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7167B1 - 10개 한글 기본자음을 이용한 만국 발음 입력장치 - Google Patents

10개 한글 기본자음을 이용한 만국 발음 입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7167B1
KR100927167B1 KR1020070107079A KR20070107079A KR100927167B1 KR 100927167 B1 KR100927167 B1 KR 100927167B1 KR 1020070107079 A KR1020070107079 A KR 1020070107079A KR 20070107079 A KR20070107079 A KR 20070107079A KR 100927167 B1 KR100927167 B1 KR 1009271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consonant
consonants
hangul
butt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70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41527A (ko
Inventor
신부용
Original Assignee
신부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부용 filed Critical 신부용
Priority to KR10200701070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7167B1/ko
Publication of KR200900415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15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71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71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8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riental charac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전화기, 전자수첩, 휴대용 정보 단말기 등에 한글 자음을 입력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며 더욱 정확하게는 10개 한글 기본자음을 이용한 만국 발음 입력장치(Universal Phoneme Input Device Using the 10 Basic Hangul Consonants)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한글의 기본자음이 ㄱ,ㄴ,ㄷ,ㄹ,ㅁ,ㅂ,ㅅ,ㅈ,ㅎ 10개이고 다른 모든 자음은 이 열 글자를 활용한 합용병서로 이루어진다는 훈민정음의 원리에 의해 자음 단추 10개를 지정하여 한 단추에 자음 하나씩을 독립적으로 배치하고 다른 복합자음들은 구성하는 2개 내지 3개의 기본 글자의 단추를 동시에 혹은 연속해서 눌러 합용병서를 통해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한 단추에 자음 하나씩 만을 배치하기 때문에 단추의 위치를 기억하기 쉽고 모든 글자를 한 타로 구현하므로 타속이 빠른 이 외에도 많은 이점을 얻을 수 있다.
첫째, 단추의 모양을 그 단추가 나타내는 글자의 모양을 따서 어둠 속에서나 혹은 앞을 보지 못하는 맹인이라도 단추를 만져서 식별할 수 있도록 하였고 둘째, 단추를 누를 때마다 고유의 소리를 내어 사용자가 원하는 단추를 눌렀는지를 들어서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셋째, 한 단추에 하나의 글자만 배치되어 있으므로 글자의 충돌을 없앨 수 있다. 예를 들어 종전에는 한 단추에 흔히 'ㄴ' 과 'ㄹ' 을 동시에 배치하여 한 번만 누르면 'ㄴ' 이 나오고 두 번 누르면 'ㄹ' 이 나오므로 ‘간난’을 칠 때처럼 'ㄴ' 이 두 번 나오는 경우 ‘가란’ 이 되는데 이러한 폐단이 없어지는 것이다. 넷째, 두 단추를 동시에 눌러 합성어를 만들 수 있다.
위의 예에서처럼 'ㄱ' 과 'ㅎ' 을 쳐서 'ㅋ' 을 만들 수 있으며 한글에서는 쓰이지 않지만 훈민정음의 순경음처럼 'ㅇ'과 'ㅂ' 을 쳐서 (ㅇㅂ) 을 만들어 영어의 ‘v’를 나타내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아무 제약 없는 합용병서를 통해 어떤 소리의 필요에 따라 글자를 만들어 쓸 수 있으므로 세계 어느 나라 언어라도 쉽게 표기할 수 있게 되어 한글 세계화와 세계 문맹퇴치를 달성할 수 있게 될 것이다.
