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7588B1 -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7588B1
KR100927588B1 KR1020080043361A KR20080043361A KR100927588B1 KR 100927588 B1 KR100927588 B1 KR 100927588B1 KR 1020080043361 A KR1020080043361 A KR 1020080043361A KR 20080043361 A KR20080043361 A KR 20080043361A KR 100927588 B1 KR100927588 B1 KR 1009275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cover
flat panel
display device
panel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33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17354A (ko
Inventor
장승욱
김성진
이동규
Original Assignee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433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7588B1/ko
Priority to US12/437,888 priority patent/US8136953B2/en
Publication of KR200901173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73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75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75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4Prisms
    • G02B5/045Prism array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207/00Coding scheme for general features or characteristics of optical elements and systems of subclass G02B, but not including elements and systems which would be classified in G02B6/00 and subgroups
    • G02B2207/123Optical louvre elements, e.g. for directional light blocking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31Cover glass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1/00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 G02F2201/34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reflector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1/00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 G02F2201/38Anti-reflection arrang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 방향에서는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를 볼 수 있으면서도 타 방향에서는 디스플레이 면이 거울과 같이 작용하는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를 위하여,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부와, 일면이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덮는 커버와, 필름을 구비하며, 상기 필름은 상기 커버의 타면 상에 배치되고 상호 평행하지 않은 제1면과 제2면을 가지며 제1면과 제2면 중 어느 한 면 상에는 반사막이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Flat panel 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은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일 방향에서는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를 볼 수 있으면서도 타 방향에서는 디스플레이 면이 거울과 같이 작용하는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는 그 디스플레이 패널이 대략 평평한 것으로, 최근 각광받고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이다. 이러한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는 그 두께가 얇기 때문에 휴대폰, PDA, 또는 PMP 등과 같은 다양한 휴대용 기기에 장착되어 활용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는 실외에서 사용할 시 외광이 디스플레이 면 상에서 반사되어,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구현하는 이미지의 시인성을 현저히 저하시킨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최근 사용자의 심미적 요구수준이 급격히 높아졌음에도 불구하고, 종래의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는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지 않을 시의 디스플레이 면의 색상이 획일적이라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포함하여 여러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일 방향에서는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를 볼 수 있으면서도 타 방향에서는 디스플레이 면이 거울과 같이 작용하는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부와, 일면이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덮는 커버와, 필름을 구비하며, 상기 필름은 상기 커버의 타면 상에 배치되고 상호 평행하지 않은 제1면과 제2면을 가지며 제1면과 제2면 중 어느 한 면 상에는 반사막이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반사막은 알루미늄막인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필름은 복수개의 제1면들과 복수개의 제2면들을 가지며, 각 제1면이 상기 커버의 타면과 이루는 각은 제1각도로서 상호 동일하고, 각 제2면이 상기 커버의 타면과 이루는 각은 제2각도로서 상호 동일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필름은 복수개의 제1면들과 복수개의 제2면들을 갖고, 각 제2면 상에 반사막이 배치되며, 각 제1면이 상기 커버의 타면과 이루는 각은 제1각도로서 상호 동일하고, 각 제2면이 상기 커버의 타면과 이 루는 각은 다양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필름은, 서로 평행한 길이방향 축을 가지며 단면이 다각형인 복수의 돌출부재들을 구비하며, 