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65921A - 눈부심 방지 글래스 및 그를 가지는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눈부심 방지 글래스 및 그를 가지는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65921A
KR20170065921A KR1020150172292A KR20150172292A KR20170065921A KR 20170065921 A KR20170065921 A KR 20170065921A KR 1020150172292 A KR1020150172292 A KR 1020150172292A KR 20150172292 A KR20150172292 A KR 20150172292A KR 20170065921 A KR20170065921 A KR 201700659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re
layer
refractive index
black matrix
index matc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22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58905B1 (ko
Inventor
배연경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722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8905B1/ko
Publication of KR201700659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59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89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89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05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 G02B5/0236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within the volume of the element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H01L27/3232

Abstract

본 발명은 외부광에 의한 눈부심을 방지할 수 있는 눈부심 방지 글래스 및 그를 가지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눈부심 방지 글래스는 커버 글래스 상부에 배치되는 굴절률 정합층 및 눈부심 방지층을 구비하며, 눈부심 방지층은 굴절률 정합층과 접촉하는 면이 요철 형태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눈부심 방지 글래스 및 그를 가지는 디스플레이 장치{ANTI-GLARE GALSS AND DISPLAY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외부광에 의한 눈부심을 방지할 수 있는 눈부심 방지 글래스 및 그를 가지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다양한 정보를 화면으로 구현해 주는 디스플레이 장치로는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표시 장치 등이 대표적이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TV, 모니터, PC, 휴대전화, 디지털 카메라, PDA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디스플레이 장치는 화면에 외부로부터의 입사되는 광의 반사에 의해 눈부심이나 스파클링(sparking)과 같은 현상으로 화면에 표시되는 이미지를 보기 어렵게 되는 시인성 저하의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외부광에 의한 눈부심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눈부심 방지 글래스 및 그를 가지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눈부심 방지 글래스 및 그를 가지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커버 글래스 상부에 배치되는 굴절률 정합층 및 눈부심 방지층을 구비하며, 눈부심 방지층은 굴절률 정합층과 접촉하는 면이 요철 형태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는 굴절률 정합층과 계면을 이루는 눈부심 방지층의 표면을 수 ㎛의 볼록부를 가지는 요철 형태로 형성한다. 이에 따라, 본원 발명에서는 외부광이 눈부심 방지층과 굴절률 정합층의 계면에서 확산 및 분산되므로, 헤이즈도를 적절한 수준으로 확보할 수 있어 눈부심 현상 및 스파클링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눈부심 방지 글래스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눈부심 방지층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a 내지 도 3c는 도 1에 도시된 눈부심 방지 글래스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눈부심 방지 글래스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눈부심 방지층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도 5에 도시된 눈부심 방지 글래스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눈부심 방지 글래스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눈부심 방지층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눈부심 방지 글래스가 부착된 표시 패널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눈부심 방지 글래스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눈부심 방지 글래스(200)는 커버 글래스(201) 상에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눈부심 방지층(206), 굴절률 정합층(202) 및 블랙매트릭스(204)를 구비한다.
커버 글래스(201)는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충격을 흡수하여 눈부심 방지 글래스(200) 하부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표시 패널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블랙매트릭스(204)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베젤 영역과 중첩되도록 흑색 안료가 첨가된 감광성 수지로 형성된다. 이러한 블랙매트릭스(204)가 형성된 영역은 외곽 영역(BA)으로 정의되고, 블랙매트릭스(204)가 형성되지 않은 영역은 화상이 구현되는 액티브 영역(AA)으로 정의된다.
