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7078B1 - 관리기용 작업기미션 클러치 - Google Patents

관리기용 작업기미션 클러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7078B1
KR100927078B1 KR1020070113831A KR20070113831A KR100927078B1 KR 100927078 B1 KR100927078 B1 KR 100927078B1 KR 1020070113831 A KR1020070113831 A KR 1020070113831A KR 20070113831 A KR20070113831 A KR 20070113831A KR 100927078 B1 KR100927078 B1 KR 1009270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utch
work
cam
shaft
mana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38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47797A (ko
Inventor
김웅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세아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세아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세아텍
Priority to KR10200701138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7078B1/ko
Publication of KR200900477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77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70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70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 B60K17/02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clutch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71/00Construction or arrangement of setting or adjusting mechanisms, of implement or tool drive or of power take-off; Means for protecting parts against dust, or the like; Adapting machine elements to or for agricultural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vehicle transmissions, or part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oil Working Implements (AREA)
  • Mechanical Operated Clu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작업 중 방향 전환이나 근거리 이동시에는 작업기를 구동하지 않도록 한 관리기용 작업기미션 클러치에 관한 것으로서, 관리기의 엔진 동력이 작업기미션에 구비되는 피동축을 통하여 작업기구동축에 전달하는 것을 작업자의 선택에 의하여 핸들에서 제어할 수 있는 작업기미션 클러치를 더 구비하고;
상기 작업기미션 클러치는 피동축에 구비되는 피동기어와 체인기어 사이에 구비하여 체인기어로의 동력전달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도그클러치와, 상기 작업기미션에 장착되어 도그클러치를 온,오프 되도록 제어하는 클러치제어캠과, 상기 핸들에 설치되어 클러치제어캠을 제어하는 클러치레버로 구성하는 것이 특징이다.
Figure R1020070113831
관리기, 작업기, 클러치

Description

관리기용 작업기미션 클러치{CLUTCH FOR WALKING TYPE MOVABLE AGRICULTURAL MACHINE}
본 발명은 관리기용 작업기미션 클러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관리기의 작업기를 구동하는 작업기미션에서 작업기구동축으로의 동력전달의 선택을 핸들에서 제어할 수 있도록 개선한 관리기용 작업기미션 클러치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관리기는 이용자가 핸들을 잡고 보행하면서 구굴작업, 쟁기작업, 로터리작업, 두둑성형작업, 파쇄작업, 제초작업 등 다양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관리기는 엔진의 동력을 전달받는 트랜스미션과 상기 트랜스미션의 동력을 전달받아 작업기를 구동시킬 수 있도록 관리기의 전방에 구비되는 작업기미션으로 동력이 전달된다.
상기 작업기미션에는 트랜스미션의 동력을 작업기미션으로 전달과 차단하기 위한 작업기미션클러치(1)가 구비되며, 이를 도 6을 통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관리기용 작업기미션 클러치(1)는 작업기미션(2)을 구성하는 미션케이스(3) 의 상측에 돌출되게 작동관(4)을 고정하고, 상기 작동관(4)의 내부에는 작동바(5)를 개재한다.
상기 작동바(5)의 하단부에는 미션케이스(3)의 상부 내측에 설치되는 클러치기어(6)를 좌,우측으로 이동시켜 동력을 전달을 선택하는 클러치(7) 작동을 위한 작동핀(8)을 가지도록 한다.
상기 작동바(5)의 상단부에는 동력의 절환을 선택할 수 있는 작동레버(9)를 연결하고, 상기 클러치(7)의 중간 위치에는 클러치샤프트(10)에 동력전달상태를 선택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스톱홈(11)과 치합될 수 있는 스토퍼(12)를 구비한다.
상기 스토퍼(12)는 스톱홈(11)에 치합되는 강구(13)와 상기 강구(13)를 가압하기 위한 스프링(14)으로 구성하여 작동레버(9)의 선택에 의하여 작동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술에서는 관리기의 전방에 구비되는 작업기미션에 구비되는 작동레버를 이용하여 동력전달과 미전달만을 선택하여 작업기의 구동 유무만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이유에 의하여 작업기를 장착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작동레버를 동력차단 상태로 전환하고, 작업기를 장착한 상태에서는 작동레버를 동력전달 상태로 전환하여 이동 또는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관리기에 작업기를 장착한 상태에서는 항상 동력전달 상태로 작동레버를 전환하기 때문에 이동중 또는 작업중 방향전환 등과 같이 실질적으로 작업기로 동력전달이 필요없는 상황에서도 항상 작업기는 구동하는 형태가 된다.
