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8419B1 - 직선유로를 가진 글로브밸브 - Google Patents

직선유로를 가진 글로브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8419B1
KR100928419B1 KR1020070089392A KR20070089392A KR100928419B1 KR 100928419 B1 KR100928419 B1 KR 100928419B1 KR 1020070089392 A KR1020070089392 A KR 1020070089392A KR 20070089392 A KR20070089392 A KR 20070089392A KR 100928419 B1 KR100928419 B1 KR 1009284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im
flow path
housing
fluid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93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24395A (ko
Inventor
이명상
Original Assignee
이명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명상 filed Critical 이명상
Priority to KR10200700893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8419B1/ko
Publication of KR200900243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43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84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84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02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screw-spindle
    • F16K1/06Special arrangements for improving the flow, e.g. special shape of passages or casings
    • F16K1/08Special arrangements for improving the flow, e.g. special shape of passages or casings in which the spindle is perpendicular to the general direction of flo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32Details
    • F16K1/34Cutting-off parts, e.g. valve members, sea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32Details
    • F16K1/52Means for additional adjustment of the rate of flo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Valves (AREA)
  • Lift Valv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직선유로를 가진 글로브 밸브에 관한 것으로, 좌우 대칭으로 형성되고, 타측에 시트(110)가 형성되며, 내부에 직선유로가 형성되어 유체가 직선이동되도록 관에 연결설치되는 밸브본체하우징(100)과; 상기 밸브본체하우징(100)의 내측에 일정 간격을 두고 연장고정되어 일체로 형성되고, 유체가 직선상으로 지날 수 있도록 마련된 트림 하우징(200)과; 상기 밸브본체하우징(100)의 외부로부터 트림 하우징(200) 내측 중앙의 수직방향으로 연장설치되고, 원호상의 일정각도(θ)상에서의 왕복회전에 따라 유체를 제어하도록 크랭크아암(310)이 구비된 구동축(300)과; 일측으로 상기 트림 하우징(200)에 결합되어 링크아암(440)에 의해 상기 크랭크아암(310)과 결합되고, 타측으로 직진성을 가지며 시트(110)가 구비된 유로가 개폐되도록 플러그(410)가 구비된 트림(400)과; 상기 밸브본체하우징(100) 상부에 연장된 구동축(300)의 타단부에 결합되고, 구동축(300)을 정역회전시킴으로써, 관 내부에 흐르는 유체의 유량을 제어할 수 있도록 된 액츄에이터(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선유로를 가진 글로브 밸브에 관한 것이다.
글로브 밸브, 트림, 직선유로, 유체, 액츄에이터.

Description

직선유로를 가진 글로브밸브{Globe valve with straight flow path}
본 발명은 직선유로를 가진 글로브 밸브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직선유로를 가진 본체하우징 내부에 직선유로의 수평상에서 유량제어가 우수하도록 트림하우징이 구비되고, 트림하우징에 결합된 트림의 이격조정에 따라 유로에 흐르는 유량의 제어가 용이하도록 형성되며, 더불어 트림의 이격조정시 링크에 의해 좌우무게균형과 직진성이 우수하도록 하여 유체의 흐름시 진동 및 소음의 저감과 함께 유량제어가 우수하고, 생산비용의 저감과 함께 더욱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한 직선유로를 가진 글로브 밸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글로브 밸브(Globe Valve)는 스톱밸브(Stop Valve)의 한 종류로 이러한 스톱밸브를 간략히 설명하면 밸브디스크가 밸브대에 의하여 플러그에 직각방향으로 작동되어 유량이 제어되는 밸브를 말한다. 따라서, 글로브 밸브는 일반적으로 구형태의 밸브몸통을 가지며, 유체의 유입구와 유출구가 일직선상에 있고 유체의 흐름이 "S" 모양으로 흐르게 되는 밸브이다. 특히 이러한 종래의 글로브 밸브는 고압의 유체가 흐르는 관로상에 설치되어 그 유로를 개폐하여 유량제어의 목적 으로 현재 가장 많이 채택하고 있는 밸브형식이다. 또한, 글로브 밸브는 볼 밸브, 버터플라이 밸브 등과 비교하면 상대적으로 매우 높은 유체흐름 저항을 갖고 있기 때문에 유량제어에서의 문제인 저 유량 제어시 또는 저 개도 운전시의 케비테이션이나 소음문제에 대하여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밸브이다.