제1면과 제2면은 각 돌출부재의 면들인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필름의 돌출부재는 단면이 삼각형인 돌출부재인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커버와 상기 필름이 일체인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디스플레이부와, 일면이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덮는 커버와, 필름을 가지며, 상기 필름이 상기 커버의 타면 상에 배치되고 상호 평행하지 않은 제1면과 제2면을 가지며 제1면과 제2면은 상이한 반사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필름의 제1면과 제2면 중 어느 하나는 알루미늄막과 같은 반사막으로 코팅된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필름의 제1면과 제2면 모두 알루미늄막과 같은 반사막으로 코팅되되, 제1면의 코팅 두께와 제2면의 코팅 두께가 상이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필름은 복수개의 제1면들과 복수개의 제2면들을 가지며, 각 제1면이 상기 커버의 타면과 이루는 각은 제1각도로서 상호 동일하고, 각 제2면이 상기 커버의 타면과 이루는 각은 제2각도로서 상호 동일 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필름은 복수개의 제1면들과 복수개의 제2면들을 갖고, 제2면의 반사율이 제1면의 반사율보다 높으며, 각 제1면이 상기 커버의 타면과 이루는 각은 제1각도로서 상호 동일하고, 각 제2면이 상기 커버의 타면과 이루는 각은 다양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필름은, 서로 평행한 길이방향 축을 가지며 단면이 다각형인 복수의 돌출부재들을 구비하며, 제1면과 제2면은 각 돌출부재의 면들인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필름의 돌출부재는 단면이 삼각형인 돌출부재인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커버와 상기 필름이 일체인 것으로 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에 따르면, 일 방향에서는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를 볼 수 있으면서도 타 방향에서는 디스플레이 면이 거울과 같이 작용하는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 시하는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부(120)와, 일면(130a)이 디스플레이부(120)를 향하도록 디스플레이부(120)를 덮는 커버(130)를 구비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다른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는 커버(130)의 타면(130b) 상에 배치되고, 상호 평행하지 않은 제1면(152a)과 제2면(152b)을 가지며, 제1면(152a)과 제2면(152b) 중 어느 한 면 상에는 반사막(154)이 배치된 필름(150)을 구비한다. 필름(150)의 제1면(152a)과 제2면(152b)은 돌출부(152)의 면들일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서는 제2면(152b) 상에 반사막(154)이 배치된 것으로 도시하고 있다. 물론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요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20)를 지지하는 기판(110)과, 기판(110)과 커버(130)를 접합시키기 위한 실런트(140) 등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와 달리 기판(110) 및 실런트(140)를 구비하지 않고, 디스플레이부(120)가 커버(130)의 일면(130a) 상에 직접 배치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한 경우 커버(130)는 바로 지지 기판의 역할을 하게 된다.
디스플레이부(120)는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소자들을 갖는데, 디스플레이 소자는 유기 발광 소자와 같은 자발광 소자일 수도 있고 액정 디스플레이 소자와 같은 수발광 소자일 수도 있으며 그 외의 다양한 디스플레이 소자일 수 있다. 커버(130)는 디스플레이부(120)에서 구현하는 이미지를 외부에서 관찰할 수 있도록 투광성 물질로 형성될 수 있는데, 예컨대 글라스재 또는 플라스틱재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필름(150) 역시 디스플레이부(120)에서 구현하는 이미지를 외부에서 관찰할 수 있도록 투광성 물질로 형성될 수 있는데, 예컨대 글라스재 또는 플라스틱재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면(152b) 상의 반사막(154)은 광을 반사할 수 있는 물질이라면 어떠한 물질로도 형성될 수 있는데, 예컨대 광 반사 특성이 우수한 알루미늄과 같은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필름(150)의 제1면(152a) 상에는 반사막이 형성되지 않고 제2면(152b) 상에만 반사막(154)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은 다양한 방법을 이용할 수 있는데, 예컨대 경사증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경사증착법이라 함은 증착될 물질이 소정 각도로 증착될 면을 향해 이동하여 증착되는 것으로, 예컨대 반사막 형성용 증착물질이 이동하는 방향이 필름(150)의 제2면(152b)에 대략 수직이 되도록 함으로써 제2면(152b) 상에만 증착되도록 하는 것이다. 물론 이 외의 다른 다양한 방법을 이용할 수도 있다. 필름(150)은 필요에 따라 접착제(미도시) 등을 통해 커버(130)에 부착될 수도 있다.
이러한 본 실시예에 따른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의 경우, A 방향에서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를 본다면 제2면(152b) 상의 반사막(154)에 의해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가 거울처럼 기능하게 된다. 따라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지 않을 시 획일적으로 표면이 검은색 등으로만 나타나는 종래의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와 달리 심미적인 효과를 높일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 따른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가 휴대폰, PDA 또는 PMP 등과 같은 휴대용 기기에 장착될 경우, 사용자가 외부에서 급히 거울 등을 필요로 할 때 그 대용품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반사막(154) 형성 시 반사막(154)이 특정한 색상을 갖는 물질을 포함하도록 함으로써, 반사 막(154)이 다양한 색상을 갖도록 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의 심미감을 더욱 높일 수 있다.