관리기에 장착된 작업기로 계속하여 동력이 전달될 경우에는 이동중일 경우또는 작업 중 선회시 작업기와 지면의 돌출부 등이 부딪치면서 작업기의 손상이 우려되는 것은 물론, 충격으로 인하여 관리기에 까지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관리기와 작업기의 내구성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된다.
또한, 충격으로 비산 되는 파편에 의하여 작업자 또는 주변의 사람에게 신체적 손상을 입히게 되는 것은 물론, 작업지와 인접한 두둑을 손상시키게 되는 등 여러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관리기의 엔진 동력이 작업기미션에 구비되는 피동축을 통하여 작업기구동축에 전달하는 것을 작업자의 선택에 의하여 핸들에서 제어할 수 있는 작업기미션 클러치를 더 구비하고;
상기 작업기미션 클러치는 피동축에 구비되는 피동기어와 체인기어 사이에 구비하여 체인기어로의 동력전달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도그클러치와, 상기 작업기미션에 장착되어 도그클러치를 온,오프 되도록 제어하는 클러치제어캠과, 상기 핸들에 설치되어 클러치제어캠을 제어하는 클러치레버로 구성하여 작업 중 방향 전환이나 근거리 이동시에는 작업기를 구동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은 관리기에 작업기를 장착한 상태에서도 핸들에 구비되는 레버를 이용하여 작업기미션에서 관리기를 구동시키기 위한 작업기구동축으로의 동력전달과 차단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이동 또는 방향 전환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의 우려를 배제하고 관리기의 품질과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등 다양한 효과를 가지는 발명이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과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관리기용 작업기미션 클러치가 적용된 관리기를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관리기용 변속 기를 도시한 단면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관리기용 작업기미션 클러치의 손잡이 부위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관리기용 작업기미션 클러치의 클러치부위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관리기용 작업기미션 클러치가 적용된 변속기를 발췌한 단면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통상적인 보행형 관리기(100)는 엔진(101)을 장착한 프레임(102)이 구비되고, 상기 엔진(101)의 동력을 바퀴(103)와 작업기미션(104)으로 전달하는 트랜스미션(105)을 구비한다.
상기 프레임(102)의 후방에는 관리기 조작을 위한 레버(107)를 가지는 핸들(108)이 구비되고, 상기 작업기미션(104)의 상부에는 작업기(109)를 구동시키기 위한 동력의 전달 유무를 선택하기 위한 클러치레버(110)를 구비하는 구성이다.
상기 작업기미션(104)에는 트랜스미션(105)의 동력을 전달받는 주축(111)과 상기 주축(111)의 동력을 피동축(112)으로 전달하는 아이들축(113)이 상측에 구비되고, 상기 피동축(112)과 체인(114)으로 연결되어 작업기를 구동시키는 작업기구동축(115)이 하측에 구비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피동축(112)의 동력을 작업기구동축(115)에 전달하는 것을 작업자의 선택에 의하여 절환할 수 있도록 작업기미션 클러치(120)를 더 구비하여 작업기를 장착한 상태에서 이동 중이거나 방향 전환시 작업기구동축(115)으로 동력 전달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상기 피동축(112)에 구비되는 피동기어(211)와 체인기어(122) 사이에 도그클러치(123)를 구비하여 체인기어(122)로의 동력전달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도그클러치(123)는 작업기미션(104)에 장착되는 클러치제어캠(125)에 의하여 온,오프 되도록 하고, 상기 클러치제어캠(125)은 핸들(108)에 설치되는 클러치레버(126)에 의하여 제어되도록 구성한다.
상기 클러치제어캠(125)은 작업기미션(104)의 케이스(130)에 고정되는 고정캠(131)에 캠샤프트(132)를 횡 방향으로 결합하고, 상기 캠샤프트(132)에는 고정캠(132)과 치합되는 가동캠(133)을 고정한다.
상기 캠샤프트(132)의 내측에는 도그클러치(123)와 치합되는 포크(134)를 캠샤프트(132)에 대하여 회전(움직임)이 자유롭도록 구비하여 캠샤프트(132)가 축방향으로 전,후진함에 의하여 도그클러치(123)를 온.오프 시키도록 한다.