이러한 특징의 종래 글로브 밸브(10)는 도 1에 도시된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구(11)와 유출구(12)가 일직선상에 위치되고, 상기 유입구(11)와 유출구(12) 사이의 중앙측에 해당되는 내벽면으로부터 격벽(13)이 형성되며, 상기 격벽(13)상에는 밸브의 디스크(14)가 안착되는 디스크시트(15)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디스크시트(15)에는 밸브축(16)이 디스크시트(15)에 대하여 직각으로 설치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글로브 밸브(10)는 디스크시트(15)가 형성되는 격벽(13)에 의하여 내부의 유로가 "S"자 형태로 형성되기 때문에, 유체의 흐름과정에서 상기 입구(11)측으로부터 유입되는 유체의 일부가 격벽(13)에 부딪히게 되어 강한 와류가 형성되는 한편, 상기 격벽(13)의 뒷쪽에 배압공간이 형성되므로 전체적으로 볼 때 유체의 흐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진동과 소음이 심하게 발생될 뿐만 아니라 글로브 밸브(10) 자체의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종래의 글로브밸브(10)에서는 유로를 차단하기 위하여 밸브 축(16)을 회전시켜 디스크(14)를 하강시키면, 디스크(14)의 하부측에 작용하는 유체의 압력이 커지기 때문에 디스크(14)의 개폐동작에 무리가 따르게 되고, 디스크시트(15)에 접촉되는 디스크(14)가 큰 힘에 의해 조여지는 경우가 많아 이에 따른 디스크(14)나 디스크 시트(15)의 파손으로 인한 유체가 누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한 것으로, 직선유로를 가진 본체하우징 내부에 직선유로의 수평상에서 유량제어가 우수하도록 트림하우징이 구비되고, 트림하우징에 결합된 트림의 이격조정에 따라 유로에 흐르는 유량의 제어가 용이하도록 형성된 직선유로를 가진 글로브 밸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트림하우징에 결합된 트림의 이격조정시 링크에 의해 좌우무게균형과 직진성이 우수하도록 하여 유체의 흐름시 진동 및 소음의 저감과 함께 유량제어가 우수하고, 생산비용의 저감과 함께 더욱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한 직선유로를 가진 글로브 밸브를 제공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유량의 제어시, 시트와 접하여 유로의 개폐를 차단하는 플러그에 씰링부재 및 경사단을 형성하여 더욱 밀폐력이 우수하도록 함으로써, 유량제어에 탁월한 직선유로를 가진 글로브 밸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직선유로를 가진 글로브 밸브는 좌우 대칭으로 형성되고, 타측에 시트(110)가 형성되며, 내부에 직 선유로가 형성되어 유체가 직선이동되도록 관에 연결설치되는 밸브본체하우징(100)과; 상기 밸브본체하우징(100)의 내측에 일정 간격을 두고 연장고정되어 일체로 형성되고, 유체가 직선상으로 지날 수 있도록 마련된 트림 하우징(200)과; 상기 밸브본체하우징(100)의 외부로부터 트림 하우징(200) 내측 중앙의 수직방향으로 연장설치되고, 원호상의 일정각도(θ)상에서의 왕복회전에 따라 유체를 제어하도록 크랭크아암(310)이 구비된 구동축(300)과; 일측으로 상기 트림 하우징(200)에 결합되어 링크아암(440)에 의해 상기 크랭크아암(310)과 결합되고, 타측으로 직진성을 가지며 시트(110)가 구비된 유로가 개폐되도록 플러그(410)가 구비된 트림(400)과; 상기 밸브본체하우징(100) 상부에 연장된 구동축(300)의 타단부에 결합되고, 구동축(300)을 정역회전시킴으로써, 관 내부에 흐르는 유체의 유량을 제어할 수 있도록 된 액츄에이터(5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트림 하우징(200)은 중공부가 형성되어 일측으로 유체의 흐름이 원활하도록 유선형으로 형성되고, 타측으로 개방된 개방단부(212)가 형성된 트림 하우징 본체(210)와; 상기 트림 하우징 본체 내부 일측으로 트림이 직진성을 부여받아 시트(110)측으로 안내되도록 구비된 가이드 바(220)와; 상기 개방단부(212)에 기밀을 유지하여 결합되고, 트림(400)이 시트(110)측으로 기밀을 유지한 상태로 왕복운동하도록 슬라이드공(232)이 형성된 트림가이드 커버(230);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트림(400)은 타측으로 중앙에 복수의 볼트공(412)이 형성되고, 직선유로의 시트(110)가 개폐되도록 원호상의 일정곡률을 가진 플러그(410)와; 직사각형상으로 형성되어 내측 중앙에 장공(422)이 관통구비되고, 일측 단부로 가이드 바(220)가 결합되는 가이드통공(424)이 장공(422) 내측으로 관통형성되며, 일측 일면에 링크결합공(426)이 형성되고, 타측으로 플러그(410)가 볼트결합되는 슬라이드 연결바(428)가 구비된 무빙가이더부(420)와; 상기 무빙가이더부(420)의 링크결합공(426)과 상기 크랭크아암(310) 사이에 핀연결되고, 무빙가이더부(420)가 직진성을 가지며 왕복운동되도록 