한편, B 방향에서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를 본다면 필름(150)의 제1면(152a)을 통해 디스플레이부(120)에서 구현하는 이미지를 볼 수 있다. 종래의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의 경우 A 방향으로 입사하는 외광이 디스플레이 면 상에서 반사되어 B 방향에서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를 보는 사용자의 눈에 입사하는 바, 이에 따라 외광에 의해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구현하는 이미지의 시인성이 현저하게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른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의 경우 A 방향으로 입사하는 외광은 필름(150)의 제2면(152b) 상의 반사막(154)에 의해 A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반사되어 B 방향에서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를 보는 사용자의 눈에 입사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의 경우에는 외광에 의한 시인성 저하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1에서는 필름(150)이 복수개의 제1면(152a)들과 복수개의 제2면(152b)들을 갖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필름(150)이 한 개의 제1면(152a)과 한 개의 제2면(152b)을 가질 수도 있다. 이 경우 예컨대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 가장자리에서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의 중앙부분까지 제1면(152a)이 형성되고,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의 중앙부분에서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의 타 가장자리까지 제2면(152b)이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필름(150)이 복수개의 제1면(152a)들과 복수개의 제2면(152b)들을 갖는다면, 각각의 제1면(152a)이 커버(130)의 타면(130b) 과 이루는 각은 제1각도(θ1)로서 상호 동일하고, 각각의 제2면(150b)이 커버(130)의 타면(130b)과 이루는 각은 제2각도(θ2)로서 상호 동일하도록 할 수 있다. 각각의 제1면(152a)이 커버(130)의 타면(130b)과 이루는 각은 제1각도(θ1)로서 상호 동일하므로, B 방향에서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를 바라봤을 시 디스플레이부(120)에서 구현되는 이미지가 왜곡되지 않고 사용자에게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제2면(150b)이 커버(130)의 타면(130b)과 이루는 각은 제2각도(θ2)로서 상호 동일하므로, A 방향에서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를 바라봤을 시 사용자가 왜곡이 없는 평판 거울의 효과를 느끼도록 할 수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서는 각각의 제1면(152a)이 커버(130)의 타면(130b)과 이루는 각은 제1각도(θ1)로서 상호 동일하고, 각각의 제2면(150b)이 커버(130)의 타면(130b)과 이루는 각은 다양하도록 할 수도 있다. 각각의 제1면(152a)이 커버(130)의 타면(130b)과 이루는 각은 제1각도(θ1)로서 상호 동일하므로 B 방향에서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를 바라봤을 시 디스플레이부(120)에서 구현되는 이미지가 왜곡되지 않고 사용자에게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각각의 제2면(150b)이 커버(130)의 타면(130b)과 이루는 각은 다양하므로, A 방향을 위주로 하여 다양한 방향에서 다양한 각도로 제2면(152b) 상의 반사막(154)에 입사하는 외광들을 효과적으로 반사하여, B 방향에서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를 바라보는 사용자 방향으로 외광이 입사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3은 알루미늄 반사막의 두께에 따른 투과도를 나타내는 그래프로서, 가로축은 파장이고 세로축은 투과광의 강도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반사막(154)은 알루미늄막일 수 있는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알루미늄막의 두께가 200Å일 경우 투과광의 강도비가 대략 15인 것으로 알 수 있다. 