굴절률 정합층(202)은 눈부심 방지층(206) 상에 저굴절률층 및 고굴절률층이 적어도 1회 교번적으로 적층되어 형성된다. 여기서, 고굴절률층은 2~3의 굴절률을 가지며, TiO2, Ta2O5, Ti2O3, Ti3O5, ZrO2, 및 Nb2O5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저굴절률층은 1~1.9의 굴절률을 가지며, SiO2 또는 MgF2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굴절률 정합층(202)의 저굴절률층과 고굴절률층 사이의 굴절률 차이로 인해 저굴절률층과 고굴절률층의 계면에서, 굴절률 정합층(202)과 블랙매트릭스(204)의 계면에서, 굴절률 정합층(202)과 눈부심 방지층(206)의 계면 각각에서 외부광이 반사된다. 이와 같이, 눈부심 방지 글래스(200)의 전방으로 진행하는 다수의 반사광이 발생되며, 다수의 반사광은 서로 다른 위상을 가지므로, 다수의 반사광의 상쇄 간섭 효과에 의해 외부광의 반사율이 낮아진다. 이에 따라, 헤이즈도를 낮추더라도 외부광의 반사율이 낮아지므로 외부광 반사 방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굴절률 정합층(202)은 블랙매트릭스(204)와 커버 글래스(201) 사이에 배치된다. 이러한 굴절률 정합층(202)에 의해 디스플레이 장치의 베젤 영역인 외곽 영역(BA)의 반사 색감을 조절할 수 있다. 즉, 커버 글래스 상에 블랙 매트릭스가 바로 위치하는 종래의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의 베젤 영역은 블랙매트릭스에 의해 블랙 색감으로 인식되는 반면에, 본원 발명에서는 블랙매트릭스(204)와 커버 글래스(201) 사이에 배치되는 굴절률 정합층(202)의 두께에 따라 유채색(예를 들어, 적색 또는 청색)을 띄는 블랙으로 인식되므로 외적 미관을 고급화할 수 있다.
눈부심 방지층(206)은 커버 글래스(201) 상에 투명 수지로 형성된다. 이 눈부심 방지층(206) 내에는 실리카 재질의 비즈볼(216)이 함유된다. 이러한 비즈볼(216)을 따라 눈부심 방지층(206)의 상부면은 수㎛의 폭(W)을 가지는 볼록부와, 볼록부들 사이에 위치하는 오목부를 가지는 요철 형태로 형성된다. 이 때, 눈부심 방지층(206)의 볼록부는 커버 글래스(201)의 반대 방향을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눈부심 방지층(206)은 굴절률 정합층(202)과 접촉하는 상부면이 요철 표면을 갖게 된다.
한편, 비즈볼(216)은 액티브 영역(AA)과 외곽 영역(BA)에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 크기로 형성되거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크기로 형성된다.
도 1에 도시된 비즈볼(216)은 액티브 영역(AA)과 외곽 영역(BA)에서 동일 크기로 형성되므로, 굴절률 정합층(202)과의 계면을 이루는 눈부심 방지층(206)의 상부면은 액티브 영역(AA)과 외곽 영역(BA)에서 동일하게 수㎛의 폭(W)의 볼록부를 가지는 요철 형태로 형성된다. 이 경우, 본원 발명은 볼록부의 폭(W)을 종래보다 낮은 수㎛로 줄일 수 있어 외부광 반사 방지 효과 및 스파클링 감소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외곽 영역(BA)의 비즈볼(216b)은 액티브 영역(AA)의 비즈볼(216a)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된다. 즉, 굴절률 정합층(202)과의 계면을 이루는 눈부심 방지층(206)의 상부면은 액티브 영역(AA)보다 외곽 영역(BA)에서 폭이 넓은 볼록부를 가지는 요철 형태로 형성된다. 이 경우, 액티브 영역(AA)에서의 헤이즈도는 블랙매트릭스(204)가 형성된 외곽 영역(BA)에서의 헤이즈도보다 낮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액티브 영역(AA)은 외곽 영역(BA)보다 선명도가 향상될 뿐만 아니라 스파클링 현상을 줄일 수 있다. 이 때, 외곽 영역(BA) 및 액티브 영역(AA) 각각의 비즈볼(216a,216b)을 따라 형성되는 눈부심 방지층(206)의 볼록부는 수㎛의 폭(W)을 가진다.