구비된 링크아암(440);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무빙가이더부(420)의 링크결합공(426)에는 링크아암(440)의 결합시, 직선상의 왕복운동에 따른 진동, 소음을 방지하기 위한 무게의 평형을 유지하기 위하여 내측 중앙에 형성된 장공(422)의 길이방향의 수평중심선상의 링크결합공(426)측 외측이 개방되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구동축(300)에 구비된 크랭크아암(310)의 원호상의 왕복회전에 따라 유체가 제어되는 일정각도(θ)는 90°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플러그(410)는 반구형의 원호상의 면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면곡률 일면 둘레로 씰링홈(413')이 형성되며, 상기 씰링홈(413')에 결합되어 유로의 시트(110)에 접하는 씰링부재(414')가 구비되고, 상기 씰링부 재(414') 일측으로 유로의 시트(110)에 접지되어 밀폐되도록 경사단(416')이 형성되어도 좋다.
본 발명은 직선유로를 가진 본체하우징 내부에 직선유로의 수평상에서 유량제어가 우수하도록 트림하우징이 구비되고, 트림하우징에 결합된 트림의 이격조정에 따라 유로에 흐르는 유량의 제어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트림하우징에 결한된 트림의 이격조정시 링크에 의해 좌우무게균형과 직진성이 우수하도록 하여 유체의 흐름시 진동 및 소음의 저감과 함께 유량제어가 우수하고, 생산비용의 저감과 함게 더욱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유량의 제어시, 시트와 접하여 유로의 개폐를 차단하는 플러그에 씰링부재 및 경사단을 형성하여 더욱 밀폐력이 우수하도록 함으로써, 유량제어에 탁월한 장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한 효과를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직선유로를 가진 글로브 밸브의 실시예를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직선유로를 가진 글로브 밸브의 전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직선유로를 가진 글로브 밸브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직선유로를 가진 글로브 밸브의 측면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직선유로를 가진 글로브 밸브의 평면 단면도이며,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에 따른 직선유로를 가진 글로브 밸브의 작동관계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직선유로를 가진 글로브 밸브의 트림의 타실시예시도이다.
도 2 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직선유로를 가진 글로브밸브는 밸브본체하우징(100), 트림 하우징(200), 구동축(300), 트림(400), 액츄에이터(500) 등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밸브본체하우징(100)은 일반적인 밸브와 동일한 유입구와 유출구가 형성되되, 그 내부의 유로가 직선상으로 형성되어 좌우 대칭으로 구비된다. 그리고, 유출구측의 타측으로 유량이 제어되도록 시트(110)가 형성된다. 한편, 밸브본체하우징(100)의 외측에는 후술되는 구동축(300)과 액츄에이터(500) 등이 결합되는 일반적 유체 제어밸브와 동일하게 형성되어 본 발명의 구성을 명확히 하기 위해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트림 하우징(200)은 밸브본체하우징(100)의 내측에 일정 간격을 두고 연장고정되어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유체가 밸브본체하우징(100)의 직선유로를 흐를 때 직선상으로 원활하게 흐를 수 있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트림 하우징(200) 트림하우징 본체(210), 가이드 바(220), 트림가이드 커버(230)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트림하우징 본체(210)는 본체하우징 내부에 위치되되, 일측이 직진하여 흐르는 유체의 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해 유선형으로 형성되고, 그 내부에 중공부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또한, 타측으로는 후술되는 트림가이드 커버(230)에 의해 기밀을 유지하여 결합되도록 개방단부(212)가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 바(220)은 전술한 트림하우징 본체(210)의 유선형상의 내부 중공부측 일측에 마련된다. 여기서, 가이드 바(220)는 후술되는 트림(400)이 시트(110)측의 밀폐력이 우수하도록 직진성을 부여받아 안내되도록 마련된다.