상기 고정캠(131)과 가동캠(133)의 연접면에는 치형돌기(135)를 형성하고, 상기 치형돌기(135)의 어느 한 방향에는 경사면(136)을 형성하여 캠샤프트(132)가 회전함으로서 가동캠(133)이 회전하면서 고정캠(131)을 벗어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캠샤프트(132)의 외측에는 클러치레버(126)와 와이어(137)와 연결되는 작동레버(138)와 고정하여 상기 작동레버(138)에 의하여 캠샤프트(132)가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작동레버(138)의 와이어(137) 연결지점과 캠샤프트(132) 연결지점은 편심을 가지도록 하여 와이어(137)의 당김에 의하여 캠샤프트(132)가 회전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고정캠(131)과 작동레버(138) 사이에는 스프링(140)을 개재하여 캠샤프트(132)를 항상 후퇴 위치에 있도록 함으로서 평상시에는 도그클러치(123)가 오프되도록 한다.
상기 클러치레버(126)는 핸들(108)에 힌지 연결되어 전,후 방향으로 움직이는 손잡이(145)와 링크(146)로 연결하고, 상기 링크(146)에는 작동레버(138)에 일단이 연결된 와이어(137)와 연결하여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링크(146)와 와이어(137) 사이에는 보상스프링(147)을 개재하여 도그클러치(123) 또는 고정 및 가동캠(131,133)이 치합되지 않고 이격된 상태에서 연접되었을 때 와이어(137)를 대신하여 이완되어 보상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와이어(137)와 연결되는 작동레버(138)에는 삽입슬로트(150)와 걸림턱(151)을 형성하여 와이어(137)의 연결과 해체를 용이하게 하면서 해체 후 재 조립시 조절된 와이어(138)를 재조절하지 않아도 되도록 구성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작업기미션 클러치(120)는,
작업기를 연결한 상태에서도 핸들(108)에 구비되는 클러치레버(126)의 손잡이(145)를 오프 상태로 두었을 경우에는 캠샤프트(132)는 작동레버(138)와 고정캠(131) 사이에 설치된 스프링(140)에 의하여 캠샤프트(132)가 작업기미션(104)의 외측 방향으로 밀려지기 때문에 가동캠(133)는 고정캠(131)과 치합된 상태에 있게 된다.
그리고, 캠샤프트(132)의 내측에 구비되는 포크(134) 또한 외측 방향으로 이동된 상태이므로 피동축(112)의 피동기어(211)와 체인기어(122) 사이에 설치되는 도그클러치(123) 역시 오프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엔진의 동력은 작업기미션(104)의 주축(111)과 아이들축(113) 및 피동축(112)의 피동기어(211)까 지만 전달된 상태가 된다.
그러므로, 작업기미션(104)의 하방에서 피동축(112)의 체인기어(122)와 체인(114)으로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받는 작업기구동축(115)으로는 전달되지 않아 작업기가 구동하지 않은 상태가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작업기로 동력을 전달하고자 할 경우에는 핸들(108)에 구비되는 손잡이(145)를 온 방향으로 이동 시킴으로서 손잡이(145)와 연결된 링크(146)와 와이어(137)를 통하여 클러치제어캠(125)의 작동레버(138)를 움직이게 된다.
상기 작동레버(138)와 연결된 캠샤프트(132)가 회동하게 되고 이 과정에서 캠샤프트(132)에 고정된 가동캠(133)은 작업기미션(104)의 케이스(130)에 고정된 고정캠(131)을 벗어나면서 내측 방향으로 축 이동하게 된다.
즉, 고정캠(131)과 가동캠(133)에 형성되는 치형돌기(135)가 서로 물려서 치합된 상태에서 캠샤프트(132)의 회전으로 치형돌기(135)에 어느 한 방향에 형성된 경사면(136)을 따라 자연스럽게 벗어나면서 치형돌기(135)의 끝 단면이 서로 연접된 상태가 된다.