이와 같이, 본원 발명의 제1 실시 예에서는 굴절률 정합층(202)과 접촉하는 눈부심 방지층(206)의 상부면을 요철 형태로 형성함으로써 외부광이 눈부심 방지층(206)과 굴절률 정합층(202)의 계면에서 확산 및 분산되므로 헤이즈도를 낮출 수 있어 스파클링 현상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본원 발명의 제1 실시 예에서는 저굴절률층과 고굴절률층이 적어도 1회 교번적으로 적층된 굴절률 정합층(202)에 의해 외부광의 반사율이 최소화됨으로써 헤이즈도를 낮추더라도 외부광 반사 방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3c는 도 1에 도시된 눈부심 방지 글래스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먼저, 커버 글래스(201) 상에 비즈볼(216)을 함유하는 포토 아크릴과 같은 감광성 투명 수지가 전면 도포됨으로써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눈부심 방지층(206)이 형성된다. 그런 다음, 눈부심 방지층(206) 상에 저굴절률층 및 고굴절률층을 적어도 1회 교번적으로 적층함으로써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굴절률 정합층(202)이 형성된다. 그런 다음, 굴절률 정합층(202)이 형성된 커버 글래스(201) 상에 흑색의 감광성 수지가 도포된 후 포토리소그래피 공정을 통해 패터닝됨으로써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랙매트릭스(204)가 형성된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눈부심 방지 글래스(200)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커버 글래스(201) 상에 직경이 작은 비즈볼(216a)을 함유하는 감광성 투명 수지를 도포한 다음, 포토리소그래피 공정으로 패터닝함으로써 액티브 영역(AA)에 눈부심 방지층(206)이 형성된다. 그런 다음, 직경이 큰 비즈볼(216b)을 함유하는 감광성 투명 수지를 도포한 다음, 포토리소그래피 공정으로 패터닝함으로써 외곽 영역(BA)에 눈부심 방지층(206)이 형성된다. 한편, 액티브 영역(AA)의 눈부심 방지층(206)을 먼저 형성한 다음 외곽 영역(BA)의 눈부심 방지층(206)을 형성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외곽 영역(BA)의 눈부심 방지층(206)을 먼저 형성한 다음 액티브 영역(AA)의 눈부심 방지층(206)을 형성할 수도 있다. 그런 다음, 굴절률 정합층(202)과 블랙매트릭스(204)를 도 3b 및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눈부심 방지층(206) 상에 순차적으로 형성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서는 코팅 공정을 통해 굴절률 정합층(202)과 계면을 이루는 눈부심 방지층(206)의 상부면을 요철 형태로 형성함으로써 눈부심 방지층(206)의 볼록부의 폭을 종래보다 작은 수㎛로, 커버 글래스(201) 상에 균일하게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서는 식각 공정을 통해 요철을 형성하는 종래에 비해 요철의 크기를 수 ㎛로 줄일 수 있어 적절한 헤이즈 정도를 확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서는 외부광에 의한 눈부심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선명도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표시 패널과 광간섭으로 인한 스파클링 현상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식각 공정을 통해 요철을 형성하는 종래의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의 카메라홀이 식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카메라홀을 보호하는 마스킹 테이프 부착공정이 필요한 반면에,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서는 식각 공정없이 눈부심 방지층(206)의 상부면을 요철 형태를 형성하므로, 마스킹 테이프 부착공정이 불필요해 공정이 단순화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예서는 스프레이 방식으로 비즈볼을 분사하는 종래에 비해, 코팅 방식으로 비즈볼(216)이 함유된 눈부심 방지층(206)을 코팅함으로써 비즈볼(216)을 대면적의 커버 글래스(201) 상에 균일하게 형성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눈부심 방지 글래스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눈부심 방지 글래스(200)는 도 1에 도시된 눈부심 방지 글래스와 대비하여 비즈볼없이 눈부심 방지층(206)을 요철 형태로 형성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구비한다. 