상기 트림가이드 커버(230)는 전술한 트림하우징 본체(210)의 타측으로 개방된 개방단부(212)에 기밀을 유지하여 결합되도록 일측이 원판형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타측이 원통형상으로 돌출되어 그 내측에 후술되는 트림(400)이 시트(110)측으로 기밀을 유지한 상태에서 왕복운동되도록 슬라이드공(232)이 형성된다. 여기서, 트림하우징 본체(210)의 내부 중공부에 유체가 유입되지 않도록 기밀의 유지는 통상의 실링부재에 의해 실링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구동축(30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본체하우징(100)의 외부로부터 트림 하우징(200) 내측 중앙의 수직방향으로 연장설치된다. 그리고, 트림하우징(200) 내측으로 연장된 구동축(300)의 일측에 크랭크아암(310)이 결합된 다. 여기서, 구동축의 회전은 후술되는 액츄에이터에 의해 작동되고, 수직에서 바라본 원호상의 일정각도(θ)상에서의 액츄에이터가 왕복회전에 따라 구동축을 제어한다. 나아가, 구동축에 결합된 크랭크아암(310)도 구동축과 동일한 일정각도(θ)상의 궤적상에서 왕복운동하게 된다. 한편, 상기 구동축(300)에 구비된 크랭크아암(310)의 원호상의 왕복회전에 따라 유체가 제어되는 일정각도(θ)는 90°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트림(40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림 하우징(200)에 결합되어 밸브본체하우징(100)의 타측에 구비된 시트(110)를 개폐하도록 구비되되, 플러그(410), 무빙가이더부(420), 연결바(430), 링크아암(440) 등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플러그(410)는 밸브본체하우징(100)의 유로를 차단 및 해제를 통해 유체의 흐름이 제어토록 형성된다. 그리고, 중앙에 복수의 볼트공(412)이 형성된다. 또한, 밸브본체하우징(100)의 직선유로의 타측에 구비된 시트(110)가 개폐되도록 원호상의 일정곡률을 가진다.
한편, 도 7의 플러그의 타실시 예시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는 밸브본체하우징(100)에 형성된 씨트(110) 접하여 유체의 흐름을 더욱더 효과적으로 제어될 수 있도록 플러그(410)의 반구상 원호의 면곡률 일면 둘레로 씰링홈(413')이 형성되어 씰링홈(413')에 씰링부재(414')가 결합된다. 즉, 유체 흐름의 제어가 단순히 플러그(410)의 시트(110)상의 메탈면접촉으로만 제어되는 것이 아니라, 플 러그(410) 상에 씰링부재(414')를 결합함으로써, 씰링부재(414')와 시트(110)가 서로 긴밀하게 밀폐력이 더욱 효과적으로 작동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타실시예의 플러그(410)는 전술한 씰링부재(414')에 의한 기밀성의 증대를 더욱 향상시키기 위해 밸브본체하우징(100)에 구비된 시트(110)에 접하도록 씰링부재(414') 일측으로 경사단(416')이 형성된다. 따라서, 씰링부재(414')와 함께 경사단(416')이 시트(110)에 메탈면 접촉을 통해 유체흐름의 제어에 따른 유로의 차단의 제어력이 더욱 밀폐가 우수하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즉, 앞서말한 씰링부재(414')와 플러그의 경사단(416')에 의해 이중의 기밀유지를 함으로써, 보다 탁월한 유체의 제어가 가능한 것이다.