그러므로, 상기 치형돌기(135) 만큼 캠샤프트(132)가 내측으로 이동하고 동시에 포크(134)도 이동하므로 상기 포크(134)와 결합 된 도그클러치(123)도 이동하여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로 전환하므로 엔진의 동력이 작업기로 연결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작업을 수행하다가 작업지에서 방향전환 또는 근거리 이동이 필요할 경우에는 핸들(108)에 구비되는 손잡이(145)를 오프 방향으로 이동함 으로서 작동레버(138)는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고, 캠샤프트(132)는 스프링(140)에 의하여 초기 위치로 복귀함으로서 쉽게 동력이 차단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작업기를 장착한 상태에서 작업 중 또는 이동 과정에서 핸들을 잡고 있는 상태에서 작업기로의 동력 전달 유무를 쉽게 제어할 수 있으므로 안전하고 편리하게 관리기를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관리기용 작업기미션 클러치가 적용된 관리기를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관리기용 변속기를 도시한 단면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관리기용 작업기미션 클러치의 손잡이 부위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관리기용 작업기미션 클러치의 클러치부위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관리기용 작업기미션 클러치가 적용된 변속기를 발췌한 단면도.
도 6은 종래 기술이 적용된 관리기용 작업기미션 클러치를 도시한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100; 관리기
110; 클러치레버
120; 작업기미션 클러치
123; 도그클러치
125; 클러치제어캠
126; 클러치레버
131; 고정캠
132; 캠샤프트
133; 가동캠
134; 포크
138; 작동레버

Claims (4)

  1. 엔진(101)을 장착한 프레임(102)에 엔진(101) 동력을 바퀴(103)와 작업기미션(104)으로 전달하도록 구비하는 트랜스미션(105)과;
    상기 프레임(108) 후방에 관리기 조작을 위한 레버(107)를 가지고 구비되는 핸들(108)과;
    상기 작업기미션(104)의 상부에 작업기(109)를 구동시키기 위한 동력의 전달 유무를 선택하도록 구비하는 클러치레버(110)와;
    상기 작업기미션(104)의 상측에는 트랜스미션(105)의 동력을 전달받는 주축(111)과;
    상기 주축(111)의 동력을 피동축(112)으로 전달하는 아이들축(113)이 구비되고;
    상기 피동축(112)과 체인(114)으로 연결되어 작업기를 구동시키는 작업기구동축(115)이 하측에 구비되는 관리기에 있어서;
    상기 피동축(112)의 동력을 작업기구동축(115)에 전달하는 것을 작업자의 선택에 의하여 절환할 수 있도록 작업기미션 클러치(120)를 더 구비하고;
    상기 작업기미션 클러치(120)는 피동축(112)에 구비되는 피동기어(211)와 체인기어(122) 사이에 구비하여 체인기어(122)로의 동력전달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도그클러치(123)와;
    상기 작업기미션(104)에 장착되어 도그클러치(123)를 온,오프 되도록 제어하는 클러치제어캠(125)과;
    상기 핸들(108)에 설치되어 클러치제어캠(125)을 제어하는 클러치레버(126)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기용 작업기미션 클러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제어캠(125)은 작업기미션(104)의 케이스(130)에 고정되어 캠샤프트(132)를 횡 방향으로 결합하는 고정캠(131)과;
    상기 캠샤프트(132)에는 고정캠(132)과 치합되는 가동캠(133)과;
    상기 캠샤프트(132)의 내측에 도그클러치(123)를 움직일 수 있도록 결합되는 포크(134)와;
    상기 고정캠(131)과 가동캠(133)의 연접면에 형성하는 치형돌기(135)와;
    상기 치형돌기(135)의 어느 한 방향에는 캠샤프트(132)의 회전으로 가동캠(133)이 자연스럽게 고정캠(131)을 벗어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경사면(136)과;
    상기 캠샤프트(132)의 외측에 클러치레버(126)와 와이어(137)로 연결되어 캠샤프트(132)를 회전시키는 작동레버(138)와;
    상기 고정캠(131)과 작동레버(138) 사이에 개재하여 캠샤프트(132)를 항상 후퇴 위치에 있도록 하는 스프링(140)을 포함하고;
    상기 작동레버(138)의 와이어(137) 연결지점과 캠샤프트(132) 연결지점은 와이어(137)의 당김에 의하여 캠샤프트(132)가 회전할 수 있도록 편심을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기용 작업기미션 클러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레버(126)는 핸들(108)에 힌지 연결되는 손잡이(145)와;
    상기 손잡이(145)와 연결되고 작동레버(138)에 일단이 연결된 와이어(137)와 연결되는 링크(146)를 포함하고;
    상기 링크(146)와 와이어(137) 사이에 개재하여 도그클러치(123) 또는 고정 캠(131)과 가동캠(133)이 치합되지 않고 이격된 상태에서 연접되었을 때 와이어(137)를 대신하여 이완되는 보상스프링(147)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기용 작업기미션 클러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137)와 연결되는 작동레버(138)에는 와이어(137)의 연결과 해체를 용이하게 하면서, 재조립시 조절된 와이어(138)의 재조절이 필요로 하지 않도록 삽입슬로트(150)와 걸림턱(151)을 더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기용 작업기미션 클러치.