이에 따라,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눈부심 방지층(206)은 커버 글래스(201)와 굴절률 정합층(202) 사이에 형성된다. 이 때, 굴절률 정합층(202)과 계면을 이루는 눈부심 방지층(206)의 표면은 커버 글래스(201)와 반대 방향을 향해 돌출되는 볼록부와, 볼록부들 사이에 위치하는 오목부를 가지도록 요철 형태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눈부심 방지층(206)의 볼록부는 수㎛의 폭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한편, 눈부심 방지층(206)의 볼록부는 액티브 영역(AA)과 외곽 영역(BA)에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 폭으로 형성되거나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폭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도 5에 도시된 눈부심 방지층(206)의 볼록부는 외곽 영역(BA)보다 액티브 영역(AA)에서 더 좁은 폭으로 형성된다. 이 경우, 도 5에 도시된 액티브 영역(AA)에서의 헤이즈도는 블랙매트릭스(204)가 형성된 외곽 영역(BA)에서의 헤이즈도보다 낮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액티브 영역(AA)은 외곽 영역(BA)보다 선명도가 향상될 뿐만 아니라 스파클링 현상을 줄일 수 있다. 이 때, 외곽 영역(BA)및 액티브 영역(AA)에서의 눈부심 방지층(206)은 볼록부는 수㎛의 폭(W)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이, 본원 발명의 제2 실시 예에서는 굴절률 정합층(202)과 계면을 이루는 눈부심 방지층(206)의 표면을 수 ㎛의 요철 형태로 형성함으로써 외부광이 눈부심 방지층(206)과 굴절률 정합층(202)의 계면에서 확산 및 분산되므로 외부광에 의한 눈부심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a 및 도 6b는 도 4에 도시된 눈부심 방지 글래스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먼저, 커버 글래스(201) 상에 투명 감광성 수지를 도포된 후 하프톤 마스크또는 슬릿 마스크를 이용한 포토리소그래피 공정을 통해 패터닝됨으로써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눈부심 방지층(206)이 형성된다. 여기서, 하프톤 마스크는 눈부심 방지층(206)의 볼록부의 최고점에서 최저점으로 갈수록 노광량이 증가되도록 설계한다. 이 눈부심 방지층(206) 상에 저굴절률층 및 고굴절률층을 적어도 1회 교번적으로 적층함으로써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굴절률 정합층(202)이 형성된다. 이 굴절률 정합층(202) 상에 흑색의 감광성 수지를 도포한 후 포토리소그래피 공정을 통해 패터닝됨으로써 블랙매트릭스(204)가 형성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눈부심 방지 글래스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눈부심 방지 글래스는 도 1에 도시된 눈부심 방지 글래스와 대비하여 굴절률 정합층(202)이 눈부심 방지층(206) 하부에 형성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구비한다. 이에 따라,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눈부심 방지층(206)은 블랙매트릭스(204)에 의해 둘러싸인 액티브 영역(AA)에 투명 감광성 재질로 형성된다. 이 눈부심 방지층(206) 내에는 실리카 재질의 비즈볼(216)이 함유된다. 이러한 비즈볼(216)을 따라 굴절률 정합층(202)과 계면을 이루는 눈부심 방지층(206)의 표면은 수㎛의 폭의 볼록부를 가지도록 요철 형태로 형성된다. 이 때, 눈부심 방지층(206)의 볼록부는 커버 글래스(201)를 향해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블랙매트릭스(204) 내에는 실리카 재질의 제2 비즈볼(214)이 함유된다. 제2 비즈볼(214)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눈부심 방지층(206)의 비즈볼(216)과 동일 크기로 형성되거나,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눈부심 방지층(206)의 비즈볼(216)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제2 비즈볼(214)이 함유된다. 이 경우, 도 8에 도시된 액티브 영역(AA)에서의 헤이즈도는 블랙매트릭스(204)가 형성된 외곽 영역(BA)에서의 헤이즈도보다 낮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액티브 영역(AA)은 외곽 영역(BA)보다 선명도가 향상될 뿐만 아니라 스파클링 현상을 줄일 수 있다. 이러한 제2 비즈볼(214)을 따라 굴절률 정합층(202)과 계면을 이루는 블랙매트릭스(204)의 표면은 수㎛의 폭의 볼록부를 가지도록 요철 형태로 형성된다. 