여기서, 씰링부재(414')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으로 형성되되, 내열성, 수준강인성, 내충격성, 난연성, 내산성 및 내 알카라성이 뛰어나며, 내마모, 내피로성이 우수한 폴리에텔에텔케톤(Poly ether-ether-ketone ; PEEK)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무빙가이더부(420)는 직사각형상으로 형성되어 내측 중앙에 장공(422)이 관통구비된다. 여기서, 장공은 트림 하우징(200) 내부에 구비된 가이드 바(220)가 위치되는 것으로, 가이드 바(220)의 길이 보다 길거나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무빙가이더부(420)의 일측 단부에는 트림 하우징(200)에 구비된 가이드 바(220)가 결합되어 슬라이딩되는 가이드통공(424)이 장공(422) 내측으로 관통형성된다. 또한, 일측 일면에는 링크결합공(426)이 형성되어 후술되는 링크아암(440)의 일측이 결합되고, 타측으로 연결바(428)가 구비되어 전술한 플러그(410,410')가 결합된다.
한편, 무빙가이더부(420)의 링크결합공(426)에는 후술되는 링크아암(440)이 결합시, 직선상의 왕복운동에 따른 진동, 소음을 방지하기 위한 무게의 평형을 유지하기 위하여 내측 중앙에 형성된 장공(422)의 길이방향의 수평중심선상의 링크결합공(426)측 외측이 개방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연결바(428)는 타측으로 플러그(410)의 중앙에 복수로 형성된 볼트공(412)을 통해 볼트가 연결바(430)의 타측에 결합됨으로써, 전술한 플러그(410)와 무빙가이더부(420)가 연결바(428)에 의해 결합된다. 여기서, 연결바(428)는 전술한 트림가이드 커버(230)의 슬라이드공(232) 내에서 크랭크아암(310)의 일정각도(θ)의 왕복회전되는 이격거리에 따라 직진성을 가지며 왕복운동되는 것이다.
상기 링크아암(440)은 전술한 무빙가이더부(420)의 링크결합공(426)에 일측이 핀결합되고, 타측이 크랭크아암(310)에 핀결합되어 연결된다. 여기서, 구동축(300)의 왕복회전에 따라 크랭크아암(310)이 왕복회전되고, 크랭크아암(310)에 연결된 링크아암(440)이 직진성을 가지며 직선왕복운동을 하게된다. 이때, 링크아암(440)의 직선왕복운동에 의해 링크아암(440)의 일측에 결합된 무빙가이더부(420)가 직선상의 왕복운동을 하게된다. 따라서, 무빙가이더부(420)가 연결바(430)에 의해 플러그(410)에 연결되어 있어 플러그(410)이 직진성을 가지며 시트(110)측으로 직선상의 왕복운동을 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무빙가이더부(420), 연결바(428), 플러그(410) 및 트림 하우징(200)의 가이드 바(220)는 유로의 수평 중심선상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액츄에이터(5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체를 제어하는 밸브에 구비되는 통상의 것으로 본 발명의 직선유로를 가진 글로브밸브의 밸브본체하우징(100)의 외측으로 돌출된 구동축(300)의 일단부에 결합되어 구동축(300)이 일정각도(θ)로 왕복회전토록 구비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직선유로를 가진 글로브 밸브의 작용 및 효과를 실시예를 통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6a 내지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직선유로를 가진 글로브 밸브는 밸브본체하우징(100) 내부에 트림하우징(200)이 구비되어 직선유로가 형성되는 구조로되어 있다. 이와 같이, 밸브본체하우징(100)에 수평의 직선유로가 형성되고, 좌우 대칭되도록 형성됨으로써, 밸브본체하우징(100) 내부에 정압을 받지 않 도록 되어있다. 또한, 밸브본체하우징(100)의 직선유로 타측의 시트(110)측의 개폐가 구동축(300)에 의해 일정각도(θ)로 왕복회동함으로써, 트림하우징(200) 내측으로 연장된 구동축(300)의 일측에 구비된 크랭크아암(310)이 일정각도(θ)로 왕복회동하는 구동축(300)과 동일한 궤적상에서 운동하게 된다.