따라서 알루미늄막의 두께를 200Å 이상으로 하면 효과적인 반사막으로 작용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에 구비될 수 있는 필름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름(150)은, 서로 평행한 길이방향 축(y 방향 축)을 가지며 단면이 다각형인 복수의 돌출부재(152)들을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술한 제1면(152a)과 제2면(152b)은 각 돌출부재의 면들이다. 특히 일 방향에서 바라봤을 시는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가 거울과 같이 기능하고 타 방향에서 바라봤을 시는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가 디스플레이 장치로 기능해야 하는 바, 따라서 돌출부재(152)는 제1면과 제2면 두 개의 면만을 가져도 충분하다. 따라서 필름(150)의 돌출부재(152)는 단면이 삼각형인 돌출부재일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가 도 1을 참조하여 전술한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와 상이한 것은, 도 1의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의 커버(130, 도 1 참조)와 필름(150, 도 1 참조)이 필름커버(160)로 일체화되었다는 것이다. 이는 도 1의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의 필름(150, 도 1 참조)이 커버(130, 도 1 참조) 역할까지 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필름커버(160)는 돌출부(162)를 가지며 돌출부(162)의 면들이 제1면(162a)과 제2면(162b)이 되고 제 2면(162b) 상에 반사막(164)이 배치된 구조이다. 그리고 이 필름커버(160)의 돌출부(162)가 형성된 면의 반대면(160a)이 디스플레이부(120)를 향하고 있다. 물론 디스플레이부(120)가 필름커버(160)의 돌출부(162)가 형성된 면의 반대면(160a) 상에 배치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를 더욱 박형으로 구현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부(220)와, 일면(230a)이 디스플레이부(220)를 향하도록 디스플레이부(220)를 덮는 커버(230)를 구비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다른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는 커버(230)의 타면(230b) 상에 배치되고, 상호 평행하지 않은 제1면(252a)과 제2면(252b)을 갖는다. 이 제1면(252a)과 제2면(252b)은 상이한 반사율을 갖는다. 필름(250)의 제1면(252a)과 제2면(252b)은 돌출부(252)의 면들일 수 있다. 도 6 및 도 7에서는 예컨대 제2면(252b)의 반사율이 제1면(252a)의 반사율보다 높은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물론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요에 따라 디스플레이부(220)를 지지하는 기판(210)과, 기판(210)과 커버(230)를 접합시키기 위한 실런트(240) 등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와 달리 기판(210) 및 실런트(240)를 구비하지 않고, 디스플레이부(220)가 커버(230)의 일면(230a) 상에 직접 배치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한 경우 커버(230)는 바로 지지 기판의 역할을 하게 된다.
디스플레이부(220)는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소자들을 갖는데, 디스플레이 소자는 유기 발광 소자와 같은 자발광 소자일 수도 있고 액정 디스플레이 소자와 같은 수발광 소자일 수도 있으며 그 외의 다양한 디스플레이 소자일 수 있다. 커버(230)는 디스플레이부(220)에서 구현하는 이미지를 외부에서 관찰할 수 있도록 투광성 물질로 형성될 수 있는데, 예컨대 글라스재 또는 플라스틱재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필름(250) 역시 디스플레이부(220)에서 구현하는 이미지를 외부에서 관찰할 수 있도록 투광성 물질로 형성될 수 있는데, 예컨대 글라스재 또는 플라스틱재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필름(250)의 제2면(252b)의 반사율이 제1면(252a)의 반사율보다 높게 하는 것은 다양한 방법을 이용하여 이룰 수 있는데, 예컨대 제1면(252a)의 거칠기가 제2면(252b)의 거칠기보다 크도록 함으로써 제1면(252a)에서 제2면(252b)에 비해 난반사가 많이 일어나도록 하여, 제1면(252a)보다 제2면(252b)에서 특정 방향으로 반사되는 광의 강도가 더 세 지도록 하는 방법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물론 제1면(252a)과 제2면(252b)이 상이한 반사율의 물질로 코팅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러한 필름(250)은 필요에 따라 접착제(미도시) 등을 통해 커버(230)에 부착될 수도 있다.