이 때, 블랙매트릭스(204)의 볼록부는 눈부심 방지층(206)과 마찬가지로 커버 글래스(201)을 향해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한편, 블랙매트릭스(204) 내에 함유된 제2 비즈볼(214)은 눈부심 방지층 내에 함유된 비즈볼과 마찬가지로 투명한 실리카 재질로 형성되거나, 블랙 재질로 형성된다. 투명 실리카 재질로 제2 비즈볼(214)을 형성하는 경우, 제2 비즈볼(214)에 의해 블랙매트릭스(204)의 기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블랙매트릭스(204) 상에 블랙 안료를 추가로 도포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원 발명의 제3 실시 예에서는 굴절률 정합층(202)과 계면을 이루는 눈부심 방지층(206)의 표면을 수 ㎛의 볼록부를 가지는 요철 형태로 형성함으로써 외부광이 눈부심 방지층(206)과 굴절률 정합층(202)의 계면에서 확산 및 분산되므로 외부광에 의한 눈부심 현상 및 스파클링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3 실시 예에 따른 눈부심 방지 글래스(20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정층(106)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컬러 필터 기판(102) 및 박막트랜지스터 기판(104)을 포함하는 액정 표시 패널(100)에 부착된다. 이외에도 눈부심 방지 글래스(200)는 유기 발광 표시 패널 및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등의 평판 표시 패널에 부착가능하다. 또한, 눈부심 방지 글래스(200)는 터치 패널과 일체화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터치 패널용 전극은 눈부심 방지 글래스(200)의 굴절률 정합층(202) 또는 눈부심 방지층(206) 상에 형성된다.
한편,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3 실시 예에 따른 눈부심 방지 글래스(200)는 액티브 영역(AA)과 외곽 영역(BA)에 모두 형성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이외에도 액티브 영역(AA) 또는 외곽 영역(BA)에 형성될 수도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해야 할 것이다.
201 : 커버 글래스 202 : 굴절률 정합층
204 : 블랙매트릭스 206 : 눈부심 방지층

Claims (10)

  1. 커버 글래스와;
    상기 커버 글래스 상에 배치되는 굴절률 정합층과;
    상기 굴절률 정합층과의 접촉하는 계면이 요철 형태로 이루어진 눈부심 방지층을 구비하는 눈부심 방지 글래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굴절률 정합층 상의 외곽 영역에 배치되는 블랙매트릭스를 더 구비하며,
    상기 눈부심 방지층은 상기 블랙매트릭스와 중첩되는 외곽 영역과 상기 블랙매트릭스와 비중첩되는 액티브 영역에서 동일 크기의 비즈볼을 함유하는 눈부심 방지 글래스.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굴절률 정합층 상의 외곽 영역에 배치되는 블랙매트릭스를 더 구비하며,
    상기 눈부심 방지층은 상기 블랙매트릭스와 중첩되는 외곽 영역과 상기 블랙매트릭스와 비중첩되는 액티브 영역에서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지는 비즈볼을 함유하는 눈부심 방지 글래스.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외곽 영역에 배치되는 상기 눈부심 방지층의 비즈볼은 상기 액티브 영역에 배치되는 상기 눈부심 방지층의 비즈볼보다 직경이 큰 눈부심 방지 글래스.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굴절률 정합층 상의 외곽 영역에 배치되는 블랙매트릭스를 더 구비하며,
    상기 요철 형태의 눈부심 방지층의 볼록부는 상기 블랙매트릭스와 중첩되는 외곽 영역과 상기 블랙매트릭스와 비중첩되는 액티브 영역에서 서로 동일 폭을 가지는 눈부심 방지 글래스.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굴절률 정합층 상의 외곽 영역에 배치되는 블랙매트릭스를 더 구비하며,
    상기 요철 형태의 눈부심 방지층의 볼록부는 상기 블랙매트릭스와 중첩되는 외곽 영역과 상기 블랙매트릭스와 비중첩되는 액티브 영역에서 서로 다른 폭을 가지는 눈부심 방지 글래스.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눈부심 방지층의 볼록부는 상기 외곽 영역보다 상기 액티브 영역에서 좁은 폭을 가지는 눈부심 방지 글래스.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굴절률 정합층 상의 외곽 영역에 배치되는 블랙매트릭스를 더 구비하며,
    상기 눈부심 방지층은 상기 블랙매트릭스와 비중첩되도록 상기 굴절률 정합층 상의 액티브 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눈부심 방지층은 비즈볼을 함유하며, 상기 블랙매트릭스는 상기 눈부심 방지층의 비즈볼과 같거나 큰 직경을 가지는 제2 비즈볼을 함유하는 눈부심 방지 글래스.