따라서, 크랭크아암(310)과 트림(400)의 무빙가이더부(420)에 핀결합된 링크아암(440)이 구동축(300)의 동일한 궤적상에서 크랭크아암(310)의 원호상의 왕복운동을 직선상의 왕복운동으로 변환되어 트림(400)의 무빙가이더부(420)가 직선왕복운동을 하게 된다. 이때, 크랭크아암(310)의 일정각도(θ)상에서의 원호상의 운동시, 크랭크아암(310)의 구동축(310)의 중심축선상에서 원호상의 궤적에 따라 편심되어 트림(400)의 무빙가이더부(420)가 직진성을 잃고 일측으로 편심되는 것을 트림하우징(200) 내부에 구비된 가이드바(220)가 무빙가이더부(420)의 일측단에 장공(422)측으로 연통된 가이드통공(424)과 결합되어 있어 무빙가이더부(420)가 직진성을 잃지 않고 수평상으로 왕복운동하도록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동축(300)에 의해 크랭크아암(310)이 작동되어 링크아암(440)으로 구동력이 전달됨으로써, 트림(400)이 직진성을 유지한 상태로 직선왕복운동을 하게되되, 회전축(300)의 일단에 결합된 액튜에이터(500)의 작동으로 정역회전됨으로써, 직선유로의 일측 시트(110)측을 개폐할 수 있는 것이며, 전술한 바와 같이, 클랭크아암(310)이 구동축(300)상에서 정역회동을 하면서 링크아 암(440)을 밀고 당겨 트림(400)의 무빙가이더부(420)를 전진 혹은 후진하게 되고, 이에 따라 트림(400)의 타측에 볼트결합된 일정곡률을 가진 플러그(410)가 전후진하여 시트(110)를 개폐하여 유체를 제어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그리고, 클랭크아암(310)의 왕복회동력을 무빙가이더부(420)가 직선운동력을 가지도록 전달하는 링크아암(440)이 결합되는 무빙가이더부(420)의 링크결합공(426)측 일측이 개방된 형태로 구성됨으로써, 무빙가이더부(420)의 무게가 어느 한쪽으로 편중되지 않고 직진성이 더욱 향상된 상태로 직선왕복운동을 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트림(400)은 무빙가이더부(420)의 타측에 형성된 연결바(428)는 트림가이트커버(230)의 슬라이드공(232)를 통해 트림하우징(200)의 외측의 플러그(410)의 볼트공(412)을 통해 볼트결합된다. 따라서, 전술한 구동축(300)에 의한 클랭크아암(310)이 작동되고, 클랭크아암(310)과 무빙가이더부(420)의 링크결합공(426)과 연결된 링크아암(440)에 의해 액츄에이터(500)에 의해 발생되는 동력이 전달되어 트림(400)의 무빙가이더부(420)가 직선운동하고, 무빙가이더부에 전술한 바와 같이 마련된 연결바(428) 타측의 플러그(410)가 직진성이 우수한 상태로 수평상 직선왕복운동을 하게 된다.
즉, 상기와 같이 트림(400)이 클랭크아암(310)과 링크아암(440)에 의해 직선왕복운동을 어느 한쪽으로 편중되지 않을 상태에서 정확히 시트(110)에 개폐되게된 다. 그러므로, 시트(110)에 플러그(410)이 정확한 수평상의 직진성을 가진상태로 개폐하게 됨으로써, 유량의 제어가 우수한 것이다. 더욱이, 플러그(410)가 일정곡률을 형성하여 유체에 저항성이 감소됨과 함께 전술한 크랭크아암(310)과 링크아암(440)에 의해 우수한 직진성을 가진 상태에서 플러그(410)가 시트(110)측으로 직선왕복운동을 하게 됨으로 글로브밸브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유체의 흐름과 압력변화에 따른 소음발생을 현저히 감소시키면서 정밀한 유량의 제어가 가능한 것이다.