이러한 본 실시예에 따른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의 경우 제2면(252b)의 반사율이 제1면(252a)보다 높기 때문에, A 방향에서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를 본다면 상대적으로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가 거울처럼 기능하게 된다. 따라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지 않을 시 획일적으로 표면이 검은색 등으로만 나타나는 종래의 평판 디 스플레이 장치와 달리 심미적인 효과를 높일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 따른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가 휴대폰, PDA 또는 PMP 등과 같은 휴대용 기기에 장착될 경우, 사용자가 외부에서 급히 거울 등을 필요로 할 때 그 대용품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한편, B 방향에서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를 본다면 필름(250)의 반사율이 낮은 제1면(252a)을 통해 디스플레이부(220)에서 구현하는 이미지를 볼 수 있다. 종래의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의 경우 A 방향으로 입사하는 외광이 디스플레이 면 상에서 반사되어 B 방향에서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를 보는 사용자의 눈에 입사하는 바, 이에 따라 외광에 의해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구현하는 이미지의 시인성이 현저하게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른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의 경우 A 방향으로 입사하는 외광은 필름(250)의 반사율이 높은 제2면(252b)에 의해 A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반사되어 B 방향에서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를 보는 사용자의 눈에 입사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의 경우에는 외광에 의한 시인성 저하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6에서는 필름(250)이 복수개의 제1면(252a)들과 복수개의 제2면(252b)들을 갖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필름(250)이 한 개의 제1면(252a)과 한 개의 제2면(252b)을 가질 수도 있다. 이 경우 예컨대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 가장자리에서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의 중앙부분까지 제1면(252a)이 형성되고,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의 중앙부분에서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의 타 가장자리까지 제2면(252b)이 형성될 수도 있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필름(250)이 복수개의 제1면(252a)들과 복수개의 제2면(252b)들을 갖는다면, 각각의 제1면(252a)이 커버(230)의 타면(230b)과 이루는 각은 제1각도(θ1)로서 상호 동일하고, 각각의 제2면(250b)이 커버(230)의 타면(230b)과 이루는 각은 제2각도(θ2)로서 상호 동일하도록 할 수 있다. 각각의 제1면(252a)이 커버(230)의 타면(230b)과 이루는 각은 제1각도(θ1)로서 상호 동일하므로, B 방향에서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를 바라봤을 시 디스플레이부(220)에서 구현되는 이미지가 왜곡되지 않고 사용자에게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제2면(250b)이 커버(230)의 타면(230b)과 이루는 각은 제2각도(θ2)로서 상호 동일하므로, A 방향에서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를 바라봤을 시 사용자가 왜곡이 없는 평판 거울의 효과를 느끼도록 할 수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서는 각각의 제1면(252a)이 커버(230)의 타면(230b)과 이루는 각은 제1각도(θ1)로서 상호 동일하고, 각각의 제2면(250b)이 커버(230)의 타면(230b)과 이루는 각은 다양하도록 할 수도 있다. 각각의 제1면(252a)이 커버(230)의 타면(230b)과 이루는 각은 제1각도(θ1)로서 상호 동일하므로 B 방향에서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를 바라봤을 시 디스플레이부(220)에서 구현되는 이미지가 왜곡되지 않고 사용자에게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각각의 제2면(250b)이 커버(230)의 타면(230b)과 이루는 각은 다양하므로, A 방향을 위주로 하여 다양한 방향에서 다양한 각도로 제2면(252b) 상의 반사막(254)에 입사하는 외광들을 효과적으로 반 사하여, B 방향에서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를 바라보는 사용자 방향으로 외광이 입사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필름은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도 4에 도시된 필름과 유사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즉, 필름(250)은, 서로 평행한 길이방향 축을 가지며 단면이 다각형인 복수의 돌출부재들을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술한 제1면(252a)과 제2면(252b)은 각 돌출부재의 면들이다. 특히 일 방향에서 바라봤을 시는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가 거울과 같이 기능하고 타 방향에서 바라봤을 시는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가 디스플레이 장치로 기능해야 하는 바, 따라서 돌출부재는 제1면과 제2면 두 개의 면만을 가져도 충분하다. 따라서 필름(250)의 돌출부재는 단면이 삼각형인 돌출부재일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필름(250)의 제1면(252a)과 제2면(252b)의 반사율이 상이한 바, 어느 한 면의 반사율을 높이기 위해 필름(250)의 제1면(252a)과 제2면(252b) 중 어느 하나는 알루미늄막과 같은 반사막으로 코팅될 수도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확대 단면도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름(250)의 제1면(252a)과 제2면(252b) 모두 알루미늄막과 같은 반사막(254a, 254b)으로 코팅되되, 제1면(252a)의 코팅 두께(ta)와 제2면(252b)의 코팅 두께(tb)가 상이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예컨대 반사막이 알루미늄막으로 형성된다면, 알루미늄막의 두께에 따라 그 투과도가 달라진다. 