  9.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과;
    상기 표시 패널 상에 부착되는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의 눈부심 방지 글래스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굴절률 정합층 및 눈부심 방지층 중 어느 하나 상에 배치되는 터치 패널용 전극을 더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50172292A 2015-12-04 2015-12-04 눈부심 방지 글래스 및 그를 가지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4589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2292A KR102458905B1 (ko) 2015-12-04 2015-12-04 눈부심 방지 글래스 및 그를 가지는 디스플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2292A KR102458905B1 (ko) 2015-12-04 2015-12-04 눈부심 방지 글래스 및 그를 가지는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5921A true KR20170065921A (ko) 2017-06-14
KR102458905B1 KR102458905B1 (ko) 2022-10-25

Family

ID=592183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2292A KR102458905B1 (ko) 2015-12-04 2015-12-04 눈부심 방지 글래스 및 그를 가지는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890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571563A (zh) * 2021-07-23 2021-10-29 云谷(固安)科技有限公司 显示面板、显示面板制备方法及显示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2093A (ko) * 2001-12-20 2003-06-26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용 잉크젯 방식 반사층
JP2010079099A (ja) * 2008-09-26 2010-04-08 Fujifilm Corp 防眩フィルム、反射防止フィルム、偏光板及び画像表示装置
KR20100132785A (ko) * 2009-06-10 2010-12-20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반사방지 필름,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표시 장치
KR101020924B1 (ko) * 2007-09-28 2011-03-09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 디스프레이즈 액정 표시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2093A (ko) * 2001-12-20 2003-06-26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용 잉크젯 방식 반사층
KR101020924B1 (ko) * 2007-09-28 2011-03-09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 디스프레이즈 액정 표시 장치
JP2010079099A (ja) * 2008-09-26 2010-04-08 Fujifilm Corp 防眩フィルム、反射防止フィルム、偏光板及び画像表示装置
KR20100132785A (ko) * 2009-06-10 2010-12-20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반사방지 필름,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표시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571563A (zh) * 2021-07-23 2021-10-29 云谷(固安)科技有限公司 显示面板、显示面板制备方法及显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8905B1 (ko) 2022-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2447931B (zh) 一种显示面板及显示装置
US9274255B2 (en) Light-diffusion member,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display device
US9341345B2 (en) Light diffusion member,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and display device
US8390770B2 (en) Liquid crystal display, color filter substrat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10061150B2 (en) Light control film,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light control film
WO2017071404A1 (zh) 一种光学结构及其制作方法以及显示基板和显示器件
WO2011158752A1 (ja) 表示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2012157512A1 (ja) 光拡散部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表示装置
WO2012081410A1 (ja) 光拡散部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表示装置
US10670895B2 (en) Cover glass,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cover glass
KR20210135948A (ko) 커버 윈도우,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WO2011162013A1 (ja) 表示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2017070891A1 (en) Color filter substrate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oled structure, related display panel, and related display device
KR100672144B1 (ko) 전기 광학 장치 및 전자 기기
JP2005099467A (ja) 電気光学装置
US11527598B2 (en) Display device
KR20030081089A (ko) 마스크, 광 반사막 부착 기판, 광 반사막의 제조 방법, 및광학 표시 장치, 및 전자 기기
CN110488528B (zh) 一种显示装置
KR102458905B1 (ko) 눈부심 방지 글래스 및 그를 가지는 디스플레이 장치
JP3823961B2 (ja) 反射基板の製造方法及び電気光学装置の製造方法
KR100805493B1 (ko) 액정 장치 및 전자기기
CN114973989A (zh) 拼接显示面板和拼接显示器
WO2014092017A1 (ja) 光拡散部材及び表示装置
TWI714050B (zh) 顯示裝置
JP5859928B2 (ja) 光拡散部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