그리고, 유체의 흐름의 제어시 정밀한 정량의 제어가 요구되기 위해서는 플러그(410)와 시트(110)의 기밀 유지력이 상당한 좌우를 하게되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410)의 반구상 원호의 면곡률 일면둘레에 씰링부재(414')를 더 구비함으로써, 플러그(410)와 시트(110)의 기밀유지가 더욱 우수하도록 형성될 뿐만 아니라, 씰링부재(414') 일측으로 시트(110)의 일면에 긴밀히 메탈면접촉될 수 있도록 일정각도로 경사단(416')이 형성되어 이중의 기밀이 가능하여 더욱더 정밀한 유량의 제어가 가능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직선유로를 가진 글로브 밸브는 좌우 대칭으로 형성되어 직선유로를 가진 밸브본체하우징(100)과 더불어 그 내부에 유선형의 트림하우징(200)이 일체로 자리 잡은 상태에서 유체가 이동하는 유로가 수평상태의 직선으로 형성됨으로써, 유체의 정압을 받지 않은 상태로 유체가 흐를 수 있다. 따라서, 이로 인해 글로브 밸브의 개폐 동작시에 큰 힘이 요구되지 않아 소용량의 액튜에이 터(500)로도 손쉽게 작동되어 공간효율을 높일 수 있다. 그리고, 밸브본체하우징(100) 내부 전체가 직선유로로 형성되어 있어 유체에 의한 유로 내의 적체나 침전이 방지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가지 변형이 가능함을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있어서, 그와 같은 변형은 청구 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글로브 밸브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직선유로를 가진 글로브 밸브의 전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직선유로를 가진 글로브 밸브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직선유로를 가진 글로브 밸브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직선유로를 가진 글로브 밸브의 평면 단면도이다.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에 따른 직선유로를 가진 글로브 밸브의 작동관계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직선유로를 가진 글로브 밸브의 트림의 타실시예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100 : 본체하우징 110 : 시트
200 : 트림하우징 210 : 트림하우징본체
212 : 개방단부 220 : 가이드바
230 : 트림가이드커버 232 : 슬라이드공
300 : 구동축 310 : 크랭크아암
400 : 트림 410,410' : 플러그
412 : 볼트공 414' : 씰링부재
416' : 경사단 420 : 무빙가이더부
422 : 장공 424 : 가이드통공
426 : 링크결합공 428 : 연결바
440 : 링크아암 500 : 액츄에이터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좌우 대칭으로 형성되고, 타측에 시트(110)가 형성되며, 내부에 직선유로가 형성되어 유체가 직선이동되도록 관에 연결설치되는 밸브본체하우징(100)과; 상기 밸브본체하우징(100)의 내측에 일정 간격을 두고 연장고정되어 일체로 형성되고, 유체가 직선상으로 지날 수 있도록 마련된 트림 하우징(200)과; 상기 밸브본체하우징(100)의 외부로부터 트림 하우징(200) 내측 중앙의 수직방향으로 연장설치되고, 원호상의 일정각도(θ)상에서의 왕복회전에 따라 유체를 제어하도록 크랭크아암(310)이 구비된 구동축(300)과; 일측으로 상기 트림 하우징(200)에 결합되어 링크아암(440)에 의해 상기 크랭크아암(310)과 결합되고, 타측으로 직진성을 가지며 시트(110)가 구비된 유로가 개폐되도록 플러그(410)가 구비된 트림(400)과; 상기 밸브본체하우징(100) 상부에 연장된 구동축(300)의 타단부에 결합되고, 구동축(300)을 정역회전시킴으로써, 관 내부에 흐르는 유체의 유량을 제어할 수 있도록 된 액츄에이터(500);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선유로를 가진 글로브밸브로서, 상기 트림 하우징(200)은 중공부가 형성되어 일측으로 유체의 흐름이 원활하도록 유선형으로 형성되고, 타측으로 개방된 개방단부(212)가 형성된 트림 하우징 본체(210)와; 상기 트림 하우징 본체 내부 일측으로 트림이 직진성을 부여받아 시트(110)측으로 안내되도록 구비된 가이드 바(220)와; 상기 개방단부(212)에 기밀을 유지하여 결합되고, 트림(400)이 시트(110)측으로 기밀을 유지한 상태로 왕복운동하도록 슬라이드공(232)이 형성된 트림가이드 커버(230);로 형성되고, 상기 구동축(300)에 구비된 크랭크아암(310)의 원호상의 왕복회전에 따라 유체가 제어되는 일정각도(θ)는 90°이며, 상기 플러그(410)는 반구형의 원호상의 면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면곡률 일면 둘레로 씰링홈(413')이 형성되며, 상기 씰링홈(413')에 결합되어 유로의 시트(110)에 접하는 씰링부재(414')가 구비되고, 상기 씰링부재(414') 일측으로 유로의 시트(110)에 접지되어 밀폐되도록 경사단(416')이 형성되되,
    상기 트림(400)은 타측으로 중앙에 복수의 볼트공(412)이 형성되고, 직선유로의 시트(110)가 개폐되도록 원호상의 일정곡률을 가진 플러그(410)와;
    직사각형상으로 형성되어 내측 중앙에 장공(422)이 관통구비되고, 일측 단부로 가이드 바(220)가 결합되는 가이드통공(424)이 장공(422) 내측으로 관통형성되며, 일측 일면에 링크결합공(426)이 형성되고, 타측으로 플러그(410)가 볼트결합되는 슬라이드 연결바(428)가 구비된 무빙가이더부(420)와;
    상기 무빙가이더부(420)의 링크결합공(426)과 상기 크랭크아암(310) 사이에 핀연결되고, 무빙가이더부(420)가 직진성을 가지며 왕복운동되도록 구비된 링크아암(440);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선유로를 가진 글로브밸브.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무빙가이더부(420)의 링크결합공(426)에는 링크아암(440)의 결합시, 직선상의 왕복운동에 따른 진동, 소음을 방지하기 위한 무게의 평형을 유지하기 위하여 내측 중앙에 형성된 장공(422)의 길이방향의 수평중심선상의 링크결합공(426)측 외측이 개방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선유로를 가진 글로브밸브.