따라서 제1면(252a)의 알루미늄막과 같은 반사막(254a)의 두께(ta)와 제2면(252b)의 알루미늄막과 같은 반 사막(254b)의 두께(tb)를 상이하게 조절하여, 제1면(252a)의 알루미늄막과 같은 반사막(254a)의 반사율보다 제2면(252b)의 알루미늄막과 같은 반사막(254b)의 반사율이 높도록 함으로써, 전술한 바와 같은 효과를 가지도록 할 수 있다. 나아가 제1면(252a) 역시 알루미늄막과 같은 반사막(254a)으로 코팅되도록 함으로써, 필름(250)의 표면이 손상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제품의 수명을 늘리는 효과까지 얻을 수 있다. 물론 제1면(252a)의 코팅물질과 제2면(252b)의 코팅물질을 상이한 물질로 하여, 그 두께가 같더라도 반사율이 다르게 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필름(250)의 제1면(252a)과 제2면(252b) 상의 코팅의 두께를 상이하게 하는 것은, 경사증착법을 이용함으로써 이룰 수 있다. 즉, 경사증착법을 이용하여 제1면(252a)만 제1두께(ta)로 코팅을 하고, 그 후 경사증착법을 이용하여 제2면(252b)만 제2두께(tb)로 코팅을 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면(252a) 상의 코팅(254a)과 제2면(252b) 상의 코팅(254b)의 층이 상호 구분될 수도 있다. 한편, 제1면(252a)의 코팅물질과 제2면(252b)의 코팅물질이 동일할 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확대 단면도인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면(252a)의 코팅(254a)과 제2면(252b)의 코팅(254b)의 층이 일체로 형성된 것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도 있다. 특히, 경사증착법을 이용하여 제2면(252b)을 코팅하는 과정에서 코팅물질이 부수적으로 제1면(252a) 상에도 소량 증착되도록 함으로써, 도 9에 도시된 것과 같은 결과물을 얻을 수도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가 도 6을 참조하여 전술한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와 상이한 것은, 도 6의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의 커버(230, 도 6 참조)와 필름(250, 도 6 참조)이 필름커버(260)로 일체화되었다는 것이다. 이는 도 6의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의 필름(250, 도 6 참조)이 커버(230, 도 6 참조) 역할까지 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필름커버(260)는 돌출부(262)를 가지며 돌출부(262)의 면들이 제1면(262a)과 제2면(262b)이 되고 제1면(262a)과 제2면(262b)의 반사율이 상이한 구조이다. 그리고 이 필름커버(260)의 돌출부(262)가 형성된 면의 반대면(260a)이 디스플레이부(220)를 향하고 있다. 물론 디스플레이부(220)가 필름커버(260)의 돌출부(262)가 형성된 면의 반대면(260a) 상에 배치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를 더욱 박형으로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3은 알루미늄 반사막의 두께에 따른 투과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는 도 1의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에 구비된 필름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기판 120: 디스플레이부
130: 커버 140: 실런트
150: 필름

Claims (15)

  1. 디스플레이부;
    일면이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덮는 커버; 및
    상기 커버의 타면 상에 배치되고, 상호 평행하지 않은 제1면과 제2면을 가지며, 제1면과 제2면 중 어느 한 면 상에는 반사막이 배치된 필름;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막은 알루미늄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은 복수개의 제1면들과 복수개의 제2면들을 가지며, 각 제1면이 상기 커버의 타면과 이루는 각은 제1각도로서 상호 동일하고, 각 제2면이 상기 커버의 타면과 이루는 각은 제2각도로서 상호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은 복수개의 제1면들과 복수개의 제2면들을 갖고, 각 제2면 상에 반사막이 배치되며, 각 제1면이 상기 커버의 타면과 이루는 각은 제1각도로서 상호 동일하고, 각 제2면이 상기 커버의 타면과 이루는 각은 다양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은, 서로 평행한 길이방향 축을 가지며 단면이 다각형인 복수의 돌출부재들을 구비하며, 제1면과 제2면은 각 돌출부재의 면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의 돌출부재는 단면이 삼각형인 돌출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와 상기 필름이 일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8. 디스플레이부;
    일면이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덮는 커버; 및
    상기 커버의 타면 상에 배치되고, 상호 평행하지 않은 제1면과 제2면을 가지며, 제1면과 제2면은 상이한 반사율을 갖는, 필름;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의 제1면과 제2면 중 어느 하나는 반사막으로 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의 제1면과 제2면 모두 반사막으로 코팅되되, 제1면의 코팅 두께와 제2면의 코팅 두께가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은 복수개의 제1면들과 복수개의 제2면들을 가지며, 각 제1면이 상기 커버의 타면과 이루는 각은 제1각도로서 상호 동일하고, 각 제2면이 상기 커버의 타면과 이루는 각은 제2각도로서 상호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은 복수개의 제1면들과 복수개의 제2면들을 갖고, 제2면의 반사율이 제1면의 반사율보다 높으며, 각 제1면이 상기 커버의 타면과 이루는 각은 제1각도로서 상호 동일하고, 각 제2면이 상기 커버의 타면과 이루는 각은 다양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은, 서로 평행한 길이방향 축을 가지며 단면이 다각형인 복수의 돌출부재들을 구비하며, 제1면과 제2면은 각 돌출부재의 면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의 돌출부재는 단면이 삼각형인 돌출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15.