻き取り方法
KR20010011177A (ko) * 1999-07-26 2001-02-15 이구택 열간 스트립 선단부의 상향휨 교정장치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0196A (ko) 2004-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48790C2 (ru) Способ работы для ввода прокатываемого материала в прокатную клеть прокатного стана, управля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носитель данных и прокатный стан для прокатки прокатываемого материала в форме полосы
JPH08267163A (ja) 線材矯正計尺切断装置
DE502007002018D1 (de) Bandanlage zum Geraderichten von zu Coils aufgewickeltem Bandmaterial und zur Einführung desselben in eine Weiterverarbeitungsmaschine
KR100928810B1 (ko) 권취 스트립 진행장애 제거 방법
JP4736752B2 (ja) 熱延ダウンコイラーの段差回避制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CN101405094A (zh) 连续冷压延装置
JP4585628B2 (ja) 鋼板ストリップの圧延方法及び鋼板の製造方法
US6637086B2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automatic bow adjustment
JP4846620B2 (ja) トリム屑細分化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CN112191693A (zh) 一种冷轧薄板处理线开卷机带尾切废的方法
KR100711409B1 (ko) 열연 스트립의 권취속도 제어장치
JPH083413B2 (ja) 帯状加工品の連続不良検出修正装置
KR100760568B1 (ko) 스트립의 권취위치 조정장치
KR100953621B1 (ko) 연속 열간 사상압연기의 사상압연방법
KR100832986B1 (ko) 사이드트리머의 자동 폭 조정 방법
JPS5819749B2 (ja) 酸洗制御方法
KR100411281B1 (ko) 압연스트립의 가이드 위치 제어장치및 방법
JP2002079312A (ja) スリッタラインにおけるループ量制御方法
JPH0911035A (ja) 帯鋸盤
JP3064068B2 (ja) 条材巻取方法及びその装置
JP2007152411A (ja) 鋼帯への張力付与時の張力衝撃緩衝方法および装置
JP4720643B2 (ja) 連続式鋼板処理設備の制御方法
JP2000158227A (ja) 金属帯のサイドトリミング方法および連続焼鈍設備
JPH0938724A (ja) コイル巻取装置
KR20010060713A (ko) 조압연기에서의 사이드가이드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