한글입력장치, 한글 기본자음, 만국 발음 장치

Description

10개 한글 기본자음을 이용한 만국 발음 입력장치{Universal Phoneme Input Device Using the 10 Basic Hangul Consonants}
본 발명은 휴대용 전화기, 개인 휴대용 정보 단말기(PDA ; Personal Digital Assistant), 휴대용 전자수첩, 휴대용 전자사전 등의 휴대용 단말기 혹은 일반적인 전자기기의 문자입력장치에서 한글을 입력하기 위한 한글 자음 입력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존의 글쇠판 틀을 벗어나 자음단추를 10개 지정하여 한글의 기본 자음 10 글자를 각기 하나의 단추에 배치하고 다른 자음은 이들 기본자음을 합용병서함으로써 훈민정음의 원리에 따라 세상의 모든 음성을 쉽고 편하게 입력시킬 수 있는 한글 자음 입력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휴대용 단말기, 특히 휴대용 전화기에서 한글 자음을 입력하기 위한 글쇠판 구조는 통상 24개 한글 자모와 특수 부호를 4 x 3 형상으로 배치 된 12 개의 단추(글쇠 혹은 문자 키)에 나누어 배열하는‘압축’ 방법과 전자수첩이나 최근의 일부 스마트폰에서 통상적으로 쓰이는 바와 같이 30개 전후의 단추로 이루어지는 영어의 QWERTY 글쇠판의 단추 하나에 한글 자모를 한 글자씩을 배치하는‘분산’ 배치방법 두 가지가 사용되었다.
압축 방법에 의한‘압축식’글쇠판은 12개 단추에 24개의 한글자모와 그 합용을 수용하기 위해 한 단추 당 2개 내지 3개의 글자를 중복하여 배치하게 되므로 원하는 글자를 선택하려면 두 번 세 번 반복해 누르는 등 특정한 방법을 써야 했으며, 단추와 단추 간에 ‘문자의 충돌’이 일어나고 또한 화면의 규격이 작고 단추의 수가 제한되어 있어서 다양한 편집 기능을 구사할 수 없는 폐단이 있었다.
또한, 분산 배치방법에 의한‘분산식’글쇠판은 30개 전후의 단추를 좁은 공간에 배치하느라고 단추가 작아지고 밀집 배치되어 선택이 어렵고, 손이 크거나 눈이 어두운 사람들은 오타 발생이 많은 폐단이 있어 결국 휴대용 단말기의 문자입력방식은 어느 것이나 다 만족스럽지 못하여 사용에 제약을 받을 뿐 아니라 보급을 둔화시키고 있었다.
위 압축식 글쇠판의 경우 일어나는‘문자의 충돌’이라는 것은 예를 들어, 한 단추에 흔히 'ㄴ' 과 'ㄹ' 을 동시에 배치하여 한번을 누르면 'ㄴ'이 나오고 두 번 누르면 'ㄹ' 이 나오도록 하는데 ‘간난'을 칠 때처럼 'ㄴ'이 두 번 나오는 경우 ‘가란’ 이 되고 만다.
또한,‘ㄲ'과 같은 겹자 음을 칠 경우에는 해당하는 단추(이 경우 'ㄱ' 단추)를 두 번 누르도록 하는데 동일한 자음이 겹치는 경우 예를 들어, 낙고'를 친다면‘나꼬'로 되기 쉬우며‘낚고'를 칠 경우에는‘낙꼬'가 될 수 있는 것을 말한다.
또한, 압축 식이건 분산 식이건 종래의 한글 입력방식은 현 한글의 맞춤법 테두리를 벗어나는 표기가 불가능하여 영어의 p 와 f ; r 과 |; v 와 b 를 구별하여 표기하는 방법이 없고 또한 중국어의 권설음을 표기하지 못하여 우리나라 사람들의 외국어 학습을 어렵게 하고 결과적으로 학습능력을 떨어뜨리고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훈민정음의 목적과 특성을 살려 한글을 이용한 만국 음성부호 입력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우리나라에서의 사용은 물론 문자가 없거나 어려워 휴대용 전자 단말기의 사용이 어려운 나라 사람들이 보다 용이하게 현대 전자 통신기술을 사용하는 혜택을 받도록 하는 것을 주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타속이 빠르고 글쇠판의 인식이 쉬워 보다 편하고 효율적인 휴대용 단말기 문자입력방식을 제공함으로써, 소형화 추세에 있는 전자 통신기기 기술발전과 보급을 촉진시켜 우리나라의 기술발전에 기여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 세계 맹인들이 글쇠판을 만져서 글자를 인식하는 방법으로 휴대용 전자통신기 단말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 세계에서 본 발명에 의해 