  5. 삭제
  6. 삭제
KR1020070089392A 2007-09-04 2007-09-04 직선유로를 가진 글로브밸브 KR1009284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9392A KR100928419B1 (ko) 2007-09-04 2007-09-04 직선유로를 가진 글로브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9392A KR100928419B1 (ko) 2007-09-04 2007-09-04 직선유로를 가진 글로브밸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4395A KR20090024395A (ko) 2009-03-09
KR100928419B1 true KR100928419B1 (ko) 2009-11-24

Family

ID=406932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9392A KR100928419B1 (ko) 2007-09-04 2007-09-04 직선유로를 가진 글로브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841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1086B1 (ko) 2012-07-17 2014-05-29 이명상 조립식 고압유량제어밸브
KR20180041424A (ko) 2016-10-14 2018-04-24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직선형 글로브밸브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9375B1 (ko) * 2016-08-11 2018-07-18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직선형 글로브밸브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85827U (ko) * 1973-12-08 1975-07-22
JPH0718074U (ja) * 1993-09-02 1995-03-31 日興特殊バルブ株式会社 止水栓
KR200204753Y1 (ko) * 2000-06-21 2000-12-01 조승엽 유체 제어용 밸브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85827U (ko) * 1973-12-08 1975-07-22
JPH0718074U (ja) * 1993-09-02 1995-03-31 日興特殊バルブ株式会社 止水栓
KR200204753Y1 (ko) * 2000-06-21 2000-12-01 조승엽 유체 제어용 밸브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1086B1 (ko) 2012-07-17 2014-05-29 이명상 조립식 고압유량제어밸브
KR20180041424A (ko) 2016-10-14 2018-04-24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직선형 글로브밸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4395A (ko) 2009-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185812B (zh) 一种球阀
BRPI0400059B1 (pt) Conjunto de válvula sensível a pressão para uma câmara de compressão definida por uma camisa de cilindro
JP2017515055A (ja) 電子膨張弁
KR100928419B1 (ko) 직선유로를 가진 글로브밸브
CN105317906B (zh) 缓冲器
US11168714B2 (en) Oscillation cylinder arrangement
JP2023551847A (ja) 弁ニードル組立体、電子膨張弁及び冷却機器
CN103797288B (zh) 双稳态流体阀
KR102038096B1 (ko) 수두손실 저감형 글로브 밸브
CN106286892B (zh) 三通电磁阀
CN217927233U (zh) 电子膨胀阀及制冷设备
US9835264B2 (en) Diaphragm valve for vehicle
CN217431998U (zh) 一种花洒流量调节结构和花洒
KR101281158B1 (ko) 자성유체씰이 구비된 진자밸브
KR20100085880A (ko) 나비밸브 개폐장치
CN106286893B (zh) 三通电磁阀
CN112128408B (zh) 流体管理组件
CN106286894B (zh) 三通电磁阀
KR200492421Y1 (ko) 공압 액추에이터와 연동하는 다이어프램을 이용한 밸브 개폐장치
CN209309446U (zh) 一种混合对冲式流量调节阀
CN114439606B (zh) 一种发动机的进气机构及发动机
CN215890649U (zh) 一种液压单向阀
US8356617B2 (en) Poppet valve with dual flow area gain
CN218625492U (zh) 一种三通球阀
WO2018143426A1 (ja) 液体供給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