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와 상기 필름이 일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080043361A 2008-05-09 2008-05-09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KR1009275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3361A KR100927588B1 (ko) 2008-05-09 2008-05-09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US12/437,888 US8136953B2 (en) 2008-05-09 2009-05-08 Flat panel display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3361A KR100927588B1 (ko) 2008-05-09 2008-05-09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7354A KR20090117354A (ko) 2009-11-12
KR100927588B1 true KR100927588B1 (ko) 2009-11-23

Family

ID=412666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3361A KR100927588B1 (ko) 2008-05-09 2008-05-09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136953B2 (ko)
KR (1) KR10092758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201110584A (en) * 2009-09-07 2011-03-16 Micro Star Int Co Ltd Transmission module and electronic system utilizing the same
KR102640119B1 (ko) * 2016-11-23 2024-02-2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12046A (ko) * 2005-04-26 2006-10-31 삼성전자주식회사 표시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17405A (en) * 1991-03-08 1994-05-31 Nippon Telegraph And Telephone Corporation Display and image capture apparatus which enables eye contact
US5600455A (en) * 1994-08-31 1997-02-04 Enplas Corporation Prismatic member with coarsened portions or triangular prismatic and semi-circular prismatic members arranged on a flat light emitting surface
US6443579B1 (en) * 2001-05-02 2002-09-03 Kenneth Myers Field-of-view controlling arrangements
US20060132945A1 (en) * 2003-06-06 2006-06-22 Koichi Sano Microstructured optical film and production process thereof
US7262911B2 (en) * 2004-03-15 2007-08-28 Arisawa Mfg. Co., Ltd. Reflex-type screen assembly
US7502085B2 (en) * 2005-04-26 2009-03-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device having functional transparent plate in prismatic structure on retarder provided on polarizer above display panel assembly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12046A (ko) * 2005-04-26 2006-10-31 삼성전자주식회사 표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136953B2 (en) 2012-03-20
KR20090117354A (ko) 2009-11-12
US20090279177A1 (en) 2009-1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90759B2 (en) Electronic device display structures with controlled chassis reflections
US9588264B2 (en) Bezel-concealing display covers and display devices
US8508703B2 (en) Display device
US20200192148A1 (en) Display Device
JP7060137B2 (ja) 反射スクリーン、映像表示装置
US20190204684A1 (en) Backlight unit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US20120300428A1 (en) Backlight Module
US9383486B2 (en) Films for display covers and display devices comprising the same
US10754082B2 (en) Backlight unit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0927588B1 (ko)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JP6953728B2 (ja) スクリーン、映像表示装置
JP6048010B2 (ja) 積層体、偏光板、液晶パネル、タッチパネルセンサ、タッチパネル装置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2018194699A (ja) 表示装置、配列型表示装置
JP2017207563A (ja) カバー部品、及び転写フィルム
JP6957891B2 (ja) 反射スクリーン、映像表示装置
WO2014034846A1 (ja) 積層体、偏光板、液晶パネル、タッチパネルセンサ、タッチパネル装置および画像表示装置
KR20050087906A (ko) 코팅된 편광층을 포함하는 액정표시 장치
US20090290112A1 (en) Display device
JP7036247B2 (ja) 反射スクリーン、映像表示装置
KR20140089008A (ko) 광학 시트
JP2014048528A (ja) 積層体、偏光板、液晶パネル、タッチパネルセンサ、タッチパネル装置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7001132B2 (ja) 透過型スクリーン、背面投射型表示装置
KR20170065921A (ko) 눈부심 방지 글래스 및 그를 가지는 디스플레이 장치
CN115862483A (zh) 拼接屏及其制作方法
KR20150010323A (ko) 백라이트 유닛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8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