한글을 사용하여 자국 문자 입력을 빠르고 편하게 하도록 함으로써 한글의 세계화를 달성하고 우리나라가 문화선진국으로써 자리매김을 하도록 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휴대용 전화기의 글쇠판에 한글 자음 입력 단추가 배치된 한글 자음 입력 장치에 있어서, 한글 자음의 기본이 되는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ㅎ'으로 이루어진 10개의 자음을 각기 한 개의 단추에 한 글자씩을 독립적으로 배치하되, 상기 휴대용 전화기의 글쇠판 왼쪽 위에서부터 아래로 'ㄴ' 단추, 'ㄹ' 단추, 'ㅅ' 단추, 'ㅁ' 단추를 차례로 종렬 배치하고, 이 첫째 종렬의 오른쪽으로 위에서부터 아래로 'ㅈ' 단추, 'ㅇ' 단추, 'ㄱ' 단추를 종렬 배치하며, 이 둘째 종렬의 오른쪽으로 다시 'ㄷ' 단추, 'ㅂ' 단추를 배치하고, 이 셋째 종렬의 오른쪽으로 'ㅎ' 단추를 배치하여 기본 10개의 자음이 왼쪽에서부터 4개의 자음, 3개의 자음, 2개의 자음, 1개의 자음이 각각 종렬 배치된 10개의 자음 단추를 포함하며, 상기 10개의 자음 단추 중 특정 단추를 반복하여 누르거나 혹은 두 개 이상의 단추를 동시 혹은 연속으로 눌러 그 구성 음소로 이루어지는 경음, 격음 혹은 복합음의 음가를 구현하고, 상기 10개의 자음 단추의 모양을 각각의 단추가 제공하는 자음의 모양에 따라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자음 입력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10개의 자음 단추 사이에 구성되어 하나의 단추로 두 개 이상의 단추를 동시에 누름과 같은 기능을 수행하도록 장치한 복합자음 단추가 추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자음 입력 장치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한 단추에 자음 하나씩 만을 배치함으로써 글쇠의 인식도가 높고 어느 자음이라도 한 글자를 한 타로 칠 수 있으므로 타속이 빠르고 편하게 자음을 입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단추의 모양을 그 단추가 나타내는 글자의 모양을 본 따 만들어 어둠 속에서나 혹은 앞을 보지 못하는 맹인이라도 단추를 만져서 식별할 수 있으며, 단추를 누를 때마다 고유의 ‘자음’ 소리를 내어 사용자가 원하는 단추를 눌렀는지를 들어서 확인할 수 있어 맹인들의 사용을 더욱 편리하게 하고 정상인들에게도 도움이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한 단추에 하나의 글자만을 배치되어 있으므로 종전의 입력장치에서 연속 타에 의한 글자의 충돌을 없앨 수 있으며, 두 단추를 동시에 눌러 합성어를 만들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간단하고 규모가 작은 글쇠판을 사용하면서도 문자 입력이 편하고 기능이 다양한 자음입력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휴대용 전자통신단말기 기술의 발전을 촉진함으로써 이 분야에서 우리나라의 기술수준을 한 단계 올려 기술 우위를 점하게 하는 성과를 거둘 수 있게 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은 휴대용 전화기의 글쇠판에 한글 자음 입력 단추가 배치된 한글 자음 입력 장치에 있어서, 한글 자음의 기본이 되는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ㅎ'으로 이루어진 10개의 자음을 각기 한 개의 단추에 한 글자씩을 독립적으로 배치하되, 상기 휴대용 전화기의 글쇠판 왼쪽 위에서부터 아래로 'ㄴ' 단추, 'ㄹ' 단추, 'ㅅ' 단추, 'ㅁ' 단추를 차례로 종렬 배치하고, 이 첫째 종렬의 오른쪽으로 위에서부터 아래로 'ㅈ' 단추, 'ㅇ' 단추, 'ㄱ' 단추를 종렬 배치하며, 이 둘째 종렬의 오른쪽으로 다시 'ㄷ' 단추, 'ㅂ' 단추를 배치하고, 이 셋째 종렬의 오른쪽으로 'ㅎ' 단추를 배치하여 기본 10개의 자음이 왼쪽에서부터 4개의 자음, 3개의 자음, 2개의 자음, 1개의 자음이 각각 종렬 배치된 