KR1020070113831A 2007-11-08 2007-11-08 관리기용 작업기미션 클러치 KR1009270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3831A KR100927078B1 (ko) 2007-11-08 2007-11-08 관리기용 작업기미션 클러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3831A KR100927078B1 (ko) 2007-11-08 2007-11-08 관리기용 작업기미션 클러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7797A KR20090047797A (ko) 2009-05-13
KR100927078B1 true KR100927078B1 (ko) 2009-11-13

Family

ID=408570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3831A KR100927078B1 (ko) 2007-11-08 2007-11-08 관리기용 작업기미션 클러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707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4328A (ko) * 2019-03-28 2020-10-07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농업용 작업차량의 동력취출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3560B1 (ko) * 2014-04-29 2014-08-27 허정규 작업기 탈부착형 관리기
CN104429199A (zh) * 2014-11-29 2015-03-25 何理生 旱地微耕机
CN105230152A (zh) * 2015-09-16 2016-01-13 长沙恒牛农业科技有限公司 硬地开沟培土机及其使用方法
CN111955449A (zh) * 2020-08-28 2020-11-20 河南大学 一种农业用驱散虫害鸟兽式四轮机器人及其驱散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22332A (ja) 1984-04-18 1985-11-06 Kubota Ltd 歩行型耕耘機
JPS63176738A (ja) 1987-01-17 1988-07-21 Kubota Ltd 作業車の変速操作構造
KR20030087091A (ko) * 2002-05-06 2003-11-13 도미영 조향 및 차동 겸용 변속기
KR20060075492A (ko) * 2004-12-28 2006-07-04 아세아종합기계 주식회사 보행형 관리기용 작업기미션 클러치레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22332A (ja) 1984-04-18 1985-11-06 Kubota Ltd 歩行型耕耘機
JPS63176738A (ja) 1987-01-17 1988-07-21 Kubota Ltd 作業車の変速操作構造
KR20030087091A (ko) * 2002-05-06 2003-11-13 도미영 조향 및 차동 겸용 변속기
KR20060075492A (ko) * 2004-12-28 2006-07-04 아세아종합기계 주식회사 보행형 관리기용 작업기미션 클러치레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4328A (ko) * 2019-03-28 2020-10-07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농업용 작업차량의 동력취출장치
KR102262737B1 (ko) 2019-03-28 2021-06-08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농업용 작업차량의 동력취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7797A (ko) 2009-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7078B1 (ko) 관리기용 작업기미션 클러치
US6015017A (en) Rotary hammer
EP2809470B1 (en) Rotary hammer
EP1413402B1 (en) Hammer
JP3582760B2 (ja) ハンマドリル
JP5283599B2 (ja) 歩行型管理機
JP5007955B2 (ja) ハンマドリル
KR20190001924A (ko) 보행형 작업기
JP5527200B2 (ja) 歩行型管理機
JP7341488B2 (ja) 歩行型作業機
JP5078299B2 (ja) ロータリ耕耘装置
JP2008263908A (ja) 農作業機
JP5381339B2 (ja) 歩行型管理機
KR100823426B1 (ko) 보행형 제초장치용 클러치어셈블리
JP6128250B1 (ja) 歩行型耕耘機
JP2008213729A (ja) 歩行型作業機におけるクラッチ操作装置
JP5287475B2 (ja) 歩行型管理機
KR101489925B1 (ko) 개선된 바닥재 철거장치
JP4664253B2 (ja) 打撃工具
KR100597638B1 (ko) 보행형 관리기용 작업기미션 클러치레버
DE3707051A1 (de) Verfahren zum unterbrechen der antriebstaetigkeit, insbesondere zumindest der schlagantriebstaetigkeit, einer handwerkzeugmaschine
JP5205334B2 (ja) 歩行型農作業機
JP4556180B2 (ja) ハンマドリル
JP6514006B2 (ja) 農作業機
JP2022127614A (ja) 歩行型作業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31

Year of fee payment: 12