10개의 자음 단추를 포함하며, 상기 10개의 자음 단추 중 특정 단추를 반복하여 누르거나 혹은 두 개 이상의 단추를 동시 혹은 연속으로 눌러 그 구성 음소로 이루어지는 경음, 격음 혹은 복합음의 음가를 구현하고, 상기 10개의 자음 단추의 모양을 각각의 단추가 제공하는 자음의 모양에 따라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자음 입력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10개 한글 기본자음을 이용한 만국 발음 입력장치’를 실시예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10개 한글 기본자음을 이용한 만국 발음 입력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한 한글 자음 입력 장치를 개인 휴대용 정보 단말기나 전자사전에 장착한 10개 자음 단추 및 11개 복합자음 단추의 배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한글 자음 입력 장치는 글쇠판 왼쪽 위로부터 아래로 각기 그 글자의 모양을 보이도록 한 'ㄴ' 단추(1), 'ㄹ' 단추(2), 'ㅅ' 단추(3), 'ㅁ' 단추(4)를 차례로 종렬 배치하고, 이 첫째 종렬의 오른쪽으로 위에서부터 아래로 'ㅈ' 단추(5), 'ㅇ' 단추(6), 'ㄱ' 단추(7)를 같은 요령으로 종렬 배치하였으며, 그 오른쪽으로 다시 'ㄷ' 단추(8), 'ㅂ' 단추(9)를 배치하고, 마지막으로 그 오른쪽으로 'ㅎ' 단추(10)를 배치하여 기본 10개 자음이 왼쪽으로부터 4개의 자음, 3의 자음, 2개의 자음, 1 개의 자음이 각각 종렬로 배치된 10개의 자음 단추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10개의 자음 단추에 배치된 각각의 단추들은 합용병서에 편하도록 정해진 것이고 이보다 더 편한 방법으로 재배치가 가능함은 물론, 10개의 자음 단추의 형상은 각각의 단추에 해당하는 자음의 모양으로 형성되어 어두운 장소와 같은 식별이 용이하지 못한 장소 또는 맹인들이 더욱 편리하게 사용 가능토록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10개의 자음 단추를 누를 때마다 해당하는 자음을 소리로 알려줌으로써, 더욱 편리하게 사용 가능할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한글 자음 입력 장치는 하나의 단추에 하나의 글자(자음)만이 배치되어 있으므로 종전의 입력장치에서 연속 타에 의한 글자의 충돌을 없앨 수 있으며, 두 단추를 동시에 눌러 합성어를 만들 수 있게 된다.
즉, 종래에는 한 단추에 흔히 'ㄴ' 과 'ㄹ' 을 동시에 배치하여 한 번만 누르면 'ㄴ' 이 나오고 두 번 누르면 'ㄹ' 이 나오므로 ‘간난’을 칠 때처럼 'ㄴ' 이 두 번 나오는 경우‘가란'이 되는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게 되어 전술한 10개의 자음 단추 중 특정 단추를 반복하여 누르거나, 두 개 이상의 단추를 동시 혹은 연속으로 눌러 그 구성 음소로 이루어지는 경음, 격음, 및 복합음의 음가를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하나의 단추에 하나의 글자(자음)가 배치된 10개 자음으로 이루어진 한글 자음 입력 장치를 기초로 하여 합용에 의한 복합자음 단추를 배치하였다.
복합자음 단추는 자음 단추 중 두개의 자음 단추를 동시에 입력하는 방법을 통해 복합자음의 입력도 가능할 것이나, 이를 더욱 편하게 하기 위해 각각의 자음 단추 사이에 복합자음 단추를 별도로 배치하여 한 번의 입력으로 복합자음이 입력되어 편하게 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와 같은 복합자음 단추는 'ㅇ' 단추(6)와 합쳐져 순음을 표기하도록 'ㅇ' 단추(6)를 중심으로 'ㅇㅈ' 단추(11), 'ㅇㄷ' 단추(12), 'ㅇㅂ' 단추(13), 'ㅇㄱ' 단추(14), 'ㅇㅅ' 단추(15), 'ㅇㄹ' 단추(16)를 배치하였으며, 'ㅎ' 단추(10)를 중심으로 'ㅈㅎ' 단추(17), 'ㄷㅎ' 단추(18), 'ㅂㅎ' 단추(19), 'ㄱㅎ' 단추(20)를 배치하였다.
특히, 'ㅇ' 단추(6), 'ㅂ' 단추(9), 'ㅎ' 단추(10)의 사이에 구성되어 이 세 개의 자음 'ㅇㅂㅎ' 을 동시에 누르는 효과를 갖도록 하여 영어의 f 음가를 나타내도록 한 'ㅇㅂㅎ' 단추(21)가 배치된다.
예를 들어, 'ㄱ' 단추(7)와 'ㅎ' 단추(10)를 동시에 입력하여 자음 'ㅋ' 을 생성할 수 있으며, 한글에서는 쓰이지 않지만 훈민정음의 순경음처럼 'ㅇ' 단추(6)와 'ㅂ' 단추(9)를 입력하여 'ㅇ,ㅂ' 단추(13)를 만들어 영어의‘v’를 나타내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자음의 합성 기능은 무제한적이어서 영어 뿐만 아니라, 특정 외국어를 위해 별도로 얼마든지 정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프랑스어의‘r' 발음은 'ㅎ'발음이 강하므로 (ㄹㅎ)으로 표기할 수 있을 것이나 이는 어디까지나 하나의 예이고 얼마든지 다른 복합자음을 만들어 쓸 수 있게 된다.
이 밖에 각 복합자음 단추들이 표기할 수 있는 음가를 제시하면 아래와 같다.
'ㅇㅈ’단추(11)는 영어의 'z'의 표기가 가능하고,‘ㅇㄷ' 단추(12)는 : 영어의 'ð'의 표기가 가능하며, 'ㅇㅂ' 단추(13)는: 영어의 'v'의 표기가 가능하다.
또한, 'ㅇㄱ' 단추(14)는: 영어의 'g'의 표기가 가능하고,‘ㅇㅅ' 단추(15)는 영어 she 의 'sh'의 표기가 가능하며,‘ㅇㄹ' 단추(16)는: 영어의 'r'의 표기가 가능한 것이다.
또한, 'ㅈㅎ' 단추(17)는 중국어의 'zh'의 표기가 가능하고, 'ㄷㅎ' 단추(18)는 'ㅌ'의 표기가 가능하며,‘ㅂㅎ' 단추(19)는 'ㅍ'의 표기가 가능하고,‘ㄱㅎ’단추(20)는: 'ㅋ'의 표기가 가능하다. 그리고,‘ㅇㅂㅎ’단추(21)는: 영어의 'f' 등의 표기가 가능한 것이다.
삭제
삭제
삭제
상기에 보인 것은 앞으로 많이 쓰일 것이라고 생각되는 복합자음을 사례로 보였을 뿐, 필요에 따라 합용에 의해 더 많은 복합자음을 생성해 낼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자음을 반복하거나 복합하여 그 구성 음소가 나타내는 음가를 표기하도록 할 수 있는 기능은 훈민정음만이 가진 자랑스런 기능으로 이를 십분 활용하여 한글을 국제 발음기호로 씀으로써 한글의 세계화에 기여할 것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10개 한글 기본자음을 이용한 만국 발음 입력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한 한글 자음 입력 장치를 개인 휴대용 정보 단말기나 전자사전에 장착한 10개 자음 단추 및 11개 복합자음 단추의 배열을 나타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ㄴ' 단추 11: 'ㅇㅈ’단추 17: 'ㅈㅎ' 단추
2: ‘ㄹ’단추 12: 'ㅇㄷ' 단추 18: 'ㄷㅎ' 단추
3: 'ㅅ' 단추 13: 'ㅇㅂ' 단추 19: 'ㅂㅎ' 단추
4: ‘ㅁ’단추 14: 'ㅇㄱ' 단추 20: 'ㄱㅎ’단추
5: ‘ㅈ’단추 15: 'ㅇㅅ' 단추 21: 'ㅇㅂㅎ’단추
6: ‘ㅇ’단추 16: 'ㅇㄹ' 단추
7: ‘ㄱ’단추
8: 'ㄷ’단추
9: 'ㅂ’단추
10:‘ㅎ’단추

Claims (5)

  1. 휴대용 전화기의 글쇠판에 한글 자음 입력 단추가 배치된 한글 자음 입력 장치에 있어서,
    한글 자음의 기본이 되는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ㅎ'으로 이루어진 10개의 자음을 각기 한 개의 단추에 한 글자씩을 독립적으로 배치하되, 상기 휴대용 전화기의 글쇠판 왼쪽 위에서부터 아래로 'ㄴ' 단추, 'ㄹ' 단추, 'ㅅ' 단추, 'ㅁ' 단추를 차례로 종렬 배치하고, 이 첫째 종렬의 오른쪽으로 위에서부터 아래로 'ㅈ' 단추, 'ㅇ' 단추, 'ㄱ' 단추를 종렬 배치하며, 이 둘째 종렬의 오른쪽으로 다시 'ㄷ' 단추, 'ㅂ' 단추를 배치하고, 이 셋째 종렬의 오른쪽으로 'ㅎ' 단추를 배치하여 기본 10개의 자음이 왼쪽에서부터 4개의 자음, 3개의 자음, 2개의 자음, 1개의 자음이 각각 종렬 배치된 10개의 자음 단추를 포함하며,
    상기 10개의 자음 단추 중 특정 단추를 반복하여 누르거나 혹은 두 개 이상의 단추를 동시 혹은 연속으로 눌러 그 구성 음소로 이루어지는 경음, 격음 혹은 복합음의 음가를 구현하고, 상기 10개의 자음 단추의 모양을 각각의 단추가 제공하는 자음의 모양에 따라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자음 입력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10개의 자음 단추 사이에 구성되어 하나의 단추로 두 개 이상의 단추를 동시에 누름과 같은 기능을 수행하도록 장치한 복합자음 단추가 추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자음 입력 장치.
KR1020070107079A 2007-10-24 2007-10-24 10개 한글 기본자음을 이용한 만국 발음 입력장치 KR1009271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7079A KR100927167B1 (ko) 2007-10-24 2007-10-24 10개 한글 기본자음을 이용한 만국 발음 입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7079A KR100927167B1 (ko) 2007-10-24 2007-10-24 10개 한글 기본자음을 이용한 만국 발음 입력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1527A KR20090041527A (ko) 2009-04-29
KR100927167B1 true KR100927167B1 (ko) 2009-11-18

Family

ID=407645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7079A KR100927167B1 (ko) 2007-10-24 2007-10-24 10개 한글 기본자음을 이용한 만국 발음 입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716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22449A (ko) * 2005-08-22 2007-02-27 이성일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동통신 단말기의 한글 입력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22449A (ko) * 2005-08-22 2007-02-27 이성일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동통신 단말기의 한글 입력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1527A (ko) 2009-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523343B2 (ja) キー入力装置およびキー入力方法
US20100125449A1 (en) Integratd phonetic Chinese system and inputting method thereof
KR20000007129A (ko) 정보통신기기의 한글 입력방법 및 그 자판 배열
KR100336493B1 (ko) 전화기의 한글 입력용 자판 시스템
KR100927167B1 (ko) 10개 한글 기본자음을 이용한 만국 발음 입력장치
KR101038727B1 (ko) 라틴 문자 입력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
KR101140767B1 (ko) 확장된 한글 표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입력장치와 입력방법
KR100768696B1 (ko) 한글자판 및 이를 이용한 한글 입력장치
JP3110695B2 (ja) キー入力装置
KR100577675B1 (ko) 한글 키패드
JP2000276288A (ja) 携帯端末
JP2008139835A (ja) 発音学習法
KR100764113B1 (ko) 문자입력장치
KR200202828Y1 (ko) 8버튼식 한글 입력단추
KR100888878B1 (ko) 키보드 및 입력 방법
JP2001075708A (ja) キー入力装置および日本語入力方法
KR100373330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한글문자 입력 방법
KR100428691B1 (ko) 한글 입력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1067769B (zh) 一种利用数字进行输入文字的方法
TW394889B (en) Characters input device of electrical equipment
KR20010108653A (ko) 정음 한글/알파벳 입력장치
KR200318329Y1 (ko) 숫자 키패드를 통한 한글입력 장치 및 방법
JP2002229721A (ja) 日本語の音節表記に基づく簡易型文字入力装置
KR100741639B1 (ko) 기본자를 이용한 문자 표시방법
KR20010069805A (ko) 키패드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